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471A -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471A
KR20010010471A KR1019990029371A KR19990029371A KR20010010471A KR 20010010471 A KR20010010471 A KR 20010010471A KR 1019990029371 A KR1019990029371 A KR 1019990029371A KR 19990029371 A KR19990029371 A KR 19990029371A KR 20010010471 A KR20010010471 A KR 20010010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image data
web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유수
Original Assignee
안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유수 filed Critical 안유수
Priority to KR101999002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0471A/ko
Publication of KR20010010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4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인터넷 통신수단에 의해서 접속되는 운영자 서버부와, 키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모뎀부, 메모리부 하드 드라이드 및 이들을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부를 갖는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과,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입력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신호 입력수단과, 상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스 머신을 통해 상기 운영자 서버부에 접속되어 저장수단, 편집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 및 편집수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는 영상제어 유니트와, 상기 영상제어 유니트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각종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화상재처리부가 작동되면 상기 램으로부터 제 1,2영상 데이터를 불러와 편집 및 합성처리함으로써 인터넷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다운로드받은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영상과 빠르고 간편하게 편집,합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Web Kiosk imag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에 별도의 영상제어 유니트를 접속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상에서 제공받은 소정 영상 데이터와 디지털 카메라 또는 스캐너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영상제어 유니트의 작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두 영상 데이터를 합성 및 편집처리한 후 CD 또는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영상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어떤 인물이나 사물의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의 특정 패턴을 또다른 대상물의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과 합성시키는 영상 합성처리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바, 이러한 기술은 현재 CF 광고촬영 또는 특수효과를 필요로 하는 영화촬영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영상합성 처리기술은 우선, 영상합성장비자체가 고가이며, 장비 사용시에도 상당한 전문성이 요구된다.
또한, 영상물을 합성처리를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가격 역시 상당한 고가이므로 개인적으로 자기가 원하는 영상을 서로 합성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영상합성에 위한 전문기술을 흡득하고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감수해야 했다.
이러한 영상합성의 적용예로는 노래방용 영상합성 시스템을 들 수 있는데, 최근에 와서 노래방 등의 장소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배경화면에 사용자의 노래하는 모습을 합성하여 모니터상으로 디스플레이시켜주는 기술이 실제로 상품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단순히 몇가지 정지화상에 동영상을 합성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그 활용분야가 극히 한정되는 제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 와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이용이 확산되면서 가정이나 직장에서 누구나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검색시스템 또한 획기적으로 발전하게 되어 정보를 획득하는 장소가 가정이나 사무실 등 일정된 장소에 한정되지 않고 공공장소, 편의시설, 거리 등 언제, 어디서, 누구라도(Any Time, Any Where, Any One)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요구에 의해 출현한 것이 웹키오스크(Web Kiosk)인데, 이러한 웹키오스크(Web Kiosk)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정보 검색과 웹터치(Web toutch) 네비게이션으로 무인정보단말기를 통해 대다수의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손쉽게 제공해준다.
그러나, 아직까지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을 이용하여 인터넷의 각 서버들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동영상, 그래픽 및 문자 정보를 영상 데이터 베이스화하여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여 영상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한 후 고객의 설정 및 선택에 따라 짧은 시간내에 간편하게 영상을 합성, 편집하여 소정 기록/저장 매체로 출력하는 기술은 아직 부재한 실정이다.
