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926A - 스위치형 공축잭 - Google Patents

스위치형 공축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926A
KR20010005926A KR1019997009003A KR19997009003A KR20010005926A KR 20010005926 A KR20010005926 A KR 20010005926A KR 1019997009003 A KR1019997009003 A KR 1019997009003A KR 19997009003 A KR19997009003 A KR 19997009003A KR 20010005926 A KR20010005926 A KR 20010005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rt
conductor
coaxial
center conductor
electr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552B1 (ko
Inventor
오그렌브루스씨.
Original Assignee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0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4Coaxial connector having circuit-interrupting provision effected by mating or having "dead" contact activated after ma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스위치형 공축잭은 평행배열된 제1 및 2 전기전도성 공축형 중심컨덕터를 포함한다. 중심컨덕터는 전방부와 후방부로 분할된다. 후방부는 후방부와 전방부를 분리하기위한 이동식스프링을 포함한다. 레버는 플러그가 잭의 전방부속으로 삽입될 때 후방부를 밀어 이것과 스위치스프링의 접속을 해제하는 동시에 전방부와 접속시킨다.

Description

스위치형 공축잭 {SWITCHING COAXIAL JACK}
스위치형 공축잭은 공지되어있다. 한가지 예로서 Burroughs의 미국특허 제4,749,968호 및 제5,467,062호를 들 수 있다. 또다른 예로는 Seiceanu의 미국특허 제5,246,378호가 있다.
공지의 스위치형 공축잭은 접지형 전도성하우징 속에 나란히 배치된 형태의 일반적으로 2개의 딱딱한 중심컨덕터를 포함한다. 스위치조립체가 이 2개의 중심컨덕터 사이에 배치된다.
스위치조립체는 제1 중심컨덕터에 편향된 제1말단 및 역시 제2 중심컨덕터에 편향된 제2말단을 가진 V형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결과, 중심컨덕터는 상기 중심컨덕터 중 하나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를 스위치조립체를 통과해 다른쪽 중심컨덕터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정상신호흐름의 소통상태가 된다.
이러한 스위치형 공축잭은 통상 통신이나 영상전송산업 등에 사용된다. 하우징의 후방말단에는 공축케이블에 반영구적 혹은 영구적 접속하는 커넥터가 설치된다. 중심컨덕터의 전방말단에는 또한 예정치수의 플러그를 수용할 잭포트가 구비된다. 정상적으로, 이러한 스위치형 잭은 포트에 플러그 삽입없이 조작된다. 따라서, 후방커넥터 중 하나로부터 중심컨덕터로 들어가는 신호는 스위치 조립체를 통과하여 다른쪽 후방 공축커넥터를 지나 잭장치 밖으로 전달된다.
때때로 잭을 접근시켜 신호를 탭오프(tap off)하거나 새로운 신호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달성하려면, 공축케이블에 부착된 잭플러그를 전방포트 중 하나속으로 삽입한다. 전방포트 속으로 잭플러그를 삽입할 때, 잭플러그는 V형 스프링에 맞물림결합시켜 플러그가 삽입된 포트와 연결된 중심컨덕터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한다.
중심컨덕터로부터 V형 스프링을 분리함으로써, 중심컨덕터는 다른쪽 중심컨덕터와 떨어지며 이에따라 신호가 중심컨덕터 길이전체를 따라 직접 통과하여 포트밖으로 나가게된다. 또한, 잭의 중심컨덕터 2개 사이의 접속이 끊어지는 것 이외에도, 플러그삽입시 다른쪽 중심컨덕터가 저항을 거쳐 그라운드에 전기접속하며 그결과 시스템의 적절한 전기임피던스가 유지된다.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전방커넥터에서 후방커넥터로의 정상신호흐름이 V형 스프링을 관통하게된다. 중심컨덕터의 길이 대부분은 그라운드나 기타 다른 접속원에 대한 연결없이 V형 스프링 아래로 연장한다. 과거에, 중심컨덕터의 이 길이는 통신산업에서 아무런 혹은 거의 문제가 되지않았다. 그러나 점차 고전송주파수를 사용하면서, 이 길이는 신호의 왜곡을 가져오거나 혹은 신호완전성을 손상할 가능성이 있다.
공지의 스위치형 공축잭에 관련된 또다른 문제점은 스위치조립체에 먼지나 기타 오염물이 붙는 것이다. 잭에는 전방포트를 통과하여 잭의 스위치조립체속으로 들어가는 자유공기흐름이 있다.
본 발명은 공축잭에 관계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주파수 트랜스미션속도 응용에 적합한 스위치형 공축잭에 관계한다.
도 1은 잭장치의 전방포트속에 부분삽입된 플러그를 갖고 있으나 이 플러그가 아직 스위치형 액추에이터와 맞물림결합하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형 공축잭장치의 측면도(커버 분리됨).
도 2는 장치의 제1포트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의 도 1의 측면도.
도 3은 장치속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의 도 1 및 도 2의 측면도.
도 4는 장치속에 플러그가 완전삽입된 상태의 도 1-3의 측면도.
도 5는 장치속에 플러그가 삽입되지않은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1의 선(6-6)을 절단한 단면도(잘보이도록 플러그는 분리함).
도 7은 도 1의 선(7-7)을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선(8-8)을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중심컨덕터를 수용할 신형 유전인서어트의 정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인서어트의 배면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인서어트의 평면도.
