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952A -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 디지털데이터 메모리장치 및문제점 보고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 디지털데이터 메모리장치 및문제점 보고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952A
KR20010029952A KR1020000040766A KR20000040766A KR20010029952A KR 20010029952 A KR20010029952 A KR 20010029952A KR 1020000040766 A KR1020000040766 A KR 1020000040766A KR 20000040766 A KR20000040766 A KR 20000040766A KR 20010029952 A KR20010029952 A KR 20010029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ata
digital
management information
memory device
intelligen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마자키요지
오노다카토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9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95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68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 G11B20/0068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said measures preventing that a usable copy of recorded data can be made on another medi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8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devices recording or reproducing contents to/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time or d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는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와 접속되어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디지털데이터를 이용한다.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와의 접속으로부터 디지털 데이터의 이용으로의 처리가 어떤 지점에서 중단되어 디지털 데이터의 이용이 불가능하게 될 때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는 처리가 중단되는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문제점 보고를 생성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 디지털데이터 메모리장치 및 문제점 보고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DIGITAL DATA RECORDING DEVICE, DIGITAL DATA MEMORY DEVICE, AND DIGITAL DATA UTILIZING DEVICE THAT PRODUCE PROBLEM REPORTS}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데이터의 비인증 사용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우호감을 증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의 디지털화가 증가되고 있다. 디지털화된 정보(이하, 디지털 콘텐츠라 함)는 사용하기가 비교적 쉬울 뿐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열화하지도 않기 때문에, 오디오 및 이미지 데이터 등의 정보는 더욱 더 디지털화가 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가 복사되면, 그 사본은 원본과 정확하게 동일하게 되어버린다. 이것은 저작권정보의 불법적인 복사와 변조 등의 비인증 행위를 야기한다.
디지털콘텐츠의 비인증 사용을 단념시키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을 위한 조건을 나타내는 관리정보를 수반하고 이들 조건 중의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지 않으면 디지털콘텐츠의 사용이 금지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또한, 무효인 장치가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전에 2개의 장치가 서로 인증하고(즉, 상호인증) 어떠한 비인증 장치도 디지털콘텐츠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메모리카드 등의 저장매체에 각각 유일한 번호(이하, "카드 ID"라 함)가 부여되어 각각의 저장매체가 그 자신의 카드 ID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만을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암호화되어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가 다른 메모리카드에 복사되는 경우에도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의 사본은 후자의 메모리카드의 카드 ID에 의해 해독될 수 없어서 비인증 복사가 실패로 끝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기에 만족할만한 필요가 있는 많은 조건이 있거나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기 전에 실행될 필요가 있는 많은 프로세스가 있을 때에는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려고 시도하는 사용자는 프로세스에서 에러의 발생 또는 어느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실패(이하, 이러한 에러와 실패를 집약적으로 "문제점"이라고 칭한다)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없는 이유를 발견해 내기 어렵게 되므로 적절하게 문제를 취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와,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장치와, 사용자가 문제점의 발생 때문에 디지털콘텐츠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와, 디지털 데이터 기록 및 이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더(100), 메모리카드(120), 및 플레이어(140)의 구성도.
도 2는 레코더(100)의 인증부(102)와 메모리카드(120)의 인증부(123)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플레이어(140)의 인증부(142)와 메모리카드(120)의 인증부(123)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상호인증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디지털 콘텐츠를 레코더(100)로부터 메모리카드(120)로 기록하는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상호인증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디지털 콘텐츠를 메모리카드(120)로부터 판독하고 플레이어(140)에 그것을 이용하는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로 구성되는 디지털 데이터용 포맷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서비스 유형의 제한을 검사하는 플레이어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수에 관한 제한을 검사하는 플레이어(140)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횟수를 검사하는 플레이어(140)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상태를 검사하는 플레이어(140)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제한을 검사하는 플레이어(140)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플레이어(140)의 하드웨어 구성도.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디지털데이터를 이용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를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에 접속된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데이터를 이용하는 이용부와; 접속부에 의한 접속으로부터 이용부에 의한 이용으로의 처리가 어떤 지점에서 중단되어 디지털데이터의 이용이 불가능하게 될 때 처리가 중단된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문제점 보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는 처리가 중단된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데이터가 사용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한다.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가 어떤 문제점의 발생에 기인하여 사용될 수 없으면 사용자는 그 문제점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는 수신부에 의해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사이의 상호인증으로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 상호 인증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상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의 인증에 성공하였을 때에는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고,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의 인증에 실패하였을 때에는 인증실패 정보를 송신하며, 수신부는 상호인증부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고, 문제점 보고부는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인증실패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실패 정보 수신부와; 상호인증부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의 인증에 실패하였을 때에는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무효한 것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다는 결정을 하고, 인증실패 정보 수신부가 인증실패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가 무효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다는 결정을 하는 이유결정부와; 이유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이유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이유통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사이의 상호인증이 실패로 되면 사용자는 장치가 무효인 것을 통지받게 된다.
여기에서 문제점 보고부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타임아웃 판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유결정부는 타임아웃 판정부가 디지털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았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의 실패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음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통지받게 된다.
여기에서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는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와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부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나타내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며, 관리정보는 암호화되고, 이용부는 관리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는 관리정보 해독부와; 관리정보 해독부가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는데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해독판정부와; 해독판정부가 관리정보 해독부가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는데 성공하였음을 판정하면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 콘텐츠 이용부를 포함하고, 문제점 보고부는 해독판정부가 관리정보 해독부가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는데 실패하였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관리정보가 변경된 것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음을 결정하는 이유결정부와; 이유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이유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이유통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관리정보가 디지털 데이터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로 송신되는 동안 비인증의 변경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리정보가 암호화된다. 암호화된 관리정보의 해독에 실패하면 사용자는 관리정보 자체가 변경된 것임을 통지받게 된다.
여기에서, 관리정보는 암호화된 관리정보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유일하게 부여된 장치 ID에 기초하여 해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암호화되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는 디지털 이용장치에 접속된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장치 ID를 취득하는 장치 ID 취득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관리정보 해독부는 장치 ID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장치 ID에 기초하여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고, 이유결정부는 해독 판정부가 관리정보 해독부가 암호화된 관리정보의 해독에 실패하였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관리정보가 다른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의해 변경되었거나 또는 암호화된 관리정보가 다른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 불법적으로 복사되었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음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관리정보가 암호화되므로 암호화된 관리정보는 암호화된 관리정보의 비인증 복사행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의 장치 ID에 기초하여 해독될 수 있다. 암호화된 관리정보의 해독에 실패하면 사용자는 관리정보 자체가 변경된 것이거나 암호화된 관리정보가 다른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그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 불법적으로 복사된 것임으로 통지받게 된다.
여기에서, 이용부는 해독 판정부가 관리정보 해독부가 암호화된 관리정보의 해독에 성공하였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관리정보 해독부에 의해 취득된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이 맞는지의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된 것인지 또는 금지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조건판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콘텐츠 이용부는 조건판정부가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된 것임을 판정하면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며, 이유결정부는 조건 판정부가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되었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 조건의 어느 것도 부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디지털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음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관리정보에 나타난 어떤 조건도 부합되지 않음을 이유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이 금지되면 사용자는 디지털콘텐츠의 사용을 위한 조건이 부합되지 않은 것임을 통지받게 된다.
여기에서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는 미리 결정된 데이터 포맷으로 부호화되고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의해서만 호환되며,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들은 디지털 콘텐츠와 호환가능한 서비스를 특정하는 서비스 유형 한계를 포함하고, 이용부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가 호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정보를 유지하는 서비스 정보 유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조건판정부는 서비스 유형 제한에 의해 특정된 서비스가 서비스 조건에 의해 나타난 어느 서비스와도 일치하지 않으면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며, 이유결정부는 조건판정부가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되었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가 디지털콘텐츠와 호환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서비스 유형의 제한이 만족되지 않는 것을 이유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이 금지되면 사용자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가 디지털콘텐츠와 호환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임을 통지받게 된다.
여기에서,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횟수에 관한 제한을 포함하며, 조건판정부는 그 수가 1보다 작으면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되는 것으로 판정하고, 이유결정부는 조건판정부가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디지털콘텐츠의 사용횟수가 0이기 때문에 디지털 콘텐츠가 이용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횟수가 0인 것을 이유로 디지털콘텐츠의 사용이 금지되면 사용자는 디지털콘텐츠의 사용이 더 이상 허가될 수 없는 것임을 통지받게 된다.
여기에서,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은 디지털콘텐츠를 이용하는 시간제한을 포함하며, 이용부는 현재의 일시(일자와 시간)를 나타내는 클록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조건판정부는 현재의 일시가 시간제한을 넘으면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되는 것임을 판정하며, 이유결정부는 조건판정부가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디지털데이터가 시간제한이 만료되었기 때문에 이용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시간제한의 만료를 이유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이 금지되면, 사용자는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대한 시한이 만료된 것임을 통지받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은 디지털콘텐츠를 복제할 권리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제정보를 포함하고, 이용부는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를 명령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유형 판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조건판정부는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를 명령하였으나 그 복제정보가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권한이 없는 것이면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고, 이유결정부는 조건판정부가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디지털콘텐츠를 복제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복제권이 없음을 이유로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되면 사용자는 디지털 콘텐츠를 복제할 권한이 없음을 통지받게 된다.