즉,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CF 광고 또는 영화 촬영시에 사용되는 영상합성장비 및 소프트웨어는 너무 고가이고 조작방법이 복잡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인터넷의 웹브라우저 탐색시 실시간으로 각종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다른 영상 데이터과 합성, 편집처리할 수 있도록 인터넷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을 합성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각종 동영상 및 정지영상 정보를 탐색하고, 탐색되어 다운로드된 각종 영상 데이터들중 선택된 영상 데이터과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및 이미지 파일(사진, 문자, 그림 등)의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새로운 영상 편집물로 만든 후 CD 또는 여타의 기록매체(테이프, 인쇄물 포함)의 형태로 언제, 어디서, 누구라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사상은 인터넷 통신수단에 의해서 접속되는 운영자 서버부와, 키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모뎀부, 메모리부 하드 드라이드 및 이들을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부를 갖는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과,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입력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신호 입력수단과, 상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스 머신을 통해 상기 운영자 서버부에 접속되어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저장수단의 영상 데이터를 합성, 편집하는 편집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 및 편집수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는 영상제어 유니트와, 상기 영상제어 유니트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CD, 테이프, 인쇄물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발명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을 이용한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전체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제어 유니트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제어 시스템에 의해 처리되는 전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제어 유니트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제어 프로그램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키입력부를 이루는 터치스크린의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터치스크린에서 검색메뉴가 선택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화면에서 광고 CF버튼이 선택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도 9의 화면에서 PCS버튼이 선택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설명〉
1 :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 2 : 영상제어 유니트
3 : 운영자 서버부 4 : 통신채널
10 : 디스플레이부 11 : 키입력부(터치스크린)
12 : 메모리부 13 : 모뎀부
14 : 하드 드라이브 15 : 컴퓨터 제어부
16 : 디지털 카메라 17 : 스캐너
18 : 출력수단 19 : 영상신호 입력수단
20 : 입/출력 포트부 21 : 통신 인터페이스부
22 : 롬 23 : 램
24 : 마이크로 프로세서 25 : 화상재처리부
26 : 사용료 정산/발매 제어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을 이용한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제어 시스템 전체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제어 유니트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제어 시스템에 의해 처리되는 전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제어 유니트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제어 프로그램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키입력부를 이루는 터치스크린의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터치스크린에서 검색메뉴가 선택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화면에서 광고 CF버튼이 선택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도 9의 화면에서 PCS버튼이 선택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통신수단에 의해서 접속되는 운영자 서버부(3)와, 디스플레이부(10), 키입력부(11), 모뎀부(13), 메모리부(12), 하드 드라이드(14) 및 이들을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부(15)를 갖는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1)과,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입력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신호 입력수단(19)과, 상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스 머신(1)을 통해 상기 운영자 서버부(3)에 접속되어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23)과,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19)에 의해 제공되는영상 데이터와 상기 램(23)의 영상 데이터를 합성, 편집하는 화상재처리부(25) 및 상기 램(23) 및 화상재처리부(25)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4)를 갖는 영상제어 유니트(2)와, 상기 영상제어 유니트(2)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CD, 테이프, 인쇄물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18)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키입력부(11)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웹 브라우저 탐색시 메모리부(12)에 다운로드되는 각종 영상 데이터 중 선택된 제 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19)에 의해 제공된 영상 데이터들 중 선택된 제 2 영상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편집수단은 상기 제 1영상 데이터 및 제 2영상 데이터를 합성 편집처리하는 화상재처리부(2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영상제어 유니트(2)에는 영상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 프로그램이 탑재되어있는 롬(22)과, 상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1)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와, 입/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출력하는 입/출력 포트부(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1)에 구비되는 하드 드라이브(14)는 각종 동영상 및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압축해제하는 웹 브라우저 및 프록시, 캐시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캐시는 일종의 메모리 역할을 하며 수백 메가 바이트에서 테라 바이트의 크기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1)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는 웹터치 키보드 및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검색, 편집할 때 위치조절 및 셋팅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죠그셔틀 편집 구동키를 갖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영상제어 유니트(2)에는 사용자가 필요시 설정에 의해 사용료의 정산 및 발매를 처리하는 사용료 정산/발매 제어기(26)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4)는 인터넷상에서 웹 브라우저 탐색시 동영상 및 이미지 정보가 다운로드되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확인되었으면 검색과정을 거친 후 사용자가 선택한 제 1영상 데이터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램(23)에 일시 저장시키고, 사용자가 제 2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면 이를 다시 램(23)에 일시 저장시키고, 다시 사용자가 죠그셔틀 편집 구동키로 편집 포맷을 셋팅하면 이를 확인한 후 화상재처리부(25)에 편집 제어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서 편집,합성처리가 완료되면 다시 이를 확인한 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출력수단(18)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웹키오스크(Web Kiosk)란 인터넷을 기반으로 정보 검색을 하며 웹터치(Web toutch) 네비게이션으로 무인정보단말기를 통해 대다수의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손쉽게 습득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웹키오스크를 이용한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난 바와같은 시스템 환경을 갖는다.