도 12는 도 9의 인서어트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선(13-13)을 절단한 도면.
도 14는 도 11의 선(14-14)를 절단한 도면.
도 15는 도 12의 선(15-15)를 절단한 도면.
도 16은 신형 유전인서어트의 또다른 구현을 보여주는 정면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인서어트의 배면사시도.
도 18은 도 16의 인서어트의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선(19-19)를 절단한 도면.
도 20은 신형 유전인서어트의 또다른 구현을 보여주는 정면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인서어트의 평면도.
도 22는 도 20의 인서어트의 측면도.
도 23은 도 21의 선(23-23)을 절단한 도면.
도 24는 도 21의 선(24-24)를 절단한 도면.
도 25는 도 22의 선(25-25)를 절단한 도면.
본 발명의 한 구현형태에 따르면, 스위치형 공축잭장치가 후방포트에서 전방포트로 연장되는 전기전도성 공축 중심컨덕터를 가진 것으로 소개된다. 제2 공축 중심컨덕터 역시 상기 장치에 포함된다. 제1 중심컨덕터의 후방부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전기전도성 이동부를 포함한다. 이동부는 제2 중심컨덕터와 전기접촉상태로 배치되며 또한 이동부가 제1위치 상에 있을 때 제1 중심컨덕터의 전방부에서 전기단속된다. 이동부는 전방부와 전지접촉상태로 배치되며 또한 이동부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 중심컨덕터로부터 전기단속된다. 액추에이터는 공축케이블을 제1 중심컨덕터의 전방부에 부착했을 때 이동부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한 다수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은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며,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위치형 공축잭장치(10)에 관계한다. 잭장치(10)는 다이캐스트, 전기전도성 및 전기접지된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은 또한 전방벽(14), 후방벽(16) 및 상하벽(18),(20)을 포함한다. 잭장치는 또한 측벽(22)과 측면커버(24)(내부요소를 도시하기위해 도 1에서는 일부만 보여줌)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12)은 말단벽(14),(16)에 평행하고 또한 측벽(22),(24)과 상하벽(18),(20)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벽(26)을 포함한다. 내벽(26)은 커버(24)의 벽시그먼트(26a)와 공조하여 하우징의 내부를 전방포트챔버(28)와 후방스위치챔버(30)로 분할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전방벽(14)은 예정치수의 플러그(33)를 수용할 제1잭포트(32)를 포함한다. 전방벽(14)은 또한 상기 플러그를 수용할 제2 잭포트(34)를 포함한다.
포트(32),(34)는 평행배열되며 각각은 후방벽(16)에 배치된 제1 및 2 공축커넥터(36),(38)를 수용할수 있도록 배열된다. 커넥터(36),(38)는 임의의 공지커넥터(소위 BNC커넥터)나 혹은 공축케이블에 반영구적이나 영구적으로 부착될 포트이다. 포트(32),(34)는 삽입된 잭플러그(33)의 접지슬리이브와 맞물림결합하고 또한 이 슬리이브를 하우징(12)에 전기접속시킬 접지용 클립(40)을 포함한다.
각 포트(32),(34) 속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및 2 전방 중심컨덕터(42),(44)는 포트(32),(34)속에 각각 수용된 잭플러그(33)의 중심핀을 수용한다. 중심컨덕터(42),(44)는 유전인서어트(46),(48)에 의해 포트(32),(34)속에 축방향으로 계속 배열유지된다. 유전인서어트(46),(48)는 내부벽(26)속에 형성된 포켓내에 쉽게 수용된다.
인서어트(46),(48)는 도 1-8의 딱딱한 유전실린더로 보기쉽게 도시하였으나 다른 형태로 설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설계형태는 도 9-25에 따라 후속설명한다.
제1 및 2 후방 중심컨덕터(50),(52)는 후방커넥터(36),(38)에 의해 공축배열되고 또한 후방벽(16)속에 들어있는 유전인서어트(54),(56) 때문에 축방향 배열상태로 유지된다. 제1 전방 및 후방 중심컨덕터(42),(50)은 서로 공조하여 하나의 일체형 제1 중심컨덕터를 형성한다. 제2 전방 및 후방 중심컨덕터(44),(52)는 서로 공조하여 역시 일체형 제2 중심컨덕터를 형성한다.
유전인서어트(46),(48)는 먼지가 포트(32),(34)와 벽(26)을 통과해 챔버(30)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하게, 인서어트(54),(56)는 먼지가 커넥터(36),(38)을 통과해 챔버(30)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전방 중심컨덕터(42)는 인서어트(46)에서 챔버(30) 속으로 연장되는 스프링부(42a)를 포함한다. 제1 후방 중심컨덕터(50)는 유전인서어트(54)에서 챔버(30)속으로 마찬가지로 연장되는 스프링부(50a)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각 중심컨덕터(44),(52)는 유전인서어트(48),(56)에서 챔버(30)속으로 연장하는 스프링부(44a),(52a)를 포함한다.
