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782A - Necktie - Google Patents

Neckti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782A
KR20010039782A KR1020000044565A KR20000044565A KR20010039782A KR 20010039782 A KR20010039782 A KR 20010039782A KR 1020000044565 A KR1020000044565 A KR 1020000044565A KR 20000044565 A KR20000044565 A KR 20000044565A KR 20010039782 A KR20010039782 A KR 20010039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guide
knot
locking
slid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효원
Original Assignee
김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원 filed Critical 김효원
Priority to KR102000004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9782A/en
Publication of KR2001003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782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8Neckties using a slide fastener to adjust the neck loo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08Means for forming or tying the kno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4Means for forming and holding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PURPOSE: A necktie is provided of which length is adjustable according to individual's physical condition and which reduces production costs and improves durability. CONSTITUTION: A necktie comprises a locking guidance(110); a knot sphere(100); a necktie ornament member; and a necktie binding member. The locking guidance is locked when both bases of a slide fastener are combined and moved. The knot sphere is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V type separation guidance(120) for winding the necktie ornament member to form knot, and fixing locking guidance to the front of the separation guidance.

Description

넥타이{Necktie}Necktie {Necktie}

본 발명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바탕재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잠금 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바탕재가 분리되어 이동하고 넥타이 꾸밈요소를 감아 매듭부를 형성하기 위한 V자형 분리 안내부를 별개로 성형하며, 상기 분리 안내부의 전방부에 상기 잠금 안내부를 조립 고정시켜 일연체로 형성되는 넥타이 매듭구와, 착용시 전방으로 보이게 되는 넥타이 꾸밈요소와, 후방으로 가려지게 되는 넥타이 묶음요소를 결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금형 비용을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며,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뿐아니라, 몸체에 일체로 형성한 클립에 의해 여러가지 형태의 넥타이를 여러가지 방식으로 간편하고 좋은 모양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넥타이의 길이를 신체적 조건 및 취향에 따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and in particular, a locking guide portion which is locked while both base materials of the slide fastener are combined and moved, and a V-shaped separation guide for separating and moving both base materials of the slide fastener and winding a tie decoration element to form a knot. Forming the parts separately, the tie knots formed in a unitary body by assembling and fixing the locking guide to the front of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the tie ornament element to be seen in front when worn, and the tie tie element to be hidden behind To improve productivity, reduce mold cost, reduce manufacturing cost, improve service life, and use various types of ties in a simple and good shape by clips integrally formed on the body. , Adjust the length of the tie to suit your physical condition and taste It will open on to wear a tie.

종래의 넥타이는 하나의 소재로 재단된 섬유소재로 형성되고, 일단부는 넓고 타단부는 좁은 테이퍼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상의 넥타이는 목에 루프형으로 걸치고 중간부에 매듭부를 형성하여 통상 대검부라 불리우는 폭이 넓은 부분이 앞으로 보이고, 소검부라 불리우는 폭이 좁은 부분이 뒤에 감춰지도록 착용하게 된다.Conventional tie is formed of a fiber material cut in one material, one end is wide and the other end is formed long narrow tapered. 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tie is worn in a loop shape on the neck and forms a knot in the middle so that a wide part called a bayonet part is seen in front and a narrow part called a dagger part is hidden behind.

이와 같은 통상의 넥타이는 착용할 때 마다 매듭부를 형성하여 착용하고, 착용한 후에는 매듭부를 풀어 보관하여야 하므로 착용하기가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 앞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일정하게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mmon tie is formed by wearing a knot every time it is worn, and after wearing it, the knot must be released and stored, which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wear, and it is difficult to constantly adjust the length of the exposed part. There was this.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넥타이를 폭이 넓은 부분과 폭이 좁은 부분으로 분리하고, 매듭구를 이용하여 매듭을 쉽게 형성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넥타이」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ie" has been developed and spread so as to separate the tie into a wide portion and a narrow portion, and to easily form and wear a knot using a knot.

이와 같은 「넥타이」의 일 예로서, 미국 특허4,710,982호에는 슬라이드 수단을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개구부를 가지는 매듭구, 상기 매듭구에 달려있는 전방 타이요소,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연장되는 하단부를 가지고 목묶음 루프부를 가지는 후방 타이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tie", U.S. Patent 4,710,982 has a neck fastening loop having a slide fastener having a slide means, a knot having an opening, a front tie element depending on the knot, and a lower end extending through the opening. It consists of a rear tie element with a par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후방 타이요소와 같은 재질의 보더로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가 후방 타이요소의 내측변부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인터록 요소를 잠그거나 풀기 위한 슬라이더가 상기 매듭구의 혀부분에 상기 전방 타이요소의 상단부와 함께 리벳으로 고정되며, 매듭구의 내부에는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판스프링이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a slide fastener composed of a bord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ront and rear tie elements is se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edge of the rear tie element, and a slid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interlock element of the slide fastener is a tongue of the knot. A portion of the front tie element is secured by rivets together with the upper end of the front tie element, and the inside of the knot is configured to have a leaf spring coupled to prevent it from flowing down.

이와 같은 종래의 「넥타이」는 착용시 매듭구에 삽입 연결된 후방 타이요소의 목묶음 루프부를 목에 걸치고, 상단부가 매듭구에 리벳으로 고정된 전방 타이요소를 매듭구에 감아 매듭을 형성한 후, 후방 타이요소의 하단부를 잡아 당기면 후방 타이요소에 연결된 슬라이드 파스너가 매듭구에 결합된 슬라이더에 의해 잠겨지면서 목묶음 루프부의 싸이즈가 조절되면서 착용된다.Such conventional `` tie '' has a neck tie loop of the rear tie element connected to the knot when worn, and the front tie element whose upper end is riveted to the knot is wound around the knot to form a knot. Pulling the lower end of the rear tie element, the slide fastener connected to the rear tie element is locked by the slider coupled to the knot and worn while adjusting the size of the neck loop.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넥타이」는 전방 타이요소를 매듭구에 감아 매듭을 형성할 수 있고, 매듭구에 대하여 후방 타이요소를 당겨 목묶음 루프부의 싸이즈를 조절할 수 있으며, 매듭구를 이용하여 매듭을 한 번 형성하여 놓으면 넥타이를 착용할 때 마다 매듭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착용하기가 편리하다.Therefore, such a conventional "tie" can form a knot by winding the front tie element around the knot, and can adjust the size of the neck tie loop portion by pulling the rear tie element against the knot, and using the knot. Once formed, it is convenient to wear because there is no need to form a knot every time you wear a tie.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고 제94-5619호에는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에 역삼각형의 매듭부를 형성하는 대폭띠와, 슬라이드 파스너를 가지고 목둘레부를 형성하는 소폭띠와, 상기 매듭부에 내장되어 그 매듭부의 형태를 고정하고 상기 목둘레부의 길이 조절시 안내 역할을 하는 매듭구로 구성된 「넥타이」가 알려지고 있다.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Publication No. 94-5619 discloses a wide band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worn and forms an inverted triangle knot on the upper part, a narrow band that forms a neck circumference with a slide fastener, and is embedded in the knot part. The "tie" consisting of the knot which fixes the shape of the knot part and serves as a guide w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aid neck part is know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듭구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삼각형상의 전방덮개와 후방덮개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결합된 양측방에는 상기 목둘레부가 안내되어지도록 형성된 한쌍의 안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덮개의 하단부에는 슬라이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 안착부에 슬라이더의 견인탭이 그 안착부의 홈에 결합되어 슬라이더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 덮개의 중앙하측부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후방 덮개에는 각각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그 스프링 홈에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안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목둘레부를 누르도록 된 판스프링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knot sphere is formed by combining a triangular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combined side is provided with a pair of guides formed to guide the neck circumference,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slider A seat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slider tab is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lider is installed, and a spring groove is formed in each of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corresponding thereto. The spring groov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both end portions are positioned at the pair of guide portions and plate leaf springs are pressed to press the neck circumference portion.

