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725A -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725A
KR20010005725A KR1019997008795A KR19997008795A KR20010005725A KR 20010005725 A KR20010005725 A KR 20010005725A KR 1019997008795 A KR1019997008795 A KR 1019997008795A KR 19997008795 A KR19997008795 A KR 19997008795A KR 20010005725 A KR20010005725 A KR 20010005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ata symbols
subcarriers
data
sub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4181B1 (ko
Inventor
페터 융
프리트베르트 베렌스
외르크 플레힝어
파울 발터 바이어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1000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법은 가입자 신호의 N 데이터 심볼이 블록을 형성한다. 제 1 단계에서, 블록은 Ns 데이터 심볼을 가진 다수의 부분 블록으로 분리된다. 이 후 Ns 데이터 심볼은 서브캐리어로 할당되고 다수의 서브캐리어에 병렬로 변조되며, 상기 변조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코드 심볼을 가진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수행된다. 서브캐리어는 광대역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해 헤테로다이닝되며, 이에 따라 Ns 데이터 심볼은 동시에 전송된다. 이 후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N/Ns 연속 부분 블록에 전송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 장치 {METHOD AND TRANSMITTER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SYMBOLS FROM USER SIGNALS VIA A RADIO INTERFACE 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다수의 캐리어를 가진 CDMA 무선 시스템은 지. 페트웨이스, 에이.에스.바하이, 케이.앤배리, "온 다수-캐리어 코드 분할 다중 접속(MC-CDMA) 모뎀 설계", IEEE 44차 차량 기술 회의 VTC'94 회보, 스톡홀름, 1994, 1670-1674쪽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이 이동 통신에 이용될 때, 고정된 위치의 기지국 및 이동중인 이동국사이에 무선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의 전송 경로는 다운링크라고 하고,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의 전송경로는 업링크라고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다수의 캐리어 CDMA 무선 시스템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구현하는 것이 곤란하데, 이는 전송 단부에서 가입자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 심볼을 포함하는 전송된 신호의 발생은 무선 인터페이스의 전송 조건에 매칭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또는 이동국을 위한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신호로부터의 데이터 심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블럭도이다.
도 2 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주파수 자원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무선 블록의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a,4b 는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할당한 개략도이다.
도 5 는 전송 장치의 블럭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개선된 방법 및 개선된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을 가진 방법 및 청구항 제 13항의 특징을 가진 전송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개선은 종속항에 나타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입자 신호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 심볼을 전송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 예를 들어 CDMA 방법에 따라 가입자를 분리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예상된다. 이러한 경우, 가입자 신호의 N 데이터 심볼은 블록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블록은 예를 들어 TDMA 시스템(시분할 다중 접속)내의 하나의 타임 슬롯내에 전송되는 무선 블록이다.
제 1단계에서, 블록은 Ns 데이터 심볼을 가진 다수의 부분 블록으로 분할된다. 다음에 Ns 데이터 심볼은 서브캐리어로 할당되며 이들 여러 서브캐리어상에 병렬로 변조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한 변조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코드 심볼로 수행된다. 서브캐리어는 광대역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헤테로다이닝된다. 다음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N/Ns 연속 부분 블록에서 전송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전송 방법은 수신단에서도 동일하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주파수 다이버시티 및 간섭 다이버시티와 같은 CDMA 가입자 분리(상이한 코드 심볼을 이용하는 데이터 심볼의 변조/확산)의 장점으로서 간섭에 대한 영향이 적으며, 다수의 서브캐리어에 의하여 다수 캐리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자원을 자유롭게 할당하는 시스템 구조를 가진 무선 인터페이스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중 가입자 간섭 및 심볼간 간섭을 고려하며 적당한 방식으로 보상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자유로운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다. DS(다이렉트 시퀀스) CDMA 및 다중 캐리어 방법에 의한 가입자 분리를 위한 신호 형성은 본 발명에 따라 결합된다. 데이터 심볼의 전송은 상당히 자유롭게 두 방법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캐리어는 광대역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선형으로 헤테로다이닝된다. 신호 형성 및 전송후의 검출 복잡도가 적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데이터 심볼은 다수의 데이터 심볼상에 전송된다. 