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040A -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040A
KR20010002040A KR1019990021622A KR19990021622A KR20010002040A KR 20010002040 A KR20010002040 A KR 20010002040A KR 1019990021622 A KR1019990021622 A KR 1019990021622A KR 19990021622 A KR19990021622 A KR 19990021622A KR 20010002040 A KR20010002040 A KR 20010002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genre
screen
information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운
이문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2040A/ko
Publication of KR2001000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0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5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장르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의 화면속성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한 화면 전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전환되는 가를 판별하게 되며, 프로그램이 전환되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장르정보를 검출하여, 장르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의 화면속성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된 장르정보를 이용하여 장르에 따라 프로그램의 화면속성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Method Of Converting Screen attributes with Category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그램의 장르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의 화면속성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한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될 프로그램들에 대한 시작시간, 지속시간, 등급정보 및 장르(Category) 등의 정보가 프로그램과 함께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장르는 해당 프로그램이 스포츠, 영화, 만화, 뉴스들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것을 나타낸다. 통상, 어떤 프로그램을 최적조건에서 관람할 수 있기 위해서는 장르별로 최적의 휘도, 색상, 농도 등이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영화는 휘도가 1, 농도가 5일 때 가장 화질이 좋은 반면, 스포츠는 휘도가 3 농도가 4일 때 가장 화질이 좋을 수 있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대부분의 수상기는 몇가지 장르별로 휘도, 색상, 농도 등이 정의되고 있으며, 이들 장르별로 정의된 휘도, 색상, 농도 등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술한 장르별 선택 기능을 알지 못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장르에 상관없이 동일한 밝기, 색상 등으로 화면을 시청하게 된다. 사용자가 수상기에서 제공되는 장르별 선택 기능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다른 장르의 프로그램들을 시청할 때마다 매번 해당 프로그램에 맞는 장르에 맞는 휘도, 색상, 농도 등의 화면속성을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그램의 장르에 맞는 화면속성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한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 전환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송신장치 2,32 : 튜너
3 : A/D 변환기 4 : TS 스트림 처리부
6 : 오디오 디코더 8 : 비디오 디코더
10 : 데이터 파서 12,42 : 램메모리
14,44 : 마이크로 프로세서 16,46 : 롬메모리
18,36 : 비디오 프로세서 20,38 : 오디오 디바이스
22,50 : 비디오 디바이스 24,48 : 장르별 화면 처리기
34 : VBI 디텍터 40 : VBI 데이터 파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은 프로그램이 전환되는 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프로그램이 전환되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장르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장르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의 화면속성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장치는 장르정보가 포함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장르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장르정보 추출부와, 장르정보에 따라 방송신호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화면속성을 조절하기 위한 장르별 화면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의 제어수순을 단계적으로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채널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가를 판별하게 된다.(S1 단계) 채널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해당 프로그램은 채널정보와 시간정보에 의해 검색되어 추출된다.(S2 및 S3 단계) 그리고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장르정보가 수신 데이터로부터 검출된다.(S4 단계) 검출된 장르정보가 장르전환 테이블에 정의되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S5 단계) 여기서, 장르전환 테이블에는 영화, 스포츠, 만화, 뉴스 등의 장르별로 휘도, 색상, 농도 등의 화면속성이 정의되어 있다.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장르가 장르전환 테이블에 정의되어 있다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화면속성을 정의된 값으로 조절하여 프로그램을 출력시키게 된다.(S6 내지 S8 단계) S5 단계에서,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장르전환 테이블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기본값으로 화면속성을 선택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화면 상에 표시하게 된다.(S7 및 S8 단계)
