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420A - Sweet smelling portable radiotelephone - Google Patents

Sweet smelling portable radio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420A
KR20010047420A KR1019990051634A KR19990051634A KR20010047420A KR 20010047420 A KR20010047420 A KR 20010047420A KR 1019990051634 A KR1019990051634 A KR 1019990051634A KR 19990051634 A KR19990051634 A KR 19990051634A KR 20010047420 A KR20010047420 A KR 20010047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container
mobile phone
folder
phon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5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7420A/en
Publication of KR2001004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42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fragrant cellular phone is provided to notify the call received to the user with a fragrant smell. CONSTITUTION: The cellular phone has a perfume container(M) which is attachable/detachable to/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100) and a container operating part for operating the container to emit the fragrance when receiving a call.

Description

향기 휴대폰{SWEET SMELLING PORTABLE RADIOTELEPHONE}Scent mobile phone {SWEET SMELLING PORTABLE RADIO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신시 향기로운 냄새가 나는 향기 휴대폰(sweet smelling portable radiotelephone)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eet smelling portable radiotelephone.

일반적인 기능상의 관점에서 휴대폰이라 함은 셀룰러 폰, 피씨에스 폰, 디지털폰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칭한다. 이러한 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하면서 통화를 하게 한다. 한편, 통상적인 외형상의 관점에서 휴대폰은 바 타입(bar-type), 플립 타입(flip-type), 폴더 타입(folder-type), 와치 타입 휴대폰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편화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신호의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하여 시각적 통보, 청각적 통보 및 촉각적 통보방식을 취한다.In terms of general functionality, a mobile phone refer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cellular phone, a PC phone, a digital phone, and the like. Such a terminal makes a call while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On the other hand, mobile phones include bar-type, flip-type, folder-type, and watch-type mobile phones in view of the general appearance. In such a generalized portable terminal, a visual notification, an audio notification, and a tactile notification method are used to notify a user of an incoming state of a signal.

첫번째예로,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통보하는 방법은 착신 램프를 이용하는 것을 들수 있다. 시각적 통보방법은 착신 상태시 엘이디(LED)가 발광하여 착신램프가 깜박이게 되어 사용자는 착신 렌즈를 통해서 시각적으로 착신 램프를 통하여 확인하게 된다.In a first example, a method of visually notifying a user of an incoming state may include using an incoming lamp. In the visual notification method, when the incoming state is the LED (LED) emits light and the incoming lamp flashes, the user visually checks through the incoming lens through the incoming lens.

두번째예로,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통보하는 방법은 벨(BELL)소리를 이용하는 것을 들수 있다. 청각적 통보방법은 착신 상태시 다양한 멜로디가 울리게 됨으로서, 사용자는 벨소리를 청취함으로서 착신상태를 인지하게 된다.As a second example, a method of acoustically notifying a user of an incoming state may include using a bell sound. In the auditory notification method, various melodies ring when an incoming state is received, and the user recognizes the incoming state by listening to a ringtone.

세번째예로,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통보하는 방법은 바이브레이터(vibrator)를 들 수 있다. 촉각적 통보방법은 착신 상태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자가 동작함으로서, 단말기 본체에 진동에 전달되어 사용자는 촉각적으로 본체의 진동상태를 감지하게 된다.As a third example, a vibrator may be a method of tactilely notifying a user of an incoming state. In the tactile notification method, the vibrator of the vibrator operates when the incoming stat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body so that the user can sense the vibration state of the main body.

그러나, 상기 열거한 종래의 착신상태 통보방식은 매우 진부한 방식으로, 다양한 소비자 욕구에 부응할 수 없으며, 특히 새로운 개성을 추구하는 신세대들에게 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요즘의 신세대들은 향수 사용이 보편화되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향수사용개념을 휴대폰에 적용하고자 한다. 즉, 후각적으로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고자 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all state notification method is a very cliché method, and cannot meet various consumer needs, and in particular, cannot meet new generations seeking new personalities. Nowadays, the new generation has been a universal use of perfum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is concept of perfume use to a mobile phone. That is, the user wants to notify the user of the incoming state olfactor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시 향기로운 냄새가 나는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that smells fragrant when incom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각적으로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that can notify the user of the incoming state olfactor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소비자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phone that can meet a variety of consumer need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성이 강한 신세대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which can appeal to new generations with strong personalities.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소정위치에 착탈되며, 향수가 담수된 용기; 및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the perfume container fresh water; And

착신 상태시, 상기 캡슐형 용기를 작동시켜 향기를 뿜게하는 용기 구동부를 포함한다.In the incoming state, the capsule-type container includes a container driving unit for releasing the fragrance.

