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6312A - Display unit - Google Patents

Display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6312A
KR20010036312A KR1019990043266A KR19990043266A KR20010036312A KR 20010036312 A KR20010036312 A KR 20010036312A KR 1019990043266 A KR1019990043266 A KR 1019990043266A KR 19990043266 A KR19990043266 A KR 19990043266A KR 20010036312 A KR20010036312 A KR 20010036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unit
carrier
array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11628B1 (en
Inventor
바르-요나 이착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엠.브이.티. 멀티비젼 테크놀로지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엠.브이.티. 멀티비젼 테크놀로지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riority to KR10-1999-004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628B1/en
Publication of KR2001003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62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unit is provided, which can display images of several high resolutions continuously and does not need to be connected to an electric main socket, and is supplied with a power by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ONSTITUTION: According to a self-powered display unit(2) to display at least two continuous varying images observed by an observer, at least one wall part of a housing(4) is formed with a linear lens array(8) having a lens type front(6) and a flat back surface. A display transportation body(10) is flat and weighs light and can be replaced, and comprises a replaceable film or paper arranged in the housing separated from the rear surface as far as a focus length of the lens. And a DC driving unit(14) has a high efficiency and a low energy consumption and its power is supplied by a battery. The DC driving unit is for displacing the display transportation body periodically during at least the same distance as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lens of the array. The DC driving unit comprises a motor combined with a cam, and a bottom edge part of the display transportation part is supported and contacted by the cam indirectly.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유니트 {Display unit}Display unit {Display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니트, 특히, 관찰자에 의하여 관찰되는 영상의 2 이상의 연속적인 변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unit, in particula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wo or more successive change images of an image observed by an observer.

다양한 종류의 다중-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광고, 교육적 목적, 지침서, 게임 및 기타 많은 용도로 이용된다. 이들 장치는 통상 그들의 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프리즘, 또는 양자택일적으로 폐쇄된 사이클로 영사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장치는 그 작동을 위한 전력의 필요량이 상당하며 따라서 전력 본관에 연결되어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장치는 필요한 구동수단 및 그 부품이 비교적 복잡하므로 그 크기가 상당하다.Various kinds of multi-image display devices are well known. Such devices are used for advertising, educational purposes, guidelines, games, and many other purposes. These devices typically include a prism that rotates about their axis, or alternatively a device that projects in a closed cycle. However, all these devices require a significant amount of power for their operation and therefore must be connected to the power mains. Moreover, such a device is considerable in size since the required drive means and parts thereof are relatively complex.

렌즈모양의 렌즈 어레이에 대하여 복잡한 석판 인쇄를 대체하는 기본적인 광학 원리는 종래기술, 예를 들면, 여러 영상을 양자택일적으로 표시하는 일반적인 노우-하우를 개시한 미국 특허 제 5,494,445 호로부터 주지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지식은 광고용으로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벽에 고정되거나 선반에 부착되어 독자적으로 기능할 수 있고 또한 판매할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되는, 쇼핑센터 등의 장소에서 사용될 동적인 다중-영상 디스플레이가 요구된다.The basic optical principle to replace complex lithography for lenticular lens arrays is well known from the prior art, for example, US Pat. No. 5,494,445, which discloses a general know-how to alternatively display several images. However, to date, this knowledge has not been adequately used for advertising.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ynamic multi-image display to be used in a place such as a shopping center, which can be fixed to a wall or attached to a shelf to function independently an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goods to be sold.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자체전력으로, 즉 본관에 연결될 필요 없이 작동된다.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접근하는 관찰자를 위해서는 넓은 범위의 관찰 각도에서, 때로는 양 측면에서도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능력이 있어야 한다. 유지면에서는 배터리 교체없이 적어도 3 내지 4개월의 작동기간이 요구된다. 광고의 메시지는 어려움 없이 비숙련된 작업자에 의해서도 현장에서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는 비용면에서 효과적이어야 한다: 즉, 판촉하는 제품의 가격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Such displays operate on their own power, i.e.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main building. Observers approaching from different directions require the ability to provide high resolution images over a wide range of viewing angles, sometimes on both sides. On the maintenance side, at least three to four months of operation are required without battery replacement. The messages in the advertisements should be easily replaceable on site by unskilled workers without difficulty. The display unit should be cost effective: that is, it should not exceed the price of the product being promoted.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고해상도의 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전기 본관에 접속될 필요가 없는, 광학원리에 기초한 간단하고 경제적인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and economical display unit based on the optical principle, which can continuously display several high resolution images and does not need to be connected to an electric mai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랜 시간 주기 동안 작동가능하며 독자적인 전원에 의하여 전력이 공급되는, 크고 작은 여러 연속적인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everal large and small continuous images which are operable for a long time period and are powered by independent power sourc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영되는 메시지가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며 아무런 기술적 배경이 없는 비숙련된 유지관리인에 의해서도 변경이 가능한 저렴한 광고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expensive advertising display in which the projected message is easily replaceable and can be altered by an unskilled maintainer without any technical background.