이와 같은 「넥타이」는 상기 미국 특허4,710,982호의 지퍼 넥타이의 개량 형태로서, 대폭띠를 매듭구에 감아 매듭을 형성할 수 있고, 매듭구에 대하여 소폭띠를 잡아 당겨 목둘레부를 조절할 수 있으며, 매듭구를 이용하여 매듭을 한 번 형성하여 놓으면 넥타이를 착용할 때 마다 매듭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착용하기가 편리하다. 그리고, 매듭구에 형성한 슬라이더 안착부에 슬라이더를 결합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의 결합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다.Such a "tie" is an improved version of the zipper tie of US Pat. No. 4,710,982, which can be wound around a knot, forming a knot, and pulling a narrow band against the knot to adjust the neck circumference. Once the knot is formed using the tie, it is convenient to wear because there is no need to form a knot every time you wear a tie. Since the slider is coupled to the slider seat portion formed in the kno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lider can be simplified.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지퍼 타입 넥타이, 즉 「넥타이」들은 합성수지재 매듭구와 금속재 슬라이더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슬라이더를 매듭구에 리벳으로 고정하거나, 홈에 끼워 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구성이 복잡할 뿐아니라, 생산성이 떨어지고,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zipper type ties, that is, `` tie '', are made of synthetic knots and metal sliders separately, and the sliders are riveted to the knots or inserted into grooves, so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Ra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the cost is increased.

또, 종래 「넥타이」는 매듭구의 내부에 판스프링을 결합하여 매듭구가 후방 타이요소 및 소폭띠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바, 매듭구와 판스프링을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결합한 것이므로 구성이 더욱 복잡할 뿐아니라, 생산성이 더욱 떨어지고, 원가가 더욱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ie" is combined with the leaf spring inside the knot to prevent the knot from flowing down from the rear tie element and the narrow strip, so that the knot and the leaf spring are formed separately to combine, so the configuration is more complicated.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further lowered, the cost is further increased.

더욱이, 후자에 설명한 「넥타이」는 소폭 띠를 매듭구에 대하여 잡아 당김으로써 소폭 띠의 목둘레부의 싸이즈를 조절하는 때에, 두 갈래로 갈라진 소폭띠의 양쪽부분이 슬라이더와 매듭구의 양쪽 안내부의 사이를 이동하면서 쭈글쭈글하게 휘어진 형태로 협소한 통로를 따라 이동하고, 또 매듭구 내부에 결합된 판스프링에 의해 강한 제동력을 받으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소재 천이 심한 마찰을 받게 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넥타이를 착용하게 되면 소폭 띠에 결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오돌토돌한 요철부가 앞으로 보이게 되어 모양이 부드럽지 않고, 그 요철부가 상측으로 향하여 목둘레에 접촉되므로 착용시 압박감을 느끼게 하며, 이에 따라 착용감이 나쁘고 활동하기가 부드럽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the `` tie '' described in the latter adjusts the size of the narrow circumference of the neck by pulling the narrow belt against the knot, so that the two parts of the bifurcated narrow band between the slider and the both guides of the kn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cloth is severely rubbed and damaged because it moves along a narrow passage in a crooked shape while moving, under strong braking force by a leaf spring coupled inside the knot. This makes the bumpy bumps on the slide fasteners coupled to the narrow strips look forward, so the shape is not smooth, and the bumps touch the neck toward the upper side, making them feel pressured while wearing them. There was a problem that prevented.

특히, 전자와 후자에 설명한 「넥타이」들은 전방 타이요소 및 대폭띠, 즉 대검부의 상단부를 매듭구에 리벳으로 고정하거나,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정한 후, 매듭구에 감아 매듭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넥타이」를 소비자가 구입한 후에는 분리할 수 없게 되어 넥타이의 대검부 길이를 항상 동일하게 착용하여야 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넥타이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착용자 각자의 체형, 취향 및 개성이 무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ties" described in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designed to rivet the front tie element and the wide band, i.e., the upper end of the bayonet to the knot, or to be glued and fixed, and then wound around the knot to form a knot. After purchasing a tie, it is impossible to remove the tie, so the length of the bayonet of the tie should always be the same, and the user cannot adjust the length of the tie according to his or her body type and taste.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earer's body shape, taste and personality are ignored.

통상 넥타이는 무늬, 색상, 질감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보급되고, 넥타이를 착용하는 방식도, 좁게 매기, 넓게 매기, 2번 매기, 3번 매기, 왼쪽으로 치우쳐 매기, 등 십 수가지의 착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종래의 「넥타이」는 대검부가 매듭구에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보급되기 때문에, 한번 구입한 후에는 구입한 형태 대로 일률적으고 착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결국 넥타이의 다양한 종류 및 착용 방식이 전혀 무시되는 것으로, 개성이 강조되어야 할 패션의식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Usually, neckties are sprea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attern, color, and texture, and the manner of wearing the necktie is narrow, wide, long, two times, three times, and lef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ie", since the bayonet portion is fixedly spread on the knot and is widely spread, there is a problem that it must be uniformly worn as purchased form after purchase. Ignored at all,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not suitable for the fashion consciousness to emphasize the individuality.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부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잠금 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부가 분리되어 이동하는 분리 안내부를 일체로 한 매듭구와; 상기 매듭구에 상측부가 감겨져 매듭부를 형성하는 넥타이 꾸밈요소와; 상기 매듭구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부가 고리형 묶음부의 양쪽부 내측 변부에 부착되는 넥타이 묶음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넥타이를 안출하여 199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3638호로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and defects as described above, a knotting unit which incorporates a locking guide part which is locked while both parts of the slide fastener are combined and moves, and a separation guide part which separates and moves both parts of the slide fastener; A tie embellishment element wound on an upper portion of the knot to form a knot; The tie was connected to the knot and the tie was formed comprising a tie tie element which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both sides of the annular bundle portion of the slide fasteners and was registered and registered in 1997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33638. .

상기 선출원한 넥타이의 매듭구는 합성수지 사출성형재로서 넥타이 꾸밈요소가 감겨져 매듭부를 형성하는 몸체에 넥타이 묶음요소의 고리형 묶음부의 양쪽부와 그 내측에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부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잠금 안내부와, 상기 고리형 묶음부의 양쪽부와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부가 분리되어 이동하는 분리 안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knot of the elected tie is a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material, which is locked while moving by combining the both sides of the annular bundle of the tie bundle element and the both sides of the slide fastene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ody in which the tie decoration element is wound to form the knot. The guide part, and the separation guide part which moves by separating both parts of the said annular bundle part and the slide fastener, are formed integrally.

이와 같은 넥타이는 생산, 조립성이 양호하고,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이 대폭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 여러가지 형태의 넥타이를 여러가지 방식으로 간편하고 좋은 모양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넥타이의 길이를 신체적 조건 및 취향에 따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uch a tie is good in production and assembly,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the product, and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extending the service life by preventing damage caused by friction.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tie can be worn in a variety of ways in a simple and good shap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wor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ie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s and tastes.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출원 넥타이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바탕재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잠금 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바탕재가 분리되어 이동하고 넥타이 꾸밈요소를 감아 매듭부를 형성하기 위한 V자형 분리 안내부를 일체로 사출성형한 것이므로, 매듭구 잠금 안내부와 분리 안내부의 형태를 하나의 사출성형금형으로 성형할 수는 있으나, 형상이 복잡하여, 단순한 상하 분리형 금형 또는 좌우 분리형 금형으로 제조하지 못하고, 분리 안내부의 분리 안내로, 안내리브와 잠금 안내부의 협지홈, 통과홈, 안내돌부 등의 복잡한 형상을 만들기 위하여 복잡한 사이드 코어의 채용이 요구되고, 하나의 금형에 형성할 수 있는 캐비티 개수가 적게 되어 생산속도가 떨어지고 사출성형 비용이 증가할 뿐아니라, 금형 비용도 높게 되어 원가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pplication tie has a locking guide that is locked while both base members of the slide fastener are combined and moved, and a V-shaped separation guide for moving both base materials of the slide fastener to move and wind the tie decoration element to form a knot. Since the part is integrally injection molded, the shape of the knot locking guide and the separating guide can be formed into one injection molding mold, but the shape is complicated, and thus, the mold cannot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 vertical separation mold or a left and right separation mold. As a separate guide of the guide, it is required to adopt a complicated side core to make a complicated shape such as the clamping groove, the passage groove, the guide protrusion of the guide rib and the locking guide, and the number of cavities that can be formed in one mold is reduced. Not only are they slowing down, the cost of injection molding is high, and mold costs are high. As a result, the cost burden has emerged.

