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754A -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754A
KR20010010754A KR1019990029809A KR19990029809A KR20010010754A KR 20010010754 A KR20010010754 A KR 20010010754A KR 1019990029809 A KR1019990029809 A KR 1019990029809A KR 19990029809 A KR19990029809 A KR 19990029809A KR 20010010754 A KR20010010754 A KR 20010010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sochronous
digital interface
point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4898B1 (ko
Inventor
장창환
조남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898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기기간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는 물론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의 내용도 손상없이 전달하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다수개의 기기들을 구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기 선택시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제 1 기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 2 기기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 수행 완료시 제 2 기기가 마스터가 되어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isochronous resource manager)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기기간의 접속시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한 후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는 물론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의 내용도 손상없이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nodes in digital interface}
본 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1394 시스템의 기기간 접속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1394 시리얼 버스(10)에 연결된 기기간의 연결정보를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출력하는 제 1 및 제 2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21)(22), 제 1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23)로 구성된 제 1 오디오/비디오 노드(20)와, 상기 1394 시리얼 버스(10)에 연결된 기기간의 연결정보를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출력하는 제 3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31), 제 2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32)로 구성된 제 2 오디오/비디오 노드(30)와, 상기 1394 시리얼 버스(10)에 연결된 기기간의 연결정보를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출력하는 제 4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41), 제 3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42)로 구성된 제 3 오디오/비디오 노드(40)와, 상기 1394 시리얼 버스(10)에 연결된 기기간의 연결정보를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출력하는 제 5 및 제 6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51)(52), 제 4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53)로 구성된 제 4 오디오/비디오 노드(50)와, 상기 1394 시리얼 버스(10)에 연결된 기기간의 연결정보를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출력하는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 출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62)로 구성된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는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에서 제 1 오디오/비디오 노드(20)로 포인트-투-포인트 접속(Point-to-Point connection) 또는 브러드캐스트 접속(broadcast connection)으로 아이소크로너스 데이터(isochronous data)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Channel)을 할당받은 후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내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와 제 1 오디오/비디오 노드(20)내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를 같은 포맷으로 출력 제어 플러그 레지스터(61)와 제 2 입력 제어 플러그 레지스터(22)에 기입한다.
즉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는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데이터(isochronous data)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내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온-라인(on-line) 비트와 제 2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22)의 온-라인(on-line) 비트에 "1"을 기입한다.
아울러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는 상기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내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 또는 브러드캐스트 접속 카운터(broadcast connection counter)에 기록한다.
그러면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에서 제 1 오디오/비디오 노드(20)로 아이소크로너스 데이터(isochronous data)가 상기 채널(Channel)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에서 제 2 및 제 4 오디오/비디오 노드(30)(40)로의 아이소크로너스 데이터(isochronous data)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기기들 사이에서 기기들을 원할히 연결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와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전달하는 명확한 방법이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품들마다 상호 다른 방법으로 연결을 시도하거나 연결된 기기를 끊을 때에 그 연결과 끊어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의 부적절한 전달은 물론 컨텐트 데이터 자체를 전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기기간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는 물론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의 내용도 손상없이 전달하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1394 시스템의 기기간 접속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적용되는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 수행 및 해제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적용되는 입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의 다른 특징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다수개의 기기들을 구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기 선택시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제 1 기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 2 기기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 수행 완료시 제 2 기기가 마스터가 되어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isochronous resource manager)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임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의 또다른 특징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제 1 기기와 수신장치인 제 2 기기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제 2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하여 디지털 인터페이스 키를 누를 경우 저장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연결 구성된 기기들을 인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으로부터 제 2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로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제 2 기기로부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 수행 완료시 제 2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1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임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의 또다른 특징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제 1 기기와 저장매체인 제 2 기기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그램 시청, 녹화 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디지털 인터페이스 키를 누를 경우 저장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연결 구성된 기기들을 인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으로부터 제 2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로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제 2 기기로부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재생(PLAY)을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 제 2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1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녹화(RECORD)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 제 2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1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임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의 또다른 특징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제 1 기기와 수신장치인 제 2 기기와 저장매체인 제 3 기기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그램 시청, 녹화 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디지털 인터페이스 키를 누를 경우 저장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연결 구성된 기기들을 인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으로부터 제 2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로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제 2 기기로부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 수행 완료시 제 2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1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재생(PLAY)을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 제 3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제 1 기기로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녹화(RECORD)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 제 3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1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제 2 기기로 수신되는 프로그램의 녹화(RECORD)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 제 3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2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임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기기간의 접속시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한 후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는 물론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의 내용도 손상없이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a 는 DTV(101)와 STB(102)가 1394 케이블로 연결 구성된 도면이며, 도 2b 는 DTV(201)와 D-VHS(202)이 1394 케이블로 연결 구성된 도면이고, 도 2c 는 DTV(301), STB(302) 및 D-VHS(303)이 1394 케이블로 연결 구성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적용되는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 수행 및 해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적용되는 입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먼저, 사용자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DTV(101)를 통해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94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하여 DTV(101) 또는 리모컨(미도시)에 구비된 1394 키를 누르면 DTV(101)는 저장된 현재 1394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을 인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DTV(101)는 1394 케이블로 연결된 다수개의 기기들을 전원 온시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STB(102)를 선택하면 DTV(101)는 상기 STB(102)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맺은 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전송한다.