즉,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1)은 통신채널(Communication channel)(4)을 통하여 운영자 서버부(3)에 접속되며, 상기 채널(4)은 통상, 인터넷, 인트라넷 또는 기타의 알려진 접속을 하게 된다.
인터넷의 경우에, 상기 운영자 서버부(3)은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억세스될 수 있는 다수의 서버중의 하나이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1)은 전형적으로 네트워크 서버에 억세스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이미 알려진 한 벌의 인터넷 도구를 포함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서비스에는 일대일 메시지 전달(전자우편)(One-to-one messaging)(e-mail), 일대다 메시지 전달(게시판)(One-to-many messaging)(bulletin board), 온라인 대화(on-line chat), 파일 전송 및 브라우징(File transfer and browsing)등이 포함되며 다양하게 알려진 프로토콜이 이러한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된다.
즉, 브라우징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을 사용하여 달성되며, 상기 HTTP에 의하여 사용자들이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를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에 억세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TTP를 사용하는 서버들의 집합에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이 포함되는데, 이것은 인터넷의 멀티미디어 정보검색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1)에는 OS/2 운용체계에서 실행되는 IBM 또는 그 호환머신이나 윈도우 4.1 또는 그 상위 버전의 운영체계하에서 실행되는 인텔 x86 또는 펜티움 계열 컴퓨터와 같은 데스크 톱이나, IBM Power PC 계열의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컴퓨터가 주로 쓰이게 된다.
또한, 상기 운영자 서버부(3)는 AIX(Advanced Interactive Executive 버전 4.1 또는 그 상위 버전) 운용체계와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중인 SUN Solaris 2.X 또는 IBM 6000, Oracle 8 버전을 포함하며, 운영과 관리를 위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API)(5)를 구비하고, 서버 애플리케이션(9)내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6)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운영자 서버부(3) 내의 각 구성은 네트워트 관리(Network Management Uuit)(7)에 의해 웹키오스트 클라이언트 머신과의 통신링크 상태를 감시하게 되고, 디렉토리 서비스(8)에 의해 데이터 서버에 있는 내용 데이터 또는 고객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능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운영자 서버부(3) 내에는 그밖에도 데이터 서버(30). 운영체계(31), 컴퓨터(32) 등이 구비된다.
그럼 지금부터 도 4, 도 5 및 도 6의 흐름도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의한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에 의해 영상제어 유니트(2)가 탑재된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1)의 파워가 온 되면 시스템이 초기화되면서 컴퓨터 제어부(15)가 소정 제어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영상제어 유니트(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4)에 보내고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4)의 제어하에 롬(22)에 저장된 영상제어 프로그램이 구동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영상제어 프로그램이 구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신수단인 모뎀부(13)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브라우저로 각종 사이트를 탐색하게 되면 운영자 서버부(3)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영상정보(동영상, 그래픽, 문자 등)가 자동으로 다운로드되어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의 메모리부(12)(일종의 캐시 메모리)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제어 유니트(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4)는 사용자의 인터넷 탐색결과 소정의 동영상 및 이미지 정보가 메모리부(12)에 다운로드 되어 수신되었는지를 주기적으로 컴퓨터 제어부(15)로부터 소정 신호를 받아 확인한다(스텝200). 이 경우에, 만약 수신된 동영상 및 이미지 정보가 없다고 확인되면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스텝201).
사용자가 도 7과 같이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1)에 구비된 키입력부(11)의 검색 메뉴를 누르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4)는 이를 확인한 후(스텝 202) 다양한 검색 메뉴를 사용자의 순차적인 선택에 의해 도 8, 도 9, 도 10 순으로 키입력부(11)인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해준다.