여기에서,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은 디지털콘텐츠가 복제될 수 있는 횟수에 관한 제한을 포함하고, 조건판정부는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를 명령하여 그 복제정보가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권한이 있는 것이나 만약 디지털 콘텐츠를 복제할 횟수가 1보다 작으면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고, 이유결정부는 조건판정부가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디지털콘텐츠를 복제할 횟수가 0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복제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횟수가 0임을 이유로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되면, 사용자는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가 더 이상 허가되지 않는 것임을 통지받게 된다.
여기에서,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은 디지털콘텐츠가 이용될 수 있는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제한을 포함하고, 이용부는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에 관련된 영역을 나타내는 장치영역을 유지하는 장치영역 정보 유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조건판정부는 영역제한에 의해 특정된 영역이 장치영역 정보에 의해 나타난 영역을 포함하지 않으면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고, 이유결정부는 조건판정부가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가 디지털 콘텐츠의 영역제한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이유통지부는 해독판정부가 관리정보 해독부가 암호화된 관리정보의 해독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면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자동으로 방출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분리시키지만, 조건판정수단이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된 것으로 판정하면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분리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암호화된 관리정보의 해독에 실패하면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는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로부터 자동으로 방출된다.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는데 실패하는 것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자체가 사용될 수 없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그것을 다른 메모리장치로 교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는 사용자에게는 메모리장치를 방출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여기에서 문제보고부는 문자와 부호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밝히거나 번쩍이게 할 수 있는 발광장치와, 음성과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와, 비퍼와, 진동자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적 동작을 초기화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통지수단 중의 하나를 통해 또는 이들 통지수단의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에게 그 이유를 보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가 사용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다양한 통지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는 디지털이용장치에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는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사이의 상호인증으로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를 인증하는 상호 인증부와; 상호 인증부가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에는 디지털이용장치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 상기 디지털이용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것인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송신하는 디지털데이터 송신부와; 상호 인증부가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를 인증하는데 실패하였을 때에는 인증실패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송신하는 인증실패 정보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지털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를 인증하는데 실패하면,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는 인증실패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송신하며, 그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의 통지수단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의 무효성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사이의 상호인증으로 상기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 상호 인증부와 -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는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가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송신함; 상호 인증수단가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에는 디지털기록장치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호 인증부가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데 실패하였을 때에는 인증실패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송신하는 인증실패 정보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디지털기록장치를 인증하는데 실패하면,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는 인증실패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송신하고, 그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의 통지수단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의 무효성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기록하기 위해 디지털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송신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를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디지털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접속된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접속부에 의한 접속으로부터 송신부에 의한 송신으로의 처리가 어떤 지점에서 중단되어 디지털데이터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될 때 처리가 중단되는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문제점 보고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는 처리가 중단된 지점을 기초로 하여 디지털데이터가 기록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한다.
따라서 어떤 이유의 발생을 이유로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될 수 없으면 사용자는 그 문제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는 송신부에 의한 디지털데이터의 송신 전에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사이의 상호인증으로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와의 교환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 상호 인증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송신부는 상호인증부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의 인증에 성공하였을 때 디지털데이터를 송신하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는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고,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는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데 실패하였을 때 인증실패 정보를 송신하며, 문제점 보고부는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인증실패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실패 정보 수신부와; 상호인증부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데 실패하였을 때에는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무효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하고, 인증실패 정보 수신부가 인증실패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가 무효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될 수 없음을 결정하는 이유결정부와; 이유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이유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이유통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와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사이의 상호인증에 실패하면 사용자는 장치가 무효인 것으로 통지받게 된다.
여기에서, 문제점 보고부는 문자와 부호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밝히거나 번쩍이게 할 수 있는 발광장치와, 음성과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와, 비퍼와, 진동자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적 동작을 초기화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통지수단 중의 하나를 통해 또는 이들 통지수단의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에게 그 이유를 보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지털데이터가 사용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다양한 통지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사용되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로부터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는, 디지털데이터 이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프로그램은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를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접속시키는 접속단계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는 이용단계와; 접속단계의 접속으로부터 이용단계의 이용으로의 처리가 어떤 지점에서 중단되어 디지털데이터의 이용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처리가 중단된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문제점 보고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처리가 중단된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데이터가 사용될 수 없는 이유가 사용자에게 보고된다.
따라서, 어떤 문제점의 발생에 기인하여 디지털데이터가 사용될 수 없을 때 사용자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사용되며,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로 송신하여 그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기록하는, 디지털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프로그램은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를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접속시키는 접속단계와; 디지털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와; 취득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단계와; 접속단계의 접속으로부터 송신단계의 송신으로의 처리가 어떤 지점에서 중단되어 디지털데이터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처리가 중단된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문제점 보고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처리가 중단된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데이터가 기록될 수 없는 이유가 사용자에게 보고된다.
따라서, 어떤 문제점의 발생에 기인하여 디지털데이터가 기록될 수 없을 때 사용자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분명해 질 것이다.
1. 개관
본 발명은 일부 문제에 기인하여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없을 때 디스플레이 등의 수단에 의해 문제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문제 보고서를 생성한다.
2. 일반적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레코더(100), 메모리 카드(120) 및 플레이어(14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레코더(100)와 플레이어(140)는 단일 유닛으로서 일체화되어 있거나 메모리 카드(120)로부터 기록기능이 제거되어 저장 및 재생기능만을 갖는 재생전용으로 만들어진 것이 보통이다.
2.1. 레코더(100)의 구성
레코더(100)는 음악정보 및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관리정보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외부 소스로부터 취득하여, 비인증 행위에 대한 보호를 위해 암호화 등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와 관리정보를 처리하고, 그들을 메모리 카드(120)에 송신한다. 레코더(100)는 카드 ID 수신부(101), 인증부(102), 인증문제 보고부(103), 관리정보 취득부(104), 관리정보 암호화부(105), 암호화된 관리정보 송신부(105), 콘텐츠 취득부(107), 콘텐츠 암호화부(108) 및 암호화된 콘텐츠 송신부(109)로 구성된다.
카드 ID 수신부(101)는 메모리카드(120)로부터 8바이트 카드 ID "0123456789ABCDEFH" 등의 카드 ID를 수신한다.
인증부(102)는 메모리 카드(120) 내의 인증부(123)에 의해 난수 등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메모리카드(120)의 신뢰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을 실행한다.
인증문제 보고부(103)는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인증이 실패했을 때 레코더(100)에 구비된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문제점 보고를 표시한다. 인증문제 보고부(103)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관리정보 취득부(104)는 8바이트 관리정보 "B38A00715CA8100H" 등의 관리정보를 취득한다.
관리정보 암호화부(105)는 카드 ID 수신부(101)에 의해 수신된 카드 ID를 암호화키로서 사용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취득된 관리정보를 암호화하여 부정행위에 대응하여 관리정보를 보호한다. 여기에서 언급된 소정의 알고리즘이란 암호화키에 의해 특정된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등의 암호이다.
암호화된 관리정보 송신부(106)는 관리정보 암호화부(105)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메모리카드(120)에 송신한다.
콘텐츠 취득부(107)는 디지털 콘텐츠를 취득한다.
콘텐츠암호화부(108)는 소정의 블록 암호에 의해 취득된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콘텐츠가 8바이트 블록으로 분할될 후, 각각의 블록이 암호화되고, 암호화된 블록들이 연쇄되어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형성한다.
암호화된 콘텐츠 송신부(109)는 콘텐츠암호화부(108)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메모리카드(120)에 송신한다.
2.2.메모리카드(120)의 구성
메모리카드(120)는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와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대용량 반도체 메모리와 반도체 메모리용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지능형 메모리장치이다. 메모리카드(120)는 카드 ID 유지부(121), 카드 ID 송신부(122), 인증부(123),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24), 암호화된 관리정보 저장부(125), 암호화된 관리정보 송신부(126), 암호화된 콘텐츠 수신부(127), 암호화된 콘텐츠 저장부(128) 및 암호화된 콘텐츠 송신부(129)로 구성된다.
카드 ID 유지부(121)는 메모리카드(120)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8바이트 카드 ID "0123456789ABCDEFH" 등의 카드 ID를 유지한다.
카드 ID 송신부(122)는 카드 ID 유지부(121)에 유지된 카드 ID를 레코더(100) 및 플레이어(140)에 송신한다.
인증부(123)는 레코더(100) 내의 인증부(102)에 의해 난수 등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레코더(100)의 신뢰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을 실행한다. 인증부(123)는 또한 플레이어(140) 내의 인증부(142)에 의해 난수 등의 데이터 교환 등을 통해 플레이어(140)의 신뢰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을 실행한다.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24)는 레코더(100)로부터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수신한다.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24)는 플레이어(140)로부터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수신한다.
암호화된 관리정보 저장부(125)는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24)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그 내부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26)는 암호화된 관리정보 저장부(125)에 저장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플레이어(140)에 송신한다.
암호화된 콘텐츠 수신부(127)는 레코더(100)로부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한다.
암호화된 콘텐츠 저장부(128)는 암호화된 콘텐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그 내부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암호화된 콘텐츠 송신부(129)는 암호화된 콘텐츠 저장부(128)에 저장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플레이어(140)에 송신한다.
