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4855A - 세탁기의 물살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물살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855A
KR20010004855A KR1019990025603A KR19990025603A KR20010004855A KR 20010004855 A KR20010004855 A KR 20010004855A KR 1019990025603 A KR1019990025603 A KR 1019990025603A KR 19990025603 A KR19990025603 A KR 19990025603A KR 20010004855 A KR20010004855 A KR 20010004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ul
cap
laundr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학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9002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4855A/ko
Publication of KR2001000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85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세이터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물살을 발생시켜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조의 상부와 하부에서 세탁 편차가 발생되고, 세탁물의 꼬임과 뭉쳐짐이 심하게 발생되며, 인체에 해로운 균과 악취에 노출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물살 발생 장치는 펄세이터(60)의 상면 중앙에 수용공간(74)을 갖는 바울(70)이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 캡(80)이 씌워지며, 캡(80)은 수용공간(74)과 통하는 다수의 구멍(82)을 갖는다. 바울(70)과 캡(80)의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날개(90)가 형성되고,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 다수의 세라믹 볼(100)이나 향(120)이 수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펄세이터와 동시에 회전되는 바울과 캡에 의해 세탁조 전체에서 세탁물이 균일하게 세탁되고, 세탁물의 꼬임율이 감소되어 세탁 효율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바울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세라믹 볼에 의해 물이 정화 및 활성화됨은 물론, 살균 및 탈취, 표백 효과로 인하여 세탁 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향으로부터 발산되는 향기가 세탁물에 베여 의류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상쾌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기를 보다 기분 좋게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WATER FLOW I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펄세이터(Pulsator)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물살을 발생시켜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에 세탁물과 물,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를 넣고 기계적인 물살에 의한 충격을 세탁물에 주어 일련의 세탁 및 헹굼, 탈수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에 대한 예를 도 1a 및 도 1b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캐비닛(10)의 상면 후방에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급수시키기 위한 급수 밸브(12)가 장착되고,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저수조(20)가 설치된다. 저수조(20)의 상부에 급수 밸브(12)로부터 물을 급수받아 뿌려주는 샤워 링(Shower Ring: 22)이 장착되며, 저수조(20)의 내부에는 세탁조(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세탁조(30)의 둘레에 저수조(20)와 이어지는 다수의 구멍(3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밸런서(Balancer: 34)가 장착된다.
또한, 세탁조(30)의 내면 양쪽에는 가이드 필터(Guide Filter: 40)가 장착되며, 가이드 필터(40)는 세탁조(30)의 하부와 상부를 수직하게 이어주는 수로(42)를 갖는다. 세탁조(30)의 바닥에는 정역으로 구동하는 모터(5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52)에 의해 펄세이터(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펄세이터(60)의 상면에 회전 물살을 발생시키는 제1 날개(62)와 상승 물살을 발생시키는 제2 날개(64)가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분출구멍(66)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모터(5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52)에 의해 펄세이터(60)가 정역 회전되며, 펄세이터(60)의 정역 회전에 의해 돌개 물살(Cyclone Water Flow)이 발생됨과 아울러 물살이 분출구멍(66)을 통하여 펄세이터(60)의 상방으로 솟아 오르면서 분출 물살이 발생되어 세탁물의 세탁 행정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세탁물의 세탁 행정중에는 펄세이터(60)의 회전에 의해 물이 세탁조(3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가이드 필터(40)의 수로(42)를 통하여 급수된 후, 세탁조(3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폭포 물살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폭포 물살은 세탁조(30)의 물을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되어 세탁 효율을 증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물이 급수 밸브(12)를 통하여 샤워 링(22)으로 급수될 때에는, 이 물이 샤워 링(22)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세탁조(30)로 떨어지면서 소나기 