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482A -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482A
KR20010000482A KR1020000058018A KR20000058018A KR20010000482A KR 20010000482 A KR20010000482 A KR 20010000482A KR 1020000058018 A KR1020000058018 A KR 1020000058018A KR 20000058018 A KR20000058018 A KR 20000058018A KR 20010000482 A KR20010000482 A KR 20010000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izen
server
internet
relay
netiz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종인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인, 김건우 filed Critical 김종인
Priority to KR102000005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482A/ko
Publication of KR20010000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482A/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제공만을 희망하는 불특정 다수의 네티즌과; 상기 서버와 접속한 후 일정 협약에 의해 해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네티즌에게 제공하는 디스트리뷰터들로 이루지며, 상기 네티즌은 상기 서버 혹은 디스트리뷰터에 접속한 후 일정 협약을 맺음으로써 협약 당사자인 상기 서버 혹은 디스트리뷰터의 하부 디스트리뷰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제공하여 새로운 청취자가 늘어나는 경우에 최초방송자의 네트워크 능력만큼만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고 하위 중계자들에 새로운 청취자를 넘기게 됨으로써 새로운 청취자를 거부하지 않을 수 있고, 네트워크 트래픽이 외부요소로 불안정해지지 않는 한 원래의 방송이 손실되지 않으며 최초 방송자 뿐만 아니라 중계자들의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하게 되므로 자원의 활용도 또한 기존의 방법보다 높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network internet broadcasting system using distributer}
본 발명은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서버에서 모든 불특정 다수의 네티즌 혹은 클라이언트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임의의 네티즌에게 디스트리뷰터로 활용하여 소규모 중계권한을 부여하고 해당 네티즌에게는 중계소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따른 소정의 이익을 분배하도록 함으로써 서버에 집중되는 전송로드를 분배하여 소비자인 네티즌의 불만 해소 및 서버의 용량과 전송로드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더 싸고 빠르게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전자시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체이자 분배채널이다. 인터넷에는 백화점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쇼핑몰이 형성되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은 흔히들 상거래의 핵이라고 불리 운다.
그 이유는 인터넷 상거래의 핵심이 현실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곳이 바로 인터넷 쇼핑몰이기 때문이다. 인터넷 상거래의 장점들은 무엇보다도 고객들이 판매인들이나 시간적 제약 없이 물품과 서비스를 구매·판매 할 수 있다는 데 있다.
공간적 제약 역시 무의미하며, 중간 유통 과정이 거의 완벽하게 사라지고, 판매 장소 같은 물리적 공간의 임대 및 구입을 위한 비용 역시 절감됨에 따라 최종소비자들은 현실 세계보다 싼 가격으로 물건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기업으로서도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다른 어떠한 인터넷 상거래 형태보다도 훨씬 높은 직접적인 이윤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비즈니스의 장을 열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이 실생활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면서 메스 미디어의 형태도 점차 인터넷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그 예로는 다양한 콘텐츠로 무장하고 마우스만 누르면 원하는 방송을 인터넷상에서 틀어주는 '인터넷 방송국'이 잇달아 개국되고 있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방송국의 특징은 몇몇 특정 공중방송국에서 제공하는 방송서비스에 비하여 그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하고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 자기만의 색깔 혹은 취향을 고집하는 현대인들에게 크게 어필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인터넷 방송국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 혹은 노트북 등의 장비를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후 장착되어 있는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해당 인터넷 방송 서비스의 사이트에 링크해야만 해당 인터넷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하나의 인터넷 방송국과 해당 방송국에 링크하여 방송을 청취하는 네티즌과의 관계를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인터넷 기반을 사용하여 하나의 인터넷 방송국에서는 자신에 대해 접속 요청하는 모든 네티즌에게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현재의 인터넷 방송의 형태에서는 방송을 서비스하는 업체가 그것을 서비스 받고자 하는 모든 사람의 숫자만큼 방송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상의 지연이 없이 전송해 주어야만 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아래 두 가지의 상황 중에서 한 가지가 반드시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 번째로 더 이상의 청취자를 수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여 새로운 청취자를 거부해야 한다는 것이며, 두 번째로는 더 이상의 청취자를 수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청취자를 받아들이게 될 때 이미 청취하고 있는 청취자의 일부 또는 모두에게 전송되는 데이터가 정해진 시간 안에 도달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로서 청취자에게 전달되는 방송이 정지되고 다시 재생되는 과정이 반복되게 되며 이러한 정지현상이 계속 발생하게 되면 방송자가 보내는 데이터와의 시간차이가 계속 벌어지게 되고 청취자의 방송이 완전히 정지되거나 방송 데이터의 일부분이 청취자에게 도착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상술한 두 번째 문제점의 원인을 인터넷 방송에서 데이터의 전송 방식과 관련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인터넷 방송에서 스트림 데이터는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packet)의 형태로 나뉘어져 전송되게 된다. 청취를 시작할 때 데이터를 전송 받는 시간이 필요하고 이러한 이유로 인터넷 방송상이 전파를 이용한 방송보다 방송자와 청취자의 데이터가 재생되는 시점에서 시간차이가 많이 나게 되는 이유이다.
