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141A - device for power-supply in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power-supply in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141A
KR20010018141A KR1019990033962A KR19990033962A KR20010018141A KR 20010018141 A KR20010018141 A KR 20010018141A KR 1019990033962 A KR1019990033962 A KR 1019990033962A KR 19990033962 A KR19990033962 A KR 19990033962A KR 20010018141 A KR20010018141 A KR 20010018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terminal
vacuum cleaner
cord ree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9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39517B1 (en
Inventor
송병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3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517B1/en
Publication of KR2001001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1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51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PURPOSE: A power application device is provided to perform a function of a power connecting terminal and to smoothly release entangling of a cord without disassembling of a body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cord reel device. CONSTITUTION: A cord reel device(200) comprises: a housing(210) selectively inserted to a terminal inlet part(110); a cord reel(212)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for winding a cord(211); an opening(213) formed in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in a height or a width less than a cord terminal(211a) and for avoiding excessive winding of the cord terminal; and an outlet formed in the rear face of the housing, selectively combined to a terminal(120) placed at the inner front portion of the terminal inlet part, and for transmitting the external power to the terminal(120). If the cord is entangled due to rapid winding, the cord is arranged by removing the housing from the terminal inlet part without disassembling of the body.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전원 인가장치{device for power-supply in vacuum cleaner}Device for power-supply in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를 진공 청소기 본체 내에 감기 위한 코드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rd reel device for winding a cord for supplying power to a vacuum cleaner in a vacuum cleaner body.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집안이나 차안 또는 기타의 장소를 청소함에 있어서 일반 빗자루나 기타 청소도구로는 청소가 곤란한 구석진 곳 및 기타 장소의 청소를 위해 주로 사용되며,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이다.Generally, a vacuum cleaner is mainly used for cleaning corners and other places where general brooms or other cleaning tools are difficult to clean in a house, a car, or other places. It is a devi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도시한 도 1과 같이 본체(10)의 전방측에 그 내부와 연통된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에는 흡입호스(12)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vacuum cleaner has an insertion hole 1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suction hose 12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sertion hole. .

또한, 상기 흡입호스(12)의 타단에는 콘트롤러부(도시는 생략함)를 갖는 손잡이부(13)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13)에는 연장관(14)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관의 다른 일단에는 사용 용도에 따라 교체 가능한 흡입구체(15)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handle 13 having a controller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hose 12, and one end of the extension tube 14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andle 13.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tub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inlet body 15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또한, 도시한 도 2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는 모터(16)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팬(17)이 설치되어 있고, 삽입공(11)이 형성된 측인 본체(10) 내의 전방측 내면에는 상기 삽입공을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 및 이물질을 집진하도록 집진봉투(18)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본체 내의 후면에는 본체(10) 내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공(19)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 fan 17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generate suction power while rotating under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6, and the main body 10 having the insertion hole 11 formed therein. The dust collector bag 18 is separably inserted in the front inner surface of the front side to collect dust and foreign substances sucked with the air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the air sucked into the body 10 is discharg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The discharge hole 19 is formed.

이 때, 상기 본체 내의 후방 일측에는 코드인입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드인입부 내에는 코드릴(2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코드릴 내에는 진공 청소기의 전원 공급을 위한 코드(21)가 상기 코드인입부를 통해 감겨져 있다.In this case, a cord inlet 20 is formed at on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 cord reel 22 is provided in the cord inlet, and a cord for supplying power to a vacuum cleaner in the cord reel ( 21 is wound through the cord entry.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우선, 본체(10)의 후방 일측 코드인입부(20)에 있는 코드(21)를 당겨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한 후 상기 인출한 코드를 전원 단자(도시는 생략함)에 연결시킨다.First, the cord 21 is pulled out from the rear side one side of the cord inlet 20 of the main body 10 to be pulled out to a desired length, and then the drawn cord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not shown).

