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6023A -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 호의 과금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 호의 과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6023A
KR20010036023A KR1019990042857A KR19990042857A KR20010036023A KR 20010036023 A KR20010036023 A KR 20010036023A KR 1019990042857 A KR1019990042857 A KR 1019990042857A KR 19990042857 A KR19990042857 A KR 19990042857A KR 20010036023 A KR20010036023 A KR 20010036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qnc
frc
service
iw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9197B1 (ko
Inventor
강신명
김대수
정성규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4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197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53Methods or systems for payment or settlement of the charges for data transmission involving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04M15/8214Data or packet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QNC 호의 과금 방법은 호 해제시 비동기 데이타 호 설정실패와 QNC호를 구분할 수 있고, IWF에서 전송되는 바이트 수와 패킷 수를 과금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 유지시간 뿐 만 아니라 제공받은 정보의 양도 과금내역에 포함시켜 보다 신뢰성 있는 과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MCC로 부터 단말기쪽에서 호가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FR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따라 단말기로 부터 호가 해제되었음을 알고 IWF로 호 해제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a)상기 전송된 호 해제 메세지를 이용하여 해당 호의 서비스가 QNC호 일 경우 서비스 옵션을 비동기 데이타 호에서 패킷호로 변환하고, b)서비스 옵션, 바이트 수 및 패킷 수를 결합하여 일정 포맷으로 변환한 메세지를 FR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메세지에 패킷 수가 있고, 서비스 옵션이 비동기 데이타 호에서 패킷호로 바뀌어 있으면, QNC호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비동기 데이타 호의 설정실패로 판단하여 상기 IWF로 부터의 호 해제 원인지 정상호 해제이더라도 인터워킹 에러로 바꾸어 상기 MC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IWF로 부터 수신한 과금정보를 이용하여 비동기 데이타 호와 QNC구분정보, 바이트 수, 패킷 수 및 서비스 옵션 정보를 MCC로 전송하여 바이트 수 및 패킷수를 과금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 호의 과금 방법{Method for charging of quick net connect call in a radio data call service}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호 서비스중 통화서비스에 대한 과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데이터 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호(Quick Net Connect: 이하 QNC라 칭함)와 비동기 데이타 호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QNC 해제시 제공된 정보의 양에 따라 QNC호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QNC호의 과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 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개인 휴대용 통신 장치들이 널리 보급되면, 이동 통신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가입자들은 보다 많은 부가 서비스와 수준 높은 통화 품질을 희망하게 되었다.
여기서, 개인 휴대용 통신 장치란 공중 통신을 위하여 기지국과 무선으로 음성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제작된 여러 가지 형태의 휴대형 통신단말기로서 셀룰러폰, PCS폰, IMT-2000단말기, GSM단말기 등등의 각종 단말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가입자와 인터넷 또는 공중 통신망간의 신호 전달 체계에 따른 개략적인 예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임의의 가입자가 이동 통신 서비스망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상태에서, 국선 가입자 또는 이동 통신 가입자로부터 전화 접속요청이 발생되면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이동 통신 서비스망을 형성하고 있는 각 기지국을 통하여 해당 가입자를 호출하여 호접속을 시도한다.
이후, 호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호출된 해당 이동 통신 가입자는 호출자와 전화접속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근래 제공되고 있는 인터넷 접속 기능에 의하여 인터넷 가입자중 어떤 가입자가 이동 통신 서비스망내 어떤 이동 통신 가입자의 E-mail에 메시지를 남기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이와 같은 정보를 해당 가입자에게 알려주고, 해당 가입자는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자를 통하여 인터넷상의 E-mail을 다운로드 받아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인터넷 또는 PC통신상의 특정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자를 통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 또는 PC통신상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다운 로드받아 이를 저장하고 필요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와 인터넷 또는 공중 통신망간의 신호연결이 중요한데, 그러한 기능은 통상 교환국에서 수행하고 이러한 교환국의 기능적 구성은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의 기능과 전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IWF(Inter-Working Function)(6)는 무선구간과 국설교환 구간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기능 또는 설비이며, 무선 데이터호는 기존 국설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하 PSTN이라 함)(7)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동망에서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때 이동가입자의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 이하 MS라 함)(1)는 국설교환망에서의 모델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비동기 데이터 호는 데이터 호가 직접 패킷망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고 데이터 서비스를 하는 PSTN(7)으로 나가는 서비스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교환기(8)는 IWF(6)와 두 개의 경로(path)로 연결되어 있는데, 두 개의 경로중 하나가 이동 경로(Mobile path)(9)이고 다른 하나가 국설교환 경로(PSTN path)(10)이다. 상기 이동 경로(Mobile path)(9)는 IWF(6)와 교환기(8)의 이동가입자를 연결하여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국설교환 경로(PSTN path)(10)는 IWF(6)와 고정가입자나 데이터 서비스 제공자 사이를 연결하여 준다.
