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289A -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 - Google Patents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289A
KR20010044289A KR1020010004890A KR20010004890A KR20010044289A KR 20010044289 A KR20010044289 A KR 20010044289A KR 1020010004890 A KR1020010004890 A KR 1020010004890A KR 20010004890 A KR20010004890 A KR 20010004890A KR 20010044289 A KR20010044289 A KR 20010044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bservation
jack
measuring unit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김상철
주식회사 고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철, 주식회사 고구리 filed Critical 김상철
Priority to KR102001000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289A/ko
Publication of KR2001004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2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있는 생물의 미세한 소리를 확대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내부 소리 수집용 마이크와 증폭기, 및 이로부터 증폭된 소리를 외부에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소리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관찰장치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있는 생물체의 모습을 외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은 마이크, 증폭기, 및 이어폰 또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소리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소리측정부를 구비함으로써, 형태 및 소리의 관측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리측정부는 또한, 외부의 소리를 내부로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더욱 구비하여, 외부의 소리에 반응하여 내부의 생물이 내는 소리도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 {AN APPARATUS FOR OBSERVING LIVING THINGS EXISTING THEREIN AND FOR HEARING SOUNDS THAT THE LIVING THINGS MAKE}
본 발명은 곤충 등 생물의 움직임을 관찰함과 동시에, 소리측정부가 장착되어 생물의 미세한 소리까지 들을 수 있도록 구성된 관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곤충 등을 채집하여 이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관찰하기 위한 채집함이 있었다. 이들 채집함은 대부분 플라스틱 소재의 그물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내부의 생물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채집시 가지고 다니면서 채집한 곤충 등을 일시적으로 보관, 관찰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채집함은 일시적인 곤충의 채집 및 보관에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보다 긴 시간 동안 곤충을 수용하면서 이를 면밀히 관찰하거나, 또는 이들이 내는 미세한 소리를 측정 또는 감지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채집함은 발아 현상과 같은 식물의 변화를 관찰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았다.
비단 아이들의 학습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실험실 등에서도, 동물과 식물을 포함한 작은 생물체의 미세한 변화를 보다 면밀하게 관찰하고, 이들이 내는 미세한 소리 또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개량된 형태의 관찰장치로서 현재까지 알려진 것은 없었다. 생물체의 형상 뿐만 아니라 그들이 내는 미세한 소리의 변화 또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찰장치는 자연 관찰 학습에 대한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기에 좋고, 실험실에서의 효용 또한 매우 높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생물체의 형상 뿐만 아니라 그들이 내는 미세한 소리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관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미세한 생물체의 형상을 보다 상세히 관찰할 수 있도록, 돋보기가 장착된 관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소규모의 관찰통 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관찰시설 등에도 소리측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수용된 내부 생물체의 움직임 뿐만 아니라 그들이 내는 소리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관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측정부가 장착된 관찰통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찰통에 장착된 소리측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 에 나타난 선 A-A를 따라 관찰통의 하부몸체만을 절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소리측정부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찰통 11 : 뚜껑
12 : 돋보기 13 : 하부몸체
14 : 숨구멍 15 : 바닥부
20 : 소리측정부 21 : 이어폰용 잭
22 : 마이크용 잭 23 : 스피커
24 : 내부 마이크 25 : LED 전구
26 : 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서 내부의 생물체를 관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 생물체가 내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내부 소리 수집용 마이크, 상기 수집된 소리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이로부터 증폭된 소리를 외부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소리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관찰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있는 생물체의 모습을 외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관찰장치는 장치 내에 있는 생물체의 모습을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돋보기를 더욱 구비한다.
상기 소리측정부의 소리 수신장치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용 잭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찰장치가 작은 규모의 것이고 그 내부에 보관될 생물체가 작고 미세한 소리를 내는 것일 때에는,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 수신장치는 이어폰용 잭으로 구성될 것이다. 그리하여, 관찰자는 육안으로 상기 관찰장치 내부 생물체의 형상을 관찰함과 동시에, 상기 이어폰용 잭에 이어폰을 꽂아 들음으로써, 증폭기를 통해 확대된 내부 생물체의 미세한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생물체의 크기가 매우 작을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관찰장치의 일측에 장착된 돋보기를 통하여 관찰장치 내부의 생물체를 확대하여 관찰할 수도 있다. 상기 돋보기는 생물체가 수용되는 위치 및 관찰장치의 형태에 따라 관찰장치의 적절한 곳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관찰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투명 재질은 바람직하게 투명 아크릴 소재이다. 투명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져 그 내부 생물체의 육안 관찰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소규모의 관찰장치인 경우, 이를 떨어뜨려 쉽게 파손되거나 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장소에 고정되는 대규모 관찰장치인 경우, 상기 투명 재질은 반드시 아크릴 소재 등에 제한되지 않고, 충격에 강하며 내부 생물체의 모습을 잘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강화 유리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소리측정부는, 바람직하게 에폭시(epoxy) PCB 기판 상에 상기한 바와 같은 내부 소리 수집용 마이크, 수집된 소리의 증폭기, 증폭된 소리를 수신하기 위한 이어폰용 잭 등의 소리 수신장치의 칩 및 회로들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칩 및 회로들이 설치된 소리측정부 기판은, 관찰장치 내 생물체를 관찰하기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라면, 관찰장치의 어느 부분에 장착하여도 좋다.
