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877A - Method for electronically selecting the dependency of an output signal from the spatial angle of acoustic signal impingement and hearing aid apparatus - Google Patents

Method for electronically selecting the dependency of an output signal from the spatial angle of acoustic signal impingement and hearing ai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877A
KR20010021877A KR1020007000441A KR20007000441A KR20010021877A KR 20010021877 A KR20010021877 A KR 20010021877A KR 1020007000441 A KR1020007000441 A KR 1020007000441A KR 20007000441 A KR20007000441 A KR 20007000441A KR 20010021877 A KR20010021877 A KR 20010021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output
electrical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이사노조셉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포낙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포낙 아게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21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87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5/407Circuits for combining signals of a plurality of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Abstract

For beam forming acoustical signals the phase difference of the output signals of two acoustical/electrical transducers is determined (27) and is multiplied by a factor (30). One of the two output signals of the at least two transducers is phase shifted by an amount according to the multiplication result. This phase shifted signal and the signal of the second transducer are led to a signal processing unit, wherein beam forming on these at least two signals is performed.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beam forming as if the transducers were mutually distant by more than they physically are. <IMAGE>

Description

음향 신호 충돌의 공간각 및 보청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의존성을 전기적으로 선택하는 방법{METHOD FOR ELECTRONICALLY SELECTING THE DEPENDENCY OF AN OUTPUT SIGNAL FROM THE SPATIAL ANGLE OF ACOUSTIC SIGNAL IMPINGEMENT AND HEARING AID APPARATUS}FIELD OF ELECTRONICALLY SELECTING THE DEPENDENCY OF AN OUTPUT SIGNAL FROM THE SPATIAL ANGLE OF ACOUSTIC SIGNAL IMPINGEMENT AND HEARING AID APPARATUS}

도 1은 음향 신호 상의 "빔 형성(beam forming)"에 대한 공지의 기술을 가장 일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다방향성 음향/전기 변환기(2a, 2b)가 제공되는데, 이것 모두는 본질적으로 음향 신호를 그들의 충돌 방향( θ)에 무관하게 변환하고, 따라서 제1 전기적 출력 신호 및 제2 전기적 출력 신호(A1, A2)는 실질적으로 충돌 방향( θ)에 관하여 가중되지 않는다. 출력 신호(A1, A2)는, 입력 신호(A1, A2)로부터 출력 신호(Ar)를 생성하는 전자 트랜스듀서 유닛(3)에 공급된다. 유닛(3)의 블록 내에 도시된 바대로, 신호(A1, A2)가 처리되어 신호(A1) 또는 신호(A2)를 묘사하는 결과 신호(Ar)가 나온다. 그러나, 이 신호(A1, A2)는 공간 증폭 함수[F1( θ)]에 의해 추가적으로 가중된다. 따라서, 음향 신호는 충돌하는 공간각( θ)에 의존하여, 즉 트랜스듀서 장치(2a, 2b)가 음향원(acoustical source)을 "보는" 공간각 의존하여 선택적으로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지 방법은 엄격하게 물리적 위치 및 제공되는 변환기의 고유의 "로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1 is the most general diagram of a known technique for "beam forming" on an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is, at least two multidirectional acoustic / electrical converters 2a, 2b are provided, all of which essentially convert the acoustic signals independent of their collision direction [theta], and thus the first electrical output signal and the second. The electrical output signals A 1 , A 2 are not substantially weighted with respect to the collision direction θ. The output signals A 1 and A 2 are supplied to the electronic transducer unit 3 which generates the output signal Ar from the input signals A 1 and A 2 . As shown in the block of the unit 3, the signals A 1 , A 2 are processed to yield a resultant signal A r that depicts the signal A 1 or the signal A 2 . However, this signal A 1 , A 2 is additionally weighted by the spatial amplification function F 1 (θ). Thus, the acoustic signal can be selectively amplified depending on the impinging spatial angle [theta], ie depending on the spatial angle at which the transducer devices 2a, 2b "see" the acoustic source. Thus, this known method is strictly related to the physical location and inherent "lobe" of the transducer provided.

트랜스듀서 유닛(3) 내에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한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구체화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모든 그러한 방법은 두 개의 변환기(2a, 2b)의 기결정된 상호 물리적 거리(Pp)에 기인하여, 각 변환기(2a, 2b)에서의 음향 신호의 수신 사이에는 지연 시간(dt)이 발생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One method of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in the transducer unit 3 can be embodied with reference to FIG. 2. According to FIG. 2, all such methods are due to the predetermined mutual physical distance P p of the two transducers 2a, 2b, so that the delay time dt between the reception of the acoustic signal at each transducer 2a, 2b. Is based on the fact that

변환기(2a)에서 수신되는 단일 주파수( ω)의 음향 신호를 고려하면, 이 변환기는 아래의 출력 신호를 생성할 것이다.Considering the single frequency (ω) acoustic signal received at the transducer 2a, this transducer will produce the following output signal.

여기서, 제2 변환기(2b)는 수학식 2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Here, the second converter 2b generates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equation (2).

여기서, dt는 수학식 3에 의해 결정된다.Here, dt is determined by equation (3).

여기서, c는 음속이다.Where c is the speed of sound.

예컨대 A1을아래의 수학식 4에 의해 정해지는 크기 만큼 시간 지연시키고,For example, A 1 is time delayed by a size determined by Equation 4 below,

시간 지연된 신호(A1')(제3 신호)의 차이로부터, 즉 수학식 5와 수학식 2로부터 결과 신호(Ar)를 형성한다.The resultant signal A r is formed from the difference of the time delayed signal A 1 ′ (third signal), that is, from equations (5) and (2).

이 결과, 주파수( ω)에서 고려할 때, 트랜스듀서 유닛(3)의 블록 내에 도시된 것처럼, 공간적으로 심장형인 가중 출력 신호(spatially cardioid weighted output signal)(Ar)가 출력된다.As a result, when considered at the frequency ω, a spatially cardioid weighted output signal A r is output, as shown in the block of the transducer unit 3.

여기서, 신호(Ar)는 θ= 90°에서 영이 되고, θ= -90°에서는 다음의 수학식 7에서와 같이 된다.Here, the signal A r becomes zero at θ = 90 ° and at θ = −90 °, as shown in Equation 7 below.

두 개의 전방향성 차수 변환기(omnidirectional order converter)의 출력 신호의 그러한 처리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1차 심장형 가중 함수(first order cardioid weighing function) F1( θ)을 이끌어 낸다. 더 높은 차수의 음향/전기 변환 특성, 즉 "로브"에 대해 변환기를 각각 선택함으로써 그리고/또는 둘 이상의 변환기를 사용함으로써, 더 높은 차수(m)의 가중 함수 Fm( θ)를 실현할 수 있다.Such processing of the output signal of two omnidirectional order converters leads to a first order cardioid weighing function F 1 (θ) as shown in FIG. 3. A higher order m weighting function F m (θ) can be realized by selecting transducers respectively for higher order acoustic / electrical conversion characteristics, ie “lobes” and / or using two or more transducers.

도 4에서, 주파수(f = ω/2π)의 함수로 1차 심장형 가중한 결과로부터 생기는 진폭(Armax) 특성이 도시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2차 심장형 가중 함수 F2( θ)에 대한 각 함수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두 변환기(2a, 2b) 사이의 선택된 물리적 거리 Pp는 12 mm이다.In FIG. 4, the amplitude A rmax resulting from the first-order cardiac weighted function as a function of frequency f = ω / 2π is shown. In addition, the angular function for the second-order cardiac weighting function F 2 (θ) is shown. According to this, the selected physical distance P p between the two transducers 2a, 2b shown in FIG. 1 is 12 mm.

아래의 수학식 8에 의한 주파수(fr)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듯이, 1차 심장형 패턴(first order cardoid)에서 최대 진폭은 +6 dB이고, 2차 심장형 패턴에서는 +12 dB이다. Pp= 12 mm, Fr= 7 kHz 이다.As can be clearly seen at the frequency f r according to Equation 8 below, the maximum amplitude in the first order cardoid is +6 dB and in the second cardiac pattern is +12 dB. P p = 12 mm, F r = 7 kHz.

도 4로부터, fr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와 낮은 주파수에 대한 현저한 롤-오프(roll-off)를 볼 수 있다. 즉, 현저한 증폭 감소가 인식된다.From Fig. 4 one can see significant roll-offs for high and low frequencies as compared to f r . That is, a significant reduction in amplification is recognized.