이는 상기 데이터 심볼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확실히 하여 전송시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데이터 심볼을 위한 서브캐리어 또는 서브캐리어 그룹사이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이한 데이터 심볼 또는 가입자 신호를 위한 주파수 대역의 인터리빙은 전송 에러를 감소시키며 수신단에서 보상이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만약, 소정 범위의 할당된 주파수 범위에 대하여 서브캐리어의 중심 주파수사이의 구간을 최대화하도록 서브캐리어가 부분 블록 또는 데이터 심볼에 할당된다면, 가장 양호한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의 적응성은 특히 부분 블록내의 다수의 데이터 심볼이 무선 인터페이스의 전송 조건에 의존하여 변할 경우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비트율은 전송 조건에서 요구조건 또는 최대 허용값에 의존하여 적응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의 전송 조건에 따라 하나의 데이터 심볼에 할당된 서브캐리어의 넘버Q를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송 조건과 간섭 면역성을 매칭시키며 주파수 자원을 경제적으로 관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심볼의 전송을 위한 주기는 부분 블록의 동시에 전송된 데이터 심볼 수를 변경함으로써 무선 인터페이스의 전송 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는 다수 캐리어 또는 코드 멀티플렉스 방법의 장점이 주기 및/또는 동시에 전송된 데이터 심볼 수에 따라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일정한 데이터율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 파라미터는 특정 전송 조건에 의존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가드 시간이 데이터 심볼의 전송을 위한 주기 내에 제공된다면, 특히 간단하고 경제적인 수신기가 수신단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설정된 주기가 상대적으로 길 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소수 세트로부터 어떠한 제한 없이 데이터 심볼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서브캐리어와 관련된 변조에 의하여 큰 수의 개별 변조 타입 및 크고 쉽게 가변가능한 범위의 데이터 심볼과 코드 심볼의 결합 범위가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CDMA 가입자 분리이외에, 본 발명의 방법은 TDMA 및/또는 FDMA 방법에 따른 가입자 분리를 제공하며, 따라서 현재의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서 쉽게 구현될 수 있다.
변조는 매트릭스 형태로 개별 코드의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서브캐리어 관련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값은 가중에 의하여 변조된 데이터 심볼을 형성을 위한 데이터 심볼의 요구된 선형 변환 및/또는 전송될 데이터의 펄스 형성을 포함한다.
제어 수단은 블록의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심볼에 상이한 수의 서브캐리어를 할당하거나 또는 상이한 수의 데이터 심볼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부분 블록으로 블록을 분할함으로써 데이터 심볼의 심볼 관련 개별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블록내의 데이터 심볼은 중요도가 다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시그널링 심볼과의 간섭은 음성 전송을 위한 심볼과의 간섭보다 더욱 심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최적의 방식으로 이를 다루는데, 이는 심볼 또는 부분 블록이 개별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간섭 면역성은 서브캐리어의 대역폭과 심볼 전송 주기의 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블록내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적당한 자원(서브캐리어의 수 및 심볼 주기) 할당은 개별 간섭 면역성을 한정한다.
전송 장치의 제어 수단은 데이터 심볼을 개별적으로 처리하는 프로세스가 전송 조건 및/또는 무선 셀의 부하 레벨에 따라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장치의 규정에 따라 스위칭되도록 설계된다. 이는 동작중에도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확실히 적응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는 상호 네트워크되며 지상 통신선 네트워크(PSTN)에 대한 엑세스를 생성하는 다수의 이동 스위치 센터(MSC)를 포함하는 공지된 GSM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구조와 일치한다. 또한, 상기 이동 스위치 센터(MSC)는 각각의 경우 적어도 한나의 기지국 제어기(BSC)에 접속된다. 각각의 기지국 제어기(BSC)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S)에 차례로 링크되도록 한다. 상기 기지국(BS)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국(MS)에 정보 링크를 설정할수 있는 무선 기지국이다. 예를 들면, 도(1)에 세개의 이동국(MS) 및 한개의 기지국(BS) 사이의 세개의 링크가 도시되어 있다. 동작 및 유지 센터(OMC)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부분에 대한 감시 및 유지 기능을 수행한다. 동작 및 유지 센터(OMC)와 기지국 제어기(BSC)는 기지국(BS)의 무선 셀에서 무선 자원의 할당에 대한 세팅 및 적응에 대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능은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필요하다면 고정 위치 이동국(MS)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BS) 및 이동국(MS)사이의 통신 링크는 다중 경로 전파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경로 전파는 직접 전파 경로외에, 예를 들면 빌딩 또는 식물에 대한 반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만일 이동국(MS)이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이후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다중 경로 전파는 수신 기지국(BS)에 타임 기능으로 첨가된 가입자 신호의 다양한 전파 경로의 신호 성분을 따라간다. 또한 다른 이동국(MS)의 가입자 신호는 수신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수신 포인트에서 첨가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입자 분류는 CDMA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하 명세서에 나타나는 상기 방법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전송 상태에 매칭하기 위한 것이다.
