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197U - Incoming notifying device and outer covering - Google Patents

Incoming notifying device and outer cove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197U
KR20010002197U KR2020007000002U KR20007000002U KR20010002197U KR 20010002197 U KR20010002197 U KR 20010002197U KR 2020007000002 U KR2020007000002 U KR 2020007000002U KR 20007000002 U KR20007000002 U KR 20007000002U KR 20010002197 U KR20010002197 U KR 200100021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incoming
exterior body
vibratio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700000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사토요시노리
하나야마도시히코
스즈키가츠오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소리타 가츠히사
야마가타가시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소리타 가츠히사, 야마가타가시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20010002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197U/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단말로의 착신을 통지하는 착신통지장치 및 외장체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and an outer body to notify the incoming call to a mobile terminal,

착신시에 재미를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한 착신통지장치 및 외장체를 제공하고, 이 착신통지수단(1)은 외장체(2)를 갖고 있으며, 이 외장체(2)는 쥐를 모방한 봉제인형이고, 외장체(2)의 내부에는 저부측이 개방상인 수용부(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용부(8)의 저면부는 표피(3)에 연장설치된 덮개부(3a)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폐쇄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8)내에는 착신통지유닛(9)이 수용배치되어 있으며, 이 착신통지유닛(9)은 휴대단말(휴대전화)로의 착신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해서 진동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vide a call notification device and an exterior to make the user feel fun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call notification means (1) has an exterior (2), the exterior (2) is a stuffed toy that mimics a mouse The inside of the exterior body 2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art 8 having an open phase at the bottom side, and the bottom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8 is opened and closed freely by a lid part 3a extended to the skin 3. The receiving notification unit 9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art 8, and the receiving notification unit 9 receives a response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n incoming call to a mobile terminal (mobile phone). It is characterized by vibrating operation.

Description

착신통지장치 및 외장체{INCOMING NOTIFYING DEVICE AND OUTER COVERING}Incoming notification device and external body {INCOMING NOTIFYING DEVICE AND OUTER COVERING}

종래의 착신통지장치로서는 대응하는 휴대단말로의 착신을 바이브레이터의 진동, 또는 램프의 점멸점등에 의해 통지하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착신통지장치에 있어서, 램프의 점멸점등에 의해 통지하는 것에 있어서는 기능적인 존재의의는 물론이거니와 시각적인 재미를 발생시키는 의의도 갖고 있다.Conventionally,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is known to notify the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by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the flashing of the lamp, or the like. In these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s, not only the functional existence but also the visual fun is notified in the notification by the blinking lamp of the lamp.

그러나 종래의 착신통지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램프를 점멸, 또는 점등시켜도 착신통지장치 그 자체가 무기적인 형태인 것에서 시각적인 재미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착신시에 재미를 느끼게 하는 데는 아직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even if the lamp is simply flashed or turned on,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itself is in an inorganic form, so that visual fun is not sufficiently obtained, and it is still satisfactory to make the call fun. It was not.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착신시에 재미를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한 착신통지장치 및 외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all notification device and an exterior body that can make a user feel entertained when they receive a call.

본 고안은 휴대단말로의 착신을 통지하는 착신통지장치 및 외장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and an outer body for notifying incoming calls to a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착신통지장치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call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동 실시형태의 단면도.2 is a 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착신통지유닛을 나타내는 블록도.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coming notification unit in the same embodiment.

도 4는 진동패턴을 나타내는 파형도.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vibration pattern.

도 5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procedure in the embodiment;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procedur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착신통지장치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the call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착신통지장치의 측면도.Fig. 8 is a side view of the call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착신통지장치의 측면도.Fig. 9 is a side view of the call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동 실시형태의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me embodiment.

도 11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착신통지유닛을 나타내는 블록도.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coming notification unit in the same embodiment.

도 12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1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procedure in the embodiment;

도 13A는 고양이외장체의 측면도, 도 13B는 쥐외장체의 측면도, 도 13C는 도 13A, 도 13B의 a화살표시도, 도 13D는 고양이외장체에 있어서의 도 13C의 b화살표시도, 도 13E는 쥐외장체에 있어서의 도 13C의 b화살표시도.Fig. 13A is a side view of the cat outer shell, Fig. 13B is a side view of the rat outer shell, Fig. 13C is a arrow display of Figs. 13A and 13B, Fig. 13D is a b arrow display of Fig. 13C in a cat shell, Fig. 13E Fig. 13B b arrow display in the rat external body.

도 14A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착신통지유닛의 평면도, 도 14B는 좌측면도.Fig. 14A is a plan view of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B is a left side view.

도 15는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착신통지유닛을 나타내는 블록도.Fig.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coming notification unit in the embodiment;

도 16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procedure in the embodiment.

도 17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착신통지유닛을 나타내는 블록도.Fig.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coming notification unit 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18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procedure in the embodiment;

도 19는 본 고안의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착신통지유닛을 나타내는 블록도.Fig.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coming notification unit i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동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procedure in the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착신통지장치 2, 30, 53: 외장체1: call notification device 2, 30, 53: exterior

3: 표피 3a: 덮개부3: skin 3a: cover

4: 충전물 8, 43: 수용부4: packing material 8, 43: receiving part

9, 32, 47, 50, 60: 착신통지유닛9, 32, 47, 50, 60: incoming notification unit

10: 안테나 11: 전파검파부10: antenna 11: radio wave detector

12: 증폭기 13: CPU12: Amplifier 13: CPU

14: ROM 15: RAM14: ROM 15: RAM

16: 바이브레이터구동회로 18: 바이브모터16: Vibrator drive circuit 18: Vibrator motor

20: 타이머 31: 투광부20: timer 31: floodlight

40: 고양이외장체 41: 쥐외장체40: cat external body 41: rat external body

55, 62: 모터55, 62: mot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통지동작하는 착신통지수단과, 이 착신통지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동물의 외관형상을 구비한 외장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내부의 착신통지수단이 통지동작하면 외관상은 이 착신통지수단을 수용하는 동물의 외관형상을 구비한 외장체, 예를 들면 “쥐”의 의장적 외관을 구비한 외장체가 통지동작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이고, 이에 따라 재미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comprises an incoming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operation of being accompanied by an incoming call to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ior body hav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animal for accommodating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Therefore, when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ans is accompanied by a call to the mobile terminal, the appearance of the exterior body having the appearance shape of the animal accommodating the incoming call means, for example, a "mouse" has a design appearance. The exterior body appears to be in the notification operation, which can cause fun.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동물의 외관형상」은 고양이, 인간, 가상동물, 가상생물, 마스코트, 특정한 캐릭터 등의 외관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또 동물의 외관형상을 「구비했다」라는 것은 외장체의 일부만(예를 들면 상부, 하부, 측부, 전부, 또는 후부)가 고양이, 인간, 가상동물, 가상생물, 마스코트, 특정한 캐릭터의 외관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그 밖의 부분은 예를 들면 상자형상, 통형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term "appearance of the animal" as used herein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appearance of a cat, human, a virtual animal, a virtual creature, a mascot, a specific character, and the like. Only a portion (e.g., top, bottom, side, all, or back) has the appearance of a cat, human, virtual animal, virtual creature, mascot, or specific character, while other portions are, for example, boxes You may be provided with the shape and cylindrical shape.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진동에 의해 통지동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이 있으면 이에 동반하여 내부의 착신통지수단이 진동하고, 나아가서는 외장체가 진동한다. 따라서 이 착신통지장치를 예를 들면 테이블상 등에 놓아 두면 착신이 있을 때마다 “쥐” 등의 외관을 구비한 외장체가 진동하는 동시에 진동에 동반하여 테이블상 등에서 변위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ans is configured to notify by vibrating. Therefore,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inside vibrates, and further, the exterior body vibrates. Therefore, if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is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for example, an external body having an appearance such as a “mouse” vibrates whenever the incoming call is made, and at the same time, it is displaced on the table or the like with vibration.

또 청구항 3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과 상기 외장체는 별개체이며,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외장체에 착탈 자유롭다. 따라서 착신통지수단을 외장체로부터 꺼내어 단체(單體)로 사용할 수도 있고, 외장체에 장착하여 상기 재미를 발생시키면서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and the exterior body are separate entities, and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is detachable to the exterior body. Therefore, the call notification means can be taken out from the exterior body and used alone, or can be mounted on the exterior body and used while generating the above fun.

또 청구항 4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체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수용부에 출입 자유롭다. 따라서 착신통지수단을 단체로 사용하거나, 또는 외장체내에 배치하여 사용할 때 착신통지수단의 출입이 용이하게 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a housing portion is formed in the exterior body, and the incoming communication means is freely accessible to the housing portion. Therefore, when the call notification means is used as a group, or arranged in an exterior, it is easy to enter and exit the call notification means.