더욱이, 본 발명은 본체와, 폴더와,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통화각도까지 연결시키는 힌지장치로 구성된 폴더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er type mobile phone comprising a main body, a folder, and a hinge device for mechanic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a folder to a call angle.

상기 폴더의 소정위치에서 착탈되며, 향수가 담수된 캡슐형 용기; 및A capsule container detachable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older and containing fresh perfume; And

착신 상태시, 상기 캡슐형 용기를 작동시켜 향기를 뿜게하는 용기 구동부를 포함한다.In the incoming state, the capsule-type container includes a container driving unit for releasing the fragrance.

더욱이, 본 발명은 휴대폰에 있어서,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본체의 소정위치에 착탈되며, 방향재를 내장한 모듈형 용기; 및A modular container detachab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and containing a fragrance; And

착신 상태시에 상기 모듈형 용기로 부터 향기를 내뿜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And a drive unit for exhaling fragrance from the modular container in an incoming state.

더욱이, 본 발명은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장치로 구성된 폴더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er type mobile phone comprising a main body, a folder, and a hinge device that mechanically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and folders to a call angle.

방향재를 내장하며, 상기 폴더의 소정위치에 착탈되는 모듈형 용기; 및A modular container having a built-in fragrance material and detachab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older; And

착신 상태시에 상기 모듈형 용기로 부터 향기를 내뿜게 하는 용기 구동부를 포함한다.And a container drive for exhaling fragrance from the modular container in an incoming state.

더욱이, 본 발명은 안착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dy comprising a seating portion; And

작동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안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 버튼이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작동 버튼을 누른 경우게 향기를 내뿜을 수 있는 캡슐형 용기를 포함한다.It includes an actuating button, the actuating button is mounted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actuating button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cludes a capsule-type container that can exhale fragrance when the actuating button is pressed.

더욱이, 본 발명은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장치로 구성된 폴더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er type mobile phone comprising a main body, a folder, and a hinge device that mechanically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and folders to a call angle.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폴더; 및A folder containing a container housing; And

작동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 버튼이 폴더의 표면으로 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여 상기 작동 버튼을 누른 경우에 향기를 내뿜을 수 있는 캡슐형 용기를 포함한다.And an actuating button, mounted in the container housing, the actuating butt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fold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cluding a capsule container capable of exhaling fragrance when the actuating button is 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신 상태시의 향기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ce mobile phone in the incoming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프 후크상태시의 향기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grance mobile phone in the off-hook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용기의 구동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5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rive mechanism of the caps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액츄에이터가 인입되어 향기가 내뿜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ure 5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grance is ejected by the actuator of the soleno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액츄에이터가 인출되어 향기가 가두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ure 5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mell of the actuator is drawn out of the soleno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신시의 향기나는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t mobile phone at the time of incoming ca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프 후크시의 향기나는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t mobile phone when off-hoo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은 온 후크(on hook)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신 상태시의 향기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프 후크(off hook)상태의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shown in FIG. 1 is on hook.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ce mobile phone in an incoming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in an off hook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휴대폰은 플립 타입 휴대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휴대폰은 향기를 내뿜을 수 있는 원천(source)을 휴대폰에 내장하거나, 착탈식으로 구비하여 착신 상태, 오프 후크상태 또는 수동으로 상기 향기를 내뿜을 수 있는 원천을 작동시켜 통화시에 향기로운 냄새를 뿜을 수 있는 휴대폰을 의미한다. 이때, 향기를 내뿜을 수 있는 원천으로 향수가 담수된 용기 또는 방향제가 내장된 용기가 바람직하며, 특히 캡슐형 용기나 방향재를 내장한 모듈형 용기를 가장 바람직한 예로들 수 있다. 여기서 캡슐형 용기는 향수가 담수된 용기를 의미하고, 모듈형 용기는 방향재가 내장된 용기를 의미한다.1 to 4 is a flip type mobile phone.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ource that can exhale fragrance (source) in the cell phone, or equipped with a removable to operate a source that can exhale the fragrance in the incoming state, off-hook state or manually to smell the fragrant at the time of the call Means a cell phone that can spout. At this time, as a source capable of exhaling the fragrance is preferably a container with fresh water or a container containing a fragrance, in particular a capsule container or a modular container containing a fragrance may be the most preferable example. Here, the capsule container means a container containing fresh perfume, and the modular container means a container containing a fragrance material.

