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212A -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212A
KR20010026212A KR1019990037430A KR19990037430A KR20010026212A KR 20010026212 A KR20010026212 A KR 20010026212A KR 1019990037430 A KR1019990037430 A KR 1019990037430A KR 19990037430 A KR19990037430 A KR 19990037430A KR 20010026212 A KR20010026212 A KR 20010026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mcu
crt
coil
color p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재우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3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6212A/ko
Publication of KR20010026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21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9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demagnetisation or compensation of external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3Hue control means, e.g. flesh ton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TV용 CRT, 디스플레이용 CRT, 관측용 CRT 등 디스플레이용 CRT와 CDT, CPT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외부자계(지자계)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와 색순도를 자동조절하는 CRT 등의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MCU와 기울기자동조절부를 가지며, MCU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 기울기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기울기자동조절부를 제어하며, 기울기 자동조절부는 기울기보정회로와 기울기보정코일과 광레스를 가지며, 기울기보정회로는 MCU와 기울기보정코일과 양쪽으로 연결되어 MCU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울기보정코일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며, 기울기보정코일은 CRT 네크의 음극 또는 제3그리드 부근에 배치되어 네크 주위를 감싸고 있으며, 광레서는 CRT의 화면의 측면에 장착되어 화면의 기울기값과 색순도를 MCU에 신호전달한다.