뿐만아니라, 매듭구가 잠금 안내부와 분리 안내부를 일체로 가지는 하나의 물품으로 형성된 관계로 고급형, 중급형, 보급형 등 여러가지 모델의 슬라이드 파스너 넥타이를 제조함에 있어서도 설계자유도 및 응용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knot is formed of a single article having the locking guide and the separating guide unit integrally, the design freedom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slide fastener tie are reduced in manufacturing various types of slide fastener ties such as high-end, intermediate-type, and low-end type.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종래 여러가지의 넥타이 매듭구와 선출원한 넥타이 매듭구의 장점을 모아서,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바탕재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잠금 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바탕재가 분리되어 이동하고 넥타이 꾸밈요소를 감아 매듭부를 형성하기 위한 V자형 분리 안내부를 별개로 사출성형하여, 상기 분리 안내부의 전방부에 상기 잠금 안내부를 조립 고정시켜 일연체로 형성되는 넥타이 매듭구 및 이를 이용한 넥타이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efects and problems, and collects the advantages of the various tie knots and the previously-declared tie knots, so that both base materials of the slide fastener are combined and locked while moving. The base member of the slide fastener is separated and moved, and separately injection-molded V-shaped separating guide for forming a knot by winding a tie decoration element, and assembling and fixing the locking guide to the front part of the separating gui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e knot formed therein and a tie using the sam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바탕재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잠금 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바탕재가 분리되어 이동하고 넥타이 꾸밈요소를 감아 매듭부를 형성하기 위한 V자형 분리 안내부를 별개로 사출성형하여, 상기 분리 안내부의 전방부에 상기 잠금 안내부를 조립 고정시켜 일연체로 형성되는 매듭구와; 상기 매듭구에 상측부가 감겨져 매듭부를 형성하는 넥타이 꾸밈요소와; 상기 매듭구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바탕재가 고리형 묶음부의 양쪽부 내측 변부에 부착되는 넥타이 묶음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넥타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king guide part which is locked while both base materials of the slide fastener are combined and moved, and a V-shaped shape for forming a knot by moving both base materials of the slide fastener separately and winding a tie decoration element. A knotting tool formed by a separate body by separately injection molding the separation guide, and assembling and fixing the locking guide to the front portion of the separation guide; A tie embellishment element wound on an upper portion of the knot to form a knot; And a tie tie element coupled to the knot and attached to both inner sides of the annular bundle of both base members of the slide fastener.

그리고, 매듭구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바탕재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잠금 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바탕재가 분리되어 이동하고 넥타이 꾸밈요소를 감아 매듭부를 형성하기 위한 V자형 분리 안내부를 별개로 사출성형하여, 상기 분리 안내부의 전방부에 상기 잠금 안내부를 조립 고정시켜 일연체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knot is injection molded separately from the locking guide that is locked while the two base members of the slide fastener are combined and moved, and the V-shaped separating guide unit for forming the knot by moving the base material of the slide fastener separately and winding the tie decoration element. By assembling and fixing the lock guide to the front portion of the separation guide is composed of a unitary body.

상기 잠금 안내부는 선단 하측부에 형성되며 슬라이드 파스너의 양쪽 걸림체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협지홈과, 선단 상측부에 형성되며 슬라이드 파스너가 상기 협지홈을 통하여 안정하게 이동하면서 잠겨지도록 안내하는 안내돌부와, 상기 협지홈과 안내돌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형 묶음부를 안정하게 통과시키는 통과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ocking guide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ip and the gripping groove which is locked while the two fasteners of the slide fasteners move together, and the guide protrusion which is formed on the top side and guides the slide fastener to be locked while moving stably through the gripping groove; It is formed between the gripping groove and the guid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ssing groove for stably passing the annular bundle.

상기 매듭구의 잠금 안내부와 분리 안내부는 상기 매듭구의 앞부분을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전방부는 잠금 안내부가 되고, 후방부는 분리 안내부가 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 안내부와 분리 안내부에는 서로 접합되는 평편한 접합면이 형성되고, 양쪽 접합면에는 복수개의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양쪽 잠금 안내부와 분리 안내부가 돌기와 홈을 끼워맞춤하여 결합된다.The locking guide and the separating guide of the knot ar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no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ront part is configured to be a locking guide, and the rear part is configured to be a separating guide. The locking guide and the separating guide are joined to each other. A flat joining surfac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and grooves are formed on both joining surfaces, and both the locking guide portion and the separating guide portion are engaged by fitting the protrusions and the grooves.

상기 잠금 안내부는 안내편과 안내돌부가 분기돌부로 일체로 연결된 바닥 연장부, 내벽 연장부 및 외벽 연장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협지홈, 통과홈 및 걸림체 연장 안내홈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 안내부와 분리 안내부에는 서로 접합되는 평편한 접합면이 형성되고, 양쪽 접합면에는 복수개의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양쪽 잠금 안내부와 분리 안내부가 돌기와 홈을 끼워맞춤하면서 접합면을 접착함에 의해 결합된다.The locking guide is provided with a bottom extension, an inner wall extension, and an outer wall extension in which the guide piece and the guide protrusion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ranch protrusion, and are provided with a gripping groove, a passage groove, and a locking body extension guide groove. A flat joining surface that is joined to each other is formed in the separation guide,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and grooves are formed on both joining surfaces, and both locking guides and the separating guide are joined by bonding the joining surface while fitting the projections and the grooves.

본 발명에 의한 매듭구의 다른 형태는 상기 분리 안내부의 하측부가 개구되고, 분리 안내로의 외벽 내면에 안내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 안내부의 전방부에 결합돌부가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돌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 안내부의 하나인 슬라이더의 연결편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편의 결합공에 상기 결합돌부의 고정돌기가 끼워져 결합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ng guide portion is opened, the guide rib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of the separating guide passage, and the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separating guide portion, and the fixing protrusion on the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iece of the slider which is one of the locking guide portion,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connection piece is coupled.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한 매듭구는 상기 분리 안내부의 전방부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의 하면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연결편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돌부의 고정공을 일치시켜 고정핀을 압입시켜 결합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hole is formed at a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separation guide, and the fixing pin is formed by matching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piece of the slider with the fixing hole of the engaging protrusion. It is press fit.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한 매듭구는 상기 분리 안내부의 전방부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이 하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연결편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워진 나사로 상기 나사홈에 체결하여 슬라이더가 결합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w groov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separation guide, and the slider is fastened to the screw groove by a screw inserted into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ion piece of the slider. Combined.

상기 잠금 안내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거나,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 슬라이드 파스너의 슬라이더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The locking guide portion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generally may use a slider of a slide fastener.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 넥타이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1 to 8 is a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e,

도 1은 매듭구가 결합된 넥타이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tie with a knot.

도 2는 매듭구가 결합된 넥타이의 부분 절결 단면도.2 is a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a tie with a knot.

도 3은 매듭구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knot.

도 4는 매듭구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a knot.

도 5는 도 3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FIG. 3;

도 6은 매듭구의 분해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knot.

도 7은 도 4의 A - A선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FIG.

도 8은 도 4의 B - B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4.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듭구의 분해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n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10b, 10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듭구의 분해사시도.Figure 10a, 10b, 10c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knot sphe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 : 넥타이 10 : 넥타이 꾸밈요소1: tie 10: tie embellishment

11 : 매듭부 20 : 넥타이 묶음요소11: knot part 20: tie bundle element

21 : 고리형 묶음부 30 : 슬라이드 파스너21: annular bundle 30: slide fastener

31 : 바탕재 32 : 걸림체31: background material 32: jammed body

100 : 매듭구 110 : 안내부100: knot 110: guide

110b : 접합면 110a : 돌기110b: junction surface 110a: projection

110 : 잠금 안내부 111a : 요철부110: locking guide 111a: uneven portion

112 : 안내돌부 113 : 통과홈112: guide protrusion 113: passing groove

120 : 분리 안내부 114 : 슬라이더120: separation guide 114: slider

114a : 연결편 114b : 결합공114a: connecting piece 114b: coupling hole

115 : 고정핀 116 : 나사115: fixing pin 116: screw

120a : 홈 120b : 접합면120a: groove 120b: joint surface

120c : 지지돌편 121 : 분기돌부120c: support protrusion 121: branch protrusion

122 : 분리 안내로 122a : 걸림체 안내홈122: separation guideway 122a: locking body guide groove

122b : 걸림체 연장 안내홈 123 : 내벽122b: guide extension groove 123: inner wall

123a : 내벽 연장부 124 : 외벽123a: inner wall extension 124: outer wall

124a : 외벽 연장부 125a : 바닥 연장부124a: outer wall extension 125a: floor extension

125 : 바닥부 126 : 통체125: bottom 126: cylinder

126a : 보강 연결부 127 : 안내리브126a: reinforcing connection 127: guide rib

130 : 클립 128 : 결합돌부130: clip 128: coupling protrusion

128a : 고정돌기 128b : 고정공128a: fixing protrusion 128b: fixing hole

128c : 나사홈 134 : 걸림간128c: screw groove 134: intermittent

131,133 : 걸림편 132,135 : 틈새131,133: hanging piece 132,135: gap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 넥타이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1에는 매듭구가 결합된 넥타이의 정면도, 도 2에는 매듭구가 결합된 넥타이의 부분 절결 단면도를 각각 도시되고, 도 3에는 매듭구의 평면도, 도 4에는 매듭구의 정면도, 도 5에는 매듭구의 측면도, 도 6에는 매듭구의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8에는 도 4의 B - B선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1 to 8 is a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e, 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tie coupled to the knot, Figure 2 is a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tie coupled to the knot, respectively,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knot,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knot, FIG. 5 is a side view of the knot,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knot,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4 is shown, respectively.