즉, 도 8의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검색메뉴가 선택되었을 경우,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받은 각 동영상 및 이미지 정보가 테마별로 분류된 메뉴 테이블로서, 사용자가 이들 메뉴중 광고 CF 메뉴를 누르면 다시 도 9과 같은 메뉴 테이블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예컨데 사용자가 PCS 메뉴를 누르면 다시 도 10과 같은 화면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면서 해당 PCS TV-CF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와같이 사용자가 각종 동영상 및 이미지 정보를 검색한 후 편집하고 싶은 영상정보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4)는 이를 확인한 후(스텝 203) 선택된 제 1영상 데이터를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키고(스텝 205), 선택된 영상 데이터(이하, 제 1영상 데이터)를 램(23)에 일시 저장하게 된다(스텝 206).
그러나, 사용자가 제 1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지 않으면 소정 영상 데이터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을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해준다(스텝 204).
계속해서, 사용자가 이번에는 디지털 카메라(16) 또는 스캐너(17) 등의 영상신호 입력수단(19)으로 촬영 또는 스캐닝하여 미리 램(23)에 저장시켜놓은 각종 영상 데이터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4)는 이를 확인한 후(스텝 207), 선택이 없으면 소정 영상 데이터의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을 터치스크린에 다시 디스플레이시키고(스텝 208),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영상 데이터(이하, 제 2영상 데이터)를 램(23)에 일시 저장하게 된다(스텝 209).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 1,2영상 데이터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4)의 제어에 의해 모두 램(23)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영상편집을 위해 죠그셔틀 편집 구동키를 조작하여 편집 포맷의 셋팅을 완료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4)는 다시 이를 확인한 후(스텝 210) 화상재처리부(25)에 영상편집을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보내게 된다(스텝 211).
이에 따라서, 상기 화상재처리부(25)는 영상제어 프로그램의 처리수순에 의해 상기 제 1,2영상 데이터를 합성, 편집하기 시작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4)로부터 편집 제어신호가 상기 화상재처리부(25)에 보내지면 우선, 상기 화상재처리부(25)는 상기 램(23)으로부터 상기 제 1,2영상 데이터 파일을 가져와서 화면분할한 후 사용자가 셋팅한 포맷에 의해 편집한 후 상기 제 1영상 데이터에 제 2영상 데이터를 오버래이(Overlay)하는 방식으로 합성처리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죠그셔틀 편집 구동키를 조절하여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로 화상을 직접 편집할 수 있다. 즉, 편집 화상이 디스플레이부(10)에 나타나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편집화상을 보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죠그셔틀 구동키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위치조절을 할 수 있고 화상의 색상 및 스타일 등을 변경해가며 셋팅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1)의 디스플레이부(10)로는 통상적인 텔레비전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과 같은 모니터 또는 통상적인 노트북의 TFT LED 액정 모니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일련의 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제 1,2영상 데이터의 합성, 편집과정이 완료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4)는 이를 확인한 후(스텝 212) 일단 합성,편집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로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스텝 213).
이때,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를 보고 편집된 영상을 확인한 후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싶을 경우에는 출력양식을 선택하고 터치스크린의 출력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때, 상기 출력양식은 합성,편집 화면이 동영상일 경우에는 CD 이나 VCR 테이프 등으로 설정할 수 있고, 그래픽 또는 문자등의 정지화상일 경우에는 CD 또는 인쇄물로 설정할 수 있다.
아무튼 사용자가 미리 상기와 같은 출력양식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출력버튼을 누르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4)는 이를 확인한 후(스텝 214) 설정된 출력양식에 대응되는 출력수단(18)으로 출력 제어신호를 보내게 된다(스텝 215).
예컨데, 출력양식이 CD 또는 VCR 테이프일 경우에는 CDR, DVD 또는 VCR 등의 출력수단(18)으로 출력신호를 보내고, 종이 등의 인쇄물일 경우에는 프린터 등의 출력수단(18)으로 출력신호를 보내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각 출력수단(18)은 하드웨어적으로 영상제어 유니트(1)의 입,출력포트부(20)에 접속된 상태이어야 한다.
