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561A - Control algorithm of linear compressor - Google Patents

Control algorithm of linear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561A
KR20010038561A KR1019990046589A KR19990046589A KR20010038561A KR 20010038561 A KR20010038561 A KR 20010038561A KR 1019990046589 A KR1019990046589 A KR 1019990046589A KR 19990046589 A KR19990046589 A KR 19990046589A KR 20010038561 A KR20010038561 A KR 20010038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value
unstable
voltage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5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20204B1 (en
Inventor
김주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4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204B1/en
Priority to DE19952578A priority patent/DE19952578B4/en
Priority to BRPI9915763-2A priority patent/BR9915763B1/en
Priority to US09/433,426 priority patent/US6289680B1/en
Priority to CN03142767.7A priority patent/CN1261689C/en
Priority to CNB991222555A priority patent/CN1133817C/en
Priority to JP11314013A priority patent/JP3080309B2/en
Publication of KR2001003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5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204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varying the length of stroke of the wor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02Piston parameters
    • F04B2201/0206Length of piston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 F04B2203/0402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PURPOSE: A linear compressor control algorithm is provided to achieve an optimum operation of the compressor by avoiding the unstable resonance section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 during operation. CONSTITUTION: An algorithm is executed in such procedures that the unstable section is searched by increasing the stroke value from the lower limit point of the stroke voltage where the unstable section starts to appear, the stroke is maintained constant at the level immediately upper from the detected unstable section by increasing the voltage value when the unstable section is detected, and the stroke voltage value is decreased after an e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unstable section is detected, the stroke value is increased again. Thus, the compressor operation point is maintained at the level immediately upper from the detected unstable section.

Description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 알고리즘{CONTROL ALGORITHM OF LINEAR COMPRESSOR}Control algorithm of linear compressor {CONTROL ALGORITHM OF LINEAR COMPRESSOR}

본 발명은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니어 컴프레샤의 운전 초기 및 운전도중에 고효율 지점을 추적하면서 최고의 운전점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algorithm of a linear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algorithm of a linear compressor that enables operation at the highest operating point while tracking a high efficiency point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and during operation of the linear compressor.

리니어 컴프레샤는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로 구동되기 때문에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크랭크 샤프트가 없어서 마찰 손실이 적고, 또한 공진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압축기에 비해서 효율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ince the linear compressor is driven by a linear oscillating motor, there is no crankshaft for converting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motion, so that friction loss is low and resonance is used. Therefore, it is known that the compressor is more efficient than other compressors.

또한 이러한 압축기가 냉장고나 에어컨에서 사용될 경우에, 모터의 스트로크를 가변시켜 줌에 따라서 압축비를 가변할 수 있어서 가변 냉력 제어에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such a compressor is used in a refrigerator or an air conditioner, the compression ratio may be varied as the stroke of the motor is varied, which may be used for variable cooling power control.

이와 같이 냉장고나 에어컨에서 사용되는 리니어 컴프레샤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linear compressor used in the refrigerator or th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1은 종래의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그 구성을 보면, 피스톤의 상하운동으로 스트로크를 가변시켜 냉력을 조절하는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와, 게이트 구동신호에 따라 교류전원을 단속시켜서 상기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에 인가되는 전력을 통제하는 전기회로부(20)와, 입력되는 온도정보에 따른 스트로크 지령치와 상기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에 인가되는 스트로크 전압에 의해 추정되는 스트로크가 일치하도록 제어하고, 그에 따른 타이머 구동신호를 상기 전기회로부(20)에 제공하는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linear compressor control devic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near oscillating motor 10 for adjusting a cooling force by varying a stroke by a vertical movement of a piston, and alternating current according to a gate driving signal. The electric circuit unit 20 controls the power applied to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10 by intermitting a power supply, and a stroke command value according to the inpu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a stroke voltage applied to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10.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estimated strokes to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provides the timer driving signal to the electric circuit unit 20 accordingly.

