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741A -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741A
KR20010016741A KR1019990031821A KR19990031821A KR20010016741A KR 20010016741 A KR20010016741 A KR 20010016741A KR 1019990031821 A KR1019990031821 A KR 1019990031821A KR 19990031821 A KR19990031821 A KR 19990031821A KR 20010016741 A KR20010016741 A KR 20010016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alue
current
control unit
residual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5546B1 (ko
Inventor
조성민
장윤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54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무선전화기에서 통화중 배터리의 잔류용량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잔류용량 점검주기가 될 때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읽어들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현재의 수신신호의 세기값과 현재의 송신음성율을 검출하여 메모리로부터 등록되어 있는 상기 현재의 수신신호의 세기값과 현재의 송신음성율에 대응하는 전류소모에 따른 보상값을 읽어들인 후 이 보상값과 상기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가산하여 실제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산출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이동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METHOD FOR DISPLYING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MOBILE CORDLESS TELEPHONE}
본 발명은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무선전화기에서 통화중에 배터리의 잔류용량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무선전화기는 사용되어지는 배터리의 전압값을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서 읽어온 값을 기준으로 배터리의 잔류용량을 표시하였다. 그런데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진동상태나 사용자의 음성을 통화채널(Traffic Channel)로 전송하는 경우 또는 통화가 형성되는 경우 이동무선전화기는 순간적으로 과다한 전류를 소모하게 되어 아나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읽어들인 배터리의 잔류용량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통화대기상의 배터리 잔류용량 기준값과 통화중 배터리 잔류용량기준값을 분리하여 이를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한 후 통화중 읽어온 배터리 잔류용량값의 경우 통화중 배터리의 잔류용량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에따라 배터리 잔류용량을 이동무선 전화기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특히 CDMA방식을 이용한 셀룰라폰이나 개인휴대 통신시스템(PCS)에서는 전파의 수신신호세기(RSSI) 및 통화자의 음성상태에 따른 이동무선 전화기의 출력레벨(Tx Power Level) 및 송신음성율(Tx Voice Rate)이 변화하여 전류소모의 차이가 아날로그 방식이나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에 비하여 심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출력레벨에 따라 전류손실이나 송신음성율에 관한 보상을 고려하여 이동무선 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을 정확하게 표시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무선 전화기에서 통화중 배터리 잔류용량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신호의 세기 또는 송신음성율에 따라 배터리의 잔류용량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화중에 배터리 잔류용량 점검주기가 될 때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읽어들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현재의 수신신호의 세기값과 현재의 송신음성율을 검출하여 메모리로부터 등록되어 있는 상기 현재의 수신신호의 세기값과 현재의 송신음성율에 대응하는 전류소모에 따른 보상값을 읽어들인 후 이 보상값과 상기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가산하여 실제 배터링의 잔류용량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무선 전화기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무선 전화기의 블럭구성도이다.
제어부(100)는 이동무선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190)로부터 디지털화된 값을 읽어들여 송신전력레벨이나 수신신호의 세기(RSSI)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잔여용량을 연산하여 기호나 수치등의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130)는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 및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세기별 배터리 잔류용량 보상 알고리즘을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표기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상황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20)는 다수의 숫자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0)로 키입력데이터를 인가한다. RF처리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160)를 경유하여 수신한 수신신호를 강압(Down-Converting)시켜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음성신호신호처리부(150)은 마이크로폰(17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음성데이터로 변환하고, RF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18)을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아나로그/디지털변환부(190)는 배터리의 전압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으로 인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용량을 표시하기 위해서 이동무선 단말기의 제조자는 이동무선 전화기의 통화대기중에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한 배터리 잔류용량값은 이동무선 전화기의 표시부(110)에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무선 전화기를 통화상태로 하게 되면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이 통화 대기상태보다 급격한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으로 변화를 보이게 된다. 이때 변화된 배터리 잔류용량값을 통화 시 배터리의 보상값으로 하며, 이러한 실험의 반복으로 적정한 통화상태 및 보상값을 정하는 시간등의 기준값을 정해나갈 수 있다. 즉, 실제적으로 이동무선 전화기는 통화상태가 형성되면 급속한 전류소모를 보이다가 차차 회복되면서 통화상태 돌입 직후보다 약간 높은 잔류용량이 표시된다. 통화상태가 종료되면 배터리 잔류용량은 통화상태 돌입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통화상태에서 시간의 경과여부에 따라 일정수준의 전류소모가 된 후 잔류용량값이 표시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의 잔류용량을 표시한 상태에서 통화상태를 형성하면 HP8924(CDMA/PCS MOBILE STATION TEST SET)와 같이 CDMA/PCS기지국을 시뮬레이션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신호세기를 조정한 후 신호 세기를 바꾸었을 때 이동무선 전화기에서 배터리 잔류용량값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여 신호세기별로 변화하는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기록하여 놓으며, 이 값은 차후 신호세기에 의한 배터리 보상값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이동무선 전화기를 통화상태에서 송신음성율을 바꾸어 가면서 각 송신음성률에서의 배터리 잔류용량값의 변화를 기록하며, 이 값을 송신음성률에 따른 보상값으로 사용한다.