물살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조(30)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펄세이터(60)의 회전력이 세탁조(30)의 상부에 미치지 못하여 세탁조(30)의 상부에서는 하부에서보다 물살이 약하게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세탁조(30)의 상부에 있는 세탁물이 하부에 있는 세탁물보다 덜 세탁되면서 세탁 편차가 발생되어 세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세탁조(30)에 많은 양의 세탁물이 담겨져 세탁조(30)의 상부에서 세탁물이 물위에 부유할 경우 부유하는 세탁물은 거의 세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펄세이터(60)의 제2 날개(64)는 중앙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상향되는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날개(64)에 의해 물이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분산되면서 세탁조(30)의 내면을 타고 상승하다가 중앙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제2 날개(64)의 중앙이 가장자리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날개(62)와 제2 날개(64)에 의해 물살이 중앙보다 가장자리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세탁물이 펄세이터(60)의 중앙으로 몰리면서 서로 꼬이거나 뭉쳐지게 된다. 세탁물이 꼬여진 경우에는 세탁조(30)로부터 꺼내기가 매우 힘들고 어렵게 되며, 세탁물의 꼬임이 심한 경우에는 세탁물의 손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불만 원인으로 작용되어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되었다. 그리고, 세탁중에 세탁물이 뭉쳐지면 뭉쳐진 세탁물의 안쪽으로 물살이 작용되지 못하여 세탁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한편, 인체에 해로운 균, 예를 들어 출혈성 대장균이 오염되어 있는 세탁물과 오염되지 않은 세탁물을 함께 세탁할 경우에는 세탁물 전체가 균에 노출될 우려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저수조(20)의 내면과 세탁조(30)의 외면 등에 오염 물질, 예를 들어 세탁물에서 나오는 때나 세제 찌꺼기 등이 묻어 있으면, 곰팡이나 박테리아가 서식하게 된다. 곰팡이나 박테리아의 서식은 악취 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며, 인체에 해를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조(30) 내에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세라믹 볼(Ceramic Ball) 등을 투입하고 있으나, 세라믹 볼에 의해 세탁물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세탁기의 사용시 인체에 해로운 균이 세탁물에 오염되지 않게 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세탁물에는 땀내 등이 베여 있게 마련이고, 세탁물의 오염 물질로부터도 악취가 나게 된다. 이와 같은 땀내 등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지만 향기는 상쾌함을 느끼게 하므로, 세탁물에 향기가 베이도록 헹굼중에 향기가 나는 헹굼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리고, 세탁기의 사용자중 일부는 세탁물을 세탁조(30)에 장시간 넣어두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세탁조(30)의 세탁물로부터 보다 심한 악취가 나게 된다. 특히, 저수조(20)와 세탁조(30)의 오염 물질에 곰팡이와 박테리아가 서식하면서 발생되는 악취는 세탁물의 악취와 더해져 사용자의 비위를 상하게 하고 있으나, 그 해결에 뚜렷한 대안이 없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물의 꼬임율이 저하되도록 한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 및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물에 향기가 베이도록 한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살 발생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살 발생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살 발생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살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저수조 30: 세탁조
60: 펄세이터 70: 바울
74: 수용공간 80: 캡
82: 구멍 86: 핀
90: 날개 100: 세라믹 볼
110: 제올라이트 120: 향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세탁조의 바닥에 물살을 발생시키는 펄세이터가 설치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펄세이터의 상면 중앙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바울과; 바울의 수용공간에 씌워지고, 수용공간과 통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캡과; 바울과 캡의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날개로 이루어지는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에 있다.
또한, 캡은 바울에 결합되는 핀을 중심으로 수평 회전되어 열리고 닫히도록 설치되며, 바울의 수용공간에 다수의 세라믹 볼이나 향이 수용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한 세탁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a 및 도 1b,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조(30)의 바닥에는 정역으로 구동하는 모터(5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52)에 의해 펄세이터(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펄세이터(60)의 상면에 회전 물살을 발생시키는 제1 날개(62)와 상승 물살을 발생시키는 제2 날개(64)가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제2 날개(64)는 중앙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상향되는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펄세이터(60)의 상면 중앙에는 바울(Bowl: 70)이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바울(70)은 펄세이터(60)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는 기둥(72)을 가지며, 기둥(72)의 상부에 수용공간(74)을 갖는 반구(76)가 형성된다. 