Description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Device for Auto-Controlling Tilt and Purity}
본 발명은 TV용 CRT, 디스플레이용 CRT, 관측용 CRT 등 디스플레이용 CRT (Cathode Ray Tube)와 CDT, CPT(Cathode Picture Tube)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외부자계(지자계)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와 색순도를 자동조절하는 CRT 등의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의 디스플레이장치용 CRT(10)는 유리로 둘러싸인 진공용기(12) 안에 색분리용의 섀도우마스크(14)가 있다. RGB의 3개의 전자총(16)에서의 전자빔(18)이 섀도우마스크(14)에 뚫린 구멍을 통하여 형광면(20) 위에 나누어 도포된 3색의 형광체를 각각 자극하여 3원색 형광체의 발광의 다른 강도와 색의 가법의 원칙에 의하여 어떠한 색과 어떠한 그레이-스케일(gray-scale)도 형광면(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총(16)은 형광면(20) 상의 RGB 형광체에 대응하여 각각 1개씩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3개의 전자총(16)은 좌우에 1열로 인라인 배열을 하고 있다. 이 전자총(16)에는 휘도와 색으로 처리된 신호가 입력된다. 전자총 (16)의 포커스 전극에 집속된 전자빔 (18)은 CRT의 네크 (22) 부분의 외부에 달린 편향요크 (24)의 편향자계 (26)에 의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편향되어 목표하는 형광면 (20) 상에 주사된다.
형광면(20)은 전자빔(18)으로 자극된 형광체의 광을 높은 효율로 앞쪽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형광체의 배면(전자총쪽)에 알루미늄으로 메탈백(28)을 만들어 이것으로 배면으로 광을 반사시켜 전면(관찰자쪽)으로 방출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킨다. 이 메탈백(28)은 0.4㎛ 정도의 두께로, 고전압으로 가속된 전자빔(18)은 알루니늄막을 통과할 수 있어 형광체를 자극하지만, 형광체로부터의 발광은 반사하여 전면으로 끌어내어 밝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용이 끝난 전자는 최종적으로 메탈백(28)으로부터 고전압을 공급하고 있는 애노드전극(30)을 통과하여 접지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 CRT(10)는 좁은 디스플레이 상에 고밀도의 화소를 형성하기 위하여 매우 정밀한 동작이 요구되기 때문에 각종 보정장치들 예컨대 푸우리트 마크네트, 컨버전스 마그네트 등이 CRT의 네크 부위에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전자총(16)으로부터 전자빔(18)이 편향된 형광면(20)에 도달하기까지 CRT(10)의 외부자계, 예를 들면 지자계 등에 영향을 받아서 전자빔(18)이 소정의 궤도를 통과하지 못하여 화면이 기울어지거나, 화면의 색의 변화거나 얼룩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한 외부자계(지자계)에 의해 화면이 기울지는 현상을 기울기(Tilt)라고 한다. 또한 색이 변화거나 얼룩지는 현상을 색얼룩 또는 색번짐이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외부자계는 위치에 따라 외부의 상태에 따라 각각 동일하지 않고, 특히 지자계는 지구상에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보정하기도 어렵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CRT 등의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기실드 또는 지자계룸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지역에 따라 자계가우스값에 맞추어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자기실드 또는 지자계룸을 설치할 경우 지자계룸의 설치비용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CRT의 부피가 커져 디스플레이장치의 초경량화, 초슬립화되는 최근의 추세에도 역행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의 기울기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섀도마스크 등의 잔류자화를 자동제거하여 디스플레이장치 화면의 색변색이나 색얼룩을 색순화하는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별도의 지자계룸의 설치비용을 부담할 필요가 없으며, 디스플레이장치의 초경량화, 초슬림화할 수 있는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CRT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외부자계의 영향을 받아 기울어진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MCU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 42: MCU
44: 기울기 자동조절부 45: 자동소자 제거부
46: 기울기 보정회로 48: 기울기 보정코일
50: 광레스 52, 54, 60: 도선
10: CRT 22: 네크
18: 전자빔 56: 소자 제거회로
58: 소자 제거코일 62: 시작
64: 종료
본 발명은 TV용 CRT, 디스플레이용 CRT, 관측용 CRT 등 디스플레이용 CRT와 CDT, CPT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지자계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와 색순도를 자동조절하는 CRT 등의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MCU와 기울기자동조절부를 갖는다. MCU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 기울기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기울기자동조절부를 제어한다. 기울기 자동조절부는 기울기보정회로와 기울기보정코일과 광레스를 갖는다. 기울기보정회로는 MCU와 기울기보정코일과 양쪽으로 연결되어 MCU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울기보정코일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한다. 기울기보정코일은 CRT 네크의 음극 또는 제3그리드 부근에 배치되어 네크 주위를 감싸고 있다. 광레서는 CRT의 화면의 측면에 장착되어 화면의 기울기값과 색순도를 MCU에 신호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는 자동소자제거부를 더 갖는다. 이 자동소자제거부는 소자제거회로와 소자제거코일을 갖는다. 소자제거회로는 MCU와 소자제거코일과 양쪽으로 연결되어 있어 MCU의 제어신호에에 따라 소자제거코일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한다. 소자제거코일은 소자제거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CRT의 내부공간에 다른 세기의 자장을 형성하여 잔류자장을 소자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가 사용되는 통상의 디스플레이용 CRT는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다만, 디스플레이용 CRT에 관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게 될 경우 도 1과 동일한 부호번호를 붙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40)는 MCU(42)와 기울기자동조절부(44)와 자동소자제거부(45)를 갖는다.
MCU(Multipoint Control Unit, 42)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프로그래밍을 바꿀 수 있다. MCU(42)는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종류라도 사용가능하며, OTP(One Time Programmable)타입의 MCU를 사용할 수도 있다. 범용 OTP MCU는 쉽게 구입할 수 있고 사용자가 MCU의 프로그래밍을 쉽게 바꿀 수 있어 CRT(10)의 제조과정이나 지자계의 영향이 달라지는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때 발생하는 기울기 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울기 자동조절부 (44)는 기울기보정회로 (46)와 기울기보정코일 (48)과 광레스(50)를 갖는다. 기울기보정회로 (46)는 MCU (42)와 기울기보정코일 (48)과 도선 (52)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기울기보정회로(46)는 MCU(42)의 제어신호에에 따라 기울기보정코일(48)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한다. 기울기보정코일(48)은 CRT(10)의 네크(22)를 감싸고 있다. 따라서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18)은 기울기보정코일(48)에 형성된 자장에 의해 방향이 변경된다. 기울기보정코일(48)은 CRT(10)의 네크(22)를 감싸고 있는 코일의 형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S, N으로 착자된 두 장의 고리모양의 판 자석을 겹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울기보정코일(48)은 네크(22)의 어떤 위치에도 가능하나 CRT(10)의 네크(22)의 음극 또는 제3그리드 부근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레스(50)는 CRT(10)의 화면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광레스(50)는 MCU(42)와 도선(54)으로 연결되어 있다. 광레스(50)는 화면의 기울기값과 색순도를 감지하여 MCU(42)에 신호를 전달하므로 MCU(42)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한다.
자동소자제거부(45)는 소자제거회로(56)와 소자제거코일(58)을 갖는다. 소자제거회로(56)는 MCU(42)와 소자제거코일(58)과 양쪽으로 도선(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소자제거회로(56)는 MCU(42)의 제어신호에에 따라 소자제거코일(58)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한다. 소자제거코일(58)은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다른 세기의 자장을 형성한다. 소자제거코일(58)은 CRT(10)의 내부공간(12)에 충분히 큰 교번 자화력을 주고, 그 크기를 점차 작게 줄여가서 결국 제로로 함으로써 완전히 CRT(10)의 내부공간(12)을 소자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MCU(42)의 프로그램은 광레스(50)의 기울기와 색순도 신호에 의해 시작(62)된다. 기울기와 색순도값이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화면이 정상적이므로 종료(64)한다. 기울기와 색순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기울기보정회로 (46)에 바이어스값을 출력 (66)하고, 소자제거회로 (56)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68)하도록 제어한다. 기울기보정회로(46)와 소자제거회로(56)는 MCU(42)의 바이어스 출력값과, 출력전압에 따라 일정한 전류의 세기를 각각 기울기보정코일(48)과 소자제거코일(58)에 인가하므로 화면의 기울기와 색순도가 자동조절된다(도 3 참조).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화면이 기울어지거나 화면의 색순도가 불량한 경우, 광레스(50)가 이를 감지하여 MCU(42)에 기울기값과 색순도값을 전송한다. 광레스(50)의 신호에 의해 MCU(42)의 프로그램을 시작(62)한다. 기울기값과 색순도값이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화면상태가 정상이므로 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64)한다. 기울기값과 색순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화면상태가 비정상이므로 기울기보정회로(46)에 바이어스값을 출력(66)하고, 소자제거회로(56)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68)하도록 제어한다. 기울기보정회로 (46)와 소자제거회로 (56)는 MCU (42)의 바이어스 출력값과, 출력전압에 따라 일정한 전류의 세기를 각각 기울기보정코일(48)과 소자제거코일(58)에 인가하므로 화면의 기울기와 색순도가 자동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의 기울기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는 섀도마스크 등의 잔류자화를 자동제거하여 디스플레이장치 화면의 색변색이나 색얼룩을 색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는 별도의 지자계룸의 설치비용을 부담할 필요가 없으며, 디스플레이장치의 초경량화, 초슬림화할 수 있다.

