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014A - 자기 세척 방광 배뇨 수단 - Google Patents

자기 세척 방광 배뇨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014A
KR20010021014A KR1020000034361A KR20000034361A KR20010021014A KR 20010021014 A KR20010021014 A KR 20010021014A KR 1020000034361 A KR1020000034361 A KR 1020000034361A KR 20000034361 A KR20000034361 A KR 20000034361A KR 20010021014 A KR20010021014 A KR 20010021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flexible
urethra
self
tu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혼클라우드
Original Assignee
티혼 클라우드
콘티케어 메디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313,083 external-priority patent/US6743198B1/en
Application filed by 티혼 클라우드, 콘티케어 메디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혼 클라우드
Publication of KR2001002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0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61M27/008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pre-shaped, for use in the urethral or ureteral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7Urethr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19Cleaning catheters or the like, e.g. for reuse of the device, for avoiding repla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배뇨관은 깊은 외측 방출통로, 낮은 외양의 방광 보유단편과 가역적으로 탈착가능한 수집단편을 가지고 방광에서 뇨와 유체의 배출을 실행한다. 낮은 외양의 보유수단은 방광자극을 감소시키고 깊은 외측통로는 감염발생을 감소시킨다. 카테테르에 감소된 직경의 가요성단부는 외측 요도 괄약근의 위치에 인접하여 환자가 정상적인 방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가요성 단편크기를 수정시켜 뇨누수를 조절할수 있는 기능저하된 괄약근을 도운다. 배관은 요도내에 숨겨지도록 착용할수 있다. 정상적인 세척작용은 요도에 입자를 씻어내고 숨겨진 배관은 오염을 최소화한다. 동시에 이와 같은 특징은 카테테르가 필요한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 시킨다.

Description

자기 세척 방광 배뇨 수단{SELF-CLEANSING BLADDER DRAINAGE DEVICE}
본 출원은 "자기 세척 방광배뇨 수단"라는 제목하에서 1997년 10월 29일 제출된 미국특허출원 제 08/ 960, 136호(현 포기), 1995년 12월 26일 제출된 미국특허출원 제 08/ 579, 592호 (현 미국특허 제 5, 738, 654호), 1995년 3월 20일 제출된 미국특허출원 제 08/ 407, 297호(현 미국특허 제 5, 562, 622호)의 CIP (contiuation-in-part)출원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체 액체 배출수단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개선된 기능특성을 가지는 비뇨기 배뇨관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광 배뇨를 위해 사용되는 폴리 도뇨관과 같은 요도 도뇨관은 필수적으로 중앙 관강(lumen)을 통하여 뇨를 배뇨하기 위하여 요도내에 위치한 원통형의 구조로 연장되어 있다.
팽창될 때 방광내에 도뇨관이 적절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팽창가능한 기구가 튜브의 단부근처에 있다. 그 인접한 끝은 배뇨구와 기구 팽창구를 가지고 있다.
도뇨관의 인접한 단부는 그 요도의 구멍의 위로 돌출하고 그 방광으로부터 가까이 끊임없이 뚝뚝 떨어지는 뇨의 수집을 위한 백 리셉터클에 부착될 수 있다.
환자가 보행할 때 상기 수집 용기는 또한 환자의 다리에 부착되고 또는 침대에서 쉴 때에는 그 침대의 옆에 부착된다.
때때로, 플러그는 그 도뇨관 단부으로부터 뇨가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리셉터클에 사용된다. 폴리(Foley) 도뇨관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사용되면 그들이 원할 때 환자가 방뇨할 수 없게된다.
뇨는 연장된 관의 그리고, 그 수집 용기 안에 중심의 루우멘을 통해 방광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배뇨된다.
그러므로, 보행하는 환자는 용기를 그들의 다리에 붙여지게 해야한다. 그리고 이것은 크게 불편하고 그들의 생활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추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뇨가 그 방광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배뇨되고 있기 때문에, 그 방광은 연속적으로 거의 비어있다. 따라서, 방광의 돔은 폴리 카테테르의 물이 채워진 부푼 기구 보유기소에 있게되어 조직이 압박을 받게되고, 자극과 침식등의 심각한 관련 부작용의 원인이 된다. 또는 증가된 요기관 감염은 만성 상태에서 이와 같은 카테테르를 사용하는 환자에 통상적으로 있게된다. 원인 인자가 정확하게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카테테르 착용의 시간길이는 박테리아가 요도관을 따라 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요도관의 감염의 심각성과 빈도에 연관이 있다. 주로 세균을 포함하는 흔히 노랑색 껍질의 점막 단백질성 침착물이 카테테르의 표면에서 내측관강면에 고농도로 있음을 발견하였다. 뇨 리셉터클의 사용으로 오염된 옷, 가구, 냄새의 원인이 된다.
스피노자의 특허 3,815,608 에서는 일반적인 폴리 노카테테르로 뇨방광내에 배관구멍(56)이 있는 카테테르의 말단부를 보유하기 위한 팽창가능한 기구(64)를 가진다고 설명한다(도 9). 스피노자의 도 6과 7 도에 상술된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팽창가능한 기구의 위치에 보유수단으로써 사선형 가는부분을 이용하는 뇨카테테르에 대해 설명한다. 이 수단은 나선형실(44) 사이에 있는 통로가 "전립선에서 방출되는 삼출물"의 배출을 허용하는 동안에 뇨통로로써 중앙 관강(46)에 있게된다.
본 발명은 배뇨 카테테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통상의 요도 감염의 기회를 상당히 감소시킴으로써 관련된 압박과 자극을 해결함으로써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해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깊고 개방된 유체-배관통로와 이의 단부에 낮은 외향의 방광 보유수단을 가지는 방광배관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외부 요도 괄약근 부위에 기본적으로 유연한 적절하게는 좁아진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뇨는 개방표면 통로를 경유하여 방광에서 배출된다. 좁아진 가요성단부는 외부 뇨괄약근이 방광에서 요도의 하부로의 뇨방출을 통상적으로 차단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배수통로는 외부 괄약근 아래에 다시 나타난다. 괄약근이 열릴때 뇨와 액체는 가요성의 좁아진 배관부분에 있는 완화된 괄약근 부위로 흘러가서 아래에 깊은 표면의 배관통로로 향한다. 폴리형 카테테르와 스피노자 '608 특허의 상황과는 달리 뇨는 배관 카테테르의 내측관강을 통하여 방광에서 누수형식으로 지속적으로 배출되고 본 발명의 바로 이특징이 환자가 원할때 통상의 방식으로 상당량을 배출할때까지 방광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뇨를 밀어냄으로써 뇨와 통로벽에서 자연적이고 매일 여러회 자동적인 씻어냄으로써 본 발명의 방광배관은 미국특허 4,723,946 와 같은 추가의 외부 가압수세 장비수단 또는 다른 추가단계없이 자가-세척이 된다.
가요성 단부없이 본 발명의 수단은 일정한 뇨배관이 요구되는 환자에 착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은 방광자극을 감소시키는 낮은 외관의 보유수단의 잇점을 가지고 깊은 외측 배관통로는 세균 콜로니화와 관강내 다른 오염물과의 콜로니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요도벽과 뇨흐름이 접촉하게 되어 감염의 가능성을 적게한다.
외부 요도 괄약근부분에서 좁은 가요성 단편의 존재는 외부 요도 괄약근의 자연적 수축이 괄약근의 정상기능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단부인경과 음경요도에서 종료되게한다. 따라서 환자는 자신의 배출빈도를 조절할수 있다. 이는 외부 뇨배출 수집용 다리백의 필요성없이 보행환자에 착용될수 있다.
