KR20010051705A - Flashlight generating circuit - Google Patents

Flashlight generating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705A
KR20010051705A KR1020000067761A KR20000067761A KR20010051705A KR 20010051705 A KR20010051705 A KR 20010051705A KR 1020000067761 A KR1020000067761 A KR 1020000067761A KR 20000067761 A KR20000067761 A KR 20000067761A KR 20010051705 A KR20010051705 A KR 20010051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tube
trigger
capacito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7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14130B1 (en
Inventor
모또무라가쓰미
Original Assignee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무네유키 가코우
Publication of KR2001005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7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13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PURPOSE: A flash generating circuit is provided to reduce a cost and a size of a circuit substrate. CONSTITUTION: A primary wire(16_3a) of a trigger coil(16_3) inside a discharging loop(L1) is arranged with a light emitting pipe(16_1). Current is accumulated in a main condenser(13) and a condenser(16_2) for a trigger by boosting a voltage of an embedded battery(1) through a boosting circuit(11). The current is flowed to the primary wire(16_3a) by closing a trigger switch(15). The light emitting pipe(16_1) is emitted by the trigger voltage from a secondary wire(16_3b). Thereby, a cost and a size of a circuit substrate are reduced.

Description

섬광 발생회로{FLASHLIGHT GENERATING CIRCUIT}Flash generating circuit {FLASHLIGHT GENERATING CIRCUIT}

본 발명은 섬광을 발광시키는 섬광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 generating circuit for emitting a flash.

종래로부터, 피사체 휘도가 부족한 경우, 셔터 동작에 동기하여 플래시 광(섬광)을 발광하여 사진 촬영을 행하는 카메라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카메라에는 플래시 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섬광 발생회로가 구비되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camera is known that emits flash light (flash) in order to take photographs when the subject luminance is insufficient. Such a camera is provided with a flash generating circuit for emitting flash light.

도 14는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이다.14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flash generating circuit.

도 1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00)에는 카메라 전체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내장전지(1)에 접속된 승압회로(2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승압회로(211)는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까지 승압한다.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00 shown in FIG. 14 is provided with a boosting circuit 211 connected to the built-in battery 1 for controlling the entire camera. The booster circuit 211 boosts the voltage from the built-in battery 1 to a predetermined voltage.

또한, 섬광 발생회로(200)에는 승압회로(211)에 의해 승압된 전력을 다이오드(212)를 경유하여 축적하는 메인 콘덴서(213)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은 다이오드(212)의 양극 측에 접속되고, 그 다이오드(212)의 음극 측은 승압회로(211)의 (-) 출력 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은 승압회로(211)의 (+) 출력 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213)의 (-) 측 및 (+) 측에는 저항소자(214)와 트리거 스위치(215)가 직렬로 접속되며, 이 메인 콘덴서(213)에 병렬로 발광관(216)이 배치되어 있다. 발광관(216)은 양극(216a), 음극(216b), 측면 전극(216c)을 갖고, 내부에는 크세논(XE)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00 includes a main capacitor 213 that accumulates power boosted by the boosting circuit 211 via the diode 212.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side of the diode 212, and the negative side of the diode 212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output side of the boosting circuit 211.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output side of the boosting circuit 211. In addition, the resistance element 214 and the trigger switch 215 are connected in series to the (-) side and the (+)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and the light emitting tube 216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main capacitor 213. It is. The light emitting tube 216 has an anode 216a, a cathode 216b, and a side electrode 216c, and a xenon (XE) gas is enclosed therein.

또한, 이 섬광 발생회로(200)에는 소정 권수(卷數)의 1차측 권선(218a)과, 그 권수보다도 큰 권수의 2차측 권선(218b)으로 구성된 트리거 코일(218)이 구비되어 있다. 1차측 권선(218a)의 한쪽 끝은 트리거용 콘덴서(217)를 통하여 저항소자(214)와 트리거 스위치(215)와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2차측 권선(218b)의 한쪽 끝은 발광관(216)의 측면 전극(216c)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1차측 권선(218a) 및 2차측 권선(218b)의 각 다른 쪽 끝은 발광관(216)의 양극(216a)에 공통 접속되어 있다.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00 is also provided with a trigger coil 218 composed of a primary winding 218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turns and a secondary winding 218b of a number of turn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urns. One end of the primary winding 218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resistance element 214 and the trigger switch 215 via the trigger capacitor 217. 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secondary winding 218b is connected to the side electrode 216c of the light emitting tube 216. The other ends of these primary side windings 218a and secondary side windings 218b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anode 216a of the light emitting tube 216.

이와 같이 구성된 섬광 발생회로(200)에서는, 먼저, 트리거 스위치(215)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력이 승압회로(211)에 의해 승압된다. 승압된 전력은 다이오드(212)를 경유하여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다. 또한, 이 승압된 전력은 1차측 권선(218a), 트리거용 콘덴서(217), 저항소자(214), 다이오드(212)의 경로를 통과하여 트리거용 콘덴서(217)에도 축적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power from the built-in battery 1 is boosted by the boosting circuit 211 in a state where the trigger switch 215 is opened. The boosted power is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213 via the diode 212. The boosted power is also stored in the trigger capacitor 217 through the path of the primary winding 218a, the trigger capacitor 217, the resistance element 214, and the diode 212.

다음으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트리거 스위치(215)가 폐쇄된다. 그리하면, 트리거용 콘덴서(217)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218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218b)에 기전력이 야기된다. 여기서, 2차측 권선(218b)의 권수는 1차측 권선(218a)의 권수보다도 크기 때문에, 2차측 권선(218b)에 야기되는 기전력은 증폭되어 커진다. 이와 같이 큰 기전력이 트리거 전압으로서 발광관(216)의 측면 전극(216c)에 공급되기 때문에, 발광관(216)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勵起)되어,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양극(216a), 음극(216b),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방전 루프(L)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213)에 축전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216)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래시 광의 발광이 실행된다.Next, in the shooting, the trigger switch 215 is clos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mera shutter. Thus, the power accumulated in the trigger capacitor 217 is released. As a result, current flows through the primary winding 218a, causing electromotive force to the secondary winding 218b. Here, since the number of turns of the secondary winding 218b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urns of the primary winding 218a, the electromotive force caused by the secondary winding 218b is amplified and increased. Since such a large electromotive force is supplied to the side electrode 216c of the light emitting tube 216 as a trigger voltage, the xenon gas enclosed in the light emitting tube 216 is excited,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main capacitor 213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loop L on the positive side, the positive electrode 216a, the negative electrode 216b, and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and emits light. Flashes from 216. In this manner, light emission of flash light is performed.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와는 상이한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이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한다.FIG. 15 is a circuit diagram of a flash generating circui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flash generating circuit shown in FIG.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00 shown in FIG. 14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5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10)를 구성하는 승압회로(211)의 (+) 출력 측은 다이오드(212)를 경유하여 메인 콘덴서(213)의 (+) 측에 접속되며, 승압회로(211)의 (-) 출력 측은 메인 콘덴서(213)의 (-) 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213)의 (+) 측 및 (-) 측에는 직렬 접속된 저항소자(214) 및 트리거 스위치(21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메인 콘덴서(213)의 (+) 측 및 (-) 측은 발광관(216)의 양극(216a) 및 음극(216b)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소자(214)와 트리거 스위치(219)와의 접속점은 트리거용 콘덴서(217)를 통하여 트리거 코일(218)의 1차측 권선(218a)의 한쪽 끝에 접속되고, 그 트리거 코일(218)의 2차측 권선(218b)의 한쪽 끝은 발광관(216)의 측면 전극(216c)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1차측 권선(218a) 및 2차측 권선(218b)의 각 다른 쪽 끝은 발광관(216)의 음극(216b)에 공통 접속되어 있다.The positive output side of the boosting circuit 211 constituting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10 shown in FIG. 15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via the diode 212, and the boosting circuit 211 is provided. The negative output side of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In addition, resistor elements 214 and trigger switches 219 connected in series are arranged on the (+) side and (-)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The positive side and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are connected to the anode 216a and the cathode 216b of the light emitting tube 216.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resistance element 214 and the trigger switch 219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imary winding 218a of the trigger coil 218 through the trigger capacitor 217, and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218 is connected. One end of 218b is connected to the side electrode 216c of the light emitting tube 216. The other ends of these primary side windings 218a and secondary side windings 218b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cathode 216b of the light emitting tube 216.

이와 같이 구성된 섬광 발생회로(210)에서는 트리거 스위치(219)가 폐쇄되면, 트리거용 콘덴서(217)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218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218b)에 큰 기전력이 발생하며, 이 기전력이 트리거 전압으로서 발광관(218)의 측면 전극(216c)에 공급되어, 발광관(216)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되고,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양극(216a), 음극(216b),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방전 루프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216)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igger switch 219 is closed,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trigger capacitor 217 is released, whereby a current flows in the primary winding 218a. A large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218b, and this electromotive force is supplied to the side electrode 216c of the light emitting tube 218 as a trigger voltage, and the xenon gas enclosed in the light emitting tube 216 is excited, and the main capacitor 213 is excited. The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213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loop on the positive side of the positive side, the positive pole 216a, the negative pole 216b, and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and the light emitting tube 216 is discharged. Flashes).

상술한 섬광 발생회로(200, 210)에서는 트리거 스위치(215, 219)가 폐쇄되어 트리거 전압이 발광관(216)에 공급되면, 발광관(216) 내에서 방전이 순간적으로 개시되어, 피크 광량이 크고 발광 시간이 짧은 급격한 상승의 발광 커브(이하, 단순히 급격한 발광 커브라고 기술한다)를 따라 발광이 종료된다. 이러한 급격한 발광 커브에 의한 발광에서는,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의 플래시 광에 의한 노광 제어를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플래시 광의 발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노광 조절회로를 구비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에서는, 광량 조절을 행함에 있어서, 플래시 광의 발광 지속 시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노광 조절회로의 응답 지연이 플래시 광의 발광에 추종할 수 없고, 따라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의 광량 조절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lash generating circuits 200 and 210, when the trigger switches 215 and 219 are closed and the trigger voltage is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tube 216, the discharge is instantaneously started in the light emitting tube 216, so that the peak light amount is increased. Light emission is terminated along a large rising light emission curv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udden light emission curve) which is large and has a short light emission time. In light emission by such an abrupt light emission curve,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accurately perform exposure control by flash light at a short distance. In particular, in the automatic dimming flash generator having an exposure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flash light to stop when the predetermined light amount is reached, the light emission duration of the flash light is too short in adjusting the light exposure, so that the exposure adjustment is performed. The response delay of the circuit cannot follow the light emission of the flash light,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of the automatic dimming flash generator.

또한, 플래시 광의 발광 도중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발광관(216)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 내에 무접점 스위치를 배치해 두고, 그 무접점 스위치를 오프(off)함으로써 발광을 정지시킨다는 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발광 접속 시간이 짧은 플래시 광에 의해 소정의 광량을 얻기 위해서는 매우 큰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방전 루프 내에 배치하는 무접점 스위치도 그 대전류에 견딜 수 있을 만큼 치수가 크고, 비용적으로도 높은 것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Further, in order to stop the flash light in the middle of light emission, a technique is known in which a solid state switch is disposed in a discharge loop via the light tube 216, and the emission is stopped by turning off the solid state switch. In order to obtain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by a flash light having a short connection time, a very large current flows, and a solid state switch disposed in the discharge loop needs to be large in size and high in cost to withstand the large current. There is.