상기 제어부(30)는, 온도정보를 받아서 그 온도에 대응하는 스트로크 지령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스트로크 지령치 결정기(31)와,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로 공급되는 스트로크 전압들 V0-V3을 입력 받아 스트로크치를 추정하고 그 추정된 스트로크치를 출력하는 센서리스 스트로크 추정기(32)와, 상기 센서리스 스트로크 추정기(32)에서 추정된 스트로크가 상기 스트로크 지령치 결정기(31)에서 결정한 스트로크 지령치에 잘 추종하도록 제어하고, 그에 따른 타이머 지령치를 출력하는 스트로크 제어기(33)와, 입력되는 전압파형으로부터 제로-크로스 포인트를 검출하고 그에 대한 제로-크로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로-크로스 검출기(34)와, 상기 제로-크로스 검출기(34)에서 출력되는 제로-크로스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트로크 제어기(33)에서 추정된 추정치에 따라 게이트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머(35)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ler 30 receiv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estimates the stroke value by receiving the stroke command value determiner 31 for determining and outputting a stroke command valu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and the stroke voltages V0-V3 supplied to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And a sensorless stroke estimator 32 that outputs the estimated stroke value, and a stroke estimated by the sensorless stroke estimator 32 to follow the stroke command value determined by the stroke command value determiner 31 well, and accordingly A stroke controller 33 for outputting a timer command value, a zero-cross detector 34 for detecting a zero-cross point from an input voltage waveform and outputting a zero-cross signal thereto, and the zero-cross detector 34 Estimated by the stroke controller 33 at the time when the zero-cross signal output from Depending on the value comprises a timer 35 for providing gate drive signals.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전압단으로부터 도2의(A)와 같은 220V 전원 전압을 공급하면, 그 전원 전압은 전기회로부(20)의 전류감지용 저항R과 트라이악Tr 그리고 캐패시터C를 통해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로 공급된다. 그에 따라 상기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 후 상기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의 피스톤(11)이 왕복 운동을 행하게 되는데, 상기 피스톤(11)의 왕복 행정거리가 스트로크이다. 이 스트로크를 가변시켜서 냉력을 가변시킨다. 즉, 냉장고 또는 에어컨의 냉력을 조절한다.Referr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in this way in detail as follows. When a 220V power supply voltage as shown in FIG. 2A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the power supply voltage is supplied to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10 through the current sensing resistor R, the triac Tr, and the capacitor C of the electric circuit unit 20. Is supplied. As a result, current flows in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10. Thereafter, the piston 11 of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10 reciprocates, and the reciprocating stroke of the piston 11 is a stroke. By varying this stroke, the cooling power is varied. That is, to adjust the cold power of the refrigerator or air conditioner.

이때 사용자가 냉장고 또는 에어컨의 온도를 설정하면, 이 설정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30)의 스트로크 지령치 결정기(31)에서 입력 받는다. 이렇게 온도 정보를 입력받은 스트로크 지령치 결정기(31)는 설정 온도에 해당하는 스트로크 지령치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스트로크 지령치 신호를 스트로크 제어기(33)로 제공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set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or the air conditioner, the set temperatur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stroke command value determiner 31 of the controller 30. The stroke command value determiner 31 which has receive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n this way determines the stroke command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t temperature, and provides the determined stroke command value signal to the stroke controller 33.

이때 센서리스 스트로크 추정기(32)는 상기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회로부(20)로부터 전원전압단과 전류감지용 저항R 사이의 전압V1, 상기 전류 감지용 저항R과 트라이악Tr 사이의 전압V1, 상기 트라이악Tr에서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로 공급되는 전압V2, 및 상기 캐패시터C를 거쳐 상기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로 공급되는 전압V3을 입력 받아 스트로크 정보와 전류정보를 추정하고, 그 추정한 스트로크 정보와 전류정보를 상기 스트로크 제어기(33)로 전송한다.At this time, the sensorless stroke estimator 32 is a voltage V1 between the power voltage terminal and the current sensing resistor R, the current sensing resistor R and the triac from the electric circuit unit 20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10. A stroke information and a current are received by receiving a voltage V1 between Tr, a voltage V2 supplied from the triac Tr to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10, and a voltage V3 supplied to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10 via the capacitor C. The information is estimated, and the estimated stroke information and current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stroke controller 33.

그 후 상기 스트로크 제어기(33)는 스트로크 지령치 결정기(31)에서 결정된 스트로크 지령치와 추정된 스트로크치가 같아지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제어를 행하여 얻어진 타이머 지령치를 타이머(35)로 전송한다. 이때 제로 크로스 검출기(34)는 상기 전기회로부(20)내의 전원 전압단과 전류감지용 저항R 사이의 전압V0 또는 상기 전원 전압단으로 부터 캐패시터C를 거치기 이전의 전압V4를 입력 받아 제로-크로스 포인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로-크로스 신호를 타이머(35)로 제공한다.Thereafter, the stroke controller 33 controls the stroke command value determined by the stroke command value determiner 31 to be equal to the estimated stroke value. The timer command value thus obtained is transferred to the timer 35. At this time, the zero cross detector 34 receives a zero-cross point by receiving a voltage V0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and the current sensing resistor R in the electric circuit unit 20 or the voltage V4 before passing the capacitor C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Detect and provide the detected zero-cross signal to the timer 35.