본 발명에 의하면, 관찰자에 의하여 관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속적인 변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자력 디스플레이 유니트가 제공되며, 이 유니트는 적어도 하나의 벽부가 렌즈모양의 전면 및 평평한 후면을 갖는 선형 렌즈 어레이로 만들어진 하우징, 최대한 상기 렌즈의 초점 길이와 동일하게 상기 후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떨어져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경량이며 실질적으로 평면인 표시 운반체, 및 상기 어레이에서 2개의 인접한 렌즈 사이의 거리와 적어도 동일한 거리에 상기 표시 운반체를 주기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효율이 높고 에너지 소모가 적으며 배터리로 작동되는 직류 구동 장치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gnetic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two or more continuous change images observed by an observer, which unit is a linear lens array having at least one wall portion having a lens-shaped front and a flat rear surface. The housing made, a lightweight, substantially planar display carrier positioned within the housing at a distance away from the rear surface to be at least as large as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and at least at a distance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lenses in the array; It is composed of a high efficiency, low energy consumption and battery operated DC drive device for periodically displacing the display carrie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니트의 단면도;1 is a sectional view of 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변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운반체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 display carrier for displaying a change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문자 ″A″를 디스플레이하는 유니트의 정명도;3 is an illustration of a unit displaying the letter "A";

도4는 구동수단 및 이에 부착되는 편심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drive means and the eccentric attached thereto;

도5는 도4의 편심기와 유사한 편심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내장한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부분적인 단면도로서 상기 구동수단을 상세히 도시하는 부분적인 정면 단면도;FIG. 5 is a partial cross sectional view of a display unit incorporating driving means for driving an eccentric similar to the eccentric of FIG.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이를 선반에 부착하기 위한 피팅(fitting)의 부분적인 정면 단면도;7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unit and a fitting for attaching it to a shelf;

도8 및 도9는 각각 시계를 내장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정면도 및 단면도;8 and 9 are front and sectional views, respectively,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orporating a watch;

도10 및 도11은 각각 시계를 내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10 and 11 are front and sectional views respective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lay unit incorporating a clock;

도11A는 도11의 포위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확대상세도;FIG. 11A is an enlarged detail view showing the enclosure of FIG. 11 in detail; FIG.

도12는 표시 운반체의 단계적인 이동을 발생하는 캠을 도시하는 도면;12 illustrates a cam for generating a stepwise movement of the display carrier;

도13은 주지된 프레넬 렌즈와 같은 단면을 갖는 선형 렌즈 어레이의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13 is a schematic cross sectional view of a linear lens array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as a known Fresnel lens;

도14는 도13에 도시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단면도; 및FIG. 14 is a sectional view of a display unit including the lens array shown in FIG. And

도15는 도13에 도시된 렌즈 어레이가 중공 압출성형 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단면도이다.FIG. 15 is a 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unit in which the lens array shown in FIG. 1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llow extrusion panel. FIG.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며 이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is description.

도면을 참조한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도시된 세부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본 원리 및 개념상의 특징의 설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는 데에 유용하도록 제시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조적인 세부사항을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해에 필요한 정도 이상으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자 하는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실제에 있어서 본 발명이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것은 도면과 함께 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다.In the specific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s shown are intended to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are presen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basic principles and conceptual features of the invention. In this regard, no attempt is made to express the structural details of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than is necessary to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n fac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together with the drawings. It is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from one detailed description.

