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136A - 생리대용 패드 - Google Patents

생리대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136A
KR20010049136A KR1019990055102A KR19990055102A KR20010049136A KR 20010049136 A KR20010049136 A KR 20010049136A KR 1019990055102 A KR1019990055102 A KR 1019990055102A KR 19990055102 A KR19990055102 A KR 19990055102A KR 20010049136 A KR20010049136 A KR 20010049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ad
charcoal
sanitary napkin
mugw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19990055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9136A/ko
Publication of KR2001004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1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2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active charco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3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plant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8Elemental carbon, e.g. charco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입도로 분쇄하고 스팀 가압처리하여 섬유질로 형성한 쑥에 소정량의 숯가루를 혼합한 혼합물을, 초지되는 펄프에 층상으로 합지하여 이루어진 생리대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제조된 패드는 주변물질의 신선도를 높이고 탈취 및 살균력이 높은 숯과, 지혈, 정혈, 창상 회복, 풍한, 항균, 소염, 진통 및 탈취작용을 가진 쑥에 의해, 여성 및 유아의 생리대로서 최적의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혼합물에 황토, 향나무 분말, 바이오 세라믹 분말, 옥돌 분말을 첨가한 구성은 황토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이 인체를 건강하게 하고, 향나무 분말에 의한 방향, 살충 및 살균의 효과가 있으며, 바이오 세라믹 및 옥돌에 의한 건강증진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리대용 패드{pad for hygienic band}
본 발명은 생리대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는 유체 투과성을 가지는 피복재와, 유체 비투과성을 가지는 피복재, 및 분비물을 흡수하는 패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투과성을 가지는 피복재는 패드의 일측면을 감싸서 이것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하여 착용감을 좋게 하고, 유체 비투과성을 가지는 피복재는 패드의 타측면을 감싸고 있음에 따라 패드에 스며든 분비물이 착용자의 의복으로 누설되지 않게 방수시켜 주게 된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생리대는 대부분 적은 부피의 패드로 되도록 많은 양의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지게 하는 방향으로, 또는 유체 비투과성을 가지는 피복재의 두께를 더 얇게 하면서 방수 효능은 더욱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었다.
종래 상기 패드는 분비물을 흡수하는 능력을 높이고자 고 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것은 적을 부피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흡수율이 높아 분비물의 흡수효과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패드는 착용자의 위생에 대한 고려가 충분하지 않아서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생리중인 여성이나 요실금 환자의 경우에 분비물과 장시간 접촉할 수 밖에 없는 피부조직은 세균에 감염되기 쉬운 환경에 놓여 지므로,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위생지용 펄프를 초지기에 걸어 초지하면서 그 상방으로 쑥 섬유지를 층상으로 합지하여 제조한 패드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99-12454호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공개번호 99-12454호로 개시된 쑥의 층을 형성한 생리대용 패드는 종래의 고 흡수성 폴리머재로 된 패드에 비해 위생적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만족할 만하게 여성의 인체 및 피부를 보호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비물이 흡수된 패드를 여성이 장시간 차고 다녀도 전혀 해롭지 않고 위생적이며 신체를 건강하게 하는 생리대용 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패드의 제조 공정도,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생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1리파이너 4 : 제2리파이너
6 :초지기 8 ; 위생지 초지
10 : 쑥과 숯의 혼합물 14 : 권취롤
20 : 생리대 21 : 패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생리대용 패드는, 소정의 입도로 분쇄하고 스팀 가압처리하여 섬유질로 형성한 쑥에 소정량의 숯가루를 혼합한 혼합물을, 초지되는 펄프에 층상으로 합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에는 소정량의 향나무 분말이 추가로 혼합되거나, 황토나 바이오 세라믹 분말, 옥돌 분말이 혼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숯가루는 목탄(참나무 숯등)이나 죽탄(대나무 숯)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리대용 패드를 그 제조방법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리파이너(2)에는, 마른 쑥을 10 내지 150메쉬로 분쇄하고 망목체로 스크린 여과하여 줄기와 엽록소가 제거된 보푸라기상의 쑥 섬유질과 미세하게 분쇄된 숯가루를 스팀 보일러에 넣고 섭씨 300도의 온도를 가진 과포화 스팀으로 30분 내지 1시간 정도로 2 내지 3톤/m3의 압력으로 가압 스팀처리한 것이 투입된다.