그러한 유형 또는 유사한 유형의 빔 형성(beam forming) 기술,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제4,333,170호(음향원 검출), 유럽 특허 출원 번호 제0 381 498호(지향성 마이크로폰) 또는 노리오 코이케(Norio Koike) 등의 "Verification of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of Sound Source Direction via a Pair of Pressure Microphone",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in Japan, Part 3, Vol. 77, No. 5, 1994, 68쪽 내지 75쪽으로부터 알 수 있다.Such or similar types of beam forming techniques such as US Pat. No. 4,333,170 (sound source detection),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0 381 498 (directional microphone) or Norio Koike et al. Verification of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of Sound Source Direction via a Pair of Pressure Microphone ",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in Japan, Part 3, Vol. 77, No. 5, 1994, pages 68-75.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를 이용하는 그러한 빔 형성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과 무관하게, 거리(Pp)는 수학식 8에서 보여지듯이 중요한 개체이며 최종 증폭/각 의존성(resulting amplification/angle dependency)을 직접적으로 결정한다.Regardless of the prior art used to form such beams using at least two transducers, the distance P p is an important entity as shown in Equation 8 and directly determines the resulting amplification / angle dependency. .

그러한 기술이 협대역 신호 검출에 사용되거나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를 상호간의 물리적 거리(Pp)를 넓게 하여 설치하는 데 대한 심각한 한계에 부딪치지 않으면, 수학식 8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특별한 어려움이 없다.There is no particular difficulty in applying Equation 8 if such techniques are used for narrowband signal detection or do not encounter serious limitations in installing at least two transducers with a wide physical distance P p between them.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보청기(hearing aid applications)에 대해, fr이 트랜스듀서의 물리적 거리(Pp)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은, 보청기의 음성 인식을 위한 약 4kHz까지의 가청 주파수 대역이, 가능한 한 최단의 상호간의 거리(Pp)로 장착되어야 하는 적어도 두 개의 트랜스듀서에 의해 검출되어야만 한다는 사실 때문에, 심각한 결점이 된다. 이들 두 요구 조건은 상충된다. 보다 낮은 fr이 실현되려면, 더 넓은 거리(Pp)가 요구된다.Nevertheless, the fact that f r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ransducer's physical distance P p , especially for hearing aid applications, means that the audible frequency band up to about 4 kHz for speech recognition of the hearing aid is as short as possible. Due to the fact that they must be detected by at least two transducers that must be mounted at a mutual distance of P p , a serious drawback. These two requirements are in conflict. For lower f r to be realized a wider distance P p is required.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음향/전기 변환기(acoustical/electrical converter)에 의해, 예컨대 다방향성 마이크로폰에 의해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변환기의 각각의 출력 신호는 전자 트랜스듀서 유닛(electronic transducer unit)에 의해 전기적으로 계산되어, 증폭의 공간적 특성이 가중된 음향 신호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출력 신호는, 음향 신호의 수신이, 예컨대 적절한 수신 로브(lobe) 또는 빔(beam)을 구비한 안테나에 의해 음향 신호의 수신이 된 것처럼, 공간적 증폭 특성이 가중된 수신 음향 신호를 묘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프리셋(preset)된, 즉 전기적으로 조정되고 맞춰질 수 있는 수신 "로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by at least two acoustic / electrical converters, for example by a multidirectional microphone, wherein each output signal of such a transducer is an electronic transducer unit. and electrical calculations to produce an output signal representing the acoustic signal to whic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mplification are weighted. Thus, the output signal depicts a received acoustic signal with a spatial amplification characteristic, such as the reception of the acoustic signal is, for example, the reception of the acoustic signal by an antenna with an appropriate receiving lobe or beam. .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e " lobe " which is electrically preset, i. E. Can be electrically adjusted and tailor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래의 도면과 함께 설명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되는 지향성 빔을 구비한 두 개의 트랜스듀서 음향 수신기를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wo transducer acoustic receivers having a directional beam form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장치에 적용되는 종래의 빔 형성 기술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eam forming technique applied to the apparatus of FIG. 1. FIG.

도 3은 3차원 심장형 빔, 즉 음향 신호의 입사 각 입사각의 함수로서의 증폭 특성을 2차원으로 도시한 도면.3 shows in two dimensions the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as a function of the incident angle of incidence of a three dimensional cardiac beam, ie an acoustic signal;

도 4는 1차 심장형 함수 및 2차 심장형 함수에 대한, 도 3에 따른 최대 증폭치의 주파수 의존성을 도시한 도면.4 shows the frequency dependence of the maximum amplification according to FIG. 3 for the first-order cardiac function and the second-order cardiac function.

도 5는 종래 기술인 도 2에 따른 기술로부터 나오는 포인터도.5 shows a pointer from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도 6은 도 5(종래 기술)에 기초하지만,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포인터도.FIG. 6 is a pointer diagram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FIG. 5 (prior art), but performed by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이 구현된 보청기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device of the invention, in particular a hearing aid in which the method of the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일반적인 형태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9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general form.

도 10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본 발명의 장치의 일반적인 신호 흐름 및 기능 블록을 도시한 블록도.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general signal flow and functional blocks of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로부터 결과되는 측정된 지향 특성을 도시한 도면.FIG. 11 shows measu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FIG. 8. FIG.

도 12는 도 11에 따라 표현되는,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로부터 결과되는 제2 지향 특성을 도시한 도면.12 shows a second directivity characteristic resulting from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FIG. 8, represented according to FIG. 11.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공지의 음향적 "빔 형성"의 거리(Pp)-의존성에 관한 결점에 대한 해결책의 제공이다.Thu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drawback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P p -dependence of known acoustical "beam formation".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음향 신호가 적어도 제1 및 제2 음향/전기 변환기에 충돌해오는 공간적 방향에 대한 전자 트랜스듀서 유닛의 전기적 출력 신호의 의존성을 전자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변환기는 각각 상기 트랜스듀서 유닛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1 전자 신호 및 제2 전자 신호를 유닛에 입력한다. 상기 방법은A first object of the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method for electronically selecting the dependence of the electrical output signal of the electronic transducer unit on the spatial direction in which the acoustic signal impinges at least the first and second acoustic / electrical transducers. . The transducers are each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transducer unit, thus inputting a first electronic signal and a second electronic signal to the unit. The method is

제1 전자 신호 및 제2 전자 신호의 상호 페이싱(phasing)에 의존하는 최소한 하나의 제3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페이싱은 상수 또는 주파수-의존성 인자(factor)가 곱하여지고, 더욱이 제3 전기 신호는 제1 전기 신호와 제2 전기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는 제4 전기 신호에 의존하는 것인 단계와,Generating at least one third electrical signal that depends on the mutual pasing of the first electronic signal and the second electronic signal, wherein the pacing is multiplied by a constant or frequency-dependent factor, and furthermore, the third The electrical signal is dependent on a fourth electrical signal that depends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제3 신호에 의존하고, 나아가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는 제5 전기 신호에 의존하는 트랜스듀서 유닛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Generating an output signal of the transducer unit that is dependent on the third signal and further dependent on a fifth electrical signal that depends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따라서, 두 변환기 사이의 실제 물리적 상호 거리에 무관하게 상기 의존성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동일한 것을 미리 선택하고 동조(tuning) 및 조정(adjusting)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가 실제 위치한 것 보다 완전히 다른 물리적 위치에 있는 것처럼 의존성을 이끌어낸다.Thus, it becomes possible to select the dependency regardless of the actual physical mutual distance between the two transducers. It is thus possible to pre-select, tune and adjust the same, resulting in a dependency as if at least two transducers are in a completely different physical location than they are actually located.