스위치조립체(60)는 챔버(30)속에 들어있다. 스위치조립체(60)는 스프링(42a),(44a)의 자유말단에 인접배치된 제1 및 2 종단접촉부(64),(66)를 가진 종단클립(62)을 포함한다. 종단클립(62)은 레지스터(68)를 거쳐 전기접지된 하우징(12)에 접속한다. 클립(62)은 챔버(30)속에 삽입된 유전베이스(63) 상에 고정된다. 베이스(63)은 스프링(42a),(50a),(44a) 및 (52a)을 지지하는 유전프로젝션(65)을 포함한다.
V형 스위치스프링(70)은 베이스(63)와 일체형태로 되고 여기서 연장하는 유전성 지지포스트(72)상의 챔버(30)속에 고정된다. 스프링은 제1 스프링아암(70a)과 제2 스프링아암(70b)을 포함한다. 스프링아암(70a)은 종단접촉부(64)와 함께 전기접촉부 방향으로 편향된다. 스프링아암(70b)은 제2 종단접촉부(66)와 함께 전기접촉부 방향으로 역시 편향된다.
중심컨덕터(42),(44)의 스프링접촉부(42a),(44a)는 각각 종단접촉부(64), (66)방향으로 편향된다. 종단접촉부(64),(66)과 스프링(42a),(44a)의 직접접촉을 피하기 위해, 유전스페이서(80),(82)를 스프링(42a),(44a)와 종단접촉부(64),(66)사이에 설치한다. 따라서 편향력이 없어도, 스프링(42a),(44a)은 유전스페이서(80),(82)(도 1)에 대해 접촉한다. 스페이서(80),(82)는 베이스(63)와 함께 형성되며 여기서 돌출한다.
후방 중심컨덕터(50),(52)의 스프링(50a),(52a)는 V형 스위치스프링(70)의 말단(70a),(70b) 방향으로 편향된다. 스프링(50a),(52a)를 변위시킬 힘이 없는 상태에서, 스프링(50a),(52a)의 자유말단은 스프링(70a),(70b)의 자유말단과 접촉한다. 스프링(50a),(52a)은 종단접촉부(64),(66)에서 스프링(70a),(70b)에 힘을 가한다. 유전성 지지포스트(84),(86)(베이스(63)에서 돌출한)는 스프링(70a),(70b)의 편향력을 억제하고 스프링쌍(50a),(70a) 및 (52a),(70b)를 전기접촉상태로 유지한다.
도면에서, 스프링(50a),(52a)는 스프링(70a),(70b)에 대해 편향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정상적인 스프링(50a),(52a) 편향 이외에도 (또는 상기 편향과 별도의), 보조스프링(도면에 없음)을 설치하여(예, 측벽(18),(20) 및 레버(90),(92) 사이에 연장됨) 레버(90),(92)를 도 1의 위치까지 강제한다.
제1 및 2 유전레버(90),(92)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제1위치로부터 스프링(50a),(52a)를 제2위치까지(도 4에서, 스프링(50a)에 대해 도시됨) 이동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레버(90),(92)는 포트(32),(34)에 인접위치된 캠말단(90a),(92a)를 포함한다. 컷아웃(63a)은 베이스(63)속에 형성되어 레버(90)이동을 위한 클리어런스를 제공한다.
말단(90b),(92b)은 포스트(90b'),(92b')와 협소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스프링(50a),(52a)의 자유말단은 포스트(90b'),(92b') 속에 수용되어 더욱 확고해진다.
각 레버(90),(92)는 공통 피벗핀(100) 주변을 선회한다. 피벗핀(100)은 벽(26)의 중심개구부 속에 위치한다. 레버(90),(92)는 먼지가 개구부를 관통하여 챔버(28)로부터 챔버(30) 속으로 쉽게 들어갈 수 없도록 개구부를 메우는 정도의 크기이다. 캠표면(90a),(92a)는 포트(32),(34) 속에 플러그(33)를 삽입할 때 레버가 핀(100) 주변을 선회하도록 위치한다.
상술한 구조물에서, 본 발명의 신형잭 조작은 도 1에 따라 기술된다. 도 1에서, 잭장치(10)는 포트(32)속에 부분삽입된 한편 아직 캠(90a)과 맞물리지않은 플러그와 함께 도시되었다. 따라서, 중심컨덕터(50)를 따라 흐르는 신호는 스프링아암(50a)을 관통하여 V형 스프링(70) 속으로 들어간다. 신호는 다시 스프링아암(52a)과 중심컨덕터(52) 밖으로 전송된다. 스프링(42a),(44a)의 자유말단은 이동스프링(50a),(52a)에서 이격되지 않으므로 상기 스프링(42a),(44a)이나 중심컨덕터(42),(44)를 관통하는 신호부분은 없다. 도 1에서, 스프링(50a),(52a)은 이들이 V형 스프링(70)과 접촉할 때 (따라서 서로 전기접촉할 때) 또한 스프링(42a),(44a)에 대해 전기 및 물리적으로 단속될 때 제1위치에 놓인다.
도 2-4는 잭플러그(33)를 포트(32)에 삽입할 때 잭장치(10)의 조작을 보여준다. 잭플러그를 포트(34) 속에 삽입한 상태의 조작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플러그(33)를 포트(32)에 삽입한 때의 조작과 유사함이 명백하다.