전송 기지국(BS)의 작업은 가입자 신호에 포함된 전송 데이터(d)를 준비하는 것이며 가입자의 특정한 통신 링크에 속한 각각의 이동국(MS)에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도 2 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할당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도 1 에서 3개의 이동국(MS)에 링크된 기지국(BS)의 무선 셀에서 사용할 수 있는 12개의 주파수 밴드(0...11)를 가진다.
이중에서, 세개의 주파수 밴드는 이미 현행 GSM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할당되어 있고 또한 계속 사용될 것이다. 또한, 9개의 서브캐리어(1,2,...9)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 에 따르면, 일정 대역폭이 모든 주파수 밴드에 적용된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의 내용상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요구 조건은 아니다.
도 5 에 상세히 설명된 전송 장치에 대해, 광역 밴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주파수 밴드를 결합하기 위한 출력이 필요하다. 이 경우 전송 장치는 GSM 모드용 전송 장치에 병렬로 사용될 수 있고 적당한 패러미터 세팅에 의해 자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은 가입자 신호의 무선 블록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다. 무선 블록은 TDMA 프레임 구조의 1개 타임 슬롯에 전송된다. 각각의 프레임은 한개 또는 그 이상의 가입자 신호를 위한 적어도 한개의 타임 슬롯을 포함한다.
무선 블록의 지속 시간은 Tbu로 지정된다. 무선 블록은 각각 N 데이터 심볼(d) 및 Tb1인 각각의 블록의 길이를 가지는 두개의 블록을 포함한다. 두개의 블록은 Tseq의 지속 시간을 가지는 트레이닝 시퀀스(Tseq)에 의해 분리된다. 무선 블록은 가드 시간(Tq)에 의해 종결되고 가드 시간은 이동국(MS) 및 기지국(BS) 사이의 다른 거리로부터 발생하는 지연 시간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은 각각의 데이터 심볼(d)이 CDMA방식에 따라 - 왼쪽 - 또는 다수-캐리어 방식에 따라 - 오른쪽 - 전송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CDMA 방식의 경우, 각각의 데이터 심볼(d)은 Q 코드 심볼을 가진 대역폭(Bu)으로 확산된다. 다수 캐리어 방식의 경우, 각각의 데이터 심볼(d)은 Q 서브캐리어로 변조되고 서브캐리어의 대역폭의 합계는 대역폭(Bu)으로 주어진다. 모든 경우에 있어, 데이터 심볼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은 심볼 지속 시간(Ts)이다.
본 발명은 두 방식의 엄정한 구성에서 벗어나지만 도4a,4b에 일치하는 전송을 제시한다.
도4a는 데이터 심볼(d) 당 코드 심볼(c)에 의해 확산된 부분적인 블록을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N 데이터 심볼(d)을 가진 블록은 Ns=3 데이터 심볼(d(1),d(2),및d(3))을 가진 부분 블록으로 나누어 진다. 데이터 심볼(d(1))은 서브캐리어(1,4,7)에 할당되고 데이터 심볼(d(2))은 서브캐리어(2,5,8)에 할당되며 최종적으로, 데이터 심볼(d(3))은 서브캐리어(3,6,9)에 할당된다. 블록의 다른 부분 블록에 대한 절차는 동일하다. 이 경우 할당 방법은 전송시 가능한한 많은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면, 데이터 심볼(d(1))에 대한 서브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사이의 간격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4a에 따른 할당에 있어서, 부분 블록의 개별 데이터 심볼(d(1),d(2),d(3))은 이 점에 있어 동일하게 취급된다. 만일 개별 데이터 심볼이 다른 가중치를 가지고 있다면, 개별 데이터 심볼(d(1))은 또한 더많은 서브캐리어의 할당에 의해 선택된다.