본 발명의 방법을 실현하는 바람직한 제1 방식에서 제4 전기 신호가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한 신호만에 선형적인 의존성을 갖도록 선택되고, 이에 따라 그러한 제1 전기 신호 또는 제2 전기 신호에 의해 제4 전기 신호가 바람직하게 직접 형성된다.In a first preferred way of realizing the method of the invention,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is selected to have a linear dependence on only one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thus such first electrical signal or second electrical signal.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is preferably directly formed by the signal.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방법을 실현하는 현재의 더욱 바람직한 방식에서, 제4 전기 신호는 제1 및 제2 전기 신호 양자에 모두 의존한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제4 전기 신호는 미리 결정되거나 조정 가능한 "로브" 특성, 즉 공간적 충돌 방향에 따른 의존성을 갖는다. 따라서, "로브"의 바람직한 형성에서, 제4 전기 신호의 실현은 제1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하나를 지연시키고, 지연된 신호를 제1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지연되지 않은 다른 신호와 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4 전기 신호는 본질적으로 충돌각 의존성(impinging angle dependency)에 대한 증폭을 가지며, 따라서 도면 1 내지 도면 4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한 의존성에 따른 일 예로서, "로브"를 정의한다.Nevertheless, in the present more preferred manner of realiz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depends on bo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In a preferred form,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has a predetermined or adjustable " lobe " characteristic, i.e. dependence on the spatial collision direction. Thus, in the preferred formation of a "lobe", the realization of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is achieved by delay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and adding the delayed signal with another non-delayed signal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 Accordingly,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essentially has an amplification for the impinging angle dependency, and thus defines "lobe"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dependency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본 발명의 방법을 실현하는 추가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그 자체로서 또는 전술한 제4 신호를 생성하는 다른 방법, 특히 "로브" 특성을 갖춘 제4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과 결합하여, 제1 및 제2 전기 신호 중 적어도 한 신호에 직접적 의존성 또는 선형 의존성을 갖는 제5 신호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하나를 제5 신호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In a further preferred form of realiz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the first, in combination with other methods of generating the above-described fourth signal, in particular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fourth signal with the "lobe" characteristic, It is proposed to generate a fifth signal having a direct or linear dependence on at least one of the two electrical signals, thus us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as the fifth signal.

이에 따라, 그 자체로서 또는 전술한 제4 신호를 생성하는 다른 방법, 특히 "로브" 의존성을 갖춘 제4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과 결합하여, 공간상의 충돌각으로부터의 "로브" 의존성을 갖춘, 제1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하나를 지연시키고, 지연된 신호를 제1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지연 안된 다른 신호와 더함으로써 제1 형태에서 구현된 제5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로브" 특성을 정의하기 위해 생성된 제4 전기 신호는 동일한 "로브" 특성을 갖는, 제5 전기 신호로서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명확해진다.Thus, by itself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methods of generating the above-described fourth signal, in particular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fourth signal with "lobe" dependence, the first, with "lobe" dependency from the collision angle in space, It is proposed to produce a fifth electrical signal implemented in the first form by delay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and adding the delayed signal with the other undelayed signals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Thus, it becomes clear that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generated to define the "lobe" characteristic can be used directly as the fifth electrical signal, having the same "lobe" characteristic.

본 발명의 명백하게 바람직한 추가의 실현 형태 및 지금까지 설명하고 계속 설명이 이어지는 바람직한 실현 형태 중의 어떠한 형태와 결합된 형태에서, 각각의 스펙트럼 표현으로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제안되고, 이에 따라 일정한 주파수 독립 인자 또는 주파수 의존 인자로 곱해지는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신호의 각각의 스펙트럼 요소의 상호 페이싱에 의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전기 신호를 생성한다.It is proposed to produce a first electrical signal and a second electrical signal in each spectral representation, in combination with any of the apparently preferred fur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n any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so far described and continued. Thereby generating at least one third electrical signal which is dependent on the mutual pacing of each spectral component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multiplied by a constant frequency independent factor or a frequency dependent factor.

또 다른 바람직한 동작 모드에서, 주파수 의존 승산 인자는, 적어도 1차 근사(first approximation)에서는 주파수에 반비례하게 선택된다.In another preferred mode of operation, the frequency dependent multiplication factor is chosen inversely proportional to frequency in at least a first approximation.

여러 곳에 명백히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방법에 가장 적합한 보청기에 특별히 주의를 돌리면, 제1 및 제2 변환기의 실제적인 물리적 거리가 최대 20 mm로 제안되고, 이에 따라 적어도 페이싱 승산 인자에 의존적인 가상의 거리가 두 변환기 사이의 물리적 거리보다 멀게 선택되었다. 달리 말하면, 공간각에 대한 트랜스듀서 유닛의 출력 신호의 의존성은, 변환기가 마치 실제보다 현저하게 먼 상호간의 거리를 두고 설치된 것처럼 된다. 그러한 기술은 임의의 공간 제한적인 응용에 있어서 많은 이점이 있으며, 특히 보청기에 대해서도 그러함은 달리 말할 필요가 없다.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hearing aids most suitable for the method of the invention, which can be explicitly applied in various places, suggesting that the actual physical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ducers up to 20 mm is proposed, thus at least virtually dependent on the pacing multiplication factor. The distance was chosen farther tha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two transducers. In other words, the dependenc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ducer unit on the spatial angle is as if the transducers were installed at mutually remarkable distances from each other. Such a technique has many advantages for any space-constrained application, especially for hearing aids, needless to say otherwise.

전술한 목적을 이루고, 특히 적어도 두 개의 음향/전기 변환기의 물리적 위치에 무관하고, 요구되는 수신 로브가 맞춰지고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보청기를 현실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전기 트랜스듀서 장치는, 미리 결정된 물리적 거리를 두고 서로 떨어져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음향/전기 변환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변환기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는, 각각 제1 전기 출력 신호 및 제2 전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 출력 신호들은 전자 트랜스듀서 유닛에 동작상 연결된다. 이 유닛은 증폭 함수에 의해 상기 변환기의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에 의존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증폭 함수는 상기 변환기가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공간각에 의존한다.The acoustic / electric transducer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in particular for the hearing aid in which the required receiving lobe can be tailored and adjusted as necessary, irrespective of the physical position of at least two acoustic / electrical transducers, At least two acoustic / electrical convert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hysical dist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ducers thus makes at least two transducers, respectively, a first electrical output signal and a second electrical output signal, which are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transducer unit. The unit generates an output signal that depends o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signals of the converter by an amplification function. The amplification function depends on the spatial angle at which the transducer receives the acoustic signal.

상기 음향/전기 트랜스듀서 장치는 위상차(phase difference) 검출 유닛, 위상 처리 유닛 및 빔-형성기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데,The acoustic / electric transducer device includes a phase difference detection unit, a phase processing unit and a beam-former processing unit,

상기 위상차 검출 유닛은 자체의 입력단이 상기 변환기의 출력단과 동작상 연결되고 자체의 출력단 에서 위상차 의존 신호를 생성하고,The phase difference detecting unit has its input terminal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verter and generates a phase difference dependent signal at its output terminal,

상기 위상 처리 유닛은 자체의 제1 입력단이 상기 위상차 검출 유닛과 동작상 연결되고, 자체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단이 인자값 선택원(factor-value-selecting source)과 동작상 연결되고, 자체의 제3 입력단이 적어도 상기 두 개의 변환기의 입력단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동작상 연결되고, 상기 제3 입력단에서의 신호에 따라 자체의 출력단에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그 위상은 상기 제1 입력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단에서의 신호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고,The phase processing unit has its first input end operatively connected with the phase difference detection unit, its at least one second input end is operatively connected with a factor-value-selecting source, and has its own third An input stage is operatively connected with at least one of the input stages of the at least two converters,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at its output stage in accordance with a signal at the third input stage, the phase of which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input stag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tage; 2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gnal at the input,

상기 빔-형성기 처리 유닛은 적어도 두개의 입력단을 구비하는데, 한 입력단은 상기 위상 처리 유닛의 출력단과 동작상 연결되고, 제2 입력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의 출력단 중의 적어도 하나와 동작상 연결된다.The beam-former processing unit has at least two inputs, one input being operatively connected with the output of the phase processing unit and a second input being operatively connected with at least one of the outputs of the at least two transducers.

본 발명의 모든 특징 하에서 수학식 9가 실현될 수 있다.Equation 9 can be realized under al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것은 특히 협소한 공간에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보청기에 적용될 수 있다.This can be applied in particularly narrow spaces, especially in hearing aids.

이에 따라, 트랜스듀서의 가상 거리(Pv), 즉 본 발명에 따라 각도 의존성을 갖도록 물리적으로 실현되어야 했던 변환기들 사이의 거리의 개념이 소개된다.Thus, the concept of the virtual distance P v of the transducer, ie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ducers, which had to be physically realized to have an angle dependency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is introduced.

이것과 수학식 8에 따라, fr은 낮은 주파수로 이동할 수 있다. fr값은, 마이크로폰의 거리가 지금 까지 가능했던 것보다 현저하게 적은 거리인 상태에서, 음성 인식을 위한 가청 주파수 대역(< 4 kHz)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nd Equation 8, f r can move to a lower frequency. The value of f r can be an audible frequency band (<4 kHz) for speech recognition, with the distance of the microphone being significantly less than previously possible.

