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703A -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703A
KR20010010703A KR1019990029738A KR19990029738A KR20010010703A KR 20010010703 A KR20010010703 A KR 20010010703A KR 1019990029738 A KR1019990029738 A KR 1019990029738A KR 19990029738 A KR19990029738 A KR 19990029738A KR 20010010703 A KR20010010703 A KR 20010010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air purifier
pump
spr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1567B1 (ko
Inventor
최철원
Original Assignee
최봉락
강남필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락, 강남필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봉락
Priority to KR1019990029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567B1/ko
Priority to KR2019990018072U priority patent/KR200169339Y1/ko
Publication of KR2001001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속에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복수개의 여과필터가 다단으로 설치되고, 그 전면으로는 여과필터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세정하도록 체인의 이송방향에 따라 좌우 왕복구동되는 물공급관으로 부터 다수의 제 1 물분사노즐이 분기되어 있는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메인관의 일정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물이송관과; 물저장탱크로 부터 물을 펌핑하여 물이송관으로 공급하는 제 2 펌프와; 상기 물이송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물이송관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안개형상으로 하향 분사시켜 여과필터로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상기 분사되는 물에 의해 포집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 2 물분사노즐과; 제 2 물분사노즐에서 분사된 물을 받기위해 하우징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물받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여 공기정화기의 정화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여과필터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Impuritis removal device of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정화기의 정화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여과필터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널이나 지하철, 공장, 백화점 및 병원등의 다중 이용시설의 경우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실내의 공기속에 포함되어지게 되는 기름먼지, 수분 및 분진등은 공기정화장치에 구비된 여과필터를 통과하면서 걸러진 후 재공급되므로써 실내공기가 항상 깨긋함을 유지하게 되는데, 시간이 경고하면 여과필터가 막혀 여과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여과필터의 주기적인 세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세척장치가 구비된 공기정화기(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6220호)를 출원한바 있다.
상기와같은 공기정화기는 전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속의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복수개의 여과필터를 다단으로 설치하고, 이 여과필터들에 물을 분사시켜 여과필터에 묻어있는 이물질들을 세정해주기 위한 물분사노즐이 체인기구와 안내봉에 의해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물공급관으로 부터 복수개 분기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공기정화기에 의하면, 여과필터에 묻게되는 이물질을 일정주기마다 효과적으로 세정해줄 수 있으나 여과필터에 포집되는 HC가스는 여과필터에 물이 분사되더라도 잘 세정되지 않게되어 여과필터가 막혀 결국에는 폐기처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상기 HC가스는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CO, HC, NOx, SOx)중의 하나로서 햇빛의 작용으로 NOx와 반응하여 PAN(Peroxyacetic nitrate)과 O3와 같이 눌에 통증을 일으키는 각종 산화물을 만들어내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며, 이러한 HC가스는 여과필터에 포집되면 물에의해 잘 세척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필터를 세정하더라도 여과필터에 HC가 포집된 상태로 남게되어 결국에는 여과필터가 막히게되어 폐기처분해야만 하며, 이로인해 여과필터의 수명이 현저히 떨어짐과 동시에 공기정화기 전체의 공기정화특성이 감소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공기정화기의 후면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물을 분무하여 여과필터에 포집되면 잘 세정되지 않는 HC성분이 여과필터에 포집되기 전에 미리 제거시키므로서, 공기정화기의 정화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여과필터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복수개의 여과필터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전면으로는 여과필터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세정하도록 체인의 이송방향에 따라 좌우 왕복구동되는 물공급관으로 부터 다수의 제 1 물분사노즐이 분기되어 있는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물을펌핑하여 급송하는 제 2 펌프와;
일단이 상기 펌프의 토출구측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으로 부터 수평으로 분기된 다수의 물이송관과;
상기 물이송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물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안개형상으로 하향 분사시켜 안개커튼(물분사막)을 형성하므로써 안개커튼을 통과하는 송풍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상기 분사되는 물에 의해 포집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 2 물분사노즐과;