즉, DTV(101)내 제어부(101a)는 상기 STB(102)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맺기 위해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OSD) 데이터 처리부(101b)로 얼로케이트 커맨드 프레임(ALLOCATE command frame)을 전송한 후 상기 OSD 데이터 처리부(101b)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얼로케이트 리스펀스 프레임(ALLOCATE response frame)을 전송받는다.
이어 DTV(101)는 얼로케이트 어태치 커맨드 프레임(ALLOCATE_ATTACH command frame)을 프로듀서(102)로 전송한 후 상기 프로듀서(102)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얼로케이트 어태치 리스펀스 프레임(ALLOCATE_ATTACH response frame)을 전송받는다.
여기서 프로듀서(102)는 STB(102)이다.
그러면 DTV(101)내 제어부(101a)는 상기 얼로케이트 어태치 리스펀스 프레임(ALLOCATE_ATTACH response frame)에 따라 어태치 커맨드 프레임(ATTACH command frame)을 OSD 데이터 처리부(101b)로 전송한 후 상기 OSD 데이터 처리부(101b)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어태치 리스펀스 프레임(ATTACH response frame)을 전송받는다.
이어 DTV(101)는 상기 STB(102)로 리미트카운트 업데이트(limitCount update)(run=1)한 후 상기 STB(102)로부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전송받는다.
이어 STB(102)는 상기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 수행 완료시점에서 마스터가 된 후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전송하기 위하여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isochronous resource manager)(미도시)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한다.
즉, STB(102)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오버헤드 아이디(overhead id) 및 페이로드(payload)값을 기록한 후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킨다.
아울러 STB(102)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DTV(101)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켜 수신되는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STB(102)는 수신되는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소스(source) 노드가 되고, DTV(101)는 상기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되는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수신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노드가 된다.
그러면 DTV(101)는 상기 STB(101)로부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통해 출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1394 케이블을 통해 STB(102)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의 시청중 또는 시청 완료후 접속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1394 키를 누르면 DTV(101)는 상기 STB(102)와의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해제한다.
즉, DTV(101)내 제어부(101a)는 상기 STB(102)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해제하기 위해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태치 커맨드 프레임(DETACH command frame)을 OSD 데이터 처리부(101b)로 전송한 후 상기 OSD 데이터 처리부(101b)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디태치 리스펀스 프레임(DETACH response frame)을 전송받는다.
이어 DTV(101)는 상기 디태치 리스펀스 프레임(DETACH response frame)에 따라 디태치 릴리스 커맨드 프레임(DETACH_RELEASE command frame)을 프로듀서(102)인 STB(102)로 전송한 후 상기 STB(102)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디태치 릴리스 리스펀스 프레임(DETACH_RELEASE response frame)을 전송받는다.
이어 DTV(101)내 제어부(101a)는 상기 디태치 릴리스 리스펀스 프레임(DETACH_RELEASE response frame)에 따라 릴리스 커맨드 프레임(RELEASE command frame)을 OSD 데이터 처리부(101b)로 전송한 후 상기 OSD 데이터 처리부(101b)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릴리스 리스펀스 프레임(RELEASE response frame)을 전송받아 상기 STB(102)와의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STB(102)는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isochronous resource manager)로부터 할당받은 채널과 밴드위스를 반환한 후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킨다.
그리고 STB(102)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DTV(101)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켜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해제한다.
제 2 실시예
먼저, 사용자가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DTV(201)를 통해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94 케이블을 통해 D-VHS(201)에 녹화하고자 할 경우 또는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재생하기 위하여 DTV(201) 또는 리모컨(미도시)에 구비된 1394 키를 누르면 DTV(201)는 저장된 현재 1394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을 인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DTV(201)는 1394 케이블로 연결된 다수개의 기기들을 전원 온시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D-VHS(202)를 선택하면 DTV(201)는 상기 D-VHS(202)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맺은 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전송한다.