따라서, 청취자는 안정적인 방송 청취를 위하여 데이터의 일부를 미리 받게 되는데 이러한 청취자의 미리 받기 행위를 버퍼링(buffering) 이라고 부르며, 버퍼링은 1초미만의 시간에 대한만큼의 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질 수도 있지만 수 분 이상의 시간 대한만큼의 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질 수도 있다. 청취자가 버퍼링해 놓은 데이터를 전부 청취하기 전에 새로운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 끊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끊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새로운 데이터가 올 때까지 방송이 정지되어 있게 되고 새로운 데이터를 받아서 청취를 재개할 때까지의 시간만큼 또 다시 방송자와 청취자의 재생되는 시점의 시간차이는 늘어나게 된다.
인터넷 방송에서 방송자는 이러한 시간차이 때문에 이미 방송된 이전의 데이터를 일정 시간에 대한 양만큼 보유하고 있게 되는데, 방송자와 청취자의 재생되는 시점의 시간차이가 많이 벌어져 방송자가 보유하고 있는 일정시간에 대한 데이터의 한계를 넘어서게 되면 다시 재청취를 요구하게 되고 새로이 받게 되는 데이터는 이전에 마지막으로 받았던 데이터와 연결되는 데이터가 아니다. 따라서 방송 중간의 부분을 청취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방송자가 청취자 10000명에게 5.6Kbps(5600 bytes per second)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방송을 서비스하는 측에서는 초당 56,000,000byte를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만일 방송자가 56,000,000byte전송능력을 갖추고 5.6Kbps의 방송을 하는 경우에 10,000명이 듣고 있는 상황에서 10,000명 이후의 청취자가 청취를 요청하는 경우 방송자는 이미 듣고 있는 청취자에게 제대로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청취자를 거부하여야 하고, 새로운 청취자들을 받아들이게 된다면 새로운 청취자들은 물론 기존의 청취자의 일부 또는 모두가 원래의 방송속도인 5.6Kbps를 제대로 받지 못하게 되며 청취자의 수가 줄어들지 않는 한 방송 중간의 부분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방송방법에서 최대인원수를 두 배 가량 늘리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을 두 배 가량 증설하여야 한다는 부담이 작용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서버에서 모든 불특정 다수의 네티즌 혹은 클라이언트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임의의 네티즌에게 디스트리뷰터로 활용하여 소규모 중계권한을 부여하고 해당 네티즌에게는 중계소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따른 소정의 이익을 분배하도록 함으로써 서버에 집중되는 전송로드를 분배하여 소비자인 네티즌의 불만 해소 및 서버의 용량과 전송로드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터넷 방송 청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예시도
도 2는 종래 인터넷 방송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방송에서의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인터넷 방송국을 구성하는 기능모듈의 블록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방식의 운영 순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의 특징은,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제공만을 희망하는 불특정 다수의 네티즌과; 상기 서버와 접속한 후 일정 협약에 의해 해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네티즌에게 제공하는 디스트리뷰터들로 이루지며, 상기 네티즌은 상기 서버 혹은 디스트리뷰터에 접속한 후 일정 협약을 맺음으로써 협약 당사자인 상기 서버 혹은 디스트리뷰터의 하부 디스트리뷰터가 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특징은, 임의의 네티즌이 인터넷을 통해 본 서버에 접속하는 가를 인식하기 위한 접속요청 감지 수단과; 상기 접속요청 감지 수단을 통해 임의의 네티즌이 접속을 요청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네티즌이 사용하고 있는 웹 브라우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매칭을 수행하는 공통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공통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접속을 요청한 네티즌이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의 제반 환경을 검출하는 접속 네티즌 환경 인식 수단과; 상기 접속 네티즌 환경 인식 수단을 통해 네티즌의 시스템 환경에 따라 중계권의 이양여부 및 그 중계권한의 용량 등을 검출 및 제어하는 중계권 이양 제어수단; 및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 중 전송을 요청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인터넷 전송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중계권 이양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접속된 네티즌에게 전송하는 프로그램 전송브라우저로 구성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본 발명은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터넷 방송국에서는 자신에 링크되어진 일반 네티즌들 중 임의의 네티즌을 대상(협약을 맺거나, 불특정의 네티즌을 임의 지정)으로 중계권을 이양하여 상기 인터넷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다른 네티즌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면 해당 인터넷 방송국의 전송 용량의 최소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며 서버 용량이나 다른 자원들의 소형화가 가능 할 것이라는 데착안한 것이다.