플러그(33)를 포트(32)에 삽입하면, 플러그슬리이브의 선단부가 캠표면(90a)과 맞물림결합하여 이것을 변위시키게 된다. 캠표면(90a)의 변위는 말단(90b)의 왕복변위를 유도한다. 말단(90b)이 도 2에서와 같이 상향이동할 때, 포스트(90b')가 스프링(50a)을 편향위치에서 벗어나게 작용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50a)은 V스프링말단(70a)이 종단접촉부(64)와 접촉하기전에 스프링(42a)과 먼저 전기접촉한다. 따라서, 이위치에서는 접지접촉이 없으며 스프링(50a),(42a) 및 (52a)이 전기접속한다.
스프링(50a)이 플러그(33)(도 3)의 삽입에 대응하여 상향이동할 때, V형 스프링(70)의 스프링말단(70a)은 제1종단접촉부(64)와 접촉한다. 스프링(70a)이 제1 종단접촉부(64)와 전기접촉 상태일 경우, V형 스프링말단(70a)과 스프링(50a)은 아직 전기 및 물리적 접촉상태에 있다. 따라서, 스프링(50a)과 스프링(70) 사이의 신호경로가 끊어지기전 종단 레지스터(68)을 통한 접촉이 먼저 이루어진다. 이 조작순서는 통상 "메이크 브레이크(make-before-break)"순서화라고 알려져있다. 메이크 브레이크 스위치잭은 상술한 Burroughs의 미국특허 제4,749,968호에서 공지된 것이다.
플러그(33)를 포트(32)에 완전삽입한 경우(도 4), 스프링(50a)의 자유말단은 스프링(42a)의 자유말단과 전기 및 물리적결합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유전지지체(80)으로부터 스프링(42a)을 상향시킨다. 제1 종단접촉부(64)가 스프링(70a)의 외향이동을 방해하므로, 스프링(70)과 스프링(50a) 사이의 전기 및 물리적접속이 깨어진다. 또한, 스프링(42a)의 하부편향은 스프링(42a)과 (50a)의 자유말단 사이의 연속적인 전기 및 물리적접촉을 보장한다. 포스트(90b') 사이의 이동스프링(50a)을 잡아서, 사용할 때 잭(10)이 받게될 진동을 감소시키고 이에의해 스프링(50a) 사이의 부적절하거나 간헐적인 단속이나 또한 스프링(70a)이나 스프링(42a)와의 바람직한 접속을 유도한다.
그결과, 잭장치(10)는 공지의 잭장치와 기능적으로 동등한 수준이 된다. 주로, 포트(32),(34)내에 플러그가 없는 경우 후방 중심컨덕터(50),(52) 사이의 전기접속이 유지된다. 잭포트속에 잭플러그를 삽입하면 후방 중심컨덕터(50),(52) 사이의 전기접속이 끊어지며 대신 전방 중심컨덕터(42),(44)에서 새로운 전기접속이 실현된다. 다른 후방 중심컨덕터는 전기접지에 대한 저항에서 종료된다.
잭장치는 공지기술을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심컨덕터의 길이가 신호경로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즉, 포트(32)속에 포트가 없을 때, 중심컨덕터(42)와 이것에 연결된 스프링부(42a)는 후방 중심컨덕터(50)로부터 전기 및 물리적으로 단속된다. 따라서, 고주파수응용시 중심컨덕터(42)와 그 스프링부(42a)는 신호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 스위치챔버(30)는 하우징(12)의 외측에서 항상 밀폐처리된다. 그러므로, 먼지나 기타 오염물이 스프링챔버(30)속으로 들어가는 경로가 차단되고 스프링챔버(30)내 전기접속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유전지지체(80),(82),(84),(86)와 핀(90b'),(92b')는 장치(10)에 작용하는 진동력이 발생하는 경우, 플러그 비삽입방식(도 1)과 플러그 삽입방식(도 4)에서 각종 스프링 사이에 바람직한 전기접촉 혹은 분리조작을 유지시킨다.
상술한 내용에서, 유전인서어트(46),(48)는 부피전체가 딱딱한 원통체 형태로 도시되었다. 이 설계형태도 기능적이나, 본 발명은 유전지지체의 신형설계를 바람직하게 활용한다. 상술한 신형지지체의 예를 도 9-15에서 도시하였으며 유전인서어트(46')로 나타낸다. 인서어트(46')는 사실상 인서어트(46')의 모든 방사면이 중심컨덕터(42),(44)의 종축에 대하여 직각아닌 각도로 설정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및 8에 있어서, 중심컨덕터(42)의 축에 수직인 축방향면을 가진 원통형 인서어트(46)는 중심컨덕터(42)와 같은 공축전송라인을 따라 전송되는 전자기신호의 불만족스러운 귀환손실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즉, 공축전송라인에서 전자기신호는 공축케이블의 중심과 외부컨덕터 사이를 또는 중심컨덕터(42)와 이 컨덕터를 둘러싸는 외부컨덕터를 한정하는 하우징(12)의 둘러싸는 표면 사이에 전송된다. 신호는 중심컨덕터와 외부컨덕터 사이에 유전성 매체가 존재하면 여기를 통해서 전송된다. 예를들면 공축케이블에 있어서, 유전성 매체는 중심컨덕터와 외부접지슬리브간에 위치하는 프라스틱재료이다.
잭내에서 유전성 매체는 중심컨덕터(42)와 하우징의 반대표면간의 공동에 충전된 공기일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전송선에 따라 각종 유전재료가 존재할수있다.