이에 따라 진공 청소기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흡입호스(12)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부(13)를 잡고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된 콘트롤러부(도시는 생략함)의 흡입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0) 내에 구비된 모터(6)가 구동하여 팬(17)을 회전시켜 주므로 흡입력이 발생된다.Accordingly, power is supplied to the vacuum cleaner, and in this state, the user grasps the handle part 13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hose 12 and the controller part (not shown) provided in the handle part. When the suction mode is selected, since the motor 6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drives the fan 17 to rotate, suction force is generated.

이와 같이 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호스(12), 손잡이부(13), 연장관(14)등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흡입구체(15)로 전달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흡입력이 전달되는 흡입구체(15)를 청소의 수행 위치에 위치시킨 후 청소를 행하게 된다.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is way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port 15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suction hose 12, the handle 13, the extension tube 14, etc., in this state, the user is the suction port to which the suction force is transmitted. The cleaning is performed after placing 15 at the cleaning position.

결국, 흡입구체(15)내로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상기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함께 흡입되고 이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연장관(14)과 손잡이부(13) 및 흡입호스(12)를 계속해서 통과하여 본체(1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As a result, various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and the like are sucked into the suction inlet 15 together with the air by the suction force, and the foreign matter such as the dust sucked in continues to the extension pipe 14, the handle 13, and the suction hose 12. It passes through and enters the main body 10.

이 때, 본체(10)의 전방측에는 입구부가 상기 상부커버의 삽입공(11) 형성부분과 접촉된 상태로 구비된 집진봉투(18)가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본체(10) 내부로 들어가는 각종 오염물은 상기 집진봉투(18)에 집진되고 공기만이 계속되는 팬(17)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집진봉투(18)를 빠져나와 본체(10)의 후방 쪽으로 이동한다.At this time, i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as the dust collecting bag 18 provided with the inle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hole 11 forming part of the upper cover is located various contaminants entering the main body 10 The dust is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bag 18 and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bag 18 by the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an 17 continues to move toward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또한,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후방 쪽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공(1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계속적인 공기의 순환 및 청소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moving toward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19 form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ntinuous circulation and cleaning of the air.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청소가 완료되면 진공 청소기를 보관 위치에 보관하기 위하여 코드(21)를 전원 단자로부터 분리함과 함께 다시 코드릴(22)에 감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leaning is completed by the above process, in order to keep the vacuum cleaner in the storage position, the cord 21 is to be wound again on the cord reel 22 together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

이 때, 상기 코드를 코드릴(22)에 감기위한 동작은 사용자가 코드릴 동작레버(23)를 누름으로써 상기 코드릴이 자동 회전을 행하게 되어 코드(21)를 감음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코드를 감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for winding the code to the cord reel 22, the user can press the cord reel operation lever 23, the cord reel is automatically rotated, so as to wind the cord 21, the user conveniently You can wind up.

이는, 코드릴 장치의 구성상 특징에 의한 것으로써 이와 같은 코드릴 장치의 구성 및 그 작용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This is due to the configuration features of the cord reel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cord reel device.

일반적으로 본체(10)의 코드인입부(20)에 구비된 코드릴 장치는 상기 본체 내에 고정된 측판(24)과, 상기 측판에 축결합된 상태로써 코드(21)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릴(reel)의 형상을 이루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코드릴(22)과, 상기 코드릴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코드릴 장치를 구성하는 측판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동작레버(23)와, 상기 코드릴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써 상기 코드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태엽스프링(25)으로 크게 구성된다.In general, the cord reel device provided in the cord inlet 20 of the main body 10 has a side plate 24 fixed in the main body and the entire reel so as to wind the cord 21 in a state coupled to the side plate. a cord reel 22 rotatably installed while forming a shape of a reel, an operation lever 23 rotatably provided on a side plate constituting a cord reel device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cord reel, and the nose It is largely composed of a spring 25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cord reel in a state installed inside the drill.

이 때, 상기 코드릴은 외부판(22a)과 내부판(22b)이 그 중앙을 관통한 축(22c)에 결합된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측판(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cord reel is configur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plate 22a and the inner plate 22b are coupled to the shaft 22c penetrating the center thereof, and the shaft is rotatable to the side plate 24 as described above. Are combined.