또 청구항 5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착신마다 다른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한다. 따라서 외견상은 흡사 착신마다 다른 패턴으로 외장체가 동작하는 것 같이 보인다.In the invention set forth in claim 5,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operates in a notification pattern different for each incoming call. Apparently, it looks like the exterior works in a different pattern for each incoming call.

또 청구항 6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소정 시간마다 통지패턴을 변화시켜서 통지동작한다. 따라서 외견상은 흡사 외장체의 동작이 변화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changes the notification pattern every predetermined time to operate the notification. Therefore, apparently, the motion of the exterior body seems to be changing.

또 청구항 7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진동의 강약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외장체의 외관이 동물인 경우 이것을 테이블상 등에 놓아 두면 진동의 강약에 동반하여 동물의 외관을 갖는 외장체가 흡사 살아 있는 것 같이 다양하게 테이블상 등에서 약동한다.Moreover, in the invention of Claim 7, the said call notification means changes the intensity | strength of the said vibration. Therefore, when the exterior of the exterior body is an animal, if it is placed on the table or the like, the exterior body having the exterior of the animal will stir on the table or the like in various ways as if the exterior body having the exterior of the animal is similar to the vibration.

또 청구항 8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모터에 의해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다. 따라서 모터가 정회전 및 역회전함으로써 진동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하고, 외장체의 진동형태도 다양하게 변화하여 테이블상 등에 있어서의 외장체의 움직임이 재미 있는 것으로 된다.In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8, the call notification means generates the vibration by a motor, and ha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Therefore, as the motor rotates forward and reverse, the vibration form changes in various ways, and the vibration form of the exterior body also changes in various ways, and the movement of the exterior body on the table or the like becomes interesting.

또 청구항 9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또한 리듬패턴을 발생하는 리듬패턴발생수단을 갖고, 상기 진동을 이 리듬패턴으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에 동반하여 외장체의 진동도 소정의 리듬패턴으로 변화하고, 테이블상 등에 있어서의 외장체의 움직임이 리드미컬한 것으로 된다.Further,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9,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further has a rhythm patter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rhythm pattern, and changes the vibration to this rhythm pattern. Accordingly, the vibration of the exterior body also changes to a predetermined rhythm pattern, and the movement of the exterior body on a table or the like becomes rhythmic.

또 청구항 10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또한 음악을 발생하는 음악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을 이 음악발생수단으로부터의 음악에 맞추어서 변화시킨다. 따라서 외장체가 음악에 맞추어서 진동하여 이를 보는 자의 시각과 청각이 자극된다.In the invention set forth in claim 10, the call notification means further includes music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music, and changes the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music from the music generating means. Therefore, the external body vibrates in accordance with the music to stimulate the viewer's sight and hearing.

또 청구항 11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또한 리듬패턴을 발생하는 리듬패턴발생수단과 음악을 발생하는 음악발생수단을 갖고, 상기 진동을 이 리듬패턴과 음악에 맞추어서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에 동반하여 외장체의 진동이 리드미컬한 것으로 되고, 이 리드미컬한 외장체의 진동과 음악에 의해 이를 보는 자의 시각과 청각이 상쾌하게 자극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1,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further includes a rhythm patter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rhythm pattern and a music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music, and changes the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hythm pattern and the music. Accordingly, the vibration of the exterior body becomes rhythmic and accompanied by the vibration and music of the rhythmic exterior body, the sight and hearing of the viewer are refreshed.

또 청구항 12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수용배치되는 상기 외장체가 갖는 캐릭터에 따라서 다른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한다. 즉 외장체가 갖는 캐릭터가 “고양이”이면 통지수단은 “고양이”의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하고, 이에 따라 외관과 움직임이 매칭한다.In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2, the call notification means performs a notification operation in a different notific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exterior body accommodated and arranged. That is, if the character of the exterior body is "cat", the notification means notifies by the notification pattern of "cat", whereby appearance and movement match.

또 청구항 13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음성 및 진동의 적어도 한쪽에서 통지동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고양이”의 울음소리로 통지동작하고, “고양이”의 움직임으로 진동하며, 또는 양자 통지동작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3,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ans performs a notification operation on at least one of voice and vibration. Thus,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at" crying, the vibration of the "cat" movement, or the quantum notification operation.

또 청구항 14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캐릭터에 따라서 다른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 가능한 동시에, 이 다른 통지패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을 갖고, 상기 외장체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의 장착에 동반하여 해당 외장체가 갖는 캐릭터에 따라서 상기 전환수단을 전환구동하는 전환구동수단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고양이”의 캐릭터를 갖는 외장체에 착신통지수단을 장착하면, 이 장착에 동반하여 외장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환구동수단이 착신통지수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환수단을 “고양이”의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하도록 전환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로의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는 “고양이”의 캐릭터를 갖는 외장체가 “고양이”의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한다. 또 예를 들면 “쥐”의 캐릭터를 갖는 외장체에 착신통지수단을 장착하면, 이 장착에 동반하여 외장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환구동수단이 착신통지수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환수단을 “쥐”의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하도록 전환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로의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는 “쥐”의 캐릭터를 갖는 외장체가 “쥐”의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한다. 즉 단순히 착신통지수단을 외장체에 장착함으로써 착신이 있었을 때에는 장착된 착신통지수단이 외장체의 캐릭터에 맞는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4,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is capable of notification operation in a different notific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character, and has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o the other notification pattern, and the exterior body is provided with the destination notification means. Accompanied with the installation, it has a switching driving means for switching the switch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 of the exterior body. Thus, for example, when the call notification means is attached to an exterior body having a character of "cat", the switching means provided with the call notification means is provided with a "cat" The notification pattern is switched to notify operation. As a result,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outer body having the character of "cat" is notified by the notification pattern of "cat". For example, if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is attached to an exterior having a character of "rat", the switching means provided on the exterior of the exterior accommodating the switching means provided on the exterior of the destination notification means "rat". The notification pattern is switched to notify operation. Accordingly,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the exterior body having the character of "rat" is notified by the notification pattern of "rat". In other words, when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by simply attaching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ans to the exterior body, the mounted incoming notification means operates the notificatio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notification pattern suitable for the character of the exterior body.

또 청구항 15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발광에 의해 통지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외장체는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착신통지수단으로부터 발광한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부를 갖는다. 따라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착신통지수단이 발광하면, 그 빛이 외장체의 투광부를 통하여 외부에 조사된다. 따라서 이 투광부를 외장체가 갖는 캐릭터의 눈부분으로 하는 것 등에 의해 외장체와 빛을 이용하여 보는 자의 시각을 자극할 수 있다.In the invention set forth in claim 15,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is a notification operation by emitting light, and the exterior body has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housed therein. Therefore,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emits light with the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of the exterior body. Therefore, by using the light projecting part as the eye part of the character of the exterior body, it is possible to stimulate the vision of the viewer using the exterior body and light.

또 청구항 16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발광과 함께 진동에 의하여 통지동작하는 것으로, 이 양자를 동기시켜서 변화시킨다. 따라서 외장체와 빛, 나아가서는 외장체의 진동 및 진동에 동반하는 외장체의 움직임에 의해 시각이 자극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6, the call notification means performs a notification operation by vibrating together with the light emission, so that both of them are synchronized. Therefore, the visual is stimulated by the movement of the exterior body accompanied by the vibration and vibration of the exterior body and light, and also the exterior body.

또 청구항 17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또한 음악을 발생하는 음악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과 진동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음악발생수단으로부터의 음악에 맞추어서 변화시킨다. 따라서 외장체와 빛, 나아가서는 외장체의 진동 및 진동에 동반하는 외장체의 움직임에 의해 시각이 자극될 뿐만 아니라 음악에 의해 청각도 자극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7,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further includes music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music, and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ssion and vibration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music from the music generating means. Therefore, not only the visual is stimulated by the movement of the exterior body accompanied by the vibration and vibration of the exterior body and light, but also the exterior body, and the hearing is also stimulated by music.

또 청구항 18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체는 상기 진동이 전달되어 가진(Excitation)되는 가동부를 갖는다. 즉 외장체가 동물의 형태이며, 그 꼬리나 귀 등이 가동부이면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착신통지수단이 진동했을 때에 꼬리나 귀가 개별로 진동한다.Moreover, in the invention of Claim 18, the said exterior body has a movable part in which the said vibration is transmitted and excited. In other words, if the exterior is in the form of an animal, and the tail or the ear is a movable part, the tail or the ear vibrates individually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vibrates with reception to the mobile terminal.

또 청구항 19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체의 저부에 회전 자유로운 회전체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테이블 등의 위에 놓아 두면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내부의 착신통지수단이 진동하고, 이에 동반하여 외장체가 진동했을 때, 이 진동에 동반하여 회전체가 회전해서 외장체가 이동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invention of Claim 19, the rotating body which freely rotates is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said exterior body. Therefore, when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ans vibrates with the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exterior body vibrates with this, the rotating body can rotate and accompany the vibration, and the exterior body can move.