하나의 유전성 매체로부터 또다른 유전성 매체로 신호가 통과할때마다 반사가 발생된다. 신호의 투사각은 반사각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만일 신호가 신호의 전송방향과 수직인 유전체영역을 침해하면 전자기에너지의 일부는 반대방향으로 직접 반사될 것이다.
인서어트(46),(48)과 같은 원통형 물체이면 신호의 전송방향에 수직인 인서어트(46),(48)의 반대축말단 상에 두개의 표면이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서어트는 전원을 향해 전송라인으로 전송되는 두개의 반사체를 생성한다.
다른 종래기술의 절연체는 특정 임피던스를 산출하기위해 두개의 유전체계수의 복합효과를 제공하는 고체유전재료의 조합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절연체는 허브밖으로 연장되는 방사형 날개를 갖고 있다. 이 날개는 특히 신호가 전송되는 방향에 수직인 표면을 갖는다. 또한 이 절연체는 공극이 있으며, 먼지나 오염물질로부터 장치를 적당히 밀봉하기위해 신호의 전송방향에 수직인 유전재료로된 얇은 피막을 갖는다. 그러한 피막은 일반적으로 피막의 작은 두께상에 상당한 임피던스 부정합(즉, 전송라인의 잔류량 이외의 임피던스)의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임피던스 부정합은 다른 반사의 원인과 신호출력손실을 나타내기때문에 바람직하지않다.
바람직한 인서어트(46')는 인서어트(46),(48)과 같은 방법으로 벽(26)의 하우징내에 수용될수 있는 치수의 원통형외부표면(110)을 갖는 원통형외부벽(111)을 포함한다. 인서어트(46')는 중심컨덕터(42)를 꼭맞게 수용하기위해 축방향으로 연장된 구멍(114)을 갖는 중심허브(112)을 포함한다. 허브(112)는 원추형의 구성으로되어있고, 원추형허브(112)와 외부벽(111)의 내부면 사이에 연장된 복수의 방사형상으 리브(rib)(116)에 의해 지지되어있다.
도 9에 인서어트(46')의 제1 축면(121)을 나타내고있다. 도 10에는 반대축면(123)을 나타내고 있다. 반대축면(123)은 원추형허브(112)를 지지하는 복수의 방사형 연장리브(118)를 또한 포함한다. 리브(118)는 구멍(114)를 형성하는 격리된 반대측 내부면을 갖는다. 원통형 외부몸체(111)의 축둘레는 점차 가늘어져 경사면(120)을 구비한다. 유사하게 모든 리브(116),(118)의 둘레는 점차 가늘어져 경사면(122)을 구비하게된다. 따라서 제1 및 2 축말단(121),(123)의 표면은 인서어트의 축 X-X에 대해서 수직이다. 실제적으로 경사면(120),(122)에는 대부분의 성형공정에서 예리한 칼날이 닿지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고 뭉툭한 영역(124)이 제조공정에서의 한계점에 이르게될 것이다. 실제의 제조공정에서 이러한 표면을 가능한한 최소화하는것이 본발명의 의도이다.
도 9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인서어트(46')상의 양측 인서어트(46')의 전체 축면(121),(123)은 인서어트(46')에 접근하는 전자기신호의 전송경로에 관련해서 비직각인 표면으로 도시된다.
결과적으로 신호는 후방반사를 감소시키면서 인서어트(46')로부터 떨어져 축방향으로 반사되지않는다. 굴곡된 표면은 신호를 많은 다른방향으로 반사시키기때문에 원추형표면(112)은 굴곡이 있기도 하지만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서어트(46')의 축방향길이에 따른 모든 단면에서 소요의 임피던스정합을 얻기위해서는 만곡부분도 수용가능하다.
도 16 내지 도 19에서는 원통형외부면(110'),구멍(114')를 한정하는 허브(112')을 갖는 인서어트(4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인서어트(46")는 완전원추형이고 인서어트(46")의 구조를 강화하기위해 외부벽과 내부리브를 포함하지않는다.
도 9 내지 도 18의 실시예에서는 중심컨덕터가 구멍(114),(114')내로 수용된후 사실상 밀폐된 표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밀폐면은 인서어트(46'),(46")에 통과할 먼지의 이동을 감소시킬수 있다. 먼지이동의 차단처리가 불필요하면 인서어트는 축면을 관통하는 공동을 가질 수 있다. 인서어트를 도 20 내지 도 25에 나타내고, 삽입물(46"')은 경사진 축말단(120")이 있는 원통형 외부면(110")과 또한 각각 역시 경사진 축말단(122")이 있는 내향돌출리브(116")를 구비한 원통형 외부벽(111") 포함한다. 리브(116")의 반대표면은 중심컨덕터를 수용하기위해 구멍(114")이 형성되어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나타내는바와 같이 비직각표면이 신호통로에 대향한다. 직각부분은 제조한계성으로 초래되는 경사면의 뭉툭한 엣지를 이루는 작은 부분에 불과하다.
본발명을 실시예로서 설명했지만 당해분야의 전문가라면 상술한 개념의 변형이나 균등물을 실현할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들면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전방포트(32),(34)를 나타내고 있지만 단하나의 전방포트(32)만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와 같이 신호의 비침입검색을 가능하게 하기위해 모니터회로 또는 모니터잭을 잭(10)에 연결할수도 있다.