도 1,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립 타입 휴대폰은 본체(100)와, 플립(200)과, 상기 본체(100)와 플립(200)을 기계적으로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 장치(미도시됨)로 대별된다. 상기 플립(200)은 본체(100)에서 힌지축(A1)을 중심으로 개폐된다. 상기 본체(100)는 안테나 장치(110), 이어 피스(112), 엘씨디 모듈(114), 플립(200)에 의해 숨겨진 키패드 및 마이크 장치(118)를 포함한다.1 and 2, the flip type mobile phone is a hinge device (not shown) for mechan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100, the flip 200, and the main body 100 and the flip 200 to a call angle. Are divided into The flip 200 is opened and closed about the hinge axis A1 in the main body 100. The body 100 includes an antenna device 110, an ear piece 112, an LCD module 114, and a keypad and microphone device 118 hidden by the flip 200.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휴대폰은 캡슐형 용기(M)를 포함한다. 상기 캡슐형 용기(M)는 본체(100)의 소정위치에 내장되며, 상기 본체(100)에서 착탈가능하다. 즉, 상기 캡슐형 용기(M)는 1회용 소모품으로서, 사용자의 취향 또는 적시에 종종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의 소정위치는 상단부를 의미하며, 수평방향으로 빈 공간을 의미한다.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sule container (M). The capsule container (M) is buil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removable from the main body 100. In other words, the capsule-type container (M) is a disposable consumable, it can often be replaced by the user's taste or timely. Here,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means the upper end portion, and means an empty sp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캡슐형 용기(M)는 본체(100)에 수평방향(화살표방향)으로 착탈된다. 이를 위해 상기 캡슐형 용기(M)는 원통형이다. 그러나, 상기 캡슐형 용기(M)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캡슐형 용기(M)를 본체(100) 상단부근에 수평방향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소정의 구멍(101)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에 장착된 캡슐형 용기(M)를 보호하기 위하여 러버 또는 우레탄 재질의 커버(120)가 구비된다.The capsule container (M)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row direction). To this end the capsule container (M) is cylindrical. However, the shape of the capsule container (M)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 predetermined hole 101 is provided to mount the capsule-shaped container 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near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In addition, a cover 120 of rubber or urethane material is provided to protect the capsule-shaped container M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도 3은 착신 상태시, 도 4는 오프 후크상태시 캡슐형 용기(M)에서 내뿜은 향기가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용기(M)는 모드에 따라서 착신 상태(called state)나 오프 후크(of hook)상태시 작동한다. 즉, 사용자의 모드 변경에 따라서 착신 상태에서 향기를 외부로 내뿜을 수도 있고, 오프 후크에 따라서 향기를 외부로 내뿜을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독립적인 작동 버튼(도면에 미도시됨)을 구비하여, 작동 버튼을 누른 상태가 되어야 상기 캡슐형 용기로부터 향기가 외부로 내뿜게 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은 향기의 진행방향을 의미한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grance exhaled from the capsule-type container (M) in the incoming state, Figure 4 is in the off-hook state. The capsule-shaped container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called state or an off hook state depending on the mode. That is, the fragrance may be spouted to the outside in the incoming state according to the mode change of the user, or the fragrance may be spout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off hook. On the other hand,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independent operation button (not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to release the fragrance from the capsule container to the outside only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Arrow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means the direction of the fragrance.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의 상부 측단(101a)에는 적어도 한개이상의 개구(102)가 구비되며, 안착부(104)에 의해 캡슐형 용기(M)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캡슐형 용기(M)가 장착된 후, 내뿜어진 향기가 외부로 진행하기 위하여 원추형의 통로(103)와, 상기 통로(103)의 단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개구(102)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5A, at least one opening 102 is provided at the upper side end 101a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apsule-shaped container M is maintained by the seating part 104. After the capsule-shaped container M is mounted, a conical passage 103 and a plurality of openings 102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passage 103 are provided for the exhaled fragrance to proceed to the outside.

휴대중에 착신상태가 되면, 상기 캡슐형 용기(M)는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어 향기를 외부로 내뿜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은 캡슐형 용기(M)에서 내뿜은 향기의 진행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캡슐형 용기(M)에서 내뿜어진 향기는 통로(103)와 개구(102)를 통하여 외부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캡슐형 용기(M)는 1회용 소모품으로서, 향수가 전부 소모되면, 상기 커버(120)를 열어서 소모된 캡슐형 용기(M)를 폐기하기, 새로운 캡슐형 용기를 장착한다. 한편, 상기 캡슐형 용기는 리필방식으로 사용가능하다.When the mobile phone is in the incoming state, the capsule-type container (M) is operated by the drive unit to emit the fragrance to the outside. Arrow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s means the direction of progress of the fragrance spouted from the capsule-type container (M).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capsule-type container (M) is to proce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ssage 103 and the opening (102). The capsule-type container (M) is a disposable consumables, when the perfume is used up, to open the cover 120 to discard the spent capsule-type container (M), a new capsule-type container is mounted. On the other hand, the capsule container can be used in a refilling manner.

