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997A - 농업용 멀칭지 - Google Patents

농업용 멀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997A
KR20010038997A KR1019990047200A KR19990047200A KR20010038997A KR 20010038997 A KR20010038997 A KR 20010038997A KR 1019990047200 A KR1019990047200 A KR 1019990047200A KR 19990047200 A KR19990047200 A KR 19990047200A KR 20010038997 A KR20010038997 A KR 20010038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ching
paper
comparative example
dry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래
Original Assignee
이기준
대한민국(서울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준, 대한민국(서울대학교) filed Critical 이기준
Priority to KR101999004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8997A/ko
Publication of KR2001003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회 재 사용된 고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분해가능한 논 및 밭작물에 필요한 농업용 멀칭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는, 셀룰로오즈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종이에 폴리아크릴아미드와 같은 건조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건조지력증강제 0.2 내지 0.4중량%, 에폭시수지와 같은 습윤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습윤지력증강제 0.5 내지 1.5중량%를 더 포함시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지를 원료로 하여 자연상태에서 경시적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배 후 별도로 수거작업을 하지 않아도 토양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또한 후속재배되는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주지않는 생분해가능한 농업용 멀칭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유기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와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멀칭지를 사용하여 생산된 농산물은 국산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농업용 멀칭지 {Agricultural mulching paper}
본 발명은 농업용 멀칭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수회 재 사용된 고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분해가능한 논 및 밭작물에 필요한 농업용 멀칭지에 관한 것이다.
멀칭이란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입지의 표면을 피복하여 토양의 건조와 침식, 지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며,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여 제초작업이나 제초제의 사용을 억제하는 작물 재배법을 말한다.
멀칭에 의한 작물재배의 경우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력제초를 하는 경우 필요한 인건비 등의 막대한 생산비 절감의 효과와 함께 생산성 향상을 가져와 농가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제까지 농업용 멀칭재료로는 투명 비닐 또는 검정 비닐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비닐계 멀칭재료는 사용 후 일일이 손으로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제거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완벽하게 제거시키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완벽히 제거되지 않을 경우, 다음에 재배되는 작물의 뿌리 생육과 토양의 배수성을 악화시키고,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의 농업기술은 농약과 비료 등 화학물질의 사용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화학물질에 의한 토양 및 수질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농산물 자체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제초제 등 농약 투입량을 줄일 수 있는 환경 보전형 농업 기술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난분해성으로 인하여 심각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는 비닐 멀칭재료를 대체하고자 환경친화적인 분해가 용이한 재생고지를 이용하여 농업용 멀칭지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고지를 이용하여 논 및 밭작물에 필요한 농업용 멀칭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회 재 사용된 고지를 이용하여 논 및 밭작물에 필요한 농업용 멀칭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지를 원료로 하여 자연상태에서 경시적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배 후 별도로 수거작업을 하지 않아도 토양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또한 후속재배되는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주지않는 생분해가능한 농업용 멀칭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경량, 고강도의 멀칭지를 제공함으로써 멀칭작업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멀칭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는,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종이에 폴리아크릴아미드와 같은 건조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건조지력증강제 0.2 내지 0.4중량%, 에폭시수지와 같은 습윤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습윤지력증강제 0.5 내지 1.5중량%를 더 포함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지력증강제로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양성전분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습윤지력증강제로는 에폭시수지, 요수-포름알데히드 수지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농업용 멀칭지에는 제초제, 