또한, 급격한 발광 커브에 의한 발광에서는 플래시 광의 색 온도가 높아, 청색 성분이 많은 광이 발광된다. 사진 촬영에 있어서 이러한 청색 성분 광의 색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발광부 앞에 투명판이 착색 처리되어 이루어진 프로텍터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 emission by the abrupt light emission curve,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flash light is high, and light with a lot of blue components is emitted. In photography, in order to correct the color of such blue component light,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protector by which the transparent plate is colored in front of a light emitting part, for example, and there also exists a problem that cost increas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광 커브가 완만해지도록 방전 루프 내에 초크 코일을 추가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technique which added the choke coil in the discharge loop so that a light emission curve may become smooth is proposed.

도 16은 메인 콘덴서와 직렬로 초크 코일이 접속되는 동시에, 발광관에 병렬로 사이리스터가 접속되어 이루어진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이다.Fig. 16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flash generating circuit in which a choke coil is connected in series with a main capacitor and a thyristor is connected in parallel to a light emitting tube.

도 16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20)에서는 메인 콘덴서(213)와 직렬로 초크 코일(221)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발광관(216)에 병렬로 사이리스터(222)가 접속되어 있다. 사이리스터(222)의 게이트에는 그 사이리스터(222)의 온 및 오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단자(22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사이리스터(222)의 게이트와 메인 콘덴서(213)의 (-) 측에는 그 사이리스터(222)의 게이트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저항소자(223)가 구비되어 있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20 shown in FIG. 16, the choke coil 221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capacitor 213. In addition, the thyristor 222 i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tube 216 in parallel. The gate of the thyristor 222 is connected to a control terminal 224 for performing on and off control of the thyristor 222. In addition, a resistance element 223 for controlling the gate voltage of the thyristor 222 is provided on the gate of the thyristor 222 and on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이 섬광 발생회로(220)에서는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224)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사이리스터(222)는 오프 상태에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213) 및 트리거용 콘덴서(217)의 양쪽에는 모두 전력이 축적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20, a control signal of "L"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224 at the first tim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and the thyristor 222 is in an off state. In addition, power is stored in both the main capacitor 213 and the trigger capacitor 217.

여기서, 트리거 스위치(219)가 폐쇄되면, 트리거용 콘덴서(217)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1차측 권선(218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218b)에 기전력이 발생하며, 이 기전력이 발광관(216)의 측면 전극(216c)에 공급되어, 발광관(216)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되고,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초크 코일(221), 양극(216a), 음극(216b),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방전 루프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216)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여기서, 방전 루프 내에는 초크 코일(221)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관(216)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이 억제되고, 따라서, 발광 커브가 완만해져 플래시 광의 색 온도가 낮아져, 발광색은 청색 성분이 적은 자연색에 가까운 것으로 된다.Here, when the trigger switch 219 is closed,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trigger capacitor 217 is released, current flows through the primary winding 218a, and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secondary winding 218b. The xenon gas supplied to the side electrode 216c of the light emitting tube 216 and enclosed in the light emitting tube 216 is excited, and the (+)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the choke coil 221 and the anode 216a ), The cathode 216b and the discharge loop on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pass through, and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main capacitor 213 is released, and flash is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216. Here, since the choke coil 221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loop,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light emitting tube 216 is suppressed. Therefore, the light emission curve is smooth and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flash light is lowered. This little thing becomes close to natural color.

이어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의 노광 조절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발광 광량이 적분되고,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단자(224)에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입력되어 사이리스터(222)가 온(on)한다. 여기서, 사이리스터(222)의 온 상태에서의 임피던스는 발광관(216)의 여기 상태에서의 임피던스보다도 작기 때문에(예를 들어, 1/10),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 전력은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초크 코일(221), 사이리스터(222),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경로에서 바이패스되어 발광이 정지된다. 여기서, 사이리스터(222)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은 초크 코일(221)에 의해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리스터(222)는 허용 전류가 비교적 작은 소자로 충족된다. 이와 같이 하여, 근거리에서도 정확도가 높은 광량 제어가 실행된다.Subsequently, the amount of emitted light is integrated by an exposure control circuit (not shown) of the automatic dimming flash generator, and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reached, a pulse signal having a "H"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224 and the thyristor 222. ) Turns on. Here, since the impedance in the on state of the thyristor 222 is smaller than the impedance in the excited state of the light emitting tube 216 (for example, 1/10), the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213 is the main capacitor ( 213 is bypassed in the path on the positive side of the choke coil 221, the thyristor 222, and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to stop light emission. Here, since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yristor 222 can be suppressed by the choke coil 221, the thyristor 222 is satisfied with an element with a relatively small allowable current. In this way, high-accuracy light quantity control is performed even at a short distance.

도 17은 메인 콘덴서의 양단에 초크 코일과 사이리스터가 직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이다.Fig. 17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flash generating circuit in which choke coils and thyristors are connected in series at both ends of a main capacitor.

도 1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30)에는 메인 콘덴서(213)의 양단에 초크 코일(221)과 사이리스터(22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30 shown in FIG. 17, a choke coil 221 and a thyristor 222 are connected in series at both ends of the main capacitor 213.

트리거 스위치(219)가 폐쇄되면, 트리거용 콘덴서(217)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1차측 권선(218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218b)에 기전력이 발생하며, 이 기전력이 발광관(218)의 측면 전극(216c)에 공급되어, 발광관(216)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되고,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양극(216a), 음극(216b),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방전 루프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216)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When the trigger switch 219 is closed,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trigger capacitor 217 is discharged,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primary winding 218a to generate electromotive force in the secondary winding 218b, and the electromotive force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The xenon gas supplied to the side electrode 216c of 218 and enclosed in the light emitting tube 216 is excited, and the (+)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the anode 216a, the cathode 216b, and the main The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213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loop on the negative side of the capacitor 213, and flashing is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216.

이어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의 노광 조절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발광 광량이 적분되고,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단자(224)에 "H" 레벨의 펄스 신호가 입력되어 사이리스터(222)가 온한다. 그리하면, 메인 콘덴서(213)에 축적된 전력은 메인 콘덴서(213)의 (+) 측, 초크 코일(221), 사이리스터(222), 메인 콘덴서(213)의 (-) 측의 경로에서 바이패스되어 발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초크 코일(221)에 의해 사이리스터(222)에 큰 피크 값을 갖는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Subsequently, the amount of emitted light is integrated by an exposure control circuit (not shown) of the automatic dimming flash generator, and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reached, a pulse signal having a "H"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224 and the thyristor 222. ) Comes on. Then, the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213 is bypassed in the path of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the choke coil 221, the thyristor 222, and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213. Light emission stops. In this way, the choke coil 221 prevents the current having a large peak value from flowing into the thyristor 222.

그러나, 상술한 섬광 발생회로(220, 230)에서는 발광관(216)이나 사이리스터(222)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하기 위해, 초크 코일(221)이 추가되어 있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며, 그만큼 기판회로 면적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flash generating circuits 220 and 230, since the choke coil 221 is added to suppress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light emitting tube 216 or the thyristor 222, the cost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ea of the substrate circuit is large.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비용의 저감화 및 기판회로 면적의 삭감화가 도모된 섬광 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sh generating circuit in which cost is reduced and substrate circuit area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섬광(閃光)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of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의 발광 특성과 도 7에 나타낸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발광 특성을 나타낸 도면.FIG. 2 is a diagram showing light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flash generation circuit shown in FIG. 1 and light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flash generation circuit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6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Fig. 7 shows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8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Fig. 9 shows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10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11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12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Fig. 13 shows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14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flash generating circuit.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와는 상이한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FIG. 15 is a circuit diagram of a flash generating circui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flash generating circuit shown in FIG.

도 16은 메인 콘덴서와 직렬로 초크(choke) 코일이 접속되는 동시에, 발광관에 병렬로 사이리스터가 접속되어 이루어진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Fig. 16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flash generating circuit in which a choke coil is connected in series with a main capacitor and a thyristor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light emitting tube.

도 17은 메인 콘덴서의 양단에 초크 코일과 사이리스터가 직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의 회로도.Fig. 17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flash generating circuit in which choke coils and thyristors are connected in series at both ends of a main capacito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내장전지1: built-in battery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 섬광 발생회로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flash generating circuit

11 : 승압회로 12, 16_4, 16_5 : 다이오드11: boost circuit 12, 16_4, 16_5: diode

13 : 메인 콘덴서13: main capacitor

14, 16_6, 94, 102, 111, 122 : 저항소자14, 16_6, 94, 102, 111, 122: resistance element

15, 81 : 트리거 스위치 16 : 트리거 회로15, 81: trigger switch 16: trigger circuit

16_1 : 발광관 16_1a : 양극16_1: light emitting tube 16_1a: anode

16_1b : 음극 16_1c : 측면 전극16_1b: cathode 16_1c: side electrode

16_2 : 트리거용 콘덴서 16_3 : 트리거 코일16_2: trigger capacitor 16_3: trigger coil

16_3a : 1차측 권선 16_3b : 2차측 권선16_3a: primary winding 16_3b: secondary winding

16_7 : 바이패스(bypass)용 다이오드 16_8 :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7: Bypass diode 16_8: Voltage addition capacitor

17 : 무(無)접점 스위치 18, 123, 125 : 제어단자17: contactless switch 18, 123, 125: control terminal

90_1 : 바이패스 회로 91, 92, 101 : 회로기판90_1: bypass circuit 91, 92, 101: circuit board

91_1, 91_2, 92_1, 92_2, 101_1, 101_2 : 접속단자91_1, 91_2, 92_1, 92_2, 101_1, 101_2: Connection terminal

93, 121 : 사이리스터(thyristor) 95 : 조광(調光)회로93, 121: thyristor 95: dimming circuit

95_1 : 수광(受光) 센서 95_2 : 콘덴서95_1: Light receiving sensor 95_2: Condenser

95_3 : 스위치 소자 95_4 : 증폭기95_3: Switch element 95_4: Amplifier

95_5 : 가변저항기 95_6 : 비교기95_5: Variable resistor 95_6: Comparator

95_7 : 트리거 펄스 발생기 124 : IGBT 소자95_7: trigger pulse generator 124: IGBT ele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섬광 발생회로는, 승압회로, 그 승압회로에 의해 승압된 전력을 축적하는 메인 콘덴서, 그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관, 및 트리거용 콘덴서와, 1차측 권선이 그 트리거용 콘덴서에 접속되고 그 트리거용 콘덴서에 흐르는 전력을 2차측 권선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트리거 코일을 갖는 트리거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발광관과 함께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이 흐르는 방전 루프 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ash generat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chieves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oosting circuit, a main capacitor accumulating power boosted by the boosting circuit, a light emitting tube emitting light by electric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and a trigger capacitor; A trigger circuit having a trigger coil connected to the trigger capacitor for supplying the trigger capacitor and supplying a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by transferring power flowing through the trigger capacitor to the secondary winding; and a primary side of the trigger coil. And a winding is disposed in a discharge loop through which electric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flows along with the light emitting tube.