그 후 상기 타이머(35)는 제로-크로스 신호를 시작단자(start)로 받아들인다. 상기 시작 단자로 제로-크로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타이머(35)는 스트로크 제어기(33)에서 제공하는 타이머 지령치에 의하여 도2의 (C)에 도시한 시간 t1을 설정한다.The timer 35 then accepts the zero-cross signal as a start terminal. When the zero-cross signal is input to the start terminal, the timer 35 sets the time t1 shown in FIG. 2C by the timer command value provided by the stroke controller 33.

이렇게 설정된 시간t1이 되면, 상기 타이머(35)는 게이트 구동신호를 전기 회로부(20)의 트라이악Tr의 게이트G로 출력한다. 가령 도2의 (C)와 같이 t1이 작으면, 게이트 구동신호가 도2의 (C)와 같이 제로-크로스 시점부터 짧게 설정되어 도2의 (D)와 같이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t1이 도2의 (E)와 같이 크면, 게이트 구동신호가 제로-크로스 시점으로 부터 멀어져 도2의 (F)와 같이 적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When the time t1 is set as above, the timer 35 outputs the gate driving signal to the gate G of the triac Tr of the electric circuit unit 20. For example, if t1 is small as shown in FIG. 2C, the gate driving signal is set shortly from the zero-cross point of time as shown in FIG. 2C, and a large amount of current flows as shown in FIG. When large as shown in FIG. 2E, the gate driving signal is far from the zero-cross time point, so that a small current flows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게이트 구동신호가 전기회로부(20)의 트라이악Tt의 게이트G로 출력되면, 상기 트라이악Tr이 턴 온 되어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로 전류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의 피스톤이 상하 운동하여 냉장고 또는 에이컨 등의 냉력을 조절한다. 입력 전류를 주기함수로 가하면 피스톤의 움직임도 같은 주기를 갖게 되는데 흡입과 토출압에 따라서 모습은 여러 가지로 나타나진다.When the gate driving signal is output to the gate G of the triac Tt of the electric circuit unit 20, the triac Tr is turned on to supply a current to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10, and thus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The piston of (10) moves up and down to adjust the cooling power of the refrigerator or air conditioning. When the input current is applied to the cycle function, the piston movements have the same cycle, and the appearance varies depending on the suction and discharge pressures.

그 한 예를 도4에 도시하였다. 피스톤의 주기를 T 라고 할 때, 스트로크는 한 주기내에서 최대변위를 나타내므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One example is shown in FIG. When the period of the piston is referred to as T, the stroke is defined as follows because the stroke represents the maximum displacement within one period.

여기서센서리스에 의한 추정치이므로 실제값과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here Actual value and error because it is estimated by sensorless May be present.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10)를 도3과 같은 역기전력이 있는 R-L 회로로 모형화할 때 피스톤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이론적 근거는 다음 수학식(1) 및 (2)와 같이 두개의 비선형 연립미분 방정식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수학식(1)은 기계식 운동방정식이며, 수학식(2)는 전기적 등가방정식이다.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piston's movement when modeling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10 with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RL circuit as shown in Fig. 3 is described by two nonlinear simultaneous differential equations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s (1) and (2). Where Equation (1) is a mechanical equation of motion, and Equation (2) is an electrical equivalent equation.

단, 여기서 x : 피스톤의 변위, i : 모터에 흐르는 전류, m : 피스톤의 질량, C : 댐핑계수, k : 등가적 스프링 상수, Fp : 피스톤이 미치는 힘, : 역기전력 상수, L : 등가적 인덕턴스 계수, R : 등가적 저항, r : 전류크기 감지용 저항 r R , V : 외부전압이다.Where x is the displacement of the piston, i is the current through the motor, m is the mass of the piston, C is the damping coefficient, k is the equivalent spring constant, and P is the force applied by the piston, and E is the equivalent inductance. Coefficient, R: equivalent resistance, r: resistance for detecting current magnitude r R, V: external voltage.

상기식에서 Fp는 흡입과 토출측 사이의 압력차에 의한 힘을 나타내는데, 도5에서와 같이 압축기가 흡입-압축-토출 과정을 거치면서 비선형적으로 시시각각 달라진다.In the above formula, Fp represents the forc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uction and the discharge side. As shown in FIG. 5, the compressor varies nonlinearly with the suction-compression-discharge process.