위상차에 상수 인자를 곱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롤-오프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이 롤-오프는 현저하게 개선되어, 전술한 것처럼 만약 미리 결정된 주파수 함수가 적어도 음향 신호의 주파수에 반비례하는 1차 근사 함수로서 선택되었다면, 도 4에 따른 확장된 주파수 대역(Br)을 도출한다.Multiplying the phase difference by a constant factor does not affect the roll-off shown in FIG. This roll-off is significantly improved, leading to an extended frequency band B r according to FIG. 4 i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function is chosen as a first order approximation function that is at least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the acoustic signal, as described above. .

도 3 및 도 4에 따른 1차 심장형(first order cardoid)에 대한 예를 들면, 위상차가 곱해진 주파수 의존 함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0.5 kHz와 4 kHz 사이에서 평탄한 주파수 특성에 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높거나 낮은 주파수에서의 증폭의 롤-오프가 잘 정의되면서 현저하게 확장된 주파수 대역(Br)을 얻을 수 있다.For the first order cardoid according to FIGS. 3 and 4, for example,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frequency dependent function multiplied by the phase difference, a flat frequency characteristic can be reached between 0.5 kHz and 4 kHz, and thus Thus, the roll-off of amplification at higher or lower frequencies is well defined, resulting in a significantly extended frequency band (B r ).

전술한 것처럼, 도 1 내지 도4는 상호간의 물리적 거리(Pp) 만큼 떨어지고 적어도 두 개의 음향/전기 트랜스듀서에 기초한 공지의 빔 형성 기술에 관한 것이다.As mentioned above, FIGS. 1 to 4 relate to known beam forming techniques which are separated by a physical distance P p from each other and based on at least two acoustic / electrical transducers.

도 5에서, 수학식 6에 따른 포인터도가 도시된다.In FIG. 5, a pointer diagram according to equation (6) is shown.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을 단순화된 단일 주파수( ω)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실현된 포인터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따른 신호(A2)와 신호(A1) 사이의 위상차(ω·dt)는 수학식 10과 같다.The basic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a simplified single frequency ω as an example. A pointer diagram realiz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in FIG. 6. The phase difference ω · dt between the signal A 2 and the signal A 1 according to FIG. 6 is expressed by Equation 10.

이 위상차가 결정되고, 주파수에 의존하는 값, 즉 함수 M( ω)의 각각의 값이 곱해진다. 또한 상수 Mo는 1이 아닐 것이다.This phase difference is determined and multiplied by a value that depends on the frequency, that is, each value of the function M (ω). Also the constant M o will not be one.

두 신호(A1, A2)는 중의 한 신호를 도 6의 각각의 포인터에 따라, 예컨대 A2의 포인터에 따라 A2를 Mω·Δφ 또는 Mo·Δφ만큼 위상을 쉬프트 함으로써, 위상 쉬프트된 A2V가 얻어진다. dt가 Mω또는 Mo만큼 더 크다면, 따라서, "가상 트랜스듀서(virtual transducer)"가 트랜스듀서(1a)로부터 아래의 수학식 11 또는 수학식 12에서 얻어지는 가상 거리(Pv)를 두고 위치하면, 이 포인터가 또한 발생했을 것이다.The two signals (A 1, A 2) are in accordance with each point in FIG. 6 a signal of, for example, by shifting the phase of A 2 in accordance with the pointer by M ω · Δφ or M o · Δφ of A 2, the phase shift A 2V is obtained. If dt is greater than M ω or M o , then a "virtual transducer" is positioned from the transducer 1a with a virtual distance P v obtained from Equation 11 or 12 below. This pointer would also have occurred.

또는or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단일 주파수만을 고려하면 Mo= Mω로 상정할 수 있다.For simplicity, considering only a single frequency, we can assume M o = M ω .

가상의 τv를 아래의 수학식에서처럼 두면,If we put the hypothetical τ v as in the equation below,

본 발명에 따라 다음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can be obtained.

수학식 8에 의하여 다음의 것을 더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8, the following may be further obtained.

이로부터, 너무 높은 주파수(fr)를 유도하는 주어진 Pp에 대하여, frv가 인자(Mω>1)에 의하여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 본 발명의 보청기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단순화시킨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음향/전기 트랜스듀서(2a, 2b)의 출력 신호는 각각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a, 20b)에 공급되고, 그로부터의 출력은 패스트 푸리에 변환(Fast-Fourier Transform unit) 유닛인 시간 영역-주파수 영역 변환기(time domain to frequency domain converter : TFC)의 입력이 된다. 스펙트럼의 위상차 검출 유닛(27)은 상수의 세트(Cn)가 곱해지는 모든 n 스펙트럼 주파수 요소에 대해 위상차(Δφn)를 스펙트럼으로 검출한다. M이 ω의 함수(Mω)라면, cn은 상이한 주파수에 대해 상이할 수 있으며, 주파수 의존 함수 또는 주파수 의존 인자를 의미한다. 반면에, 위상차(Δφn)가 동일한 상수(c0= cn≠1)로 곱해지면, 상수(Mo)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다.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for a given P p leading to too high frequency f r , f rv is reduced by the factor M ω > 1. FIG. 7 is a simplified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of the hear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output signal of the acoustic / electric transducers 2a, 2b is supplied to the respective analog-to-digital converters 20a, 20b, and the output therefrom is a time domain which is a Fast-Fourier Transform unit. It becomes the input of a time domain to frequency domain converter (TFC). The spectral phase difference detection unit 27 spectrally detects the phase difference Δφ n for all n spectral frequency components multiplied by the set of constants C n . If M is a function of ω (M ω ), c n may be different for different frequencies, meaning a frequency dependent function or a frequency dependent factor. On the other hand, if the phase difference Δφ n is multiplied by the same constant (c 0 = c n ≠ 1), it is equivalent to using the constant (M o ).

수학식 3v에 따른 이 승산은 스펙트럼 승산 유닛(28)에서 수행된다. 자체의 스펙트럼 표현에서 신호(A1)는 승산 유닛(28)에 의해 출력된, 곱해진 스펙트럼의 위상차 신호에 의해, 스펙트럼의 위상차 쉬프트 유닛(spectral phase shifter unit)(29)에서 스펙트럼 상의 위상이 쉬프트된다.This multiplication according to equation 3v is performed in the spectral multiplication unit 28. The signal A 1 in its spectral representation is shifted in phase on the spectrum in a spectral phase shifter unit 29 by the multiplied spectral phase difference signal output by the multiplication unit 28. do.

도 7에 따르면, 자체의 스펙트럼 표현에서의 신호(A1)와 본 발명에 따라 스펙트럼 상의 위상이 쉬프트된 신호[]는, 트랜스듀서(2a)가 트랜스듀서(2b)와 거리(Pv= MωPp)를 두고 있는 것처럼, 자체의 스펙트럼 표현에서의 신호(A2)와 함께 스펙트럼 계산 유닛(spectral computing unit)(23)에서 계산된다.According to FIG. 7, the signal A 1 in its spectral representation and the signal whose phase in the spectrum is shift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 ] Is a spectral computing unit with a signal A 2 in its spectral representation, as if the transducer 2a had a distance P v = M ω P p from the transducer 2b. (23) is calculated.

결과 스펙트럼은 역-패스트-푸리에-변환 유닛(inverse-Fast-Fourier-Transform unit)(24)과 같은 주파수 영역-시간 영역 변환기(FTC)에 의해 다시 변환되어 신호(Ar#)를 도출한다.The resulting spectrum is again transformed by a frequency domain-time domain converter (FTC), such as an inverse-Fast-Fourier-Transform unit 24 to derive the signal A r # .

이에 따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했던 기술, 즉 시간 지연 기술-주파수 영역에서 변환됨-과는 다른 빔 형성 기술이 유닛(23)에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a beam forming technique other than the techniqu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at is, the time delay technique, which is converted in the frequency domain, may be used in the unit 23.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 지연 기술이 바람직하다.Nevertheless, time delay techniques are preferred.

도 4에서, 가상적으로 확장된 상호 거리를 둔 "가상" 변환기를 본 발명에 따라 도입함으로써, 특히 보청기에 많이 유리한, 높은 이득의 주파수(fr)를 낮은 주파수로 쉬프트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설명되어진다. 설명된 것처럼, 주파수 의존 함수 (Mω)대신에 상수(M0)를 위상차에 곱하는 것으로서도 이를 달성할 수 있다.In FIG. 4, it is illustrated that by introducing a "virtual" converter with a virtually extended mutual dista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ift the high gain frequency f r to a lower frequency, which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hearing aids. Lose. As described, this can also be achieved by multiplying the phase difference by the constant M 0 instead of the frequency dependent function M ω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주파수 의존 함수(Mω)는, 적어도 1차 근사에서 수학식 15와 같이 선택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 dependent function M ω is selected as in equation 15 in at least a first order approximation.