(실시예)(Example)

도1 내지 도3은 관찰자에 의하여 관찰될 2개 이상의 연속적인 변화 영상을 시선을 움직이지 않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니트(2)를 도시한다. 유니트(2)는 렌즈 어레이(8)로 구성된 전면(6)을 갖는 하우징(4)으로 이루어진다. 렌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연장되는 선형 어레이의 형태로 배열되거나, 또는 양자택일적으로, 벌집형, 구형 또는 기타 배열의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1 to 3 show a display unit 2 for displaying two or more successive change images to be observed by an observer without moving the gaze. The unit 2 consists of a housing 4 having a front surface 6 composed of a lens array 8. The lens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array extending horizontally as shown in FIG. 1 or alternatively, it may be composed of an array of honeycomb, spherical or other arrangements.

고정된 전면(6)의 뒤에는 경량의 표시 운반체(10)가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표시운반체(10)는 종이 형태 또는 필름 형태로 1 또는 2개의 표면상에 존재하며, 여기에,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100,330 호 또는 제 5,488,451 호로부터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주지된 방식으로 표시가 인쇄된다. 이러한 방법이 기초한 광학 원리는 반투명 또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표시 운반체(10)의 표면에 렌즈 어레이(8)에 관한 최소한의 변위로써 인쇄되는 다중의 영상 중 각각의 하나를 가시화할 수 있는 능력이다.Behind the fixed front face 6, a lightweight display carrier 10 is arranged to be movable. The display carrier 10 is present on one or two surfaces in the form of a paper or a film, and here, for example, in a manner commonly known from US Pat. No. 5,100,330 or 5,488,451 or by other methods. The mark is printed. The optical principle upon which this method is based is the ability to visualize each one of the multiple images printed with minimal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lens array 8 on the surface of the translucent or substantially transparent display carrier 10.

표시 운반체(10)는 슬롯(11)으로부터 당겨내고 대체 운반체를 살짝 넣음으로써 서로 유사한 운반체와 용이하게 대체가능하다. 이는 비숙련자에 의해서도 가능하다.The indicator carrier 10 can be easily replaced with similar carriers by pulling it out of the slot 11 and gently inserting the replacement carrier. This is possible even by unskilled personnel.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2)는 또한 하우징의 바닥부에 위치한 격벽(12)을 포함하는데, 이 격벽은 외부 축(16)을 갖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구동 수단(14)을 수용한다. 구동수단(14)의 상세한 구성은 이하 후술한다. 외부 축(16)에는 편심기(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도5에 더욱 잘 도시되는데 표시 운반체(10)가 내부에 위치되는 챔버(20)에 투사되도록 그 주변부가 배열되므로, 표시운반체(10)의 바닥 에지(22)가 편심기(18)의 원주(26)를 따라 마련된 홈(24)의 바닥에 접촉하게된다. 운반체(10)는 홈(24) 내에서 자유롭게 지지되나, 편심기(18)의 회전시 편심기(18)로부터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4, the unit 2 also comprises a partition 12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which partition is electrically driven drive means 14 having an outer axis 16. To accep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ive means 14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uter shaft 16 is provided with an eccentric 18, which is better shown in FIG. 5, since its periphery is arranged so that the display carrier 10 is projected onto the chamber 20 located therein, the display carrier 10. The bottom edge 22 of the 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groove 24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26 of the eccentric 18. The carrier 10 is freely supported in the groove 24, but slips from the eccentric 18 during rotation of the eccentric 18 is prevented.

편심기(18)의 전면도를 도시한 도5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긴 직경(R1)및 짧은 반경(R2)가 그려져 있고 이들간의 차이는 표시 운반체(10)의 변위 길이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편심기(18)에는 짧은 반경(R2)에 외주에 대하여 배치되는 추(28)가 설치되며, 추의 목적은 위쪽 방향에서의 변위에 대하여 표시 운반체의 무게를 약간 상쇄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5, which shows a front view of the eccentric 18, by way of example a long diameter R 1 and a short radius R 2 are draw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constitutes the length of displacement of the indicator carrier 10. do. Optionally, the eccentric 18 is provided with a weight 28 arranged about its outer circumference at a short radius R 2 , the purpose of which is to slightly offset the weight of the indicator carrier against the displacement in the upward direction. .