이와같이 신호세기별로 변화하는 배터리의 보상값과 송신음성률에 따른 배터리 보상값을 기록하여 놓은 후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정확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20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배터리 잔류용량 점검주기가 되었는가 검사하여 배터리 잔류용량 점검주기가 되었으면 2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제어부(10)는 A/D변환부(190)로부터 배터리 잔류용량을 읽어들여 메모리(130)의 특정영역에 저장하고 2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현재 이동무선 전화기가 통화상태에 있는지 검사하여 통화상태가 아니면 2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4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일반적인 배터리 잔류용량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203단계에서 통화상태이면 20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00)는 메모리(130)로부터 통화시의 보상값을 읽어들이고 2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6단게에서 제어부(100)는 RF처리부(140)로부터 수신신호의 세기(RSSI)값을 읽어들이고 20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RSSI값에 대한 배터리 전류소모보상값을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다. 그런 후 208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음성신호 처리부(150)로부터 현재의 송신음성률정보를 읽어들이고, 209단계로 진행하여 그 읽어들인 현재의 송신음성률(Tx Voice Rate)에 해당하는 전류소모 보상값을 메모리(130)로부터 읽어들인다. 여기서 수신신호의 세기(RSSI)와 송신음성율에 대한 보상값은 정확하게 적용되어야 하며, 이 값은 HP8024와 같은 시험장비를 이용하거나 실제 필드상에서 각각의 수신신호 및 송신음성율에 따른 배터리의 소모특성을 미리 특정한 다음 테이블화하여 메모리(130)에 기억시켜야 한다. 그런후 21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A/D변환부(190)로부터 읽어들인 배터리 잔류용량값과 통화상태의 보상값과 현재의 수신신호의 세기(rssi)에 대한 보상값 및 현재의 송신음성율에 해당하는 전류소보 보상값을 모두 가산하거나 필요한 일부만을 가산하여 배터리 잔류용량값을 산출하고 21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산출한 배터리 잔류용량값을 표시부(110)에 기호나 수치값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무선 전화기에서 현재의 수신신호의 세기와 송신음성율에 따른 전류소모량을 적용하여 현재의 배터리 잔류용량을 보상하므로 실제로 정확한 배터리의 잔류용량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이동무선 전화기에서 배터리의 잔류용량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잔류용량 점검주기가 될 때 현재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의 수신신호의 세기값과 현재의 송신음성율에 대응하는 전류소모에 따른 보상값에 의해 상기 현재 배터리 잔여용량값을 보상하여 실제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2. 이동무선 전화기에서 배터리의 잔류용량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잔류용량 점검주기가 될 때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읽어들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현재의 수신신호의 세기값과 현재의 송신음성율을 검출하여 메모리로부터 등록되어 있는 상기 현재의 수신신호의 세기값과 현재의 송신음성율에 대응하는 전류소모에 따른 보상값을 읽어들이는 과정과,
    현재의 수신신호의 세기값과 현재의 송신음성율에 따른 전류소모 보상값에 의해 상기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보상하여 실제 배터리의 잔류용량값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KR1019990031821A 1999-08-03 1999-08-03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KR100315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821A KR100315546B1 (ko) 1999-08-03 1999-08-03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821A KR100315546B1 (ko) 1999-08-03 1999-08-03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741A true KR20010016741A (ko) 2001-03-05
KR100315546B1 KR100315546B1 (ko) 2001-11-30

Family

ID=19606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821A KR100315546B1 (ko) 1999-08-03 1999-08-03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270B1 (ko) * 2000-12-21 200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270B1 (ko) * 2000-12-21 200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5546B1 (ko) 200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8941A (ko) 무선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293997B1 (ko) 무선단말기의상태표시방법
US6957091B1 (en) Portable multi-ba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ge consumption thereof
KR100662266B1 (ko)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 표시 방법
JP2012112866A (ja) 内部抵抗測定装置、電池残量測定装置、携帯端末および内部抵抗測定方法
EP1107548A2 (en) Battery changing method during call processing in wireless telephone set
JP3229050B2 (ja) ディジタル無線通信装置
KR100238529B1 (ko) 시분할 무선단말기의 배터리 전압 표시 방법
KR100315546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KR100594006B1 (ko) 무선 단말기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JP3059885B2 (ja) 携帯電話機のバッテリ残量検出装置
KR20010101724A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것의 전력 소비를 결정하는 방법
KR1007054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절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357862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KR2000006559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사용 예상 시간 표시 방법
KR20000044463A (ko) 무선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KR100295758B1 (ko) 무선단말기에서데이터서비스수행에따른데이터전송속도설정방법
KR100424624B1 (ko) 벨소리 제어 방법
KR9700018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통화단절상태 경고방법
KR970001871B1 (ko)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시키는 방법
JP2001036945A (ja) セルラーシステムおよび音声品質評価方法
KR20000044443A (ko)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11877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출력전력의 제어방법
KR100605976B1 (ko)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KR100790153B1 (ko)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