도 5b와 도 5c는 용기의 구동부의 일례로 솔레노이드(50)와 액츄에이터(52)가 사용된다. 도 5b와 도 5c에 사용된 용기는 방향재를 내장한 모듈형 용기(M1)를 의미한다.5B and 5C use solenoids 50 and actuators 52 as an example of the drive of the vessel. The container used in FIGS. 5B and 5C means a modular container M1 containing a fragrance material.

도 5b는 통화대기모드 또는 전원이 오프된 경우, 액츄에이터(52)가 솔레노이드(50)에서 인출되어 향기가 진행할 수 있는 통로(103)를 차단하게 된다. 도 5c는 착신상태 또는 통화를 하기위한 오프 후크상태가 된 경우에 액츄에이터(52)가 솔레노이드(50)에서 인출되어 향기가 진행할 수 있는 통로(103)를 개방하게 된다. 즉, 통화대기모드이거나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는 액츄에이터(52)가 솔레노이드(50)에서 인출되어 용기(M1)를 밀폐시킨다. 착신 상태 또는 오프 후크상태인 경우에는 액츄에이터(52)가 솔레노이드(50)에서 인입되어 향기는 화살표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방향재 모듈(M1)은 안착부 또는 용기 하우징(104)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5B shows that when the call waiting mode or the power is turned off, the actuator 52 is drawn out of the solenoid 50 to block the passage 103 through which the scent may proceed. FIG. 5C shows the actuator 52 is pulled out of the solenoid 50 to open the passage 103 where the fragrance may proceed when the incoming state or the off hook state is used for making a call. That is, in the call standby mode or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actuator 52 is drawn out of the solenoid 50 to seal the container M1. In the incoming state or the off-hook state, the actuator 52 is drawn in from the solenoid 50 so that the fragrance can proce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t this time, the fragrance module (M1)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or the container housing 104 to maintain a fixed state.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신 상태의 향기나는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오프 후크상태의 향기나는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휴대폰은 폴더 타입 휴대폰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t mobile phone in the incoming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t mobile phone in the off-hook state. The mobile phone shown in the figure is a folder type mobile phon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본체의 상단부에 캡슐형 용기나 모듈형 용기를 수평방향으로 장착하였으나(도 2참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폴더(400)의 하단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캡슐형 용기나 모듈형 용기를 장착하는 장소에 있어서, 휴대폰의 소형화를 위하여 여유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장착위치는 본체의 상단부나 폴더의 하단부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곳에 장착될 수 있으며, 용기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type container or the modular container is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see FIG. 2),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folder 400.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ce where the capsule container or the modular container is mounted,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the free space for miniaturization of the mobile phon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or the lower end of the folder, it can be mounted in various places, the container may be mounted in a vertical direction.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폴더 타입 휴대폰은 본체(300)와, 폴더(400)와, 상기 본체(300)와 폴더(400)를 통화각도까지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장치(도면에 미도시됨)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00)는 안테나 장치,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 및 마이크장치(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하고, 상기 폴더(400)는 이어 피스(410), 엘씨디 모듈(412) 및 캡슐형 용기(M)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00)는 폴더(400)와 결합되기 위하여 사이드 힌지 아암(301)을 대칭으로 구비하고, 상기 폴더(400)는 힌지장치와 결합되기 위하여 센터 힌지 아암(401)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folder-type mobile phone has a hinge device for mechanic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300, the folder 400, and the main body 300 and the folder 400 to a call angle (as shown in the drawing). Not shown). The main body 300 includes an antenna device,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and a microphone device (shown in FIG. 9), and the folder 400 includes an ear piece 410, an LCD module 412, and a capsule type. Container M. The main body 300 has a side hinge arm 301 symmetrically to be coupled to the folder 400, and the folder 400 has a center hinge arm 401 to be coupled to the hinge devic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은 캡슐형 용기(M)가 폴더(400)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400)는 용기 하우징(402)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하우징은 캡슐형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캡슐형 용기가 용기 하우징(402)에 장착되었을때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용기 커버(403)가 구비된다. 상기 용기 커버는 러버 또는 우레탄 재질이 바람직하다.In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shaped container M is mounted in the folder 400. Thus, the folder 400 includes a container housing 402. The container housing has a hole for mounting the capsule container. In addition, the container cover 403 is provided to protec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the capsule-type container is mounted in the container housing 402. The container cover is preferably a rubber or urethane material.