요실금으로 고통받는 환자는 나이와 다른 요인에 따라 외부 뇨괄약근의 수축의 상이한 정도를 가진다. 외부홈이 있는 배관기소의 길이를 따라 재배치될 수 있는 가요성 표면부분을 제공하고 이의 외직경은 선택될 수 있어 다양한 환자에게 추천할수 있다.
방광내에 위치하는 배관수단의 말단부는 방광목에 이를 보유 하는 보유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배관수단의 중앙관강에는 직선탐침에 의해 요도 삽입용 유연하고 깊은 개방통로의 배관 수단의 코일부분이 위치한다. 배관위치후에 와이어의 제거는 고리모양을 복원하게된다. 낮은 외양의 보유수단이 배관단편의 연장이기 때문에 기구가 필요없고 뇨의 통로를 위해 측부구멍이 있는 직립 상측돌출 튜브의 필요성도 없다. 보유수단은 보출요도내에 배출을 보장하기 위해 가요성 좁아진 부분에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요도에 존재하기전에 깊은통로는 통상의 튜브구조에 대체되고 수집단편은 요도에 존재하도록 진행된다. 이와 같은 수집단편은 전술한 깊은 외부통로에서 유체를 모아 음경관을 지나 수송하여 전단부의 뇨배출 수집가방 또는 플러그에 부착을 허용한다. 튜브형 수집단편은 통로형 주배관체에서 떼어낼수 있고 따라서 전체적인 배관수단은 요도내부에 숨겨지게 된다. 이는 외부오염으로부터 감염을 최소화하게 하고 외부수단 존재로 인한 미적인 불쾌감과 불편함을 제거한다.
남녀에서 요도시스템의 해부학적 차이로 인해 특히 여성요도의 길이가 짧은 모양에서 여성환자의 배관수단은 적절하게는 이의 전단부에 편평한 코일 방광 보유수단을 가지는 부드럽고 유연한 플라스틱체로 이의 전단부에는 이에 상응하는 보유수단이 있어 수단이 방광쪽으로 상향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전단 보유수단은 요도구멍의 전정 전단부에 상응하는 모양이 된다. 적절하게는 아래조직이 공기에 노출되도록 개방구조 또는 천공된 구조가 된다.
여성의 뇨실금을 겨냥해서 환자에 맞게 선택된 크기의 커프 기소가 요도괄약근과 공조하기 위해 배관기소 주변에 위치시켜 괄약근이 요의 흐름을 차단하는 커프에 대해 밀봉을 개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광배관 카테테르가 필요한 환자의 ??의 질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광배관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도 1의 방광 배관의 부분도면이나 또 다른 고정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광배관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남성요도에 삽입되는 도 2의 실시예이다.;
도 4는 방광배관 일부의 부분확대사시도로 2개의 직쇄 표면홈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5는 나선표면홈을 설명하는 방광배관의 단편 확대된 사시도이고;
도 6은 길이로 이어진 4개 표면홈을 가지는 방광배관의 몸체일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길이를 따라 이어진 세개표면홈을 가지는 방광배관의 몸체를 통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고정된 배치가능한 가요성 슬리브 단편을 가지는 방광배관의 몸체의 확대단 도 9는 도 1 또는 2 도의 실시예의 부분단편으로 홈이 있는 방광배관 기소의 이의 연관수집단편을 나타낸다.;
도 9(a)는 직쇄(비-나선) 표면홈을 가지는 배관기소의 확대 단면과 이와 같이 사용되는 수득튜브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7의 배관단편의 확대, 부분사시도와 이에 결합된 보유링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1의 모양을 가지는 배관수단의 부분측면 사시도로 이는 또다른 배관 보유특징을 설명한다.;
도 12는 여자요도에 위치시키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도 12의 수단을 설명하는데, 또 다른 모양의 전단부 보유수단을 가진다.;
도 14는 실금증상이 있는 여성을 치료할 때 커프기소와 도 12 또는 13 도의 수단을 설명한다.;
도 15 a, b, c는 도 12에서 설명하는 커프기소의 또 다른 모양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방광 배관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에를 도시한다.
도 17은 직업적인 의사에 의해 사용되기 위해 포장된 도 16의 방광 배관을 도시한다.
도 18은 직립으로 배치된 도 17의 배관을 도시한다.
도 19는 배관 및 수집 튜브로부터 제거된 도 18의 수직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방광 배관 수단을 이한 선택적인 테더(tether)를 도시한다.
도 21은 전립선과 협동하기 위한 확대된 배관 단편을 가지는 배뇨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도 16의 방광 배관과 함께 사용되는 이동방지 수단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선택적인 이동방지수단의 특성을 도시한다.
도 24는 선택적인 방광 보유구조를 달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방광 배관의 선택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방광 배관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27은 도 26의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1에서 도시된 것의 변형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서 선 29-29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 부호설명
10,30 ... 방광 배관수단 12 ... 튜브기소
14 ... 전단부 16 ... 말단부
18 ... 관강 20 ... 통로
22 ... 방광 보유수단 24 ... 유체 수집단편
25 ... 단사선 28 ... 개방말단부
32 ... 좁아진 가요성단편 34 ... 방광
35,36 ... 쇼울더 38 ... 요도 괄약근
39 ... 실리콘기구 78: 배관몸체
80: 인접단부 82: 말단부
84: 채널 86: 테이퍼
90: 컬 92: 스트랜드
95: 루프 98: 허브
106: 고리 108,110,112: 고리
114: 베이스 116: 구멍
130: 보유수단 134: 배뇨관
140,142: 그루브 144: 보유수단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방광 배관수단(10)의 사시도이다. 이는 전단부(14)와 말단부(16)를 가지는 원통형 유연한 튜브기소(12)와 종축으로 이어진 그러나 말단부(16)까지는 이어지지 않는 스타일릿 수용관강(1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말단부(16)는 본 발명의 배관수단(10)가 환자의 요도에 위치할때 체액의 흐름을 막는 스타일릿 관강을 덮고있다.
도 1에서 배관수단(10)의 몸체(12)는 이의 표면에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로(20)를 포함하는데 이는 전단부(14)에서 말단부(16)로 전길이로 이어진다. 도 1에서 통로(12)는 배관체(12)를 가로지르는 나사모양을 하고 있으나 통로는 직선모양일 수도 있다. 여기에 한정시킴이 없이 배관수단은 0.21 인치의 외직경을 가지고 나선형 통로(20)는 약 0.06 인치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몸체는 실리콘, 실라스틱, 폴리우레탄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물질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30 내지 95 쇼어 A 사이의 경도계 쇼어 강도를 가지는 또 다른 열가소성 탄성체로 만들어질수도 있다.
방광 배관수단의 말단부에 근접하게 방광 보유단편(22)이 배치 되는데, 관강(18)을 통하여 와이어 스타일릿의 완전한 삽입에 의해서 직선으로 될수 있는 구부러진 단부부분을 가지게된다. 그러나 도 1에서와 같이 스타일릿을 완전히 빼내고, 방광내에 말단부의 요도로 배관 어셈블리를 삽입하면 배관수단(10)의 말단부로 구성된 플라스틱의 기억형상으로 미리 형성된 말단부 방광 보유부분(22)이 설명한 것과 같이 루프 또는 고리를 형성한다. 본 기술에 숙지된자는 배관수단의 말단부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제어된 메모리성 이외의 다른수단을 이용할수도 있다. 미리 성형된 모양을 가지는 짧은 와이어 단편을 배관체에 끼워넣어 스타일릿의 배출시에 고리형성을 강화할 수도 있다.