먼저,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도면에서 1은 넥타이를 보인 것으로, 이 넥타이(1)는 넥타이 꾸밈요소(10)와 넥타이 묶음요소(20)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and FIG. 2, in the drawing, 1 shows a tie, and the tie 1 is formed by separating the tie ornament 10 and the tie tie 20.

상기 넥타이 묶음요소(20)는 고리형 묶음부(21)가 형성되고,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에 슬라이드 파스너(30)의 바탕재(31)가 결합되어 이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가 매듭구(100)에 삽입되어 있으며, 넥타이 묶음요소(20)는 상측부가 매듭구(100)의 외측으로 감겨져 매듭부(11)가 형성되어 있다.The tie bundle element 20 has a ring-shaped bundle 21 is formed, the base member 31 of the slide fastener 3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ing-shaped bundle 21 is coupled to this ring-shaped bundle ( Both sides of the 21 are inserted into the knot 100, and the tie bundle element 20 has an upper portion wound to the outside of the knot 100 so that the knot 11 is formed.

상기 매듭구(100)는, 넥타이 꾸밈요소(10)가 감겨져 매듭부(11)를 형성하는 몸체에 넥타이 묶음요소(20)의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와 그 내측에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잠금 안내부(110)와, 상기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와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분리되어 이동하는 분리 안내부(120)가 서로 분리 성형되어 일연체로 결합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knot 100 is a slide attached to both sides and the inside of the annular bundle 21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on a body in which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is wound to form the knot 11. Locking guide portion 110 which is locked while both base material 31 of the fastener 30 is moved together, both base material 31 of the ring-shaped bundle 21 and both base material 31 of the slide fastener 30 Separation guide portion 120 that is separated and moved is formed in a configuration formed by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mbined into a unitary body.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30)는 상기 매듭구(100)의 분리 안내부(120)에 결합되는 잠금 안내부(110)와, 상기 고리형 묶음부(21)의 내측부에 부착됨과 아울러 다수개의 걸림체(32)가 내측변부에 배열 고정된 바탕재(31)로 이루어지고, 넥타이 묶음요소(20)를 하측으로 당기거나 상측으로 당김에 따라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에 부착된 양쪽 바탕재(31)의 걸림체(32)가 잠금 안내부(110)에 의해 잠겨지거나 풀어지게 되며, 여기서 잠금 안내부(110)는 통상 슬라이드 파스너의 슬라이더의 역할을 하게 된다.The slide fastener 30 is attached to the locking guide 110 coupled to the separation guide 120 of the knot 100 and the inner side of the annular bundle 21 and a plurality of locking bodies ( 32 is composed of a base member 31 fixed to the inner side and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annular bundle portion 21 as the tie bundle element 20 is pulled downward or pulled upward. The locking body 32 of 31 is locked or released by the locking guide 110, where the locking guide 110 serves as a slider of a slide fastener.

상기 매듭구(100)의 잠금 안내부(110)와 분리 안내부(120)는 각각 별개의 단품으로 사출성형되고, 성형된 후 조립 고정된다.The locking guide 110 and the separating guide 120 of the knot 100 are each injection molded into separate pieces, molded and assembled.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잠금 안내부(110)는 매듭구(100)의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체(32)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협지홈(111)과, 슬라이드 파스너(30)의 바탕재(31)가 상기 협지홈(111)을 통하여 안정하게 이동하면서 잠겨지도록 안내하는 안내돌부(112)와, 상기 협지홈(111)과 안내돌부(112) 사이에 상기 고리형 묶음부(21)를 안정하게 통과시키는 통과홈(1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 to 8, the locking guide 110 may move by combining the locking bodies 32 coupled to both base members 31 of the slide fastener 30 of the knot 100. While holding the gripping groove 111 and the base member 31 of the slide fastener 30 is guided to be guided to be locked while moving stably through the gripping groove 111 and the gripping groove 111 ) Is forme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112 and the passage groove 113 for stably passing the annular bundle (21).

또, 상기 분리 안내부(120)는 매듭구(100)에 상기 협지홈(111)으로 부터 서로 분리되어 점차 벌어지고 상기 고리형 묶음부(21)와 슬라이드 파스너(30)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V형 분리 안내로(122)와, 상기 양쪽 분리 안내로(122)의 선단 분기점에 위치하는 분기돌부(121)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guide 120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from the gripping groove 111 in the knot 100 to gradually open and guides the annular bundle 21 and the slide fastener 30 to move smoothly. It consists of a V-shaped separation guideway 122 and the branching protrusions 121 which are located at the leading end points of the both separation guideway (122).

상기 잠금 안내부(110)의 협지홈(111)과 통과홈(113)은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수평으로 통과하도록 전면에서 보아 각각 "┗┛"형 및 "━"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분리 안내로(122)는 상기 고리형 묶음부(21)와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수직으로 통과하도록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gripping groove 111 and the passage groove 113 of the locking guide 110 are viewed from the front so that both of the base member 31 of the slide fastener 30 passes horizontally, respectively, "┗┛" type and "━". In addition to being formed in a shape, the separation guide path 122 is formed in a "┃" shape so that both the base member 31 of the annular bundle portion 21 and the slide fastener 30 passes vertically.

상기 분리 안내로(122)는 내벽(123), 외벽(124) 및 바닥부(125)로 이루어지는 통체(126)의 내부에 구비되고, 통체(126)의 내측에 안내리브(127)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리브(127)의 하측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30)의 걸림체(32)가 이동하도록 걸림체 안내홈(122a)이 형성되어 있다.The separation guide path 122 is provided inside the cylinder 126 including the inner wall 123, the outer wall 124, and the bottom portion 125, and the guide rib 127 is formed inside the cylinder 126. In addition, a locking body guide groove 122a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guide rib 127 to move the locking body 32 of the slide fastener 30.

상기 안내리브(127)의 전방부는 상기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가 분리 안내로(122)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만곡부(127a)로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리브(127)의 내주면에는 슬라이드 파스너(30)의 바탕재(31)에 힘을 가하여 안정하게 이동하도록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of the guide rib 127 is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127a so that both sides of the annular bundle 21 move smoothly along the separation guide path 122, and a slid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ib 127. The uneven portion may be formed to stably move by applying a force to the base material 31 of the fastener 30.

또한, 매듭구(100)의 몸체는 상부에서 보아 V자형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전방부는 측면에서 보아 선단부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점차 높아지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dy of the knot 100 is formed in a V-shape viewed from the top,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view.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사출성형재 매듭구는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에 각각 부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분리 안내로(122)의 양쪽부에 각각 삽입되고, 양쪽 바탕재(31)의 걸림체(32)가 잠금 안내부(110)의 협지홈(111)에 삽입되어, 넥타이 묶음요소(20)의 하측부를 잡고 아래로 당기면 양쪽 바탕재(31)의 걸림체(32)가 서로 잠기게 되고, 넥타이 묶음요소(20)의 상측부를 잡고 위로 당기면 양쪽 바탕재(31)의 걸림체(32)가 분리되며, 이와 같이 넥타이 묶음요소(20)를 위, 아래로 당김에 의해 고리형 묶음부(21)의 내경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넥타이 꾸밈요소(10)의 상측부가 매듭구(100) 몸체의 외측으로 감겨져 매듭부(11)가 미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고리형 묶음부(21)를 목에 걸치고 매듭부를 형성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kn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oth the base material 31 of the slide fastener 30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annular bundle portion 21 is separated guideway 122 )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both sides, and the locking body 32 of both the base member 31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groove 111 of the locking guide portion 110, so as to hold the lower portion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When pulled, the locking bodies 32 of both base members 31 are locked to each other, and when the upper side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is held and pulled up, the locking bodies 32 of both base members 31 are separated, and thus the tie By pulling up and down the bundle element 2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annular bundle 21. And,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is wound outside the body of the knot 100, the knot 11 is formed in advance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hook the annular bundle 21 around the neck and form a knot. I can wear it easily.