이에 따라, 도 4와는 달리, 롤-오프가 없게 되고, 목표 방향에서의 이득은 요구되는 주파수 범위에서 상수가 된다. 함수(Mω)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 예컨대 0.5 kHz 내지 4 kHz 내에서 평탄한 특성을 갖고, 더 높거나 낮은 주파수에서는 정의된 롤-오프가 있도록 할 수 있다. 함수(Mω)를 적절히 선택하면, 실질적으로 어떤 형태의 빔 형성이라도 가능하다.Thus, unlike FIG. 4, there is no roll-off, and the gain in the target direction becomes constant in the required frequency range. By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function M ω , it is possible to have a flat characteristic within a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such as 0.5 kHz to 4 kHz, and to have a defined roll-off at higher or lower frequencies. With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function M ω , virtually any form of beam formation is possible.

더 높은 차수의 심장형 가중 함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위상-쉬프트되지 않은 신호(A1)를, 유닛(23)으로 입력되는 계산될 입력 신호로서 추가적으로 사용(도 7에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음)하여, 3개의 변환기를 "시뮬레이션"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In order to derive a higher order cardiac weighting function, the non-phase-shifted signal A 1 is additionally used (shown in broken lines in FIG. 7) as the input signal to be input to the unit 23.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simulate" three converters.

도 8은 현재의 본 발명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7과 유사하게 기능 블록/신호 흐름 방식으로 표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이미 설명된 블록 및 신호 중 도 8에 있는 것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FIG. 8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unctional block / signal flow scheme similar to FIG. 7. Of the already described blocks and signals of FIG. 7, those in FIG. 8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승산 유닛(28)의 외측에서의 위상 스펙트럼(Δφ'1...n)은 가산 유닛(29')에서, 1차 심장형 의존성 또는 높은 차수의 심장형 의존성 같은 충돌각( θ)에 대한 미리 선택된 의존성을 가지는 신호[Akr, 1...n( ω, θ)]에 역시 스펙트럼 형태로서 더해진다.The phase spectrum Δφ ' 1... N outside of the multiplication unit 28 is the preselected dependency on the collision angle θ, such as the primary cardiac dependence or the higher order cardiac dependence, in the addition unit 29'. Is also added as a spectral form to the signal [ Akr, 1 ... n (ω, θ)].

도 2 내지 도 4에 관하여 계속 설명하면, 신호[Akr, 1...n( ω1...n, θ)]를 실현하기 위하여, 출력 신호[A1( ω), A2( ω)]는 빔-형성기 유닛(32)으로 인도되는데, 이 유닛(32)은 빔-형성기 유닛(23')에 통합될 수 있고, 예컨대 도 2의 빔-형성기에 따라 만들어진다. 도 8의 빔-형성기(32) 대신에 1차 심장형 특성과는 다른 결과를 내는 다른 종류의 빔-형성기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2 to 4, the output signals A 1 (ω) and A 2 (ω) are realized in order to realize the signals A kr, 1... N1 ... n , θ). ) Is directed to the beam-former unit 32, which may be integrated into the beam-former unit 23 ′, for example made according to the beam-former of FIG. 2. Instead of the beam-former 32 of FIG. 8, other types of beam-formers may be implemented which produce different results than the primary cardiac characteristics.

스펙트럼[Akr,1...n1...n, θ)]은 위상 가산 유닛(29')에 의해 Δφ'1...n만큼 위상-쉬프트되어 유닛(29')의 출력 신호가 되는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펙트럼[Akv,1...n1...n, Δφ'1...n, θ)]을 갖는다. 가산 유닛(29')의 출력 신호뿐만 아니라 신호[Akr,1...n1...n, θ)]도 빔-형성기 유닛(23')에 이르고, 이 신호들은 (33)에 도시된 바대로 양호하게 다시 더해진다.The spectrum A kr, 1 ... n1 ... n , θ) is phase-shifted by the phase addition unit 29 'by Δφ' 1 ... n to output the unit 29 '. Signal, which has a spectrum [A kv, 1... N1 ... n , Δφ ' 1 ... n , θ) as shown in FIG. 8. In addition to the output signal of the adding unit 29 ', the signals Akr, 1 ... n1 ... n , θ) also reach the beam-former unit 23', which signals (33) It is preferably added back as shown in.

빔-형성기 유닛(32)의 출력단에서 충돌각( θ)에 대한 실제 심장형 의존성을 갖춘 신호가 생성되고, 유닛(29')의 출력단에서, 따라서 위상 쉬프트 후에, 충돌각( θ)에 관한 의존성 함수가 가상으로 위치한 변환기에 따라 실현된다. 가산 중에, 빔-형성기 유닛(23') 내의 유닛(33)과 같이, 충돌각( θ)에 대한 출력 신호(Ar)의 의존성이 나타나는데, 만약 유닛(32)의 출력단에서의 실제 심장형 의존성이 1차 심장형이면 출력 신호(Ar)의 의존성은 2차 심장형을 따른다.At the output of the beam-former unit 32 a signal with the actual cardiac dependence on the impact angle θ is generated, and at the output of the unit 29 ', thus after phase shift, the dependency function on the impact angle θ Is realized according to the virtually located transducer. During the addition, like unit 33 in beam-former unit 23 ', the dependence of the output signal A r on the collision angle [theta] appears, if the actual cardiac dependence at the output of unit 32 If the primary heart type, then the dependence of the output signal A r follows the secondary heart type.

따라서, 도 9에서처럼, 더욱 일반적으로 표현하면, 유닛(27)의 출력단에서의 위상차 스펙트럼은 위상 쉬프터 유닛(35)에 넘겨져, 이곳에서 c1만큼씩 cn까지 변조된다.Thus, as in FIG. 9, more generally expressed, the phase difference spectrum at the output of the unit 27 is passed to the phase shifter unit 35 where it is modulated by c 1 by c n .

일반화된 위상 쉬프터(35)는 두 변환기(2a, 2b) 중의 하나의 출력 신호 및/또는 위상 쉬프트된 상기 변환기의 출력 신호로부터의 빔 형성의 결과로 나오는 신호 중의 하나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도 9에서, 이것은 빔-형성기(37)로부터 위상 쉬프터(35)로 피드백되는 신호 경로로써 표현된다. 도 8을 보면, 이 피드백은 빔-형성기(32)와 가산 유닛(29') 사이의 신호 경로와 일치한다. 도 9에 따라, 도 8의 빔 형성 유닛(32)은 통합 빔-형성기 유닛(37)에 통합된다. 도 9에 도시된 일반적인 형태로서의 빔-형성기(37)는 변환기(2a, 2b)의 출력 신호와 일반화된 위상 쉬프터(35)의 출력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The generalized phase shifter 35 may directly receive one of the output signal of one of the two transducers 2a, 2b and / or the signal resulting from beam shaping from the output signal of the phase shifted transducer. In FIG. 9, this is represented as a signal path fed back from the beam-former 37 to the phase shifter 35. Referring to FIG. 8, this feedback coincides with the signal path between the beam-former 32 and the adding unit 29 ′. According to FIG. 9, the beam forming unit 32 of FIG. 8 is integrated into the integrated beam-former unit 37. The beam-former 37 in the general form shown in FIG. 9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ducers 2a, 2b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generalized phase shifter 35.

1) 둘 이상의 실제 변환기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2) 하나의 함수(Mω)또는 c0또는 c1...n세트 중에서 하나를 사용하여, 하나의 실제 변환기 신호 또는 하나 이상의 실제 변환기 신호로부터 하나 이상의 "가상 트랜스듀서" 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1) two or more real transducers may be used, or 2) from one real transducer signal or one or more real transducer signals, using one function (M ω ) or one of c 0 or c 1.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one or more "virtual transducer" signals can each be generated.

여러 개의 물리적 변환기와 가상 변환기, 그들의 특성 및 이들 변환기의 가상의 "재배치"를 선택하여, 공간 가중 함수를 선택적으로 적합하게 할 수 있다.Several physical transformers and virtual transformers, their properties, and the virtual "relocation" of these transformers can be selected to selectively fit the spatial weighting function.

주된 목적 하에서, 본 발명은, 물리적으로 설치된 변환기의 변환기 상호간의 가상의 위치를 전자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적은 거리를 두고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를 이용하여, 요구되는 어떠한 빔 형성도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한다.Under the main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virtually any beam formation required, using at least two transducer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small distance, by electronically providing a virtual position between the transducers of the physically installed transducers. Let's do it.