또 청구항 20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체의 저부에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테이블상 등에 놓았을 때에 외장체가 볼록부의 선단에서 테이블과 접촉함으로써 접촉면적이 적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내부의 착신통지수단이 진동하고, 이에 동반하여 외장체가 진동했을 때, 이 진동에 동반하여 외장체가 테이블상 등에서 이동하기 쉬워진다.Moreover, in the invention of Claim 20, the convex part which protrudes below is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said exterior body. Therefore, when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the exterior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able at the tip of the convex portion so that the contact area is small. Therefore, when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ans vibrates with the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ior body vibrates with this, the exterior body easily moves on the table or the like with the vibration.

또 청구항 21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체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의 통지동작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연동부를 갖는다. 따라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내부의 착신통지수단이 통지동작하면, 이에 동반하여 외장체의 연동부, 예를 들면 외장체가 동물의 형태이며, 꼬리나 귀가 모터 등에 의해 동작하는 것인 경우, 이 모터의 동작에 동반하는 꼬리나 귀의 움직임에 의해 착신이 있었던 것이 알려진다.Further,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1, the exterior body has an interlocking portion that operat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notification operation of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ans. Therefore, when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ans is notified when the call is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interlocking portion of the exterior body, for example, the exterior body is in the form of an animal, and the tail or ear is operated by a motor or the like, It is known that an incoming call has been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tail and ears accompanying the operation of this motor.

또 청구항 22에 기재한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체는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가동부를 구동하여 통지동작한다. 즉 예를 들면 외장체가 동물이며, 꼬리나 귀가 회전 가능한 동물의 형태라고 하면, 내부의 착신통지수단은 휴대단말로의 착신이 있었을 때 꼬리나 귀를 회전구동하여 착신을 통지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2, the exterior body includes a movable portion, and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drives the movable portion to perform notification operation. That is, for example, if the exterior body is an animal, and the tail or ear is in the form of a rotatable animal,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ans notifies the incoming call by rotating the tail or ear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또 청구항 23에 기재한 외장체에 있어서는,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통지동작을 실시하는 착신통지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외관형상을 동물의 외관형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적절히 수용부내에 착신통지유닛을 넣어 두면 휴대단말로의 착신이 있었을 때 흡사 동물의 외관형상을 갖는 외장체가 착신통지를 실시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In the case according to claim 23, the exterior notific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receptacle which is detachably accommodated, and the exterior shape is the exterior shape of the animal. Therefore,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is properly placed in the receiving portion, it appears that an exterior body having an appearance similar to that of the animal when the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is carrying out the incoming notification.

또 청구항 24에 기재한 외장체에 있어서는, 상기 통지동작은 상기 휴대단말로의 착신시에 실행되는 발광동작이며, 상기 발광동작에 따라서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착신통지유닛이 발광동작하면, 그 빛이 외장체의 투광부를 통하여 외부에 조사되고, 동물의 외관형태로 이루어지는 외장체로부터 빛이 조사됨으로써 재미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e exterior body according to claim 24, the notification operation is a light emission operation performed upon rece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on portion for transmitting light e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light emission operation. Therefore,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emits light in conjunction with the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transmitting part of the exterior, and light can be generated from the exterior of the exterior of the animal, thereby generating fun. .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착신통지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착신통지장치(1)는 외장체(2)를 갖고 있다. 이 외장체(2)는 쥐를 모방한 봉제인형이며, 헝겊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머니상의 표피(3)와, 이 표피(3)의 내부에 채워 넣어진 면 등의 충전물(4)에 의해 형상이 유지되어 있다. 외장체(2)의 단부에는 대략 U자상의 잠금쇠(5)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잠금쇠(5)에는 가동부로서의 꼬리부(6)의 단부에 설치된 링(7)이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외장체(2)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측이 개방상인 수용부(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용부(8)의 저면부는 표피(3)에 연장설치된 덮개부(3a)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폐쇄되어 있다.Fig. 1 shows the appearance of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1 has an exterior body 2. The exterior body 2 is a stuffed toy that mimics a mouse, and its shape is maintained by a bag-like skin 3 made of a cloth or the like and a filler 4 such as a surface filled inside the skin 3. It is. A substantially U-shaped clamp 5 is attached to an end of the exterior body 2, and a ring 7 provided at an end of the tail 6 as a movable part is fitted to the clamp 5 so as to be movable. As shown in FIG. 2, the inside of the exterior body 2 is provided with the accommodating part 8 which is open on the bottom side, The bottom part of this accommodating part 8 is the cover part 3a extended to the skin 3 and is provided. It is opened and closed freely by.

상기 수용부(8)내에는 착신통지유닛(9)이 수용배치되어 있다. 이 착신통지유닛(9)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휴대전화)이 해당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0)를 구비하고, 이 안테나(10)는 전파검파부(1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전파검파부(11)는 안테나(10)에 의해 수신된 착신전파를 검파하고 소정의 착신패턴신호를 발생하며, 증폭기(12)는 이 착신패턴신호를 CPU(13)가 인식 가능한 레벨까지 증폭한다.In the accommodating part 8, a reception notification unit 9 is arranged. As shown in Fig. 3,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9 includes an antenna 10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mobile phone) in response to the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adio wave detector 11. The radio wave detector 11 detects the incoming radio wave received by the antenna 10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incoming pattern signal, and the amplifier 12 amplifies the incoming pattern signal to a level that the CPU 13 can recognize. do.

CPU(13)는 ROM(14)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RAM(15)을 워크에어리어로서 사용하면서 각 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입력신호의 유무, 또는 입력된 신호패턴에 의해 착신의 유무를 판정하고, 이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바이브레이터구동회로(16)와 음원(17)을 제어한다. 바이브레이터구동회로(16)에는 바이브레이터의 구동부인 바이브모터(18)가 접속되고, 음원(17)에는 스피커(19)가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CPU(13)에는 타이머(20)가 접속되어 있다.The CPU 13 controls each unit while using the RAM 15 as a work area based on a program stored in the ROM 14,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coming signal or whether there is an incoming signal based on the input signal pattern. The vibrator drive circuit 16 and the sound source 17 are controlled based on this determination result. The vibrator drive circuit 16 is connected to a vibrator motor 18 which is a driving unit of the vibrator, a speaker 19 is connected to the sound source 17, and a timer 20 is connected to the CPU 13.

상기 ROM(14)에는 프로그램과 함께 도 4에 나타내는 (1)에서 (n)까지의 진동패턴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이 진동패턴데이터는 상기 바이브모터(18)의 정지(0), 강, 약과 그 회전방향(정회전, 역회전)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ROM(14)에는 예를 들면 「도레미의 노래」, 「고양이 춤」 등 소정의 악곡의 멜로디데이터가 복수곡분 기억되어 있는 동시에 「왈츠」「맘보」 등의 리듬패턴데이터가 복수의 리듬종류분 기억되어 있다.The vibration pattern data (1) to (n) shown in Fig. 4 are stored in the ROM 14 together with the program. The vibration pattern data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stop (0), the strong and the weak and the rotational directions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of the vibr motor 18. In addition, the ROM 14 stores a plurality of pieces of melody data of a predetermined piece of music, such as "Doremi's song" and "Cat's dance," while rhythm pattern data such as "Waltz" and "Mambo" contain a plurality of rhythm types. I remember.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원 ON상태에 있으면 CPU(13)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하고, 증폭기(12)로부터 입력신호, 또는 착신패턴신호의 입력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판별한다(스텝SA1). 그리고 대응하는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해당 휴대단말이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이것이 안테나(10)에 의해 수신되어 전파검파부(11)가 착신패턴신호를 발생한다. 이 착신패턴신호가 증폭기(12)를 통하여 입력되면 스텝SA1으로부터 스텝SA2로 진행하고, 도 4에 나타낸 진동패턴(1)∼(n)의 어느 쪽인가를 무작위로 선택한다(스텝SA2). 계속해서 이 선택한 진동패턴에 따라서 바이브레이터구동회로(16)를 제어한다(스텝SA3). 이에 따라 바이브모터(18)가 진동패턴(1)∼(n)의 어느 쪽인가에 따라서 동작하고, 해당 패턴으로 착신통지유닛(9)이 진동하며, 따라서 착신통지유닛(9)은 착신이 있을 때마다 다른 패턴으로 진동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ower supply is in the ON state, the CPU 13 operates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based on the program, and the input of the input signal or the incoming pattern signal has been input from the amplifier 12.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re is (step SA1). When the mobile terminal generates a response signal accompanied by an incoming call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it is received by the antenna 10 and the radio wave detector 11 generates an incoming pattern signal. When the incoming patter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amplifier 12,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A1 to step SA2, and randomly selects any of the vibration patterns 1 to (n) shown in Fig. 4 (step SA2). Subsequently, the vibrator drive circuit 16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vibration pattern (step SA3). Accordingly, the vibrating motor 18 operates according to either of the vibration patterns 1 to (n), and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9 vibrates in the corresponding pattern, so that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9 may receive an incoming call. Each time it vibrates in a different pattern.