본 발명의 섬광 발생회로는,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발광관과 함께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이 흐르는 방전 루프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관이 방전을 개시하고 나서 발광 광량의 피크 값이 최대로 될 때까지의 시간이 지연되는 동시에, 발광 광량의 피크 값도 비교적 작고, 발광 지속 시간이 길게 유지되어 비교적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같이,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기 위해서 방전 루프 내에 초크 코일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비용의 저감화 및 기판회로 면적의 삭감화가 도모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is disposed in a discharge loop through which electric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flows along with the light emitting tube, the peak value of the amount of emitted light is maximum after the light emitting tube starts discharging. At the same time, the peak value of the amount of emitted light is also relatively small, and the emission duration is kept long, so that a relatively gentle emission curve can be obtained. Therefore, as in the prior art, it is not necessary to add a choke coil in the discharge loop in order to obtain a gentle light emission curve, so that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board circuit area can be reduced.

여기서,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은 상기 발광관의 양극 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은 상기 발광관의 음극 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Here,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may be formed on the anode si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or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may be arranged on the cathode si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이와 같이,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발광관의 양극 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발광관의 음극 측에 배치되는 것이면, 회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In this way, if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is disposed on the anode si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or on the cathode si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the degree of freedom in circuit design is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섬광 발생회로는 상기 방전 루프 내에 무접점 스위치를 구비한 것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olid state switch in the discharge loop.

방전 루프 내에 무접점 스위치를 구비하면, 발광 개시 타이밍으로 그 무접점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발광관으로부터 플래시 광을 발광하고,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그 무접점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 그의 섬광을 정지시킴으로써,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에서의 자동 조광 제어를 행할 수 있다.If a solid state switch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loop, the solid state switch is turned on at the start of light emission to emit flash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and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reached, the solid state switch is turned off to turn off the flash. By stopping, automatic dimming control in an automatic dimming flash generator can be performed.

상기 무접점 스위치를 구비한 경우에, 그 무접점 스위치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천이(遷移)했을 때에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에 발생하는 역(逆)기전력에 의한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ntactless switch is provided, a bypass for bypassing current caused by reverse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when the contactless switch transitions from an on state to an off state It is desirable to have a pass diode.

상기 무접점 스위치로서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순간적으로 천이하는 성능이 양호한 것을 사용하면, 조광 성능은 향상되지만,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에 큰 역기전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의 바이패스용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두면, 그 발생한 역기전력이 그대로 무접점 스위치에 인가되어 그 무접점 스위치가 파괴되어 버린다는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solid state switch has a good performance of instantaneous transition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the dimming performance is improved, but a larg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When the bypass diode is provided, the generated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ctless switch as it is, and the occurrence of a failure that the contactless switch is destroyed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가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을 부여하는 것일 수도 있다.The trigger capacitor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voltage having a polarity that promotes the flow of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at a timing of supplying a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또는,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와는 별도로,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그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을 부여하는 전압 부가용 콘덴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t a timing of supplying a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separately from the trigger capacitor, a voltage is added to provide a voltage having a polarity that promotes the flow of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A capacitor may also be provided.

이 전압 부가용 콘덴서를 구비한 경우에, 그 전압 부가용 콘덴서는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메인 콘덴서와 공동하여, 메인 콘덴서와 이 전압 부가용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었을 때의 전압을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voltage adding capacitor is provided, the voltage adding capacitor is configured to cope with the main capacitor at the timing of supplying a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so that the voltage when the main capacitor and the voltage adding capacitor are connected in series. It is preferable to ad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그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극성의 전압을 부여하면,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했을 때에 발광관이 발광하기 쉬워져, 트리거용 콘덴서의 용량을 감소시키거나, 트리거 전압을 낮출 수 있다.At the timing of supplying the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when the voltage of the polarity is appli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the light emitting tube tends to emit light when the trigger voltage is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tube, and thus the capacitance of the trigger capacitor Can be reduced or the trigger voltage can be lowered.

또한,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가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 이전은 방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트리거 코일을 경유하여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것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iming before the trigger capacitor supplies the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is maintained in a discharged state, and the trigger voltage is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tube via the trigger coil by passing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It may be.

또한,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메인 콘덴서와 직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is preferably arranged in series with the main capacitor.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메인 콘덴서와 직렬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 그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발광관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하는 초크 코일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기 때문에,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다.If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is arranged in series with the main capacitor, the slow winding curve is obtained because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serves as a choke coil that suppresses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섬광 발생장치는,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발광관을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를 그 발광관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중에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발광관에 흐르는 전류를 정지시키는 바이패스 회로를 구비한 것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lash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ypass circuit for stopp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by bypassing a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capacitor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while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It may be provided.

이러한 바이패스 회로를 구비할 경우, 발광관으로부터의 섬광을 도중에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량 제어를 행할 수 있다.When such a bypass circuit is provided, the flash from a light emitting tube can be stopped halfway. Therefore, light quantity control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발광관과 직렬로 배치된 저항 및 상기 저항과 상기 발광관의 한쪽 단자 사이의 접속 노드와 그 발광관의 다른 쪽 단자 사이에 그 발광관과 병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The bypass circuit includes a resistor arranged in series with the light emitting tube and a switch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ight emitting tube between a connection node between the resistor and one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tube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tube. It may have a device.

바이패스 회로가 이와 같이 배치된 저항 및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일 경우, 발광관으로부터 섬광을 발광함에 있어서, 1차측 권선과 상기 저항과의 양쪽에 의해 발광관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이 억제되어 한층 더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발광관으로부터의 섬광을 도중에 정지시킴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bypass circuit has the resistors and the switch elements arranged in this way, in emitting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is suppressed by both the primary winding and the resistance, furthermore. A gentle light emission curve can be obtained, and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 element can be suppressed in stopping the flash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halfway.

또한, 상기 바이패스 회로가 서로 직렬로 배치된 저항과 바이패스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ypass circuit may have a resistor arrang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 switch element for controlling the on and off of the bypass.

바이패스 회로가 서로 직렬로 배치된 저항과 상기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일 경우, 발광관으로부터의 섬광을 도중에 정지시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과 저항과의 양쪽에 의해 스위치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bypass circuit has the resistor and the switch element arrang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stopping the flash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halfway,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 element by both the primary winding and the resistor is determined. It can be suppressed.

또한, 상기 발광관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그 발광관으로부터 소정 광량의 광이 발광된 타이밍을 검출하여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전류의 바이패스를 지시하는 조광회로를 구비한 것일 수도 있다.The light control circuit may be provided with a dimming circuit for detecting a timing at which light of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and instructing the bypass circuit to bypass current.

이러한 조광회로를 구비할 경우, 발광관으로부터 소정 광량의 광이 발광된 타이밍으로 그 발광관으로부터의 섬광을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를 실현시킬 수 있다.When such a dimming circuit is provided, the glare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can be stopped at a timing at which light of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so that an automatic dimming flash generating device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 바이패스 회로가 착탈가능하게 상기 발광관과 병렬로 접속된 것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ypass circuit may be detachably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light emitting tube.

이와 같이 하면, 플래시 광의 발광을 도중에 정지시키지 않는 통상의 플래시 장치와,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플래시 광의 발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오토-플래시 장치)와의 양쪽의 제조에 있어서, 발광관이 실장되는 섬광 발생회로와 상기 바이패스 회로를 구별하여 제조할 수 있어, 회로 부품의 공통화가 도모되어 제조 공정의 간소화나 제품 관리의 수고가 삭감된다. 또한, 통상의 플래시 장치의 하우징에 상기 바이패스 회로가 실장되어 이루어진 회로기판이 설치된 어댑터를 장착함으로써 오토-플래시 장치를 간단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oth the conventional flash device which does not stop light emission of flash light in the middle, and the auto-flash control device (auto-flash device) which control to stop light emission of a flash light when the predetermined light quantity reaches | attained are used for manufacture of both. In this way,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on which the light emitting tube is mounted can be manufactured by distinguishing the bypass circuit, and common circuit components can be achieved, which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s the labor of product management. In addition, the auto-flash device can be easily realized by attaching an adapter provided with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bypass circuit is mounted in a housing of a normal flash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카메라에 탑재된 섬광 발생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Here,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mounted in the camera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0)에는 카메라 전체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내장전지(1)에 접속된 승압회로(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승압회로(11)는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압을 소정 전압까지 승압한다.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0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a boosting circuit 11 connected to the built-in battery 1 for controlling the entire camera. The booster circuit 11 boosts the voltage from the built-in battery 1 to a predetermined voltage.

또한, 섬광 발생회로(10)에는 승압회로(11)에 의해 승압된 전력을 다이오드(12)를 경유하여 축적하는 메인 콘덴서(13)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 콘덴서(13)의 양단에는 저항소자(14)와 트리거 스위치(15)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0 includes a main capacitor 13 that accumulates the power boosted by the boosting circuit 11 via the diode 12. The resistance element 14 and the trigger switch 15 are connected in series at both ends of the main capacitor 13.

또한, 섬광 발생회로(10)에는 발광관(16_1), 트리거용 콘덴서(16_2), 트리거 코일(16_3)을 갖는 트리거 회로(16)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0 is provided with a trigger circuit 16 having a light emitting tube 16_1, a trigger capacitor 16_2, and a trigger coil 16_3.

발광관(16_1)은 양극(16_la), 음극(16_lb), 측면 전극(16_lc)을 갖고, 내부에는 크세논(XE)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이 발광관(16_1)은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한다. 또한, 트리거 코일(16_3)은 소정 권수의 1차측 권선(16_3a)과, 그 권수보다도 큰 권수의 2차측 권선(16_3b)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측 권선(16_3a)의 한쪽 끝은 발광관(16_1)의 양극(16_1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1차측 권선(16_3a)의 한쪽 끝은 트리거용 콘덴서(16_2)를 통하여 저항소자(14)와 트리거 스위치(15)의 접속점에도 접속되어 있다. 한편, 2차측 권선(16_3b)의 한쪽 끝은 발광관(16_1)의 측면 전극(16_1c)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1차측 권선(16_3a) 및 2차측 권선(16_3b)의 각 다른 쪽 끝은 메인 콘덴서(13)의 (+) 측에 공통 접속되어 있다.The light emitting tube 16_1 has an anode 16_la, a cathode 16_lb, and a side electrode 16_lc, and a xenon (XE) gas is enclosed therein.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emits light by electric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13. The trigger coil 16_3 is composed of a primary winding 16_3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turns and a secondary winding 16_3b of a number of turns larger than the number of turns. One end of the primary winding 16_3a is connected to the anode 16_1a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One end of the primary winding 16_3a is also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resistance element 14 and the trigger switch 15 via the trigger capacitor 16_2. 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secondary winding 16_3b is connected to the side electrode 16_1c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other ends of these primary side windings 16_3a and secondary side windings 16_3b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트리거 코일(16_3)은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흐르는 전력을 2차측 권선(16_3b)에 전달하여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고, 이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은 발광관(16_1)과 함께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이 흐르는 방전 루프(L1) 내에 배치되어 있다.The trigger coil 16_3 transmits the power flowing through the trigger capacitor 16_2 to the secondary winding 16_3b to supply the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is provided. )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loop L1 through which electric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13 flows along wit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이와 같이 구성된 섬광 발생회로(10)에서는, 먼저, 트리거 스위치(15)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력이 승압회로(11)에 의해 승압된다. 승압된 전력은 다이오드(12)를 경유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다. 또한, 이 승압된 전력은 1차측 권선(16_3a), 트리거용 콘덴서(16_2), 저항소자(14), 다이오드(12)의 경로를 통과하여,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도 축적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power from the built-in battery 1 is boosted by the boosting circuit 11 in the state where the trigger switch 15 is opened. The boosted power is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13 via the diode 12. The boosted power is also stor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through the primary winding 16_3a, the trigger capacitor 16_2, the resistance element 14, and the diode 12.