살충제, 살균제, 비료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 등의 액상의 유효활성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는, 종이에 건조지력증강제와 습윤지력증강제를 더 첨가하여 종이의 지력을 증강시켜 실제 작물재배가 이루어지는 노천이나 수중에서 일정기간 멀칭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종이는 특히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종이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펄프 형태로 해리하였다가 다시 종이로 성형될 수 있기 때문에 재질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특히, 고지, 파지, 폐지, 스크랩 등 부산물이나 폐기물로 발생되는 모든 종류의 종이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종이에 폴리아크릴아미드와 같은 건조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건조지력증강제 0.2 내지 0.4중량%, 에폭시수지와 같은 습윤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습윤지력증강제 0.5 내지 1.5중량%를 더 포함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건조지력증강제는 밭작물의 재배에 있어서 건조한 노천에서 일정기간 멀칭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내풍화성을 지니며,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는 내마모성 등을 유지하는 농업용 멀칭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이에 기계적 성질을 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건조지력증강제로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양성전분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습윤지력증강제는 논작물의 재배에 있어서 논작물의 재배특성상 지속적으로 관개되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가 수중에 주로 잠겨있으면서도 일정기간 멀칭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습윤강도를 지니며,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는 내마모성 등을 유지하는 농업용 멀칭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이에 기계적 성질을 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습윤지력증강제로는 에폭시수지, 요소-포름알데히드수지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건조지력증강제나 습윤지력증강제를 종이에 적용시키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여러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균일한 지력증강을 위하여는 펄프에 상기 건조지력증강제 또는 습윤지력증강제를 가하고, 균질하게 혼합하여 수득된 펄프조성물을 통상의 종이제조방법에 따라 압착, 건조하여 시트(sheet) 상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농업용 멀칭지는 종이의 종류 및 지력증강을 위하여 가해지는 건조지력증강제나 습윤지력증강제의 종류 및 사용량에 따라 열단장(breaking length)이나 평량등이 달라질 수 있으며, 5.6 내지 6.6 km의 기계방향 건조 열단장, 1.5 내지 2.5 km의 기계방향 습윤 열단장 및 85 내지 110 g/m2의 평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농업용 멀칭지에는 액상의 유효활성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농업용 멀칭지에의 유효활성성분의 포함은 통상의 도포방법이나 함침방법 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도포나 함침 후 건조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 있음은 역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농업용 멀칭지에 포함될 수 있는 유효활성성분으로는 제초제, 살충제, 살균제, 비료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 등과 같이 현존하는 농업용 약제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에 의하여 재배될 작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유효활성성분들을 포함시켜 멀칭효과와 함께 시비효과 또는 시약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고지로서 AOCC(미국산 골판지) 100중량%를 해섬하여 수득한 펄프에 건조지력증강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 0.3%g과 습윤지력증강제로서 아크릴수지 0.7%g을 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한 후 통상의 종이제조방법에 따라 압착, 건조하여 100g/m2의 평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대로 멀칭처리하였다.
실시예 2
고지로서 KOCC(한국산 골판지) 50중량%, 고지로서 정대(시멘트 등의 포장지) 25중량% 및 고지로서 AOCC(미국산 골판지) 25중량%와 같이 고지의 혼합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120g/m2의 평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대로 멀칭처리하였다.
실시예 3
고지로서 정대(시멘트 등의 포장지) 100중량% 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105g/m2의 평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대로 멀칭처리하였다.
실시예 4
고지로서 정대(시멘트 등의 포장지) 100중량% 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115g/m2의 평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대로 멀칭처리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에 액상으로 제조된 농약(디메쏘모르프, 침투이행성 수화제)을 도포 후 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농약처리된 농업용 멀칭지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대로 멀칭처리하였다. 액샹으로 제조된 농약을 상기 제조된 멀칭지에 과량을 바른 후 즉시 미터링 바를 이용하여 일정량만을 멀칭지에 도포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에 액상으로 제조된 비료(요소비료, 질소함량 46%))를 도포 후 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비료처리된 농업용 멀칭지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대로 멀칭처리하였다. 최종농도 39%로 제조된 비료액을 상기 제조된 멀칭지에 과량을 바른 후 바로 미터링 바를 이용하여 일정량만이 멀칭지에 도포되게 하였다.
비교예 1
무멀칭에 농약처리나 시비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로 하였다.