그러면 이 착신통지유닛(9)의 진동이 외장체(2)에 전달되고, 해당 외장체(2)도 똑같은 진동패턴으로 진동한다. 이 때 외장체(2)는 외관이 쥐의 형태인 것에서 진동에 의해 쥐가 통지동작하고 있는 것 같은 모양을 나타내거나 살아 있는 쥐같은 모양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시각적인 재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이 착신통지장치(1)를 테이블상 등에 놓아 두면 진동에 의해 착신통지장치(1)가 이동하고, 그 외장체(2)에 의해 흡사 쥐가 테이블상 등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 같이 보이며, 바이브모터(18)의 반전이나 정지 및 강약도 가해지는 것에서 테이블상 등에 있어서의 외장체(2)의 움직임이 재미 있는 것으로 되는 동시에 약동하고, 이에 의해서도 시각적인 재미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착신마다 다른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하는 것에서 외견상은 흡사 착신마다 다른 패턴으로 외장체(2)가 동작하는 것 같이 보인다. 또한 꼬리부(6)는 외장체(2)와는 별개로 진동 가능한 것에서 외장체(2)로부터의 진동에 의해 가진되어 독자적인 움직임을 함으로써 시각적인 재미는 한층 높아진다.Then, the vibration of the incoming communication unit 9 is transmitted to the exterior body 2, and the exterior body 2 also vibrates in the same vibration pattern. At this time, the exterior body 2 is in the form of a rat, and exhibits a shape in which the rat is notified by vibration or a live rat shape, thereby generating visual fun. If the incoming notification device 1 is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the incoming notification device 1 is moved by vibration, and the exterior body 2 looks like a mouse moving on a table or the like. 18), the movement of the exterior body 2 on the table or the like becomes interesting as well as the movement of the exterior 2 on the table and the like, and also the visual fun is obtain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otif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different notification patterns for each incoming call, the appearance 2 seems to operate in a different pattern for each incoming call. In addition, the tail portion 6 is vibrated separately from the exterior body 2 and is excited by the vibration from the exterior body 2, so that the visual fun is further enhanced.

한편 도 5의 흐름에 있어서, 스텝SA3에 계속되는 스텝SA4에서는 타이머(20)의 계시값에 의거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했다면 스텝SA1으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따라서 이 때 착신상태에 있으면 스텝SA1∼SA4의 처리가 반복실행되게 된다. 따라서 착신통지유닛(9) 및 외장체(2)의 진동패턴이 소정 시간마다 변화하여 외견상은 흡사 외장체(2)의 쥐의 동작이 변화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이고, 이에 의해서도 시각적인 재미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low of FIG. 5, in step SA4 following step SA3,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based on the time value of the timer 20, and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process from step SA1 is repeated. Therefore, if the call is in the incoming state at this time, the processes of steps SA1 to SA4 are repeatedly executed. Therefore, the vibration patterns of the incoming communication unit 9 and the exterior body 2 change every predetermined time, and apparently, the movement of the rat of the exterior body 2 seems to be changing, thereby providing visual fun. have.

또한 상기 덮개부(3a)를 개방하면 수용부(8)내에 수용되어 있는 착신통지유닛(9)을 꺼내고, 이것을 단체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사용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또 기존의 착신통지유닛(9)을 수용부(8)내에 수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이 착신통지장치(1)를 제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ver part 3a is opened, it is also possible to take out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9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8, and to use it as a unit, so that the use mode can be easily changed. In addition, by receiving the existing incoming notice unit 9 in the accommodating part 8, this incoming notice apparatus 1 can also be manufactured at low cost.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해당 휴대단말이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이것이 안테나(10)에 의해 수신되어 전파검파부(11)가 착신패턴신호를 발생하고, 이 착신패턴신호가 증폭기(12)를 통하여 CPU(13)에 입력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휴대단말과는 별도로 착신검지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착신검지장치로부터 착신패턴신호가 방사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안테나(10)에서 이 착신패턴신호를 수신하고, 이 착신패턴신호가 전파검파부(11) 및 증폭기(12)를 통하여 CPU(13)에 입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텝SA1의 판별이 입력신호 있음으로 되고, 상기한 스텝SA2 이후의 처리가 실시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a response signal accompanied by an incoming call to the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t is received by the antenna 10 and the radio wave detector 11 receives the incoming pattern signal. And the incoming pattern signal is inputted to the CPU 13 via the amplifier 12. However, in a system in which an incoming call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coming call pattern signal is radiated from the incoming call detection device, the incoming call pattern signal is received by the antenna 10, and the incoming call pattern signal is a radio wave detector. Input to the CPU 13 via the amplifier 11 and the amplifier 12. As a result, the determination of step SA1 is made with the input signal, and the processing after step SA2 is performed.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CPU(13)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전원 ON상태에 있으면 CPU(13)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6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하고, 증폭기(12)로부터 입력신호, 또는 착신패턴신호의 입력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판별한다(스텝SB1). 그리고 대응하는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해당 휴대단말이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이것이 안테나(10)에 의해 수신되어 전파검파부(11)가 착신패턴신호를 발생한다. 이 착신패턴신호가 증폭기(12)를 통하여 입력되면 스텝SB1으로부터 스텝SB2로 진행하여 ROM(14)에 기억되어 있는 곡의 어느 쪽인가를 무작위로 선택하고(스텝SB2), 또한 ROM(14)에 기억되어 있는 리듬패턴데이터의 어느 쪽인가를 무작위로 선택한다(스텝SB3). 계속해서 이 선택한 곡의 멜로디데이터에 의거하는 멜로디와 리듬패턴을 자동연주하고(스텝SB4),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멜로디「도레미의 노래」가 리듬패턴「맘보」를 동반하여 자동연주되기 시작한다.Fig. 6 shows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CPU 13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when the power supply is in the ON state, the CPU 13 operates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6 based on the program,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input signal or an incoming pattern signal has been input from the amplifier 12 (step SB1). . When the mobile terminal generates a response signal accompanied by an incoming call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it is received by the antenna 10 and the radio wave detector 11 generates an incoming pattern signal. When the incoming patter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amplifier 12,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B1 to step SB2 to randomly select one of the songs stored in the ROM 14 (step SB2), and further to the ROM 14; One of the stored rhythm pattern data is randomly selected (step SB3). Subsequently, the melody and the rhythm pattern based on the melody data of the selected song are automatically played (step SB4). Thus, for example, the melody "Doremi's song" is automatically played along with the rhythm pattern "Mambo".

다음으로 이 자동연주에 맞추어서 바이브모터(18)를 제어한다(스텝SB5). 이에 따라 바이브모터(18)가 자동연주되는 멜로디와 리듬패턴에 따라서 강약이나 정회전반전하면서 동작하고, 따라서 착신통지유닛(9)이 멜로디와 리듬패턴에 맞추어서 진동한다. 그러면 이 착신통지유닛(9)의 진동이 외장체(2)에 전달되는 동시에 멜로디와 리듬패턴이 방음되고, 외장체(2)가 멜로디와 리듬패턴에 동기하면서 진동한다. 따라서 이 착신통지장치(1)를 테이블상 등에 놓아 두면 멜로디와 리듬패턴에 동기한 진동에 의해 착신통지장치(1)가 리드미컬하게 변위하고, 이를 보는 자의 시각과 청각이 상쾌하게 자극된다.Next, the vibe motor 18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is automatic performance (step SB5). Accordingly, the vibr motor 18 operates while reversing the strength or the forward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elody and the rhythm pattern which are automatically played, and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9 vibrates in accordance with the melody and the rhythm pattern. Then, the vibration of the incoming communication unit 9 is transmitted to the exterior body 2 and the melody and the rhythm pattern are soundproofed, and the exterior body 2 vibrat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elody and the rhythm pattern. Therefore, if the call notification device 1 is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the call notification device 1 is rhythmically displaced by vibrations synchronized with the melody and the rhythm pattern, and the sight and hearing of the viewer are refreshed.