도 8은 착신 상태시, 도 9는 오프 후크상태시 향기난는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화살표방향은 향기가 진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용기는 모드변환에 따라서 착신 상태 또는 오프 후크상태시 작동한다. 즉, 사용자의 모드변경에 따라서 착신 상태에서만 향기를 내뿜을 수 있고, 오프 후크상태에서만 향기를 내뿜을 수 있다. 한편, 독립적인 작동 버튼(도면에 미도시됨)을 구비하여 작동 버튼을 누른 상태가 되어야 향기를 외부로 내뿜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향기가 담수된 캡슐형 용기나 방향재가 내장된 모듈형 용기의 작동 메카니즘은 이미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smelling when the incoming state, Figure 9 off the hook state. The direction of the arrow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grance proceeds. The caps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incoming state or the off hook state according to the mode change. That is, according to the mode change of the user can emit the fragrance only in the incoming state, it can be exhaled only in the off-hook state. On the other hand, it is provided with an independent operation button (not shown in the figure) can be pressed out while the operation button can be exhaled fragrance to the outside. Since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capsule-type container containing the fragrance fresh water or the modular container incorporating the fragrance materi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ready moun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5A to 5C,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은 수동으로 작동하는 캡슐형 용기(M)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용기(M)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캡슐형 용기(M)의 커버(60)를 열어 본체(100)의 안착부(104)에 장착하면, 상기 캡슐형 용기(M)의 구동 버튼(B)이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사용자는 수동으로 통화시에 상기 구동 버튼(B)을 화살표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캡슐형 용기(M)에서 향기가 화살표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향기의 진행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구성은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ually operated capsule-type container (M).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sule-shaped container (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When the cover 60 of the capsule container M is opened and mounted on the seating part 104 of the body 100, the driving button B of the capsule container M is mounted to protrude outward. When the user manually presses the driving button B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uring the call, the fragrance in the capsule-type container M proceed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ince the configuration for inducing the progress of the scent to the outside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will be omitt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은 수동으로 작동하는 캡슐형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수동으로 작동하는 캡슐형 용기는 폴더에 장착된다. 상기 폴더는 용기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향기 휴대폰의 캡슐형 용기 장착상태는 도 11에 도시된 경우와 동일하기 캡슐형 용기의 작동 버튼이 폴더에서 돌출되게 장착된다. 캡슐형 용기의 장착상태는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agrance cell phon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ually operated capsule-type container. The manually operated capsule container is mounted in a folder. The folder has a container housing. In the capsule-type container mounting state of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button of the capsule-type container is mounted to protrude from a folder. Since the mounting state of the capsule-type container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휴대폰은 플립 타입인 경우에 본체나 플립에 방향재가 내장된 모듈형 용기를 원하는 곳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장착가능하고, 폴더 타입인 경우에 본체나 폴더에 방향재가 내장된 모듈형 용기를 원하는 곳에 부착할 것도 가능하다. 캡슐형 용기의 장착위치는 휴대폰의 여유공간이라면 어느곳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in a manner of attaching a modular container in which a fragrance material is embedded in a main body or a flip-flop in a case of a flip type, and a fragrance material in the main body or a folder in a folder-type.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modular modular containers where desired. Mounting position of the capsule-type container can be applied anywhere in the free space of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은 플립 타입 또는 폴더 타입 휴대폰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와치 타입 단말기나 화상통신이 가능한 슬림형 노트북 컴퓨터 또는 화상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a flip type or a folder type mobile phone, but may be equally applied to a watch type terminal, a slim notebook computer capable of video communication, or a terminal capable of video communication.

더욱이, 향수가 담수된 캡슐형 용기는 1회용 소모품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리필용으로 가능하다. 또한, 방향재가 내장된 모듈형 용기도 1회용 소모품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Moreover, the perfume-capable capsule container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disposable consumables, and is possible for refilling. In addition, the modular container in which the fragrance material is incorporated also need not be limited to disposable consumable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후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통보함으로서, 착신인지의 범위를 넓히게 되었으며, 다양하게 색다른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은 다양한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에 부응하게 되었다. 또한, 향수 사용이 보편화되었으며, 개성이 강한 신세대 소비자들에게 부응할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widened the scope of call reception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incoming state olfactoryly, and the mobile phone having various different functions is provided to various consumers, thereby responding to various consumer preferences. It became. In addition, the use of perfume has become commonplace, and can meet new generations of consumers with strong personalities.