한편, 상기 출력과정에서 영업상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24)가 사용료 정산/발매 제어기(26)를 구동시켜 영상의 검색, 편집, 출력에 소요되는 경비를 정산할 수도 있다.(이 경우, 경비산출 프로그램은 영상제어 프로그램내의 서브 프로그램으로 설계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사용료가 정산되어 산출되면 정산내역이 적인 발매 용지를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인쇄물로 출력하면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제어 프로그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점도 있으나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이 초기화되면, 영상제어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사용자의 설정 및 선택에 의해 영상제어 프로그램이 태그(Tag)되어 각 과정을 실행하게 된다(스텝 300).
초기에 영상제어 프로그램이 태그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검색메뉴 선택이 있고 이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24)로부터 영상검색 실행명령이 떨어지면 그동안 인터넷상에서 탐색시 다운로드된 동영상 및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의 설정행위에 따라서 검색하기 시작한다. 즉, 초기화면에서 사용자가 각종 영상정보 메뉴를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영상제어 포맷으로 저장된 다양한 영상정보를 터치스크린에 프리젠테이션을 해준다(스텝 301, 스텝 302).
상기와 같은 처리과정을 거쳐 영상 검색 실행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해 죠그셔틀 편집구동키가 조작되고 이에 따라 다시 마이크로 프로세서(24)로부터 영상편집 명령이 떨어지면 우선, 사용자가 선택한 두가지 영상 데이터 파일을 화면분할한 후 사용자가 설정한 스타일의 포맷으로 셋팅된 정보에 따라 선택된 2개의 영상을 합성,편집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배경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고, 글꼴의 타입 및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스텝 303, 스텝 304).
상기와 같은 처리과정을 거쳐 영상 편집이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해 다시 출력버튼이 터치되고 이에 따라 다시 마이크로 프로세서(24)로부터 영상출력 실행명령이 떨어지면 편집된 영상물의 영상신호가 출력된다. 또, 사용자가 영업상 필요성에 의해 초기에 사용료 정산/발매 설정을 해놓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4)가 사용료 정산/발매 제어기(26)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사용료가 정산/발매 프로그램에 의해 정산되어 현재까지의 소요경비를 프린터로 발매할 수 있다(스텝 305, 스텝 306).
상기와 같은 처리과정을 거쳐 영상의 검색/편집/출력 실행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이를 체크한 후 최종완성된 합성영상물을 CDR, VCR 또는 프린터 등의 출력수단(18)를 이용해 CD/테이프/인쇄물의 기록매체에 기록시키게 된다(스텝 307, 스텝 308).
그러나, 영상제어 프로그램이 반드시 상기와 같은 처리과정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램밍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 통신수단에 의해서 접속되는 운영자 서버부(3)와, 디스플레이부(10), 키입력부(11), 메모리부(12), 모뎀부(13), 하드 드라이드(14) 및 이들을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부(15)를 갖는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1)과,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입력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신호 입력수단(19)과, 상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스 머신(1)을 통해 상기 운영자 서버부(3)에 접속되어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23),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19)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와 상기 램(23)의 영상 데이터를 합성, 편집하는 화상재처리부(25) 및 상기 램(23) 및 화상재처리부(25) 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4)를 갖는 영상제어 유니트(2)와, 상기 영상제어 유니트(2)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CD, 테이프, 인쇄물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18)을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4)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화상재처리부(25)가 작동되면 상기 램(23)으로부터 제 1,2영상 데이터를 불러와 편집 및 합성처리함으로써 인터넷 환경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각종 동영상 및 정지영상 정보를 탐색하고, 탐색되어 다운로드된 각종 영상 정보중 선택된 영상물과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및 이미지 파일(사진, 문자, 그림 등)의 영상물을 합성하여 새로운 편집 영상물로 만든 후 CD 또는 여타의 기록매체(테이프, 인쇄물 포함)의 형태로 빠르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Claims (7)

  1. 인터넷 통신수단에 의해서 접속되는 운영자 서버부와,
    키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모뎀부, 메모리부 하드 드라이드 및 이들을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부를 갖는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과,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입력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신호 입력수단과,
    상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스 머신을 통해 상기 운영자 서버부에 접속되어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영상신호 입력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저장수단의 영상 데이터를 합성, 편집하는 편집수단과, 상기 저장수단 및 편집수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는 영상제어 유니트와,
    상기 영상제어 유니트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CD, 테이프, 인쇄물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웹 브라우저 탐색시 메모리부에 다운로드되는 각종 영상 데이터 중 선택된 제 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신호 공급수단에 의해 제공된 영상 데이터들 중 선택된 제 2 영상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집수단은 상기 제 1영상 데이터 및 제 2영상 데이터를 합성 편집처리하는 화상재처리부로 이루어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화상재처리부가 작동되면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제 1,2영상 데이터를 불러와 편집,합성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 유니트는 영상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 프로그램이 탑재되어있는 롬과,