따라서 전압 V가 커지면 수학식(2)에서 우변이 커져서 좌변의 전류도 커지게 되고, 전류가 커지면 수학식(1)에서 우변이 커져서 좌변의 피스톤의 변위도 커지게 된다. 즉, 피스톤의 행정거리는 인가전압에 의하여 변하게 되고, 반도체 스위칭 소자인 트라이악을 사용하면 인가전압을 스위칭 조절할 수 있어 동일한 효과를 갖을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voltage V increases, the right side of the equation (2) increases, so that the current on the left side also increases, and as the current increases, the right side of the equation (1) increases, so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piston on the left side also increases. That is, the stroke distance of the piston is changed by the applied voltage, and when the triac, which is a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 is used, the applied voltage can be controlled by switching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리니어 컴프레샤는 공진점에서 가장 효율이 양호하며, 소음도 가장 낮게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공진점에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의 동작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떨리는 불안정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 공진주파수는 60Hz (50Hz)의 상용 AC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아래 수학식(3)과 같이 된다.The linear compressor is the most efficient at the resonance point and generates the lowest noise. However, at this resonance point, as shown in FIG. 6, the operation of the piston is not kept constant, and a trembling instability often occurs. This resonance frequency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in the case of using a commercial AC power supply of 60 Hz (50 Hz).

여기서, f는 주파수, Kg는 가스 스프링(압력: Pd, Ps), Ks는 스프링 상수, m은 피스톤 질량이다. 따라서 주파수f 가 60Hz(50Hz)로 될 때, 기계적 공진이 발생된다. 여기서, m, Ks는 상수이고, 가스 스프링으로 표현되는 압력(Ps, Pd)의 영향인 Kg값만이 변수로 작용한다. 냉장고 및 에어컨등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제품에서는 압력이 계속변하기 때문에 이 Kg값이 시시각각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공진점의 스트로크 역시 계속해서 압력이 변함에 따라서 변하게 된다. 공진점이 가장 효율이 좋고 소음이 적은 지점이기 때문에 이 공진점을 잘 추적하도록 스트로크를 가변시켜서 운전하는 것이 중요하다.Where f is a frequency, Kg is a gas spring (pressure: Pd, Ps), Ks is a spring constant, and m is a piston mass. Therefore, when the frequency f becomes 60 Hz (50 Hz), mechanical resonance occurs. Here, m and Ks are constants, and only Kg values, which are influences of pressures Ps and Pd expressed by gas springs, act as variables. In products using compressors such as refrigerators and air conditioners, this Kg value changes from time to time because the pressure constantly changes. Thus, the stroke of the resonance point also changes as the pressure continues to change. Since the resonance point is the most efficient and the least noise point, it is important to operate the variable stroke to track this resonance point well.

본 발명의 목적은 리니어 컴프레샤의 운전시에 각종 환경변화로 인해서 야기되는 공진 불안정 영역을 추적하고 이를 회피하여 운전하도록 하므로서 최적의 운전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timize the operation by tracking and avoiding the resonance instability area caused by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inear compresso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스트로크치를 불안정 영역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스트로크 전압 하한점에서 부터 소정의 전압치씩 증가시켜 가면서 불안정 영역을 탐색하며, 불안정 영역을 검출하면 또 다시 일정 전압치를 증가시켜서 스트로크를 불안정 영역 바로 상부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스트로크 전압치를 일정치씩 감소시켜서 불안정 영역이 검출되면 다시 스트로크치를 증가시킨 후 운전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므로 운전점이 항상 불안정 영역 바로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 알고리즘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an unstable region by increasing the stroke value by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from the lower limit of the stroke voltage at which the unstable region starts to appear, and when the unstable region is detected, the constant voltage value is increased again. The stroke is kept constant just above the unstable area, 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stroke voltage value is decreased by a certain value. When an unstable area is detected, the stroke value is increased again and the operation is repeated. It provides a control algorithm of the linear compressor to control to be located at the top.

또한, 본 발명은, 스트로크치를 불안정 영역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스트로크 전압 하한점에서 부터 소정의 전압치씩 증가시켜 가면서 불안정 영역을 탐색하며, 불안정 영역을 검출하면 또 일정 전압치를 감소시켜서 스트로크를 불안정 영역 바로 하부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스트로크 전압치를 일정치씩 상승시켜서 불안정 영역이 검출되면 다시 스트로크치를 감소시킨 후 운전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므로 운전점이 항상 불안정 영역 바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 알고리즘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an unstable region by increasing the stroke value by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from the lower limit of the stroke voltage at which the unstable region starts to appear, and detects the unstable region and decreases the constant voltage value to detect the stroke immediately below the unstable region. While maintaining constant at, the stroke voltage is increased by a certain value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unstable area is detected, the stroke value is decreased again and the operation process is repeated so that the operating point is always located directly below the unstable area. Provides a control algorithm for linear compress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트로크치가 제로값으로 부터 하한점에 도달하기 까지는 단순히 가속시켜서 탐색 시간이 감소되도록 하는 리니어 컴프레샤의 운전제어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linear compressor in which the stroke time is simply accelerated until the stroke value reaches a lower limit from zero.

도1은 종래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도2는 도1의 리니어 콤프레샤의 제어장치 각 부분에 대한 신호 파형도FIG. 2 is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of the control device of the linear compressor of FIG.