도 2는 디지털 수신장치 형태로 구현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장치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장치는 튜너(2)와 TS 스트림(Transfort Stream) 처리부(4) 사이에 접속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 이하 "A/D 변환기"라 함)(3)와, TS 스트림 처리부(4)에 공통으로 접속된 오디오 디코더(6), 비디오 디코더(8) 및 데이터 파서(Data Parser)(10)와, 오디오 디코더(6)에 직렬 접속된 오디오 디바이스(20)와, 비디오 디코더(8)에 직렬 접속된 비디오 프로세서(18) 및 비디오 디바이스(22)와, 데이터 파서(10)와 비디오 디바이스(22) 사이에 접속된 램메모리(RAM)(12), 마이크로 프로세서(14) 및 장르별 화면 처리기(24)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4)에 접속된 롬메모리(ROM)(16)를 구비한다. 튜너(2)는 송신장치(1)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주파수를 선국하게 되며, 해당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A/D 변환기(3)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송신장치(1)로는 예를 들면 방속국이 될 수 있으며,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는 프로그램 단위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게 된다. 데이터 패킷에는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오디오신호, 비디오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PSIP 데이터에는 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지속시간, 등급정보 및 장르 등의 프로그램 관련정보가 포함된다. 이들 오디오신호, 비디오신호 및 PSIP 데이터는 A/D 변환기(3)에 의해 디지털 형태의 TS 스트림으로 변환되어 TS 스트림 처리부(4)에 공급된다. TS 스트림 처리부(4)는 A/D 변환기(3)로부터 공급되는 TS 스트림을 오디오신호, 비디오신호 및 프로그램 관련 정보별로 분리하여 각각 오디오 디코더(6), 비디오 디코더(8) 및 데이터파서(10)에 공급하게 된다. 데이터파서(10)는 프로그램 관련정보를 시작시간, 지속시간, 등급정보 및 장르별로 분류하여 램메모리(12)에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램메모리(12)에 저장된 정보는 롬메모리(16)에 저장된 프로그램 가이드(Program guid)를 동작시키기 위한 루틴(Routine)의 데이터 베이스 역할을 하게 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는 롬메모리(14)에 저장된 루틴을 호출하게 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에 의해 호출된 프로그램은 램메모리(1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가이드를 동작시키게 된다. 여기서, 프로그램 가이드에는 프로그램의 시작정보, 지속시간, 등급정보 및 장르 등에 대한 상세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와 비디오 디코더(8)로부터 디코드된 영상신호를 믹스(mix)하여 비디오 디바이스(22)에 공급하게 된다. 장르별 화면 처리기(24)는 장르전환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14)로부터 공급되는 장르정보에 따라 해당 장르에 맞는 휘도, 색상 및 농도 등의 화면속성을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해당장르에 맞는 휘도, 색상 등으로 비디오 디바이스(22)에 표시된다.
도 3은 아날로그 수신장치 형태로 구현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장치는 튜너(32)에 공통으로 접속된 VBI(Vertual Blink Interval : 이하 "VBI"라 함) 디텍터(34), 비디오 프로세서(36) 및 오디오 디바이스(38)와, 비디오 프로세서(36)에 접속된 마이크로 프로세서(44)와, VBI 디텍터(34)와 마이크로 프로세서(44) 사이에 직렬 접속된 VBI 데이터 파서(40) 및 램메모리(42)와,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 접속된 롬메모리(ROM)(46) 및 장르별 화면 처리기(48)와, 비디오 프로세서(36)와 장르별 화면 처리시(48)에 공통으로 접속된 비디오 디바이스(48)를 구비한다. 튜너(32)는 송신장치(1)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주파수를 선국하게 된다. 여기서, 수신된 방송신호에는 현재 방송과 관련된 오디오신호 및 비디오신호와 함께 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지속시간, 등급정보 및 장르 등의 프로그램 관련정보가 VBI라인에 포함되어 있다. 튜너(32)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오디오신호는 오디오 디바이스(38)에 공급되며, 비디오신호는 비디오 프로세서(36)에 공급된다. VBI 디텍터(34)는 튜너(32)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VBI 라인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지속시간, 등급정보, 장르 등의 프로그램 관련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VBI 데이터파서(40)는 VBI 디텍터(34)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 관련정보를 시작시간, 지속시간, 등급정보 및 장르별로 분류하여 램메모리(42)에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램메모리(42)에 저장된 정보는 롬메모리(46)에 저장된 프로그램 가이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루틴의 데이터 베이스 역할을 하게 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롬메모리(46)에 저장된 루틴을 호출하게 되며, 호출된 프로그램은 램메모리(4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가이드를 동작시키게 된다. 