다음으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트리거 스위치(15)가 폐쇄된다. 그리하면, 메인 콘덴서(13)의 전압이 트리거 스위치(15)를 경유하여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한쪽 끝에 인가되고, 이것에 의해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그 인가된 전압보다도 그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전압분만큼 높은 플러스 전압이 출력된다. 이 플러스 전압은 발광관(16_1)의 양극(16_la) 및 1차측 권선(16_3a)에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16_3b)에 기전력이 야기된다. 여기서, 2차측 권선(16_3b)의 권수는 1차측 권선(16_3a)의 권수보다도 크기 때문에, 2차측 권선(16_3b)에 야기되는 기전력은 증폭되어 커진다. 이와 같이 큰 기전력이 트리거 전압으로서 발광관(16_1)의 측면 전극(16_1c)에 공급되기 때문에, 발광관(16_1)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되어, 메인 콘덴서(13)의 (+) 측, 1차측 권선(16_3a), 양극(16_1a), 음극(16_1b), 메인 콘덴서(13)의 (-) 측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L1)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래시 광의 발광이 실행된다.Next, in the shooting, the trigger switch 15 is clos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mera shutter. Then, the voltage of the main capacitor 13 is applied to one end of the trigger capacitor 16_2 via the trigger switch 15, whereby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other end of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higher than the applied voltage. A positive voltage as high as the voltage of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output. This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16_la and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As a result,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released, a current flows in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electromotive force is caused in the secondary winding 16_3b. Here, since the number of turns of the secondary winding 16_3b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urns of the primary winding 16_3a, the electromotive force caused by the secondary winding 16_3b is amplified and increased. Since such large electromotive force is supplied to the side electrode 16_1c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as a trigger voltage, the xenon gas enclosed in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excited, so that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13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loop L1 via the primary winding 16_3a, the anode 16_1a, the cathode 16_1b, and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The flash is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n this manner, light emission of flash light is performed.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15)가 폐쇄된 시점에서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발광관(16_1)의 양극(16_la)과 음극(16_lb) 사이에 양극(16_la) 측이 상술한 플러스 전압, 음극(16_lb)이 마이너스 전압이라는 것과 같이,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이 부여된다. 따라서, 발광관(16_1)에 부여되는 트리거 전압과 상응하여, 발광관(16_1)이 발광하기 쉬워진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t the timing of supplying the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by the trigger capacitor 16_2 when the trigger switch 15 is closed, The flow of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13, such as the positive voltage described above on the positive electrode 16_la si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16_lb on the negative electrode 16_la and the negative electrode 16_lb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negative. A voltage of polarity is given to encourage.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easily emits light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voltage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0)의 발광 특성과, 도 14에 나타낸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200)의 발광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light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flash generation circuit 10 shown in FIG. 1 and light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flash generation circuit 200 shown in FIG.

도 2에 나타낸 곡선 A는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200)에 있어서 발광이 개시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발광 특성을 나타낸 발광 커브이다. 한편, 곡선 B는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10)에 있어서 발광이 개시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발광 특성을 나타낸 발광 커브이다. 또한, 곡선 A로 표시되는 발광량의 적분값과, 곡선 B로 표시되는 발광량의 적분값에 큰 차는 없다.Curve A shown in FIG. 2 is a light emission curve showing light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the start of light emission to the end of light emission in the conventional flash generation circuit 200. On the other hand, the curve B is a light emission curve showing light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the start of light emission until the end of light emission in the flash generation circui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grated value of the light emission amount indicated by the curve A and the integrated value of the light emission amount indicated by the curve B.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200)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방전 루프 내에 발광관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발광관 내에서 방전이 순간적으로 개시되고, 곡선 A로 표시되는 급격한 발광 커브를 따라 발광이 종료된다. 이러한 급격한 발광 커브에 의한 발광에서는,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의 플래시 광에 의한 노광 제어를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플래시 광의 색 온도가 높아, 청색 성분이 많은 광이 발광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수지 재료를 착색하여 형성된 프로텍터를 발광부 앞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flash generating circuit 2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since only the light emitting tube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loop, the discharge is instantaneously started in the light emitting tube and the sudden light emission indicated by the curve A is shown. Light emission ends along the curve. In light emission by such an abrupt light emission curve,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accurately perform exposure control by flash light at a short distance. Moreover, since the color temperature of flash light is high and light with many blue components is emitted,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protector formed by coloring a resin material in front of a light emitting part, for example.

한편,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10)에서는,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발광관(16_1)과 함께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이 흐르는 방전 루프(L1)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곡선 B와 같이, 발광관(16_1)이 방전을 개시하고 나서 발광 광량의 피크 값이 최대로 되는 시간이 지연되며, 발광 광량의 피크 값도 비교적 작아서 완만한 발광 커브로 되고, 발광 지속 시간이 길게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loop L1 through which electric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13 along wit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of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flows.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as shown by the curve B shown in FIG. 2, the time which the peak value of the light quantity of light emission becomes maximum after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starts discharge is delayed, and the peak value of the light quantity of light emission is also relatively small and gentle. It becomes a light emission curve, and light emission duration is kept long.

또한, 섬광 발생회로(10)의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값은 종래의 섬광 발생회로(200)의 발광관에 흐르는 전류값과 비교하여 작기 때문에, 플래시 광의 광량을 유지하면서도 플래시 광의 색 온도가 내려가게 되어, 발광색도 청색 성분이 적은 자연색에 가까운 것으로 되고, 그 자체로 사진 적성이 양호한 광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값이 작기 때문에, 발광관(16_1)의 수명이 연장된다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of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0 is small compared with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of the conventional flash generating circuit 200,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flash light while maintaining the light quantity of the flash light. The lower the color, the light emission color is closer to the natural color with less blue component,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light having good photographic aptitude on its own.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sm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fe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extended.

또한,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기 위해서 방전 루프 내에 초크 코일을 추가하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비용의 저감화 및 기판회로 면적의 삭감화가 도모된다.In addition, cost reduction and substrate circuit area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adding a choke coil in the discharge loop to obtain a gentle light emission curve.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특징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same as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0 shown in FIG.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20)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 이전은 방전된 상태로 유지되고,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통과에 의해 트리거 코일(16_3)을 경유하여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before the timing at which the trigger capacitor 16_2 supplies the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0 is kept in a discharged state and passes the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13. The trigger voltage is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via the trigger coil 16_3.

도 3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20)를 구성하는 발광관(16_1)의 양극(16_1a)과 음극(16_lb) 사이에, 양극(16_la) 측으로부터 차례로 트리거용 콘덴서(16_2)와 트리거 스위치(15)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는 저항소자(14)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Between the anode 16_1a and the cathode 16_lb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constituting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20 shown in FIG. 3, the trigger capacitor 16_2 and the trigger switch 15 are sequentially turned from the anode 16_la side. Are connected in series. In addition, the resistance element 14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trigger capacitor 16_2.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트리거 스위치(15)가 개방되어 있고, 전원 투입 후, 메인 콘덴서(13)가 충전된다. 한편, 트리거용 콘덴서(16_2)는 방전된 상태에 머무른다.At the first time the camera is powered on, the trigger switch 15 is opened, and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the main capacitor 13 is charged. On the other hand, the trigger capacitor 16_2 remains in the discharged state.

다음으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에 동기하여 트리거 스위치(15)가 폐쇄된다. 그리하면, 메인 콘덴서(13)의 (+) 측, 1차측 권선(16_3a), 트리거용 콘덴서(16_2), 트리거 스위치(15), 메인 콘덴서(13)의 (-) 측 경로를 경유하여 전류가 흐른다.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의 (+) 측, 1차측 권선(16_3a), 양극(16_la), 음극(16_lb), 메인 콘덴서(13)의 (-) 측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L2)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트리거 스위치(15)가 폐쇄된 시점에서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을 통과시킴으로써,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트리거 전압을 얻고, 이 트리거 전압에 의해 발광관(16_1)을 발광할 수도 있다.Next, in the shooting, the trigger switch 15 is clos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mera shutter. Then,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the primary winding 16_3a, the trigger capacitor 16_2, the trigger switch 15, and the (-) side path of the main capacitor 13. Flow. Since current flows through the primary winding 16_3a, the trigger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secondary winding 16_3b to the side electrode 16_1c, so that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anode are supplied. The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13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loop L2 via the 16_la, the cathode 16_lb, and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an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Flashes occur. In this manner, when the trigger switch 15 is closed, the power discharged from the main capacitor 13 is passed to flow a current through the primary winding 16_3a to obtain a trigger voltage. 16_1) may be e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0)에서는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발광관(16_1)의 양극(16_la) 측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도 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30)에서는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발광관(16_1)의 음극(16_lb)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방전 루프(L3) 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16_3a)과 메인 콘덴서(13) 사이에 무접점 스위치(17)가 배치되어 있다. 무접점 스위치(17)는 그 무접점 스위치(17)의 온 및 오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단자(18)를 갖는다. 또한, 메인 콘덴서(13)의 양단에는 저항소자(14)와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저항소자(14)와 트리거용 콘덴서(16_2)와의 접속점은 다이오드(16_4)를 경유하여 음극(16_lb) 및 1차측 권선(16_3a)에 접속되어 있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0 shown in FIG. 1,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is disposed on the anode 16_la si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but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30 shown in FIG.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is disposed on the cathode 16_lb si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n the discharge loop L3, a non-contact switch 17 is disposed between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main capacitor 13. The solid state switch 17 has a control terminal 18 for performing on and off control of the solid state switch 17. In addition, the resistance element 14 and the trigger capacitor 16_2 are connected in series at both ends of the main capacitor 13.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se resistance elements 14 and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connected to the cathode 16_lb and the primary winding 16_3a via the diode 16_4.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30)에서는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8)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무접점 스위치(17)는 오프 상태에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13) 및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양쪽에는 모두 전력이 축적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of the 'L'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8 at the first tim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in an off state. . In addition, power is stored in both the main capacitor 13 and the trigger capacitor 16_2.