방광 배관수단(10)의 전단부에는 유체수집단편(24)이 부착되어 있다. 유체수집단편(24)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배관단편 (24)에서 착탈시킬 수 있다. 가장 단순한 형에서, 수집단편(24)은 배관단편(10)의 전단부(14)에서 배출구를 형성하는 개방 말단부(28)로 이어진 내부관강을 가지는 원통형 플라스틱 튜브로 구성된다. 수집단편(24)은 배관백 또는 플러그(나타내지 않음)을 수용할 수 있다.
배출제거를 실행하기 위해 단사 나일론 실(24)와 같은 실을 배관(12)의 전단부(14)에 고정시키고, 수집단편(24)의 전단부(28)를 지나 이어지고 음경에서 요도구멍을 지나게 되어있다. 루프(27)에 의해 단사선(25)을 쥐고 라인을 당기면 고정기소(22)의 기억성향을 극복하고 배관은 요도를 통하여 페니스 단부밖으로 당겨질수 있다. 필요한 경우 선(25)은 수집단편 (24)의 전단부(28) 보다 짧게 종료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후크를 가지는 기구는 수집단편(24)의 관강을 통과하여 라인에 묶인 루프(29)를 잡게된다. 이 기구에서 당김으로써 배관기소(12)는 다시 제거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의 어셈블리는 거의 도 1의 것과 유사한데 단 도 2의 배관수단에서 튜브기소(12)에는 요도의 외부 괄약근과 공조하기 위한 좁아진 가요성(통로는 아님) 단편(32)을 포함한다. 단편(32)의 말단에는 가늘어지는 쇼울더(35)와 전단에는 사각의 쇼울더(36)가 있다. 단편(32)의 길이는 0.5 내지 5.0cm 이고 이의 외경은 0.1 내지 2.0cm 이다.
다음 3 도를 참고하면, 남성요도에 배치되는 도 2의 실시예인 방광 배출수단(30)를 볼 수 있다. 방광(34) 목부근에 방광 보유부(32)가 위치하고 내장 스타일릿(나타내지 않음)을 완전히 제거하면 방광 보유부분은 이의 편평한 나선모양으로 배출수단을 보유하게 된다. 가는 쇼울더(34) 위에 위치한 배출수단(30)의 부분은 외부요도 괄약근(38)을 통하여 이어진 감소된 직경을 가지는 부위(32)와 전립선(36)을 가로지르는 크기가 된다. 필요한 경우, 선 또는 단사(25)가 도 2의 배출수단과 같이 당겨져서 배관수단의 제거동안에 인장력이 적용되는동안 수단이 (32) 지역에서 펴지는 것을 막는다.
보유기소로 구성된 나선고리(22)는 필수적으로 배관의 축 길이에 수직이고 방광바닥 위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의 낮고 편평한 외양은 액체로 채워진 수단에 의해 보유되는 통상의 폴리 카테테르와 본 발명을 구별지우는데 이는 미국특허 4,738,667 (Galloway)에서의 수단와도 구별되어진다. Galloway 수단에서 외측 방패를 제거하는 것과 비교할 때 직선 스타일릿의 제거는 환자의 요도벽에 자극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외부 직선 슬리브를 이용하는 디자인과는 대조적으로 내측직선 와이어의 이용으로 배관의 주어진 외경에 대해 더 깊은 배관통로를 존재하게 한다. 방광 보유 단편은 배관으로 구성된 몸체기소(12)의 말단부에서 나선 또는 고리로써 표현되는데 이는 튜브형몸체(12)의 외부에 부착되는 팽창가능한 기구와 팽창관강을 선도하는 기구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통한 소통이 폴리 카테테르에 통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방출을 고정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열은 도 1a에서 실리콘기구(39)로 볼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도 3에서와 같이, 방광에서 비어있는 통로의 배관단편(30)의 외벽에 형성된 통로(20)를 통하여 요수집 튜브(24)의 관강으로 요가 지속적으로 흐르게된다. 기능성 외부 요도 괄약근(38)을 가지는 환자에서 배관의 지역(32)에서 요도에 가해지는 압력은 이 단편에 대해 요도가 닫히게 하고 따라서 요의 흐름이 차단된다. 환자가 그 방광에서 배출을 원하는 경우에, 환자는 자발적으로 외부요도 괄약근(38)을 이완시켜 방광(34)의 내용물이 배관수단(30)의 벽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흐르게 하고 수집백(나타내지 않음)으로 이어지는 뇨 수집튜브(24)쪽으로 다시 비어 있게된다.
도 3 내지 7 도에서는 도 1과 2 도에서 각각 설명된 배출단편(10)(30)의 모양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서 배출기소(12)에는 서로 직경으로 마주하고 배관단편의 전체길이를 통해 이어져 있는 2개 직선종축통로(40)(42)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7 에서는 스타일릿 관강(18)을 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표면홈(20)은 도 1과 2 도에서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나선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나선모양은 냉각 전에 압출공정 동안에 단편(12)을 꼬음으로써 직조과정동안에 형성될 수도 있다. 꼬임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통로의 꼬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형태의 직선통로가 배관단편에 제공될 수 있는데 배관의 외측면에 측부돌출이 요도의 축길이를 따라 배출의 이동을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요도벽과 접촉하여 불필요한 요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나선형 통로모양이 적절하다. 통로의 측벽은 44 위치에서 잘라내거나 또는 접시형 모양을 나는데 이는 요도의 자극을 저해하고 통로로의 요도벽 조직의 침입을 저해하게 된다.
도 6과 7 도는 각각 배관의 단편을 나타내는데 각각 4개와 3개통로가 길이로 이어져 있다.
도 8의 단면을 참고하면, 주어진 환자의 외부요도 괄약근과 공조하기 위해 배관기소(12)의 길이를 따라 가요성 단편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45 에서 길이가 짧은 튜브를 제공하는데 홈이파진 배출기소(12)의 외측표면의 모양에 상응하는 측벽이 있는 내부관강을 가진다. 따라서 튜브(45)의 가요성 부분은 뇨 괄약근이 환자에 위치할 때 배출체를 따라 그 위치를 종축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거가능하고 재배치시킬 수 있는 가요성 튜브단편 (45)의 외측직경은 환자의 뇨 괄약근의 특정수축을 조정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이는 통상적으로 0.3cm 내지 1.0cm 범위가 될수 있다.
여성배뇨관에 가요성 튜브기소(45)는 배출기소(12)를 에워싼 팽창가능한 슬리브로 구성된다(도 1). 이는 여성 요실금 환자의 경우에 유익한데 슬리브는 팽창가능한 슬리브와 방광목 사이에 누수를 차단하고 괄약근 결손을 보상하기 위해 위치 시킨다음에 팽창될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방광배관의 확대된 부분단면으로 유체수집 튜브 (24)는 홈이있는 배관기소(12)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배관기소(12)의 전단부(14)에는 좁아진 목(46)과 이어서 확장된 단부(48)가 있다. 유체수집튜브(26)는 좁아진 목(46)을 가지기 위해 단부부분(48) 위로 고정되기에 적합한 상보적인 외양(50)을 가진다. 요도의 내벽과 배관 사이의 통로(20)를 따라 요의 통과는 수집튜브의 관강(26)내로 통로로 이어져서 이의 전단부(28)로 흘러나가게 되는데 이는 도 1의 실시예가 이용되거나 또는 도 2 또는 도 8의 실시예가 이용된다. 가요성 플라스틱 수집튜브 (26)의 제거는 전단방향으로 튜브(26)를 당기면 되는데 이와 동시에 배관단편(12)의 유지를 위해 안정화 누름막대(52)를 이용하게된다. 수집튜브(26)의 제거후에 배관수단은 전적으로 요도관내에 포함 된다.