비디오 프로세서(3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4)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와 튜너(32)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믹스하여 비디오 디바이스(50)에 공급하게 된다. 장르별 화면 처리기(48)는 장르전환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44)로부터 공급되는 장르정보에 따라 해당 장르에 맞는 휘도, 색상 및 농도 등의 화면속성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장치는 도 2 및 도 3의 구성을 포함하여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신호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관련정보는 아날로그신호의 VBI라인으로부터 검출되거나 디지털신호의 TS 스트림으로부터 검출된다. 이 경우에도 장르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화면속성이 장르별 화면 처리기(24,48)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는 수신된 장르정보를 이용하여 장르에 따라 프로그램의 화면속성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프로그램이 전환되는 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그램이 전환되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장르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장르정보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의 화면속성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속성은 휘도, 색상 및 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3. 장르정보가 포함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장르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장르정보 추출부와,
    상기 장르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프로그램의 화면속성을 조절하기 위한 장르별 화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르별 화면 처리부는 다수의 장르별로 상기 화면속성이 정의된 장르전환 테이블이 저장되며,
    상기 화면속성의 기본값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장치.
KR1019990021622A 1999-06-10 1999-06-10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 KR20010002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622A KR20010002040A (ko) 1999-06-10 1999-06-10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622A KR20010002040A (ko) 1999-06-10 1999-06-10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040A true KR20010002040A (ko) 2001-01-05

Family

ID=1959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622A KR20010002040A (ko) 1999-06-10 1999-06-10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20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75B1 (ko) * 2005-05-16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닝 영역의 화면 조정을 위한 컴퓨터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75B1 (ko) * 2005-05-16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닝 영역의 화면 조정을 위한 컴퓨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78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based television program selection
US7469413B1 (en) Receiving apparatus, method therefor,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ethod therefor and memory medium
KR100233410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갱신방법 및 장치
JPH10322622A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KR20030014509A (ko) 자동선국 중에 선국된 채널을 표시하는 텔레비젼, 및 그의자동선국화면 표시방법
KR100304173B1 (ko) 복수의텔레비젼프로그램을전송하는전송기스테이션및수신기
KR100360881B1 (ko) 디지탈 티브이의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10002040A (ko)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른 화면속성 전환방법 및 장치
EP0849947A1 (en) Television signals receiver implementing an electronic guide method of the available television programs
KR20010069122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예약 방법
KR10028104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및 음성모드 설정방법
KR100269131B1 (ko) Epg정보를이용한채널선택장치및방법
KR20060091577A (ko) 프로그램 장르에 따른 영상신호 조절 장치 및 방법.
EP0987889B1 (en) Receiver for and method of receiving digital television signals in a multi-frequency network
KR20000040890A (ko) 텔레비전에서의 광고방송 시 채널 전환 방법
KR0127028B1 (ko) 티브이의 자동채널 탐색방법
KR0181405B1 (ko) 텔레비전의 전원오프시 프로그램 탐색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7662A (ko) 채널 전환시 무신호 채널 스킵 방법
KR20050122846A (ko) 텔레비전의 채널 설정 방법
KR0146989B1 (ko) 텔레비젼에서의 채널 선국 방법
KR20000028057A (ko) 티 브이의 채널 전환장치
KR100302495B1 (ko) 고주파출력채널자동설정방법
KR0166564B1 (ko) 잦은 채널선국시의 텔레비젼/유선방송의 방송모드절환장치
KR20030004539A (ko) 채널 정보 제공 방법
KR20050113520A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