따라서, 주파수에 의존하지 않는, 특히 반비례하여 의존하지 않는 변환기의 가상 거리를 실현함으로써 특히 성립되는 그러한 가상 트랜스듀서에 의하여 롤-오프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변환기의 주파수(Mω)의존적인 가상의 거리를 선택함으로써, 주파수 선택성 변환기의 가상적인 배치가 이루어진다. 보청기에 대하여는, 적어도 두개의 트랜스듀서, 즉 마이크로폰 사이의 실제 거리가 최대 20 mm, 바람직하게는 그 이하로 선택된다.Thus, the roll-off is markedly reduced by such a virtual transducer, which is in particular established by realizing the virtual distance of the transducer which is not dependent on frequency, in particular in inverse proportion. By selecting a virtual distance dependent on the frequency M ω of the transducer, a virtual arrangement of the frequency selective transducer is achieved. For hearing aids, the actual distance between at least two transducers, ie the microphones, is selected up to 20 mm, preferably less tha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고, 전술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주요 흐름 및 장치 구조를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the most general form, the main flow and devic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ly applied to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적어도 두 개의 음향/전기 변환기(2a, 2b)의 출력 신호로부터 유도되는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S1, S2)는 트랜스듀서 유닛(3)의 입력이 된다. 유닛(3) 내에, 도 7, 도 8 또는 도 9의 유닛(27)과 같은 위상차 검출 유닛이 설치된다. 위상차 검출 유닛(27)은 유닛(3)의 입력단에 동작상 연결되고, 이에 따라 변환기(2a, 2b)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각각의 입력단을 구비한다. 위상차 검출 유닛(27)의 출력단은, 도 10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위상 처리 유닛(40)의 입력단과 동작상 연결된다. 위상 처리 유닛(40)은 제2 입력단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인자값 선택원(factor value-selecting source)(42)에 연결되고 상수 인자 또는 주파수 의존 인자(h)를 생성한다. 위상 처리 유닛의 제3 입력단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유닛(44)에 의해 "논리곱" 또는 "배타적 논리합" 의존성을 갖고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2a, 2b)의 출력단과 동작상 연결된다. 위상 처리 유닛(40)은 처리 유닛(40)의 제3 입력에 공급되는 신호(S4)에 따라, 그리고 위상 처리 유닛의 제1 입력(27로부터 옴) 및 제2 입력(42로부터 옴)에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S3)를 생성한다.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S 1 , S 2 , which are derived from the output signals of at least two acoustic / electrical converters 2a, 2b, are inputs of the transducer unit 3. In the unit 3, a phase difference detecting unit such as the unit 27 of FIGS. 7, 8, or 9 is provided. The phase difference detection unit 27 has respective input end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input end of the unit 3 and thus connected to the output ends of the transducers 2a and 2b. The output end of the phase difference detection unit 27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input end of the phase processing unit 40 shown by broken lines in FIG. The phase processing unit 40 has a second input, which is connected to a factor value-selecting source 42 and generates a constant factor or a frequency dependent factor h. The third input of the phase processing unit, as schematically shown,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output of at least two transducers 2a, 2b with a "logical" or "exclusive OR" dependency by coupling unit 44. . The phase processing unit 40 is according to the signal S 4 supplied to the third input of the processing unit 40 and to the first input (from 27) and the second input (from 42) of the phase processing unit. The output signal S 3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upplied signal.

위상 처리 유닛의 제1 입력단에서의 신호는 위상차 검출 유닛의 출력단과 동작상 연결되는데, 이 신호는 유닛(28)에 의해 상수 또는 주파수 의존 인자가 곱해진다. 신호 결합 유닛(46)에서, 처리 유닛의 출력 신호, 즉 신호(S3)가 변환기의 출력 신호의 상호 페이싱에 의존하여 생성되어 상수 또는 주파수 의존 인자가 곱해지고, 처리 유닛(40)의 제3 입력단에 공급되는 신호(S4)에 의존하는데, 신호(S4)는 변환기(2a, 2b)의 출력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존한다. 유닛(46)에서, 신호(S4) 및 유닛(28)에서 승산된 위상 신호에 따른, 신호(S3)의 의존성(F1)이 발생한다.The signal at the first input of the phase processing unit is operatively connected with the output of the phase difference detection unit, which is multiplied by a constant or frequency dependent factor by the unit 28. In the signal combining unit 46, the output signal of the processing unit, that is, the signal S 3 , is generated in dependence on the mutual pacing of the output signal of the converter so that the constant or frequency dependent factor is multiplied and the third of the processing unit 40. depends on the signal (S 4) which is supplied to an input terminal, a signal (S 4) is dependent on at least on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ducer (2a, 2b). In unit 46, a dependency F 1 of signal S 3 occurs, depending on the signal S 4 and the phase signal multiplied in unit 28.

도 7의 A1(ω)에 따르거나 도 8 및 도 9의 Akr,1...n1...n, θ)에 따른 신호(S3)는 도 7 내지 도 9의 유닛(23), 유닛(23') 또는 유닛(37)에 부합하는 빔-형성기 처리 유닛(48)의 입력이 된다. 빔-형성기 처리 유닛은 제2 입력단을 구비하는데, 이 입력단으로 변환기(2a, 2b)의 출력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는 신호(S5)가 공급된다. 따라서, 신호(S5)는, 블록(50)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듯이, "배타적 논리합" 또는 "논리곱" 조합으로 빔-형성기 처리 유닛(48)에 동작상 결합된다.The signal S 3 according to A 1 (ω) in FIG. 7 or according to A kr, 1 ... n1 ... n , θ) in FIGS. 8 and 9 is the unit of FIGS. 7 to 9. (23), the input of the beam-former processing unit 48 corresponding to the unit 23 'or unit 37. The beam-former processing unit has a second input, which is supplied with a signal S 5 which depends on at least one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transducers 2a, 2b. Thus, signal S 5 is operatively coupled to beam-former processing unit 48 in a "exclusive AND" or "logical" combination, as schematically illustrated by block 50.

도 11은 두 개의 음향/전기 변환기에 충돌하는 음향 신호의 단일 주파수(1 kHz)에서의,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에서 측정된 "로브" 또는 지향 특성(dB 단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장치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FIG. 11 shows the “lobe” or directivity characteristic (in dB) measured in the devic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FIG. 8 at a single frequency (1 kHz) of an acoustic signal impinging two acoustic / electrical transducers. . The specifications of this device are as follows.

변환기(2a, 2b) : 전방향성 마이크로폰, KNOWLES EK 7263Transducers (2a, 2b): omni-directional microphone, KNOWLES EK 7263

물리적 거리(Pp) : 12 mmPhysical distance (P p ): 12 mm

τ : 35 μsecτ: 35 μsec

c : 1 kHz 및 4 kHz에서 2c: 2 at 1 kHz and 4 kHz

결과가 되는 지향성 지수(index)는 "SPEECH COMMUNICATION 20 (1996), 229에서 240, Microphone array systems for hands-free telecommunication, Gary W. Elco"에 8.83으로 정의되어 있다.The resulting directivity index is defined as 8.83 in "SPEECH COMMUNICATION 20 (1996), 229 to 240, Microphone array systems for hands-free telecommunications, Gary W. Elco".

도 12는 도 11에 따른 측정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4 kHz의 단일 주파수의 음향 충돌 신호에 대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향성 지수는 7.98이 된다.FIG. 12 shows the results for an acoustic collision signal of a single frequency of 4 kHz in the device of the invention used for the measurement according to FIG. 11. The directivity index is 7.98.

도 8에 따른 처리로부터 2차 심장형을 따르는 지향 특성이 나온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종래에는 변환기(2a, 2b)와 같은 4개의 음향/전기 변환기를 이용해야 했으며, 각 변환기간의 물리적 거리는 24 mm였다. 따라서, 단 두 개만의 음향/전기 변환기를 채택하고 상호간의 거리를 12 mm만 둔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지향 특성 결과가, 마치 4개의 음향/전기 변환기를 사용하고 상호간의 거리가 24 mm인 경우의 결과와 다르지 않다.The treatment according to FIG. 8 results in a directivity characteristic along the secondary heart type. To realize this, conventionally, four acoustic / electrical transducers such as transducers 2a and 2b had to be used, and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each transducer was 24 mm. Therefore, the result of the directivity of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employing only two acoustic / electrical converters and only 12 mm apart from each other is as follows, using four acoustic / electrical converters and a distance of 24 mm from each other. The result is no different.