즉, DTV(201)는 상기 D-VHS(202)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맺는 과정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과정과 동일하며 다만 프로듀서(202)가 D-VHS(202)라는 것만이 다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이 맺어지면 D-VHS(202)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상기 DTV(201)로 전송한다.
그러면 DTV(201)는 상기 D-VHS(202)에서 전송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재생(PLAY)"와 "녹화(RECORD)"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가 "재생(PLAY)"를 선택하면 D-VHS(202)는 마스터가 된 후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재생하여 전송하기 위하여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isochronous resource manager)(미도시)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한다.
즉, D-VHS(202)는 상기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재생하려고 할 경우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오버헤드 아이디(overhead id) 및 페이로드(payload)값을 기록한 후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킨다.
아울러 D-VHS(202)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DTV(201)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켜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한다.
그러면 DTV(201)는 상기 STB(101)로부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통해 출력된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즉 상기 D-VHS(202)는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소스(source) 노드가 되고, DTV(201)는 상기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되는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수신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노드가 된다.
또한, 사용자가 녹화(record)를 선택하면 D-VHS(202)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DTV(101)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오버헤드 아이디(overhead id) 및 페이로드(payload)값을 기록한 후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킨다.
아울러 D-VHS(202)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킨 후 상기 DTV(201)로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녹화한다.
즉 상기 DTV(202)는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소스(source) 노드가 되고, DTV(201)는 상기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되는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수신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노드가 된다.
이후 사용자가 1394 케이블을 통해 D-VHS(202)로 녹화되는 프로그램 또는 D-VHS(202)로부터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시청중 또는 시청 완료후 접속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1394 키를 누르면 DTV(201)는 상기 D-VHS(202)와의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해제한다.
즉, DTV(201)는 상기 D-VHS(202)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해제하는 과정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과정과 동일하며 다만 프로듀서(202)가 D-VHS(202)라는 것만이 다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D-VHS(202)는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재생중일 경우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킨다.
아울러 D-VHS(202)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DTV(201)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켜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해제한다.
또한, D-VHS(202)는 시청중인 프로그램을 녹화중일 경우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DTV(201)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킨다.
아울러 D-VHS(202)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켜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해제한다.
제 3 실시예
먼저, 사용자가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DTV(301)를 통해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94 케이블을 통해 D-VHS(303)에 녹화하고자 할 경우, STB(302)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을 녹화하려고 할 경우 또는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재생하기 위하여 DTV(201) 또는 리모컨(미도시)에 구비된 1394 키를 누르면 DTV(201)는 저장된 현재 1394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을 인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DTV(301)는 1394 케이블로 연결된 다수개의 기기들을 전원 온시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D-VHS(303)를 선택하면 DTV(301)는 STB(302)를 통해 상기 D-VHS(303)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맺은 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STB(302)는 리피터(repeater)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DTV(301)는 상기 D-VHS(303)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맺는 과정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과정과 동일하며 다만 프로듀서(302)가 D-VHS(303)라는 것만이 다르다.
그러면 DTV(301)는 상기 STB(302)를 통해 D-VHS(303)에서 전송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재생(PLAY)"와 "녹화(RECORD)"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가 "재생(PLAY)"를 선택하면 D-VHS(303)는 마스터가 된 후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재생하기 위하여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isochronous resource manager)(미도시)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한다.
즉, 상기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재생하려고 할 경우 D-VHS(303)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오버헤드 아이디(overhead id) 및 페이로드(payload)값을 기록한 후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킨다.
아울러 D-VHS(303)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DTV(301)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켜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한다.
그러면 DTV(301)는 상기 STB(302)로부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통해 출력된 D-VHS(303)에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재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즉 상기 D-VHS(303)는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소스(source) 노드가 되고, DTV(301)는 상기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되는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수신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노드가 된다.
또한, 사용자가 녹화(record)를 선택하면 D-VHS(303)는 녹화할 소스를 메뉴형태 즉 "DTV"와 "STB"를 상기 DTV(301)로 전송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DTV"를 선택하면 D-VHS(303)는 마스터가 된 후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DTV(301)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오버헤드 아이디(overhead id) 및 페이로드(payload)값을 기록한 후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킨다.
아울러 D-VHS(303)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킨 후 상기 DTV(101)로부터 수신되는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녹화한다.
즉 상기 DTV(301)는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소스(source) 노드가 되고, D-VHS(302)는 상기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되는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수신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노드가 된다.