한편 도 6의 흐름에 있어서, 스텝SB5에 계속되는 스텝SB6에서는 선택한 곡의 자동연주를 종료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종료했다면 스텝SB1으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따라서 이 때 착신상태에 있으면 스텝SB1∼SB6의 처리가 반복실행되게 되고, 자동연주되는 곡 및 리듬패턴이 변화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low of Fig. 6, in step SB6 subsequent to step SB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utomatic playing of the selected song has ended, and if so, the process from step SB1 is repeated. Therefore, if the call is in the incoming state at this time, the processing of steps SB1 to SB6 is repeatedly executed, and the tune and rhythm pattern to be played automatically change.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외장체(2)의 저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록부(21)는 선단부가 뾰족해 있다. 따라서 테이블상 등에 놓았을 때에 외장체(2)가 볼록부(21)의 선단에서 테이블과 접촉함으로써 접촉면적이 적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내부의 착신통지유닛(9)이 진동하고, 이에 동반하여 외장체(2)가 진동했을 때, 이 진동에 동반하여 외장체(2)가 테이블상 등에서 이동하기 쉬워져서 이동범위가 넓어지며, 이에 따라 재미를 높일 수 있다.Fig. 7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convex portion 21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xterior body 2, and the convex portion 21 has a sharp tip. Therefore, when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the exterior body 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able at the tip of the convex portion 21, resulting in a small contact area. Therefore,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9 vibrates with the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ior body 2 vibrates with this, the exterior body 2 moves on the table or the like in conjunction with the vibration. It's easy to move and widen the range, which increases the fun.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외장체(2)의 저부에는 롤러(22)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블상 등에 놓았을 때에 외장체(2)가 이동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따라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내부의 착신통지유닛(9)이 진동하고, 이에 동반하여 외장체(2)가 진동했을 때, 이 진동에 동반하여 외장체(2)가 테이블상 등에서 보다 광범위하게 이동하며, 이에 따라 재미를 한층 높일 수 있다.FIG. 8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roller 22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bottom of the exterior body 2. Therefore, when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the exterior body 2 is easy to move. Therefore,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9 vibrates with the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ior body 2 vibrates with this, the exterior body 2 accompanies this vibration more widely on the table or the like. To increase the fun.

도 9∼도 12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착신통지장치(1)는 외장체(30)를 갖고 있다. 이 외장체(30)는 집오리를 모방한 플래스틱제의 중공체이며, 눈부분에 빛을 투과 가능한 투광부(31)를 갖고 있다. 외장체(30)의 내부에는 착신통지유닛(32)이 꺼냄 가능하게 세워설치되어 지지되어 있으며, 이 착신통지유닛(32)의 상기 투광부(31)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LED(33)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착신통지유닛(33)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도 3에 나타낸 착신통지유닛(9)의 회로에 LED구동회로(34)와 이 LED구동회로(34)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LED(33)를 추가하여 구성되어 있다.9-12 show the 5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s shown in FIG. 9 and FIG. 10, this incoming communication apparatus 1 has the exterior body 30. As shown in FIG. The exterior body 30 is a plastic hollow body that mimics a duck, and has a light-transmitting portion 31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Inside the exterior body 30, the reception notification unit 32 is installed and supported so that it can be pulled out, and the LED 33 is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reception notification unit 32 facing the light-transmitting part 31. It is. As shown in Fig. 11,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3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LED driving circuit 34 and the LED driving circuit 34 in the circuit of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9 shown in Fig. 3 described above. It is comprised by adding the said LED 33 driven by.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원 ON상태에 있으면 CPU(13)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하는데, 이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SC1∼SC5 및 스텝SC7의 처리는 상기한 도 6의 스텝SB1∼SB6와 동일한 처리이다. 그리고 유일하게 다른 스텝SC6에서는 자동연주에 맞추어서 LED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CPU(1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LED구동회로(34)가 LED(33)를 구동하고, LED(33)가 자동연주되는 멜로디와 리듬패턴에 따라서 점멸동작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ower supply is in the ON state, the CPU 13 operates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12 based on the program. In this flowchart, the processes of steps SC1 to SC5 and step SC7 are described above. It is the same process as that of step SB1-SB6 of FIG. The only other step SC6 controls the LEDs for autoplay. As a result, the LED driving circuit 34 drives the LED 33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CPU 13, and blinks in accordance with the melody and rhythm pattern in which the LED 33 automatically plays.

그러면 LED(33)로부터의 빛이 외장체(30)인 집오리의 눈부분인 투광부(31)를 통하여 외부에 조사되고, 이에 따라 시각을 자극할 수 있다. 따라서 외장체(30)의 진동 및 진동에 동반하는 외장체(30)의 움직임에 의해 시각이 자극되고, 멜로디와 리듬에 의해 청각이 자극될 뿐만 아니라 외장체(30)의 외관과 투광부(31)로부터의 빛에 의해 더욱 시각이 자극되어 재미를 더한층 높일 수 있다.Then, the light from the LED 33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31 which is the eye portion of the duck, which is the exterior body 30, thereby stimulating the vision. Therefore, the visual is stimulated by the movement of the exterior body 30 accompanied by the vibration and vibration of the exterior body 30, and the hearing is stimulated by the melody and the rhythm, as well as the appearance an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31 of the exterior body 30. Visual is stimulated by light from) and can raise fun more.

도 13∼도 16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3A에 나타낸 고양이를 모방한 고양이외장체(40)와, 동일 B도에 나타낸 쥐를 모방한 쥐외장체(41)가 미리 준비되어 있다. 이 양 외장체(40, 41)의 저부에는 동일 C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형상의 개구(42)를 갖는 수용부(4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개구(42)의 소정의 틀부 중앙에는 오목이지러짐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일 D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양이외장체(40)의 오목이지러짐부(44)에는 오른쪽방향으로 만곡상으로 연장되는 오른쪽만곡홈(45)이 연달아 설치되어 있고, 동일 E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쥐외장체(41)의 오목이지러짐부(44)에는 왼쪽방향으로 만곡상으로 연장되는 왼쪽만곡홈(46)이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13 to 16 show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cat outer body 40 that mimics the cat shown in FIG. 13A and the mouse outer body that mimic the mouse shown in FIG. 41 is prepared in advance. At the bottom of both exterior bodies 40 and 41, the accommodating part 43 which has the opening 42 of the same shape is provided in the same C figure, and the recessed part is centered in the predetermined frame part center of this opening 42. As shown in FIG. The dent 44 is formed. As shown in the same diagram of 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44 of the cat exterior body 40 are provided with the right curved grooves 45 extending in a curved shape in the right direction in succession. In the concave and distorted portions 44 of the rat outer shell 41, left curved grooves 46 extending in a curved shape in the left direction are successively provided.

한편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착신통지유닛(47)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개구(42)와 동일형상이며, 일단부에 슬라이드스위치회로부(48)를 갖고, 해당 슬라이드스위치회로부(48)의 슬라이드조작편(49)이 일단부의 중앙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스위치회로부(48)는 슬라이드조작편(49)을 중앙위치와 그 양측에 변위시킴으로써 “OFF”, “1”, “2”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4,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opening 42 in plan view, has a slide switch circuit portion 48 at one end, and the slide switch circuit portion. The slide operation piece 49 of 48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one end part. And this slide switch circuit part 48 is comprised so that it can switch to "OFF", "1", and "2" by displacing the slide operation piece 49 to a center position and both sides.

또한 이 착신통지유닛(47)의 회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도 3에 있어서의 타이머(20)를 슬라이드스위치회로부(48)로 치환한 구성이다. 다만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ROM(14)에는 고양이용의 진동패턴과 쥐용의 진동패턴 및 고양이의 울음소리파형과 쥐의 울음소리파형이 기억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circuit of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unit 47 is configured by replacing the timer 20 in FIG.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ROM 14 stores a vibration pattern for cats, a vibration pattern for rats, a cat cry waveform, and a mouse cry waveform.

이상의 구성에 관련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조작편(49)이 OFF위치에 있는 착신통지유닛(47)을 예를 들면 고양이외장체(40)의 수용부(43)에 개구(42)를 통하여 삽입하면 슬라이드조작편(49)이 오목이지러짐부(44)에 안으로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착신통지유닛(47)을 다시 수용부(43)의 안으로 삽입하면 슬라이드조작편(49)이 오른쪽만곡홈(45)에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하고, 이에 동반하여 슬라이드조작편(49)이 “OFF”의 위치로부터 “1”의 위치방향(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착신통지유닛(47)이 수용부(43)의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슬라이드조작편(49)도 “1”의 위치에 도달하고, 따라서 착신통지유닛(47)을 고양이외장체(40)에 장착했을 때에는 슬라이드스위치회로(48)는 “1”로 설정된다.In this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e above structure, the opening notification unit 47 with the slide operation piece 49 in an OFF position is made into the opening part 42 in the accommodating part 43 of the cat exterior body 40, for example. When inserted through, the slide operation piece 49 is fitted into the concave and distorted portion 44. In this state, when the reception notification unit 47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43 again, the slide operation piece 49 is guided to the right curved groove 45 and slides, and the slide operation piece 49 is “ Slide from the "OFF" position to the "1" position (right). And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reach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43, the slide operation piece 49 also reaches the position of "1", and thus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to the cat exterior body 40 When mounted, the slide switch circuit 48 is set to "1".