도3은 도1의 리니어 오실레이팅 모터를 역기전력이 있는 R-L 회로로 모형화할 때의 등가회로도FIG. 3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when modeling the linear oscillating motor of FIG. 1 into an R-L circuit with counter electromotive force. FIG.

도4는 도1의 리니어 컴프레샤에서, 흡입 및 토출압에 따른 피스톤의 움직임의 주기를 보여주는 파형도4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period of movement of a piston according to suction and discharge pressures in the linear compressor of FIG.

도5는 도1의 리니어 컴프레샤에서, 흡입-압축-토출 과정을 거치면서 비선형적으로 달라지는 피스톤에 미치는 힘(Fp)에 대한 파형도FIG. 5 is a waveform diagram of the force Fp on a non-linearly varying piston during the suction-compression-discharge process in the linear compressor of FIG.

도6은 도1의 리니어 컴프레샤에서, 흡입과 토출압에 따른 피스톤의 움직임의 주기에 대해 불안정한 경우와 안정한 경우를 보여주는 파형도FIG. 6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n unstable and stable case with respect to a period of movement of a piston according to suction and discharge pressures in the linear compressor of FIG.

도7은 리니어 컴프레샤의 최적 운전점 탐색 및 운전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mal driving point search and driving algorithm of the linear compressor.

도8은 리니어 컴프레샤의 최적 운전점 탐색 및 운전 알고리즘에 대한 흐름도8 is a flowchart of an optimum operating point search and driving algorithm of the linear compresso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s1: 스트로크 전압 증가값 s2: 스트로크 전압 감소값s1: Stroke voltage increase value s2: Stroke voltage decrease value

V1: 하한점 스트로크 전압 V2: 상한점 스트로크 전압V1: Lower limit stroke voltage V2: Upper limit stroke voltage

V3: 불안정 영역의 스트로크 전압V3: Stroke Voltage in Unstable Reg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7은 본 발명의 최적 운전점 탐색을 위한 운전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센서리스 스트로크 추정기에서 추정된 스트로크의 하한점(V1)에서 부터 공진 불안정 영역을 탐색하기 위한 스캐닝을 시작하게 된다. 이것은 스트로크가 낮은 지역에서는 부품 편차가 있더라도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스캐닝을 빠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시작점 0V으로부터 하한점V1 까지는 빠르게 단순 가속하게 된다. 단순 가속 후에 스트로크가 하한점V1에 도달하면 이때 부터는 t1 시간 단위로 스트로크를 s1씩 증가시켜 가면서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탐색하게 된다. 계속해서 스트로크를 s1 단위로 증가시켜 가다가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게 되는 것을 탐색하게 되면 또 다시 스트로크를 s1 만큼 증가시키고 이때의 스트로크를 유지시킨다. 이것은 불안정 영역 바로 상부에서 효율의 가장 좋고, 소음이 가장 적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algorithm for searching for an optimal driving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scanning for searching for the resonance unstable region is started from the lower limit V1 of the estimated stroke in the sensorless stroke estimator. This is to speed up scanning because there is no unstable area even in the part where the stroke is low even if there is a component deviation. Therefore, it accelerates simply from the starting point 0V to the lower limit V1 quickly. After the simple acceleration, when the stroke reaches the lower limit point V1, the stroke is increased by s1 by the time unit t1 from this point, and it is searched whether there is an unstable region. Then, when the stroke is increased in units of s1, and the search for an unstable region is present, the stroke is increased again by s1 and the stroke is maintained at this time. This is because it has been found experimentally that the best of efficiency and the least noise is just above the unstable area.

그런데, 이와 같은 불안정 영역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최적의 스트로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불안정 영역의 이동을 계속 추적해서 수시로 변하는 불안정 영역의 바로 상부에 스트로크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일정한 시간 t2이 경과할 때 까지 계속해서 현재의 스트로크에서 불안정 영역이 발생하는지를 탐색한다. 탐색 결과 현재의 스트로크에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면 다시 스트로크를 s1 만큼씩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불안정 영역을 벗어날 때 까지 반복한다.However, such an unstable region tends to move with time.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an optimal stroke, it is necessary to keep track of the movement of these unstable areas and keep the strokes just above the unstable areas that change from time to time. To do this, we continue to look for unstable areas in the current stroke until a certain time t2 has elapsed. If the unstable region exists in the current stroke as a result of the search, the stroke is increased by s1 again.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it leaves the unstable region.