상기 제 2 펌프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며, 제 2 물분사노즐에서 분사된 물을 받기위해 하우징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물받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물분사노즐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메인관 21 : 물이송관
22 : 펌프 23 : 물분사노즐
24 : 물받이 25 : 물저장탱크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기정화기는 전후면이 개방된 4각틀 형상의 하우징(1) 내에 복수개의 여과필터(2)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필터(2)는 하우징(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3)에 하단에 지지되어 경사지도록 뉘어져 설치되며, 하우징(1)의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송풍공기속에 포함된 먼지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양측벽의 중간 위치쯤에 스프라켓(4,5,6)과 체인(7) 및 정역구동모터(8)등으로 구성된 체인기구가 하우징(1)의 중간 가로선상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체인(7)과 평행하게 하우징(1)의 상하부에는 안내봉(9)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인(7)의 인장측 또는 이완측의 한 지점에는 수직으로 입설되는 물공급관(10)이 고정되고, 물공급관(10)의 상하단부에는 상기 안내봉(9)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끼워지므로써 안내봉(9)의 안내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부(1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관(10)의 일단은 물공급호스(12)를 통하여 제 1 펌프(13)측에 접속되고, 각 단 위치상에 놓여진 여과필터(2)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 1 물분사노즐(14)이 수직으로 입설된 물공급관(10)으로 부터 여과필터(2)측으로 돌출하도록 분기접속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의 일면 일측으로는 메인관(20)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고, 이 메인관(20)의 상측으로 부터 하측까지 일정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물이송관(2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이송관(21)에는 물이송관(21)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을 하향 분사시켜 여과필터(2) 측으로 이송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특히, HC가 분사되는 물에 의해 포집되어 물과함께 하측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 2 물분사노즐(2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제 2 물분사노즐(23)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에 하측으로 향하도록 다수의 분사구멍(23a)이 형성되어 물이 분사구멍(23a)을 통해 부채꼴모양을 이루며 하방으로 안개커텐과 같이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구멍(23a)은 그 형성간격을 매우 조밀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의 하측에는 일정양의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탱크(25)가 형성되어 있고, 메인관(20)의 일정위치에는 물저장탱크(25)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메인관(20)을 통해 물이송관(21)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제 2 펌프(2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의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제 2 물분사노즐(23)에서 직하방으로 분사되는 물이 받아지도록 하는 물받이(24)를 형성하였으며, 물받이(24)에 받아진 물은 여과과정을 거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가 가동되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킴에 따라 하우징(1) 내에 설치된 각각의 여과필터(2)에 먼지 또는 HC 가스와 같은 이물질이 포집되면서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제 2 펌프(22)가 동작하여 물저장탱크(25)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펌핑하여 물이송관(21)으로 공급하면, 물이송관(21)으로 공급된 물이 제 2 물분사노즐(23)을 통해 직하방으로 분사되는데, 이때 분사되는 물은 안개형상으로 분사되어 하나의 안개커튼을 이루게된다.
상기 제 2 물분사노즐(23)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여과필터(2) 측으로 이동하는 송풍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물과함께 하측의 물받이(24)로 떨어져 제거되는 것이다.
즉,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분진은 제 2 물분사노즐(23)에서 분사되는 물과 충돌하면서 미세 분진이 수분을 포함하게되고, 이에의해 분진들이 서로 뭉쳐지게되어 분진의 크기가 커지므로서, 물과함께 하측으로 떨어져 제거되는 것이며, 또한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HC가스 또한 제 2 물분사노즐(23)에서 분사되는 물에 포집되어 하측의 물받이(24)로 떨어져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물분사노즐(23)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제거되는 HC의 양은 공기중에 포함되어있는 전체의 양중 50% 정도에 해당하며, 상기 제 2 물분사노즐(23)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나머지 50%의 HC가스는 여과필터(2)에 포집된 후 제 1 펌프(13)에 의해 펌핑되어 제 1 물분사노즐(14)에서 여과필터(2)로 분사되는 물에의해 씻겨져 완전히 제거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물분사노즐(23)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여과필터(2)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용성가스(아세틸렌, 암모니아, 아황산가스 , 에틸렌, 염소, 일산화탄소 등)가 녹으면서 물과함께 하측의 물받이(24)로 모아지게되므로서,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용성가스 또한 제거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공기정화기의 후면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물을 