또 슬라이드조작편(49)이 OFF위치에 있는 착신통지유닛(47)을 예를 들면 쥐외장체(41)의 수용부(43)에 개구(42)를 통하여 삽입하면 슬라이드조작편(49)이 오목이지러짐부(44)에 안으로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착신통지유닛(47)을 다시 수용부(43)의 안으로 삽입하면 슬라이드조작편(49)이 왼쪽만곡홈(46)에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하고, 이에 동반하여 슬라이드조작편(49)이 “OFF”의 위치로부터 “2”의 위치방향(왼쪽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착신통지유닛(47)이 수용부(43)의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슬라이드조작편(49)도 “2”의 위치에 도달하고, 따라서 착신통지유닛(47)을 쥐외장체(41)에 장착했을 때에는 슬라이드스위치회로(48)는 “2”로 설정된다.In addition, when the slide notification piece 49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notification unit 47 in the OFF position, for example, into the receiving portion 43 of the mouse outer body 41 through the opening 42, the slide piece 49 becomes It fits into the recessed portion 44. In this state, when the reception notification unit 47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43 again, the slide operation piece 49 is guided to the left curved groove 46 and slides, and the slide operation piece 49 is “ Slide from the "OFF" position to the "2" position (left). And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reach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43, the slide operation piece 49 also reaches the position of "2", so that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to the mouse outer body 41 When mounted, the slide switch circuit 48 is set to "2".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착신통지유닛(47)이 어느 쪽인가의 외장체(40, 41)에 장착되고, 슬라이드스위치회로(48)가 “1” 또는 “2”로 설정되면 CPU(13)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하고, 증폭기(12)로부터 입력신호, 또는 착신패턴신호의 입력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판별한다(스텝SD1). 그리고 대응하는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해당 휴대단말이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이것이 안테나(10)에 의해 수신되어 전파검파부(11)가 착신패턴신호를 발생한다.In this way,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is mounted on either of the exterior bodies 40 and 41, and the slide switch circuit 48 is set to "1" or "2", the CPU 13 sends a program to the program.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16 based on it,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was an input of the input signal or the incoming pattern signal from the amplifier 12 (step SD1). When the mobile terminal generates a response signal accompanied by an incoming call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it is received by the antenna 10 and the radio wave detector 11 generates an incoming pattern signal.

이 착신패턴신호가 증폭기(12)를 통하여 입력되면 스텝SD1으로부터 스텝SD2로 진행하여 슬라이드스위치회로(48)가 “1”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D2). 이 판별 결과 슬라이드스위치회로(48)가 “1”이고 착신통지유닛(47)이 고양이외장체(40)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면 스텝SD2로부터 스텝SD3로 진행하고, ROM(14)에 기억되어 있는 고양이용의 진동패턴으로 바이브모터(18)를 제어한다(스텝SD3). 또한 ROM(14)으로부터 고양이의 울음소리파형을 판독하여 음원(17)에 줌으로써 스피커(19)로부터 고양이의 울음소리를 발생시킨다(스텝SD4). 따라서 착신통지유닛(47)이 고양이외장체(40)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신이 있었을 때 고양이외장체(40)가 고양이의 진동형태로 진동하는 동시에 고양이의 울음소리가 발생한다.When the incoming patter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amplifier 12, the flow advances from step SD1 to step SD2 to determine whether the slide switch circuit 48 is "1" (step SD2).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if the slide switch circuit 48 is "1" and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is attached to the cat exterior body 40,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D2 to step SD3, and is stored in the ROM 14. The vibr motor 18 is controlled by the vibration pattern of use (step SD3). Further, the cat's crying waveform is read from the ROM 14 and given to the sound source 17 to generate the cat's cry from the speaker 19 (step SD4). Therefore,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is mounted on the cat exterior body 40, the cat exterior body 40 vibrates in the form of the cat's vibration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and the cat's crying sounds are generated.

또 스텝SD2에서의 판별 결과 슬라이드스위치회로(48)가 “1”이 아니면 필연적으로 “2”이고, 착신통지유닛(47)이 쥐외장체(41)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경우 스텝SD2로부터 스텝SD5로 진행하여 ROM(14)에 기억되어 있는 쥐용의 진동패턴으로 바이브모터(18)를 제어한다. 또한 ROM(14)으로부터 쥐의 울음소리파형을 판독해서 음원(17)에 줌으로써 스피커(19)로부터 쥐의 울음소리를 발생시킨다(스텝SD6). 따라서 착신통지유닛(47)이 쥐외장체(41)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신이 있었을 때 쥐외장체(41)가 쥐의 진동형태로 진동하는 동시에 쥐의 울음소리가 발생한다. 따라서 단순히 착신통지유닛(47)을 외장체(40, 41)에 장착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양 외장체(40, 41)가 갖는 캐릭터에 매칭한 움직임 및 발음형태로 착신통지를 실시할 수 있다.If the result of the discrimination in step SD2 is that the slide switch circuit 48 is not "1", it is inevitably "2", and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is mounted on the mouse outer body 41. In this case, the step from step SD2 is performed. Proceeding to SD5, the vibe motor 18 is controlled by the vibration pattern for the mouse stored in the ROM 14. Further, the mouse crying waveform is read from the ROM 14 and given to the sound source 17 to generate the mouse crying from the speaker 19 (step SD6). Therefore,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is mounted on the mouse outer body 41, when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the mouse outer body 41 vibrates in the form of the rat's vib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mouse cries occur. Therefore, the call notific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form of a movement and pronunciation matched to the character of both the exterior bodies 40 and 41 by a simple operation of simply attaching the incoming communication unit 47 to the exterior bodies 40 and 41.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종류의 외관형상이 다른 외장체(40, 41)를 이용하여 이 2종류의 외장체(40, 41)의 외관형태에 대응하도록 착신통지유닛(47)의 슬라이드조작편(49)을 외장체(40, 41)에 대한 착신통지유닛(47)의 장착에 연동해서 전환하도록 했지만, 또한 다수종류의 외장체를 이용하는 동시에 착신통지유닛을 외장체의 종류에 따라서 다단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좋고, 또 다수종류의 외장체마다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서 슬라이드조작편을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slide notification operation of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appearance of the two types of exterior bodies 40 and 41 by using the exterior bodies 40 and 41 having two different appearance shapes. Although the piece 49 is switched in conjunction with the attachment of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47 to the exterior bodies 40 and 41,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types of exterior bodies and to make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in multiple stages depending on the type of exterior body. The user may switch the slide operation pieces according to their taste for each of various types of exterior bodies.

도 17 및 도 18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착신통지유닛(50)에는 상기한 안테나(10), 전파검파부(11), 증폭기(12), CPU(13), ROM(14), RAM(15)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CPU(13)에 접속된 모터구동회로(51)와, 이 모터구동회로(51)에 접속된 출력단자(52)가 설치되어 있다.17 and 18 show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coming communication unit 50 includes the antenna 10, the radio wave detector 11, the amplifier 12, the CPU 13, and the ROM ( 14), the RAM 15 is provided, and the motor drive circuit 51 connected to the CPU 13 and the output terminal 52 connected to the motor drive circuit 51 are provided.

한편 외장체(53)측에는 상기 출력단자(52)에 접촉하는 입력단자(54)와, 이 입력단자(54)에 접속된 모터(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55)는 예를 들면 외장체(53)가 개를 모방한 형태이며 귀나 꼬리가 동작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이 귀나 꼬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이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장체(53)가 귀나 꼬리를 모터(55)로 구동하는 완구적인 구성을 갖고 있으며, 이 모터(55)를 착신통지유닛(50)으로부터의 신호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terminal 53 is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54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52 and a motor 55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54. This motor 55 is a motor for driving this ear or tail, for example, when the exterior body 53 mimics a dog and an ear or tail is operable.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exterior body 53 has the toy structure which drives an ear or a tail with the motor 55, and is comprised so that this motor 55 may be controlled by the signal from the incoming communication unit 50. have.

그리고 전원 ON상태에 있으면 CPU(13)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18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하고, 증폭기(12)로부터 입력신호, 또는 착신패턴신호의 입력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판별한다(스텝SE1). 그리고 대응하는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해당 휴대단말이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모터구동회로(51)에 지시하여 구동모터로 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스텝SE2). 따라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이 있으면, 그 때마다 외장체(53)를 구성하는 개의 귀나 꼬리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재미가 주어지면서 착신통지된다.When the power supply is in the ON state, the CPU 13 operates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18 based on the program,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input signal or an incoming pattern signal has been input from the amplifier 12 (step SE1). . When the mobile terminal generates a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the incoming call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the motor driving circuit 51 is instruct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motor (step SE2). Therefore,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the ears or tail of the dog constituting the exterior body 53 operate each time, and thus incoming calls are informed while having fun.