Claims (4)

  1. TV용 CRT, 디스플레이용 CRT, 관측용 CRT 등 디스플레이용 CRT (Cathode Ray Tube)와 CDT, CPT(Cathode Picture Tube)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지자계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를 자동조절하는 CRT 등의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에 있어서,
    MCU와 기울기자동조절부를 가지며,
    상기 MCU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 기울기값와 색순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기울기자동조절부를 제어하며,
    상기 기울기 자동조절부는 기울기보정회로와 기울기보정코일과 광레스를 가지며, 상기 기울기보정회로는 MCU와 기울기보정코일과 양쪽으로 연결되어 MCU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울기보정코일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며, 상기 기울기보정코일은 CRT 네크의 음극 또는 제3그리드 부근에 배치되어 네크 주위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광레서는 CRT의 화면의 측면에 장착되어 화면의 기울기값과 색순도를 MCU에 신호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소자제거부를 더 가지며, 상기 자동소자제거부는 소자제거회로와 소자제거코일을 가지며, 상기 소자제거회로는 상기 MCU와 상기 소자제거코일과 양쪽으로 연결되어 있어 MCU의 제어신호에에 따라 소자제거코일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며, 상기 소자제거코일은 상기 소자제거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CRT의 내부공간에 다른 세기의 자장을 형성하여 잔류자장을 소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자동조절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CU의 프로그램은
    광레스의 기울기와 색순도 신호에 의해 시작되는 단계와,
    기울기값이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화면이 정상적이므로 종료하는 단계와,
    기울기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기울기보정회로에 바이어스값을 출력하여 상기 기울기보정회로가 상기 기울기보정코일에 적당한 전류의 세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CU의 프로그램은 색순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소자제거회로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소자제거회로에 적당한 전류의 세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갖는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
KR1019990037430A 1999-09-03 1999-09-03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 KR20010026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430A KR20010026212A (ko) 1999-09-03 1999-09-03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430A KR20010026212A (ko) 1999-09-03 1999-09-03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212A true KR20010026212A (ko) 2001-04-06

Family

ID=1961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430A KR20010026212A (ko) 1999-09-03 1999-09-03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62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664B1 (ko) * 2002-05-21 2008-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화면 보정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664B1 (ko) * 2002-05-21 2008-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의 화면 보정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6713A (en) Color display device including electron beam deflection arrangement for landing-correction
KR20010026212A (ko) 기울기와 색순도 자동조절장치
KR19990037380A (ko) 다중 주사 모니터를 위한 적응 컨버젼스 조절
KR100355504B1 (ko) Crt용 전자총
KR20010040485A (ko) 외측 빔 사이의 거리가 편향에 의존하는 컬러 디스플레이장치
CN1261965C (zh) 阴极射线管的电子枪
KR970000551B1 (ko) 컬러 수상관용 전자총
KR20030011649A (ko) 음극선관
KR100447648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US20010006327A1 (en) Colour display device
EP1370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n a cathode ray tube
KR10046428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91372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9990071861A (ko) 음극선관을구비한디스플레이장치
KR100634692B1 (ko) 칼라 음극선관
JPH08500697A (ja) 大きさの減少されたビームスポットを有する改良された陰極線管装置
KR20030087463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0007698A (ko) 공간 절약형 음극선 튜브
JPH03101388A (ja) 画像表示装置
KR20030061173A (ko) 전계 방출 디바이스를 이용한 프로젝션 장치
JPH06196106A (ja) 陰極線管を具える装置
KR20030071334A (ko) 칼라 모니터용 음극선관의 전자총
JPH10508428A (ja) ランディング補正手段を具えるカラー表示装置
KR20010002254A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0017040A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