상기 동작레버는 그 일단을 이루면서 청소기 본체(10)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누를 수 있는 누름부(23a)와, 그 타단을 이루면서 청소기 본체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누름부(23a)의 눌려짐에 따라 코드릴(22)을 구성하는 내부판(22b)과 밀착 혹은 단락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마찰부(23b)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leve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10 while forming one end thereof, and may be pressed according to a user's need, and the pressing part 23a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cleaner body while forming the other end thereof. As it is pressed, the inner plate 22b constituting the cord reel 22 is composed of a friction portion 23b for selectively performing close or short circuit.

이 때, 상기 동작레버의 중앙은 측판(24)에 힌지(23c) 결합됨과 함께 스프링(23d)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center of the operating lever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rotated by the spring 23d while being coupled to the hinge 23c on the side plate 24.

또한, 측판(24)에는 코드릴 장착 위치로 다수의 스토퍼(24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드릴의 외부 둘레에 근접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코드릴(22)의 내부에 감겨져 있는 코드(21)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24 has a plurality of stoppers 24a protruding to the cord reel mounting position to form a state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d reel, so that the cord 21 wound inside the cord reel 22 is formed. It will prevent loosening.

즉, 코드(21)가 가지고 있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코드릴(22)의 내부에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상기 코드릴의 외부로 벌어지려고 하는 현상을 스토퍼(24a)로써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stopper 24a prevents the phenomenon of being unwound inside the cord reel 22 by the stopper 24a due to its own restoring force. It is.

또한, 상기 동작레버(23)의 누름부(23a)는 본체(10) 외측에서 누를 수 있어야 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누름부와 연결된 버튼(26)이 상, 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23a of the operating lever 23 is to be press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button 26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to move up and down have.

한편, 코드릴 장치를 구성하는 측판(24)의 후방측 즉, 코드(21)가 인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코드의 끝단인 단자부(21a)가 코드릴(22) 내부에 감겨지지 않도록 함과 함께 스토퍼(24a)와 더불어 코드릴(22)에 감겨진 코드(21)가 코드릴(22)의 외부로 풀려버리지 않도록 코드단자 차단부(27)가 상기 측판에 일체화 된 상태로써 코드인입부(20)의 내부 공간을 코드릴(22)로부터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단지 코드(21)만이 인입 혹은 인출 가능하도록 개구부(27a)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21a, which is the end of the cord, is not wound around the cord reel 22 at the rear side of the side plate 24 constituting the cord reel device, i. In addition, the cord retracting unit 27 is integrated into the side plate so that the cord 21 wound on the cord reel 22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cord reel 22. The inner space of the structure is partitioned from the cord reel 22, and the opening 27a is formed so that only the cord 21 can be pulled in or pulled out.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코드릴 장치에 의해 코드가 코드릴로부터 풀리거나 혹은 감겨지는 과정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unwinding or winding the cord from the cord reel by the cord ree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코드(21)를 전원 단자(도시는 생략함)에 연결하기 위하여 혹은 그 외의 목적으로 코드(21)를 코드릴(22) 내부로부터 인출할 경우 사용자는 청소기 본체(10)의 코드인입부(20) 내에 노출되어 있는 코드의 단자부(21a)를 잡고 청소기 본체(10)의 외측으로 당긴다.First, in order to connect the cord 21 to a power supply terminal (not shown) or to pull out the cord 21 from the inside of the cord reel 22 for other purposes, the user may insert the cord into the cleaner body 10. The terminal portion 21a of the cord exposed in the 20 is grasped and pulled out of the cleaner body 10.