도 9(a)에서는 배관기소(12)의 확대된 부분단면을 나타내는데,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직선(나선이 아님) 홈을 가지고 관련 수집튜브에 배관몸체를 연결시키기 위해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배관몸체(12)는 도 7에서 볼수 있는 것과 같이 직선의 나란한 다수의 홈을 가지도록 주형될 수 있다. 배관(12)의 전단부 주변에는 인접홈에 의해 서로 떨어진 배관몸체의 돌출부 외측에 고정된 링기소(53)가 있다. 뇨의 흐름을 더 잘 집중시켜 흐르게 하기 위해 배관체의 중앙부는 잘라내고 링(53)의 예정된 길이의 단부지역에 있는 돌출부만 남겨둔다. 수집튜브(24)에는 내측 환상홈(55)를 포함하는데 이는 링(53)이 삽입되기에 맞도록 된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중앙 또는 코어부분에는 없는 배관체에 돌출부는 수집튜브의 관강(57)내에 위치하게되고 따라서 배관체의 종축홈 아래로 혈류의 흐름방향이 수집튜브의 관강(57)으로 흐르게 한다.
수집튜브의 중앙관강쪽으로 이길을 찾기위한 유체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집튜브의 벽을 통하여 59 위치에 있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적절한데 구멍(59)의 크기는 수집튜브(24)의 말단부 쪽 보다 약간 크고 큰구멍(51) 보다 더 근접한 위치 (61)에서는 더 작은 크기가 된다.
본 기술에 숙지된 자는 도 9의 전술한 실시예를 이해하면 배관수단(12)에서 플라스틱 수집튜브(26)를 떼내는 기술을 도 9(a)에서는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내지 7 에서 직선통로를 가지는 배출수단의 이동방지를 돕기위해 도 10에서 54 와 같은 종축으로 일정공간에 있는 일련의 링이 예정된 간격으로 배출관(12) 주변에 위치하게 된다. 링들은 적절하게는 평편하고 배출관(12)에 적절히 결합된다. 요도의 내벽조직은 링의 반대측에 통로(40,42)에 끼워져 배관 어셈블리의 종축이동을 막는다. 링(54)은 폭 2mm 두께 1mm 가 될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 2에 32 에서와 같이 배출체(12) 길이를 따라 서로 약 1cm 떨어지게 위치한다. 이는 요도 괄약근과 공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관수단의 길이를 따라 링(54)을 제공함으로써 관강(18)을 수용하는 중심 스타일릿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스타일렛은 표면통로(40)(42)중 하나에서 끌어내고 이는 링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또 다른 고정배열을 나타낸다. 배관몸체에 대해 이어진 떨어져 있는 링과 결합하는 대신에, 배출관(12)와 수집튜브(24) 사이에 결합에 근접하게 측면 돌출틴(56)이 위치한다. 틴(56)은 뇨방광쪽으로 말단방향에 배관 어셈블리의 이동을 막기위해 요도의 내벽에 연결되게한다. 배관을 제거하고자 할 때 선(25)에 제공되는 힘(도 1)은 틴(56)이 튜브몸체(12)의 벽과 함께 배열이 편향되게 하여 전단부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해 저항을 없게한다. 틴(56)은 배관체(12)로 구성된 탄성체 재질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틴은 수집튜브(24')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서 56 위치에 틴을 제공하는 대신에 보유수단이 배관체(12)의 돌출부에 형성된 볼록한 돌출부(나타내지 않음)형을 취할수도 있다.
도 12 내지 14 에서는 뇨실금의 해결을 위해 여성요도내로 삽입할 수 있는 또다른 수단의 모양을 나타낸다. 이는 한실시예로써 길이를 따라 표면 통로가 없는 원통형 유연한 플라스틱 막대로 구성된다. 이의 상측단부에는 요도방광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보유단편(60)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보유수단(60)의 고리를 주기적으로 직선으로 하기 위해 구멍(62)을 통하여 적절한 스타일릿을 삽입함으로써 강화되고 이로써 요도구멍으로 이의 삽입이 가능하다. 수단(58)가 충분히 요도쪽으로 진행되면, 보유수단(60)을 형성하는 수단의 단편은 요도방광에 있게되고 스타일릿의 제거시에 수단(58)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억형상이 설명한 것과 같이 보유수단이 편평한 나선모양이 다시 되도록 한다.
착용했을 때와 같이, 수단의 상측이동을 막기위해 전단부 보유단편(64)을 가지게하는데 도 12에서는 몸체부(66)에 대해 예정된 각을 가지는 면에서 편평한 링-모양 단편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전정에 접하고 음순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단은 정상적인 성관계동안에도 환자 내에 남아있을 수 있다.
보유수단을 만들기 위해 도 12의 60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한 나선으로 배출부(66)의 전단부를 형성하는 대신에 배출체 주변에 위치한 별도의 닫힌링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적절한 가요성 플라스틱에 의해 만들어진 연결 스포크에 의해 고정된다. 이는 도 12에서 설명하고 있다.
도 12에서 68 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원통형 직선단부(66)가 하측보유부(64) 아래에 하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수단(58)을 미리 형성한다. 표면장력 효과 때문에 뇨의 흐름은 직선부분(66)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고 이는 적절한 뇨흐름이 요도를 떠나게 한다.
도 13의 실시예는 도 12의 것과 유사한데 도 12의 전단보유링(64)은 매우 유연한 타원모양의 플라스틱판(70)으로 대체되는데 두께를 통하여 이어져 있는 서로 근접한 구멍(72)을 가지는 천공된 플라스틱 재질 때문에 공기의 흐름을 통과시킬 수 있다. 다시 공기 침투 보유기소 디스크(70)은 전정에 있는 요도구멍 주변에 근접한 몸체의 모양에 상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다. 몸체기소(66)의 전단부는 보유기소(70) 아래로 이어져 있고 이는 웨브(73)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는 수단에 있는 뇨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쉬트(70)에 있는 큰 원형구멍을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도 13의 실시예에서 보유부(60)의 중량은 감소된다. 여기 에서 단지 고리부분은 튜브형으로 만들어지고 이는 고리벽을 통하여 이의 관강으로 이어진 다수의 구멍(61)에 의해 천공되어 있다. 이는 방광에 외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실금 조절수단(58)는 여성의 요도 괄약근에 근접하여 요도모양에 상응하고 도 12와 13 도의 수단의 직선 자루부분(66)에 고정위치된 적절한 크기의 커프 기소(74)를 포함한다. 여성에게 수단을 고정시키는 비뇨기과 의사는 괄약근이 수축될때 효과적인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괄약근과 공조할 수 있는 커프기소(74)의 크기와 모양을 결정할 수 있다. 커프(74)는 수단로 구성된 플라스틱 막대(66)와 이의 보유기소(60)가 구멍을 통하여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종축구멍을 포함한다. 또는, 커프기소(74)는 측벽을 통하여 중앙구멍으로 이어지는 미세슬릿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수단에 커프기소를 퍼지게 하고 이를 직선기소(66)에 고정시킴으로써 수단(58)에서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커프기소의 방출하면 축(66)에 이를 근접하게 된다.
도 15a,b,c 에서는 커프기소(74)의 또 다른 모양을 설명하는데 비뇨기의사는 요도 괄약근이 수축할 때 최상의 요도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a 의 커프는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이다. 반대단부쪽으로 가늘어져서 수단(58)를 따라 요도에 삽입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도 15b 는 2개 큰 반대단부 사이에 있는 좁아진 지역과 괄약근이 공조하기 위해 다소 뼈모양이 되게된다. 도 15c 의 커프는 웃음, 기침 또는 재채기에 의한 방광압력이 갑자기 증가하는 동안에 커프가 요도벽에 더 잘 적합할 수 있도록 결손된 괄약근을 도울 수 있는 다중 환상의 좁아진 부분을 가지게 한다.