2.3.플레이어(140)의 구성
플레이어(140)는 메모리카드(120)로부터 음악콘텐츠와 관리정보를 암호화된 상태로 판독하여 이들 데이터를 재생 등에 의해 이용한다. 플레이어(140)는 주로 카드 ID 수신부(141), 인증부(142), 인증문제 보고부(143),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44), 관리정보 해독부(145), 관리정보 이용부(146), 관리정보 암호화부(147), 암호화된 관리정보 송신부(148), 관리정보 문제 보고부(149), 암호화된 콘텐츠 수신부(150), 콘텐츠 해독부(151) 및 콘텐츠 이용부(152)로 구성된다.
카드 ID수신부(141)는 메모리카드(120)로부터 8바이트 카드 ID "0123456789ABCDEFH" 등의 카드 ID를 수신한다.
인증부(142)는 메모리카드(120) 내의 인증부(123)에 의해 난수 등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메모리카드(120)의 신뢰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을 실행한다.
인증문제 보고부(143)는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상호인증이 실패할 때 플레이어(140)에 구비된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문제점 보고를 표시한다. 인증문제 보고부(143)의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44)는 메모리카드(120)로부터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수신한다.
관리정보 해독부(145)는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44)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카드 ID 수신부(141)에 의해 수신된 카드 ID를 암호 해독키로서 이용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해독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알고리즘은 암호 해독키에 의해 특정된 DES 등의 암호이며, 레코더(100)의 관리정보 암호화부(105)에 의한 암호화의 역이다.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관리정보 해독부(145)에 의해 생성된 관리정보를 분석하여 관리정보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을 제어한다. 만약 관리정보가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횟수에 관한 정보 등의 갱신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관리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관리정보를 관리정보 암호화부(147)로 보낸다.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횟수가 10으로 제한되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때마다 1씩 감소되어 그 수가 일단 0으로 되면 더 이상의 사용이 금지된다. 또한 만약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대한 시간제한이 3주로 설정되어 있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일단 3주가 지나면 더 이상의 사용이 금지된다.
관리정보 암호화부(147)는 카드 ID 수신부(141)에 의해 수신된 카드 ID를 암호화키로서 사용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갱신된 관리정보를 암호화하므로 부정행위에 대응하여 관리정보가 보호된다. 여기에서 소정의 알고리즘이란 암호화키에 의해 특정되는 DES 등의 암호이다.
암호화된 관리정보 송신부(148)는 관리정보 암호화부(147)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메모리카드(120)에 송신한다.
관리정보 문제 보고부(149)는 관리정보 해독부(145)가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는데 실패했을 때, 또는 관리정보 이용부(146)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대한 어떠한 조건도 일치하지 않음을 발견하였을 때 플레이어(1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문제점 보고를 표시한다. 관리정보 문제 보고부(149)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암호화된 콘텐츠 수신부(151)는 레코더(100) 내의 콘텐츠 암호화부(108)에 의한 암호화의 역인 소정의 블록암호문에 따라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 해독한다. 본 실시예에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가 8바이트로 분할된 후 각각의 암호화된 블록이 암호 해독되며, 해독된 블록은 연쇄되어 디지털 콘텐츠를 형성한다.
콘텐츠 이용부(152)는 콘텐츠 해독부(151)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예를들면, 음악의 재생)한다.
2.4. 인증부(102, 103, 142)의 상세한 구성
도 2는 레코더(100) 내의 인증부(102)와 메모리카드(120) 내의 인증부(123)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서 인증부(102)는 난수 발생부(110), 데이터 변환부(111), 검증부(112) 및 검증결과 수신부(113)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인증부(123)는 난수 발생부(130), 데이터 변환부(131), 검증부(132), 및 검증결과 송신부(133)를 포함한다.
인증부(102) 내의 난수 발생부(110)는 난수 R1을 생성하여 데이터 변환부(111)에 송신하며 또한 인증부(123) 내의 데이터 변환부(131)에 송신한다.
인증부(123) 내의 난수 발생부(130)는 난수 R2를 생성하여 데이터 변환부(131)에 송신하며 또한 인증부(102) 내의 데이터 변환부(111)에 송신한다.
인증부(102) 내의 데이터 변환부(111)는 난수 발생부(110)로부터 난수 R1을 수신하고, 난수 R1에 대하여 인증부(102)의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1을 생성하며, 그것을 검증부(112)에 송신한다. 데이터 변환부(111)는 만약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인증부(123) 내의 난수 발생부(130)로부터 난수 R2를 수신하며, 난수 R2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3을 생성하고, 그것을 인증부(123) 내의 검증부(132)로 송신한다.
인증부(123) 내의 데이터 변환부(131)는 난수 발생부(130)로부터 난수 R2를 수신하고, 난수 R2에 대하여 인증부(123)의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4를 생성하며, 그것을 검증부(132)에 송신한다. 데이터 변환부(131)는 또한 인증부(102) 내의 난수 발생부(110)로부터 난수 R1을 수신하며, 난수 R1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2를 생성하고, 그것을 인증부(102) 내의 검증부(112)로 송신한다.
여기에서 만약 레코더(10)와 메모리카드(120)가 모두 유효한 장치이면 인증부(102) 내의 인증키와 데이터 변환은 인증부(123)내의 인증키 및 데이터변환과 각각 동일하다.
인증부(102) 내의 검증부(112)는 데이터 변환부(111)로부터 검증 데이터 V1을 수신한다. 검증부(112)는 또한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인증부(123) 내의 데이터 변환부(131)로부터 검증 데이터 V2를 수신한다. 그리고 검증부(112)는 검증 데이터 V1과 V2를 비교하여 메모리카드(120)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인증부(123) 내의 검증부(132)는 데이터 변환부(131)로부터 검증 데이터 V4를 수신하고, 인증부(102) 내의 데이터 변환부(111)로부터 검증 데이터 V3을 수신한다. 검증부(132)는 검증 데이터 V4와 V3을 비교하여 레코더(100)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인증부(123) 내의 검증결과 송신부(133)는 검증부(132)에 의한 검증의 결과를 인증부(102) 내의 검증결과 수신부(113)에 송신한다.
인증부(102) 내의 검증결과 수신부(113)는 만약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검증결과 송신부(133)로부터 검증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인증부(102)내의 데이터 변환부(111), 검증부(112) 및 검증결과 수신부(113)의 어느 것에서도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레코더(100) 내의 인증문제 보고부(103)는 메모리카드(120)의 고장을 사용자에게 알려 처리를 중단시킨다. 검증부(112)가 메모리카드(120)의 검증을 실패하면(즉, 검증 데이터 V1과 V2가 일치하지 않으면) 인증문제 보고부(103)는 메모리카드(120)의 무효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 처리를 중단한다. 검증결과 수신부(113)에 의해 수신된 검증결과가 검증부(132)가 레코더(100)의 검증을 실패했음을 나타내면 인증문제 보고부(103)는 레코더(100)의 무효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한다.
검증부(112)에 의한 검증결과와 검증결과 수신부(113)에 의해 수신된 검증결과가 모두 성공적일 때 레코더(100)는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의 기록을 진행한다.
이와 유사하게 검증부(132)에 의한 검증결과가 성공적일 때 메모리카드(120)는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의 기록을 진행한다.
여기에서 메모리카드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메모리카드(120)에서 생성된 검증결과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레코더(100)에 송신된다.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는 이전의 그들의 인증키를 보유하거나 또는 메모리카드(120)의 카드 ID로부터 인증키를 생성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아니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플레이어(140)의 인증부(142)와 메모리카드(120)의 인증부(123)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인증부(142)는 난수 발생부(160), 데이터 변환부(161), 검증부(162) 및 검증결과 수신부(163)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와 기능은 도 2의 인증부(102)의 것들과 유사하다.
도 3에 도시된 인증부(123)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인증부(142) 내의 난수 발생부(160)는 도2의 난수발생부(110)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난수 발생부(160)는 난수 R3을 생성하여 데이터 변환부(161)에 송신하며 또한 인증부(123) 내의 데이터 변환부(131)에 송신한다.
인증부(123) 내의 난수 발생부(130)는 난수 R4를 생성하여 데이터 변환부(131)에 송신하며 또한 인증부(142) 내의 데이터 변환부(161)에 송신한다.
인증부(142) 내의 데이터 변환부(161)는 도 2의 데이터 변환부(111)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 변환부(161)는 난수 발생부(160)로부터 난수 R3을 수신하고, 난수 R3에 대하여 인증부(142)의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5를 생성하며, 그것을 검증부(162)에 송신한다. 데이터 변환부(161)는 만약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인증부(123) 내의 난수 발생부(130)로부터 난수 R4를 수신하며, 난수 R4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7을 생성하고, 그것을 인증부(123) 내의 검증부(132)로 송신한다.
인증부(123) 내의 데이터 변환부(131)는 난수 발생부(130)로부터 난수 R4를 수신하고, 난수 R4에 대하여 인증부(123)의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8을 생성하며, 그것을 검증부(132)에 송신한다. 데이터 변환부(131)는 또한 인증부(142) 내의 난수 발생부(160)로부터 난수 R3을 수신하며, 난수 R3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6을 생성하고, 그것을 인증부(142) 내의 검증부(162)로 송신한다.