이에 따라, 측판(24)에 축(22c) 결합된 코드릴(22)이 상기 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그 내부에 감겨진 코드(21)가 풀리게 되고, 이 때 상기 코드릴 내부에는 태엽스프링(25)이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코드릴의 회전에 의해 코드(21)가 풀림과 동시에 태엽스프링(25)이 압축되어 상기 코드릴을 원위치 시키려는 복원력을 발휘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rd 21 wound therein is released by rotating the cord reel 22 coupled to the shaft 22c with respect to the side plate 24. At this time, the spring 22 is wound inside the cord reel. As the cord is rotated, the cord 21 is released by the rotation of the cord reel and the spring spring 25 is compressed to exert the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cord reel.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만큼 코드(21)를 인출한 후 더 이상의 인출을 원치 않아 상기 코드를 놓게 되면 태엽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코드릴(22)이 최초 코드가 풀리기 위해 회전하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In this state, if the user pulls out the cord 21 as much as the desired length and then does not want to pull out the cord, the cord reel 22 rotates to release the first co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spring 25. Will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그러나, 이 때에는 상기 코드릴의 내부판(22b) 둘레면이 동작레버(23)의 마찰부(23b)와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있음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however, the inner surface 22b of the cord ree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art 23b of the operating lever 23, so that the rotation is not performed and the fixed surface is maintained.

이후, 사용자는 인출한 코드(21)를 외부 전원 단자에 연결하여 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user performs cleaning by connecting the extracted cord 21 to an external power supply terminal and applying power to the cleaner.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청소의 완료후 코드(21)를 정리하기 위해 청소기 본체(10) 내로 코드(21)를 감을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본체의 상부에 돌출된 버튼(26)을 누르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rd 21 is wound into the cleaner body 10 to clean up the cord 21 after the cleaning in the above state, the user simply presses the button 26 protrudi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이는, 상기와 같이 버튼(26)을 누름으로 인하여 동작레버를 구성하는 누름부가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동작레버를 구성하는 마찰부(23b)가 코드릴(22)을 구성하는 내부판(22b)의 둘레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됨으로써 결국, 상기 코드릴은 그 내부에 설치된 태엽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을 행하여 코드(21)를 그 내부에 감게 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ressing part constituting the operation lever is pressed by pressing the button 26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ly the friction plate 23b constituting the operation lever constitutes the inner plate 22b constituting the cord reel 22. This is because the cord reel is rot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spring 25 installed therein, so that the cord 21 is wound around the cord 21.

이 때, 상기 코드가 코드릴에 감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코드의 끝단을 이루는 단자부(21a)가 코드단자 차단부(27)의 개구부(27a)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의 인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후, 코드(21)의 재 인출시 그 인출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terminal portion 21a constituting the end of the cord is caught by the opening 27a of the cord terminal blocking portion 27 in the process of the cord being wound on the cord reel, no further drawing is made. 21) the redraw is located so that the withdrawal can be performed smoothly.

이는, 상기 코드단자 차단부의 개구부(27a)가 코드의 단자부(21a)에 비해 그 높이 혹은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This is possible because the opening 27a of the cord terminal blocking part is formed to have a smaller height or width than that of the terminal 21a of the cord.

하지만, 상기와 같이 코드릴에 코드가 감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이 강하면 강할수록 더욱 순간적인 코드의 감김을 이룰수 있게 되지만, 이는 코드가 코드릴 내의 일측에만 순간적으로 감기게 될 수 있음에 따라 완전한 코드의 감김이 이루어지지 않고 코드 감김 불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되었다.However, the stronger the resilience of the spring spring in the process of winding the cord on the cord reel as described above, the more instantaneous coiling of the cord can be achieved, but this may cause the cord to be temporarily wound on only one side of the cord reel.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a code winding defect may be made without a complete winding of the code.

즉, 코드릴의 내부 일측에만 코드가 집중적으로 감겨짐에 따라 계속적으로 감겨지는 코드가 측판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에 걸려 더 이상의 인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the cord is intensively wound only on one side of the cord reel, the cord being continuously wound is caught by the stopper protruding from the side plate so that no further drawing is made.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코드가 엉켰을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코드를 다시 당겨 일부만 재 인출 한 후 계속해서 본체의 버튼을 눌러 코드를 감았었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when the cord is tangled as described above, the cord is pulled again to retract only a part of the cor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그러나, 이와 같은 동작에도 불구하고 코드의 엉킴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에는 청소기의 본체를 분해하여 사용자가 직접 코드의 엉킴을 풀어주어야만 하였다.However, in spite of the above operation, if the tangling of the code is not solved, the user has to disassemble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to directly untie the tangling of the code.