즉, 넥타이(1)를 착용할 때에는 넥타이 묶음요소(20)의 고리형 묶음부(21)를 사용자의 목에 걸친 후, 매듭부(11)를 한 손으로 잡고 넥타이 묶음요소(20)의 하단부를 잡아 당기면 넥타이 묶음요소(20)의 양쪽부가 잠금 안내부(110)를 통과하면서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의 걸림체(32)가 서로 물려 고정되며, 고리형 묶음부(21)가 좁아져 사용자의 목에 안정하게 묶여진다.That is, when the tie 1 is worn, the annular bundle 21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is placed over the user's neck, and the lower end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is held by holding the knot 11 with one hand. Pulling out and the both ends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passes through the locking guide 110, the locking body 32 of both the base member 31 of the slide fastener 30 is fixed to each other, the ring-shaped bundle ( 21) is narrowed down and securely tied to the user's neck.

이와 같이 하여 넥타이(1)를 착용하고 활동한 후, 넥타이(1)를 다시 풀고자 하는 경우 매듭구(100)를 하측으로 잡아 당기면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가 분리 안내부(120)의 협지홈(111)에서 양쪽 분리 안내로(122)를 타고 이동되면서 풀어져 넓어지므로 넥타이(1)을 쉽게 벗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벗어 놓은 넥타이(1)이는 다음 착용시에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In this way, after wearing and activating the tie (1), if you want to loosen the tie (1) again pull the knot 100 to the lower side both ends of the annular bundle 21 is separated guide portion 120 It is possible to easily take off the tie (1) because it is loosened and widened while moving along the separation guideway (122) in the gripping groove 111 of the. Then, the tie (1) removed in this way can be easily worn in the same manner as above even during the next wearing.

상기 매듭구(100)의 잠금 안내부(110)와 분리 안내부(120)는 일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매듭구(100) 몸체의 앞부분을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전방부는 잠금 안내부(110)가 되고, 후방부는 분리 안내부(120)가 된 형태이다.Locking guide 110 and the separation guide 120 of the knot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the front portion of the kno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ut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locking guide 110 ), And the rear portion is a separation guide portion 120.

상기 잠금 안내부(110)는 안내편(128)과 안내돌부(112)가 분기돌부(121)로 일체로 연결된 바닥 연장부(125a), 내벽 연장부(123a) 및 외벽 연장부(124a)가 구비됨과 아울러 협지홈(111), 통과홈(113) 및 걸림체 연장 안내홈(122b)이 구비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 안내부(110)와 분리 안내부(120)에는 서로 접합되는 평편한 접합면(110b),(120b)이 형성되고, 양쪽 접합면(110b),(120b)에는 복수개의 돌기(110a)와 홈(120a)이 형성되어, 양쪽 잠금 안내부(110)와 분리 안내부(120)를 돌기(110a)와 홈(120a)을 끼워맞춤하면서 접합면(110b),(120b)을 접착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The locking guide 110 has a bottom extension 125a, an inner wall extension 123a, and an outer wall extension 124a in which the guide piece 128 and the guide protrusion 112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ranch protrusion 121. In addition, the gripping groove 111, the passage groove 113, and the locking body extension guide groove 122b are formed, and the locking guide 110 and the separation guide 120 are joined to each other. Flat joining surfaces 110b and 120b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110a and grooves 120a are formed on both joining surfaces 110b and 120b to separate the lock guides 110 from both sides. The joining surfaces 110b and 120b are adhered and fixed while fitting the guide portion 120 into the protrusions 110a and the grooves 120a.

또, 상기 매듭구(100)의 몸체에는 도 2와 같이, 클립(130)이 구비되어 넥타이 꾸밈요소(1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클립(130)은 필요시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별도 제조되어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of the knot 100 is provided with a clip 130, as shown in Figure 2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is inserted and caught, the clip 130 is optionally May be applied and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ttached.

이 클립(130)에는 예를 들어 매듭구(100) 몸체의 후방부에 일측 내벽(123)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걸림편(131)이 이용되며, 상기 걸림편(131)과 내벽(123) 사이의 틈새(132)는 넥타이 꾸밈요소(10)의 상측부가 긴밀하게 끼일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좋고, 걸림편(131)의 내면에는 보다 타이트하게 끼일 수 있도록 엠보싱 돌기를 형성할수도 있다.The clip 130 is used, for example, the engaging piece 131 is formed parallel to the one side inner wall 123 in the rear portion of the knot 100 body, between the engaging piece 131 and the inner wall 123 The gap 132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is tightly sandwiche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131 to form a tighter embossing projec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넥타이(1) 착용시에는 도 2에서 매듭구(100)를 한 손으로 잡고, 넥타이 묶음요소(20)의 하측부를 다른 손으로 잡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가 매듭구(100)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분리 안내부(120)의 양쪽 분리 안내로(122)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매듭구(100)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잠금 안내부(110)의 협지홈(111)과 안내돌부(112)를 통과하면서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합쳐져 양쪽 걸림체(32)가 견고하게 잠겨지게 된다.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when wearing the tie (1) in Figure 2 hold the knot 100 with one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by the other hand to move to the lower side When both ends of the annular bundle 21 is moved downwardly along both separation guides 122 of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1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of the knot 100 to the body of the knot 100. While passing through the gripping groove 111 and the guide protrusion 112 of the integrally formed locking guide 110, both base members 31 of the slide fastener 30 are combined so that both locking bodies 32 are firmly locked. .

그리고, 넥타이(1)를 벗을 경우에는 넥타이 묶음요소(20)의 하측부를 한 손으로 잡아 당기면서 다른 손으로 매듭구(100)를 잡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가 잠금 안내부(110)의 협지홈(111)과 안내돌부(112)에서 분기돌부(121)를 통과한 후, 분리 안내부(120)의 양쪽 분리 안내로(122)로 이동하면서 서로 갈라져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잠금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고리형 묶음부(21)가 넓어지게 된다.When the tie 1 is removed, the lower part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is pulled by one hand while the other hand of the annular bundle part 21 is locked by holding the knot 100 with the other hand and moving upward. After passing through the bifurcation protrusion 121 in the gripping groove 111 and the guide protrusion 112 of the guide portion 110, the slide guid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moving to both separation guide paths 122 of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120. The lock 30 is released, and thus the annular bundle 21 is wide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V자형으로 형성되어 매듭부(11)를 이루고 슬라이드 파스너(30)의 바탕재(31)의 통과를 안내하는 분리 안내부(120)와,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슬라이더 역할을 하는 잠금 안내부(110)를 각각 별개로 사출성형하고, 이 분리 안내부(120)와 잠금 안내부(110)를 조립하여 매듭구(100)를 된 잠금 안내부(110)와 분리 안내부(120)를 조립하여 매듭구(100)를 일연체로 형성한 것이므로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사출성형, 조립 및 생산성이 매우 우수할 뿐아니라, 원가가 감소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V-shape to form a knot portion 11 and the guide guide for passing through the base material 31 of the slide fastener 30, the slide fastener Each of the locking guides 110 serving as the slider of 30 is injection molded separately, and the separation guide 120 and the locking guide 110 are assembled to form a locking guide (knot 100) ( Since the knot 100 is assembled into a single body by assembling the 110 and the separation guide 120, the configuration is very simple, and the injection molding, assembly and productivity are very excellent, and the cost is reduced.