상기 각각의 심볼은 심볼 지속시간(Ts)동안 각각의 코드 심볼(c(1),c(2),c(3))과 함께 확산된다. 데이터 심볼(d) 당 코드 심볼의 갯수는 이 경우 Q=1로 축소되며, 그 결과, 다른 파라미터가 적당히 선택된다면, CDMA 수신이 없는 수신 기지국(MS)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지속 시간(Ts)동안 등화(equalization)없이 값싼 수신기를 사용하기 쉽도록 심볼내에 가드 시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하고 효율적인 이동국(MS)이 사용되도록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데이터 심볼이 동시에 전송되는 갯수, 즉 부분 블록의 길이(Ns)를 증가시킴으로써 데이터율을 감소시키지 않고 심볼 지속 시간(Ts)을 연장하도록 한다. 긴 심볼 지속시간(Ts)은 유리하며, 특히 피코 셀 또는 마이크로 셀을 사용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계층적인 셀 구조에 유리하다.
도4b는 데이터 심볼(d) 당 코드(c)에 의해 확산된 다수의 가입자 신호의 부분 블록을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N 데이터 심볼(d)을 가진 K 가입자 신호의 블록은 K=1...K에서 Ns=3 데이터 심볼(d(1)(K),d(1)(K),d(1)(K))을 가진 부분 블록으로 분리된다. 데이터 심볼(d(1)(K))은 서브캐리어(1,4,7)에 할당되며, 데이터 심볼(d(2)(K))은 서브캐리어(2,5,8)에 할당되고, 데이터 심볼(d(3)(K))은 서브캐리어(3,6,9)에 할당된다. 블록의 다른 부분 블록의 절차는 동일하다.
상기 데이터 심볼(d(1)(K),d(2)(K),d(3)(K))은 심볼 지속 시간동안 가입자의 특정 코드(c(k)(q))와 함께 확산된다. 여기에서 K=1...K 이며 q=1...Q 이다. K 는 동일 주파수 채널 및 타임 슬롯의 가입자 갯수이며 Q 는 데이터 심볼(d) 당 코드 심볼의 갯수이다. 상기 가입자의 특정 코드(c(k)(q))는 여러 가입자 신호의 데이터 심볼(d(1)(K),d(2)(K),d(3)(K))을 수신기 단부에서 예를 들면 소위 JD(조인트 검출) CDMA방식을 사용하여 다시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개별 데이터 심볼(d(1)(K),d(2)(K),d(3)(K))에는 다른 서브캐리어들 사이에서 확산되도록 세개의 다른 데이터 심볼(d(1)(K),d(2)(K),d(3)(K))에 대한 코드를 사용하여 다른 서브캐리어 관련 코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송 절차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전송 장치는 메모리 장치(SP)를 포함하는 제어 수단(SE), 변조 수단(MOD) 및 전송 장치(HF)를 포함한다.
가입자 신호의 데이터 심볼(d)은 네트워크 단부의 전송 장치에 도착하고 변조 수단(MOD)에 공급된다. 데이터 변조, 예를 들면 에러 방지, 삽입등은 변조 수단(MOD)의 일부분에서 수행된다. 또한, 블록의 데이터 심볼(d)은 Ns데이터 심볼(d)을 가진 부분 블록으로 제어 수단(SE)에 의해 분리된다.
부분 블록의 길이(Ns) 및 위치는 메모리 장치(SP)에 저장된다. 또한, 제타값은 변조 수단(MOD)에 의해 판독될때, 데이터 심볼(d)을 확산시키는 매트릭스 형태로 저장된다.
상기 제타값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형태이다.
여기에서, K=1,,,K이며 ns=1...Ns이고, δ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IDFT) 또는 다른 선형 변환을 나타낸다.
또한, 제타값은 펄스를 형성하기 위한 인자:zeta(k,ns)=ax·zeta를 포함하며, x=1...9 (도4에 따르면 9개의 서브캐리어가 존재함)이다.
이 경우, 상기 방법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 및 연속 광역 밴드 전송 신호는 미리 결정될 수 있는 형태 및 예를 들면 GMSK 형태 또는 역 코사인 함수에 기초한 형태인 협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형태로 주어진다.
k=1...k이고 s(k)=zeta(k)·d(k)의 형태인 전송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확산 타입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전송 수단(HF)의 저역 통과 필터링되고 적당한 증폭이 이루어진후, 수신 이동국(MS)를 향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이다.