관찰장치가 소규모의 것인 경우에는, 소리측정부는 휴대용 건전지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을 것이다. 관찰장치가 대규모의 것인 경우에는, 상기 소리측정부에 별도의 전원입력부를 설치하고, 이를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측정부는 외부에서 소리를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용 잭 및 상기 외부 소리를 관찰장치 내부로 전달하는 스피커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관찰장치는 내부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소리에 반응하여 내부 생물체가 일으키는 형상 또는 소리의 변화도 관측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소리측정부의 마이크용 잭과 이어폰용 잭은 소리측정부의 전원 온/오프 스위치로도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용 잭 또는 이어폰용 잭에 마이크 또는 이어폰을 꽂으면, 상기 건전지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한 전류가 소리측정부에 인가되어 소리측정부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소리측정부 상에 별도의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장착할 수도 있다.
소리측정부는, 바람직하게 마이크용 잭과 이어폰용 잭에 대응하여 각각의 바로 옆쪽에 위치하나 관찰장치의 외부가 아닌 관찰장치 내부로 향하는 상기 소리측정부 기판 상에 장착되는 상기 마이크용 잭과 이어폰용 잭의 작동 여부를 알려주는 LED 전구를 더욱 구비한다. 이들 LED는 상기 마이크용 잭 및 이어폰용 잭에 마이크 및 이어폰을 꽂았을 때 각각 켜지도록 구성되어, 마이크 또는 이어폰을 마이크용 잭 또는 이어폰용 잭에 꽂았을 때 이들이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LED들은 각기 상이한 색으로 구성되어, 마이크 또는 이어폰의 작동 상태를 전구의 불빛만으로도 즉각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LED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찰장치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마이크와 이어폰의 작동 상태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야간에는 내부 생물체를 비추는 조명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찰장치는 소리측정부가 장착되고 그 내부에 생물체가 수용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되되, 상기 뚜껑에 돋보기가 장착된 휴대용 관찰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찰통은 상기 뚜껑 둘레를 따라 다수의 숨구멍을 마련함으로써 내부 생물체의 호흡을 도울 수 있다. 그러나, 숨구멍은 반드시 상기와 같이 뚜껑 둘레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관찰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내부 생물체에게 적절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라면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는 관찰통 또는 관찰장치의 전체 형태는 내부에 생물체를 수용하여 이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고, 수용된 생물체가 내는 소리를 외부에서 들을 수 있도록 관찰장치의 일측에 소리측정부가 장착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관찰장치가 소규모 관찰통인 경우, 그러한 관찰통은 투명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이를 덮는 뚜껑부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별도의 뚜껑을 포함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하나의 몸체부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한 면에 개폐 가능한 문을 장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소규모의 관찰통은 곤충이나 식물의 발아를 관찰하기에 적절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보다 큰 규모의 관찰 시설, 즉, 동물원의 동물 보호 시설이나 수족관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동물원 등에서 동물을 수용하고 관찰하기 위한 시설로는 창살 등으로 이루어진 우리, 또는 유리벽 등으로 외부와 차단된 형태로 구성되는 실내 공간 형태의 보호 시설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유리벽 등으로 차단된 동물의 보호 시설은 그 내부에 있는 동물의 소리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듣기 어렵다. 또한, 수족관의 경우에도, 수족관 내 생물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구성된 시설은 없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족관 또는 동물 보호 시설 등에 본 발명에 따른 소리측정부를 장착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생물체의 형상 및 소리를 동시에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큰 규모의 관찰시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소리측정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 소리 수집용 마이크, 수집된 소리의 증폭을 위한 증폭기, 및 이로부터 증폭된 소리를 외부에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소리 수신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소규모의 관찰통 등에서와는 달리, 그 안에 수용되는 동물 등이 내는 소리가 충분히 큰 경우에는, 상기 소리측정부는 수집된 소리의 증폭을 위한 증폭기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본원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측정부가 장착된 관찰통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의 관찰통(10)은 하부몸체(13) 및 이를 덮는 뚜껑(11)으로 이루어진 타원기둥 모양이며, 바람직하게, 바닥부(15)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구성된다. 상기 뚜껑(11)의 중앙부는 돋보기(12)로 구성되어, 관찰통(10) 내로 수용되는 생물체를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관찰통(10) 하부몸체(13)의 한 면 상에 마이크용 잭(22)과 이어폰용 잭(21)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소리측정부(2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뚜껑(11)의 둘레를 따라서는 숨구멍(14)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찰통(10)의 바닥부(15)는 관찰통(10)의 다른 부분들과는 달리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바닥부(15)의 저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휴대용 건전지의 장착함이 마련되기 때문이다. 이 건전지와 상기 소리측정부(20)는 도시하지 않은 전선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상기 건전지가 상기 소리측정부(20)에 작동 전압을 인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용 잭(22) 또는 이어폰용 잭(21)에 마이크 또는 이어폰을 꽂음으로써, 상기 소리측정부(20)에는 건전지에 의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찰통(10)은, 뚜껑(11)을 열어 관찰하고자 하는 생물체를 넣고, 그 후 뚜껑(11)을 닫아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통(10) 내부의 생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관찰하고자 하는 생물체의 크기가 비교적 적고, 이를 확대하여 보고자 할 때, 뚜껑(11)에 장착된 돋보기(12)를 통하여 확대하여 볼 수 있다.