이러한 모니터잭이나 또한 스위치형 공축잭에 모니터잭을 연결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다. Burroughs의 미국특허 제4,749,968호와 제5,467,062에 이러한 예가제안되어있다. 마지막으로 중심컨덕터(42),(44)는 도면에 고체로 도시되었다.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위해, 컨덕터는 스탬핑이나 롤링공정으로 제작되어 중공이 있는 관형 컨덕터로 제조할 수도 있다. 먼지의 이동을 막기위해, 상기와 같이 형성된 컨덕터는 멈춤쇠나 내향돌출탭을 구비하여 중공형 중심컨덕터를 통과할수도 있는 먼지에 대해 블로킹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3)

  1. 전방부와 후방부를 갖는 제1 전기전도성 공축중심컨덕터와,
    제2 전기전도성 공축중심컨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전방부와 후방부는 각각 공축컨덕터에 부착시키기위한 전방 및 후방 고정위치부착말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심컨덕터는 공축컨덕터를 부착시키기위한 고정위치부착말단을 갖고,
    상기 후방부는 후방부착말단과 전기접속을 유지하면서 제1위치 및 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전기전도성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이동부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때 제2 중심컨덕터와 전기적접촉하고 전방부로부터 전기단속되도록 배치되며,
    또한 상기 이동부는 이동부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때 전방부와 전기적접촉하고 제2중심컨덕터로부터 전기단속되도록 배치되며,
    공축케이블이 상기 전방부착말단에 부착되었을때 상기 이동부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2 중심컨덕터로 둘러싸인 전기적접지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제2위치에 있을때, 제2 중심컨덕터를 저항을 통해 접지에 대해 전기적종결시키기위한 종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수단은 전기적종결된 접촉부와,
    제2 컨덕터와 전기접촉하고, 또한 이동부가 상기한 제2위치에 있을 때 종단접촉부와 편향하여 전기적접촉하고 이동부로부터 전기단속되는 전기전도성 스위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스위치스프링을 통해서 상기 제2 중심컨덕터에 전기접속하는 위치에 있어 이동부가 제1위치쪽으로 이동할 때 스위치스프링과 전기적결합하고 또한 이동부가 제1위치쪽으로 이동할 때 스위치스프링이 상기 종단접촉부로부터 벗어나도록 강제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종단접촉부, 스위치스프링, 전방부 및 이동부는 이동부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스위치스프링이 상기 이동부로부터 분리되기전에 이 스프링을 종단접촉부에 전기적결합시키기 위한 곳에 상호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이동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스위치스프링과 전기적접촉하도록 편향된 제1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중심컨덕터의 전방부는 제2 스프링과 맞물림결합하고 또한 제1 스프링이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이것에 대해 제2 스프링을 편향하여 변위시키는 제1 스프링을 구비한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축케이블이 전방부착말단에 접속되는 것에 대응해서 변위할 위치에 캠말단이 있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또한 상기 캠말단의 변위에 대응해서 이동부를 제2위치로 강제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제2말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제2말단은 이동부가 제2말단에 대한 상대운동을 하지않도록 구속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10. 전방말단과 후방말단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말단은 부착된 공축케이블에 연결된 중심핀을 갖는 플러그를 활주형으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잭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내에 플러그를 삽입했을 때 중심핀을 수용하기위해 포트내에 배치된 전방 중심컨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말단은 제1 및 2 공축커넥터 각각에 연결된 공축컨덕터의 중심컨덕터와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제1 및 2 후방 중심컨덕터를 가진 제1 공축커넥터와 제2 공축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잭포트와 또한 상기 제1 및 2 공축커넥터로부터 시일처리된 덮개챔버를 구성할 벽을 포함하고,
    제1 전방컨덕터는 전방 중심컨덕터에 연결되고, 상기 벽을 통과하여 상기 챔버속으로 연결되며 또한 제1 전방컨덕터를 하우징으로부터 전기절연시키는 한편 제1 포트로부터 나온 입자들이 챔버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챔버를 시일처리할 절연체에 들어가고;
    제1 후방컨덕터는 제1 후방 중심컨덕터에 연결되고, 상기 벽을 통과하여 상기 챔버속으로 연결되며 또한 제1 후방컨덕터를 하우징으로부터 전기절연시키는 한편 제1 후방 공축커넥터로부터 나온 입자들이 챔버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챔버를 시일처리할 절연체에 들어가고;
    제2 후방컨덕터는 제2 후방 중심컨덕터에 연결되고, 상기 벽을 통과하여 상기 챔버속으로 연결되며 또한 제2 후방컨덕터를 하우징으로부터 전기절연시키는 한편 제1 후방 공축커넥터로부터 나온 입자들이 챔버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챔버를 시일처리할 절연체에 들어가고;
    벽을 통해 연장되고 또한 상기 챔버의 외부에 배치된 캠말단과 챔버속에 배치된 제2말단이 있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캠말단은 제1포트속에 삽입된 플러그에 대응하여 변위하도록 위치하고, 제2말단은 상기 캠말단의 변위에 대응하여 비전환위치에서 전환위치로 이동하고;
    챔버내에 배치되고 또한 레버의 제2말단이 비전환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2 후방컨덕터를 전기접속시키는 한편 제1 전방 및 후방 컨덕터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스위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수단은 또한 레버의 제2말단이 전환위치에 있을 때 제1 전방 및 후방컨덕터를 전기접속시키는 한편 제1 후방컨덕터와 제2 후방컨덕터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레버와 챔버내로 통과하는 입자의 흐름을 방지하기위한 시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수단은 벽의 개방구 내에 위치하고 실제적으로 상기 개방구를 충전하는 치수로된 레버의 선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12. 전방말단과 후방말단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말단은 부착된 공축케이블에 연결된 중심핀을 갖는 플러그를 활주형으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잭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내에 플러그를 삽입했을 때 중심핀을 수용하기위해 포트내에 배치된 제1 전방 중심컨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말단은 제1 및 2 공축커넥터 각각에 연결된 공축컨덕터의 중심컨덕터와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제1 및 2 후방 중심컨덕터를 가진 제1 후방 공축커넥터와 제2 후방 공축커넥터를 구비하고,