도 16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배뇨관이 참조번호 76으로 나타나 있다.
여기에는, 말단부(82)의 단측을 향하여 인접단부(80)로부터 연장된 스타일릿 수용 관강(도시되지 않음)이 있는 인접단부(80)와 말단부(82)를 가지는 연장되고 가요성인 관형 몸체기소(78)를 포함하는 것이 보여진다.
따라서 말단부(82)는 배관수단(76)가 환자의 요도내에 절절하게 위치할 때 이를 통하여 체액이 흐르는 것을 배제하는 스타일릿 관강을 커버한다.
배관수단(76)의 몸체기소는 그 표면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채널(84)을 포함하여 도시되며 말단부(82)로부터 배관몸체기소(78)의 외부직경이 배관몸체가 표면그루브가 없는 더 적은 직경으로 테이퍼지는 영역(86)으로 연장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배관몸체기소(78)는 태이퍼진 영역(86)의 말단부분 내에서 약 0.21인치의 외부 폭을 가지고 상기 부분 내에 형성된 채널(84)은 약 0.06인치의 깊이를 가진다.
또 상기 몸체기소(78)는 약 30 과 95 사이의 경도계 쇼어(shore)강도를 가지는 실리콘,시래스틱,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열플라스틱 엘라스토머와 같은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방지 케이지(88)는 테이퍼진 영역(86)의 인접한 미리 설정된 거리의 위치에서 배관몸체기소(78)에 부착된다.
도 20에 확대되어 도시된 상기 케이지는 설치된 환자의 요도내의 배관몸체의 말단이동을 방치하는 환자의 요도 괄약근에 인접한 위치에서 요도의 내부벽과 협동하도록 설계된다.
상술한 스타일릿 수용 관강내에 스타일릿 수단의 전진에의해 환자에게 삽입될 때 기립하도록 채택되는 말린 말단 단부부분의 형태로 방광보유 부분(90)은 방광 배관몸체(76)의 말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공정은 도 17-19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다.
연장된 스트링 또는 스레드(92)는 배관몸체(78)의 인접단부(80)에 부착된다. 상기 스트링 또는 스레드(92)는 배관몸체의 말단부(80)에 또는 케이지(88)의 밑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되고 요도 위로부터 연장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도 17은 가요성 자기세척 배뇨관 및 이와 관련된 배치수단 및 사용하기전 사용자에 의해 포장되는 보강 스타일릿을 도시한다.
상기 배관(78)은 누름수단(94)의 중심관강을 통하여 연장되는 스레드 또는 스트링(92)을 가지고 클립(96)은 스트링(92)내에서 노트(knot)에 의해 스레드(92)가 팽팽할 때 클립(96)이 누름수단(94)의 말단부에 부착된 주조된 플라스틱 허브(98)와 결합하도록 고정된다.
누름수단(94)의 중심관강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이동방지 놉(88)은 주름수단(94)의 말단부와 대향한 위치에 고정된다. 누름수단(94)의 말단부상에 주조된 허브(98)는 사용시 이를 쉽게 고정되게 한다.
이를 도 19에 잠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보강 스타일릿(99)은 와이어(100)의 말단부에 부착된 허브 또는 핸들(102)이 누름수단(94)의 허브(98)에 인접하여 이루어질 때 관상의 배관몸체978)를 통하여 연장하기에 충분한 전체길이를 가지는 미세한 반강체 와이어(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플라스틱 관 외장(104)은 수집튜브(94)내에 포함될 때 배관몸체의 말단부(80)를 향하여 연장되고 와이어(100)를 둘러싼다.
또 도 17에서는, 사용하기전 포장내에서 도 19의 보강재 또는 스타일릿(99)은 누름수단상의 주조된 플라스틱 허브(98)의 말단부로부터 인접하도록 후퇴된다.
컬(curl)이 배관몸체의 말단부에서 형성되도록 와이어는 말린부분(90)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도 19의 보강수단(99)는 보강수단(99)이 제거된후 플라스틱 변형이 환자의 요도로 배관의 삽입되는 방광내의 컬(curl)로 되돌아 가게하는 배관수단의 능력을 영구적으로 손실시키지 않도록 적재 및 저장하는 동안 부분적으로 후퇴된다.
도 18에서는, 도 19의 보강수단이 허브(102)가 누름수단(94)의 인접단부에서 주조된 플라스틱 허브(98)와 인접하도록 완전히 전전하여 도시된다.
완전히 삽입된 보강수단(99)을 가지는 와이어(100)는 배관수단의 말단부(82)가 환자의 요도로 더 쉽게 삽입되도록 컬(curl)(90)을 직립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한번 배관몸체의 말단부가 방광으로 전진하고 보강재가 완전히 후퇴하면 배관몸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의 기억특성은 배관몸체상의 컬 형상의 복귀로 방광이 후퇴하도록 한다.
말단 컬이 직립되는 지점으로 배관몸체(78)의 스타일릿 관강을 통하여 스타일릿 와이어가 전진할 때까지 동시에 스타일릿(99)이 전진하는 동안 누름수단(94)상에서 허브(98)를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삽입절차가 일어난다.
배관몸체의 말단팁은 요도에 위치하고 스타일릿(99)과 누름수단(94)이 요도를 통하여 배관몸체의 말단부분이 방광에 위치할때까지 동시에 전진함으로써 요도를 통하여 전진하게된다.
인접방향에서 배관몸체의 운동을 차단하는 누름수단의 허브(98)를 계속 고정하는 동안 스타일릿(99)은 조립체를 떠나 당겨지고 배관몸체의 말단부가 방광과 요도내에 배관몸체를 보유하도록 말린 상태로 재개되도록 한다.
다음, 클립(96)은 누름수단(94)이 배관으로부터 벗어나 제거되도록 하는 스트링 또는 테더(tether)(9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배관수단을 제거하기로 할 때 상기 스트링(92)은 컬(90)이 요도를 통하여 당겨짐으로써 직립되고 요도의 넥을 통하여 당겨지도록 장력을 받을 수 있다.
배관제거 절차의 제거의 후술하는 설명은 스트링 또는 테더(92)가 요도를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서술한다.
몇몇의 환자에서는, 음경의 단부에 달린 스트링의 존재가 허용되지 않는다. 도 20은 환자의 요도로 배관을 삽입하고 요도위로 연장된 부분이 즉시 제거될 수 있도록 테더가 이루어지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의 배치에서 배관몸체의 인접단부(80)에 연결된 단일 스트랜드(92)를 가지는 대신 제 1 분리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스트링(95)의 작은 닫힌 루프가 배관몸체에 고정되고 더 긴 루프부분이 루프(95)를 연결하며 허브(98)의 말단부위로 연장된다.
한번, 배관이 상술한 방법으로 요도에 삽이되면 클립(96)이 스트랜드로부터 제거될 때 누름수단(94)은 루프(97)를 자름으로써 요도외로 제거될 수 있다. 요도내에 전체적으로 남아있는 루프(95)를 가지는 루프(95)를 떠나 당겨질 수 있다.
어트로매틱(atraumatic) 고리형상의 팁을 가지는 얇은 와이어 스타일릿은 요도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배관이 몸체로부터 후퇴될 때 루프(95)를 연결하도록 요소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 및 도 16-20의 실시예에서, 방광 보유 컬(22,90)은 수 전립선과 협동하는 배관몸체의 부분과 동일한 직경으로 보여진다.