여기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8)에 'H'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이 다이오드(16_4),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를 경유하여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의 (+) 측, 양극(16_1a), 음극(16_lb),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 메인 콘덴서(13) 측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L3)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플래시 광이 발생한다. 이어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의 노광 조절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발광 광량이 적분되고,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신호가 'L' 레벨로 변화하고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하여 발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방전 루프(L3) 내에 무접점 스위치(17)를 배치하고, 그 무접점 스위치(17)를 제어함으로써, 근거리에서도 정확도가 높은 광량 제어를 행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signal of the 'H'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8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mera shutter. Then,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n, and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discharged via the diode 16_4,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As a result, a current flows through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a trigger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secondary winding 16_3b to the side electrode 16_1c, so that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the anode 16_1a, and the cathode are supplied. 16_lb, the primary winding 16_3a, the solid state switch 17, and the discharge loop L3 passing through the main capacitor 13 side, the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13 is emitted, and light emission Flash light is generated from the tube 16_1. Subsequently, the amount of emitted light is integrated by the exposure control circuit (not shown) of the automatic dimming flash generator, and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reached, the control signal changes to the 'L' level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ff. Light emission stops. In this way, by arranging the contactless switch 17 in the discharge loop L3 and controlling the contactless switch 17, it is possible to perform light quantity control with high accuracy even at a short distance.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40)에서는 방전 루프(L4) 내에 무접점 스위치(1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섬광 발생회로(40)를 구성하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는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 이전은 방전된 상태로 유지되고,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통과에 의해 트리거 코일(16_3)을 경유하여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40 shown in FIG. 5, the contactless switch 17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loop L4. In addition, the trigger capacitor 16_2 constituting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40 is kept in a discharged state before timing of supplying the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and thus the power of the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13 is maintained. By passing the trigger voltage, the trigger voltage is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via the trigger coil 16_3.

발광관(16_1)의 양극(16_1a)과 음극(16_1b)의 사이에는, 양극(16_1a)으로부터 차례로 다이오드(16_4)와 트리거 스위치(15)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 스위치(15)에는 저항소자(14)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음극(16_1b)과 메인 콘덴서(13) 사이에는 무접점 스위치(17)가 배치되어 있다.Between the anode 16_1a and the cathode 16_1b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diode 16_4 and the trigger switch 15 are connected in series from the anode 16_1a in sequence. In addition, a resistance element 14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trigger switch 15. In addition, a solid state switch 17 is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16_1b and the main capacitor 13.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8)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무접점 스위치(17)는 오프 상태에 있다. 메인 콘덴서(13)는 충전되는 한편, 트리거용 콘덴서(16_2)는 방전된 상태에 머무른다.At the first time the camera is powered on, a control signal of 'L'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8,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in an off state. The main capacitor 13 is charged while the trigger capacitor 16_2 remains in the discharged state.

여기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8)에 'H'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이 1차측 권선(16_3a), 다이오드(16_4), 트리거용 콘덴서(16_2), 무접점 스위치(17)를 경유하여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의 (+) 측, 1차측 권선(16_3a), 양극(16_1a), 음극(16_lb), 무접점 스위치(17), 메인 콘덴서(13)의 (-) 측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L4)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플래시 광이 발생한다. 이어서,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신호가 'L' 레벨로 변화하고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하여 발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정확도가 높은 광량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Here, the control signal of the 'H'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8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mera shutter. Then,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n, and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main capacitor 13 is stored in the primary winding 16_3a, the diode 16_4, the trigger capacitor 16_2,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Emitted via As a result, a current flows through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a trigger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secondary winding 16_3b to the side electrode 16_1c, so that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and the primary winding 16_3a are supplied. The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13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loop L4 via the positive electrode 16_1a, the negative electrode 16_lb, the solid state switch 17, and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Is emitted, and flash light is generated from the light tube 16_1. Then,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reached, the control signal changes to the 'L' level,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ff to stop light emission. In this way, the light quantity control with high accuracy can also be per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50)에서는, 방전 루프(L5) 내에 무접점 스위치(1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섬광 발생회로(50)를 구성하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는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발광관(16_1)의 양극(16_1a)과 음극(16_1b) 사이에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을 부여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50 shown in FIG. 6, the contactless switch 17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loop L5. In addition, the trigger capacitor 16_2 constituting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50 is a timing for supplying a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between the anode 16_1a and the cathode 16_1b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voltage of the polarity which encourages the flow of the electric power discharged from the main capacitor 13 is provided.

이 섬광 발생회로(50)에서는,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8)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무접점 스위치(17)는 오프 상태에 있다. 메인 콘덴서(13)에는 다이오드(12)를 경유하여 전력이 축적된다. 또한,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도 다이오드(12), 저항소자(14), 트리거용 콘덴서(16_2), 1차측 권선(16_3a), 저항소자(16_6)를 경유하여 전력이 축적된다.In this flash generating circuit 50, the control signal of the "L"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8 at the first time, and the contactless switch 17 is in the OFF state. Power is stored in the main capacitor 13 via the diode 12.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power is also stored through the diode 12, the resistance element 14, the trigger capacitor 16_2,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resistance element 16_6.

여기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8)에 'H'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한쪽 끝(무접점 스위치(17) 측)의 전위는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전위까지 급격하게 감소된다. 그리하면,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전압보다도 그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전압분만큼 낮은 마이너스 전압이 출력된다. 이 마이너스 전압은 음극(16_1b)에 부여되며,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된 전력이 무접점 스위치(17), 다이오드(16_5), 1차측 권선(16_3a)의 경로를 통과하여 방출되고,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양극(16_1a), 음극(16_lb), 1차측 권선(16_3a), 다이오드(16_4), 무접점 스위치(17)를 경유하는 방전 루프(L5)를 통과하여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플래시 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된 시점에 있어서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발광관(16_1)의 양극(16_la)과 음극(16_lb) 사이에 양극(16_la)에 플러스 전압, 음극(16_lb)에 상술한 마이너스 전압이라는 것과 같이, 메인 콘덴서(13)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이 부여되기 때문에, 발광관(16_1)에 부여되는 트리거 전압과 상응하여, 발광관(16_1)이 발광하기 쉬워진다.Here, the control signal of the 'H'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8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mera shutter. Then,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n, and the potential of one end (the solid state switch 17 side) of the trigger capacitor 16_2 suddenly reaches the potential on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Is reduced. Then, from the other end of the trigger capacitor 16_2, a negative voltage lower by the voltage of the trigger capacitor 16_2 than the voltage on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is output. This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cathode 16_1b, and the power stor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discharged through the paths of the solid state switch 17, the diode 16_5, and the primary winding 16_3a, which is then released. By this, a current flows through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a trigger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secondary winding 16_3b to the side electrode 16_1c, so that the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13 is positive (16_1a) and negative (16_lb). ), It is emitted through the discharge loop L5 via the primary winding 16_3a, the diode 16_4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and flash light is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n this manner, at the timing of supplying the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when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n, the positive electrode 16_la between the anode 16_la and the cathode 16_lb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 Is given a positive voltage and a negative voltage to the cathode 16_lb, as described above, so that a voltage having a polarity that promotes the flow of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13 i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Correspondingly,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ends to emit light.

이어서,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신호가 'L' 레벨로 변화하여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로 되어 발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정확하게 광량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Then,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reached, the control signal changes to the 'L' level so that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ff to stop light emission. In this way, light quantity control can also be performed correctly.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에서는, 방전 루프(L6) 내에 메인 콘덴서(13)의 (+) 측으로부터 차례로 발광관(16_1),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13)의 (+) 측과 (-) 측 사이에는, (+) 측으로부터 차례로 저항소자(14)와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저항소자(14)와 트리거용 콘덴서(16_2)와의 접속점과, 발광관(16_1)과 1차측 권선(16_3a)과의 접속점 사이는 직결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 코일(16_3)과 무접점 스위치(17)와의 접속점과 메인 콘덴서(13)의 (+) 측 사이에는, 무접점 스위치(17) 측이 양극, 메인 콘덴서(13) 측이 음극인 바이패스용 다이오드(16_7)가 접속되어 있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shown in FIG. 7, in the discharge loop L6,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and the contactless switch are sequentially turned from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17 are arranged in series. In addition, between the (+) side and the (-)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the resistance element 14 and the trigger capacitor 16_2 are connected in series from the (+) side.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se resistance elements 14 and the trigger capacitor 16_2 a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and the primary winding 16_3a are directly connected. In addition, between the contact point of the trigger coil 16_3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and the (+)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the contactless switch 17 side is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main capacitor 13 side is the negative electrode. The pass diode 16_7 is connected.

이 섬광 발생회로(60)에서는,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8)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무접점 스위치(17)는 오프 상태에 있다. 또한, 메인 콘덴서(13) 및 트리거용 콘덴서(16_2)의 양쪽에는 전력이 축적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60, a control signal of the 'L'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8 at the first tim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in an off state. Further, power is stored in both the main capacitor 13 and the trigger capacitor 16_2.

여기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8)에 'H'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이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를 경유하여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의 (+) 측, 양극(16_1a), 음극(16_lb),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 메인 콘덴서(13)의 (-) 측을 경유하는 방전 루프(L6)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플래시 광이 발생한다. 이어서,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의 노광 조절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발광 광량이 적분되고,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신호가 'L' 레벨로 변화하고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하여 발광이 정지된다.Here, the control signal of the 'H'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8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mera shutter. Then,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n, and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discharged via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As a result, a current flows through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a trigger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secondary winding 16_3b to the side electrode 16_1c, so that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the anode 16_1a, and the cathode are supplied. (16_lb), the primary winding 16_3a, the solid state switch 17, and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main capacitor 13 through the discharge loop L6 via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Is emitted, and flash light is generated from the light tube 16_1. Subsequently, the amount of emitted light is integrated by the exposure control circuit (not shown) of the automatic dimming flash generator, and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reached, the control signal changes to the 'L' level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ff. Light emission stops.

여기서,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하면, 그 직전까지 1차측 권선(16_3a)에 흐르고 있던 전류가 급격하게 차단되어, 그 1차측 권선(16_3a)에 큰 역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역기전력이 무접점 스위치(17)에 그대로 인가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파괴될 우려가 있으나, 이 도 7에 나타낸 제 6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의 경우, 바이패스용 다이오드(16_7)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거 코일(16_3)에 발생한 역기전력에 기인하는 전류는 그 바이패스용 다이오드(16_7)를 통과하여 흐르고, 무접점 스위치(17)에 그 역기전력에 의한 큰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방지되어, 그 무접점 스위치(17) 파괴의 발생이 방지된다.Here, when the solid-state switch 17 is turned off, the current flowing in the primary side winding 16_3a is cut off suddenly, and a larg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primary side winding 16_3a. If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applied to the solid state switch 17 as it is, the solid state switch 17 may be destroyed. However, 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of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 Since the current caused by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trigger coil 16_3 flows through the bypass diode 16_7, a large voltage due to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s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contactless switch 17. The occurrence of breakage of the contactless switch 17 is prevented.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30)와 도 7에 나타낸 제 6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60)를 비교하면, 두 가지의 차이점이 존재한다.Here, the comparison betwee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30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4 and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60 of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 7 has two differences.

그 중의 하나는, 도 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30)에는, 도 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60)에 구비되어 있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16_7)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One of them is that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30 shown in FIG. 4 is not provided with the bypass diode 16_7 provided 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60 shown in FIG.