도 19 및 도 20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착신통지유닛(50)에는 상기한 안테나(10), 전파검파부(11), 증폭기(12), CPU(13), ROM(14), RAM(15)이 설치되는 동시에, 이 CPU(13)에 접속된 모터구동회로(51)와, 이 모터구동회로(61)에 접속된 모터(6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터(62)는 예를 들면 외장체(53)가 개를 모방한 형태이며 귀나 꼬리가 동작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이 귀나 꼬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이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장체(53)가 귀나 꼬리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착신통지유닛(60)측에 설치된 모터(62)에 의해 귀나 꼬리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19 and 20 show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coming communication unit 50 includes the antenna 10, the radio wave detector 11, the amplifier 12, the CPU 13, and the ROM ( 14) RAM 15 is provided, and a motor drive circuit 51 connected to this CPU 13 and a motor 62 connected to this motor drive circuit 61 are provided. And this motor 62 is a motor which drives this ear or tail, for example, when the exterior body 53 imitates a dog and an ear or tail is operable.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exterior body 53 has the structure which can move an ear or a tail, and is comprised so that an ear or tail may be driven by the motor 62 provided in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60 side.

그리고 전원 ON상태에 있으면 CPU(13)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20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동작하고, 증폭기(12)로부터 입력신호, 또는 착신패턴신호의 입력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판별한다(스텝SF1). 그리고 대응하는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해당 휴대단말이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모터구동회로(51)에 지시해서 모터(62)를 제어한다(스텝SF2).When the power supply is in the ON state, the CPU 13 operates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20 based on the program,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input signal or an incoming pattern signal has been input from the amplifier 12 (step SF1). . When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a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the incoming call to the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the motor drive circuit 51 is instructed to control the motor 62 (step SF2).

따라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이 있으면, 그 때마다 외장체(53)를 구성하는 개의 귀나 꼬리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재미가 주어지면서 착신통지된다.Therefore,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to the mobile terminal, the ears or tail of the dog constituting the exterior body 53 operate each time, and thus incoming calls are informed while having fun.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장체(2)는 그 전체가 쥐를 모방한 봉제인형의형상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terior body 2 is provided with the shape of the stuffed toy which imitated the mouse in the whole, it is not limited to this.

예를 들면 외장체는 고양이, 인간, 가상동물, 가상생물, 마스코트, 특정한 캐릭터의 외관형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외장체의 일부만(예를 들면 상부, 하부, 측부, 전부, 또는 후부)이 고양이, 인간, 가상동물, 가상생물, 마스코트, 특정한 캐릭터의 외관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밖의 부분은 상자형상, 통형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For example, the exterior may be provided with the appearance of a cat, a human, a virtual animal, a virtual creature, a mascot, or a specific character. Only part of the exterior body (e.g., top, bottom, side, all, or back) has the appearance of cats, humans, virtual animals, virtual creatures, mascots, and specific characters. You may be provided with the cylindrical shap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통지동작하는 착신통지수단을 소정의 의장적 외관을 구비한 외장체에 수용배치하도록 한 것에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내부의 착신통지수단이 통지동작하면 외관상은 의장적 외관을 구비한 외장체가 통지동작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이고, 이에 따라 착신시에 재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외장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착신통지수단을 진동에 의해 통지동작하는 것으로 한 것에서 테이블상 등에 놓아 두면 착신이 있을 때마다 동물 등의 외관을 구비한 외장체가 진동하는 동시에 진동에 동반하여 테이블상 등에서 변위하고, 이에 따라 재미를 가미하면서 착신의 통지를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receiving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in an exterior body having a predetermined design appearance. When the means is notified, the appearance looks like the notified body having a design appearance, which can cause fun when the call is received. In addition, when the reception notification means disposed inside the exterior body is notified by vibration, if it is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the exterior body having the appearance of an animal or the like will vibrate at the time of incoming reception, and the vibration will be accompanied by the vibration on the table or the like. It can displace and can notify a call while making fun.

또 착신통지수단과 상기 외장체는 별개체이며, 착신통지수단을 착탈 자유롭게 한 것에서 착신통지수단을 외장체로부터 꺼내어 단체로 사용할 수도 있고, 외장체에 장착해서 상기 재미를 발생시키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형태를 복수화할 수 있다. 또 외장체에 수용부를 형성하여 착신통지수단을 출입 자유롭게 한 것에서 착신통지수단을 단체로 사용하고, 또는 외장체내에 배치하여 사용할 때 착신통지수단의 출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and the exterior body are separate entities, and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can be detached from the exterior body and used as a group, or can be mounted on the exterior body and used while generating the fun. The form can be pluralized. In addition, when the receiving notification means is provided to the exterior body so that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can be freely accessed,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can be easily used as a group, or when placed inside the exterior body,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can be easily entered.

또 착신마다 다른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시키거나, 또는 소정 시간마다 통지패턴을 변화시켜서 통지동작시키며, 또는 진동의 강약을 변화시키도록 한 것에서 외견상은 흡사 착신마다 다른 패턴으로 외장체가 동작하는 것 같이 보이거나 외장체의 동작이 변화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이며, 이에 따라 재미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a notification operation by different notification patterns for each incoming call, or to change the notification pattern every predetermined time, or to change the intensity of vibration. Or the behavior of the enclosure seems to be changing, which can increase the fun.

또 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도록 한 것에서 테이블상 등에 있어서의 외장체의 움직임을 재미 있는 것으로 할 수 있고, 진동을 이 리듬패턴으로 변화시키도록 한 것에서 테이블상 등에 있어서의 외장체의 움직임을 리드미컬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을 발생하여 이에 맞추어서 진동을 변화시키도록 한 것에서 보는 자의 시각과 청각을 자극해서 재미를 높일 수 있다. 또 진동을 리듬패턴과 음악에 맞추어서 변화시키도록 한 것에서, 이에 동반하여 외장체의 진동이 리드미컬한 것으로 되고, 이 리드미컬한 외장체의 진동과 음악에 의해 이를 보는 자의 시각과 청각을 상쾌하게 자극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movement of the exterior body on the table or the like interesting because the motor is rotated forward and reverse, and the movement of the exterior body on the table or the like is made by changing the vibration to this rhythm pattern. It can be rhythmic.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un by stimulating the viewer's vision and hearing from the generation of music to change the vibration accordingly. In addition, by changing the vibration to match the rhythm pattern and music, the vibration of the exterior body becomes rhythmic, and the rhythmical vibration and music of the rhythmic exterior body refreshes the viewer's vision and hearing. Can be.

또 외장체가 갖는 캐릭터에 따라서 다른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시키도록 한 것에서 외관과 움직임을 매칭시켜서 재미를 높일 수 있고, 이 때 음성 및 진동의 적어도 한쪽에서 통지동작시키도록 한 것에서 예를 들면 동물을 모방한 외장체가 해당 울음소리로 통지동작하거나 해당 동물의 움직임으로 진동하는 등 외관, 발생음, 움직임을 매칭시킨 재미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un by matching the appearance and the movement in the notification operation by different notific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exterior body. In this case, the animal is imitated, for example, by the notification operation in at least one of voice and vibration. An exterior body may generate fun by matching appearance, sound, and movement, such as a notification operation by the crying sound or vibration by the movement of the animal.

또 상기 착신통지수단이 다른 통지패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을 갖고, 외장체가 착신통지수단의 장착에 동반하여 해당 외장체가 갖는 캐릭터에 따라서 상기 전환수단을 전환구동하는 전환구동수단을 갖는 구성에 의해 외장체의 형태와 움직임 등을 착신통지수단의 장착에 의해 용이하게 매칭시킬 수 있다.And the receiving notification means has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o another notification pattern, and the exterior body has switching driving means for switching and driving the switch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 of the exterior body with the mounting of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The shape and movement of the exterior body can be easily matched by the attachment of the call notification means.

또 착신통지수단은 발광에 의해 통지동작하는 것으로, 외장체는 그 내부에 수용된 착신통지수단으로부터 발광한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것에서 이 투광부를 외장체가 갖는 캐릭터의 눈부분으로 하는 것 등에 의해 외장체와 빛을 이용하여 보는 자의 시각을 자극해서 재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이것에 진동도 추가함으로써 외장체와 빛, 나아가서는 외장체의 진동 및 진동에 동반하는 외장체의 움직임에 의해 시각을 충분히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악음도 발생시킴으로써 청각도 자극하는 재미를 가미할 수 있다.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is configured to notify by light emission, and the exterior body is configured to have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incoming communication means housed therein,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an eye part of the character of the exterior body. By using the external body and light to stimulate the viewer's vision can be fun. Moreover, by adding vibration to this, the visual acuity can be sufficiently stimulated by the movement of the exterior body and light, and also the exterior body accompanying vibration and vibration of the exterior body. In addition, by generating the sound of the music can stimulate the auditory sense of fun.

또 외장체에 진동이 전달되어 가진되는 가동부를 설치해 두도록 한 것에서 이들이 개별로 진동하여 진동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다. 또 외장체의 저부에 회전 자유로운 회전체를 돌출설치하거나, 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설치해 두도록 한 것에서 외장체가 테이블상 등에서 이동하기 쉬워지고, 외장체에 광범위하면서 다양한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a movable part that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exterior, they can be individually vibrated to diversify the vibration form. Moreover, when the rotatable freely rotating body is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exterior body, or the convex part protruding downwardly is provided, the exterior body becomes easy to move on a table or the like, and a wide variety of movements can be generated in the exterior body.