분무하여 여과필터에 포집되면 잘 세정되지 않는 HC성분이 여과필터에 포집되기 전에 미리 제거시키므로서, 공기정화기의 정화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여과필터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물이 안개형상으로 미세하게 분사되므로 지하철역과같은 지하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게되면 지하공간에 충분한 습기가 공급되므로 가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용성가스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정화효율이 한층더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전후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복수개의 여과필터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전면으로는 여과필터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세정하도록 체인의 이송방향에 따라 좌우 왕복구동되는 물공급관으로 부터 다수의 제 1 물분사노즐이 분기되어 있는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물을펌핑하여 급송하는 제 2 펌프와;
    일단이 상기 펌프의 토출구측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으로 부터 수평으로 분기된 다수의 물이송관과;
    상기 물이송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물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안개형상으로 하향 분사시켜 안개커튼(물분사막)을 형성하므로써 안개커튼을 통과하는 송풍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상기 분사되는 물에 의해 포집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 2 물분사노즐과;
    상기 제 2 펌프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며, 제 2 물분사노즐에서 분사된 물을 받기위해 하우징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물받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정화기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19990029738A 1999-07-22 1999-07-22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311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738A KR100311567B1 (ko) 1999-07-22 1999-07-22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9990018072U KR200169339Y1 (ko) 1999-07-22 1999-08-28 포그 젯트 데미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738A KR100311567B1 (ko) 1999-07-22 1999-07-22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072U Division KR200169339Y1 (ko) 1999-07-22 1999-08-28 포그 젯트 데미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703A true KR20010010703A (ko) 2001-02-15
KR100311567B1 KR100311567B1 (ko) 2001-11-03

Family

ID=1960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738A KR100311567B1 (ko) 1999-07-22 1999-07-22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01A1 (ko) * 2014-12-10 2016-06-16 베델바이오테크 공기정화 및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식물재배장치
CN115355168A (zh) * 2022-10-24 2022-11-18 烟台中宇航空液压有限公司 一种多齿轮液压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616B1 (ko) * 2007-11-05 2009-02-13 (주)워터 아이엠에스 협잡물 거름용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01A1 (ko) * 2014-12-10 2016-06-16 베델바이오테크 공기정화 및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식물재배장치
KR20160070551A (ko) * 2014-12-10 2016-06-20 주식회사 베델바이오테크 공기정화 및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식물재배장치
CN115355168A (zh) * 2022-10-24 2022-11-18 烟台中宇航空液压有限公司 一种多齿轮液压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1567B1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122B1 (ko) 가축 축사의 배기 정화를 위한 배기 정화 장치 및 방법
KR100989563B1 (ko) 탈취탑 및 이를 이용한 악취 가스 탈취 방법
JP4722070B2 (ja) トンネル粉塵・排気ガス等の清浄装置
KR100613264B1 (ko)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EP2433698A1 (en) Wet air cleaner
KR102093121B1 (ko)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KR100717430B1 (ko)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KR20070075657A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KR102047210B1 (ko) 복합탈취장치
KR100311567B1 (ko) 공기정화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5314972A (ja) トンネル坑内空気浄化装置及び坑内空気換気方法
WO2007023749A1 (ja) 脱臭装置及び脱臭方法
KR200169339Y1 (ko) 포그 젯트 데미스터
CN214778903U (zh) 一种输送带三级自动清理装置
KR101186809B1 (ko) 터널 공사용 습/건식 겸용 이동식 집진기
KR200425371Y1 (ko)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KR0140043Y1 (ko) 공기정화용 에어필터의 이물질 제거장치
GB2347846A (en) Vehicle wheel washing apparatus
KR200203798Y1 (ko) 공기 정화용 자동 세정 및 재생식 에어 필터의 이물질제거장치
KR200314830Y1 (ko) 물과 압축공기를 이용한 용.폐수 절감형 자동세정형공기여과장치
KR200298489Y1 (ko) 초음파 자동 세정식 공기 정화장치
KR200278984Y1 (ko) 공기 정화용 자동 재생형 공기 필터 장치
KR100557252B1 (ko) 무세제 사용 및 동결방지 공기정화용 자동세정형공기여과장치
CN210009771U (zh) 沥青乳化剂生产车间空气净化装置
CN219072574U (zh) 一种利用文丘里喷射器多级吸收工业废气吸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