도5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것으로, 분리 하우징(4), 표시 운반체(10), 표시 운반체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30,32) 및 표시 운반체(10)가 그 원주에 놓이게 되는 편심기(18)를 도시한다. 또한, 배터리(36)로써 전력이 공급되며, 강자성체 아암(40,42)을 갖는 전자석(38)에 연결된 전기 발진기(34)를 포함하는, 효율성이 높고 에너지 소비가 적은 구동 수단(14)을 도시한다. 아암(40,42)의 자유끝단 각각은 아마츄어(44,46)로서 구성되고, 자심(48)을 둘러싸지만 이에 접촉되지는 않으며, 편심기(18)를 구동하기 위하여 전송 기어(50,5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발진기에 의하여 방사되는 각 펄스는 자심(magnetic core: 48)의 180°회전 효과가 있다. 편심기의 윤곽은 그의 회전을 상술된 바와 같이 편심기의 홈이 파진 원주상에 자유롭게 지지되는 표시 운반체(10)의 선형 변위로 변경시킨다. 편심기(18)의 반경 (R1) 및 (R2)은 표시 운반체(10)의 상하방향 총 선형 변위가변위방향에 위치되는 인접한 2개 렌즈의 2개 초점라인사이의 거리(D)와 적어도 동일한 길이로 되도록 계산된다. 이러한 크기의 표시 운반체(10)의 변위는 표시 운반체의 표면상에 연속적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효과가 있다. 표시 운반체(10)은 최소의 중량으로 되며, 발진기(34)에 의하여 발생되는 펄스의 비교적 짧은 주기 동안에만 에너지를 사용하는 상기의 효과적인 구동 수단의 관점에서 볼 때, 상기 유니트의 작동에 요구되는 전력 또한 최소이다: 그러므로, 상기 유니트는 배터리의 교환이 필요없이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작동가능하다. 물론, 상기 유니트는 태양 전지에 의하여 전력 공급되거나 보조될 수 있다.Figure 5 illustrates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in which the separating housing 4, the display carrier 10, guides 30 and 3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isplay carrier and the display carrier 10 are placed on the circumference thereof. The eccentric 18 is shown. Also shown is a high efficiency and low energy consumption drive means 14, which is powered by a battery 36 and comprises an electric oscillator 34 connected to an electromagnet 38 having ferromagnetic arms 40, 42. do. Each of the free ends of the arms 40, 42 is configured as an amateur 44, 46, surrounds the magnetic core 48 bu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it, and transfer gears 50, 52 to drive the eccentric 18. Coupled directly or indirectly to Each pulse emitted by the oscillator has a 180 ° rotational effect of the magnetic core 48. The contour of the eccentric changes its rotation to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display carrier 10 in which the groove of the eccentric is freely supported on the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as described above. The radii R 1 and R 2 of the eccentric 18 are the distance D between two focal lines of two adjacent lenses positioned in the displacement direction of the total linear displacement of the display carrier 10. It is calculated to be at least the same length. The displacement of the display carrier 10 of this size has the effect of displaying a continuous image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carrier. The display carrier 10 is of minimal weight and, in view of the above effective driving means, which uses energy only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he pulse generated by the oscillator 34,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unit. It is also minimal: the unit is therefore operable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without the need for replacement of the battery. Of course, the unit can be powered or assisted by a solar cell.

도1 내지 도5는 영상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한쪽 방향에서만 도시하였으나, 도6은 유니트의 양방향에서 변화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모든 것은 유니트의 나머지 한쪽 면상에 제 2 렌즈 어레이(8')를 제공하고 표시 운반체(10)의 양 표면상에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이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은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다.1 to 5 show the image display unit in only one direction, FIG. 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n image which is changed in both directions of the unit is displayed. All that is required to implement this is to provide a second lens array 8 'on the other side of the unit and to provide images on both surfaces of the display carrier 10. In additi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a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도7은 유니트(2)를 선반에 부착하기 위한 피팅(56)을 선반, 예를 들면, 수퍼마켓이나 백화점의 상품 디스플레이 선반에 결합하기 위하여 적절한 개구(54)가 형성된 분할 하우징(4)의 단면도이다. 피팅(56)은 지나가는 고객 또는 작업자에 의한 사고로 인한 충돌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니트(2)와는 신축성 있게 연결되고 선반에는 더욱 견고히 연결될 수 있도록 고안된다. 피팅(56)과 유니트(2)간의 신축성 있는 연결은 개구(54)에 결합되는 아암(58)에 의하여 달성되고 이에 마찰지지된다. 더욱 견고한 연결은 금속 브라켓트(60)에 의하여 달성된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lit housing 4 in which an appropriate opening 54 is formed for coupling a fitting 56 for attaching the unit 2 to a shelf to a shelf, for example a merchandise display shelf in a supermarket or department store. to be. The fitting 56 is designed to be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unit 2 and more firmly connected to the shelf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by a passing customer or operator. The flexible connection between the fitting 56 and the unit 2 is achieved and frictionally supported by an arm 58 coupled to the opening 54. A more robust connection is achieved by the metal bracket 60.