불안정 영역의 바로 상부에서 스트로크를 유지한 채 일정한 시간 t2이 경과해도 불안정 영역이 발생하지 않으면, 스트로크를 s2 만큼 감소시켜서 불안정 여부를 탐색하게 된다. 이때 불안정 영역이 검출되면 다시 스트로크를 s1 만큼 증가시켜서 스트로크를 불안정 영역 바로 상부에 놓게 된다. 만일 스트로크를 s2 만큼 감소시켜도 불안정 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면, 불안정 영역이 많이 하향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계속해서 t2 시간 단위로 스트로크치를 s2 만큼씩 줄여나간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불안정점을 검출하게 되면 스트로크를 s1 만큼 상승시켜서 불안정점 바로 위에서 콤퓨레샤를 운전하게 되어 항상 최적의 운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흐름도로 표시하면 도8과 같다.If the unstable region does not occur even after a certain time t2 elapses while maintaining the stroke immediately above the unstable region, the stroke is reduced by s2 to search for instability. At this time, if an unstable region is detected, the stroke is increased by s1 again so that the stroke is immediately above the unstable region. If the unstable region is not detected even if the stroke is reduced by s2, it is determined that the unstable region has moved much downward, and the stroke value is continuously reduced by s2 in units of t2 hours. When the instability point is detected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he stroke is increased by s1 to operate the compressor directly above the instability point, thereby maintaining the optimum operating state at all times. This process is shown in a flowchart as shown in FIG.

도8는 본 발명의 최적 운전점 탐색 및 운전 알고리즘에 대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of an optimal operating point search and driving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을 시작하게 되면 리니어 컴프레샤의 센서리스 스트로크 추정기에서 스트로크 전압을 판독하기 시작한다 (단계 S800). 전술된 바와 같이, 컴프레샤의 운전 구간중에는 공진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 있으므로, 이러한 구간까지 공진 불안정 영역을 탐색하기 위해 스캐닝을 하게 되면 시간 낭비만 될 뿐이다. 따라서 센서리스 스트로크 추정기에서 추정된 스트로크의 하한점V1에서 부터 공진 불안정 영역을 탐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현재의 스트로크 전압이 하한점V1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805). 스트로크 전압이 상기 하한점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공진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지 않고 스트로크 전압을 계속 증가시켜서 스캐닝 속도를 높이게 된다(단계 S810).When the operation is started, the stroke voltage is started to be read by the sensorless stroke estimator of the linear compressor (step S80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a section in which the resonance instability region does not exist in the driving section of the compressor, it is only a waste of time when scanning to search for the resonance instability region up to this section. Accordingly, the sensorless stroke estimator searches for the resonance instability region from the lower limit point V1 of the estimated stroke. For this purpos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stroke voltag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lower limit point V1 (step S805). If the stroke voltage does not reach the lower limit, the scanning speed is increased by continuously increasing the stroke voltage without searching whether a resonance unstable region exists (step S810).

스트로크 전압이 단순 가속구간을 지나서 하한점V1에 도달하게 되면,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스트로크 전압을 단계적으로 상승시켜 가면서 검색하기 시작한다(단계 S815). 이 단계에서, 각각의 설정된 스트로크 전압에서 불안정 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면 불안정 영역이 현재의 스트로크 전압보다 상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스트로크 전압을 s1 만큼 증가 시킨다(단계 S820). 그리고 다시 증가된 스트로크 전압에서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탐색한다(단계 S815).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불안정 영역의 존재를 검출할 때 까지 계속 스트로크 전압을 증가시키게 된다.When the stroke voltage reaches the lower limit V1 through the simple acceleration section, it starts to search whether the unstable region exists by increasing the stroke voltage step by step (step S815). In this step, if an unstable region is not detected at each set stroke voltage, the unstable region is considered to exist above the current stroke voltage and the stroke voltage is increased by s1 (step S820). Then, it is searched whether there is an unstable region at the increased stroke voltage (step S815). This process is repeated to continuously increase the stroke voltage until the presence of an unstable region is detected.

단계 S915에서, 일정한 스트로크 전압에서 불안정 영역을 검출하게 되면, 스트로크 전압을 s1 만큼 또 다시 증가 시킨다 (단계 S825). 그 후, 불안정 여부를 검사하여 (단계 S830), 아직도 불안정 영역이 검출되면 스트로크 전압을 다시 s1 만큼 증가시킨다(단계 S835). 그 후, 다시 불안정 여부를 검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불안정 영역이 검출되지 않을 때 까지 반복하게 된다.In step S915, if an unstable region is detected at a constant stroke voltage, the stroke voltage is increased again by s1 (step S825). Thereafter, the state of instability is checked (step S830), and if the unstable region is still detected, the stroke voltage is increased again by s1 (step S835). After that, it is again checked for instability.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unstable region is not detected.