이에 따라, 사용자의 불만이 가중되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 것이다.Accordingly, the user's dissatisfaction is aggravated to cause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is lower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코드릴 장치는 단순히 진공 청소기의 동작을 위해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 내에 일체화되어 있음에 따라 비효율적이었다.In addition, the cord reel device of the general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was inefficient as it is integrated in the main body so that it can be used only for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코드릴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코드릴의 내부에 코드가 감겨지는 도중 상기 코드가 엉켰을 경우 본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원활한 엉킴 해소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그 별도로써 전원 연결단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rd is entangled while the cord is wound inside the cord reel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rd reel smooth smooth tangling without disassembling the body The purpose is to be able to perform the role of the power connector as a separate and to be able to be perform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흡입력을 발생하여 각종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집진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의 적소에 전원 인가를 위한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 청소기와는 별도로써 상기 진공 청소기의 단자부 내에 결합 혹은 탈거 되어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코드릴 장치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전원 인가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vacuum cleane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collect various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comprising a terminal portion for applying power to the appropriate place of the vacuum cleaner, Separately,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device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cord reel device configured to selectively apply power by being coupled to or removed from a terminal of the vacuum cleaner.

도 1 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vacuum cleaner

도 2 는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main body of a general vacuum cleaner;

도 3 은 종래 진공 청소기의 본체 후면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rear surface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도 4 는 종래 진공 청소기의 코드를 감기위한 코드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d reel device for winding a cord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 및 코드릴 장치가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and a cord reel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main body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릴 장치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cord re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other purpose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체 110. 단자인입부100. Main Unit 110. Terminal Entry

120. 단자 200. 코드릴 장치120. Terminal 200. Cord reel device

210. 하우징 220. 콘센트210. Housing 220. Outle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5 to 7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시한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 및 코드릴 장치가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릴 장치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전원 인가장치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100) 적소에 전원 인가를 위한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 청소기와는 별도로써 상기 진공 청소기의 단자부 내에 결합 혹은 탈거 되어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코드릴 장치(20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and a cord reel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in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cord re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nother purpose, and the power supply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unit for applying power to a main body 100 of a vacuum cleaner, and the vacuum In addition to the cleaner, the cord reel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r removed from the terminal of the vacuum cleaner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apply power.

상기에서 단자부는 코드릴 장치(200)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진공 청소기의 후방 일측면에 형성된 단자인입부(110)와, 상기 단자인입부의 내부 전방측에 구비되어 진공 청소기의 각종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120)로 구성된다.The terminal unit is provided in the terminal retracting unit 110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cord reel device 200 can be selectively inserted, and the inner side of the terminal retracting unit is provided to power various components of the vacuum cleaner It consists of a terminal 120 for supplying.

상기에서 코드릴 장치(200)는 그 상단이 개방된 상태로써 단자부를 구성하는 단자인입부(110)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코드(211)를 권취시키는 코드릴(212)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어 코드(211)의 끝단에 형성된 코드단자(211a)가 더 이상 코드릴(212)의 내부에 감겨지지 않도록 상기 코드단자 보다는 그 높이 혹은 폭이 작게 관통 형성된 개구부(213)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어 단자인입부(110)의 내측 전방측에 구비된 단자(12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외부 전원을 상기 단자로 전달하는 콘센트(220)로 구성된다.The cord reel device 200 has a housing 210 that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let 110 constituting the terminal portion in an open state of the upper end thereof,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wind the cord 211. The cord reel 212 and the cord terminal 211a formed at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formed at the end of the cord 211 are no longer wound around the cord reel 212 so that the height or width thereof is higher than the cord terminal. The outlet 213 which is formed through the small opening 213 and the terminal 12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and selectively provid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terminal inlet 110 to deliver external power to the terminal 220 It is composed of

이 때, 상기 코드릴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210)의 전면에는 손잡이(214)를 형성함으로써 단자인입부(110) 내에 코드릴 장치(200)의 삽입 및 탈거를 사용자가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y forming a handle 214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210 constituting the cord reel device to allow the user to smoothly insert and remove the cord reel device 200 in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10). It is preferable.