도8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시계를 결합시키는 것을 활용하기 위한 2가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8 및 도9는 이들 실시예 중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유니트(2)의 하우징(4) 내부에 배치되는 표준 시계 움직임(64)에 의하여 작동되는 시계(62)를 도시하며, 따라서 시계가 결합된 변경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공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경 디스플레이는 시계면 뒤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는 시계(62)의 작동 및 표시 운반체(10) 상의 디스플레이의 변경 모두를 공통의 구동 수단(14)에 의하여 용이하게 한다.8-11 illustrate two embodiments for utilizing the coupling of the clock to 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show a first of these embodiments, which shows a clock 62 operated by a standard clock movement 64 disposed inside the housing 4 of the unit 2, Therefore, a change display unit with a combined clock is provided.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10 and 11, the change display is located behind the clock face. This position facilitates both the operation of the clock 62 and the change of the display on the display carrier 10 by the common drive means 14.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기(18)는 공통 구동 수단(14)의 제 2 축(16)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이에 의하여 구동되고, 운반체(10)내의 적절한 형태 및 크기의 중앙 홀(17)내에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11A, the eccentric 18 is fixedly attached to and driven by the second shaft 16 of the common drive means 14, and has a central hole (of appropriate shape and size in the carrier 10). 17) Move inside.

도12는 편심기(28), 더욱 정확히는, 곡률 (r1, r2, r3)의 상이한 3가지 반경뿐만 아니라 하나의 곡률을 인접한 것에로 인도하는 램프(29)을 갖는 캠을 도시한다. 롤러(66)의 형태로된 캠 종차(cam follower)가 도시되는데, 이는 표시 운반체(10)에 고정 부착된 포크(67)내에 설치된다. 캠이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될 때, 롤러(66)는 곡률(r1)을 따라 구르기 시작한다. 곡률(r1)은 축(16)에 동축으로 되어 있으므로, 운반체(10)는 롤러(66)가 운반체(10)와 함께 램프(29)에 의하여 다음 곡률(r2)로 바뀔 때까지 고정적으로 남아있게 되며, 이 지점으로부터 롤러(66)는 램프(29)에 의하여 한번 더 다음 곡률(r3)상으로 변경될 때까지 다시 ″드웰(dwell)″되고, 이 지점에서 표시 운반체(10)는 최대 변위에 이르게 된다. 곡률(r3)의 끝에 이르게 되면, 롤러(66)는 최하위점에서 다시 운반체(10)에 의하여 곡률(r1)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캠은 3개의 ″드웰″부 및 3개의 램프를 가지며, 그 축(16)의 균일한 회전을 표시 운반체(10)의 단계적인 상승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캠은 시선이 유니트에 대하여 수직위치로부터 많이 일탈되지 않는, 상당한 거리로부터 관찰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특히 유용하다.FIG. 12 shows a cam with an eccentric 28, more precisely, three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r 1 , r 2 , r 3 as well as a ramp 29 leading one curvature to the adjacent one. A cam follower in the form of a roller 66 is shown, which is installed in a fork 67 fixedly attached to the indicator carrier 10. When the cam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he roller 66 starts to roll along the curvature r 1 . Since the curvature r 1 is coaxial to the shaft 16, the carrier 10 is fixedly fixed until the roller 66 with the carrier 10 is changed by the ramp 29 to the next curvature r 2 . From this point the roller 66 is again ″ dwell ″ until it is changed once more by the ramp 29 onto the next curvature r 3 , at which point the indicator carrier 10 Maximum displacement is reached. When the end of the curvature r 3 is reached, the roller 66 falls to the curvature r 1 by the carrier 10 again at the lowest point. The cam therefore has three ″ dwell ″ portions and three ramps, converting the uniform rotation of its axis 16 into the stepwise rise of the display carrier 10. Such cams are particularly useful for large display units where the line of sight is viewed from a significant distance where the eye does not deviate much from the vert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nit.