그리고, 넥타이 묶음요소(20)의 고리형 묶음부(21)가 잠금 안내부(110)의 "┗┛"형 및 "━"형으로 각각 형성된 협지홈(111)과 통과홈(113)을 수평으로 통과하고, 슬라이드 파스너(30)의 걸림체(32)가 분리 안내로(122)에 형성된 걸림체 안내홈(122a)을 타고 이동하면서 방향이 변환되어 "┃"형으로 형성된 분리 안내로(122)를 수직으로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넥타이(1)를 착용하면 넥타이 묶음요소(20) 및 슬라이드 파스너(30)의 매끈한 바탕면이 전방을 향하게 되며, 또 슬라이드 파스너(30)의 걸림체(32)가 하측을 향하게 되어 목에 접촉되지 않고, 고리형 묶음부(21)의 매끈한 양쪽변부가 상측을 향하게 되어 목에 접촉되므로 슬라이드 파스너(30)의 걸림체(32)가 목에 압박을 가하는 현상이 해소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이동될 때에 슬라이드 파스너(30)의 바탕재(31) 만이 분리 안내로(122)의 내벽(123)과 안내리브(127) 사이에 접촉될 뿐 넥타이 묶음요소(20)의 넥타이 바탕재는 자유롭게 이동하므로 마찰에 의해 손상되어 수명이 저하되는 결함이 해소된다. 슬라이드 파스너(30)의 바탕재(31)는 통상 넥타이 바탕재에 비하여 매우 질긴 소재로 직조되므로 슬라이드 파스너(30)의 바탕재(31)가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은 무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nular bundle 21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horizontally holds the gripping groove 111 and the passage groove 113 formed in the “┗┛” and “-” shapes of the locking guide 110, respectively. Passing through, the locking body 32 of the slide fastener 30 moves in the locking guide groove (122a) formed in the separating guide path 122, the direction is changed to form a "┃" shaped guide path 122 Since the tie 1 is worn vertically, the smooth base surface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and the slide fastener 30 faces forward, and the locking body 32 of the slide fastener 30 is worn when the tie 1 is worn. Does not touch the neck to the lower side, and the smooth both sides of the annular bundle portion 21 faces the upper side to contact the neck, so that the locking body 32 of the slide fastener 30 presses the neck. Resolved. In addition, only the base member 31 of the slide fastener 30 is contacted between the inner wall 123 of the separation guide path 122 and the guide rib 127 when moved in this manner, and the tie base of the tie tie element 20 is provided. Since the ash moves freely, defects that are damaged by friction and whose life is reduced are eliminated. Since the base material 31 of the slide fastener 30 is usually made of a very tough material compared to the tie base material, it can be ignored that the base material 31 of the slide fastener 30 is damaged by friction.

또한, 상기 걸림체 안내홈(122a) 및/또는 협지홈(111)의 협소한 통로를 통하여 슬라이드 파스너(30)의 바탕재(31)와 걸림체(32)가 접촉 이동되므로 넥타이(1)를 착용한 후 매듭구(100)가 자체 중량에 의해 밑으로 서서히 미끄러지는 현상을 판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방지하면서 안정하게 착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se member 31 and the catching body 32 of the slide fastener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arrow passage of the catching guide 122a and / or the pinching groove 111, the tie 1 is moved. After wearing, the knot 100 may be stably worn while being prevented from slipping downward by its own weight without using a separate member such as a leaf spring.

또한, 매듭구(100)의 몸체가 상부에서 보아 V자형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전방부가 측면에서 보아 선단부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점차 높아지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넥타이 꾸밈요소(10)로 매듭부(11)를 형성할 때에 좋은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매듭구(100)의 분리 안내로(122)에 상측 안내리브(127)와 안내리브(12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리형 묶음부(21)가 넥타이 꾸밈요소(10)의 매듭부(11)에 간섭 및 구속됨이 없이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of the knot 100 is formed in a V-shape as viewed from the top,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whic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as seen from the side, the knot part 11 as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 Can be formed in a good shape, and the upper guide rib 127 and the guide rib 127 are formed in the separation guide path 122 of the knot 100 so that the annular bundle 21 is formed. The knot 11 of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can move without interference and restraint.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듭구를 분해하여 보인 배면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듭구(100)는 분리 안내부(120)의 하측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고, 분리 안내로(122)의 내주면 하측부에 복수개의 지지돌편(120c)이 형성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 안내부(110)와 분리 안내부(120)는 상기한 일 실시예와 같이, 돌기(110a)와 홈(120a)을 끼워맞춤하면서 접합면(110b),(120b)을 접착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9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kn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a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guide 120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20c)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paration guide path 122, the locking guide 110 and the separation guide 120 is a projection,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 The joining surfaces 110b and 120b are adhered and fixed while fitting the 110a and the groove 120a together.

그리고, 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립(130)이 걸림간(134)의 일단부가 걸림편(133)의 후방부에 위치하도록 일측 내벽(123)에 일체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고, 상기 걸림편(133)은 위에서 삼각판형으로 보이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133)과 걸림간(134) 사이에 틈새(135)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is other embodiment, the clip 130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one inner wall 123 such that one end of the locking section 134 is locat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133, and the locking piece 133 ) Is formed to look like a triangular plate from above,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gap 135 is formed between the engaging piece 133 and the engaging section 134.

이와 같은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분리 안내부(120)의 하측부가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므로 사출되는 합성수지 재료를 절약할 수 있고, 분리 안내부(120)의 하측부에 형성된 지지돌편(120c)은 넥타이 묶음요소(20)의 양쪽부가 분리 안내로(122)를 통과할 때에 안정하게 이동하도록 지지하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120 is formed to be opened, it is possible to save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njected, and the support protrusion piece 120c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120. The silver tie is supported so that both sides of the tie element 20 moves stably as it passes through the separation guideway 122.

또, 매듭구(100)의 몸체에 클립(130)이 형성되어 넥타이 꾸밈요소(10)를 매듭구(100)와 분리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넥타이 꾸밈요소(10)를 무늬, 색상, 질감 등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의 것으로 교체하여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아니라, 통상의 넥타이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넥타이 꾸밈요소(10)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클립(130)에 의해 넥타이 꾸밈요소(10)를 간편하고 안정하게 고정하여 매듭부(11)를 쉽게 형성할 수 있고, 넥타이 꾸밈요소(10)의 상측부가 클립(130)의 틈새(135)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전방으로 노출되어 늘어지는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lip 130 is formed on the body of the knot 100 to separate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from the knot 100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combine and use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to pattern, Not only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replaced by various forms of color, texture, etc., bu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a tie decoration element (10) by cutting the usual tie to a suitable length, the clip 130 By easily and stably fixing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the knot part 11 can be easily formed, and the length of the upper part of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inserted into the gap 135 of the clip 130 is adjust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length of the exposure exposed to the front.

또, 매듭부(11)를 형성하면서, 넥타이 꾸밈요소(10)의 상단부를 걸림편(133)과 걸림간(134) 사이의 틈새(135)에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삽입하고, 넥타이 꾸밈요소(10)의 상측부를 매듭구(100)의 외측으로 돌려 매듭부(11)를 형성하면, 넥타이 꾸밈요소(10)가 전방으로 노출되는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 노출되는 길이는 틈새(135)로 삽입되는 량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forming the knot 11,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is freely adjusted and inserted into the gap 135 between the engaging piece 133 and the interlock 134, and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 If the upper part of the 10 is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knot 100 to form the knot 11, the length of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is exposed to the front can be easily adjusted, the exposed length is a gap 135 It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amount inserted.

도 10a, 10b, 10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듭구의 분해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도 10a의 매듭구(100)는 분리 안내부(120)의 하측부가 개구되고, 분리 안내로(122)의 외벽(124) 내면에 안내리브(1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삼각형상의 걸림편(133) 후방부에 걸림간(134)이 형성되어 있다.10A, 10B, and 10C illustrat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notted b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notted ball 100 of FIG. 10A,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ed guide part 120 is opened, and the separation guide path 122 is shown. Guide ribs 127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124, and a locking interval 134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triangular locking piece 133.

그리고, 매듭구(100)의 전방부에 결합돌부(128)가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결합돌부(128)에 고정돌기(12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 안내부(110)의 변형된 형태인 슬라이더(114)의 연결편(114a)에 결합공(114b)이 형성되어, 연결편(114a)의 결합공(114b)에 상기 결합돌부(128)의 고정돌기(128a)가 끼워지고 연결편(114a)과 결합돌부(128)의 접촉면이 접착되어 슬라이더(114)가 결합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protrusion 128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knot 100, and the fixing protrusion 128a is formed at the engaging protrusion 128, and the slider is a modified shape of the locking guide 110. A coupling hole 114b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iece 114a of the 114, and the fixing protrusion 128a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8 is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114b of the connection piece 114a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iece 114a. The contact surface of the protrusion 128 is adhered, and the slider 114 is bonded and fixed.