여기에서 만약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가 모두 유효한 장치이면 인증부(142) 내의 인증키와 데이터 변환은 인증부(123)내의 인증키 및 데이터변환과 각각 동일하다.
인증부(142) 내의 검증부(162)는 도 2의 검증부(112)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검증부(162)는 데이터 변환부(161)로부터 검증 데이터 V5를 수신한다. 검증부(162)는 또한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인증부(123) 내의 데이터 변환부(131)로부터 검증 데이터 V6을 수신한다. 그리고 검증부(162)는 검증 데이터 V5와 V6을 비교하여 메모리카드(120)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인증부(123) 내의 검증부(132)는 데이터 변환부(131)로부터 검증 데이터 V8을 수신하고, 인증부(142) 내의 데이터 변환부(161)로부터 검증 데이터 V7을 수신한다. 검증부(132)는 검증 데이터 V8과 V7을 비교하여 플레이어(140)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검증결과 송신부(133)는 검증부(132)에 의한 검증의 결과를 인증부(142) 내의 검증결과 수신부(163)에 송신한다.
인증부(142) 내의 검증결과 수신부(163)는 도 2의 검증결과 수신부(113)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검증결과 수신부(163)는 만약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검증결과 송신부(133)로부터 검증결과를 수신한다.
플레이어(140) 내의 인증문제 보고부(143)는 레코더(100)의 인증문제 복부(103)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어떻든 인증부(142)내의 데이터 변환부(161), 검증부(162) 및 검증결과 수신부(163)의 어느 것에서도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인증문제 보고부(143)는 메모리카드(120)의 고장을 사용자에게 알려 처리를 중단시킨다. 검증부(162)가 메모리카드(120)의 검증을 실패하면(즉, 검증 데이터 V5와 V6이 일치하지 않으면) 인증문제 보고부(143)는 메모리카드(120)의 무효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 처리를 중단한다. 검증결과 수신부(163)에 의해 수신된 검증결과가 검증부(132)가 플레이어(140)의 검증을 실패했음을 나타내면 인증문제 보고부(143)는 플레이어(140)의 무효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한다.
검증부(162)에 의한 검증결과와 검증결과 수신부(163)에 의해 수신된 검증결과가 모두 성공적일 때 플레이어(140)는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을 진행한다.
이와 유사하게 검증부(132)에 의한 검증결과가 성공적일 때 메모리카드(120)는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을 진행한다.
메모리카드(120)에서 플레이어(140)로 검증결과를 송신하는 이유는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상호 인증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는 이전의 그들의 인증키를 보유하거나 또는 메모리카드(120)의 카드 ID로부터 인증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아니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3.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에 의한 기록동작
다음은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가 디지털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관한 설명이다.
일반적인 응용은 레코더(100)와 접속된 컴퓨터가 인터넷을 통해 음악 데이터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레코더(100)를 통해 메모리카드(120)에 기록하는 것이다.
3.1. 상호인증
레코더(100)로부터 메모리카드(120) 상에 디지털 콘텐츠를 기록하기 전에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에서는 서로의 인증을 검증하기 위해 상호인증이 실행된다.
도 4는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상호인증의 예시적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이러한 상호인증에 대해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인증부(102)의 난수 발생부(110)는 난수 R1을 생성하여 인증부(123)의 데이터 변환부(131)에 송신한다(S01).
(2) 인증부(102)의 데이터 변환부(111)는 난수 R1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1을 생성한다(S02).
(3) 인증부(123)의 데이터 변환부(131)는 난수 R1을 수신한다(S22).
(4) 데이터 변환부(131)는 난수 R1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2를 실행한다(S23).
(5) 데이터 변환부(131)는 검증데이터 V2를 인증부(102)의 검증부(112)에 송신한다(S24).
(6) 검증부(112)는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검증데이터 V2를 수신한다(S03~S05).
(7) 타임아웃이 단계 S05에서 검출되면 레코더(100)의 인증문제 보고부(103)는 메모리카드(120)의 고장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S06)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예컨대 "메모리카드 고장: 장치인증에 대한 무응답: 1차 수신 타임아웃" 등의 메시지가 레코더(100)에 구비된 LCD에 표시된다.
(8) 검증 데이터 V2의 수신이 단계 S04에서 확인되면 검증부(112)는 검증 데이터 V1과 V2를 비교한다(S07).
(9) 검증부(112)에 의한 검증이 성공적이지 못하면(즉, 검증데이터 V1과 V2가 일치하지 않으면)(S08), 레코더(100)의 인증문제 보고부(103)는 사용자에게 메모리카드(120)의 무효를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S09)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예컨대 "메모리카드 무효: 인증실패" 등의 메시지가 레코더(100)의 LCD에 표시된다.
(10) 인증부(123)의 난수 발생부(130)는 난수 R2를 생성하여 인증부(102)의 데이터 변환부(111)에 송신한다(S25).
(11) 검증부(112)에 의한 검증이 성공적이면 데이터 변환부(111)는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난수 R2를 수신한다(S10~S12).
(12) 타임아웃이 단계 S12에서 검출되면, 레코더(100)의 인증문제 보고부(103)는 사용자에게 메모리카드(120)의 고장을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S13)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예컨대, "메모리카드 고장: 장치인증에 대한 무응답: 2차 수신 타임아웃" 등의 메시지가 레코더(100)의 LCD에 표시된다.
(13) 난수 R2의 수신이 단계 S11에서 확인되면 데이터 변환부(111)는 난수 R2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3을 생성한다(S14).
(14) 데이터 변환부(111)는 인증부(123)의 검증부(132)에 검증데이터 V3을 송신한다(S15).
(15) 인증부(123)의 데이터 변환부(131)는 난수 R2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데이터 V4를 생성한다(S26).
(16) 인증부(123)의 검증부(132)는 데이터 변환부(111)로부터 검증데이터(V3)를 수신한다(S27).
(17) 검증부(132)는 검증데이터 V4와 검증데이터 V3을 비교한다(S28).
(18) 검증결과 송신부(133)는 검증부(132)에 의한 검증결과를 인증부(102)의 검증결과 수신부(113)에 송신한다(S29).
(19) 검증결과 수신부(113)는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검증결과를 수신한다(S16~S18).
(20) 타임아웃이 단계 S18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레코더(100)의 인증문제 보고부(103)는 메모리카드(120)의 고장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S19)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예컨대 "메모리카드 고장: 장치 인증에 대해 무응답: 3차 수신 타임아웃" 등의 메시지를 레코더(100)의 LCD에 표시한다.
(21) 검증결과의 수신이 단계 S17에서 확인되면 수신된 검증결과가 성공적인 검증이었는지를 판정한다(S20).
(22) 검증결과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레코더(100)의 인증문제 보고부(103)는 레코더(100)의 무효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S21)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예컨대 "레코더 무효: 인증실패" 등의 메시지가 레코더(100)의 LCD에 표시된다.
(23) 검증결과가 성공적이면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는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의 기록을 진행한다.
3.2. 관리정보와 디지털콘텐츠의 기록
일단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상호인증이 설정되면 두 장치는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의 기록을 시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악 데이터 등의 디지털 콘텐츠는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을 위해 서비스 유형의 제한과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횟수에 대한 제한 등의 조건을 나타내는 관리정보가 수반된다. 이러한 관리정보에 의해 일정 유형의 장치에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을 국한시키거나 디지털 콘텐츠를 공짜로 사용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레코더(100)로부터 메모리카드(120)로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를 기록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에 의한 이 동작에 대해 이하 도 1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메모리카드(120)의 카드 ID 송신부(122)는 카드 ID 유지부(121)에 유지된 카드 ID "CID"를 레코더(100)에 송신한다(S41). 여기에서 8바이트 카드 ID "0123456789ABCDEFH"는 레코더(100)에 송신된다.
(2) 레코더(100)의 카드 ID 수신부(101)는 메모리카드(120)로부터 카드 ID "CID"를 수신한다(S31).
(3) 레코더(100)의 관리정보 취득부(104)는 관리정보 "Lic"를 취득한다(S32). 여기에서 8바이트 관리정보 "B38A800715CA8100H"가 취득된다.
(4) 레코더(100)의 관리정보 암호화부(105)는 카드 ID "CID"를 암호화키로서 사용하여 소정의 알고리즘 "E"에 의해 관리정보 "Lic"를 암호화한다. 결국 암호화된 관리정보 "E(CID, Lic)"가 생성된다(S33). 여기에서 관리정보 "B38A800715CA8100H"는 카드 ID "0123456789ABCDEFH"를 이용하여 8바이트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생성한다.
(5) 레코더(100)의 암호화된 관리정보 송신부(106)는 암호화된 관리정보 "E(CID, Lic)"를 메모리카드(120)에 송신한다(S34).
(6) 메모리카드(120)의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24)는 레코더(100)로부터 암호화된 관리정보 "E(CID, Lic)"를 수신한다(S42).
(7) 메모리카드(120)의 암호화된 관리정보 저장부(125)는 암호화된 관리정보 "E(CID, Lic)"를 그 내부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S43).
(8) 레코더(100)의 콘텐츠 취득부(107)는 디지털 콘텐츠 "Con"을 취득한다(S335). 여기에서 1메가바이트의 디지털 콘텐츠가 취득된다.