표시 운반체의 제조는 매우 정밀함을 요하는데, 특히 표시 파라메터간의 치수 관계 및 렌즈 어레이의 피치에 있어서 정밀함을 요한다. 이러한 정밀함은 작은 디스플레이 유니트로써 확실히 달성할 수 있으나, 표시 운반체 제조상의 불가피한 중복 오차, 온도 변화 효과 등으로 인하여 대형 유니트로는 실현불가능하다. 비록 이러한 문제점은 기본적으로 어레이의 선형 렌즈 폭을 증가시킴으로써 완화될수 있으나, 이러한 단계는 그 자체가 상당히 심각한 단점을 안고 있다:The manufacture of an indicator carrier requires very precision, in particular in the dim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cation parameters and the pitch of the lens array. Such precision can be reliably achieved with a small display unit, but cannot be realized with a large unit due to unavoidable redundancy errors in the manufacture of display carriers, effects of temperature changes, and the like. Although this problem can basically be mitigated by increasing the linear lens width of the array, this step has its own serious drawbacks:

1) 원형의 호로써 단면이 구획되는 선형 렌즈 폭이 증가함에 따라, 렌즈의 두께 또한 자동적으로 증가되며, 증가된 폭의 렌즈 어레이는 매우 무거워지고 따라서 비용이 비싸지게 된다.1) As the linear lens width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divided into circular arcs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lens also increases automatically, and the lens array of the increased width becomes very heavy and therefore expensive.

2) 어레이의 주름표면은 특히 밝게 되며 반짝여서 영상의 가시도를 손상하게 된다. 또한 먼지가 퇴적되기 쉽다.2) The wrinkled surface of the array is particularly bright and shiny, which impairs the visibility of the image. Dust is also likely to accumulate.

상기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공되는 렌즈를 도13 및 도14에 도시한다. 이 어레이는 공통의 평면형, 바람직하기로는 그 자체가 이미 주지되어 있는 프레넬 렌즈와 같은 단면을 갖는 선형 렌즈의 내부 군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군은 다수의 준-프리즘 선형 렌즈(quasi-prismatic linear lenses: 준(quasi), 엄격히 말하자면, 이들 프리즘의 경사면은 원통형 표면의 부분들이므로)에 의하여 측면이 둘러싸여 있는, 중앙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렌즈로 구성된다. 그들의 큰 f수[선형 프레넬 렌즈의 경우, 초점 길이 f1, 폭 m (도13)]로 인하여, 이러한 유형의 렌즈는 합리적인 짧은 초점 거리와 결합된 비교적 큰 폭 (예를 들면, 40㎜)을 제공한다.13 and 14 provide a lens that provides a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This array consists of an inner group of linear lenses having a common cross-section, preferably a cross-section like the Fresnel lens which is already known per se, each group comprising a plurality of quasi-prismatic linear lenses. lenses: quasi, strictly speaking, since the inclined surfaces of these prisms are parts of the cylindrical surface), they consist of a central, substantially cylindrical lens surrounded by a side. Due to their large number of f (focal length f1, width m (Fig. 13) for linear Fresnel lenses), this type of lens has a relatively large width (e.g. 40 mm) combined with a reasonable short focal length. to provide.