FRC(Frame Relay Control block)(3)는 상기 이동 경로(Mobile path)(9)를 위한 호처리 블록이고, PRC(Primary Rate interface Control block)(4)는 국설교환 경로(PSTN path)를 위한 호처리 블록이다. 또한, MCC(Mobile Call Control)(2)는 FRC와 이동가입자를 연결시키는 호처리 블록이고, TCR/TC7(Trunk Call Control for R2 MFC/Trunk Call Control for No. 7)(5)은 타 망으로 나가는 중계호 블록이다.
또한, 인터넷(11)블록은 서비스 옵션블록으로, 서비스 옵션은 제공되는 무선 서지스를 구분하기 위해 QNC호인 경우 국설교환경로(10)를 거치지 않는 인터넷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신호 연결 체계에서 통화 경로 형성에 따른 과금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IWF(6)와 교환기(8)는 이동 경로(9)와 국설교환 경로(10)가 서로 다른 E1 링크(Link)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해 상기 이동 경로(9)를 위한 호처리와 상기 국설교환 경로(10)를 위한 호처리를 별개로 처리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이동 경로(9)와 국설교환 경로(10)는 서로 독립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가입자가 MS(1)를 통해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호를 시도하면 상기 교환기(6)는 먼저 MCC(2)와 FRC(3)를 통해 이동 경로(9)를 설정 시도한다. 이때, 경로 설정에 성공하면 TCR/TC7(5)과 PRC(4)를 통해 국설교환 경로(10) 설정에 진입한다. 이러한 경로 설정과정은 IWF(6)가 3com 장비의 경우 이동가입자가 발신을 하는 경우이거나 착신을 하는 경우 공통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문제는 이동가입자 MS(1)가 발신을 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즉, 이동가입자가 발신을 시도하였을 때, 이동경로(9)에는 설정이 성공하고, 국설교환 경로(10)의 설정에 실패했을 때가 문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비동기 데이타 호서비스를 시도하다가 실패한 것인지 QNC호 서비스를 시도하다가 실패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왜냐하면, QNC호는 국설교환경로(10)로 설정을 시도하지 않고 직접 인터넷망(11)으로 나가는 서비스이고, 일반 비동기 데이타 호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종래 기술에 있어서 FRC(3)는 비동기 데이타 호가 이동경로(9) 설정 이후 국설교환경로(10) 설정에 실패한 경우와 QNC 정상호인 경우를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FRC(3)는 과금시점을 MCC(2)에게 비동기 데이타 호와 QNC호의 경우를 나누어서 알려주어야 하지만 그렇게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호 해제시 비동기 데이타 호 설정실패와 QNC호를 구분할 수 있고, IWF에서 보내주는 바이트 수와 패킷수를 과금처리할 수 있는 기능으로써, 호 유지시간 뿐 만 아니라 제공받은 정보의 양도 과금내역에 포함시켜 보다 신뢰성 있는 과금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한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 호의 과금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 호의 과금 방법의 특징은 MCC, FRC를 구비한 이동통신 교환기와 무선구간과 상기 교환기구간 사이에서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는 IWF를 이용하여 QNC호에 대해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MCC로 부터 단말기쪽에서 호가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FR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따라 단말기로 부터 호가 해제되었음을 알고 상기 IWF로 호 해제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a)상기 전송된 호 해제 메세지를 이용하여 해당 호의 서비스가 QNC호 일 경우 서비스 옵션을 비동기 데이타 호에서 패킷호로 변환하고, b)서비스 옵션, 바이트 수 및 패킷 수를 결합하여 일정 포맷으로 변환한 메세지를 상기 RF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메세지에 패킷 수가 있고, 서비스 옵션이 비동기 데이타 호에서 패킷호로 바뀌어 있으면, QNC호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비동기 데이타 호의 설정실패로 판단하여 상기 IWF로 부터의 호 해제 원인지 정상호 해제이더라도 인터워킹 에러로 바꾸어 상기 MC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IWF로 부터 수신한 과금정보를 이용하여 비동기 데이타 호와 QNC구분정보, 바이트 수, 패킷 수 및 서비스 옵션 정보를 MCC로 전송하여 바이트 수 및 패킷수를 과금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도 1은 이동 통신 가입자와 인터넷 또는 공중 통신망간의 신호 전달 체계에 따른 개략적인 예시도
도 2는 종래 교환기내 신호 전달 체계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콜 접속과정에 대한 신호 흐름과정의 예시도
도 4는 비동기 데이타 호와 QNC호의 구분을 위한 동작 플로우챠트,
도 5는 무선 데이타 서비스를 위한 호 해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금정보의 메세지의 데이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QNC호의 과금 정보 생성을 위한 구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 호의 과금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호 데이타 호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Setup이란 특정 모듈에서 다른 특정 모듈로 통화 경로 형성에 관련한 어떤 요청을 칭하는 것이며, Connect는 상기 Setup에 대응하는 통신로 연결허가이고, FRI_SubsSzRQ는 이동가입자가 데이터 호를 시도한다는 메시지이며, CdAnsRP는 착신측에서 요청에 따른 허가응답이 왔다는 메시지이다.