(9) 레코더(100)의 콘텐츠 암호화부(108)는 소정의 블록 암호 "E"에 따라 취득된 디지털 콘텐츠 "Con"을 암호화한다. 결국,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 "E(Con)"가 생성된다(S36). 여기에서 1메가바이트의 디지털 콘텐츠가 8바이트의 블록으로 분할된 후 각각의 블록은 암호화되고 암호화된 블록은 연쇄되어 1메가바이트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형성한다.
(10) 레코더(100)의 암호화된 콘텐츠 송신부(109)는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 "E(Con)"를 메모리카드(120)에 송신한다(S37).
(11) 메모리카드(120)의 암호화된 콘텐츠 수신부(127)는 레코더(100)로부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 "E(Con)"를 수신한다(S44).
(12) 메모리카드(120)의 암호화된 콘텐츠 저장부(128)는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 "E(Con)"를 그 내부의 비휘발성 메모리(S45)에 저장한다.
4.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에 의한 이용동작
다음은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가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관한 설명이다.
일반적인 응용은 메모리카드(120)에 기록된 음악데이터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플레이어(140)로 재생하거나 다른 레코더와 접속된 플레이어(140)로 디지털 콘텐츠를 복제하는 것이다.
4.1. 상호인증
플레이어(140)가 메모리카드(120)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판독하기 전에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에서는 서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호인증이 실행된다.
도 6은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상호인증의 예시적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상호인증은 레코더(10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상호인증과 유사하다.
이하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이러한 상호인증에 대해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인증부(142)의 난수 발생부(160)는 난수 R3을 생성하여 인증부(123)의 데이터 변환부(131)에 송신한다(S51).
(2) 인증부(142)의 데이터 변환부(161)는 난수 R3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5를 생성한다(S52).
(3) 인증부(123)의 데이터 변환부(131)는 난수 R3을 수신한다(S72).
(4) 데이터 변환부(131)는 난수 R3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6을 실행한다(S73).
(5) 데이터 변환부(131)는 검증데이터 V6을 인증부(142)의 검증부(162)에 송신한다(S74).
(6) 검증부(162)는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검증데이터 V6을 수신한다(S53~S55).
(7) 타임아웃이 단계 S55에서 검출되면 플레이어(140)의 인증문제 보고부(143)는 메모리카드(120)의 고장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S56)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예컨대 "메모리카드 고장: 장치인증에 대한 무응답: 1차 수신 타임아웃" 등의 메시지가 플레이어(140)에 구비된 LCD에 표시된다.
(8) 검증 데이터 V6의 수신이 단계 S54에서 확인되면 검증부(162)는 검증 데이터 V5와 V6을 비교한다(S57).
(9) 검증부(162)에 의한 검증이 성공적이지 못하면(즉, 검증데이터 V5와 V6이 일치하지 않으면)(S58), 플레이어(140)의 인증문제 보고부(143)는 사용자에게 메모리카드(120)의 무효를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S59)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예컨대 "메모리카드 무효: 인증실패" 등의 메시지가 플레이어(140)의 LCD에 표시된다.
(10) 인증부(123)의 난수 발생부(130)는 난수 R4를 생성하여 인증부(142)의 데이터 변환부(161)에 송신한다(S75).
(11) 검증부(162)에 의한 검증이 성공적이면 데이터 변환부(161)는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난수 R4를 수신한다(S60~S62).
(12) 타임아웃이 단계 S62에서 검출되면, 플레이어(140)의 인증문제 보고부(143)는 사용자에게 메모리카드(120)의 고장을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S63)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예컨대, "메모리카드 고장: 장치인증에 대한 무응답: 2차 수신 타임아웃" 등의 메시지가 플레이어(140)의 LCD에 표시된다.
(13) 난수 R4의 수신이 단계 S61에서 확인되면 데이터 변환부(161)는 난수 R4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 데이터 V7을 생성한다(S64).
(14) 데이터 변환부(161)는 인증부(123)의 검증부(132)에 검증데이터 V7을 송신한다(S65).
(15) 인증부(123)의 데이터 변환부(131)는 난수 R4에 대하여 인증키에 의해 특정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하여 검증데이터 V8을 생성한다(S76).
(16) 인증부(123)의 검증부(132)는 데이터 변환부(161)로부터 검증데이터 V7을 수신한다(S77).
(17) 검증부(132)는 검증데이터 V8과 검증데이터 V7을 비교한다(S78).
(18) 인증부(123)의 검증결과 송신부(133)는 검증부(132)에 의한 검증결과를 인증부(142)의 검증결과 수신부(163)에 송신한다(S79).
(19) 검증결과 수신부(163)는 타임아웃이 검출되지 않으면 검증결과를 수신한다(S66~S68).
(20) 타임아웃이 단계 S68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플레이어(140)의 인증문제 보고부(143)는 메모리카드(120)의 고장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S69)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예컨대 "메모리카드 고장: 장치인증에 대해 무응답: 3차 수신 타임아웃" 등의 메시지를 플레이어(140)의 LCD에 표시한다.
(21) 검증결과의 수신이 단계 S67에서 확인되면 수신된 검증결과가 성공적인 검증이었는지를 판정한다(S70).
(22) 검증결과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플레이어(140)의 인증문제 보고부(143)는 플레이어(140)의 무효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S71)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예컨대 "플레이어 무효: 인증실패" 등의 메시지가 플레이어(140)의 LCD에 표시된다.
(23) 검증결과가 성공적이면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는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을 진행한다.
4.2. 관리정보와 디지털콘텐츠의 이용
일단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 사이의 상호인증이 설정되면 두 장치는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을 시작한다.
도 7은 메모리카드(120)로부터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를 판독하고 그들을 플레이어(140)에서 이용하는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플레이어(140)와 메모리카드(120)에 의한 이 동작에 대해 이하 도 1 및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메모리카드(120)의 카드 ID 송신부(122)는 카드 ID 유지부(121)에 유지된 카드 ID "CID"를 플레이어(140)에 송신한다(S81). 여기에서 8바이트 카드 ID "0123456789ABCDEFH"는 플레이어(140)에 송신된다.
(2) 플레이어(140)의 카드 ID 수신부(101)는 메모리카드(120)로부터 카드 ID "CID"를 수신한다(S91).
(3) 메모리카드(120)의 암호화된 관리정보 송신부(126)는 암호화된 관리정보 저장부(125)에 저장된 암호화된 관리정보 "E(CID, Lic)"를 플레이어(140)에 송신한다(S82).
(4) 플레이어(140)의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44)는 메모리카드(120)로부터 암호화된 관리정보 "E(CID, Lic)"를 수신한다(S92).
(5) 플레이어(140)의 관리정보 해독부(145)는 카드 ID "CID"를 암호 해독키로서 사용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된 관리정보 "E(CID, Lic)"를 해독한다. 결국 관리정보 "Lic"가 취득된다(S93). 여기에서 8바이트 암호화된 관리정보 는 카드 ID "0122456789ABCDFH"에 의해 8바이트 관리정보 "B38A800715CA8100H"로 해독된다.
(6) 플레이어(140)의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관리정보 해독부(145)가 암호화된 관리정보 "E(CID, Lic)"를 관리정보 "Lic"로 해독하는데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94).
(7) 관리정보 해독부(145)가 암호화된 관리정보의 해독에 성공하였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을 위해 어떤 조건이 관리정보에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S95).
(8) 관리정보 해독부(145)가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는데 실패하였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단계 S93에서 취득된 관리정보가 무효임을 판정한다(S96). 따라서 플레이어(140)의 관리정보 문제 보고부(149)는 사용자에게 관리정보의 무효를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고(S97)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예컨대 "관리정보 무효: 해독실패" 등의 메시지가 플레이어(140)의 LCD에 표시된다. 암호해독의 실패는 관리정보 자체가 위조된 것이거나 암호화된 관리정보가 다른 메모리카드로부터 이 메모리카드(120)로 불법적으로 복사된 것이어서 메모리카드(120)의 카드 ID로 해독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9)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모든 조건이 부합되는지를 판정한다(S98).
(10) 모든 조건이 부합되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이 허용된 것으로 판정하여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의 해독을 진행한다.
(11) 조건중 어느 것이 부합하지 않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이 금지되었음을 판정하여(S99) 관리정보 문제 보고부(149)는 사용자에게 조건의 부합에 실패하였음을 알리고(S100) 처리를 중단한다(비정상 종료). 조건검사의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12) 메모리카드(120)의 암호화된 콘텐츠 송신부(129)는 암호화된 콘텐츠 저장부(128)에 저장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 "E(Con)"를 플레이어(S83)에 송신한다(S83).
(13) 플레이어(140)의 암호화된 콘텐츠 수신부(150)는 메모리카드(120)로부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 "E(Con)"를 수신한다(S101).
(14) 플레이어(140)의 콘텐츠 해독부(151)는 소정의 블록 암호문에 따라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 "E(Con)"을 암호해독하고, 그 결과로서 디지털 콘텐츠 "Con"이 취득된다(S102). 여기에서 1메가바이트의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는 8바이트 블록으로 분할된 후, 각각의 암호화된 블록이 해독되고 해독된 블록은 연쇄되어 1메가바이트의 디지털 콘텐츠를 형성한다.
(15) 플레이어(140)의 콘텐츠 이용부(152)는 음악재생 등을 위해 디지털 콘텐츠 "Con"을 이용한다(S103).