비교예 2
무멀칭에 제초제(노남메)처리한 대조구로 하였다.
비교예 3
상용화된 투명한 폴리염화비닐으로 멀칭처리한 대조구로 하였다.
비교예 4
상용화된 흑색으로 착색된 폴리염화비닐으로 멀칭처리한 대조구로 하였다.
실험예 1
논에서 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과 비교예 2로 처리된 시험구에서 공시작물로서 벼를 선택하여 재배한 결과 논에서 멀칭지의 분해속도는 매우 빨라 멀칭 후 50일에 50%이상 분해되었다. 초장은 실시예 1의 벼가 비교예 2의 벼에 비하여 길게 생육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밭에서 멀칭지 분해와 멀칭이 토양 환경 및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3 및 비교예 4로 처리된 시험구에서 실험은 난괴법으로 3반복하면서 토양온도, 토양수분, 일사량, 순복사량 등을 연속관찰하였고 잡초발생 및 멀칭지의 분해를 조사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멀칭지는 밭에서는 분해속도가 논에서 보다 느려 멀칭하여 60일이 지난 후에도 80%이상이 그대로 남아 있었으며, 그후 급속히 분해되기 시작하였다. 시험 전기간중 평균지온은 비교예 1의 경우 26.4℃, 비교예 3의 경우 31.5℃, 비교예 4의 경우 31.4℃, 실시예 1의 경우 25.4℃, 실시예 2의 경우 25.6℃로서,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약 5℃높았으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약 0.9℃ 정도 낮았다.
토양의 수분변화를 보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10cm의 토양 수분은 비교예 1에 비하여 높아 보습효과가 있었으나, 비교예 3 및 비교예 4들에 비하여는 보습효과가 낮았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및 비교예 4의 경우 잡초 발생이 전혀 않되었으며, 이는 빛의 차단에 의하여 잡초발생이 억제된 데 이유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멀칭의 종류가 추작 감자의 생육 수량과 토양 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실험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비교예 1,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및 실시예 2들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멀칭 종류에 따른 추작 감자의 출아율은 하기 표 1과 같았다.
멀칭 종류에 따른 추작 감자의 출아율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3 비교예 4
출아율(%) 85 82 31.8 7.2 14.5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출아율이 80% 이상으로, 비교예 1의 31.8%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경우에는 20%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비교예 1,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경우는 출아기인 8월 상순의 지온이 지나치게 높아 씨감자가 부패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에는 토양 온도를 낮추어 출아율이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옆면적지수,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중 그리고 괴경 생체중 모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하여 향상되었는데, 이는 감자 생육초기의 지나친 고온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의 사용에 의한 멀칭에 의하여 억제되었기 때문이다.
실험예 4
종이 멀칭이 건답직파벼의 생육 및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및 비교예 2로 처리된 시험구에서 실험은 난괴법으로 3반복하면서, 공시품종으로는 화성벼를 사용하였고 멀칭종이의 분해, 잡초발생량, 벼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실시예들의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의 분해를 보면, 건답직파이므로 멀칭 후 4-5엽기까지 관개하지 않았으므로 초기에는 멀칭지의 분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관개 후부터는 빠른 속도로 분해되어 멀칭 후 80일경에는 50%이상이 분해되었다.
잡초발생을 보면 최고 분얼기경 조사의 경우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4들의 방제가는 99%에 달해 잡초억제효과가 매우 우수하였고, 출수기 조사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의 분해로 인하여 잡초억제효과가 다소 떨어지기는 하였지만 잡초방제가는 80% 이상이어서 역시 잡초방제효과는 높은 편이었으며, 1, 2차 조사에서 실시예들의 잡초억제효과는 비교예 2 보다 약 10% 정도 높았다.