이것은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무접점 스위치(17)의 내압, 그 무접점 스위치(17)에서의 온으로부터 오프로 천이할 때의 천이 속도 등에 따라, 바이패스용 다이오드(16_7)를 구비할 필요가 있고, 또는 그러한 바이패스용 다이오드가 없더라도 무접점 스위치(17)가 파괴되지는 않는다는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발광관(16_1)에 비교적 큰 전류가 흐르는 설계로 되어 있을 경우, 또는 무접점 스위치(17)의 내압이 비교적 낮을 경우, 또는 그 무접점 스위치(17)에서의 온에서 오프로의 천이 속도가 비교적 빠를 경우에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가 필요로 되고, 그와는 반대일 경우에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The bypass diode 16_7 depends on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solid state switch 17, and the transition rate when transitioning from on to off in the solid state switch 17 and the like. This is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contactless switch 17 is not destroyed even if there is no diode for bypass. When the design is such that a relatively large current flows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or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ctless switch 17 is relatively low, or the transition speed from on-off at the contactless switch 17 is relatively low. In the early case, a bypass diode is required, and in the opposite case, a bypass diode is not necessarily required.

또한, 도 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30)와 도 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60) 사이의 다른 하나의 차이점은, 도 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30)에는 저항소자(14)와 트리거용 콘덴서(16_2)와의 접속점과, 발광관(16_1)과 1차측 권선(16_3a)과의 접속점 사이에 다이오드(16_4)가 구비되어 있고, 도 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60)에서는 그들 사이가 직결되어 있는 점이다.Another difference betwee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30 shown in FIG. 4 and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60 shown in FIG. 7 is that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30 shown in FIG. The diode 16_4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condenser 16_2 a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and the primary winding 16_3a. 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60 shown in FIG. It is a point.

상술한 바와 같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되어 있던 전력이 방출됨으로써 발광이 개시되고, 따라서, 발광 개시 후,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천이하는 타이밍에서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비어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n, and light emission is started by releasing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Therefore, after the light emission starts,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n. At the timing of transitioning off,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left empty.

여기서,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천이하면, 도 4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30)의 경우는 그 천이의 타이밍으로 발광이 정지되지만, 도 7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60)의 경우는, 엄밀하게는 그 천이의 타이밍에서는 발광이 정지되지 않고, 그 후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충전되고 나서 발광이 정지되어, 그만큼 지나치게 노광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발광 정지의 근소한 지연이 노광에 크게 기여하는, 예를 들어, 대규모 촬영에 사용되는 섬광 발생회로의 경우는 다이오드(16_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그다지 근거리에서 촬영되지 않는 카메라에 탑재되는 경우는 그 다이오드(16_4)를 없애, 그만큼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Here, when the solid state switch 17 transitions from on to off, in the case of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30 shown in FIG. 4, light emission is stopped at the timing of the transition, but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60 of FIG. In this case, strictly, the light emission does not stop at the timing of the transition. After that, the light emission is stopped after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charged, and there is a risk of excessive exposure. Therefore, in the case of a flash generating circuit used for large-scale imaging, for example, where the slight delay of the emission stop greatly contributes to the exposu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iode 16_4, and on the other hand, to a camera which is not photographed at a short distance. When mounted, the diode 16_4 can be remov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by that.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 8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70)에서는, 방전 루프(L7) 내에 메인 콘덴서(13)의 (+) 측으로부터 차례로 발광관(16_1), 다이오드(16_4),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70 shown in FIG. 8, the primary si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diode 16_4, and the trigger coil 16_3 in order from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in the discharge loop L7. The winding 16_3a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are arranged in series.

또한, 메인 콘덴서(13)의 (+) 측과, 트리거 코일(16_3)과 무접점 스위치(17)와의 접속점 사이에는 저항소자(14)가 접속되고, 발광관(16_1)과 다이오드(16_4)와의 접속점과, 트리거 코일(16_3)과 무접점 스위치(17)와의 접속점 사이에는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가 접속되고, 발광관(16_1)과 다이오드(16_4)와의 접속점과, 메인 콘덴서(13)의 (-) 측 사이에는 저항소자(19)가 접속되며, 다이오드(16_4)와 1차측 권선(16_3a)과의 접속점과, 메인 콘덴서(13)의 (-) 측 사이에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sistance element 14 is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rigger coil 16_3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and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and the diode 16_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voltage adding capacitor 16_8 is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a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trigger coil 16_3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a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and the diode 16_4 and the main capacitor 13 The resistance element 19 is connected between the (-) side, and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diode 16_4 and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Connected.

이 섬광 발생회로(70)에서는,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8)에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무접점 스위치(17)는 오프 상태에 있다. 그 상태에서, 메인 콘덴서(13)에는 전력이 축적되고,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에도 저항소자(14),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 저항소자(19)를 경유하는 경로에서 전력이 축적되며,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도 저항소자(14), 1차측 권선(16_3a), 트리거용 콘덴서(16_2)를 경유하는 경로에서 전력이 축적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70, a control signal of the 'L'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8 at the first tim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in an off state. In this state, electric power is stored in the main capacitor 13, and electric power is accumulated in the path via the resistance element 14, the voltage adding capacitor 16_8, and the resistance element 19 in the voltage adding capacitor 16_8. The power is also stor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in the path via the resistance element 14,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trigger capacitor 16_2.

여기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8)에 'H'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하면,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어,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의 한쪽 끝((+)에 축적된, 무접점 스위치(17) 측)의 전위가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전위까지 급격하게 감소된다. 그리하면,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의 다른 쪽 끝(발광관(16_1) 측)은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전압보다도 그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의 양단 전압분만큼 낮은 마이너스 전압으로 되고, 이 마이너스 전압이 발광관(16_1)의 음극(16_1b)에 부여된다. 따라서, 이 순간은, 발광관(16_1)의 양극(16_la)과 음극(16_lb) 사이에는, 메인 콘덴서(13)와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의 충전 전압과의 합, 즉, 메인 콘덴서의 충전 전압의 대략 2배의 전압이 인가된다.Here, the control signal of the 'H' leve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8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mera shutter. Then, the contactless switch 17 is turned on, and the potential of the one end (the contactless switch 17 side accumulated at (+)) of the voltage adding capacitor 16_8 is changed to ( -) It sharply decreases to the potential on the side. Then, the other end (light emitting tube 16_1 side) of the voltage adding capacitor 16_8 is lower than the voltage on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by the voltage at both ends of the voltage adding capacitor 16_8. It becomes a negative voltage, and this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cathode 16_1b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refore, at this momen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16_la and the negative electrode 16_lb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sum of the charging voltages of the main capacitor 13 and the voltage adding capacitor 16_8, that is, the charging of the main capacitor Approximately twice the voltage is applied.

또한, 무접점 스위치(17)가 온으로 되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된 전력이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의 경로를 통과하여 방출되고, 이것에 의해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권선(16_3b)으로부터 측면 전극(16_1c)에 트리거 전압이 공급되어,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양극(16_la), 음극(16_lb), 다이오드(16_4), 1차측 권선(16_3a), 무접점 스위치(17)를 경유하는 방전 루프(L7)를 통과하여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플래시 광이 발생한다.When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n,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discharged through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thereby discharging the primary side. A current flows in the winding 16_3a and a trigger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secondary winding 16_3b to the side electrode 16_1c, so that the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13 is positive (16_la), negative (16_lb), and diode (16_4). ), It is emitted through the discharge loop L7 via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solid state switch 17, and flash light is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이와 같이, 도 8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70)의 경우, 발광관(16_1)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전압 부가용 콘덴서(16_8)의 작용에 의해, 발광관(16_1)의 양극(16_1a)과 음극(16_1b) 사이에 메인 콘덴서(13)의 충전 전압의 약 2배의 전압이 인가되고, 발광관(16_1)에 부여되는 트리거 전압과 상응하여, 한층 더 확실하게 발광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70 shown in FIG. 8, at the timing of supplying the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operated by the action of the voltage adding capacitor 16_8. A voltage twice that of the charging voltage of the main capacitor 13 is applied between the 16_1a and the cathode 16_1b, and more reliably emits light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voltage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이어서,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 신호가 'L' 레벨로 변화하여 무접점 스위치(17)가 오프로 되어 발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정확하게 광량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Then,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reached, the control signal changes to the 'L' level so that the solid state switch 17 is turned off to stop light emission. In this way, light quantity control can also be performed correctly.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 9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80)에서는,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메인 콘덴서(13)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직렬로 배치된 1차측 권선(16_3a)과 메인 콘덴서(13)에 대하여 병렬로 발광관(16_1)이 배치되어 있다. 발광관(16_1)의 양단에는 저항소자(14)와 트리거 스위치(81)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저항소자(14)와 트리거 스위치(8l)와의 접속점과, 메인 콘덴서(13)와 1차측 권선(16_3a)의 접속점 사이에는 트리거용 콘덴서(16_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 코일(16_3)의 2차측 권선(16_3b)은 발광관(16_1)의 측면 전극(16_3c)에 접속되어 있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80 shown in FIG. 9,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is disposed in series with the main capacitor 13.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main capacitor 13 arranged in series. Resistive elements 14 and trigger switches 81 are arranged in series at both ends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resistance element 14 and the trigger switch 8l a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main capacitor 13 and the primary winding 16_3a. The secondary winding 16_3b of the trigger coil 16_3 is connected to the side electrode 16_3c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이와 같이 구성된 섬광 발생회로(80)에서는, 먼저, 트리거 스위치(81)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력이 승압회로(11)에 의해 승압되고, 다이오드(12), 메인 콘덴서(13),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의 경로에서 메인 콘덴서(13)에 전력이 축적된다. 또한, 다이오드(12), 저항소자(14), 트리거용 콘덴서(16_2),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의 경로에서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도 전력이 축적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8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power from the built-in battery 1 is boosted by the boosting circuit 11 in the state where the trigger switch 81 is opened, and the diode 12 and the main capacitor ( 13) Power is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13 in the path of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Further, power is also stor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in the path of the diode 12, the resistance element 14, the trigger capacitor 16_2, and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다음으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트리거 스위치(81)가 폐쇄된다. 그리하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16_3b)에 기전력이 발생하며, 이 기전력이 발광관(16_1)의 측면 전극(16_1c)에 공급되어, 발광관(16_1)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되고, 메인 콘덴서(13)의 (+) 측, 양극(16_1a), 음극(16_1b), 1차측 권선(16_3a),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방전 루프(L8)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Next, in the shooting, the trigger switch 81 is clos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mera shutter. Then, the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released, current flows through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secondary winding 16_3b, which is the sid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xenon gas supplied to the 16_1c and enclosed in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excited, and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the positive electrode 16_1a, the negative electrode 16_1b, the primary winding 16_3a, The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13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loop L8 on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and flash is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여기서,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메인 콘덴서(13)와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1차측 권선(16_3a)이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하는 초크 코일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어,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다.Here, since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is disposed in series with the main capacitor 13, the primary winding 16_3a suppresses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t plays the role of a choke coil, and a gentle light emission curve can be obtain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90)에는, 상술한 섬광 발생회로(80)가 실장된 회로기판(91)이 구비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91)은 접속단자(91_1, 91_2)를 갖는다.The flash generating circuit 90 shown in FIG. 10 is provided with a circuit board 91 on which the above-described flash generating circuit 80 is mounted. The circuit board 91 has connection terminals 91_1 and 91_2.