    상기 웹키오스크 클라이언트 머신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입/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출력하는 입,출력 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는 웹터치 키보드 및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검색, 편집할 때 위치조절 및 셋팅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죠그셔틀 편집 구동키를 갖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6.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 유니트에는 사용자의 필요시 설정에 의해 사용료의 정산 및 발매를 처리하는 사용료 정산/발매 제어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7.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인터넷상에서 웹브라우저 탐색시 동영상 및 이미지 정보가 다운로드되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확인되었으면 검색과정을 거친 후 사용자가 선택한 제 1영상 데이터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한 후 램에 일시 저장시키고, 사용자가 제 2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면 이를 다시 램에 일시 저장시키고, 다시 사용자가 죠그셔틀 편집 구동키로 편집 포맷을 셋팅하면 이를 확인한 후 화상재처리부에 편집 제어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합성, 편집처리가 완료되면 다시 이를 확인한 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출력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KR1019990029371A 1999-07-20 1999-07-20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KR20010010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371A KR20010010471A (ko) 1999-07-20 1999-07-20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371A KR20010010471A (ko) 1999-07-20 1999-07-20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471A true KR20010010471A (ko) 2001-02-15

Family

ID=1960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371A KR20010010471A (ko) 1999-07-20 1999-07-20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04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6460A1 (en) * 2001-10-23 2003-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ing markup document and av data, recording method, reproducing method, and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WO2003096175A1 (en) * 2002-05-14 2003-11-20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information stored on a data recording medium in an interactive networked environment
KR20150094972A (ko) * 2014-02-12 2015-08-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선로 장애 처리 동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6460A1 (en) * 2001-10-23 2003-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ing markup document and av data, recording method, reproducing method, and reproducing apparatus therefor
WO2003096175A1 (en) * 2002-05-14 2003-11-20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information stored on a data recording medium in an interactive networked environment
US8090765B2 (en) 2002-05-14 2012-01-03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information stored on a data recording medium in an interactive networked environment
KR20150094972A (ko) * 2014-02-12 2015-08-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선로 장애 처리 동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107B1 (en) System for customizing web page
US6456307B1 (en) Automatic icon generation
US544067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multi-media footnote
US6016494A (en) Expanding web documents by merging with linked documents
US6163779A (en) Method of saving a web page to a local hard drive to enable client-side browsing
US7149806B2 (en) Data acces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KR100362981B1 (ko) 오프라인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US6742030B1 (en) Method to keep a persistent trace of weblink use per user
US63245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anual selective blocking of images
US6202061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reating a collection of media
JP3254435B2 (ja) ファイルにアクセス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5870767A (en)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hyper-link information in a printable medium from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6072491A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ccessing a web site
US6779153B1 (en) Creation of web pages through synchronization
US20040268224A1 (en) Authoring system for combining temporal and nontemporal digital media
US200301608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ynamically-controlled remote presentation system
US200501022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an image and a product in a page based on contextual interaction and metadata
WO1996030846A1 (en) An integrated development platform for distributed publishing and management of hypermedia over wide area networks
CN101506838A (zh) 被配置成与耦接的便携式媒体播放器设备互操作的主机
KR20060026409A (ko) 네트워크된 챗과 미디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6820236B1 (en) Click ahead browser function
EP0872987A2 (en)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taining a program for providing information
KR20010010471A (ko) 웹키오스크 영상제어 시스템
US7725604B1 (en) Image run encoding
KR20010029306A (ko) 멀티미디어 자료 자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