상기에서 코드릴 장치(200)의 하우징(210) 내부에 구비되는 코드릴(212)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릴(22)의 구성과 동일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레버(215) 및 태엽스프링 (도시는 생략함)역시 동일하게 구성한다.The cord reel 212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10 of the cord reel device 200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cord reel 22 that is generally used, and an operation lever 215 and a spring for controlling the cord reel 22 are conventionally used. Springs (not shown) are also configured identically.

하지만, 상기에서 동작레버(215)는 종래 본체에 고정된 측판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릴 장치의 하우징(210) 상단 내측면에 형성한다.However, in the above operation lever 215 is not installed on the side plate fixed to the conventional main body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of the cord re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하우징이 단자인입부(110) 내에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단자인입부 내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동작레버(215)의 누름부(215a)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청소기의 본체(100) 외측에서도 누를 수 있어야 함에 따라 단자인입부(110)의 상단에는 본체(10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연통공(도시는 생략함)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공에는 그 내부를 따라 상, 하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누름부(215a)를 누를 수 있도록 버튼(101)을 장착한다.In addition, when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let 110, the pressing portion 215a of the operating lever 215, which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inlet 110, may be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0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inlet 11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ommunication hole is selectively moved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inside thereof. The button 101 is mounted to press the pressing portion 215a.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는 코드(211)가 코드릴(212)의 내부로 감기는 도중 엉킴이 발생하여 원활한 감김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종래 본체를 분해하여 엉킴을 해소하던 방법과는 달리 단순히 코드릴 장치(200)를 본체(100)로부터 탈거함으로써 엉킴의 해소를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rd 211 is simply a cord reel device unlike a method in which the cord 211 is disassembled while the cord 211 is wound inside the cord reel 212 and thus the coil is not disassembled to smooth the cord. The removal of the entanglement can be performed by removing the 200 from the main body 100.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원 인가장치에 따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청소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코드릴 장치(200)를 구성하는 하우징(210)을 본체(100)의 후방에 형성된 단자인입부(110)에 삽입한다.First,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housing 210 constituting the cord reel device 20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let 110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이 때, 상기 하우징은 그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콘센트(220)가 청소기 본체(100)의 단자인입부(11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210)의 후면이 단자인입부(110)의 전면에 접촉될 경우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된 콘센트(220)에 상기 단자인입부의 전면에 구비된 단자(120)가 상호 결합하여 통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housing allows the outlet 220 provided at the rear thereof to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let 110 of the cleaner body 100 so that the rear of the housing 210 is in front of the terminal inlet 110. When contacted, the terminal 12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inle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let 22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so as to achieve energization.

상기에서 단자(120) 및 콘센트(220)가 서로 정확히 결합될 수 있음은 하우징(210)이 단자인입부(110)에 삽입되었을 경우의 상호 위치를 고려하여 단자 및 콘센트를 각각 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The terminal 120 and the outlet 220 may be accurately coupled to each other by configuring the terminal and the outlet, respec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mutual position when the housing 21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let 110.

상기와 같이 하여 본체(100)와 코드릴 장치(200)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코드릴 장치의 코드릴(212) 내부에 감겨져 있는 코드(211)를 당겨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길이만큼 인출한다.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cord reel device 20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ord 211 wound inside the cord reel 212 of the cord reel device is pulled out to a length according to a user's needs.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한 코드(211)를 외부 전원단자(도시는 생략함)에 연결하여 진공 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로써 상기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vacuum cleaner is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cord 211 drawn out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terminal (not shown) and power is applied to the vacuum cleaner.