상기 슬라이더(114)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거나, 금속재로 형성된 통상의 것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The slider 114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ny conventional one formed of a metal material may be used.

도 10b의 매듭구(100)는 결합돌부(128)의 하면에 고정공(128b)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114)의 연결편(114a)에 형성된 결합공(114b)과 결합돌부(128)의 고정공(128b)을 일치시켜 고정핀(115)을 압입시킴과 아울러 결합돌부(128)와 연결편(114a)의 접촉면을 접착시켜 슬라이더(114)를 고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knot 100 of FIG. 10B, a fixing hole 128b is formed at a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8, and the coupling hole 114b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8 formed in the connection piece 114a of the slider 114 are formed. The fixing pins 128b coincide with each other to press-fit the fixing pins 115 and to bond the contact surfaces of the engaging protrusions 128 with the connecting pieces 114a to fix the sliders 114.

도 10c의 매듭구(100)는 결합돌부(128)이 하면에 나사홈(128c)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114)의 연결편(114a)에 형성된 결합공(114b)에 끼워진 나사(116)로 상기 나사홈(128c)에 체결하여 슬라이더(114)를 고정한 구성으로 되어 있있으며, 상기 분리 안내부(120)의 개구부 후단부에 보강 연결부(126a)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knot 100 of FIG. 10C, a screw groove 128c is formed at a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8, and the screw 116 is fitted into a coupling hole 114b formed at the connection piece 114a of the slider 114. The slider 114 is fixed by fastening to the screw groove 128c, and a reinforcing connection part 126a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opening of the separation guide part 120.

이외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상기한 실시예들과 같다.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넥타이는 매듭구가 슬라이드 파스너를 잠그고 풀기위한 잠금 안내부와 넥타이 묶음요소를 안내하고 매듭부의 모양을 형성하는 V자형 분리 안내부가 각각 별개로 사출성형되어 일연체로 조립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출성형을 위한 구성이 간단화되고, 조립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매듭구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제작비용을 절약하고, 금형의 내구성을 장기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shaped lock guide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slide fastener, and a V-shaped separating guide for guiding the tie bundle element and forming the shape of the knot. As a result, the configuration for injection molding can be simplified, the assembl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old for manufacturing the knots can be saved, and the durability of the mold can be extended for a long time. Can significantly reduce production costs.

또, 분리 안내부의 분리 안내로의 저부에 걸림체 안내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파스너의 걸림체가 걸림체 안내홈을 타고 이동하고, 잠금 안내부에서 수평으로 이동하고, 분리 안내로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넥타이를 착용하면 넥타이 묶음요소에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매끈한 면이 전방을 향하게 되고, 또, 슬라이드 파스너의 걸림체가 목에 접촉되지 않고 고리형 묶음부의 매끈한 양쪽변부가 목에 접촉되므로 슬라이드 파스너의 걸림체가 목에 압박을 가하는 현상이 해소된다.In addition, a locking body guide groov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guide path of the separation guide so that the locking body of the slide fastener moves through the locking guide groove, moves horizontally in the locking guide, and moves vertically in the separation guide path. When the tie is worn, the smooth surface of the slide fastener attached to the tie bundle element faces forward, and the fasteners of the slide fastener do not contact the neck, and the smooth both sides of the annular bundle contact the neck so that the fastener stops. Sieve pressure on the neck is eliminated.

또, 넥타이 묶음요소의 양쪽부가 분리 안내로의 걸림체 안내홈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고, 넥타이 묶음요소의 양쪽부가 수평에서 수직으로 변환될 때에 부드럽게 휘어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이동될 때에 슬라이드 파스너의 바탕재만이 분리 안내로의 내벽과 안내리브 사이에 접촉될 뿐 넥타이 묶음요소의 넥타이 바탕재는 자유롭게 이동하므로 마찰에 의해 손상됨으로써 수명이 저하되는 결함이 해소된다.Further, both ends of the tie bundle element move smoothly along the locking guide guide groove to the separation guide, and both sides of the tie bundle element move smoothly when they are converted from horizontal to vertical. In addition, only the base member of the slide fastener is contact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separating guide path and the guide rib when moved in this manner, so that the tie base member of the tie bundle element is free to move, thereby eliminating the defect of deterioration of life due to friction.

또,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매듭구의 안내리브, 분리 안내로, 걸림체 안내홈 및 협지홈의 구조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의 바탕재가 타이트하게 접촉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넥타이를 착용한 후 매듭구가 자체 중량에 의해 밑으로 서서히 미끄러지는 현상을 판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방지하면서 안정하게 착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ib of the knot formed by the synthetic resin, the separation guide, the fastener base material and the gripping groove by the structure of the fastener base material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movement of the knot after wearing a tie It can be worn stably while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slipping downward slowly without using a separate member such as a leaf spring.

또한, 매듭구의 몸체가 상부에서 보아 V자형으로 형성되고, 몸체의 전방부가 측면에서 보아 선단부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점차 높아지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넥타이 꾸밈요소로 매듭부를 형성할 때에 좋은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of the knot is formed in a V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can be formed in a good shape when forming the knot part with a tie embellishment element. have.

더욱이, 본 발명은 넥타이 꾸밈요소를 매듭구와 분리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넥타이 꾸밈요소를 무늬, 색상, 질감 등이 다른 다양한 넥타이 꾸밈요소를 교체하여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매듭구의 후방부에 형성된 클립에 의해 넥타이 꾸밈요소를 간편하고 안정하게 고정하여 매듭부를 쉽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넥타이 꾸밈요소의 상측부가 클립의 틈새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넥타이 꾸밈요소가 전방으로 노출되어 늘어지는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tie ornament elements from the knot, so that the user can be used arbitrarily combi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worn by replacing the various tie ornament elements having different patterns, colors, textures, etc., the knot The clip formed at the rear of the sphere has the advantage of easily and stably fixing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to form a knot, and by adjusting the length at which the upper part of the tie embellishment is inserted into the gap of the clip,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is moved forwa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wor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xposed limp freely.

뿐만아니라, 매듭구에 넥타이 꾸밈요소를 감아 매듭부를 형성할 때에 내벽에 일체로 형성된 삼각판형 클립이 넥타이 꾸밈요소의 상측부가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매듭부의 모양이 바른게 형성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hape of the knot is properly formed by prev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when the triangular plate clip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wall is formed when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is wound around the knot.

특히, 본 발명은 넥타이 매듭구를 형태 및 작용이 복잡한 사이드 코어를 제거하고 구조가 간단한 상하 형개형 단순금형, 좌우 형개형 단순금형으로 생산할 수 있고, 사출금형에 보다 많은 캐비티를 앉혀 생산속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생산비를 절감하고, 사출금형의 비용을 저하시킴으로써 한계량 생산후 금형을 반복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도 비용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매듭구의 잠금 안내부와 분리 안내부를 분리 성형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구성을 갖음으로써 슬라이드 넥타이의 다양화를 위한 설계의 자유도 및 응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removing the side core of the tie knots with a complicated form and action, and simple top and bottom open type simple mold, left and right open type simple mold, seating more cavity in the injection mold to increase the production speed In addition, 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lowering the cost of the injection mol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burden even if the mold is repeatedly produced after the limited amount of production, and the locking guide and the separation guide of the knot are separated and molded. By having a configuration that can be assembled to have the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and applicability for the diversification of the slide tie.

결국,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파스너 넥타이의 생산, 조립성이 우수하고,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이 대폭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여러가지 형태의 넥타이를 여러가지 방식으로 간편하고 좋은 모양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넥타이의 길이를 신체적 조건, 취향 및 개성에 따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넥타이는 제품의 가치, 신뢰성 및 경쟁력을 크게 향상할수 있는 우수한 발명이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production and assembly of the slide fastener tie,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the product, there is an effect of significantly extending the service life by preventing damage caused by friction. Moreover, various types of ties can be worn in various ways simply and in good shape, and the effect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ies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s, tastes and personalities can be worn. Therefore, th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cellent invention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valu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mbodiments which can be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inciples described and claimed are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have to understand.