건답직파 논에 있어 실시예들의 멀칭처리에 의하여 잡초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으며, 벼의 생육에 있어서도 실시예들이 비교예 2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벼 건답직파 재배에서 효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5
봄감자 멀칭재배시 멀칭지의 분해와 토양 환경, 잡초발생, 봄감자의 생육 및 수량의 변화
비교예 1,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 처리된 시험구에서 실험하였으며, 공시품종으로는 수미를 사용하였고 잡초발생, 토양온도, 토양수분 및 감자의 지상부중, 지하부중, 괴경중, 옆면적 등 감자생육을 조사하였다.
실시예들의 멀칭지의 분해를 보면 밭상태에서는 멀칭지의 분해속도가 느려 멀칭 후 80일까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멀칭지 모두가 분해되지 않고 남아 있었다. 실시예들과 비교예 4의 멀칭에서는 잡초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는 실시예들과 비교예 4의 멀칭처리로 인한 광차단으로 잡초종자의 발아가 억제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많은 양의 잡초가 발생하였다. 감자생육기간중 5cm깊이의 평균지온은 비교예 1 17.5℃, 비교예 3 19.49℃, 비교예 4 19.52℃, 실시예 1 17.2℃, 실시예 2 17.18℃였으며,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지온이 실시예들에 비하여 약 2℃정도 높았으며, 실시예들은 나지에 비하여 0.2℃정도 낮았다. 토양 표층의 수분함량의 변화를 보면 실시예들과 비교예 3 및 비교예 4들에서 비교예 1에 비하여 높은 수분함량을 보였고, 실시예들과 비교예 3 및 비교예 4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실시예들이 비교예 3 및 비교예 4들 보다 수분증발은 많더라도 빗물의 침투가 실시예들이 비교예 3 및 비교예 4들에 비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멀칭처리에 따른 봄감자의 출아율은 다음과 같다. 비교예 1에서의 출아율은 94.2%였으며, 실시예들과 비교예 4에서의 출아율은 90%에 가까웠으나, 비교예 3의 출아율은 60%이하였으며, 이는 비교예 3에서의 5-10cm깊이에서의 온도가 다른 처리에 비해 훨씬 높아 씨감자가 부패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멀칭처리에 따른 감자수량을 보면 실시예들과 비교예 4의 수량이 높았으며, 실시예들과 비교예 4 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비교예 3의 감자수량이 제일 낮았는데, 그 원인은 비교예 3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생육초기 고지온에 의하여 생육이 부진하였기 때문이었다.
옆면적지수,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중 등은 실시예들에서의 경우가 비교예 1이나 비교예 3 보다 높았으며, 괴경 생체중도 비교예 3 보다 높았다.
봄감자 재배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에 의한 멀칭의 경우 다소 지온저하가 있었지만 그 저하폭은 고온기에서의 멀칭지에 의한 지온 저하폭보다는 크게 작아 지온저하에 의한 감자생육의 억제는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멀칭지에 의한 멀칭의 경우 토양수분 보지효과도 비교예 3 및 비교예 4들과 비슷하여 감자의 수량이 무멀칭에 비하여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멀칭지는 봄 작물에 있어서도 이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실험예 6
농약코팅 멀칭지와 비료코팅 멀칭지의 멀칭처리가 가을감자의 병해발생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및 비교예 1로 처리된 시험구에서 실험하였으며, 공시품종은 대지를 사용하였으며, 진딧물, 병해발생상황 및 감자수량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5의 멀칭지의 분해는 매우 늦어 수확할 때에도 약 88%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실시예 6의 멀칭지는 초기부터 분해하여 멀칭 후 50여일 사이에 40%이상이 분해되었다. 본 시험에서는 진딧물을 포함한 병충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농약코팅효과를 정확하게 가늠하기 어려웠으나 육안에 의한 판단으로 진딧물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농약코팅효과가 유의할 수 있을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농약 및 비료를 코팅한 멀칭처리의 수확량 변화를 보면 이들 농약 및 비료를 코팅한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경우에서의 수확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보다 훨씬 높았으며 또한 실시예 1에 비하여도 높았다.