5. 조건검사의 방법
이하,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을 위한 조건검사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관리정보와 디지털 콘텐츠로 구성된 디지털 데이터의 포맷에 대한 예시도이다. 여기에서 관리정보는 "B38A800715CA8100H"로 설정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관리정보는 서비스 유형에 관한 정보(첫 번째 바이트, 예컨대 "B3H"),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횟수의 제한에 관한 존재유무(두 번째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 예컨대 "1"),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횟수(두 번째 바이트의 나머지, 예컨대 "0AH"),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관한 시간제한의 유무(세 번째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 예컨대 "1"), 시간제한(만료일)(세 번째 바이트의 나머지에서 다섯 번째 바이트까지, 예컨대 "000715H"), 복제에 관한 권리의 유무(여섯 번째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 예컨대 "1"),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될 수 있는 횟수의 제한에 관한 존재유무(여섯 번째 바이트의 2순위 비트, 예컨대 "1"),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될 수 있는 횟수(여섯 번째 바이트의 나머지, 예컨대 "0AH"),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영역에 관한 제한의 존재유무(일곱 번째 바이트의 최상위비트, 예컨대 "1"), 및 영역정보(일곱 번째 바이트의 나머지부터 여덟 번째 바이트까지, 예컨대 "0100H")를 보여준다.
5.1. 서비스 유형
음악 데이터 등의 저작권이 있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정의된 데이터 포맷과 이들 데이터의 플레이어와 같은 별개의 서비스를 갖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저작권 보유자가 존재하면, 디지털 콘텐츠와 호환성이 있는 서비스를 보여주기 위해 서비스 유형이 관리정보에서 지정된다. 이 경우에, 플레이어(140)는 장치와 호환성이 있는 서비스를 나타내주는 서비스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예컨대 서비스 정보는 제조시에 플레이어(140)에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된다.
도 9는 서비스 유형을 검사하는 플레이어(140)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서비스 유형이 예를들어 관리정보에 서비스 유형의 제한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비트에 기초하여 지정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도 8의 예에서, 서비스 유형을 나타내는 첫 번째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가 "1"이고, 이것은 서비스 유형에 제한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상위 비트가 "0"이면 서비스 유형에 제한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서비스 유형이 관리정보에 지정되어 있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관리정보의 지정된 서비스 유형을 참조하고, 또한 플레이어(140)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참조한다(S202).
(3)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S203).
(4) 검사결과가 일치하거나, 서비스 유형에 제한이 없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서비스 유형에 관한 조건이 부합되는 것으로 판정한다(S204).
(5) 검사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조건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이 금지된다(S205).
(6) 관리정보 이용부(146)가 조건이 부합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면 관리정보 문제 보고부(149)는 사용자에게 플레이어(140)가 디지털 콘텐츠와 호환성이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음을 알리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한다(S206). 예컨대 "조건 부합하지 않음: 서비스 호환불가" 등의 메시지를 플레이어(140)의 LCD에 표시한다.
5.2.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횟수
도 10은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횟수를 검사하는 플레이어(140)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예를들어 관리정보에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횟수에 관한 제한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에 기초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사용횟수의 제한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도 8의 예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횟수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두 번째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는 "1"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횟수에 제한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상위 비트가 "0"이면 이러한 제한은 없다.
(2)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횟수에 관한 제한이 있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관리정보의 수를 참조한다(S212).
(3)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그 수가 0인지의 여부를 검사한다(S213).
(4) 검사결과 그 수가 0이 아니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1의 수를 감산한다. 그 다음에, 관리정보 암호화부(147)는 관리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관리정보 송신부(148)는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메모리 카드(120)의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24)에 송신하고, 암호화된 관리정보 저장부(125)는 그 내부에 저장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24)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로 교체한다(S214).
(5) 검사결과의 수가 0이 아니거나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횟수에 제한이 없다면, 관리정보 이용부(145)는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횟수에 관한 조건이 부합하였음을 판정한다(S215).
(6) 검사결과의 수가 0이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조건이 부합되지 않아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이 금지된 것으로 판정한다(S216).
(7)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조건이 부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면, 관리정보 문제 보고부(149)는 사용자에게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이 더 이상 허가되어 있지 않음을 통보하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한다(S217). 예컨대, "조건 부합않음: 더 이상의 사용 금지" 등의 메시지를 플레이어(140)의 LCD에 표시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되기 전에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횟수에 대한 정보가 메모리카드(120)에서 갱신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정보는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된 후 갱신되어도 된다.
5.3. 시간제한
도 11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을 위한 시간제한을 검사하는 플레이어(140)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1)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예를들어 관리정보에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시간의 제한에 관한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에 기초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시간제한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도 8의 예에서, 시간제한의 유무를 나타내는 세 번째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는 "1"이며, 이것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시간제한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최상위 비트가 "0"이면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시간제한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시간제한이 있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관리정보의 시간제한(만료일)을 참조하고, 또 플레이어(140)에 구비된 클록에 의해 나타나는 현재의 일시를 참조한다(S222).
(3)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시간제한이 만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S223).
(4) 시간제한이 만료되었거나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시간제한이 없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관한 시간제한의 조건이 부합됨을 판정한다(S224).
(5) 시간제한이 만료되었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조건이 부합되지 않아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이 금지되었음을 판정한다(S225).
(6) 관리정보 이용부(146)가 조건이 부합되지 않음을 판정하면, 관리정보 문제 보고부(149)는 사용자에게 시간제한의 만료를 통보하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한다(S226). 예컨대 "조건 부합않음: 시간제한 만료" 등의 메시지를 플레이어(140)의 LCD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조건의 인증되지 않은 회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플레이어(140)의 클록의 일시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로서 클록은 제조시에 시간이 조정되므로 사용자는 그 후에 일시를 변경할 수 없고, 제조자만이 클록이 고장나거나 멈추면 재조정할 수 있다.
5.4. 복제
도 12는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상태를 검사하는 플레이어(140)의 동작예(예를 들면, 음악데이터의 더빙)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를 지시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S231).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등의 다른 동작을 지시했으면 관리정보이용부(146)는 복제에 관한 조건이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한다(S237).
(2) 사용자가 복제를 지시하였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예컨대 관리정보에 디지털 콘텐츠를 복제할 권한이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를 기초로 디지털 콘텐츠를 복제할 권한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S232). 도 8의 예에서, 복제권한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여섯 번째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가 "1"이며, 이것은 디지털 콘텐츠를 복제할 권한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최상위 비트가 "0"이면 복제할 권한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3) 복제할 권한이 있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예컨대 관리정보에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횟수에 관한 제한이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를 참조하여 디지털콘텐츠의 복제횟수에 관한 제한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S233). 도 8의 예에서, 이러한 제한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여섯 번째 바이트의 2순위 비트는 "1"이며, 이것은 디지털콘텐츠의 복제횟수에 제한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4)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횟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관리정보의 수를 참조한다(S234).
(5)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그 수가 0인지의 여부를 검사한다(S235).
(6) 그 수가 0이 아니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1의 수를 감산한다. 그 다음에 관리정보 암호화부(147)는 관리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관리정보 송신부(148)는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메모리카드(120)의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24)에 송신하며, 암호화된 관리정보 저장부(125)는 거기에 저장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암호화된 관리정보 수신부(124)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로 대체한다(S236).
(7) 그 수가 0이 아니면,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를 지시하지 않거나 또는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횟수에 제한이 없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조건이 부합됨을 판정한다(S237).
(8) 디지털 콘텐츠를 복제할 권한이 없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조건이 부합되지 않아서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되었음을 판정한다(S238).
(9) 관리정보 이용부(146)가 단계 S238에서 조건이 부합되지 않았음을 판정하면 관리정보 문제 보고부(149)는 사용자에게 디지털 콘텐츠를 복제할 권한이 없음을 통보하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한다(S239). 예컨대, "조건 부합않음: 복제권 없음" 등의 메시지가 플레이어(140)의 LCD에 표시된다.
(10) 만약 그 수가 0이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조건이 부합되지 않고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되었음을 판정한다(S240).
(11) 관리정보 이용부(146)가 조건이 단계 S240에서 부합되지 않았음을 판정하면, 관리정보 문제 보고부(149)는 사용자에게 디지털 콘텐츠의 더 이상의 복제가 허용되지 않음을 통보하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한다(S241). 예컨대, "조건 부합않음: 더 이상의 복제 허가되지 않음" 등의 메시지가 플레이어(140)의 LCD에 표시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횟수에 대한 정보가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되기 전에 메모리 카드(120)에서 갱신되었지만 그 정보는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후 갱신되어도 된다.
5.5. 영역정보
도 13은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영역의 제한을 검사하는 플레이어(140)의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예컨대 관리정보에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될 수 있는 영역에 관한 제한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비트에 기초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영역에 관한 제한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도 8의 예에서는 이러한 제한의 존재유무를 나타내는 일곱 번째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는 "1"이며, 이것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부과되는 영역제한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최상위 비트가 "0"이면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영역의 제한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영역제한이 있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관리정보의 영역정보를 참조하고, 또한 장치 등의 제조국가를 나타내는 플레이어(140)에 미리 저장된 장치 영역정보를 참조한다(S252).