또한, OgtSzRQ는 출중계를 이용하여 타 망으로 호설정을 시도하겠다는 요청신호이며, Alerting은 어떤 요청에 대하여 수행할 수 없는 경고상태에 있는 다는 것을 경고신호이고, CdstRP는 Alerting 상태에 있다는 메시지이다.
마지막으로, PSTN_Conn은 PSTN과 호접속 요청에 따른 연결상태의 확인 신호이며, Call_Conn은 콜요청에 대한 허가 유무신호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콜 접속관계에 대하여 살펴보면, MS(1)에서 교환기(8)의 MCC(2)측으로 호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MCC(2)측에서는 이 호접속을 입력받아 이동가입자가 데이터호를 시도하였다는 FRI_SubsSzRQ 메시지를 FRC(3)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FRC(3)는 IWF(6)측으로 MS(1)측에서 발생시킨 호 접속 시도에 따른 데이터호의 요청을 의뢰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IWF(6)측에서는 접속가능한 경우 접속요청을 허가한다는 신호 Connect를 상기 FRC(3)측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FRC(3)는 착신측 즉, FRC(3)에서 요청에 따른 허가응답이 왔다는 메시지 CdAnsRP를 상기 MCC(2)측으로 전달하게되고, 상기 MCC(2)는 MS(1)측으로 접속요청을 허가되었다는 신호 Connect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IWF(6)측에서는 상기 FRC(3)측으로 Connect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PRC(4)측으로 Setup신호를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PRC(4)측에서는 TCR/TC7(5)측으로 중계를 이용하여 타 망으로 호설정을 시도하겠다는 요청신호인 OgtSzRQ를 발생시킨다.
상기 TCR/TC7(5)은 상기 PRC(4)측에서 발생되는 OgtSzRQ를 입력받게 되면 PSTN(7)측으로 호설정 시도에 대한 재요청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PSTN(7)측에서는 대기 또는 호접속 요청을 거부하는 Alerting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접속요청을 허가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PSTN(7)측에서 접속요청을 허가하는 신호 Answer를 발생시킨 경우 CdAnsRP신호와 Connect신호 및 Connect Ack신호에 의하여 정상적인 통화경로가 형성되어지지만, 상기 PSTN(7)측에서는 대기 또는 호접속 요청을 거부하는 Alerting신호를 발생시킨 경우 그에 대응하는 CdstRP 신호는 TCR/TC7(5)측에서 PRC(4)측으로만 전달되기 때문에 전술하였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즉, MS와 IWF간의 통화로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어진 상태로 일정시간 정상적인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한 후 통화로가 폐쇄됨으로 인해 MS와 IWF간의 통화로 형성시간동안 과금되어지는 것이다.
결국, 국설교환 경로(10)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FRC(3)가 국설 교환 경로(10)가 연결되었다는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하는데, 이때, QNC호와 구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QNC호와 비동기 데이타 서비스를 구분하는 것은 전적으로 IWF(6)에서 수행하게 된다. 이는 이동 경로(9)가 설정되고, 나서 통화로 경로를 통해 MS(1)와 IWF(6)가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동안 IWF(6)에서 판단을 하게 되는데 이를 호 처리 블록인 FRC(3)로 알려줄 방법이 없다. 따라서, 도 4와 같은 알고리즘이 필요한 것이다. 즉, 도 4는 현재 시도되고 있는 호가 어떤 호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동경로가 설정된 직후부터의 동작을 도시하였다.