한편, 사용자가 "STB"를 선택하면 D-VHS(303)는 마스터가 된 후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STB(301)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오버헤드 아이디(overhead id) 및 페이로드(payload)값을 기록한 후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킨
아울러 D-VHS(303)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채널 넘버(channel number)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증가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온시킨 후 상기 STB(302)로부터 수신되는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녹화한다.
즉 상기 STB(302)는 수신도는 프로그램의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소스(source) 노드가 되고, D-VHS(303)는 상기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통해 출력되는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수신하는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노드가 된다.
이후 사용자가 1394 케이블을 통해 DTV(301)로부터 또는 STB(302)로부터 D-VHS(303)로 녹화되는 프로그램 또는 D-VHS(303)로부터 재생중인 프로그램의 시청중 또는 시청 완료후 접속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1394 키를 누르면 DTV(301)는 상기 D-VHS(303)와의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해제한다.
즉, DTV(201)는 상기 D-VHS(202)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해제하는 과정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과정과 동일하며 다만 프로듀서(202)가 D-VHS(202)라는 것만이 다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D-VHS(303)는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isochronous resource manager)로부터 할당받은 채널과 밴드위스를 반환한 후 저장된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재생중일 경우 D-VHS(302)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킨다.
아울러 D-VHS(303)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DTV(301)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켜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해제한다.
또한, D-VHS(303)는 상기 DTV(301)로 시청중인 프로그램을 녹화중일 경우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DTV(301)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킨다.
아울러 D-VHS(303)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켜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해제한다.
또한, STB(302)로부터 D-VHS(303)로 녹화를 한 경우 D-VHS(303)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STB(302)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킨다.
아울러 STB(302)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자신의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값을 '1'감소시키고, 온라인 비트(on-line bit)를 오프시켜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인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해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기기간의 접속시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한 후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는 물론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의 내용도 손상없이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다수개의 기기들을 구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기 선택시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제 1 기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 2 기기와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 수행 완료시 제 2 기기가 마스터가 되어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isochronous resource manager)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엠펙 스트림과 같은 컨텐트 데이터(Contents data)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3.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제 1 기기와 수신장치인 제 2 기기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제 2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하여 디지털 인터페이스 키를 누를 경우 저장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연결 구성된 기기들을 인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으로부터 제 2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로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제 2 기기로부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 수행 완료시 제 2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1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5.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제 1 기기와 저장매체인 제 2 기기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그램 시청, 녹화 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디지털 인터페이스 키를 누를 경우 저장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연결 구성된 기기들을 인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으로부터 제 2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로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제 2 기기로부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재생(PLAY)을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 제 2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1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녹화(RECORD)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 제 2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1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7.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제 1 기기와 수신장치인 제 2 기기와 저장매체인 제 3 기기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그램 시청, 녹화 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디지털 인터페이스 키를 누를 경우 저장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연결 구성된 기기들을 인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으로부터 제 2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제 1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로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제 2 기기로부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어싱크로너스 커넥션(asynchronous connection) 수행 완료시 제 2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1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재생(PLAY)을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 제 3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제 1 기기로 시청중인 프로그램의 녹화(RECORD)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 제 3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1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On Screen Display data)중 제 2 기기로 수신되는 프로그램의 녹화(RECORD)를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경우 제 3 기기가 마스터가 된 후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채널과 밴드위스를 할당받은 후 제 2 기기와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을 수행하여 아이소크로너스 트랜스미션(isochronous transmission)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커넥션(isochronous connection)은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KR1019990029809A 1999-07-22 1999-07-22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KR100304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09A KR100304898B1 (ko) 1999-07-22 1999-07-22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09A KR100304898B1 (ko) 1999-07-22 1999-07-22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754A true KR20010010754A (ko) 2001-02-15
KR100304898B1 KR100304898B1 (ko) 2001-11-01

Family

ID=1960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809A KR100304898B1 (ko) 1999-07-22 1999-07-22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71A (ko) * 2001-09-06 2003-03-15 주식회사 아이웹션코리아 네트워크 기반의 의류 패턴 교육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71A (ko) * 2001-09-06 2003-03-15 주식회사 아이웹션코리아 네트워크 기반의 의류 패턴 교육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4898B1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4500B2 (en)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nodes in digital interface
US8903523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audi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91882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CN102170547A (zh) 通信设备、通信控制方法以及程序
US744806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signal path
US7310808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enabling the selection and mixing of multiple streams of audio/video data from multiple sources within a receiving device allowing external control
KR100304898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KR20010053498A (ko) 텔레비전 수상기상에 디스플레이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비디오 레코더에 의하여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셋톱박스
KR20010018893A (ko)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기기간 접속 제어방법
JP2002223482A (ja) ネットワークリモート制御装置、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