상기 숯가루는, 탄가마(숯 굽는 가마)등 밀폐된 로에 일정크기로 자른 대나무 또는 참나무를 쌓아 놓고 불을 지퍼 숯가마의 내부온도를 섭씨 450도 ~ 850도로 상승시켜 소정시간 유지시킨 후, 냉각시킨 후, 탈수한 다음 건조시켜 분쇄하여 미세입자로 만든 후, 분쇄된 숯을 세척하고 정제하여 유해 불순물을 제거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가압 스팀처리는 보푸라기상의 쑥 섬유질을 모세관으로 수분이 주입되게 하여 표면과 내부의 수분함량이 평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쉽게 해리되는 작용을 하는 한편, 쑥 및 숯가루를 살균 소독하게 된다.
상기 제2리파이너(4)에는 통상의 화장지 원료로 되는 펄프를 투입하여 해리시킨다.
상기 제2리파이너(4)에서 해리된 펄프를 초지기(6)로 투입하여 소정두께로 화장지 초지(8)가 행해지게 하고, 이어서 제1리파이너(2)에서 해리된 쑥 섬유질 및 숯은 상기 화장지 초지(8)의 상방으로 공급되어 시트(10)로 초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장지 초지(8)와 시트(10)가 층상으로 합지되면서 초지되게 한 다음 얻어진 합지를 건조공정에서 탈수 건조하고 권취롤(14)에 감아 패드를 만든다.
이와같이 하여 제조된 패드는 단독으로, 혹은 여러 겹이 되게 겹치면 생리대용 패드가 된다. 생리대(20)에 적용된 본 발명의 패드(21)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트(10)는 화장지 초지(8)의 상면 전체에 걸쳐 합지되게 하거나 또는 여러 가닥으로 나뉘어 공급되어 평행한 다수 조로 합지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패드에 함유된 숯은, 탄소와 미네랄이 주성분으로 된 다공체로서, 생물체의 산화(부패)를 막아주어 부패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정화하고, 환원작용에 의해 주변물질의 신선도를 높이며, 물의 분자구조를 바꾸어 물을 정수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하며, 냄새의 원인이 되는 양전자를 흡수하여 탈취하고, 전자파를 흡수/차단하며, 독성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에 함유된 쑥은, 지혈, 정혈, 창상 회복, 풍한, 항균, 소염, 진통 및 탈취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쑥 및 숯이 함유된 본 발명의 패드는, 유아나 여성들의 연약한 피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인체의 전반적 생리기능을 활성화하여, 생리대를 착용함으로 인한 거북함이 사라지고 활동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패드에는 제조시에 쑥과 숯가루의 혼합물에 황토를 첨가 할 수도 있다. 상기 황토는 습할 때 수분을 흡수하고, 건조할 때 수분을 방출하여 습도조절기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여러가지 유익한 성분이 함유되어, 냄새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인체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희석시켜, 체질을 개선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황토는 열과 자연광에 의해 건강을 돕는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패드에는 제조시에 쑥과 숯가루의 혼합물에 향나무 분말을 첨가 할 수도 있다. 상기 향나무 분말은 향나무 또는 향나무 폐목을 분쇄기에 의해 숯가루와 같은 정도의 입자크기로 분쇄기로 분쇄하여 혼합물에 첨가한다. 향나무 분말이 첨가된 구성에서는 향나무의 방향, 살충, 살균효과가 더해 진다.