Claims (41)

휴대폰에 있어서,In mobile phones, 본체의 소정위치에서 착탈되며, 향수가 담수된 용기; 및A container detachable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and containing perfume; And 착신 상태시, 상기 용기를 작동시켜 향기를 뿜게하는 용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향기 휴대폰.Scented mobile phone including a container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container to emit a scent when the incoming state. 제1항에 있어서, 오프 후크상태시, 상기 용기 구동부가 상기 용기를 작동시켜 향기를 내뿜게 하는 향기 휴대폰.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hook state is off, the container driving unit causes the container to operate to emit perfu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캡슐형인 향기 휴대폰.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is a capsule ty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서 뿜어내는 향기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통로와, 상기 통로의 단에 위치하는 본체의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개구를 더 구비되는 향기 휴대폰.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ssage for guiding a direction of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openings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main body located at the end of the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중공형 용기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향기 휴대폰.The scented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llow container housing for seating th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용기 커버를 더 구비하는 향기 휴대폰.The scented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ainer cover to protect the container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러버 또는 우레탄 재질인 향기 휴대폰.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ver is made of rubber or ureth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소정위치는 상단부인 향기 휴대폰.According to claim 1,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is a fragrance mobile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1회용 소모품이거나, 리필이 가능한 용기로 구성된 향기 휴대폰.The scented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is a disposable consumable or a refillabl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원통형이 바람직한 향기 휴대폰.The scent cell phone of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is preferably cylindrical. 본체와, 폴더와,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통화각도까지 연결시키는 힌지장치로 구성된 폴더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In a folder type mobile phone comprising a main body, a folder, and a hinge device for mechanic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a folder to a call angle, 상기 폴더의 소정위치에서 착탈되며, 향수가 담수된 용기; 및A container detachable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older and containing fresh perfume; And 착신 상태시, 상기 용기를 작동시켜 향기를 뿜게하는 용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향기 휴대폰.Scented mobile phone including a container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container to emit a scent when the incoming state. 제11항에 있어서, 오프 후크상태시, 상기 용기 구동부가 상기 용기를 작동시켜 향기를 내뿜는 구성인 향기 휴대폰.12.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when the hook state is off-hook, the container drive unit operates the container to emit perfu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캡슐형인 향기 휴대폰.12.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container is a capsule typ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서 뿜어내는 향기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통로와, 상기 통로의 단에 위치하는 폴더의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개구가 더 구비되는 향기 휴대폰.12.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passage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openings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a folder located at the end of the passag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폴더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중공형 용기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향기 휴대폰.12.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hollow container housing for seating the container in a fold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용기 커버를 더 구비하는 향기 휴대폰.12.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ontainer cover to protect the container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러버 또는 우레탄 재질인 향기 휴대폰.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cover is made of rubber or uretha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의 소정위치가 하단부인 향기 휴대폰.12.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older is a lower end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형 용기는 1회용 소모품이거나, 리필이 가능한 용기로 구성된 향기 휴대폰.12.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capsule-type container is a disposable consumable or a refillable container. 휴대폰에 있어서,In mobile phones, 본체의 소정위치에 착탈되며, 방향재가 내장된 모듈형 용기; 및A modular container detachab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and incorporating a fragrance; And 착신 상태시에 상기 모듈형 용기로 부터 향기를 내뿜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향기 휴대폰.A fragrance mobile phone including a drive unit for emitting fragrance from the modular container when the incoming state. 제20항에 있어서, 오프 후크상태시, 상기 용기 구동부가 상기 용기를 작동시켜 향기를 내뿜는 구성인 향기 휴대폰.21.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when the hook state is off-hook, the container driving unit operates the container to emit perfum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driving unit 솔레노이드; 및Solenoids; And 상기 솔레노이드의 온/오프에 따라서 인입/인출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향기 휴대폰.Fragrance mobile phone comprising an actuator that is drawn in / out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solenoid. 제22항에 있어서, 착신 상태시, 상기 솔레노이드의 액츄에이터가 인입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터 외부로 향기를 뿜는 구성이고, 통화대기모드인 경우에 액츄에이터가 인출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토 뿜어진 향기를 가두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향기 휴대폰.23.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in the incoming state, an actuator of the solenoid is drawn in to blow out fragrance from the modular container, and in the call waiting mode, the actuator is drawn out to blow out the fragrance from the modular container. A fragrance cell phone made up of a confinement. 제23항에 있어서, 전원 오프상태시, 상기 액츄에이터가 인출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터 뿜어진 향기를 가두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향기 휴대폰.24.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actuator is withdraw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o trap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modular container. 제22항에 있어서, 오프 후크상태시, 상기 솔레노이드의 액츄에이터가 인입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터 외부로 향기를 내뿜는 구성이고, 통화대기모드상태시, 상기 액츄에이터가 인출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터 뿜어진 향기를 가두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향기 휴대폰.23. The fragrance of claim 22, wherein the actuator of the solenoid is drawn in to release the fragrance from the modular container when in the off-hook state, and the fragrance is drawn out of the modular container when in the standby mode. Fragrant mobile phones made up of confinement. 