이것은 주어진 쇼어 A 강도를 위해 17 Fr의 방광 보유 부분직경이 환자가 쉽게 견딜 수 있는 최대 크기로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더 큰 직경의 방광 보유 부분은 너무 큰 방광보유 강도를 이루기 때문에 카테테르가 제거될 때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부가적인 뇨의 흐름이 전립선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요도부분을 통하여 발생한다. 도 21에서 도시된 배뇨관 특성은 증가된 뇨의 흐름이 전립선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상기 배치에서, 방광 보유 컬(90')은 전립선을 연결하도록 설계되는 부분보다 더 적은 직경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예를들어 방광보유부분(90')은 약 16 fr의 직경을 가지는 반면, 부분(78')은 뇨가 흐르는 더 깊은 그루브(79')를 가지도록 약 24 fr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22는 도 16의 배관수단(76)로 사용된 이동방지 케이지(88)의 확대도이다. 이것은 케이지 형상의 구조를 이루는 관형 베이스(114)에 연결되고 정밀하게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리브(108,110,112)에 의해 지지되는 평형한 환상의 링(106)을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테이퍼진 부분(86)에 인접한 배관몸체(78)의 감소된 직경부분은 베이스(114)내에 형성된 구멍(116)을 통하여 맞추어지고 보유 컬이 방광내에 배치되고 테이퍼진 부분(86)의 배관몸체단부가 환자의 전립선을 연결할 때 환자의 요도괄약근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적절하게 연결된다.
고리(106)의 평평한 단부는 요도의 내부벽에 맞물리고 단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닫힌 외부 괄약근과 인접하며 뇨가 열린 케이지형상의 구조를 통하여 흐르는 동안 환자가 자신의 요도괄약근을 이완시킴에 따라 자발적인 배설이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궁형 리브(108,110,112)가 변형가능하고 관형 베이스(114)가 고리(106)보다 확실히 적은 직경이기 때문에 요도로부터 배관의 제거가 스트링(92)이 배관을 옮기도록 당겨짐으로써 섬세한 라이닝을 손상시키지 않게된다.
도 23은 도 16의 뇨배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동방지 케이지(88')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시한다.
이것은 이를 통과하는 배관몸체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중심구멍(120)을 가지는 관형몸체(118)를 포함한다. 도 21의 이동방지 케이지는 역시 적절한 위치에서 이를다라 배관몸체에 결합된다. 관형 몸체(118)는 다수의 일체로 형성되고 원주상으로 이격되고 둥글고 태이퍼진 로브(122,124,126,128)를 포함한다.
상기 로브는 배관이 적절히 존재할 때 요도 괄약근에 인접한 요도벽과 협동한다. 상기 로브는 그 사이로 뇨가 흐르도록 관형 몸체의 나머지에 대해 이격된 요도벽을 고정하도록 한다.
도 21의 이동방지 케이지(88)에 대한 도 22의 케이지(88')의 태이퍼진 형상은 요도로부터 배관을 이어서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하며 (도 22에서 보여질때)상부 변부표면이 방사상으로 돌출한 로브와 마찬가지로 요도로 삽입됨에 따라 변부방향에서 배관수단이 원하지 않는 운동을 하는 것을 막는다.
상술한 이동방지 케이지(88,88')는 기계적인 실패 및 복잡한 팽창과 수축을 요하는 종래의 벌룬 이동방지 구조를 개선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더욱 중요하게는, 종래기술의 벌룬 이동방지 수단은 요도를 막고 뇨가 이를 통과하여 흐르는 것을 방해한다. 상술한 이동방지 케이지(88,88')의 열린 구조는 뇨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들이 호환되는 부드러운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 제거시 또는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동안 요도 라이닝을 자극하지 않는다.
도 24는 도 16의 실시예와 같은 방광 배관을 포함하나 다른 형태의 보유수단으로 대치된 보유 컬 부분(90)을 가진다.
도 16의 실시예에서, 도 24의 배뇨관은 인접단부(80)와 말단부(82)를 가지는 가요성 몸체기소(78)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기소(78)는 일반적인 원통형 표면의 내부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채널(84)을 포함하고 이것은 말단부(82)로부터 배관몸체가 어떤 표면 그루브가 없는 더 적은 직경으로 배관몸체기소의 직경이 테이퍼진 구역(86)으로 연장된다.
도 16의 실시에서와 같이 상술한 이동방지 케이지는 테이퍼진 구역(86)에 인접한 미리설정된 거리인 위치에서 배관몸체(78)에 부착된다.
배관몸체의 원주주위로 일반적으로 동일한 주변에 이격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부드럽고 가요성인 페틀(petals)의 제 1 및 제 2 세로로 이격된 열을 포함하는 방광 보유수단(130)은 방광의 말단부 근처에 위치한다.
상부열에서 상기 페틀(petals)은 모를 이루도록 이격되고 하부열에서의 페틀은 도 25에서 잘 보여지는 상부열상의 인접 페틀사이에 정렬된다.
방광 보유수단(130)은 배관몸체(78)에 부착함에 있어서 배관몸체위로 튜브(132)를 끼우고 여기에 관형기소(132)를 접합하는 중심 관형기소(132)(도 25)로부터 방사상으로 사출되는 주조작업으로 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의 수단을 방광에 용이하게 배치하기 위해 외부 외장(도시되지 않음)이 채택될 수 있다. 만약 외장이 사용된다면, 이는 배관몸체의 표면에 대해 방광보유 수단(130)이 페틀을 가압하는 배관몸체(78)위로 미끌어질 수 있다.
한번 상기 수단이 요도를 통하여 보유수단(130)이 방광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지점으로 전진하면 외부 외장은 배관수단의 배제에 저항하도록 페틀이 방광 넥을 펼치고 연결하도록 하는 배관에서 미끌어진다.
도 1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뇨는 채널(84)을 통하여 흐르고 환자의 괄약근은 방광의 자발적인 배출을 제공하도록 테이퍼(86)하부의 관상 몸체기소 부분과 협동한다.
보유수단(130)을 포함하는 페틀은 충분히 가요성이고 유연하지만 상기 수단이 요도로부터 후퇴함으로써 페틀이 배관몸체에 대해 접히게 하는 테더(trthers)에 인장력을 적용한다.
보유수단(130)은 바람직하게는 부드러운 실리콘 러버를 가지는 적절한 플라스틱으로 주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유수단은 구속받지 않을 때 약 1.5인치 직경을 가지고 각 열에서 상기 페틀은 90도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6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뇨관이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34로 표시된다. 이것은 닫힌 원형의 변부(138)와 하나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그 이상의 표면그루브(140,142)를 가지고 뇨가 흐를 수 있는 채널이 내부에 형성된 부드럽고 가요성인 플라스틱 실린더를 포함하는 변부부분을 포함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유수단(144)은 변부부분(136)의 베이스에 있다. 이것은 90도 방사 공간에서 네 개의 페틀과 같은 제 1 및 제 2 수준 E는 열의 페틀을 포함한다.
상부열에서의 페틀은 하부열에서의 페틀로부터 45도 정도 분기된다. 변부 팁 부분은 길이를 나선으로 연장하여 배치된 구멍(148)형태를 가지는 부드러운 플라스틱 튜브(146)에 부착된다.
관상의 부분(146)은 변부부분(136)이 방광내에 있고 보유 페틀(144)은 방광넥을 연결할 때 남자 환자의 전립선을 연결하는 세로로 형성된다.
전립선을 가로질러 그리고 요도를 통하여 요도관을 향해 연장되는 작은 직경의 부드러운 프라스틱 튜브(154)는 웹(152)에 의해 관상의 기소(146)의 하단부(150)에 고정된다.