반구(76)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조립구멍(78)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바울(70)은 펄세이터(6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울(70)의 수용공간(74)은 반구형 캡(80)이 씌워지고, 바울(70)의 수용공간(74)이 캡(80)에 의해 씌어지면 이들의 전체적인 형상은 대략 구를 이루게 된다. 캡(80)의 둘레에 수용공간(74)과 통하는 다수의 구멍(8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바울(70)의 조립구멍(78)과 일치되도록 다수의 관통구멍(84)이 형성된다. 그리고, 캡(80)의 관통구멍(84)중 하나를 통하여 바울(70)의 조립구멍(78)에 핀(86)을 결합시켜 캡(80)이 수평 회전에 의해 열리고 닫히도록 설치시키며, 핀(86)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조립구멍(78)과 관통구멍(84)에는 나사(88)를 체결시켜 바울(70)과 캡(80)을 조립시킨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울(70)과 캡(80)의 둘레에 다수의 날개(90)가 동일한 간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즉, 날개(90)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바울(70)과 캡(80)이 접하는 면에서 최대 곡률 반경을 가지며 캡(80)의 정점으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날개(90)는 바울(70)과 캡(80)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첨원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면에서, 날개(90)는 4개가 형성된 것이 나타나 있으나, 날개(90)의 숫자는 적정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 다수의 세라믹 볼(100)이 수용되며, 세라믹 볼(100)은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규소(SiO2), 산화지르코늄(Zr2O3), 은(Ag) 등으로 조성된다.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는 세라믹 볼(100) 이외에도 제올라이트(Zeolite: 110)나 기타 세탁에 도움을 주는 물질을 넣을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는 향(120)을 수용시킬 수 있다. 향(120)은 펄프, 섬유, 합성 섬유 등의 다공질 물질(122)에 침투시켜 멤브레인향(Membrane Perfume: 124)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공성 물질(122)에 침투되어 있는 향(120)은 장기간 발산되게 된다. 향(120)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은 물론, 수용성 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멤브레인향(90)은 펄프, 섬유, 합성 섬유 등의 다공질 물질(92)에 향기로운 향(94)을 침투시켜 제조하며, 다공질 물질(92)에 침투되어 있는 향(94)은 장기간 발산되게 된다. 향(94)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것은 물론, 수용성 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86)을 중심으로 캡(80)을 수평 회전시켜 열어준 상태에서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 세라믹 볼(100)과 제올라이트(110)를 수용시키고, 바울(70)의 수용공간(74)을 캡(80)에 의해 닫아준다. 그리고, 캡(80)의 관통구멍(84)을 통하여 바울(70)의 조립구멍(78)에 나사(88)를 체결시켜 바울(70)과 캡(80)을 조립시킨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조(30) 내에 세탁물과 물,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를 넣고 원하는 세탁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모터(5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52)에 의해 펄세이터(60)가 정역 회전된다. 펄세이터(60)의 정역 회전에 의해 제1 날개(62)는 회전 물살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제2 날개(64)는 상승 물살을 발생시켜 돌개 물살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펄세이터(60)의 하부에 있는 물이 분출구멍(66)을 통하여 펄세이터(60)의 상방으로 솟아 오르면서 분출 물살이 발생되어 세탁물의 세탁 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펄세이터(60)의 제1 날개(62)와 제2 날개(64)에 의해서는 세탁조(30)의 상부에 있는 세탁물이 하부에 있는 세탁물보다 덜 세탁되면서 세탁 편차가 발생되었으나, 바울(70)과 캡(80)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날개(90)는 펄세이터(60)와 동시에 회전되어 펄세이터(60)의 중앙 상부에 물살을 발생시켜 주게 되므로, 세탁조(30) 전체에서 세탁물이 균일하게 세탁되어 세탁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펄세이터(60)의 상면과 바울(70)의 반구(76) 사이에서는 펄세이터(60)의 상면으로부터 세탁물이 뜨면서 반구(76)에 닿아 세탁되게 된다. 그리고, 펄세이터(60)의 중앙으로 몰리는 세탁물은 바울(70)과 캡(80)에 닿아 그 회전에 의해 분산되므로, 세탁물의 서로 꼬이거나 뭉쳐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세탁조(30)로부터 세탁물을 쉽게 꺼낼 수 있으며, 세탁물의 손상이 방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세탁물이 바울(70)과 캡(80)의 회전으로 분산되면서 큰 운동력을 가지게 되고 세탁물에 물살이 균일하게 작용되어 세탁 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펄세이터(60)와 바울(70) 및 캡(80)이 일체로 회전되면서 물살을 발생시켜 세탁물의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에, 물은 캡(80)의 구멍(82)을 통하여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 수용되어 있는 세라믹 볼(100)에 닿게 된다. 이때, 세라믹 볼(100)에서 방출되는 전자는 물을 수소이온과 수산기이온으로 분해하게 되며, 수소이온과 전자의 공급을 받은 활성산소의 화학반응으로 반복해서 정화된다.