한편, 청소의 완료 후 코드(211)를 정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본체(100)의 상단에 장착된 버튼(101)을 누름으로써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clean up the code 211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leaning is possible by simply pressing the button 101 mount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100.

이는, 상기 버튼의 누름으로 인하여 버튼(101)의 하부에 위치된 동작레버(215)의 누름부(215a)가 상기 버튼에 의해 하부로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동작레버를 구성하는 마찰부(216)가 코드릴(212)을 구성하는 내부판(212a)의 둘레면으로부터 떨어져 태엽스프링(도시는 생략함)의 복원력에 의해 코드릴(212)이 회전하면서 코드(211)를 그 내부에 감게 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ressing portion 215a of the operation lever 215 positioned below the button 101 is pressed downward by the button due to the pressing of the button, and thus the friction portion constituting the operation lever ( The cord 211 is rotated while the cord reel 212 is rot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not shown) so that 216 is separate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late 212a constituting the cord reel 212. Because it become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코드(211)가 코드릴(212)에 감겨지는 과정에서 급작스러운 감김으로 인한 코드(211)의 엉킴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코드의 인출 및 인입을 반복하여 이를 해소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rd 211 is entangled due to a sudden winding in the process of the cord 211 is wound on the cord reel 212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ust repeat the withdrawal and retraction of the cord to solve it. .

하지만, 이와 같은 과정에도 불구하고 코드의 엉킴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본체(100)를 분해하지 않고 단순히 코드릴 장치(200)를 구성하는 하우징(210)의 손잡이(214)를 잡고 상기 하우징을 단자인입부(110) 내에서 탈거한 후 코드(211)를 적절히 정리하면 된다.However, if the tangle of the cord is not resolved despite such a process, the handle 214 of the housing 210 constituting the cord reel device 200 is simply held without disassembling the main body 100 as in the related art.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rrange | position the cord 211 suitably after removing a housing in the terminal lead-in part 110. FIG.

이 때, 탈거된 코드릴 장치(200)에 감겨져 있는 코드(211)의 정리는, 상기 코드릴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21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있음에 따라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the cord 211 wound on the detached cord reel device 200 may be possible as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210 constituting the cord reel device is in an open state.

한편,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의 사용이 아닌 다른 제품에 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품에 구비된 전원 코드(300)를 전원 단자(400)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면 되나, 상기 전원 코드의 길이가 짧아 전원 단자(400)에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릴 장치(200)를 단자인입부(110)로부터 탈거한 후 상기 제품에 구비된 전원 코드(300)를 코드릴 장치(200)에 구비된 콘센트(220)에 결합하고, 상기 코드릴 장치에 감겨져 있는 코드(211)를 필요한 길이만큼 풀어 전원 단자(400)에 연결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apply power to other products other than the use of a vacuum cleaner as shown in Figure 7, if the power cord 300 provided in the product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400 However, when the length of the power cord is short and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400, after removing the cord ree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terminal insertion unit 110, the power cord 300 provided in the product ) May be coupled to the outlet 220 provided in the cord reel device 200, and the cord 211 wound around the cord reel device may be unwound by a required length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400.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릴 장치(200)의 콘센트(220)는 단지 하나만 구비하여도 상관은 없으나 보다 광범위한 사용을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로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outlet 220 of the cord ree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only one,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as shown for a wider use.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릴 장치는 단순히 전기 청소기의 전원 인가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After all, the cord re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ferred to a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be used not only for power supply of the vacuum cleaner but also for various purpos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코드릴 장치를 선택적으로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코드의 엉킴 해소시 본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원활히 행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하게 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remove the cord reel constituting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cord can be smoothly removed without disassembling the main body, thereby eliminating consumer complaints.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진공 청소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만 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결단자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하게 된 효과 역시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supply the power of the vacuum cleaner but also configured to perform the role of th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Claims (3)