(3)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장치 영역정보에 나타난 영역이 관리정보의 영역정보에 나타난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S253). 예컨대 관리정보의 영역정보가 아시아와 북아메리카를 나타내고 장치영역 정보가 일본을 나타내면 장치영역 정보에 의해 나타낸 영역이 관리정보의 영역정보에 포함된 것으로 판정한다.
(4) 장치영역정보에 의해 나타난 영역은 관리정보의 영역정보에 포함되거나 만약 영역의 제한이 없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영역에 관한 정보가 부합되는 것으로 판정한다(S254).
(5) 자치영역정보에 의해 나타난 영역이 관리정보의 영역정보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관리정보 이용부(146)는 조건이 부합되지 않으며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이 금지되는 것으로 판정한다.
(6) 관리정보 이용부(146)가 조건이 부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면, 관리정보 문제 보고부(149)는 플레이어(140)가 디지털 콘텐츠의 영역제한과 일치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문제점 보고를 표시한다(S256). 예컨대 "조건 부합않음: 영역 불호환" 등의 메시지가 플레이어(140)의 LCD에 표시된다.
이러한 영역제한은 상술한 시간제한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영역제한은 시간제한의 만료시에 무효로 될 수 있다.
또한 갱신될 필요가 있는 조건이 없으면 관리정보를 갱신하는 프로세스는 불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관리정보 암호화부(147)와 암호화된 관리정보 송신부(148)가 플레이어(140)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6. 통지방법
6.1. 플레이어(140)
도 14는 플레이어(14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플레이어(140)는 음악데이터를 취급하는 음악 플레이어, 문서 데이터를 취급하는 전자책 플레이어 등으로서 실현된다. 플레이어(140)는 플레이어(14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CPU(201),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202),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RAM(203),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재생 등의 동작(예를 들면, 음악의 재생)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작버튼(205), 조작버튼(205)의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 제어부(204),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에 관한 보고(예를들면, 음악의 수, 타이틀, 재생시간)뿐 아니라 문제점 보고까지 표시하는 LCD(207)와 LED(208), LCD(207)와 LED(208)의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206), 메모리카드(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카드 제어부(209), 메모리카드(120)를 자동으로 방출시키는 방출제어부(210),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212), 메모리카드(120)로부터 판독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해독하여 그 디지털 콘텐츠(예를들면, 음악데이터)를 스피커(212)에 출력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부(211), 동작완료 또는 문제점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진동자(214), 및 진동자(214)의 출력을 제어하는 진동자 제어부(213)를 구비한다.
(1) LCD
문제점 보고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LCD(207)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표시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인증이 실패하면, "인증실패" 또는 "메모리카드 인증실패" 등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에 대한 조건이 맞지 않으면 "사용금지" 등의 메시지가 불일치 조건에 관한 정보와 함께 표시된다. 모든 조건이 부합하는 경우에도 디지털콘텐츠의 사용횟수와 같은 정보가 "n회 더 사용허가" 와 같은 메시지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되어 사용자가 얼마의 횟수를 더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유사한 방식으로, "만료일:(년/월/일)" 또는 "일본에서만 사용허가" 등의 메시지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메시지뿐 아니라 아이콘도 표시될 수 있다.
(2) LED(208)
문제점의 원인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LED(208) 등의 발광장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레이어(140)는 다른 종류의 문제점에 대응하여 복수의 LED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플레이어(140)가 녹색광과 적색광을 발광할 수 있는 하나의 LED만 구비하고 있다면 정상상태를 표시하는 녹색, 인증실패를 나타내는 섬광의 적색광, 및 조건에 부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적색광 등의 상이한 종류의 문제에 대하여 다양한 색과 광패턴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3) 스피커(212)
문제점의 원인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서는 비프음, 멜로디 또는 음성 등의 사운드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스피커(212) 대신에 비퍼(beeper)를 구비하고 있으면 상이한 비프음의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문제점을 경보할 수 있다.
플레이어(140)가 상이한 종류의 문제점과 관련된 멜로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면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문제점과 관련된 멜로디가 스피커(212)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플레이어(140)가 상이한 종류의 문제점과 관련된 음성 메시지의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면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문제점과 관련된 음성 메시지가 스피커(212)로부터 출력되고, 거기에 더하여 동일한 콘텐츠의 메시지를 LCD(207) 상에 표시할 수 있다.
(4) 방출제어부(210)
플레이어(140)는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방출제어부(210)에 의해 메모리카드(120)를 자동으로 방출한다. 이것은 많은 메모리카드를 갖는 사용자가 어느 플레이어(140)에 적용가능한지를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우호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메모리카드(120)의 방출은 사용자가 어떤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를 식별할 수 있게 하여준다. 예컨대 메모리카드(120)는 인증이 실패하였을 때 방출되지만, 인증은 성공하였으나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한 조건이 맞지 않았을 때에는 방출되지 않는다. 인증수단의 고장으로 메모리카드(120) 자체가 사용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메모리카드(120)를 방출시키는 것은 다른 메모리카드를 시도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더욱 편리하다. 반면 조건의 부합에 실패하였다는 것은 메모리카드(120)가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가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메모리카드(120)를 방출하는 것은 메모리카드(120)에 기록된 다른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기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더욱 편리하다.
(5) 진동자(214)
문제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해서는 또한 진동자(214)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플레이어(140)가 이동전화와 일체로 되어 있으면, 진동자(214)는 호출과 문제를 모두 통보할 수 있다.
방출 제어부(210)에 의한 통지와 진동자(214)는 모두 조용하기 때문에 열차나 어두운 곳에서의 사용에 특히 효과적이다.
상술한 통보수단 (1)~(5)의 다양한 조합이 또한 적용가능하다.
6.2. 레코더(100)
레코더(100)는 인터넷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로 다운로드된 음악데이터를 메모리카드(120)에 기록할 때 플레이어(140)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문제점의 원인을 통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레코더(100)는 플레이어(140)와 같은 통지수단 (1)~(5)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레코더(100)는 퍼스널 컴퓨터에 문제점 보고를 건네주므로 문제점 보고는 퍼스널 컴퓨터에 표시된다.
비록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대용량 반도체 메모리와 제어회로를 구비한 메모리카드가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와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매체로서 사용되었지만, 대신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DVD-RAM 또는 CD-R 등의 판독/기록 저장매체가 제어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메모리카드를 제외한 다른 저장매체가 사용되면 저장매체에 유일하게 주어지는 값이 카드 ID를 대신한다.
또 상술한 실시예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프로그램이 트랜잭션을 위해 배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언급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는 플로피디스크, CD, MO, DVD, 및 메모리카드 등의 탈착가능한 저장매체이거나 하드디스크 및 반도체 메모리 등의 고정 저장매체이어도 좋다.