도 16 및 도 24의 실시예에서 처럼, 이동방지 케이지(88)는 환자의 전립선 에 바로 인접하도록 작은 직경의 튜브(154)에 부착된다. 상기 확대 및 케이지(880는 수단이 변부방향에서 이동하는 것을 막기위해 전립선과 협동한다.
도 24 및 도 26의 수단은 누름수단(94)을 사용하는 도 16의 배관수단과 동일한 형태로 삽입된다. 한번 적절히 위치한 방광내에 있는 뇨는 관상기소(146)의 관강으로 채널을 따라 배관의 단부부분(136)에서 채널(140,142)을 통하여 흐를수 있다.
구멍(148)은 이것이 전립선을 가로지름에 따라 구멍의 외부 및 내부로 흐르는 뇨에 의해 전립선으로부터 모든 부분이 세척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괄약근을 연결하는 작은직경의 튜브(154)의 외부직경은 방광이 자발적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O.D. 주위를 괄약근이 닫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방지 케이지(88)는 요도내의 배관조립체(134)의 상방배치를 막게되며 보유수단은 배관수단의 하강 도는 인접운동을 차단한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가요성 자기세척 배뇨관은 실리콘 러버와 같은 부드러운 엘라스토머 물질로부터 형성된 가요성, 연장된 배관몸체(78")를 포함한다. 배관몸체의 외부표면은 하나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그 이상의 전체길이를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한 열린 액체 배출 채널을 포함한다.
배관몸체(78")의 상부의 원형 말단부(156)밑으로 연장되는 보유수단(90")의 부분을 가지는 다소 나선형상을 이루며 그 내부에 삽입된 보강 스타일릿을 가짐으로써 구속되지 않을 때 미리 형성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튜브로부터 바람직하게 형성되는 방광 보유 컬은 배관몸체(78")의 말단부에 부착된다.
따라서 방광 보유 컬(90")을 형성함으로써 보유 수단(90")가 방광 넥내에 있을 때 채널(79")은 방광의 내부에서 확실히 노출될 수 있다.
표면 배출 채널(79")로 방광 넥 조직이 함입되는 것을 막기위해, 방광 넥 티조직을 자극하는 것을 막는 원주주위에 얇은 플라스틱 밴드(158)를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밴드가 없으면 전립선 조직은 표면채널(79")에 함입될 수 있고 통상의 적용으로 배관몸체와 방광넥사이의 접촉은 자극을 받을 수 있다. 밴드(158)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자극은 최소화 되거나 피해진다.
특정한 외과적인 시술 및 후속하는 방광암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대한 방사선 치료시 조직입자는 방광벽으로부터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상기 입자들은 방광으로부터 뇨가 효과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는 표면채널(79")의 차단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변형이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관몸체(78")상의 원형의 팁을 그라인딩하기 보다는 상기 배관몸체는 평형한 말단부(160)가 형성되고 이에 부착되며 하나이상의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표면 배출채널(79")의 상단부는 그 내부에 형성된 일련의 정밀한 슬릿(164)을 가지는 미리 형성된 플라스틱 돔(162)이 된다.
다시, 상기 방광 보유수단(90")는 한 부분이 돔(162)의 상단부 밑에 있게도도록 형성된다. 이에따라, 배관수단이 요도를 통하여 삽입되고 적절히 위치할 때 슬릿(164)은 방광넥위에 있게된다.
보강 스타일릿(166)은 배관몸체(78")를 통하여 돔(162) 위로 지나가고, 배관이 위치하는 동안 방광 보유수단이 직선으로 나가도록 관상의 보유수단(90")의 관강으로 통과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배출기소를 더 부드럽게 하기 위해 그리고 삽입시에 도움을 주기 위해 윤활제와 하이드로겔을 피복하게 한다. 코팅은 요도감염에 저항하고 또는 요도기관의 처리를 제공하기 위해 서방형 약물을 결합시킬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상태에 적합하도록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는데 필요하다면 신규 원리를 당해분야에 적용시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별히 상이한 장비와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데 다양한 수정등은 본 발명의 영역에 벗어남이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1)

  1. 환자의 요도를 통하여 방광으로부터 뇨와 유체의 배출을 위한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의 구성에 있어서,
    a) 가요성이고 연장된 배관몸체가 요도를 통하여 통과하는 외부직경을 가지는 말단부 및 인접단부를 가지고, 상기 배관몸체는 외부표면의 하나이상의 부분에 열린 유체배출채널이 있는 외부표면을 가지고 상기 배관몸체가 배관몸체의 외부표면과 요도벽사이의 배축되는 뇨를 위한 요도벽과 협동하며;
    b) 방광 보유수단이 요도내에 적절하게 배관몸체를 보유하는 배관몸체의 말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c) 상기 배관몸체가 요도벽에 대해 세로이동하는 것을 막는 배관몸체상의 수단과;
    d) 방광보유수단이 환자의 방광내에 위치할 때 테더가 환자의 요도로 연장되도록 하는 길이로 배관몸체의 인접단부에 가요성 테더가 부착되고;
    e) 상기 테더에 의해 배관몸체의 인접단부에 환자의 요도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의 관상수단 관상수단의 내부관강을 통하여 연장되고;
    f) 상기 관상수단의 인접단부로부터 테더의 출구지점에서 제거가능한 클립수단이 테더에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가 제 1 및 제 2 분리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분리가능한 부분의 길이는 방광보유수단이 환자의 방광내에 위치할 때,제 1 분리가능한 부분이 요도내에 전체가 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3. 제 1항에 있어서, 세로이동을 막기위한 배관몸체상의 수단이 관형베이스에 환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다수의 궁형 세로 리브를 가지는 부드럽고 구근형이고 중공 케이지 형상의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베이스는 상기 배관몸체부분을 둘러싸고 부착되며 배뇨관이 요도내에 있을 때 요도 괄약근에 인접한 요도벽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4. 제 3항에 있어서, 케이지형상의 구조가 관형베이스의 단부에 위치한 고리로 일체로 형성된 배관몸체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고리는 관형 베이스의 외부직경보다 더 큰 외부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5. 제 1항에 있어서, 세로이동을 막는 배관몸체상의 수단이 배관몸체의 수용부분을 위한 중심구멍을 가지는 관상 몸체, 배관몸체에 부착되고 다수의 일체로 형성되고 원주상으로 이격되고 원형이며 태이퍼진 로브를 포함하는 관상몸체, 상기 배뇨관이 요도내의 적절하게 있을 때 요도 괄약근에 인접한 요도벽과 협동하는 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6. 환자의 요도를 통하여 방광으로부터 뇨와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가요성, 자기세척 배뇨관에 있어서,
    a) 가요성이고 연장된 배관몸체가 요도를 통하여 통과하는 외부직경을 가지는 말단부 및 인접단부를 가지고, 상기 배관몸체는 외부표면의 부분에 열린 유체배출채널이 있는 외부표면을 가지고 상기 배관몸체가 배관몸체의 외부표면과 요도벽사이의 배축되는 뇨를 위한 요도벽과 협동하며;
    b) 방광 보유수단이 요도내에 적절하게 배관몸체를 보유하는 배관몸체의 말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방광보유수단은 배관몸체에 부착되어 둘러싸는 다수의 원주상으로 이격된 페틀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c) 상기 배관몸체가 요도벽에 대해 세로이동하는 것을 막는 배관몸체상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관이,
    a) 배관몸체의 인접단부에 부착된 가요성 테더를 포함하고 상기 테더는 방광보유수단이 환자의 방광내에 위치할 때 환자의 요도위로 부분이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가 제 1 및 제 2 분리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분리가능한 부분의 길이는 방광보유수단이 환자의 방광내에 위치할 때,제 1 분리가능한 부분이 요도내에 전체가 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9. 제 8항에 있어서, 다수의 페틀형상의 돌출부가 다른 두 열내에 페틀형상의 돌출부로부터 원주상으로 분기된 제 1 의 두 열내에 페틀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두 세로로 이격된 열로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페틀형상의 돌출부가 환자의 요도로부터 삽입되고 후퇴할때 배관몸체의 외부표면에 대해 접히도록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11. 환자의 요도를 통하여 방광으로부터 뇨와 유체의 배출을 위한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의 구성에 있어서,
    a) 가요성이고 연장된 배관몸체가 요도를 통하여 통과하는 외부직경을 가지는 말단부 및 인접단부를 가지고, 상기 배관몸체는 배관몸체의 외부표면과 요도벽사이의 배축되는 뇨를 위한 요도벽과 협동하는 외부표면을 가지고;