또 외장체에 착신통지수단의 통지동작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연동부를 설치하도록 하거나, 또는 외장체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부를 착신통지수단의 통지동작에 의해 구동하도록 한 것에서 직접적인 외장체의 움직임에 의해 재미를 동반하면서 착신통지를 실시할 수 있다.The exter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part which operates in synchronism with the notification operation of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or the movable part installed in the exterior body may be driven by the notification operation of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Incoming notification can be carried out while accompanied.

또 본 고안의 외장체는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통지동작을 실시하는 착신통지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외관형상을 동물의 외관형상으로 하고 있는 것에서 적절히 수용부내에 착신통지유닛을 넣어 두면 휴대단말로의 착신이 있었을 때 흡사 동물의 외관형상을 갖는 외장체가 착신통지를 실시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이고, 이에 따라 재미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io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iving portion that can be detachably accommodated with an incoming notification unit for carrying out a notification operation accompanied by an incoming call to a mobile terminal. When the incoming notification unit is put in, it appears that the exterior body having the appearance of an animal similar to that when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to the mobile terminal is carrying out the incoming notification, thereby generating fun.

또 상기 통지동작은 상기 휴대단말로의 착신시에 실행되는 발광동작이며, 상기 발광동작에 따라서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에서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착신통지유닛이 발광동작하면, 그 빛이 외장체의 투광부를 통하여 외부에 조사되고, 동물의 외관형태로 이루어지는 외장체로부터 빛이 조사됨으로써 재미를 높일 수 있다.The notification operation is a light emission operation performed at the rece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light e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light emission operation. In operation,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transmitting part of the exterior body, and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exterior body formed in the appearance form of the animal to enhance the fun.

Claims (24)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통지동작하는 착신통지수단과, 이 착신통지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동물의 외관형상을 구비한 외장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n incoming notice means for informing a call in response to an incoming call to a portable terminal; and an exterior body having an appearance of an animal for accommodating the incoming notice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진동에 의해 통지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is a call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tification operation by the vibr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신통지수단과 상기 외장체는 별개체이며,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외장체에 착탈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and the exterior body are separate entities, and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is detachable to the exterior bod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외장체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수용부에 출입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 receiving unit is formed in the housing, and the incoming communication unit is free to enter the receiv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착신마다 다른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the call notification means is operable to notify each call with a different notification patter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소정 시간마다 통지패턴을 변화시켜서 통지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the call notification means is operable to change the notification pattern every predetermined tim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진동의 강약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The incoming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모터에 의해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wherein the incoming communication means generates the vibration by a motor, and the incoming communication means ha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또한 리듬패턴을 발생하는 리듬패턴발생수단을 갖고, 상기 진동을 이 리듬패턴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the receiving notification means further has a rhythm patter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rhythm pattern, and changes the vibration to the rhythm patter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또한 음악을 발생하는 음악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을 이 음악발생수단으로부터의 음악에 맞추어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the receiving notification means further comprises music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music, and wherein the vibration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usic from the music generating mean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또한 리듬패턴을 발생하는 리듬패턴발생수단과 음악을 발생하는 음악발생수단을 갖고, 상기 진동을 이 리듬패턴과 음악에 맞추어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the receiving notification means further includes a rhythm patter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rhythm pattern and a music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music, and changes the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hythm pattern and the music.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수용배치되는 상기 외장체가 갖는 캐릭터에 따라서 다른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the receiving notification means is operable to notify in a different notific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exterior body accommodated and arranged.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음성 및 진동의 적어도 한쪽에서 통지동작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the receiving notification means is operable to notify at least one of voice and vibration.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캐릭터에 따라서 다른 통지패턴으로 통지동작 가능한 동시에, 이 다른 통지패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을 갖고, 상기 외장체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의 장착에 동반하여 해당 외장체가 갖는 캐릭터에 따라서 상기 전환수단을 전환구동하는 전환구동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is capable of notification operation in a different notific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character, and has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o the other notification pattern, and the exterior body accompanies the attachment of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to the character possessed by the exterior body. Therefore, the call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witching drive means for switching the switch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발광에 의해 통지동작하는 것이며, 상기 외장체는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착신통지수단으로부터 발광한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wherein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is configured to notify by light emission, and the exterior body has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housed therein.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발광과 함께 진동에 의하여 통지동작하는 것으로, 이 양자를 동기시켜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wherein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is operable to notify by vibrating together with the light emission.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또한 음악을 발생하는 음악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과 진동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음악발생수단으로부터의 음악에 맞추어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the receiving notification means further comprises music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music,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ssion and vibration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music from the music generating mean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외장체는 상기 진동이 전달되어 가진되는 가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The exterior notifica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ovable portion to which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외장체의 저부에 회전 자유로운 회전체를 돌출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 incoming call device comprising: a rotatable rotatable body protruding from a bottom of the exterior body.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외장체의 저부에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a convex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exterior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장체는 상기 착신통지수단의 통지동작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연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the exterior body has an interlocking portion that operates in synchronization with a notification operation of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장체는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착신통지수단은 상기 가동부를 구동하여 통지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통지장치.And the outer casing includes a movable portion, and the incoming notification means drives the movable portion to notify the operation. 휴대단말로의 착신에 동반하여 통지동작을 실시하는 착신통지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외관형상을 동물의 외관형상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체.An exterior body comprising an accommodating unit for detachably accommodating a reception notification unit for carrying out a notification operation upon reception to a mobile terminal, and having an exterior shape as an exterior appearance of an animal.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통지동작은 상기 휴대단말로의 착신시에 실행되는 발광동작이며, 상기 발광동작에 따라서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체.Wherein the notification operation is a light emission operation performed upon rece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on portion for transmitting light e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light emission operation.
KR2020007000002U 1998-06-02 1999-06-02 Incoming notifying device and outer covering KR20010002197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004337U JP3056397U (en) 1998-06-02 1998-06-02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and exterior body
JP10-004337 1998-06-02
PCT/JP1999/002953 WO1999063730A1 (en) 1998-06-02 1999-06-02 Incoming notifying device and outer cove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197U true KR20010002197U (en) 2001-06-05

Family

ID=1852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7000002U KR20010002197U (en) 1998-06-02 1999-06-02 Incoming notifying device and outer covering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3056397U (en)
KR (1) KR20010002197U (en)
TW (1) TW428853U (en)
WO (1) WO199906373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02A (en) * 2000-05-16 2000-08-05 조석현 Cellular Phone for Character
DE20012079U1 (en) * 2000-07-12 2001-06-21 Lindgens Marcel Device for displaying a call for a mobil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151A (en) * 1989-06-12 1991-01-22 Biito Rand:Kk Incoming call display device
JPH03136686A (en) * 1989-10-23 1991-06-11 Iwaya Co Ltd Calling out device
JPH0535191U (en) * 1991-10-17 1993-05-14 株式会社オオイケ Animal stuffed animals
JP2561887Y2 (en) * 1993-05-13 1998-02-04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Movable decorative body with light source
JPH07143211A (en) * 1993-11-17 1995-06-02 Toshiba Corp Telephone set
JPH08195791A (en) * 1995-01-17 1996-07-30 Aiwa Co Lt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JPH08288985A (en) * 1995-04-11 1996-11-01 Nippon Denki Ido Tsushin Kk Radio telephone set
JP3195534B2 (en) * 1996-03-14 2001-08-06 株式会社ケンウッド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JPH11146037A (en) * 1997-11-07 1999-05-28 Osamu Ishikawa Telephone incoming call noti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58096U (en) 1999-06-08
WO1999063730A1 (en) 1999-12-09
JP3056397U (en) 1999-02-16
TW428853U (en) 200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9968B2 (en) Baby monitor with a soothing unit
US6116983A (en) Remotely controlled crib toy
US7771247B2 (en) Novelty light-up toy
US9827504B2 (en) Vibratory device for bobble toys
EP0614394A4 (en) An illuminating toy.
US6769952B1 (en) Mobi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386937B1 (en) Magnetically coupled toy apparatus
US6699092B1 (en) Toy aquariu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10002197U (en) Incoming notifying device and outer covering
JP2000059837A (en) Incoming call notice device and outer case
US20070190894A1 (en) Holiday displays having active figurines
JPH0639096U (en) Combination toys
US8498433B1 (en) Sonic motion apparatus
JP2005013391A (en) Moving toy
US6478448B1 (en) Decorative lighting display system
US6244725B1 (en) Decorative lighting display system
JPH0420366A (en) Stuffed animal
JP2001327770A (en) Swimming body appreciation system
GB2265839A (en) Magnetic toy
US6537127B1 (en) Kissing doll
JPH02246994A (en) Action toy utilizing magnet
JPH02114984A (en) Working toy
JP2005288982A (en) Fountain ornament
JP2001024749A (en) Incoming call report toy
KR200241000Y1 (en) Apparatus for indicating ring signal of hand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