또한, 섬광 발생회로(90)에는 접속단자(92_1, 92_2)를 갖는 회로기판(92)이 구비되어 있다. 회로기판(92)에는 사이리스터(93)와, 사이리스터(93)의 게이트에 접속된 저항소자(94)로 이루어진 바이패스 회로(90_1)가 실장되어 있다. 이 바이패스 회로(90_1)는 메인 콘덴서(13)로부터 공급되고 발광관(16_1)을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를 그 발광관(16_1)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중에 바이패스함으로써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90 is provided with a circuit board 92 having connection terminals 92_1 and 92_2. The circuit board 92 is mounted with a bypass circuit 90_1 composed of a thyristor 93 and a resistance element 94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thyristor 93. The bypass circuit 90_1 supplie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by bypassing a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capacitor 13 and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while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t is to play the role of stopping.

또한, 회로기판(92)에는 발광관(16_1)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그 발광관(16_1)으로부터 소정 광량의 광이 발광된 타이밍을 검출하여 바이패스 회로(90_1)에 전류의 바이패스를 지시하는 조광회로(95)가 실장되어 있다. 이 조광회로(95)는 수광 센서(95_1), 콘덴서(95_2), 스위치 소자(95_3), 증폭기(95_4), 가변저항기(95_5), 비교기(95_6), 트리거 펄스 발생기(95_7)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92 detects a timing at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and instructs the bypass circuit 90_1 to bypass the current. The dimming circuit 95 is mounted. The light modulation circuit 95 is composed of a light receiving sensor 95_1, a capacitor 95_2, a switch element 95_3, an amplifier 95_4, a variable resistor 95_5, a comparator 95_6, and a trigger pulse generator 95_7. .

수광 센서(95_1)는 발광관(16_1)으로부터의 섬광을 수광한다. 콘덴서(95_2)는 수광 센서(95_1)에 의해 수광된 광량에 대응하는 전하를 축적한다. 스위치 소자(95_3)는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하기 이전은 온 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콘덴서(95_2)의 잔존 전하를 방전하고, 섬광이 발생되는 시점에서는 오프 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콘덴서(95_2)에 전하를 축적시킨다. 증폭기(95_4)는 콘덴서(95_2)의 전하에 따른 전압까지 증폭한다. 가변저항기(95_5)는 필름 감도, 조리개, 원하는 명암 등에 따른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기(95_6)는 증폭기(95_4)로부터의 전압과 가변저항기(95_5)에 의해 설정된 임계값을 입력하고, 증폭기(95_4)로부터의 전압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트리거 펄스 발생기(95_7)는 비교기(95_6)로부터의 'H' 레벨의 신호를 받아 트리거 펄스를 출력한다.The light receiving sensor 95_1 receives the flash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capacitor 95_2 accumulates electric charge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95_1. The switch element 95_3 is controlled to be in an on state before the flash is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o discharge the remaining charge of the capacitor 95_2, and is controlled to be in the off state when the flash is generated. Accumulate charge. The amplifier 95_4 amplifies up to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harge of the capacitor 95_2. The variable resistor 95_5 is for setting 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film sensitivity, aperture, desired contrast, and the like. The comparator 95_6 inputs the voltage from the amplifier 95_4 and the threshold set by the variable resistor 95_5 and outputs a signal of the 'H' level when the voltage from the amplifier 95_4 exceeds the threshold. Output The trigger pulse generator 95_7 receives the signal of the 'H' level from the comparator 95_6 and outputs a trigger pulse.

다음으로, 이 섬광 발생회로(9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트리거 스위치(81)가 폐쇄되어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할 때까지의 동작은, 상술한 섬광 발생회로(80)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할 경우, 수광 센서(95_1)에 의해 그 섬광이 수광되어, 콘덴서(95_2)에는 수광된 광량에 대응하는 전하가 축적된다. 증폭기(95_4)는 이 전하에 따른 전압까지 증폭한다. 증폭된 전압은 전압비교기(95_6)의 플러스(+) 단자에 입력된다. 비교기(95_6)의 마이너스(-) 단자에는 상기 임계값이 입력되어 있다. 비교기(95_6)는 이들 전압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증폭기(95_4)로부터의 전압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H' 레벨의 신호를 트리거 펄스 발생기(95_7)로 향하여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트리거 펄스 발생기(95_7)로부터 트리거 펄스가 출력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90 will be described. Since the operation until the trigger switch 81 is closed and flash is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80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When flash is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flash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95_1, and the capacitor 95_2 accumulates electric charge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e amplifier 95_4 amplifies up to the voltage according to this charge. The amplified voltage is input to the plus terminal of the voltage comparator 95_6. The threshold is input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comparator 95_6. The comparator 95_6 compares these voltages with thresholds, and outputs a signal of the 'H' level to the trigger pulse generator 95_7 when the voltage from the amplifier 95_4 exceeds the threshold. As a result, the trigger pulse is output from the trigger pulse generator 95_7.

트리거 펄스 발생기(95_7)로부터 출력된 트리거 펄스는 사이리스터(93)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그리하면, 사이리스터(93)가 온 상태로 되어,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은 메인 콘덴서(13)의 (+) 측으로부터 차례로 접속단자(91_1), 접속단자(92_1), 사이리스터(93), 접속단자(92_2), 접속단자(91_2),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경로에서 바이패스된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인 콘덴서(13)로부터 공급되어 발광관(16_1)을 경유하여 흐르고 있는 전류가 바이패스 회로(90_1)에 흐르기 때문에, 발광관(16_1)에 흐르고 있는 전류가 정지되어 발광이 정지된다. 여기서,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초크 코일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사이리스터(93)에 비교적 큰 피크 값을 갖는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The trigger pulse output from the trigger pulse generator 95_7 is input to the gate of the thyristor 93. Then, the thyristor 93 is turned on, and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main capacitor 13 is sequentially connected from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by the connection terminal 91_1, the connection terminal 92_1, and the thyristor 93. ), The connection terminal 92_2, the connection terminal 91_2,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and the path on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are bypassed. In this way, since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capacitor 13 and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flows to the bypass circuit 90_1,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stopped and light emission is stopped. . Here, since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plays the role of a choke coil, the current having a relatively large peak value is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thyristor 93.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90)에서는,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메인 콘덴서(13)와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을 발생시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16_3a)에 의해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이 억제되어 한층 더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광량 제어에 있어서, 사이리스터(93)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리스터(93)는 비교적 작은 전류로 견딜 수 있을 만큼 치수가 작고, 비용적으로도 저렴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광회로(95)를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플래시 광의 발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를 실현시킬 수 있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90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is disposed in series with the main capacitor 13, in generating the flash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suppressed by the primary winding 16_3a to obtain a more gentle emission curve, and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yristor 93 in light amount control. Since the thyristor 93 can also be suppressed, it can employ | adopt that the size is small enough to withstand a comparatively small electric current, and it is inexpensive also in cost. In addition, since the dimming circuit 95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automatic dimming glare generating device which controls to stop light emission of the flash light whe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reached.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90)에서는, 바이패스 회로(90_1) 및 조강회로(95)가 실장된 회로기판(92)이 발광관(16_1) 등이 실장된 회로기판(91)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플래시 광의 발광을 도중에 정지시키지 않는 통상의 플래시 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 카메라와, 소정 광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플래시 광의 발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자동 조광 섬광 발생장치(오토 플래시 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 카메라와의 양쪽의 카메라 제조에 있어서, 회로기판(91)과 회로기판(92)을 구별하여 제조할 수 있어, 부품의 공통화가 도모되어 제조 공정의 간소화나 제품 관리의 수고가 삭감된다. 또한, 통상의 플래시 장치가 설치된 카메라의 하우징에 회로기판이 설치된 어댑터를 장착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오토-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를 간단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9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ircuit board 92 on which the bypass circuit 90_1 and the roughening circuit 95 are mounted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91 on whic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or the like is mounted. It is a structure connected detachably. Therefore, a camera is provided which is provided with a normal flash device which does not stop light emission of the flash light in the middle, and an automatic dimming flash generator (auto flash device) which controls to stop light emission of the flash light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reached is provided. In the manufacture of both cameras with the constructed cameras, the circuit board 91 and the circuit board 92 can be distinguished and manufactured, so that the parts can be shar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labor of product management are reduced. Further, by adop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dapter provided with a circuit board is mounted in a housing of a camera provided with a normal flash device, a camera equipped with an auto-flash device can be easily realized.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90)에서는, 조광회로(9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사이리스터(93)를 제어하는 예에 의해 설명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넘버에 따른 신호에 의해 사이리스터(93)를 제어할 수도 있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yristor 93 is controlled by the signal from the dimming circuit 9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yristor 93 can also be controll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00)에는, 메인 콘덴서(13)의 (+) 측과 발광관(16_1)의 양극(16_la) 사이에 직렬로 배치된 저항소자(102)가 실장된 회로기판(10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그 저항소자(102)와 발광관(16_1)의 양극(16_la)과의 접속점과 발광관(16_1)의 음극(16_1b) 사이에, 접속단자(101_1, 92_1) 및 접속단자(101_2, 92_2)를 경유하여 사이리스터(9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저항소자(102) 및 사이리스터(93)가 본 발명의 바이패스 회로에 상당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00 shown in FIG. 11, a circuit board on which a resistor element 102 arranged in series between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and the anode 16_la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mounted ( 101). In addition, the connection terminals 101_1 and 92_1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101_2 and 92_2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resistance element 102 and the anode 16_la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and the cathode 16_1b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thyristor 93 is disposed via). These resistance elements 102 and thyristor 93 correspond to the bypass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100)는, 이와 같이 배치된 저항소자(102) 및 사이리스터(93)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을 발생시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16_3a)과 저항소자(102)와의 양쪽에 의해 발광관(16_1)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이 억제되어 한층 더 완만한 발광 커브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발광관(16_1)으로부터의 섬광을 도중에 정지시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16_3a)과 저항소자(102)와의 양쪽에 의해 사이리스터(93)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resistor elements 102 and the thyristor 93 arranged in this way, in generating the flash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he primary winding 16_3a is used. And the resistance element 102 both suppress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to obtain a more gentle light emission curve, and stop the flash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on the way.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yristor 93 can be suppressed by both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resistance element 102.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10)는, 발광관(16_1)의 양극(16_la)과 음극(16_lb) 사이에 접속단자(91_1, 92_1) 및 접속단자(91_2, 92_2)를 경유하여, 서로 직렬로 배치된 저항소자(111)와 바이패스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사이리스터(93)를 갖는다. 이들 저항소자(111) 및 사이리스터(93)가 본 발명의 바이패스 회로에 상당한다.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10 shown in FIG. 12 i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via the connecting terminals 91_1 and 92_1 and the connecting terminals 91_2 and 92_2 between the anode 16_la and the cathode 16_lb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And a thyristor 93 for controlling the on and off of the bypass. These resistance elements 111 and thyristor 93 correspond to the bypass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110)에서는, 이와 같이 서로 직렬로 배치된 저항소자(111) 및 사이리스터(93)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발광관(16_1)으로부터의 섬광을 도중에 정지시킴에 있어서, 1차측 권선(16_3a)과 저항소자(111)와의 양쪽에 의해 사이리스터(93)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resistors 111 and the thyristor 93 are arrang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this manner, the flash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stopped in the middle. The peak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hyristor 93 can be suppressed by both the difference winding 16_3a and the resistance element 111.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의 섬광 발생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 flash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120)는, IGBT 소자(124)에 일련의 펄스 신호를 입력하여 펄스 구동시켜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 섬광 발생회로(120)는 상술한 도 9에 나타낸 섬광 발생회로(80)와 비교하여, 트리거 스위치(81)가 사이리스터(121)로 치환되어 있다. 사이리스터(121)의 게이트에는 저항소자(122) 및 제어단자(12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방전 루프(L9) 내에 콜렉터가 발광관(16_1)의 음극(16_lb)과 접속되는 동시에, 이미터(emitter)가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을 통하여 메인 콘덴서(13)의 (-) 측에 접속된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소자(124)가 배치되어 있다. IGBT 소자(124)의 게이트에는 제어단자(125)가 접속되어 있다.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20 shown in FIG. 13 inputs a series of pulse signals to the IGBT element 124 and pulses them to generate flashes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20, the trigger switch 81 is replaced with the thyristor 121 in comparison with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80 shown in FIG. The resistance element 122 and the control terminal 123 are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thyristor 121. In addition, the collector is connected to the cathode 16_lb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n the discharge loop L9, and the emitter is connected to the main capacitor 13 through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An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element 124 connected to the negative side of is disposed. The control terminal 125 is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IGBT element 124.