멀칭처리에 따른 감자의 수확량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출아율(%) 2481 2857 2874 1606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멀칭지에 의한 멀칭처리에 의한 작물의 재배에서는 모두 비교예들로서의 무멀칭처리나 상용화된 폴리염화비닐에 의한 멀칭처리에 비하여 상당히 개선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지를 원료로 하여 자연상태에서 경시적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배 후 별도로 수거작업을 하지 않아도 토양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또한 후속재배되는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주지않는 생분해가능한 농업용 멀칭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유기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와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멀칭지를 사용하여 생산된 농산물은 국산 농산물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셀룰로오즈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종이에 폴리아크릴아미드와 같은 건조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건조지력증강제 0.2 내지 0.4중량%, 에폭시수지와 같은 습윤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습윤지력증강제 0.5 내지 1.1중량%를 더 포함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멀칭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지력증강제가 폴리아크릴아미드, 양성전분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농업용 멀칭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지력증강제가 에폭시수지,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농업용 멀칭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멀칭지에 제초제, 살충제, 살균제, 비료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 등의 액상의 유효활성성분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농업용 멀칭지.
KR1019990047200A 1999-10-28 1999-10-28 농업용 멀칭지 KR20010038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200A KR20010038997A (ko) 1999-10-28 1999-10-28 농업용 멀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200A KR20010038997A (ko) 1999-10-28 1999-10-28 농업용 멀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997A true KR20010038997A (ko) 2001-05-15

Family

ID=1961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200A KR20010038997A (ko) 1999-10-28 1999-10-28 농업용 멀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89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447A1 (ko) * 2014-09-19 2016-03-24 골드그린 주식회사 농업용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KR20170003650U (ko) 2017-02-16 2017-10-23 허민 농업용 멀칭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447A1 (ko) * 2014-09-19 2016-03-24 골드그린 주식회사 농업용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KR20170003650U (ko) 2017-02-16 2017-10-23 허민 농업용 멀칭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warup et al. Impact of land use and management practices on organic carbon dynamics in soils of India
Patil Shirish et al. Mulching: A soil and water conservation practice
US4705816A (en) Liquid mulch
Kumar Effect of different organic mulching materials on soil properties of Na ‘7’Aonla (Emblica Officinalis Gaertn) Under Rainfed condition of Shiwalik foothills of Himalayas India
JP3991159B2 (ja) 非木材繊維被覆マットの製造方法
Olimov et al. Application of energy and resource engineering software in cotton fields
EP0177226B1 (en) Liquid mulch
EP1237406B1 (en) Liquid or semifluid self sustaining mulch for protecting crops
RU2617742C1 (ru) Состав мульчирующего покрытия
CN108739896A (zh) 抑制农田土壤中杂草萌发的有机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方法
Wallace et al. Soil and crop imrovement with water-soluble polymers
Lal Clearing a tropical forest II. Effects on crop performance
Smith et al. Recycled waste paper as a non-chemical alternative for weed control in container production
KR20010038997A (ko) 농업용 멀칭지
Singh et al. Amelioration of sodic soils by trees for wheat and oat production
Telkar et al. Effect of mulching on soil moisture conservation
CN1277785C (zh) 有机co2肥料及其制备方法
Fowler Conservation tillag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South Africa
RU2617740C1 (ru) Состав мульчирующего покрытия
KR20010111469A (ko) 볏짚 및 키토산을 이용한 농업용 종이 멀칭지
Roy et al. Use of green manure in rice farming systems in West and Northwest Cameroon
Gamayunova et al. Resource-saving measures to improve soil fertility and increase plant productivity through the use of straw
KR100570832B1 (ko) 농업용 다목적 다기능 멀칭지
Jurayev et al. Softening of muddy crust formed after pricipitation in cotton fields by application of energy and resource_saving hardening softener aggregate
RU2617749C1 (ru) Состав мульчирующего покрыт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