도13은 상기의 준-프리즘 선형 렌즈 어레이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3에는 상기 렌즈 어레이(84) 뒤의 거리(f)에 위치된 표시 운반체(10)가 도시된다. 어레이(84)는 다수의 선형 준-프리즘 렌즈(90)로 측면이 둘러싸인 중앙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렌즈(88)로 각각 구성된 다수의 군(86)으로 이루어진다. 어레이(84)는 비록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 유니트용으로 여러부분으로 쌓아 올려진 것이나, 바람직스럽게는, 전체적으로 집적된 하나, 즉, 압출성형 또는 엠보씽(embossing)에 의하여 형성된다. 관찰자가 마주보게 되는 표면은 완전히 완만하며 반사/반짝이는 현상 및 먼지가 쌓이는 현상이 훨씬 덜하다.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play unit using the quasi-prism linear lens array described above. 13 shows the display carrier 10 positioned at a distance f behind the lens array 84. Array 84 consists of a plurality of groups 86 each comprised of a central substantially cylindrical lens 88 flanked by a plurality of linear quasi-prism lenses 90. The array 84 is stacked in several parts, especially for large display units, but is preferably formed by an integrated one, i.e., by extrusion or embossing. The surface facing the observer is completely smooth, with much less reflection / shining and dust accumulation.

도14는 도13의 어레이가 압출성형으로 생산되며, 리브(92)가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도시한 것으로, 이들 양자는 모두 어레이(84)를 보강하며 표시 운반체(10)의 파손을 방지한다. 운반체(10)는 상술된 수단 중 임의의 것에 의하여 화살표(B)로 지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한다. 도14의 디스플레이 유니트에는 또한 형광 튜브(94)와 같은 광원이 마련된다.FIG. 14 shows a display unit in which the array of FIG. 13 is produced by extrusion, and ribs 92 are provided, both of which reinforce the array 84 and prevent breakage of the display carrier 10. The carrier 10 moves up and down as indicated by the arrow B by any of the mean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of FIG. 14 is also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such as fluorescent tube 94.

도15의 유니트는 어레이(84)가 중공의 압출성형된 패널의 전면, 리브(92)에 의하여 어레이(84)에 연결된 후면(96)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4의 것과 유사한다.The unit of FIG. 15 is similar to that of FIG. 14 except that the array 84 consists of the front side of the hollow extruded panel, the back side 96 connected to the array 84 by ribs 92.

본 발명은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 및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모든 관점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바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청구범위의 의미 및 상응하는 범위내에서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featur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invention is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as restrictiv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lso within the meaning and equivalent of the claims Include a change.

Claims (16)