이와 같이 구성된 섬광 발생회로(120)에서는 카메라에 전원이 투입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어단자(123)에는 'L'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사이리스터(121)는 오프 상태에 있다. 또한, 내장전지(1)로부터의 전력이 승압회로(11)에 의해 승압되고, 다이오드(12), 메인 콘덴서(13),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의 경로에서 메인 콘덴서(13)에 전력이 축적된다. 또한, 다이오드(12), 저항소자(14), 트리거용 콘덴서(16_2),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의 경로에서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도 전력이 축적된다.In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terminal 123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L' level at the first tim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camera, and the thyristor 121 is in an off state. In addition, the power from the built-in battery 1 is boosted by the booster circuit 11, and the main capacitor (in the path of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diode 12, the main capacitor 13, and the trigger coil 16_3) Power is accumulated in 13). Further, power is also stor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in the path of the diode 12, the resistance element 14, the trigger capacitor 16_2, and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다음으로, 촬영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제어단자(123)에 트리거 펄스가 인가된다. 또한, 제어단자(125)에는 일련의 펄스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단자(123)에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기 때문에, 사이리스터(121)가 온 상태로 되어 트리거용 콘덴서(16_2)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1차측 권선(16_3a)에 전류가 흘러 2차측 권선(16_3b)에 기전력이 발생하며, 이 기전력이 발광관(16_1)의 측면 전극(16_1c)에 공급되어, 발광관(16_1)에 봉입되어 있는 크세논 가스가 여기된다. 한편, 제어단자(125)에도 일련의 펄스 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IGBT 소자(124)는 그 일련의 펄스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개시한다. 그리하면, 메인 콘덴서(13)의 (+) 측, 양극(16_la), 음극(16_lb), IGBT 소자(124), 1차측 권선(16_3a), 메인 콘덴서(13)의 (-) 측의 방전 루프(L9)를 통과하여, 메인 콘덴서(13)에 축적된 전력이 방출되고, 발광관(16_1)으로부터 섬광이 발생한다. 여기서, 트리거 코일(16_3)의 1차측 권선(16_3a)이 메인 콘덴서(13)와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IGBT 소자(124)에 흐르는 펄스 전류의 피크 값을 1차측 권선(16_3a)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초크 코일을 구비할 필요도 없고, 허용 전류가 비교적 작은 IGBT 소자(124)를 채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저감화가 도모된다.Next, a trigger pulse is applied to the control terminal 123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amera shutter. In addition, a series of pulse signals are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25. Since the trigger pulse is applied to the control terminal 123, the thyristor 121 is turned on, and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trigger capacitor 16_2 is discharged,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primary winding 16_3a so that the secondary winding ( An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at 16_3b), and the electromotive force is supplied to the side electrode 16_1c of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and the xenon gas enclosed in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is excited. On the other hand, since a series of pulse signals are also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125, the IGBT element 124 starts a switching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ries of pulse signals. Then, the discharge loop on the posi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the positive electrode 16_la, the negative electrode 16_lb, the IGBT element 124, the primary winding 16_3a, and the negative side of the main capacitor 13 Through L9, electric power accumulated in the main capacitor 13 is released, and flash is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16_1. Here, since the primary winding 16_3a of the trigger coil 16_3 is disposed in series with the main capacitor 13, the peak value of the puls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GBT element 124 is suppressed by the primary winding 16_3a. can do.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choke coil, and the IGBT element 124 with a comparatively small allowable current can be employ | adopted, and cost reduction is aimed a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용의 저감화 및 기판회로 면적의 삭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is invention, cost reduction and board | substrate circuit area can be reduced.

Claims (15)

승압회로,Booster Circuit, 상기 승압회로에 의해 승압된 전력을 축적하는 메인 콘덴서,A main capacitor for accumulating electric power boosted by the boost circuit;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관, 및A light emitting tube emitting light by electric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and 트리거용 콘덴서와, 1차측 권선이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에 접속되고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에 흐르는 전력을 2차측 권선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트리거 코일을 갖는 트리거 회로를 구비하고,A trigger circuit having a trigger capacitor, and a trigger coil having a primary winding connected to the trigger capacitor and transferring power flowing through the trigger capacitor to a secondary winding to supply a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발광관과 함께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이 흐르는 방전 루프 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nd a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is disposed in a discharge loop through which electric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flows together with the light emitting tub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발광관의 양극 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nd a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is arranged on an anode si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발광관의 음극 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nd a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is arranged on a cathode si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전 루프 내에 무접점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nd a solid state switch in the discharge loop.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무접점 스위치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천이했을 때에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에 의한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용 다이오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nd a bypass diode for bypassing current caused by reverse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when the solid state switch transitions from an on state to an off st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가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t the timing that the trigger capacitor supplies a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a flash voltage is generat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to provide a voltage having a polarity that promotes the flow of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Circu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흐름을 조장하는 극성의 전압을 부여하는 전압 부가용 콘덴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t a timing of supplying a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wherein a voltage adding capacitor is provid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to supply a voltage having a polarity that promotes the flow of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Flash generating circui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전압 부가용 콘덴서는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메인 콘덴서와 공동하여, 상기 메인 콘덴서와 상기 전압 부가용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었을 때의 전압을 상기 발광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The voltage adding capacitor is a timing for supplying a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and in cooperation with the main capacitor, the voltage when the main capacitor and the voltage adding capacitor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tube. The flash generating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arted to.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리거용 콘덴서는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타이밍 이전은 방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방출되는 전력의 통과에 의해 상기 트리거 코일을 경유하여 상기 발광관에 트리거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The trigger capacitor is maintained in a discharged state before timing of supplying a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and supplies a trigger voltage to the light emitting tube via the trigger coil by passage of power e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Flash generating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리거 코일의 1차측 권선이 상기 메인 콘덴서와 직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nd a primary winding of the trigger coil is arranged in series with the main capaci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 콘덴서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발광관을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를 상기 발광관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중에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발광관에 흐르는 전류를 정지시키는 바이패스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nd a bypass circuit which stops the current flowing in the light emitting tube by bypassing a current supplied from the main capacitor and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while the current flows in the light emitting tub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상기 발광관과 직렬로 배치된 저항 및 상기 저항과 상기 발광관의 한쪽 단자 사이의 접속 노드와 상기 발광관의 다른 쪽 단자 사이에 상기 발광관과 병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The bypass circuit includes a resistor disposed in series with the light emitting tube and a switch element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ight emitting tube between a connection node between the resistor and one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tube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light emitting tube. A flash generating circuit comprising: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바이패스 회로가 서로 직렬로 배치된 저항과 바이패스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nd the bypass circuit has a resistor arrang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 switch element for controlling the on and off of the bypas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발광관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발광관으로부터 소정 광량의 광이 발광된 타이밍을 검출하여 상기 바이패스 회로에 전류의 바이패스를 지시하는 조광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nd a dimming circuit for detecting a timing at which light of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tube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tube, and instructing the bypass circuit to bypass current.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바이패스 회로가 착탈가능하게 상기 발광관과 병렬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광 발생회로.And the bypass circui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tube in parallel.
KR10-2000-0067761A 1999-11-16 2000-11-15 Flashlight generating circuit KR1005141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511699 1999-11-16
JP99-325116 1999-11-16
JP2000255769 2000-08-25
JP2000-255769 2000-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705A true KR20010051705A (en) 2001-06-25
KR100514130B1 KR100514130B1 (en) 2005-09-09

Family

ID=2657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761A KR100514130B1 (en) 1999-11-16 2000-11-15 Flashlight generating circui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14130B1 (en)
CN (1) CN1259808C (en)
TW (1) TW49426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0317B (en) * 2015-03-02 2020-07-03 保富图公司 Flash generator and flash head and extension cable with identification electronic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125A (en) * 1984-08-18 1986-03-12 West Electric Co Ltd Electronic flash device
JPH03230136A (en) * 1990-02-05 1991-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onic flash device
JPH04344622A (en) * 1991-05-22 1992-12-01 Olympus Optical Co Ltd Strobe light emission controller
JP2784643B2 (en) * 1996-02-20 1998-08-06 機 松尾 Constant voltage automatic charging strobe circuit
JPH10153814A (en) * 1996-09-30 1998-06-09 Fuji Photo Film Co Ltd Stroboscopic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94267B (en) 2002-07-11
CN1340989A (en) 2002-03-20
KR100514130B1 (en) 2005-09-09
CN1259808C (en)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7944A (en) Flash device having plural emission modes in one of which a flash inductor is selectively short-circuited
US5780976A (en) Constant-voltage automatic charging strobe circuit
KR100514130B1 (en) Flashlight generating circuit
JP2002328416A (en) Electronic flash equipment
US6291974B1 (en) Electronic strobe
JP2002139776A (en) Flash light generation circuit
JP4008702B2 (en) Flash generation circuit
JP4564691B2 (en) Capacitor charging device and strobe device
JP4250351B2 (en) Strobe device
US4375912A (en) Electric circuits for use in camera
JP3720503B2 (en) Strobe device
JPS59180530A (en) Two-lamp automatic dimming flash device
JP3950187B2 (en) Automatic dimming strobe device
JPS595853Y2 (en) Automatic dimming electronic flash device
US4370042A (en) Ready-to-flash condition indicating device for a camera
JP2005339987A (en) Light emitting device for photography and camera having the same
JP2001350189A (en) Camera
JP2001350186A (en) Stroboscope device and camera having the device
JP3458259B2 (en) DC-DC converter
JP3196039B2 (en) DC-DC converter
JPH0680599B2 (en) Electronic flash device
KR920008985Y1 (en) Strobo flash circu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photo
JPH0610713B2 (en) Strobe device
JPS60220323A (en) Stroboscope device
JP2003186092A (en) Stroboscop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