단계 S830에서 불안정 영역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그 때의 스트로크 전압을 유지시켜서 운전하게 된다(단계 S840). 이와 같이 하여, 스트로크 전압은 불안정 영역 바로 상부에 존재하게 되어 안정되고 효율적인 운전을 지속하게 되며, 또한 고효율에 저소음 운전이 가능해 진다.If the unstable region is no longer detected in step S830, the operation is continued while maintaining the stroke voltage at that time (step S840). In this way, the stroke voltage is present just above the unstable region, so that stable and efficient operation can be continued, and high efficiency and low noise operation are possible.

그러나, 운전을 계속함에 따라서 불안정 영역이 수시로 변동할 수 있는데, 최적의 운전을 위해서는 불안정 영역을 계속 추적해서 불안정 영역의 바로 상부에서 스트로크를 제어하도록 운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단계 S840에서 스트로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현재의 스트로크 전압에서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 즉, 현재는 불안정 영역보다 s1 만큼 상승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것인데, 불안정 영역이 다시 s1 만큼 상승했는지를 검출한다. 이때 시간을 t2로 설정하여 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계속해서 불안정 여부를 검출하여 t2 시간 내에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게 되면 다시 스트로크를 s1 만큼 증가시키고(단계 S835), t2 시간 동안에 불안정 영역이 발생하지 않으면 불안정 영역이 기존에 검출된 점에서 아래로 내려갔을 가능성을 감안하여 스트로크를 s2 만큼 감소시키게 된다(단계 S860).However, as the operation continues, the unstable region may fluctuate from time to time. For optimal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keep track of the unstable region and operate to control the stroke immediately above the unstable region. To this end, in step S840, the stroke voltage is kept constant to detect whether an unstable region exists at the current stroke voltage. That is, it is currently operating while being raised by s1 from the unstable area, and it detects whether the unstable area is raised by s1 again. At this time, the time is set to t2 to detect whether the instability continues until this set time elapses. If an unstable area exists within t2 time, the stroke is increased by s1 again (step S835), and the unstable area occurs during t2 time. Otherwise, the stroke is reduced by s2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 unstable region has moved downward from the previously detected point (step S860).

이처럼 스트로크를 s2 만큼 감소시킨 후 다시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단계 S830). 그 결과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면, 불안정 영역이 일정 시간 t2이 경과해도 하향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스트로크를 s1 만큼 상승시키고(단계 S835), 다시 이 과정을 반복하여 불안정 영역 바로 위에서 운전되도록 한다. 한편, 스트로크를 s2 만큼 감소시킨 후 불안정 영역의 존재를 검출한 결과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불안정 영역이 하향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때의 스트로크를 유지하면서 일정 시간 t2이 경과할 때 까지 불안정 영역이 상승하는지를 판단한다. 일정 시간 t2 이내에 불안정 영역이 검출되면 스트로크를 상승시켜서 불안정 영역을 회피하도록 하며, 일정시간 t2 내에 불안정 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면 불안정 영역이 하향 이동했을 가능성을 감안하여 다시 스트로크를 s2 만큼 감소시켜서 운전한다(단계 S860).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므로서, 리니어 압축기의 스트로크는 항상 불안정 영역 바로 상부에서 운전하게 되므로 안정되며 저소음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after reducing the stroke by s2, it is detected whether an unstable region exists again (step S830). As a result, if there is an unstable reg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unstable region does not move downwar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t2 has elapsed (step S835),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to operate immediately above the unstable region. On the other hand, if the unstable area does not exist after reducing the stroke by s2 and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unstable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unstable area has moved downward and the unstable area is maintain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t2 elapses while maintaining the stroke at that time. Determine if it rises. If an unstable area is detected within a certain time t2, the stroke is raised to avoid an unstable area, and if the unstable area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2, the stroke is again reduced by s2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 unstable area has moved downward ( Step S860). By repeating such a process, the stroke of the linear compressor is always operated directly above the unstable region, thereby enabling stable and low noise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불안정 영역을 검출하였을 때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 스트로크치를 일정한 값만큼 상승시켜서 운전하도록 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라면 불안정 영역보다 스트로크치를 일정한 값만큼 감소시켜서 운전하는 것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nstable area is detected, the stroke value is increased by a constant value to avoid the problem.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roke value by a certain value than the unstable area. .

리니어 컴프레샤는 공진점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동작하며 소음도 적게 발생하는데, 이 공진점에서 피스톤의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공진 불안정 영역을 탐색하고 이를 계속 추적하여 이 영역을 회피하도록 하므로서 최적의 운전을 하도록 하였다.The linear compressor operates most efficiently at the resonance point and generates less noise. At this resonance point, there is an unstable region of the piston.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operate optimally by searching for a resonance unstable region and keeping track of the region.