먼저, 현재 이동경로(9)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T1).
판단결과, 이동경로(9)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호 설정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호 설정 실패에 해당하는 작을 수행한다(ST2).
그러나, ST1단계에서 이동 경로(9)가 연결되어있다고 판단되면, 이동경로가 설정된 이후에 MCC(2)로 하여금 QNC호일 경우를 대비해서 1차적으로 과금생성 시점을 결정하게 한다(ST2). 즉, MCC(2)에게 이동 경로(9)가 설정되었음을 알려 과금정보를 생성하도록 타이머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타이머는 대략 40초 정도로 설정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IWF(6)가 MS(1)와의 프로토콜 처리 소요시간이 대략 30초 정도이기 때문이다.
이어, 과금 정보 생성 타이머가 설정되면, 국설 교환 경로(10)가 연결되었는지 즉, PRC(4)가 FRC(3)에게 국설 교환 경로(10)가 연결되었다는 메세지를 전송하였는지 아니면 전송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T4).
판단결과, 국설 교환 경로(10)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타이머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ST5),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에 국설 교환 경로(10)가 연결되었다는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비동기 데이타 호를 성공적으로 연결했다는 것이기 때문에 이동 경로(9)가 연결되면서 생성되었던 과금시점을 이 시점으로 갱신한다(ST7). 즉, MCC(2)로 국설 교환 경로(10)가 설정되어 있음을 알려 과금 정보(과금시점)을 갱신하는 것이다.
그러나, ST4단계에서 국설 교환 경로(10)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즉,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에 국설 교환 경로(10)가 연결되었다는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타이머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T6), 판단결과 타이머가 종료되었을 경우 즉, 타이머가 종료되도록 국설 교환 경로(10)가 연결되었다는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호 설정 실패이거나 QNC호가 되는 것이다(ST8). 이때, 비동기 데이타 호와 QNC호를 교환기(8)에서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시점은 호가 해제될 때이다. 비동기 호와는 달리 QNC호에는 바이트와 패킷 카운터라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이하, MS(1), 교환기(8) 및 IWF(6)간의 호 해제 과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무선 데이타 서비스를 위한 호 해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비동기 데이타 호와 QNC호를 구분해 주는 것과 동시에 FRC(3)에서 MCC(2)로 바이트 수와 패킷 수를 전달해 주기 위해서 IWF_cdRelRP라는 신호가 새로 만들어진 것이다. 기존의 무선호에서는 MS(1)측에서 MCC(2)로 Disconnect신호가 전달되면, MCC(3)에서 확인절차 없이 Release신호를 바로 보내 주었지만 QNC호의 과금을 위해서는 FRC(3)로 부터 과금정보가 제대로 전달되는지 확인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IWF_cdRelRP메세지에는 바이트 수와 패킷 수 그리고 서비스 옵션이 포함된다. 즉, IWF_cdRelRP신호의 데이타 구조는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가지고 호 해제시 비동기 데이타 호인지 QNC호인지를 구분하게 되는데, 이는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QNC호의 과금 정보 생성을 위한 구현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C(3)는 FRCm(FRC Main Process)와 FRCc(FRC Child Process)로 구분되는 것으로, FRCc가 MCC(2)로 부터 IWF_cgRelRP를 받게 되면, MS(1)로 부터 호 해제가 시작됨을 알고 IWF(6)로 Disconnect메세지를 전송한다. 이때, IWF(6)는 해당 호의 서비스가 QNC호 일 경우 서비스 옵션을 비동기 데이타 호에서 패킷 호로 바꾸고 바이트 수와 패킷 수를 묶어서 Account라는 포맷에 맞추어 Realease메세지에 넣어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FRC(3)는 Release메세지안에 패킷 Account가있고, 서비스 옵션이 비동기데이타호에서 패킷호로 바뀌어 있으면, QNC호로, 그렇지 않으면, 비동기 데이타호의 설정실패로 판단하여 IWF(6)로 부터의 호 해제 원인이 정상호 해제이더라도 인터워킹 에러(Interworking Error)로 바꾸어 MCC(2)로 보내 주게 된다. 그리고, FRC(3)는 IWF(6)로 부터 받은 과금정보를 이용하여 IWF_cdRelRP 메세지를 만들어 MCC(2)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QNC 호의 과금 방법은 호 해제시 비동기 데이타 호 설정실패와 QNC호를 구분할 수 있고, IWF에서 전송되는 바이트 수와 패킷 수를 과금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 유지시간 뿐 만 아니라 제공받은 정보의 양도 과금내역에 포함시켜 보다 신뢰성 있는 과금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MCC, FRC를 구비한 이동통신 교환기와 무선구간과 상기 교환기구간 사이에서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는 IWF를 이용하여 QNC호에 대해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MCC로 부터 단말기쪽에서 호가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FR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따라 단말기로 부터 호가 해제되었음을 알고 상기 IWF로 호 해제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a)상기 전송된 호 해제 메세지를 이용하여 해당 호의 서비스가 QNC호 일 경우 서비스 옵션을 비동기 데이타 호에서 패킷호로 변환하고,
    b)서비스 옵션, 바이트 수 및 패킷 수를 결합하여 일정 포맷으로 변환한 메세지를 상기 RF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메세지에 패킷 수가 있고, 서비스 옵션이 비동기 데이타 호에서 패킷호로 바뀌어 있으면, QNC호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비동기 데이타 호의 설정실패로 판단하여 상기 IWF로 부터의 호 해제 원인지 정상호 해제이더라도 인터워킹 에러로 바꾸어 상기 MC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IWF로 부터 수신한 과금정보를 이용하여 비동기 데이타 호와 QNC구분정보, 바이트 수, 패킷 수 및 서비스 옵션 정보를 MCC로 전송하여 바이트 수 및 패킷수를 과금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QNC호의 과금 방법