제25항에 있어서, 전원 오프상태시, 상기 액츄에이터가 인출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터 뿜어진 향기를 가두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향기 휴대폰.27.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25, wherein, when the power is off, the actuator is drawn out to trap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modular contain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소정위치에 향기의 진행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원추형 통로를 더 구비하는 향기 휴대폰.21.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20, further comprising a conical passage for guiding a path of the fragranc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단에 적어도 한개이상의 개구를 더 구비하는 향기 휴대폰.21.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20,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pening at the end of the channel.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장치로 구성된 폴더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A folder type mobile phone comprising a main body, a folder, and a hinge device for mechan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and a folder to a call angle, 상기 폴더의 소정위치에 착탈되며, 방향재를 내장한 모듈형 용기; 및A modular container detachab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older and containing a fragrance; And 착신 상태시에 상기 모듈형 용기로 부터 향기를 내뿜게 하는 용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향기 휴대폰.A fragrance mobile phone including a container driving unit for emitting fragrance from the modular container when the incoming state. 제29항에 있어서, 오프 후크상태시, 상기 용기 구동부가 상기 모듈형 용기를 작동시켜 향기를 내뿜는 구성인 향기 휴대폰.30.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in the off-hook state, the container drive unit operates the modular container to emit perfum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구동부는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vessel drive unit 솔레노이드; 및Solenoids; And 상기 솔레노이드의 온/오프에 따라서 인입/인출되는 동작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향기 휴대폰.A fragrance mobile phone comprising an actuator that is operated to be pulled in / out in accordance with the on / off of the solenoid. 제31항에 있어서, 착신 상태시, 상기 솔레노이드의 액츄에이터가 인입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터 외부로 향기를 뿜는 구성이고, 통화대기모드인 경우에 액츄에이터가 인출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터 뿜어진 향기를 가두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향기 휴대폰.3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1, wherein, in an incoming state, an actuator of the solenoid is drawn in to blow out fragrance from the modular container, and in a call waiting mode, the actuator is drawn out to trap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modular container. Fragrance mobile phone made up of a composition. 제32항에 있어서, 전원 오프상태시, 상기 액츄에이터가 인출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터 뿜어진 향기를 가두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향기 휴대폰.33.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32, wherein the actuator is withdraw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o trap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modular container. 제29항에 있어서, 오프 후크상태시, 상기 솔레노이드의 액츄에이터가 인입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터 외부로 향기를 내뿜는 구성이고, 통화대기모드인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가 인출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터 뿜어진 향기를 가두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향기 휴대폰.30. The fragrance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actuator of the solenoid is drawn in to release the fragrance from the modular container when it is in an off-hook state, and the fragrance is extracted from the modular container when the actuator is in a call waiting mode. Fragrant mobile phones made up of confinement. 제34항에 있어서, 전원 오프상태시, 상기 액츄에이터가 인출되어 상기 모듈형 용기로부터 뿜어진 향기를 가두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향기 휴대폰.35.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actuator is drawn out to confine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modular container when the power is off.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용기에서 뿜어내는 향기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원추형 통로와, 상기 통로의 단에 위치하는 폴더의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개구를 더 구비하는 향기 휴대폰.23. The fragrance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22, further comprising a conical passage for guiding a direction of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modular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openings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a folder located at the end of the passag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는 모듈형 용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용기 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향기 휴대폰.30. The fragrance cell phone of claim 29, wherein the folder further comprises a container housing for seating the modular container. 안착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A main body including a seating portion; And 일단에 작동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안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 버튼이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작동 버튼을 누른 경우에 향기를 내뿜을 수 있는 캡슐형 용기를 포함하는 향기 휴대폰.A fragrance mobile phone having an operation button at one end and mounted to a seating part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operation button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capsule-type container capable of emitting an aroma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향기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적어도 한개이상의 개구를 더 구비하는 향기 휴대폰.39. The fragrance cellular phone according to claim 38, wherei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pening so that the fragran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장치로 구성된 폴더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A folder type mobile phone comprising a main body, a folder, and a hinge device for mechan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and a folder to a call angle,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폴더; 및A folder containing a container housing; And 작동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 버튼이 폴더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작동 버튼을 누른 경우에 향기를 내뿜을 수 있는 캡슐형 용기를 포함하는 향기 휴대폰.And a capsule-type container having an operation button, wherein the operation button protrudes from a surface of a folder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emit a scent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는 향기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적어도 한개이상의 개구를 더 구비하는 향기 휴대폰.41. The fragrance cellular phone according to claim 40, wherein the fold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pening so that the fragran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KR1019990051634A 1999-11-19 1999-11-19 Sweet smelling portable radiotelephone KR200100474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634A KR20010047420A (en) 1999-11-19 1999-11-19 Sweet smelling portable radio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634A KR20010047420A (en) 1999-11-19 1999-11-19 Sweet smelling portable radio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420A true KR20010047420A (en) 2001-06-15