    제1 전기종단접촉부를 포함하고,
    제2 후방 중심컨덕터와 전기접촉하고 또한 상기 종단접촉부와 편향하여 전기접촉하는 제1말단을 구비한 전기전도성 스위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방 중심컨덕터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전기전도성 제1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는 이동부가 제1위치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위치스프링의 제1말단과 전기적결합하고 또한 제1 이동부가 제1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스프링이 상기 종단접촉부로부터 벗어나도록 강제력을 받게되는 곳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이동부는 이동부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제1 전방 중심컨덕터와 전기적접촉하는 한편 상기 스위치스프링의 제1말단으로부터 전기단속되는 곳에 배치되고,
    제1 전방포트속에 삽입된 플러그에 대응하여 변위하는 곳에 위치한 캠말단이 구비된 제1레버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레버는 캠말단의 변위에 대응하여 제1 이동부를 제2위치로 강제이동시키도록 배치된 제2말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부착된 공축케이블에 연결된 중심핀을 갖는 플러그를 활주형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2 잭포트,
    상기 제2 잭포트내에 플러그가 삽입될 때 상기 중심핀을 수용하기 위해 제2 잭포트내에 배치된 제2 전방 중심컨덕터, 또한
    제2 전기종단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스프링은 제2 종단접촉부와 편향하여 전기적접촉하는 제2말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후방 중심컨덕터는 제1위치와 2위치 사이에 이동하는 전기전도성 제2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부는 이동부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위치스프링의 제2말단과 전기적접촉하는 한편 제2 이동부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제2 전방 중심컨덕터로부터 전기단속되는 곳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이동부는 이동부가 제1위치쪽으로 이동할 때 스위치스프링 제2말단을 전기적결합시키는 한편 제2 이동부가 제1위치로 이동할 때 스위치스프링이 상기 제2 종단접촉부로부터 벗어나도록 강제력을 받게되는 곳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이동부는 이동부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 전방 중심컨덕터와 전기적접촉하는 한편 상기 스프링스위치의 제2말단으로부터 전기단속되는 곳에 배치되고,
    제2 전방포트속에 삽입된 플러그에 대응하여 변위하는 곳에 위치한 캠말단이 구비된 제2레버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레버는 캠말단의 변위에 대응하여 제2 이동부를 제2위치로 강제이동시키도록 배치된 제2말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장치.
KR10-1999-7009003A 1997-04-04 1998-03-23 스위치형 공축잭 KR100507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833,350 1997-04-04
US08/833,350 US5885096A (en) 1997-04-04 1997-04-04 Switching coaxial jack
JP8/833,350 1997-04-04
PCT/US1998/005767 WO1998045906A1 (en) 1997-04-04 1998-03-23 Switching coaxial j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926A true KR20010005926A (ko) 2001-01-15
KR100507552B1 KR100507552B1 (ko) 2005-08-26

Family

ID=2526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003A KR100507552B1 (ko) 1997-04-04 1998-03-23 스위치형 공축잭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5885096A (ko)
EP (1) EP0972320B1 (ko)
JP (1) JP3913790B2 (ko)
KR (1) KR100507552B1 (ko)
CN (1) CN1245781C (ko)
AR (1) AR011212A1 (ko)
AT (1) ATE219301T1 (ko)
AU (1) AU6770798A (ko)
BR (1) BR9807789A (ko)
CA (1) CA2282556C (ko)
DE (1) DE69805991T2 (ko)
ES (1) ES2178190T3 (ko)
HK (1) HK1025189A1 (ko)
MY (1) MY116244A (ko)
PT (1) PT972320E (ko)
TW (1) TW384555B (ko)
WO (1) WO1998045906A1 (ko)
ZA (1) ZA9827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5378A (en) * 1998-03-27 2000-04-04 Adc Telecommunications, Inc. Switching coaxial jack with impedance matching
US6116961A (en) * 1998-11-12 2000-09-12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assembly
US6589062B1 (en) 1999-04-06 2003-07-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DSX module with removable jack
WO2000060704A1 (en) * 1999-04-06 2000-10-12 Adc Telecommunications, Inc. Dsx module with removable jack
US6213801B1 (en) 2000-04-07 2001-04-10 Kings Electronics Co., Inc. Electrical coupling and switching device with flexible microstrip
WO2002001679A1 (en) * 2000-06-28 2002-01-03 Tru-Connecto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witch-actuating sleeve
US6545562B2 (en) * 2001-02-09 2003-04-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Plug connector for cable television network and method of use
US6817876B2 (en) * 2002-06-07 2004-11-16 Switchcraft, Inc. High frequency coaxial jack
US20040067671A1 (en) * 2002-10-04 2004-04-08 Switchcraft, Inc. Audio jack for patchbays
US6848948B1 (en) * 2003-11-03 2005-02-01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with modular mounting sleeve
US6932624B1 (en) * 2004-02-05 2005-08-23 Panamax Modular signal and power connection device