관찰하고자 하는 생물체가 식물의 씨앗인 경우에는, 상기 관찰통(10)의 바닥부(15)에 습기를 함유하는 흙 또는 솜을 깔고, 여기에 씨앗을 놓아 발아하는 것을 관찰할 수도 있다.
관찰통(10) 내부 생물이 내는 소리를 듣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용 잭(21)에 도시하지 않은 이어폰을 꽂아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소리를 입력함에 따른 내부 생물의 반응을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크용 잭(22)에 마이크를 꽂아 관찰통(10) 내부로 소리를 입력하고, 육안 및 이어폰을 통하여 그 형태 및 소리를 관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어폰용 잭(21)에는 이어폰과 함께 녹음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관찰통(10) 내부 생물체가 내는 소리를 녹음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이어폰에 컴퓨터 장치를 연결하여, 생물체가 내는 미세 소리를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이하 설명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리측정부(20)의 관찰통(10) 내부로 향하는 기판 상에는, 상기 이어폰용 잭(21) 및 마이크용 잭(22) 바로 옆의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LED 전구(2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구는 마이크 또는 이어폰이 상기 잭들에 장착되는 경우, 마이크 또는 이어폰의 작동 여부를 알려줌과 동시에, 야간에는 관찰통(10) 내부를 비춰주는 조명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상기 전구들은 마이크 또는 이어폰용 잭에 대한 구별을 위하여, 각기 다른 색상의 전구들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관찰통(10)의 바닥부(15)가 다른 부분과는 달리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바닥부(15)를 제외한 관찰통의 몸체와 뚜껑 부분은 투명 아크릴 수지 등으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후 불투명 수지로 별도로 사출성형한 바닥부를 상기 관찰통 몸체 하부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시켜 관찰통을 완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바닥부(15)는 반드시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관찰통의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투명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관찰통의 몸체 전체를 한번에 사출성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관찰통에 장착된 소리측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 에 나타난 선 A-A를 따라 관찰통의 하부몸체만을 절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소리측정부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리측정부(20)는 관찰통(10)의 한 면에 장착되는데, 이는 상기 소리측정부(20) 기판의 크기에 해당하는 개구부를 상기 관찰통(10)의 한 벽면 상에 미리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소리측정부(20) 기판을 끼워 장착한다. 개구부에 소리측정부 기판을 끼우는 바람직한 방법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의 좌우 절단면 상에 일정 개수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소리측정부(20)를 구성하는 기판의 좌우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홈에 끼워질 수 있는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26)들을 형성한 후, 소리측정부(20)의 돌기들을 상기 관찰통(10) 벽면 상에 마련된 개구부의 홈에 끼움으로써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리측정부 기판은 바람직하게 에폭시 PCB 기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칩 및 회로 장치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리측정부 상의 마이크, 스피커, 전구 및 마이크 또는 이어폰용 잭들을 제외한 나머지 기판 전체는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유연한 재료로 감싸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돌기(26)들은 기판을 감싸는 고무 또는 상기 유연한 재료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또는 유연한 재료의 유연성 및 탄성으로 인하여 돌기(26)들을 개구부의 홈에 장착하기가 더욱 용이하고, 또한 홈과 돌기 사이의 밀착감도 더 좋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리측정부(20)를 관찰통(10)에 장착하는 방법은 상기 방법 외에도 당업자에게 알려진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리측정부 기판의 한쪽 면에는 마이크용 잭 및 이어폰용 잭이 부착되고, 반대쪽 면에는 내부소리 수집용 마이크(24), 외부 소리를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23), 및 상술한 마이크용 잭 또는 이어폰용 잭의 작동 여부를 알림과 동시에 관찰통(10) 내부를 밝히는 조명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LED 전구(25)들이 설치된다. 상기 마이크용 잭(22) 및 이어폰용 잭(21)이 장착된 기판이 관찰통의 외부로 향하고, 그 반대쪽 면이 관찰통의 내부로 향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타원기둥 모양의 돋보기가 장착된 소리측정용 관찰통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찰장치 또는 관찰통의 모양은 특정 모양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소형 관찰통은 원통형이나 직육면체 등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뚜껑과 몸체가 별도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의 형태로 구성되되 그 한 벽면이 개폐 가능한 문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미세한 부분을 보다 잘 관찰하기 위하여 뚜껑 중앙에 돋보기를 장착한 관찰통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보다 큰 생물체가 수용되는 관찰통 또는 관찰시설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돋보기를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관찰통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소리측정부(20)를 대형 수족관이나 동물원의 유리로 된 동물 보호시설의 한 벽면 상에 장착함으로써, 관람객이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을 통해 내부 생물체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첫째, 단순히 형상만을 관찰할 수 있었던 종래의 관찰통의 개념에서 벗어나, 미세한 생물체의 소리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린이의 자연 학습에 