이하 명세서에는 제어 수단(SE)에 의해 제어된 전송 장치가 파라미터(Ns, Ts,Q) 및 데이터 심볼(d) 당 서브캐리어의 세팅에 의한 유연한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할당 및 변조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파라미터의 선택시 전송 상태(심각한 노이즈 및 간섭) 및 무선 셀(다수의 가입자)의 무선 자원(타임 슬롯, 주파수, 코드)의 로드 레벨을 고려해야한다. 상기 상태는 기지국 제어기(BSC) 및/또는 동작 및 유지 센터(OMC)에 의해 제어기 수단(SE)으로 시그널링된다. 이 후 제어 수단(SE)은 각각의 링크에 대한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한다.
동시에, 특정한 전송 상태(특정 대역폭의 CDMA 또는 다수 캐리어 방식이 아님) 및 특정한 데이터율을 요청하는 각각의 이동국(MS)의 필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제타값에 필요하여 선택된 데이터 세트는 상기 방식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연한 방식으로 다음의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심볼(d) 및/또는 긴 심볼 지속시간(Ts) 당 다수의 서브캐리어는 전송 특성을 향상시킨다.
부분 블록 당 다수의 데이터 심볼(d)은 일정한 심볼 지속 시간(Ts)에 대한 데이터율을 증가시킨다.
특히, 전송 특성은 데이터 심볼(d) 또는 부분 블록을 세팅할 수 있다.
펄스 형성 및 변환은 변경될 수 있다.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한개의 데이터 심볼(d)에 대한 다수의 서브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또는 데이터 심볼(d) 당 다수의 코드 심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UMTS(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또는 FPLMTS(미래 공중 육상 통신)과 같은 미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당하다.

Claims (24)

  1.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d)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신호의 N 데이터 심볼(d)은 블록을 형성하며,
    상기 방법은:
    - 상기 블록을 Ns 데이터 심볼(d)을 가진 다수의 부분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 상기 Ns 데이터 심볼(d)을 서브캐리어로 할당하는 단계;
    - 동시 전송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상기 Ns 데이터 심볼(d)을 병렬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각각의 서브캐리어의 변조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코드 심볼(c)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 광대역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서브캐리어를 헤테로다이닝하는 단계; 및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부분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광대역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서브캐리어를 선형 헤테로다이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d)은 다수의 서브캐리어상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4.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사용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은 데이터 심볼(d)을 위한 서브캐리어 또는 서브캐리어 그룹사이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블록에 서브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서브캐리어의 중심 주파수사이의 구간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d)에 서브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서브캐리어의 중심 주파수사이의 구간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7. 제 4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다른 가입자 신호는 부분 블록의 데이터 심볼(d)을 가진 서브캐리어 또는 서브캐리어 그룹사이의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8.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블록의 데이터 심볼(d)의 수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전송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9.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 심볼(d)에 할당된 서브캐리어의 넘버Q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전송 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0.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d)의 전송을 위한 주기는 부분 블록의 동시에 전송된 데이터 심볼(d) 수를 가변함으로써 무선 인터페이스의 전송 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1.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가드 시간이 데이터 심볼(d)의 전송을 위한 주기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2.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d)은 복소수 세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3.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d)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입자 신호의 N 데이터 심볼(d)은 블록을 형성하며,
    상기 장치는:
    - 상기 블록을 Ns 데이터 심볼(d)을 가진 다수의 부분 블록으로 분할하는 제어 수단(SE);
    - 동시 전송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상기 Ns 데이터 심볼(d)을 적어도 하나의 개별 코드 심볼(c)을 이용하여 변조하고, 광대역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서브캐리어를 헤테로다이닝하는 변조 수단(MOD); 및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부분 블록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H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추가의 가입자 분리가 TDMA 및/또는 FDMA 방법에 따라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태로 서브캐리어와 관련된 개별 코드(c)의 값(제타)을 저장하는 메모리 디바이스(SP)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값은 변조 수단(MOD)에 의하여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값(제타)은 변조된 데이터 심볼을 형성하도록 데이터 심볼(d)의 선형 변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전송될 데이터(d)의 펄스 형성을 위한 팩터는 서브캐리어 관련 가중에 의하여 상기 값(제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8. 제 13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d)의 개별 처리는 블록의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심볼(d)에 상이한 수의 서브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제어 수단(SE)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9. 제 13항 내지 제 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d)의 개별 처리는 블록이 상이한 수 Ns의 데이터 심볼(d)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부분 블록으로 분할되도록 하는 제어 수단(SE)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0. 