Claims (22)

트랜스듀서 유닛의 입력단에 동작상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를 입력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음향/전기 변환기 및 제2 음향/전기 변환기에 충돌하는 음향 신호가 오는 공간적 방향에 대한, 상기 전자 트랜스듀서 유닛의 전기 출력 신호의 의존성을 전자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으로서,For a spatial direction in which an acoustic signal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transducer unit and thereby impinging at least two first acoustic / electrical transducers and a second acoustic / electrical transducer for inputt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 method of electronically selecting a dependency of an electrical output signal of said electronic transducer unit, 상수 또는 주파수 의존 인자가 곱해지는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의 상호 페이싱에 의존하고, 더욱이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적어도 한 신호에 의존하는 제4 전기 신호에 의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At least depending on the mutual pacing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multiplied by a constant or frequency dependent factor, and further dependent on a fourth electrical signal depending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Generating one third electrical signal, 상기 제3 전기 신호에 의존하고, 또한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적어도 한 신호에 의존하는 제5 전기 신호에 의존하는 상기 트랜스듀서 유닛의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Genera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ducer unit that is dependent on the third electrical signal and also dependent on a fifth electrical signal that depends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신호 및 제2 전자 신호에 의존하는 신호로서의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as a signal dependent on the first electronic signal and the second electronic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신호 및 제2 전자 신호에 의존하는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is dependent on the first electronic signal and the second electronic signal. 제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되거나 조정 가능한, 심장형 의존성과 같은 상기 공간적 방향에 대한 의존성을 갖는 신호로서의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aid fourth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as a signal having a dependency on said spatial direction, such as cardiac dependence, predetermined or adjus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하나를 지연하고 지연된 신호를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다른 신호와 더함으로써,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by delaying one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nd adding the delayed signal to another signal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 중의 하나에 의존하는 상기 제5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5.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fth signal is dependent on one of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 모두에 의존하는 제5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5.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fth electrical signal is dependent on both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6.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장형 의존성과 같은, 미리 결정되거나 조정 가능한 의존성을 갖는 신호로서의 상기 제5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fth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as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or adjustable dependency, such as cardiac dependence. 9.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의 하나를 지연시키고, 이를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의 다른 신호와 더하여 상기 제5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7, or 8, wherein one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is delayed and added to another signal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5 How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전기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4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10. The method of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by generating the fifth electrical signal.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를 각각의 스펙트럼 형식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각각의 스펙트럼 요소의 상호 페이싱에 의존하고, 상기 인자가 곱해지고, 상기 제4 전기 신호에 의존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11.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are generated in respective spectral formats, and the mutual pacing of the respective spectral components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nd generate the at least one third electrical signal that is multiplied by the factor and is dependent on the fourth electrical signal.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파수에 반비례하는 상기 인자를 선택하는 방법.12. The method of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factor is selected in inverse proportion to frequency. 미리 결정된 물리적 거리를 두고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음향/전기 변환기를 포함하는 음향/전기 트랜스듀서 장치로서,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는 각각 제1 출력 신호와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변환기의 출력단은 전자 트랜스듀서 유닛에 동작상 연결되고, 상기 유닛은 상기 변환기의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에 의존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는 상기 변환기가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공간각에 의존하는 증폭 함수에 의하는 것으로서,An acoustic / electric transducer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acoustic / electrical transducers at a predetermined physical distance, the at least two transducers respectively generating a first output signal and a second output signal, the output end of the transducer being an electronic transformer. Operatively connected to a producer unit, the unit generates an output signal that depends o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signals of the transducer, by means of an amplification function dependent on the spatial angle at which the transducer receives the acoustic signal. As being, 자체의 입력단이 상기 변환기의 출력단에 동작상 연결되고, 자체의 출력단에서 위상차 의존 신호(phase difference-dependent signal)를 생성하는 위상차 검출 유닛과,A phase difference detection unit having its input terminal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verter and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dependent signal at its output terminal; 자체의 제1 입력단은 상기 위상차 검출 유닛의 출력단에 동작상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자체의 제2 입력단은 인자값 선택원에 동작상 연결되고, 자체의 제3 입력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의 출력단 중의 적어도 하나에 동작상 연결되고, 상기 제3 입력단에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입력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단에서의 신호에 따른 페이싱을 갖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처리 유닛과,Its first input is operatively connected to an output of the phase difference detection unit, at least one of its second inputs is operatively connected to a factor value selection source, and its third input is at least of the outputs of the at least two converters. A phase processing unit operatively connected to one, the phase processing unit generating an output signal having a pacing according to signals at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at least one second input terminal in accordance with a signal at the third input terminal; 적어도 두 개의 입력단을 구비하고, 제1 입력단은 상기 위상 처리 유닛의 출력단과 동작상 연결되고, 제2 입력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의 출력단 중의 적어도 하나에 동작상 연결되는 빔-형성기를 포함하는 장치.And a beam-former having at least two inputs, a first input being operatively connected to an output of the phase processing unit, and a second input being operative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outputs of the at least two transducer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값 선택원은 상수 또는 주파수 의존 신호값을 생성하는 것인 장치.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factor value selection source generates a constant or frequency dependent signal value.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처리 유닛의 상기 제3 입력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의 한 출력단에 동작상 연결되는 것인 장치.15. The apparatus of claim 13 or 14, wherein the third input of the phase processing unit is operatively connected to one output of the at least two transducers. 제13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처리 유닛의 상기 제3 입력단은 빔-형성기 유닛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빔-형성기 유닛의 입력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의 출력단에 동작상 연결되는 것인 장치.16. The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3 to 15, wherein the third input of the phase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an output of a beam-former unit, and the input of the beam-former unit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t least two transducers. The device to be connect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빔-형성기 유닛은 추가의 가산 유닛을 포함하는데, 가산 유닛의 한 입력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 중의 하나의 출력단에 동작상 연결되고, 다른 입력단은 시간-지연 유닛을 거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 중의 다른 하나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것인 장치.17. The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beam-forming unit includes an additional adding unit, wherein one input of the adding unit is operatively connected to an output of one of the at least two transducers, and the other input is via a time-delay unit. Device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other of the at least two transducers. 제13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형성기 처리 유닛의 상기 제2 입력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 중의 하나에 동작상 연결되는 것인 장치.18. The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3 to 17, wherein the second input of the beam-former processing unit is opera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at least two transducers. 제13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형성기 처리 유닛의 상기 제2 입력단은 가산 유닛의 출력단에 동작상 연결되고, 가산 유닛의 제1 입력단은 시간-지연 유닛을 거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 중의 하나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가산 유닛의 제2 입력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 중의 다른 하나의 출력단에 동작상 연결되는 것인 장치.19. The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3 to 18, wherein the second input end of the beam-former processing unit is operatively connected to an output end of an adding unit, wherein the first input end of the adding unit is at least via the time-delay unit. And a second input of the addition unit is operatively connected to an output of the other of the at least two converters. 제13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의 출력단들은 추가의 가산 유닛의 입력단들에 동작상 연결되는데, 그 중 하나는 시간-지연 유닛을 거치고, 상기 추가의 가산 유닛의 출력단은 상기 위상 처리 유닛의 제3 입력단 및 상기 빔-형성기 처리 유닛의 제2 입력단에 동작상 연결되는 것인장치.20.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9, wherein the output stages of the at least two transducers are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input stages of an additional adding unit, one of which goes through a time-delay unit and the further adding unit. And an output terminal of is operatively connected to a third input terminal of the phase processing unit and a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beam-former processing unit. 제13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의 출력은 각각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시간 영역-주파수 영역 변환 유닛(time domain to frequency domain transform units), 상기 위상차 검출 유닛, 상기 위상 처리 유닛 및 주파수 영역에서 동작하는 상기 빔-형성기 처리 유닛을 통해 생성되고, 상기 트랜스듀서 유닛의 출력은 주파수 영역-시간 영역 변환 유닛(frequency domain to time domain conversion unit)을 통해 생성되는 장치.20. The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3 to 19, wherein the outputs of the at least two converters are respective analog-to-digital converters, time domain to frequency domain transform units, and the phase difference detection unit. The apparatus is generated via the phase processing unit and the beam-former processing unit operating in the frequency domain, and the output of the transducer unit is generated through a frequency domain to time domain conversion unit. . 제13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간의 물리적 거리가 20 mm를 넘지 않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변환기를 가지는, 보청기가 되는 장치.22. Th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21, wherein said at least two transducers have a physical distance of no more than 20 mm from each other.
KR1020007000441A 1997-07-16 1998-07-14 Method for electronically selecting the dependency of an output signal from the spatial angle of acoustic signal impingement and hearing aid apparatus KR2001002187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112125.6 1997-07-16
EP97112125A EP0802699A3 (en) 1997-07-16 1997-07-16 Method for electronically enlarging the distance between two acoustical/electrical transducers and hearing aid apparatus
PCT/IB1998/001069 WO1999004598A1 (en) 1997-07-16 1998-07-14 Method for electronically selecting the dependency of an output signal from the spatial angle of acoustic signal impingement and hearing aid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877A true KR20010021877A (en) 2001-03-15