Claims (4)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 알고리즘에 있어서, 운전 초기 및 운전중에, 스트로크 불안정 영역을 탐색하며, 불안정 영역을 검출하면 스트로크 전압치를 변경시켜서 불안정 영역을 회피하여 운전하도록 하는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 알고리즘.A control algorithm of a linear compressor, wherein the control algorithm for a linear compressor is configured to search for a stroke instability area during initial operation and during operation, and to detect the instability area so as to avoid the instability area by changing the stroke voltage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스트로크치를 스트로크 전압 하한점에서부터 소정의 전압치씩 증가시켜 가면서 불안정 영역을 탐색하며, 불안정 영역을 검출하면 또 다시 일정 전압치를 증가시켜서 스트로크를 불안정 영역 바로 상부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스트로크 전압치를 일정치씩 감소시켜서 불안정 영역이 검출되면 다시 스트로크치를 증가시켜서 최적의 운전점이 항상 불안정 영역 바로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 알고리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roke value is searched by increasing the stroke value by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from the lower limit of the stroke voltage, and when the unstable area is detected, the constant voltage value is increased again to keep the stroke constant just above the unstable area. A control algorithm of a linear compressor that reduces a stroke voltage value by a predetermined value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increases a stroke value again when an unstable region is detected so that an optimum operating point is always directly above the unstable region. 제 1항에 있어서, 스트로크치를 스트로크 전압 하한점에서부터 소정의 전압치씩 증가시켜 가면서 불안정 영역을 탐색하며, 불안정 영역을 검출하면 다시 일정 전압치를 감소시켜서 스트로크를 불안정 영역 바로 하부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스트로크 전압치를 일정치씩 상승시켜서 불안정 영역이 검출되면 다시 스트로크치를 감소시켜서 최적의 운전점이 항상 불안정 영역 바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 알고리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roke value is searched by increasing the stroke value by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from the lower limit of the stroke voltage, and when the unstable area is detected, the predetermined voltage value is decreased again to keep the stroke constant just below the unstable area. The control algorithm of the linear compressor that increases the stroke voltage value by a predetermined value after a time elapses and decreases the stroke value again when an unstable area is detected so that the optimum operating point is always immediately below the unstable area.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로크치는 제로값으로 부터 하한점에 도달하기 까지는 단순히 가속시켜서 탐색 시간이 감소되도록 하는 리니어 컴프레샤의 제어 알고리즘.4. The control algorith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troke value is simply accelerated from zero to the lower limit to reduce the search time.
KR1019990046589A 1998-11-04 1999-10-26 Control algorithm of linear compressor KR1003202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589A KR100320204B1 (en) 1999-10-26 1999-10-26 Control algorithm of linear compressor
DE19952578A DE19952578B4 (en) 1998-11-04 1999-11-0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BRPI9915763-2A BR9915763B1 (en) 1998-11-04 1999-11-04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method thereof.
US09/433,426 US6289680B1 (en) 1998-11-04 1999-11-04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method thereof
CN03142767.7A CN1261689C (en) 1998-11-04 1999-11-04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CNB991222555A CN1133817C (en) 1998-11-04 1999-11-04 Install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JP11314013A JP3080309B2 (en) 1998-11-04 1999-11-04 Linear compressor control device,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its deviation automatic corr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589A KR100320204B1 (en) 1999-10-26 1999-10-26 Control algorithm of linear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561A true KR20010038561A (en) 2001-05-15
KR100320204B1 KR100320204B1 (en) 2002-01-10

Family

ID=1961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589A KR100320204B1 (en) 1998-11-04 1999-10-26 Control algorithm of linear compr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2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223B1 (en) * 2002-01-14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ve control metho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223B1 (en) * 2002-01-14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ve control metho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0204B1 (en)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968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method thereof
KR100474330B1 (en) Driving comtrol apparatus of reciprocating compressor for refrigerator
JP4602676B2 (en)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378815B1 (en) Stroke shakin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ear compressor
US74055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JP2002327689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451224B1 (en) Drive control metho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JP4602905B2 (en)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linear compressor
KR100320204B1 (en) Control algorithm of linear compressor
KR100314070B1 (en) Operating method of linear compressor
KR100386279B1 (en) Driving control metho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332789B1 (en) A control apparatus for linear compressor
KR1003140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al operation point auto-detection in linear compressor
KR100539742B1 (en) The control apparatus for linear compressor
KR100498391B1 (en) Stroke control method of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382920B1 (en) Driving control apparatus for linear compressor
KR100464052B1 (en) Driving control method for dual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279624B1 (en) Linear compressor automatic deviation correction device
KR100371194B1 (en) Driving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using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279623B1 (en) Linear Compressor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050117932A (en)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446774B1 (en) Driving control metho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371193B1 (en) Driving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using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386280B1 (en) Driving control metho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414118B1 (en) Driving control metho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