흡입력을 발생하여 각종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집진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In the vacuum cleane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collect foreign matters, such as various dust, 상기 진공 청소기의 적소에 전원 인가를 위한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 청소기와는 별도로써 상기 진공 청소기의 단자부 내에 결합 혹은 탈거 되어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코드릴 장치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전원 인가장치.Power supply of the vacuum cleaner having a terminal unit for applying power in place of the vacuum cleaner, and having a cord reel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apply power by being coupled to or removed from the terminal unit of the vacuum cleaner separately from the vacuum cleane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단자부는 코드릴 장치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진공 청소기의 후방 일측면에 형성된 단자인입부와,A terminal receptacl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cord reel device can be selectively inserted; 상기 단자인입부의 내부 전면에 구비되어 진공 청소기의 각종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전원 인가장치.And a terminal provided at an inner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inlet to supply power to various components of the vacuum clean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코드릴 장치는 그 상단이 개방된 상태로써 단자부를 구성하는 단자인입부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하우징과,The cord reel device includes a housing that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a terminal inlet portion constituting the terminal portion with an upper end thereof opened;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코드를 권취시키는 코드릴과,A cord reel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wind the cord;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어 단자인입부의 내측 전방측에 구비된 단자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외부 전원을 상기 단자로 전달하는 콘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전원 인가장치.The power supply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is provided in the rear of the housing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terminal provid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terminal inlet portion to transfer external power to the terminal.
KR10-1999-0033962A 1999-08-17 1999-08-17 device for power-supply in vacuum cleaner KR100539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962A KR100539517B1 (en) 1999-08-17 1999-08-17 device for power-supply in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962A KR100539517B1 (en) 1999-08-17 1999-08-17 device for power-supply in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41A true KR20010018141A (en) 2001-03-05
KR100539517B1 KR100539517B1 (en) 2005-12-29

Family

ID=1960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962A KR100539517B1 (en) 1999-08-17 1999-08-17 device for power-supply in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51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162A (en) * 2000-05-16 2001-11-29 가나이 쓰토무 Vacuum cleaner
US8146199B2 (en) 2007-06-01 2012-04-03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4640B1 (en) * 2010-01-14 2017-08-0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ing smart grid
KR101756243B1 (en) * 2015-08-31 2017-07-19 (주)폴스텍 Cord reel mounting distances than the length of the power line to the cleaning of the vacuum and wireless compati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202B1 (en) * 1997-09-08 1999-10-01 구자홍 Cord reel for vacuum clea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162A (en) * 2000-05-16 2001-11-29 가나이 쓰토무 Vacuum cleaner
US8146199B2 (en) 2007-06-01 2012-04-03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9517B1 (en)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0972B1 (en)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module
KR100539517B1 (en) device for power-supply in vacuum cleaner
KR100213362B1 (en) Locking device for power cord of vacuum cleaner
US20080282496A1 (en) Vacuum hose reel
JPH09103394A (en) Electric floor polisher
KR200167672Y1 (en) Structure for wind of cord in cord-reel device in vacuum cleaner
JP3504744B2 (en) Dual type vacuum cleaner
KR20010035708A (en) cord-reel device in vacuum cleaner
KR100435883B1 (en) A cord rewind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0372948Y1 (en) Cord reel for vacuum cleaner
KR20050028416A (en) Cord rewind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930007027Y1 (en) Cord winding device of vacuum cleaner
KR100190718B1 (en) A sales check
KR19990048509A (en) Cord reel device of vacuum cleaner
KR0128904Y1 (en) Power cord reel for vacuum cleaner
EP4226828A1 (en) Vacuum cleaner
KR20100004536A (en) A vacuum cleaner
KR20060024134A (en) Cord-reel device in vacuum cleaner
KR20180001047U (en) Gun-type vacuum cleaner having a cord reel
KR200182563Y1 (en) Apparatus for driving cord reel of vacuum cleaner
JPS62231612A (en) Electric cleaner
KR200323565Y1 (en) Button connecting structure of a power switch for a vacuum cleaner
KR100213364B1 (en) Locking device for power cord of vacuum cleaner
JPS58105732A (en) Electric cleaner with rotary brush
KR200353552Y1 (en) A structure of cord reel assembly i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