상술한 본 발명의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에 의하면 처리가 중단된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데이터가 사용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할 수 있게 되므로, 디지털 데이터가 어떤 문제점의 발생에 기인하여 사용될 수 없으면 사용자는 그 문제점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의하면 디지털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를 인증하는데 실패하면,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인증실패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송신하므로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의 통지수단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의 무효성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는 처리가 중단된 지점을 기초로 하여 디지털데이터가 기록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므로, 어떤 이유의 발생을 이유로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될 수 없으면 사용자는 그 문제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실시예에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는 이러한 변경과 수정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1)

  1.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디지털데이터를 이용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접속하는 접속수단과;
    상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에 접속된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데이터를 이용하는 이용수단과;
    상기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으로부터 상기 이용수단에 의한 이용으로의 처리가 어떤 지점에서 중단되어 디지털데이터의 이용이 불가능하게 될 때 처리가 중단된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문제점 보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사이의 상호인증으로 상기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 상호 인증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상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의 인증에 성공하였을 때에는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상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의 인증에 실패하였을 때에는 인증실패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상호인증수단이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문제점 보고수단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상기 인증실패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실패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상호인증수단이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의 인증에 실패하였을 때에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무효한 것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다는 결정을 하고, 상기 인증실패 정보 수신수단이 상기 인증실패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가 무효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다는 결정을 하는 이유결정수단과;
    상기 이유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이유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이유통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점 보고수단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메모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타임아웃 판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이유결정수단은 상기 타임아웃 판정수단이 디지털 데이터가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았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의 실패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음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는 이용되는 디지털 콘텐츠와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부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나타내는 관리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정보는 암호화되고,
    상기 이용수단은,
    상기 관리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는 관리정보 해독수단과;
    상기 관리정보 해독수단이 상기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는데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해독판정수단과;
    상기 해독판정수단이 상기 관리정보 해독수단이 상기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는데 성공하였음을 판정하면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 콘텐츠 이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문제점 보고수단은,
    상기 해독판정수단이 상기 관리정보 해독수단이 상기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는데 실패하였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상기 관리정보가 변경된 것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음을 결정하는 이유결정수단과;
    상기 이유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이유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이유통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암호화된 관리정보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유일하게 부여된 장치 ID에 기초하여 해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암호화되며,
    상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는,
    상기 디지털 이용장치에 접속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장치 ID를 취득하는 장치 ID 취득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관리정보 해독수단은 상기 장치 ID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장치 ID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된 관리정보를 해독하고,
    상기 이유결정수단은 상기 해독 판정수단이 상기 관리정보 해독수단이 상기 암호화된 관리정보의 해독에 실패하였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상기 관리정보가 다른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의해 변경되었거나 또는 상기 암호화된 관리정보가 다른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 불법적으로 복사되었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음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수단은,
    상기 해독 판정수단이 상기 관리정보 해독수단이 상기 암호화된 관리정보의 해독에 성공하였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상기 관리정보 해독수단에 의해 취득된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이 맞는지의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된 것인지 또는 금지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조건판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이용수단은 조건판정수단이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된 것임을 판정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며,
    상기 이유결정수단은 상기 조건판정수단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되었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 조건의 어느 것도 부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음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는 미리 결정된 데이터 포맷으로 부호화되고 미리 결정된 서비스에 의해서만 호환되며,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들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와 호환가능한 서비스를 특정하는 서비스 유형 한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수단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가 호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정보를 유지하는 서비스 정보 유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건판정수단은 상기 서비스 유형 제한에 의해 특정된 서비스가 상기 서비스 조건에 의해 나타난 어느 서비스와도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며,
    상기 이유결정 수단은 상기 조건판정수단이 상기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되었음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상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가 상기 디지털콘텐츠와 호환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횟수에 관한 제한을 포함하며,
    상기 조건판정수단은 그 수가 1보다 작으면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되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이유결정수단은 상기 조건판정수단이 상기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상기 디지털콘텐츠의 사용횟수가 0이기 때문에 디지털 콘텐츠가 이용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은 디지털콘텐츠를 이용하는 시간제한을 포함하며,
    상기 이용수단은 현재의 일시(일자와 시간)를 나타내는 클록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조건판정수단은 현재의 일시가 시간제한을 넘으면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되는 것임을 판정하며,
    상기 이유결정수단은 상기 조건판정수단이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디지털데이터가 시간제한이 만료되었기 때문에 이용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은 디지털콘텐츠를 복제할 권리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수단은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를 명령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유형 판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조건판정수단은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를 명령하였으나 그 복제정보가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권한이 없는 것이면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고,
    상기 이유결정수단은 상기 조건판정수단이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디지털콘텐츠를 복제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은 디지털콘텐츠가 복제될 수 있는 횟수에 관한 제한을 포함하고,
    상기 조건판정수단은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를 명령하여 그 복제정보가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권한이 있는 것이나 만약 디지털 콘텐츠를 복제할 횟수가 1보다 작으면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고,
    상기 이유결정수단은 상기 조건판정수단이 디지털콘텐츠의 복제가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디지털콘텐츠를 복제할 횟수가 0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에 나타난 조건은 디지털콘텐츠가 이용될 수 있는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제한을 포함하고,
    상기 이용수단은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에 관련된 영역을 나타내는 장치영역을 유지하는 장치영역 정보 유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조건판정수단은 상기 영역제한에 의해 특정된 영역이 상기 장치영역 정보에 의해 나타난 영역을 포함하지 않으면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고,
    상기 이유결정수단은 상기 조건판정수단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된 것임을 판정하였을 때에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영역제한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유통지수단은 상기 해독판정수단이 상기 관리정보 해독수단이 상기 암호화된 관리정보의 해독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자동으로 방출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분리시키지만, 상기 조건판정수단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이 금지된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분리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보고 수단은 문자와 부호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밝히거나 번쩍이게 할 수 있는 발광장치와, 음성과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와, 비퍼와, 진동자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적 동작을 초기화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통지수단 중의 하나를 통해 또는 이들 통지수단의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이유를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이용장치.
  15.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는 디지털이용장치에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는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접속시키는 접속수단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사이의 상호인증으로 상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를 인증하는 상호 인증수단과;
    상기 상호 인증수단이 상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에는 상기 디지털이용장치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 상기 디지털이용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것인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송신하는 디지털데이터 송신수단과;
    상기 상호 인증수단이 상기 디지털데이터 이용장치를 인증하는데 실패하였을 때에는 상기 인증실패 정보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송신하는 인증실패 정보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16.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접속시키는 접속수단과;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사이의 상호인증으로 상기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 상호 인증수단과 -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는 상기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가 상기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송신함;
    상기 상호 인증수단이 상기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에는 상기 디지털기록장치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상호 인증수단이 상기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데 실패하였을 때에는 상기 인증실패 정보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송신하는 인증실패 정보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17.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기록하기 위해 디지털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송신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접속시키는 접속수단과;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접속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으로부터 상기 송신수단에 의한 송신으로의 처리가 어떤 지점에서 중단되어 디지털데이터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될 때 처리가 중단되는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문제점 보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에 의한 디지털데이터의 송신 전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 사이의 상호인증으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와의 교환을 통해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 상호 인증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상호인증수단이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의 인증에 성공하였을 때 상기 디지털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데 성공하였을 때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를 인증하는데 실패하였을 때 인증실패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문제점 보고수단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상기 인증실패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실패 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상호인증수단이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인증하는데 실패하였을 때에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가 무효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될 수 없는 것임을 결정하고, 상기 인증실패 정보 수신수단이 상기 인증실패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상기 디지털데이터 기록장치가 무효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될 수 없음을 결정하는 이유결정수단과;
    상기 이유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이유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이유통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점 보고수단은 문자와 부호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밝히거나 번쩍이게 할 수 있는 발광장치와, 음성과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와, 비퍼와, 진동자와,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적 동작을 초기화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통지수단 중의 하나를 통해 또는 이들 통지수단의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이유를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
  20.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에 사용되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로부터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는, 디지털데이터 이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접속시키는 접속단계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는 이용단계와;
    상기 접속단계의 접속으로부터 상기 이용단계의 이용으로의 처리가 어떤 지점에서 중단되어 디지털데이터의 이용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처리가 중단된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이용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문제점 보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21.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에 사용되며,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 지능형 메모리로 송신하여 그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기록하는, 디지털데이터 기록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접속시키는 접속단계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와;
    상기 취득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 지능형 메모리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단계와;
    상기 접속단계의 접속으로부터 상기 송신단계의 송신으로의 처리가 어떤 지점에서 중단되어 디지털데이터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처리가 중단된 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문제점 보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0000040766A 1999-07-15 2000-07-15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 디지털데이터 메모리장치 및문제점 보고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KR200100299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01213 1999-07-15
JP20121399 1999-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952A true KR20010029952A (ko) 2001-04-16

Family

ID=1643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766A KR20010029952A (ko) 1999-07-15 2000-07-15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 디지털데이터 메모리장치 및문제점 보고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069564A3 (ko)
KR (1) KR20010029952A (ko)
CN (1) CN119353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950B2 (ja) * 1999-06-15 2006-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データ書込装置、デジタルデータ記録装置、デジタルデータ利用装置
JP3764852B2 (ja) * 2000-12-26 2006-04-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再生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データ読取り装置およびその方法
EP1783615A4 (en) * 2004-07-23 2009-10-28 Sharp Kk STORAGE, STORAGE, AND IMAGE DISPLAY
DE102004040462A1 (de) 2004-08-20 2006-02-23 Giesecke & Devrient Gmbh Durch Authentisierung gesicherter Zugriff auf einen Datenträger mit Massenspeicher und Chip
KR20090123277A (ko) * 2008-05-27 2009-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기록 방법 및 장치
CN102799544A (zh) * 2012-06-29 2012-11-28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触控设备与集成系统配对识别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9231A (en) * 1994-10-31 1997-02-04 Nintendo Co., Ltd.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for a videographics and authentication game/program fabricating device
JP3611964B2 (ja) * 1998-04-16 2005-01-19 富士通株式会社 記憶装置、記憶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9564A2 (en) 2001-01-17
EP1069564A3 (en) 2002-08-21
CN1283022A (zh) 2001-02-07
CN1193536C (zh)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2190B1 (en) Copy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TW514845B (en) Data storage regenerator and data stor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roviding media
CN100587649C (zh) 组形成/管理系统,组管理装置,以及成员装置
KR101574618B1 (ko) 기록재생시스템, 기록매체장치 및 기록재생장치
TWI289829B (en) Mutual verification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signal processing system, regenerat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0500865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removing content or a device from a content-protected home network
EA004199B1 (ru)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записи информации, имеющий участок защищенных данных
KR20010108397A (ko) 기억 디바이스의 인증 처리 시스템
JP3971941B2 (ja) データ記憶装置
JP2004348957A (ja) 情報提供収集装置及び方法、情報収集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
KR20060058047A (ko) 저작물 보호시스템
JP2000260121A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装置
US7661001B2 (en) Information-signal encryp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signal decrypting apparatus
JP2008009631A (ja) 記憶装置及び記憶方法
US7874004B2 (en) Method of copying and reproducing data from storage medium
JP2002015512A (ja) デジタルデータ書込装置、デジタルデータ記録装置、デジタルデータ利用装置
KR20010029952A (ko) 디지털 데이터 기록장치, 디지털데이터 메모리장치 및문제점 보고를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이용장치
JP2005223504A (ja) サービス提供サーバ、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3098072A (zh) 记录介质装置、终端装置、发布装置、控制方法、程序以及程序的记录介质
JP3837368B2 (ja) 著作権保護システム、記録機器及び復号機器
JP4638160B2 (ja) 著作物保護システム、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KR20050032016A (ko) 메모리 카드 내의 파일 구조 관리 방법 및 관련 기술
JP2002091827A (ja) データ端末装置
JP2002094500A (ja) データ端末装置
JP3631186B2 (ja) 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