또한, 전자의 공급을 받은 물의 크라스타가 작아지면서 오염물을 용해하는 힘과 세탁물에 침투하는 힘이 강해지며 계면활성 효과가 향상되어 세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세라믹 볼(100)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물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활성화된 물은 전해질의 침식을 방지하고 물질의 변성과 산화를 지연시켜 세탁물의 변질을 방지해주며 탄력을 유지해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살균 및 탈취, 그리고 활성산소와 과산화수수에 의한 표백 효과로 인하여 세탁 효율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한편, 제올라이트(110)는 물 속의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 등 2가의 양이온을 흡착, 제거하여 연수로 만들어 주게 되므로, 세제의 용해율이 향상되며, 오염 물질이 세탁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세탁 효율이 향상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 향(120)을 수용시킨 경우에는, 물은 캡(80)의 구멍(82)을 통하여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 수용되어 있는 멤브레인향(124)에 닿게 된다. 이에 따라 향(120)으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는 물에 녹아 세탁물에 베이게 되며,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서 향기가 나게 된다. 이 결과, 사람들은 향기가 나는 의류의 착용으로 상쾌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세탁기에서도 향(120)에 의해 향기가 나기 때문에 세탁기를 보다 기분 좋게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에 의하면, 펄세이터와 동시에 회전되는 바울과 캡에 의해 세탁조 전체에서 세탁물이 균일하게 세탁되고, 세탁물의 꼬임율이 감소되어 세탁 효율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바울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세라믹 볼에 의해 물이 정화 및 활성화됨은 물론, 살균 및 탈취, 표백 효과로 인하여 세탁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향으로부터 발산되는 향기가 세탁물에 베여 의류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상쾌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기를 보다 기분 좋게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세탁조의 바닥에 물살을 발생시키는 펄세이터가 설치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60)의 상면 중앙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수용공간(74)을 갖는 바울(70)과;
    상기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 씌워지고, 상기 수용공간(74)과 통하는 다수의 구멍(82)을 갖는 캡(80)과;
    상기 바울(70)과 캡(80)의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날개(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80)은 상기 바울(70)에 결합되는 핀(86)을 중심으로 수평 회전되어 열리고 닫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90)는 상기 바울(70)과 캡(80)이 접하는 면에서 최대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기 캡(80)의 정점으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 다수의 세라믹 볼(100)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울(70)의 수용공간(74)에 향(120)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향(120)은 다공질 물질(122)에 침투시킨 멤브레인향(1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물살 발생 장치.
KR1019990025603A 1999-06-30 1999-06-30 세탁기의 물살 발생장치 KR20010004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603A KR20010004855A (ko) 1999-06-30 1999-06-30 세탁기의 물살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603A KR20010004855A (ko) 1999-06-30 1999-06-30 세탁기의 물살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855A true KR20010004855A (ko) 2001-01-15

Family

ID=1959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603A KR20010004855A (ko) 1999-06-30 1999-06-30 세탁기의 물살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48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389A (ko) * 2002-06-2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26657B1 (ko) * 2001-10-24 200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날개
WO2011034331A2 (ko) * 2009-09-15 2011-03-24 Kang Choon Am 천연 무세제 세탁기
JP2015146897A (ja) * 2014-02-06 2015-08-20 ハイアールアジア株式会社 洗濯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57B1 (ko) * 2001-10-24 200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날개
KR20040001389A (ko) * 2002-06-2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1034331A2 (ko) * 2009-09-15 2011-03-24 Kang Choon Am 천연 무세제 세탁기
WO2011034331A3 (ko) * 2009-09-15 2011-08-18 Kang Choon Am 천연 무세제 세탁기
JP2015146897A (ja) * 2014-02-06 2015-08-20 ハイアールアジア株式会社 洗濯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2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ably delivering fluid to a second fluid stream
EP2185052B1 (en) A dishwasher
JP2005198860A (ja) 洗濯機
WO2005014911A1 (ja) 給水装置、給水方法および給水装置を備えた洗濯機
JP2007195866A (ja) 洗濯機およびその洗濯方法
AR035559A1 (es) Composicion detergente para el lavado de ropa o de vajilla, uso de dicha composicion para sanitizacion, uso de un agente regulador del ph en la misma y metodo de lavado para lavar textiles en un lavarropas
KR20110008838A (ko) 나노버블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활용한 세탁방법 및 그 장치
CN105916464A (zh) 一体化清洁器
KR20010004855A (ko) 세탁기의 물살 발생장치
CN111549491A (zh) 一种基于微纳米气泡的洗涤方法及洗涤设备
CA2373968A1 (en) Washing machine incorporating a bleach activator
JP2002011281A (ja) 電気洗濯機
KR200433678Y1 (ko) 세탁볼
KR100478877B1 (ko) 나노 실버를 이용한 세탁기용 세탁조
CN205024473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洗衣球
JP2004313752A (ja) 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248861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機器、及び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洗濯機
JPH0227030A (ja) 水洗式便器装置
JPH10244233A (ja) 超音波洗浄装置
KR200165264Y1 (ko) 세탁기의향발산구조
KR20040093958A (ko) 나노 실버를 이용한 세탁기용 급수챔버
CN216585725U (zh) 一种洗衣机
KR101372080B1 (ko) 우모 살균 방법 및 장치
JP2003320196A (ja) アルカリ・光照射法による洗剤使用量低減型の洗濯機、食器等洗浄機及び乾燥機
CN219613789U (zh) 一种洗消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