대한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관찰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생물체가 자발적으로 내는 소리를 듣는 것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마이크를 통하여 소리를 입력하고 그에 대해 생물체가 반응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자연 학습 관찰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관찰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소리측정부를 수족관이나 동물원의 보호 시설 등에 장착함으로써, 관람객이 보다 다양한 생물의 생태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관찰시설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외부에서 내부의 생물체를 관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 생물체가 내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내부 소리 수집용 마이크, 수집된 소리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이로부터 증폭된 소리를 외부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소리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
  2. 외부에서 내부의 생물체를 관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 생물체가 내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내부 소리 수집용 마이크 및 이로부터 수집된 소리를 외부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소리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수신장치는 이어폰용 잭 또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관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측정부가 외부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용 잭 및 상기 입력된 외부 소리를 내부에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욱 포함하는 관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측정부가 마이크용 잭 또는 이어폰용 잭의 작동 상황을 알려주는 전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 생물체를 확대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돋보기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관찰하고자 생물체를 수용하는 하부몸체 및 이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관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하부몸체의 바닥부를 제외한 전체가 투명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돋보기가 장착되고 그 주위로 다수의 숨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바닥부는 불투명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 내에 휴대용 건전지 장착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장치.
KR1020010004890A 2001-02-01 2001-02-01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 KR20010044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890A KR20010044289A (ko) 2001-02-01 2001-02-01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890A KR20010044289A (ko) 2001-02-01 2001-02-01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89A true KR20010044289A (ko) 2001-06-05

Family

ID=1970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890A KR20010044289A (ko) 2001-02-01 2001-02-01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2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76Y1 (ko) * 2011-06-22 2013-08-16 정재운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새소리 감지 수음장치
KR102010041B1 (ko) * 2018-11-13 2019-08-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소리 조절이 가능한 소리곤충 관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76Y1 (ko) * 2011-06-22 2013-08-16 정재운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새소리 감지 수음장치
KR102010041B1 (ko) * 2018-11-13 2019-08-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소리 조절이 가능한 소리곤충 관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0937B2 (en) Transducer for sensing body sounds
US7594859B2 (en) Illuminated golf cup
US20130028433A1 (en) Transducer for sensing actual or simulated body sounds
WO2004058054A2 (en) Transducer for sensing body sounds
US20050123161A1 (en) System for housing an audio system in an aquatic environment
US20100139160A1 (en) Plant pot having soil moisture audio alarm
CN108024839A (zh) 具有声控的外科手术灯的手柄装置及手术灯
US6781049B2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neck mounted light emitting optical display array
AU2014230408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est dete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pest damage
US5818946A (en) Ruggedized solar charged hearing aid
KR20010044289A (ko) 소리측정부를 구비하는 관찰장치
US4428268A (en) Self-contained guitar amplification system
CN212089512U (zh) 一种动物嗅觉功能测评装置
CN208969939U (zh) 教学用具和教学系统
US9561970B2 (en) Audio device for altering water structure
KR102070017B1 (ko) 주위 상황에 반응하는 led 꽃병
CN206532593U (zh) 一种一体式便携发光力度鼓
US20130099894A1 (en) BS meter
CN220541036U (zh) 具空气净化的动植物led培育灯
US9403101B2 (en) Multiple activity toy
US8661730B2 (en) Multifunctional flower container
CN217375459U (zh) 胶囊内窥镜包装盒
KR200497575Y1 (ko) 자연해설 교보재용 큐빅 새집
CN217032589U (zh) 一种珍稀植物适生地生长环境监测装置
CN216122807U (zh) 一种带有rfid读取功能的智能播报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