KR1019990042857A 1999-10-05 1999-10-05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 호의 과금 방법 KR100329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857A KR100329197B1 (ko) 1999-10-05 1999-10-05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 호의 과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857A KR100329197B1 (ko) 1999-10-05 1999-10-05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 호의 과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023A true KR20010036023A (ko) 2001-05-07
KR100329197B1 KR100329197B1 (ko) 2002-03-22

Family

ID=1961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857A KR100329197B1 (ko) 1999-10-05 1999-10-05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 호의 과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1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879A (ko) * 2001-09-21 2003-03-29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과금 시스템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과금 정보 수집방법
KR20030093565A (ko) * 2002-06-03 200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데이터통신에서의 패킷량측정방법
KR100454678B1 (ko) * 2001-12-13 2004-11-0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접속장치에서 휴지상태를 고려한 호해제/과금전송방법
KR100509935B1 (ko) * 2003-02-11 2005-08-2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과금 세분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879A (ko) * 2001-09-21 2003-03-29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과금 시스템을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과금 정보 수집방법
KR100454678B1 (ko) * 2001-12-13 2004-11-0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접속장치에서 휴지상태를 고려한 호해제/과금전송방법
KR20030093565A (ko) * 2002-06-03 200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데이터통신에서의 패킷량측정방법
KR100509935B1 (ko) * 2003-02-11 2005-08-2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과금 세분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9197B1 (ko) 200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7479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the transmission of a short message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CA2314103C (en) Digital cellular telecommunications with short message service over the packet channel
US6349224B1 (en) Method for making mobile-to-mobi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EP1123626B1 (en) Ip roaming number gateway
EP0993743B1 (en) Method and device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71973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wireless network services in a network through another network having a different network technology
KR101122364B1 (ko) 상이한 무선망에 위치하는 이동국들간 패킷 데이터 호들을설정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
US6473422B2 (en)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screen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CN106209908B (zh) 因特网通信环境和移动通信环境之间呼叫建立方法和装置
US20070273749A1 (en) Cellular phone system, video-phone call control device, cellular phone and video-phone call control method
KR100329197B1 (ko)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인터넷 직접 접속 호의 과금 방법
US7345997B2 (en) Packet call rou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1999056478A1 (en) An announcing system and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hold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US20010034231A1 (en) Mobile telephone networks
KR100295834B1 (ko) 무선 데이터호 서비스중 비동기 데이터 호의 과금 방법
KR20030013499A (ko) 유무선 연동 불완료 호 발신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708363B1 (ko) 패킷서비스통지기능이 구비된 더불유씨디엠에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070561B2 (ja) 公衆回線を用いた通信方式
GB2371714A (en) Call charging advice before completion of call set-up
JPH11177713A (ja) 通信端末装置
KR100519665B1 (ko) 비동기 imt-2000망에서의 익명호 수신 제한 방법
KR100286751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착신 가입자 위치에 따른 이동 입 호거부 방법
KR100957636B1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35929A (ko) 발신 가입자 전화번호 표시장치 및 방법
JP3238091B2 (ja) Phs着信転送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