US7175455B2 (en) * 2005-04-15 2007-02-13 Adc Telecommunications, Inc. High density coaxial switching jack
US7074080B1 (en) * 2005-04-21 2006-07-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Modular mounting sleeve for jack
WO2006115813A1 (en) * 2005-04-21 2006-11-02 Adc Telecommunications, Inc. Modular mounting sleeve for jack
US7238035B2 (en) * 2005-06-14 2007-07-03 Trompeter Electronics, Inc. Normal-through jack with monitor and test ports
US7393249B2 (en) * 2006-04-21 2008-07-01 Trompeter Electronics, Inc. Interconnection and monitoring module
US7244131B1 (en) * 2006-04-21 2007-07-17 Adc Telecommunications, Inc. High density coaxial jack
US7591677B2 (en) * 2006-04-21 2009-09-22 Adc Telecommunications, Inc. High density coaxial jack and panel
US7163423B1 (en) 2006-04-21 2007-01-16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axial system with keying feature
KR100780702B1 (ko) 2006-09-14 2007-11-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램프 고정 소켓
US7808341B2 (en) * 2007-02-21 2010-10-05 Kyocera America, Inc. Broadband RF connector interconnect for multilayer electronic packages
US7540787B2 (en) * 2007-04-12 2009-06-02 Adc Telecommunications, Inc. Flex-X module with board mounted baluns
KR100963424B1 (ko) * 2008-07-23 2010-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케일러블 영상 복호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9244776B (zh) * 2018-09-30 2023-06-13 国家电网有限公司 电路转换器
CN109244777B (zh) * 2018-09-30 2023-06-02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单边锁紧的电路转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0365A (en) * 1959-04-23 1962-02-06 Columbia Broadcasting Syst Inc Self-normalling video jack
US3873785A (en) * 1973-10-25 1975-03-25 Magnetic Controls Co Electrical connector
US4749968A (en) * 1985-12-13 1988-06-07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device
US4952174A (en) * 1989-05-15 1990-08-28 Raychem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US5246378A (en) * 1989-08-09 1993-09-21 Trimm, Inc. Coaxial jack assembly
US5280254A (en) * 1992-03-16 1994-01-18 Trompeter Electronics, Inc. Connector assembly
ES2101856T3 (es) * 1992-04-02 1997-07-16 Adc Telecommunications Inc Modulo de jack coaxial miniaturizado.
US5482469A (en) * 1993-07-21 1996-01-09 Trimm, Inc. Dual monitor self-contained six port digital signal cross-connect module
US5702262A (en) * 1996-10-04 1997-12-30 Trompeter Electronics, Inc.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2556C (en) 2007-01-09
EP0972320A1 (en) 2000-01-19
JP2001519083A (ja) 2001-10-16
ES2178190T3 (es) 2002-12-16
AU6770798A (en) 1998-10-30
KR100507552B1 (ko) 2005-08-26
DE69805991D1 (de) 2002-07-18
TW384555B (en) 2000-03-11
BR9807789A (pt) 2000-02-15
JP3913790B2 (ja) 2007-05-09
CA2282556A1 (en) 1998-10-15
CN1245781C (zh) 2006-03-15
MY116244A (en) 2003-12-31
WO1998045906A1 (en) 1998-10-15
EP0972320B1 (en) 2002-06-12
AR011212A1 (es) 2000-08-02
CN1252178A (zh) 2000-05-03
ATE219301T1 (de) 2002-06-15
DE69805991T2 (de) 2003-01-02
ZA982747B (en) 1999-10-01
HK1025189A1 (en) 2000-11-03
US5885096A (en) 1999-03-23
PT972320E (pt)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552B1 (ko) 스위치형 공축잭
US6045378A (en) Switching coaxial jack with impedance matching
EP0230746B1 (en) Jack device
US4889500A (en) Controlled impedance connector assembly
US6814624B2 (en) 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US719551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nhanced jack interface
US6988914B2 (en) Electrical coupler with splitting receptacle jack interfaces
US5964607A (en) Coaxial switching jack with sliding center conductor
AU7512094A (en) Jack module
US6193533B1 (en) Contact set
US6106314A (en) Coaxial jack with integral switch and shielded center conductor
US5904579A (en) Right-angle adaptor for coaxial jacks
US5580261A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lso performing a switching function
CA2326369C (en) Modular jack having a plug-positioning member
US6739892B1 (en) Modular connector for very high frequency applications
US5090915A (en) Self-terminating coaxial tap connector with external termination element
US6213801B1 (en) Electrical coupling and switching device with flexible microstrip
US6398568B1 (en) Self-terminating electrical connector
MXPA99008849A (en) Switching coaxial jack
MXPA99008848A (en) Coaxial switching jack with sliding center condu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