    b) 방광 보유수단이 배관몸체의 말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관강을 수용하는 스타일릿을 가지는 일반적으로 부드럽게 닫히고 끝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스타일릿에 의해 구속받지 않을 때 미리설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방광보유수단의 부분이 이것이 환자의 방광내에 배치될 때 요도내에 배관몸체를 적절히 보유하기 위한 배관몸체의 인접단부와 말단부사이에 배치된위치에 있고 ;
    c) 상기 배관몸체가 요도벽에 대해 세로이동하는 것을 막는 배관몸체상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12. 제 11항에 있어서, 유체배출채널로 전립선조직이 하입되는 것을 막도록 배관몸체의 부분을 둘러싸는 얇은 엘라스토머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13. 제 11항에 있어서, 조직 입자에 의해 열린 유체 배출 채널이 차단되는 것을 막도록 배관몸체의 말단부에 부착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을 막는 수단이 연장된 배관몸체의 말단부에 부착된 반구형으로 한정된 중공돔을 포함하고 상기 돔은 조직입자의 통과를 막는 동안 뇨의 통과를 위한 반구형벽을 통해 형성된 슬릿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15. 제 11항에 있어서, 세로이동을 막기위한 배관몸체상의 수단이 여자 환자의 외음부 전방과 협동하는 배관몸체의 인접단부에 배치된 링형상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몸체의 인접단부가 방광보유수단이 환자의 방광에 위치할 때 요도의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몸체의 인접단부가 방광보유수단이 환자의 방광에 위치할 때 요도의 내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18. 제 11항에 있어서, 배관몸체의 외부표면으로부터 약품을 일루팅(eluting)하기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19. 제 11항에 있어서 배관몸체의 외부표면상에 윤활코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코팅이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코팅내에 함유된 현탁약품(elutable dru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자기세척되는 배뇨관.
KR1020000034361A 1999-06-22 2000-06-22 자기 세척 방광 배뇨 수단 KR20010021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13,083 1999-06-22
US09/313,083 US6743198B1 (en) 1995-03-20 1999-06-22 Self-cleansing bladder drainag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014A true KR20010021014A (ko) 2001-03-15

Family

ID=2321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361A KR20010021014A (ko) 1999-06-22 2000-06-22 자기 세척 방광 배뇨 수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1470794A2 (ko)
JP (1) JP2001017538A (ko)
KR (1) KR20010021014A (ko)
CA (2) CA26712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8541A2 (en) 2001-01-23 2002-08-01 Abbeymoor Medical, Inc. Endourethral device & method
US7041139B2 (en) 2001-12-11 2006-05-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Ureteral stents and related methods
GB2413769B (en) * 2004-04-06 2007-02-21 Medevert Ltd Ureteric stents
US7396366B2 (en) 2005-05-11 2008-07-0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Ureteral stent with conforming retention structure
WO2007001979A2 (en) * 2005-06-20 2007-01-04 Abbeymoor Medical, Inc. Medicament delivery article, accessory & system
AU2013341731B2 (en) 2012-11-12 2017-06-22 Hollister Incorporated Intermittent catheter assembly and kit
HUE050448T2 (hu) 2012-11-14 2020-12-28 Hollister Inc Eldobható katéter szelektíven lebomló belsõ maggal
LT3065793T (lt) 2013-11-08 2021-05-10 Hollister Incorporated Kateteriai su oleofiline danga
US10874769B2 (en) 2013-12-12 2020-12-29 Hollister Incorporated Flushable disintegration catheter
ES2762743T3 (es) 2013-12-12 2020-05-25 Hollister Inc Catéteres descargables
AU2014362368B2 (en) 2013-12-12 2018-10-04 Hollister Incorporated Flushable catheters
WO2015089189A2 (en) * 2013-12-12 2015-06-18 Hollister Incorporated Flushable catheters
AU2016280079B2 (en) 2015-06-17 2021-04-15 Hollister Incorporated Selectively water disintegrable materials and catheters made of such materials
CN107252520A (zh) * 2017-06-09 2017-10-17 中日友好医院 一种直视下膀胱局部化疗灌药装置
CN114602035A (zh) * 2021-05-08 2022-06-10 宁波市第一医院 带有消失膜的防堵支架管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6410A (en) * 1968-01-03 1970-06-23 Salomon Hakim Cerebro-ventricular catheter
US3592197A (en) * 1969-03-24 1971-07-13 Milton J Cohen Catheter
US3630206A (en) * 1970-01-02 1971-12-28 Bruce Gingold Bladder catheter
US3815608A (en) 1972-03-10 1974-06-11 East West Med Prod Retaining catheter
US4723946A (en) 1986-02-12 1988-02-09 Kay Dennis M Urinary catheter, hygiene system and process therefor
US4738667A (en) 1986-11-04 1988-04-19 Galloway Niall T M Preformed catheter assembly
US5232440A (en) * 1992-02-26 1993-08-03 Wilk Peter J Method and device for draining abscess
US5322501A (en) * 1992-10-02 1994-06-21 Mahmud Durrani Ayaz Continent urethral stent for treating and preventing urethral stricture after surgery
FR2701648B1 (fr) * 1993-02-19 1995-03-31 Marian Devonec Prothèse destinée au traitement d'une lumière ou voie naturelle, notamment prothèse endo-uréthrale.
US5738654A (en) 1995-03-20 1998-04-14 Contimed, Inc. Self cleansing bladder drainage device
US5562622A (en) 1995-03-20 1996-10-08 Contimed, Inc. Self-cleansing bladder drainage device
US5984965A (en) * 1997-08-28 1999-11-16 Urosurge, Inc. Anti-reflux reinforced s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2920A1 (en) 2000-12-27
CA2671295A1 (en) 2000-12-22
CA2671295C (en) 2011-01-04
JP2001017538A (ja) 2001-01-23
CA2310558A1 (en) 2000-12-22
CA2310558C (en) 2009-10-06
EP1470794A2 (en)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3198B1 (en) Self-cleansing bladder drainage device
US5738654A (en) Self cleansing bladder drainage device
US5865815A (en) Prostatic obstruction relief catheter
US5562622A (en) Self-cleansing bladder drainage device
US7141038B2 (en) Endourethral device and method
US5322501A (en) Continent urethral stent for treating and preventing urethral stricture after surgery
JP4025648B2 (ja) 尿道内で用いる装置
US4553959A (en) Urethral catheter
US8287519B2 (en) Self-cleansing bladder drainage catheter
KR20010021014A (ko) 자기 세척 방광 배뇨 수단
US20030163204A1 (en) Stent
US20180043135A1 (en) Dynamic Catheterization Devices Configured to Facilitate Drainage
CA2191814A1 (en) Self-cleansing bladder drain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