Family

ID=822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441A KR20010021877A (en) 1997-07-16 1998-07-14 Method for electronically selecting the dependency of an output signal from the spatial angle of acoustic signal impingement and hearing aid apparatus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2) EP0802699A3 (en)
JP (1) JP2001510975A (en)
KR (1) KR20010021877A (en)
CN (1) CN1267444A (en)
AT (1) ATE218025T1 (en)
AU (1) AU749652B2 (en)
CA (1) CA2296414C (en)
DE (1) DE69805526T2 (en)
DK (1) DK0997055T3 (en)
IL (1) IL133999A (en)
NZ (1) NZ502350A (en)
TR (1) TR200000119T2 (en)
WO (1) WO199900459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7856B1 (en) 1996-06-19 2006-01-17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Binaural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EP1118248B1 (en) 1998-09-29 2005-03-23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earing aid and method for processing microphone signals in a hearing aid
EP1035752A1 (en) 1999-03-05 2000-09-13 Phonak Ag Method for shaping the spatial reception amplification characteristic of a converter arrangement and converter arrangement
US6307901B1 (en) * 2000-04-24 2001-10-23 Motorola, Inc. Turbo decoder with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US7206423B1 (en) 2000-05-10 2007-04-17 Board Of Trustees Of University Of Illinois Intrabody communication for a hearing aid
WO2001087011A2 (en) * 2000-05-10 2001-11-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Interference suppression techniques
US6947570B2 (en) 2001-04-18 2005-09-20 Phonak Ag Method for analyzing an acoustical environment and a system to do so
US7502479B2 (en) 2001-04-18 2009-03-10 Phonak Ag Method for analyzing an acoustical environment and a system to do so
US7274794B1 (en) 2001-08-10 2007-09-25 Sonic Innovations, Inc. Sound processing system including forward filter that exhibits arbitrary directivity and gradient response in single wave sound environment
CA2420989C (en) * 2002-03-08 2006-12-05 Gennum Corporation Low-noise directional microphone system
US8027495B2 (en) 2003-03-07 2011-09-27 Phonak Ag Binaural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ring device system
EP1320281B1 (en) 2003-03-07 2013-08-07 Phonak Ag Binaural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hearing device
US20040175008A1 (en) 2003-03-07 2004-09-09 Hans-Ueli Roeck Method for producing control signals, method of controlling signal and a hearing device
DK1326478T3 (en) 2003-03-07 2014-12-08 Phonak Ag Method for producing control signals and binaural hearing device system
US7945064B2 (en) 2003-04-09 2011-05-17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Intrabody communication with ultrasound
DE10331956C5 (en) 2003-07-16 2010-11-18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earing aid and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aid with a microphone system, in which different Richtcharaktistiken are adjustable
US8275147B2 (en) 2004-05-05 2012-09-2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elective shaping of communication signals
EP1513371B1 (en) 2004-10-19 2012-08-15 Phonak Ag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 hearing device
US7619563B2 (en) 2005-08-26 2009-11-17 Step Communications Corporation Beam former using phase difference enhancement
US7472041B2 (en) * 2005-08-26 2008-12-30 Step Communicatio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device and/or signal mismatch in a sensor array
US7415372B2 (en) 2005-08-26 2008-08-19 Step Communicatio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noise discrimination in multiple sensor pairs
DE102006049870B4 (en) * 2006-10-23 2016-05-19 Sivantos Gmbh Differential directional microphone system and hearing aid with such a differential directional microphone system
US8103030B2 (en) 2006-10-23 2012-01-24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Differential directional microphone system and hearing aid device with such a differential directional microphone system
WO2008061534A1 (en) 2006-11-24 2008-05-29 Rasmussen Digital Aps Signal processing using spatial filter
ATE540536T1 (en) * 2007-11-13 2012-01-15 Akg Acoustics Gmbh MICROPHONE ARRANGEMENT
DE602007012600D1 (en) 2007-11-13 2011-03-31 Akg Acoustics Gmbh MICROPHONE ARRANGEMENT THAT HAS TWO PRESSURE GRADIENT CONVERTERS
WO2009105793A1 (en) 2008-02-26 2009-09-03 Akg Acoustics Gmbh Transducer assembly
JP2010124370A (en) * 2008-11-21 2010-06-03 Fujitsu Ltd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program
US8442246B2 (en) 2009-04-28 2013-05-14 Panasonic Corporation Hearing aid device and hearing aid method
JP5272920B2 (en) * 2009-06-23 2013-08-28 富士通株式会社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program
JP5368272B2 (en) * 2009-11-20 2013-12-18 ジェイ・アール・シー特機株式会社 Acoustic signal processing device
JP5493850B2 (en) * 2009-12-28 2014-05-14 富士通株式会社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icrophone array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program
GB2575491A (en) * 2018-07-12 2020-01-15 Centricam Tech Limited A microphon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1738A (en) * 1984-11-29 1988-06-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Directional hearing aid
JPH0579899A (en) * 1991-09-24 1993-03-30 Ono Sokki Co Ltd Acoustic intensity measuring apparatus
FR2687496B1 (en) * 1992-02-18 1994-04-01 Alcatel Radiotelephone METHOD FOR REDUCING ACOUSTIC NOISE IN A SPEAKING SIGNAL.
US5473701A (en) * 1993-11-05 1995-12-05 At&T Corp. Adaptive microphone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2699A3 (en) 1998-02-25
IL133999A0 (en) 2001-04-30
IL133999A (en) 2004-03-28
EP0802699A2 (en) 1997-10-22
WO1999004598A1 (en) 1999-01-28
JP2001510975A (en) 2001-08-07
EP0997055A1 (en) 2000-05-03
CA2296414C (en) 2005-03-15
AU749652B2 (en) 2002-06-27
CN1267444A (en) 2000-09-20
DK0997055T3 (en) 2002-07-22
EP0997055B1 (en) 2002-05-22
DE69805526D1 (en) 2002-06-27
AU7928198A (en) 1999-02-10
ATE218025T1 (en) 2002-06-15
DE69805526T2 (en) 2002-11-28
NZ502350A (en) 2002-10-25
TR200000119T2 (en) 2000-05-22
CA2296414A1 (en) 199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1877A (en) Method for electronically selecting the dependency of an output signal from the spatial angle of acoustic signal impingement and hearing aid apparatus
EP1005783B1 (en) A method for electronically beam forming acoustical signals and acoustical sensor apparatus
US6766029B1 (en) Method for electronically selecting the dependency of an output signal from the spatial angle of acoustic signal impingement and hearing aid apparatus
CA2407855C (en) Interference suppression techniques
JP4732483B2 (en) Directional audio signal processing using oversampled filter banks
US68362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ignal being emitted from a target signal source into a noisy environment
US7409068B2 (en) Low-noise directional microphone system
EP1159853B1 (en) Method for shaping the spatial reception amplification characteristic of a converter arrangement and converter arrangement
KR20040004552A (en) Solid angle cross-talk cancellation for beamforming arrays
US11070923B2 (en) Method for directional signal processing for a hearing aid and hearing system
Peterson Adaptive array processing for multiple microphone hearing aids
US6603861B1 (en) Method for electronically beam forming acoustical signals and acoustical sensor apparatus
EP1827058A1 (en) Hearing device providing smooth transition between operational modes of a hearing aid
Neo et al. Robust microphone arrays using subband adaptive filters
US6865275B1 (en) Method to determine the transfer characteristic of a microphone system, and microphone system
US20230026692A1 (en) A hearing aid and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aid
US20240015451A1 (en) Method for directional signal processing for a hearing instrument
Zhang et al. Tracking direction of speaker for microphone array in the far field
CN117356110A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system
ULTRA et al. email address:{echau, hsheikh, rbrennan, tschneid}@ dspfactory. com
Gannot et al. Microphone Array Speech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