적어도 하나의 벽부분이 렌즈형 전면 및 평평한 후면을 갖는 선형 렌즈 어레이로 된 하우징;A housing of a linear lens array having at least one wall portion having a lenticular front and a flat rear surface; 최대한 상기 렌즈의 초점 길이와 동일하게 상기 후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대체가능한 필름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가능하며 경량이고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시 운반체;At least one replaceable, lightweight, and substantially flat display carrier, the replaceable film or paper being disposed in the housing at a distance from the back surface to be at least equal to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상기 어레이의 인접한 2개 렌즈 사이의 거리와 적어도 동일한 거리 동안 상기 표시 운반체를 주기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효율이 높고 에너지 소모가 적으며 배터리로 전력공급되는 직류 구동 수단; 으로 이루어지며,A high efficiency, low energy consumption, battery powered DC drive means for periodically displacing the display carrier for a distance at least equal to a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lenses of the array; Made of 상기 구동수단은 캠에 결합되는 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 운반체의 바닥 에지부는 상기 캠에 의하여 최소한 간접적으로 자유롭게 접촉 및 지지되는, 관찰자에 의하여 관찰되는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변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자력 디스플레이 유니트.The drive means consists of a motor coupled to a cam, and the bottom edge of the display carrier is a magnetic force for displaying at least two successive change images observed by the observer, which are at least indirectly freely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cam.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운반체는 대체가능한 필름 또는 종이의 형태로 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The display unit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carrier is in the form of a replaceable film or pap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캠 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 운반체의 에지는 상기 캠 수단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인접하며, 상기 캠 수단의 총 상승은 상기 표시 운반체의 요구되는 변위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유니트.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rive means is coupled to a cam means, the edge of the display carrier is at least indirectly adjacent to the cam means, and the total rise of the cam means is substantially with the required displacement distance of the display carrier. Same,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태양 전지 배열에 의하여 전력공급되는 전기 모터인, 디스플레이 유니트.The display unit of claim 1, wherein the motor is an electric motor powered by a solar cell ar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축을 갖는 충격-구동식 스텝핑 모터(impulse-driven stepping motor)인, 디스플레이 유니트.The display unit of claim 1, wherein the motor is an impulse-driven stepping motor with an axi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구동식 스텝핑 모터는 충격을 발생하며 상기 스텝핑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각각의 충격은 180°씩 상기 스텝핑 모터의 축을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유니트.6. The display unit of claim 5, wherein the shock-driven stepping motor generates a shock and each shock generated by the stepping motor rotates the axis of the stepping motor by 180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2 r.p.m. 및 4 r.p.m. 사이의 속도로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xis is 2 r.p.m. And 4 r.p.m. Display unit, rotating at a speed betwee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편심기인, 디스플레이 유니트.5. A display uni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am is an eccentric.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승방향으로의 변위에 따라 표시 운반체의 중량을 적어도 다소간 상쇄하기 위하여 외주에 배치되는 추가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5.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am is further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o at least somewhat offset the weight of the display carrier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in the upwar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 운반체는 반투명 또는 실질적으로 투명하여 이를 통하여 빛이 투과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The display unit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carrier is translucent or substantially transparent so that light passes therethroug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2개의 평행하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각각 렌즈 어레이로 된 벽 부분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 운반체는 영상을 상기 유니트의 2 측면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양측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표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2. The housing of claim 1, wherein the housing is composed of two parallel, spaced apart, wall portions each of which is an array of lenses, wherein the display carrier is arranged on both sides to simultaneously display an image on two sides of the unit. A display unit comprising an indication displayable on a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선반에 상기 유니트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The display unit of claim 1, wherein the housing further comprises means for attaching the unit to a shel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는 변화하는 시계면을 갖춘 시계 형태로 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The display unit of claim 1, wherein the unit is in the form of a watch with a changing watch f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수단은 표준 시계 구동의 제 2 선반에 고정부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4. A display un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am means is fixed to a second shelf of standard clock driv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렌즈 각각은 프레넬 렌즈의 단면과 일치하는 단면의 선형 렌즈인, 디스플레이 유니트.The display unit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lenses of the array is a linear lens of a cross section coinciding with a cross section of a Fresnel le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선형이며 상기 선형 렌즈 어레이는 압출성형된, 중공의 2-면 패널의 전방벽, 다수의 리브에 의하여 상기 전방벽에 연결되는 상기 패널의 후방벽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2. The lens array of claim 1 wherein the lens array is linear and the linear lens array consists of an extruded, front wall of a hollow two-sided panel, the rear wall of the panel connected to the front wall by a plurality of ribs. , Display unit.
KR10-1999-0043266A 1999-10-07 1999-10-07 Display unit KR100411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266A KR100411628B1 (en) 1999-10-07 1999-10-07 Displa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266A KR100411628B1 (en) 1999-10-07 1999-10-07 Display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312A true KR20010036312A (en) 2001-05-07
KR100411628B1 KR100411628B1 (en) 2003-12-18

Family

ID=3752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266A KR100411628B1 (en) 1999-10-07 1999-10-07 Display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6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036B1 (en) * 2002-01-29 2006-07-07 김강철 A display device for multi printing pap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036B1 (en) * 2002-01-29 2006-07-07 김강철 A display device for multi printing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1628B1 (en)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6906B1 (en) Display units
US6972738B2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EP1067503B1 (en) Display units
EP1001401B1 (en) Display unit
US4417412A (en) Fiber optic display device
KR100608207B1 (en) Device Providing Picture Visibilit y From All Sides
KR100411628B1 (en) Display unit
US20040231206A1 (en) Display unit
EP1347431A1 (en) Display unit
RU2253906C2 (en) Displaying device
AU764995B2 (en) Display units
US6658772B2 (en) Multi surface billboard
PL190919B1 (en) Display unit
KR100598036B1 (en) A display device for multi printing paper
RU48416U1 (en)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EP0911791A2 (en) Graphic information display panel
US2203245A (en) Motion display device
US2801484A (en) Animated sign
HU208190B (en) Device for indicating information, in particular for digitally indicating prices
KR100613302B1 (en) Signboard
KR20030049728A (en) Advertisement apparatus having a belt-typed notice portion
KR200395005Y1 (en) Advertisement Apparatus using Optic Image
KR200363710Y1 (en) Signboard
SE463233B (en) Image-changing electric sign
CA2150748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