Family

ID=1962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634A KR20010047420A (en) 1999-11-19 1999-11-19 Sweet smelling portable radio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7420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485A (en) * 2001-03-20 2001-08-21 송재수 Antenna with perfume dispensing means
KR20020023721A (en) * 2001-12-12 2002-03-29 김형찬 Cellular phone & Tele-comunications Combined with The Natural Aromatic Devices
KR20020084539A (en) * 2001-05-02 2002-11-09 허권인 Noiselessness Fragrance Device of Cellularphone
KR100382198B1 (en) * 2001-04-26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phone
KR20030062142A (en) * 2002-01-16 2003-07-23 홍순모 Cellular phon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gases thereof
KR20040021853A (en) * 2002-09-05 2004-03-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giving out fragrance by them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200481800Y1 (en) * 2015-08-21 2016-11-10 주식회사 에스엔케이테크놀러지스 odorized-type neck ban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485A (en) * 2001-03-20 2001-08-21 송재수 Antenna with perfume dispensing means
KR100382198B1 (en) * 2001-04-26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phone
KR20020084539A (en) * 2001-05-02 2002-11-09 허권인 Noiselessness Fragrance Device of Cellularphone
KR20020023721A (en) * 2001-12-12 2002-03-29 김형찬 Cellular phone & Tele-comunications Combined with The Natural Aromatic Devices
KR20030062142A (en) * 2002-01-16 2003-07-23 홍순모 Cellular phon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gases thereof
KR20040021853A (en) * 2002-09-05 2004-03-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giving out fragrance by them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200481800Y1 (en) * 2015-08-21 2016-11-10 주식회사 에스엔케이테크놀러지스 odorized-type neck b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053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plural olfactory cuing
JP2003204383A (en) Portable telephone
US7976782B2 (en) Exterior panel for receiving aromatic substance, and mobile terminal using exterior panel for receiving aromatic substance
JP2012147400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switching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WO2005067339A1 (en) Acoustic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KR20010047420A (en) Sweet smelling portable radiotelephone
KR20010078935A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with spray apparatus and its perfume spray method
US787711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n aromatic unit for emanating a fragrance
JP2004289563A (en) Mobile electronic equipment
KR20010000705A (en) Cellular phone having perfume emitting device selectively
KR20020014143A (en) Mobile communication phone attachable and detachable of accessory
KR200152007Y1 (en) Mobile telephone having scent generating means
JP2003198680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unting method for multifunctional vibrating actuator
KR20000018101A (en) Health cell phones
JP2004032596A (en) Folding portable telephone
US20060128448A1 (en) Mobile phone having an easy-receive feature for an incoming call
JP2001037517A (en) Cover for portable telephone
CN2444350Y (en) Movable telephone with aromatic box
KR100595642B1 (en) Mobile phone
KR200222024Y1 (en) Hands-free apparatus for portable telephone set
JPH1117609A (en) Composite radio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20040021853A (en) Method for giving out fragrance by them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JP3075359U (en) Hands-free device for two-way mobile phones
KR200289495Y1 (en) Looking downward projection antenna and Insertion-projection microphone of hand phone
KR20040043875A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for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