제 13항 내지 제 1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d)의 개별 처리는 서브캐리어의 대역폭과 심볼의 전송 주기의 상이한 곱을 블록의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심볼(d) 또는 두 개의 부분 블록에 할당함으로써 제어 수단(SE)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1. 제 17항 내지 제 1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SE)은 전송 조거 및/또는 무선 셀의 부하 레벨에 의존하여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하여 장치(BSC, OMC)의 규정에 따라 데이터 심볼(d)의 개별 처리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2. 제 13항 내지 제 2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GSM 이동 무선 네트워크 또는 다른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현재 주파수 대역은 서브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3. 제 13항 내지 제 2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S)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24. 제 13항 내지 제 2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MS)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KR10-1999-7008795A 1997-03-26 1998-03-04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 장치 KR100474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105149 1997-03-26
EP97105149.5 1997-03-26
PCT/EP1998/001399 WO1998043384A1 (de) 1997-03-26 1998-03-04 Verfahren und sendeeinrichtung zum senden von datensymbolen aus teilnehmersignalen über eine funkschnittstelle eines mobil-kommunikations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725A true KR20010005725A (ko) 2001-01-15
KR100474181B1 KR100474181B1 (ko) 2005-03-07

Family

ID=2607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795A KR100474181B1 (ko) 1997-03-26 1998-03-04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972370B1 (ko)
KR (1) KR100474181B1 (ko)
WO (1) WO19980433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13B1 (ko) * 2002-04-25 2005-03-08 모빌토크(주) 멀티무선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730601B1 (ko) * 2001-02-03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기기 및 그 통신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통신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2656C2 (sv) * 1994-11-29 1995-12-04 Telia Ab Metod för synkronisering av sändare och mottagare vid mobilt radiosystem
FI116651B (fi) * 1995-07-03 2006-01-13 Nokia Mobile Phones Ltd Kapeakaistaiseen TDMA-järjestelmään perustuva laajakaistainen sovellus
FR2737366B1 (fr) * 1995-07-28 1997-10-24 Thomson Csf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par paquets sur frequence porteuse lineairement variable et emetteur et recepteur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601B1 (ko) * 2001-02-03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기기 및 그 통신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통신시스템
KR100474013B1 (ko) * 2002-04-25 2005-03-08 모빌토크(주) 멀티무선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72370A1 (de) 2000-01-19
KR100474181B1 (ko) 2005-03-07
WO1998043384A1 (de) 1998-10-01
EP0972370B1 (de) 200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51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 pilot signal adapted to the channel characteristics
JP5062852B2 (ja) パイロット信号伝送の方法
EP1526674B1 (en) Method for subcarrier allocation and for modulation scheme selection in a wireless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Rohling et al. Performance comparison of different multiple access schemes for the downlink of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CN1860703B (zh) 在使用正交频分多址方案的通讯系统中收/发上行链路导频信号的设备和方法
US8971283B2 (en) Radio resource assignment method for physical channel in uplink, and transmitter for mobile apparatuses
KR100539925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부반송파 할당 장치 및 방법
RU2382501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и система для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и управления каналам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спользуя каналы амс и каналы разнесенного приема
KR100575434B1 (ko)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자원 공간 분할 및 물리 채널 할당 방법
US20100165952A1 (en) Orthogonal frequency and code hopping multiplexing communications method
JP2004135305A (ja) Ofmdaを使用するhsdpaシステムの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方法
KR20050053907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캐리어 할당 방법
WO2007119452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およびリソース割当方法
JP413802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無線インターフェースを介して加入者信号からのデータシンボル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送信装置
US20040066838A1 (en) MC/MC-DS dual-mode adaptive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70034905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운용 장치및 방법
US5724380A (en) Radio transmission system
KR101048194B1 (ko) 주파수 폭 및 복수의 부대역을 동적으로 분할하는 무선 멀티-캐리어 통신 방법
KR10047418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가입자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 장치
Seba et al. Multiple access techniques for future generation mobile networks
KR20070050118A (ko) Ofdma 이동 통신 시스템의 채널할당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