또한, 상기 패드에는 바이오 세라믹이 첨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바이오 세라믹이 첨가된 지류는 원적외선을 더욱 많이 발생하여 건강을 증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패드에는 옥돌이 첨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옥돌이 지류는 신비의 돌로 알려진 옥돌에 의해 건강을 더욱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바이오 세라믹과 옥돌은 분말로 분쇄하여 쑥과 숯가루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패드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생리대용 패드에 의하면, 주변물질의 신선도를 높이고 탈취 및 살균력이 높은 숯과, 지혈, 정혈, 창상 회복, 풍한, 항균, 소염, 진통 및 탈취작용을 가진 쑥에 의해, 여성 및 유아의 생리대로서 최적의 효과를 발휘하며, 상기 혼합물에 황토, 향나무 분말, 바이오 세라믹 분말, 옥돌 분말을 첨가한 구성은 황토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이 인체를 건강하게 하고, 향나무 분말에 의한 방향, 살충 및 살균의 효과가 있으며, 바이오 세라믹 및 옥돌에 의한 건강증진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당한 입도로 분쇄하고 스팀 가압처리하여 섬유질로 형성한 쑥에 소정량의 숯가루를 혼합한 혼합물을,
    초지되는 펄프에 층상으로 합지하여 이루어진 생리대용 패드
KR1019990055102A 1999-12-06 1999-12-06 생리대용 패드 KR20010049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102A KR20010049136A (ko) 1999-12-06 1999-12-06 생리대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102A KR20010049136A (ko) 1999-12-06 1999-12-06 생리대용 패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310U Division KR200180290Y1 (ko) 1999-11-18 1999-11-18 생리대용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136A true KR20010049136A (ko) 2001-06-15

Family

ID=1962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102A KR20010049136A (ko) 1999-12-06 1999-12-06 생리대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91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752A (ko) * 2000-03-24 2000-09-05 박종운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3690A (ko) * 2002-11-19 2004-05-24 이영환 기능성을 갖는 여성 생리대
KR20040052169A (ko) * 2002-12-14 2004-06-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옥이 함유된 일회용 흡수제품
KR100563573B1 (ko) * 2002-04-18 2006-03-27 소병식 남여 공용 건강패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752A (ko) * 2000-03-24 2000-09-05 박종운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63573B1 (ko) * 2002-04-18 2006-03-27 소병식 남여 공용 건강패드
KR20040043690A (ko) * 2002-11-19 2004-05-24 이영환 기능성을 갖는 여성 생리대
KR20040052169A (ko) * 2002-12-14 2004-06-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옥이 함유된 일회용 흡수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3986A (ko) 생분해성 생리대 및 인체용 흡수 패드
JP3111377B2 (ja) 蓬含有パッドとその製造方法
KR101894760B1 (ko)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가지면서 허브향을 발하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패치
KR20010049136A (ko) 생리대용 패드
KR102160854B1 (ko) 생체적합성 흡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대
JPH04176460A (ja) 床づれ防止の紙布加工品
KR200180290Y1 (ko) 생리대용 패드
KR102066328B1 (ko) 생리대
KR101791314B1 (ko) 위생용품용 활성 미네랄 함유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H0257252A (ja) おむつ又はその類似品
KR100207225B1 (ko) 쑥 패드의 제조방법
KR20200131139A (ko) 흡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 패드
KR100772041B1 (ko) 생리대
KR20010070751A (ko) 여성용 생리대 또는 기저귀로 사용되는 패드
KR100654251B1 (ko) 천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8471B1 (ko) 마스크
KR0116976Y1 (ko) 일회용 반창고
KR200162346Y1 (ko) 고흡수성 쑥종이
KR100950999B1 (ko) 몬모릴로나이트를 함유하는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포함하는 건강제품
KR200271841Y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생리대
KR200281494Y1 (ko) 황토를이용한카페트
KR20010016976A (ko) 펀칭된 쑥 패드와 그 제조 방법
KR0116975Y1 (ko) 여성용 생리대
KR200270995Y1 (ko) 위생용 패드
KR0119857Y1 (ko) 여성용 생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