Claims (12)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잠금 안내부(110)와,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분리되어 이동하고 넥타이 꾸밈요소(10)를 감아 매듭부(11)를 형성하기 위한 V자형 분리 안내부(120)를 별개로 사출성형하여, 상기 분리 안내부(120)의 전방부에 상기 잠금 안내부(110)를 조립 고정시켜 일연체로 형성되는 매듭구(100)와; 상기 매듭구(100)에 상측부가 감겨져 매듭부(11)를 형성하는 넥타이 꾸밈요소(10)와; 상기 매듭구(100)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 내측 변부에 부착되는 넥타이 묶음요소(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넥타이.The locking guide 110 which is locked while both base materials 31 of the slide fastener 30 are combined and moved, and both base materials 31 of the slide fastener 30 are separated and moved and the tie decorating element 10 is moved. And injection molding separately the V-shaped separation guide portion 120 to form a knot portion 11, by assembling and fixing the lock guide portion 110 to the front of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120 A knot sphere 100 formed of; A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wound around the knot (100) to form a knot (11); Coupled to the knot 100 and the base member 31 of the slide fastener 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tie tie element 20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annular bundle (21) Tie. 넥타이 묶음요소(20)의 고리형 묶음부(21)의 양쪽부와 그 내측에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잠금 안내부(110)와,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분리되어 이동하고 넥타이 꾸밈요소(10)를 감아 매듭부(11)를 형성하기 위한 V자형 분리 안내부(120)를 별개로 성형하여, 상기 분리 안내부(120)의 전방부에 상기 잠금 안내부(110)를 조립 고정시켜 일연체로 형성되어 넥타이 꾸밈요소(10)가 감겨져 매듭부(1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구.Both sides of the annular bundle 21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and both base members 31 of the slide fastener 30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tie bundle element 20 are locked and locked while moving together; Both base materials 31 of the slide fastener 30 are separated and moved, and the V-shaped separating guide part 120 for forming the knot 11 by winding the tie embellishment element 10 is separately molded, and the separation is performed. Tie knot according to the front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20 is formed as a unitary fixed to the locking guide 110 is formed so that the tie-up element 10 is wound to form a knot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안내부(110) 몸체의 선단 하측부에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걸림체(32)가 합쳐져 이동하면서 잠겨지는 협지홈(111)과, 선단 상측부에 슬라이드 파스너(30)가 상기 협지홈(111)을 통하여 안정하게 이동하면서 잠겨지도록 안내하는 안내돌부(112)와, 상기 협지홈(111)과 안내돌부(11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형 묶음부(21)를 안정하게 통과시키는 통과홈(11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구.3. The clamping groove 111 of claim 2, wherein both locking members 32 of the slide fastener 30 are combined to move under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body of the locking guide 110, and the slide fastener at the upper end portion thereof. A guide protrusion 112 for guiding the 30 to be locked while stably moving through the clamping groove 111, and is formed between the clamping groove 111 and the guide protrusion 112, the annular bundle portion 21 Tie kn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ssing groove 113 for stably pas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안내부(110)와 분리 안내부(120)에는 서로 접합되는 평편한 접합면(110b),(120b)이 형성되고, 양쪽 접합면(110b),(120b)에는 복수개의 돌기(110a)와 홈(120a)이 형성되어, 양쪽 잠금 안내부(110)와 분리 안내부(120)가 돌기(110a)와 홈(120a)을 끼워맞춤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구.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cking guide 110 and the separation guide 120 is formed with a flat bonding surface 110b, 120b to be bonded to each other, both bonding surfaces (110b, 120b)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0a and grooves 120a are formed, and both locking guides 110 and the separating guide portion 120 are fitted to each other by fitting the protrusions 110a and the grooves 120a. Kno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안내부(120)의 하측부가 개구되고, 분리 안내로(122)의 외벽(124) 내면에 안내리브(127)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 안내부(120)의 전방부에 결합돌부(128)가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돌부(128)에 고정돌기(128a)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 안내부(110)의 연결편(114a)에 결합공(114b)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편(114a)의 결합공(114b)에 상기 결합돌부(128)의 고정돌기(128a)가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구.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120 is opened, the guide rib 127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124 of the separation guide path 122, the front of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120 The engaging protrusion 128 is protruded to the portion, and the fixing protrusion 128a is formed at the engaging protrusion 128, and the coupling hole 114b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iece 114a of the locking guide 110. Tie knot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jections (128a)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8 is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114b) of the connecting piece (114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안내부(1120)의 분리 안내로(122)는 상기 고리형 묶음부(21)와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수직으로 통과하도록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안내로(122)의 내벽(123)에는 상기 고리형 묶음부(21)와 슬라이드 파스너(30)의 양쪽 바탕재(31)가 수평에서 수직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도록 만곡 안내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구.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paration guide path 122 of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1120 is formed so that both of the annular bundle portion 21 and the base material 31 of the slide fastener 30 passes vertically. It is formed in the shape, and guides the curved so that both the base member 31 of the annular bundle 21 and the slide fastener 30 is smoothly bent from the horizontal to the inner wall 123 of the separation guide 122 Tie knot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is configur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안내부(120)의 전방부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128)의 하면에 고정공(128b)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 안내부(110)의 연결편(114a)에 형성된 결합공(114b)과 상기 결합돌부(128)의 고정공(128b)을 일치시키고 고정핀(115)을 압입시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구.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xing hole (128b)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128 protruding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eparation guide 120, the connection piece (114a) of the lock guide 110 Tie kno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114b) and the fixing hole (128b)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8 is formed to match and is combined by pressing the fixing pin (1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안내부(120)의 전방부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128)의 하면에 나사홈(128c)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 안내부(110)의 연결편(114a)에 형성된 결합공(114b)에 끼워진 나사(116)로 상기 나사홈(128c)에 체결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구.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crew groove (128c)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128 protruding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eparation guide 120, the connection piece (114a) of the locking guide 110 Neck tie kno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crew groove (128c) by a screw 116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114b) form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안내부(110)는 안내편(128)과 안내돌부(112)가 분기돌부(121)로 일체로 연결된 바닥 연장부(125a), 내벽 연장부(123a) 및 외벽 연장부(124a)가 구비됨과 아울러 협지홈(111), 통과홈(113) 및 걸림체 연장 안내홈(122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구.According to claim 4, The locking guide 110 is the bottom extension portion 125a, the inner wall extension portion 123a and the outer wall in which the guide piece 128 and the guide protrusion 112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ranch protrusion 121. Tie knot,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portion 124a is provided and the pinching groove 111, the passage groove 113 and the locking body extension guide groove 122b is provided.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안내부(110)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구.The tie kno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9, wherein the locking guide part (11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안내부(110)가 금속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구.The tie kno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9, wherein the locking guide portion (1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안내부(110)는 통상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적용되는 슬라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매듭구.12. The tie knot of claim 11, wherein the locking guide (110) is a slider applied to a conventional slide fastener.
KR1020000044565A 2000-08-01 2000-08-01 Necktie KR200100397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565A KR20010039782A (en) 2000-08-01 2000-08-01 Neckt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565A KR20010039782A (en) 2000-08-01 2000-08-01 Neckti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575U Division KR200175943Y1 (en) 1999-10-08 1999-10-08 Neck t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782A true KR20010039782A (en) 2001-05-15

Family

ID=1968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565A KR20010039782A (en) 2000-08-01 2000-08-01 Neckti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978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6658A (en) Convertible jewelry article
CA2204715C (en) Connector-equipped cord
US5584075A (en) Necktie with a knot-forming core for enabling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knot
CA2001317C (en) Slider pull tab for slide fastener
US7150282B2 (en) Clothespin clip hair accessory
US6430786B1 (en) Synthetic resin opening and closing press fastener
US5785065A (en) Hair barrette with replaceable ornaments
KR200175943Y1 (en) Neck tie
KR20010039782A (en) Necktie
CN110025092B (en) Light slide fastener and product using same
CA1097893A (en) Slide fastener chain
KR200157724Y1 (en) Necktie with tying device
JP4777559B2 (en) Fasteners for securing two flexible strands that can be used especially for wristbands
JPS63500189A (en) Support for the finished tie and the finished tie
KR20180002696U (en) Accessory
EP0186810A1 (en) Buckle
KR200193736Y1 (en) A knot for neck tie
KR960001696Y1 (en) Necktie with means for holding the knot
KR200358790Y1 (en) A Tied Part Having a Zipper for Neck tie
KR200254280Y1 (en) The necktie knot fixation nine where the control is free
KR102051951B1 (en) Nectie attachment for an accessary
KR200231788Y1 (en) Knotter for necktie
US7103917B1 (en) Decorative necktie assembly and method
KR960002970Y1 (en) Buckle
KR20010084817A (en) A knot for neck t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