더욱이, 중계권을 이양 받은 네티즌(중계국)에서 다른 네티즌들에게도 역시 동일하게 중계권을 이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등비수열 개념(네티즌 각각의 접속용량에 따른)의 중계국 혹은 네티즌의 접속용량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중계권을 이양 받아 일반 네티즌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다른 중계국을 생성시킬 권한을 갖는 네티즌 혹은 중계국을 디스트리뷰터라 칭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첨부한 도 4는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인터넷 방송국을 구성하는 기능모듈의 블록 구성 예시도로서, 임의의 네티즌이 인터넷을 통해 본 서버에 접속하는 가를 인식하기 위한 접속요청 감지부(21)와, 상기 접속요청 감지부(21)를 통해 임의의 네티즌이 접속을 요청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네티즌이 사용하고 있는 웹브라우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매칭을 수행하는 공통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Common Gateway Interface: CGI)(22) 프로그램 또는 모듈과, 상기 CGI(22)를 통해 접속을 요청한 네티즌이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의 제반 환경(전송속도, 통신수단의 종류, 저장용량 등등)을 검출하는 접속 네티즌 인식부(23)와, 상기 접속 네티즌 인식부(23)의 인식에 따라 중계권의 이양여부 및 그 중계권한의 용량등을 검출 및 제어하는 중계권 이양부(26), 및 다수의 방송프로그램(25a∼25m)들 전송을 요청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인터넷 전송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중계권이양부(26)의 제어에 따라 접속된 네티즌에게 전송하는 프로그램 전송브라우저(24)로 구성된다.
상기 첨부한 도 4와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방식에 대하여 첨부한 도 5의 순서에 따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방식의 운영 순서도이다.
스텝 S101에서 첨부한 도 4의 접속요청 감지부(21)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방송국에 접속을 요청하는 네티즌이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접속을 요청한 네티즌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2로 진행하여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채널(a∼k)에 대응하여 모든 채널에 중계권이 모두 분양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스텝 S102에서 중계권의 분양이 모두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3으로 진행하는데, 스텝 S103에서는 첨부한 도 4의 접속 네티즌 인식부(23)를 통해 상기 스텝 S101에서 접속을 요청한 네티즌이 사용하는 워크 스테이션의 환경을 검출하고, 스텝 S104의 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스텝 S104에서는 도 4의 중계권 이양부(26)를 통해 상기 스텝 S103의 과정에서 검출한 네티즌의 워크 스테이션 환경이 중계국으로써 적합한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중계국으로 접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5로 진행하여 일반 소비자 네티즌으로 분류한 후 해당 네티즌이 요청하는 프로그램을 전송하게되며, 반면에 중계국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어지면 스텝 S106으로 진행하여 해당 네티즌의 워크 스테이션에 고유의 IP 주소를 부여하고 그 정보를 저장하면서 해당 워크 스테이션의 자원 용량에 따라 중계 채널의 수를 할당한다.
이후 스텝 S107의 과정을 통해 해당 네티즌에게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스텝 S102에서 중계권의 분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8로 진행하게 되는데, 상기 스텝 S108에서는 기 설정된 중계국의 채널 로드와 제원의 상태를 검출하고 스텝 S109로 진행한다. 상기 스텝 S109에서는 상기 스텝 S108에서 검출된 중계국들 중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계국의 IP를 이용하여 최적상태의 중계국과 접속요청 네티즌의 링크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이후 해당 중계국에서도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 중계권의 재 분양을 수행하게 되며 그로 인해 접속되는 네티즌의 수는 거의 등비 수열에 가까운 회원 혹은 접속 네티즌의 수용 용량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인터넷상에서 일정 정보를 제공하는 모든 솔루션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면 새로운 청취자가 늘어나는 경우에 최초방송자의 네트워크 능력만큼만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고 하위 중계자들에 새로운 청취자를 넘기게 됨으로써 새로운 청취자를 거부하지 않을 수 있고, 네트워크 트래픽이 외부요소로 불안정해지지 않는 한 원래의 방송이 손실되지 않으며 최초 방송자 뿐만 아니라 중계자들의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하게 되므로 자원의 활용도 또한 기존의 방법보다 높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임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제공만을 희망하는 불특정 다수의 네티즌과;
    상기 서버와 접속한 후 일정 협약에 의해 해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네티즌에게 제공하는 디스트리뷰터들로 이루지는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티즌은 상기 서버에 접속한 후 일정 협약을 맺음으로써 디스트리뷰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티즌은 상기 디스트리뷰터에 접속한 후 일정 협약을 맺음으로써 협약당사자인 디스트리뷰터의 하부 디스트리뷰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4. 임의의 네티즌이 인터넷을 통해 본 서버에 접속하는 가를 인식하기 위한 접속요청 감지 수단과;
    상기 접속요청 감지 수단을 통해 임의의 네티즌이 접속을 요청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네티즌이 사용하고 있는 웹브라우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매칭을 수행하는 공통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공통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접속을 요청한 네티즌이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의 제반 환경을 검출하는 접속 네티즌 환경 인식 수단과;
    상기 접속 네티즌 환경 인식 수단을 통해 네티즌의 시스템 환경에 따라 중계권의 이양여부 및 그 중계권한의 용량 등을 검출 및 제어하는 중계권 이양 제어수단; 및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 중 전송을 요청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인터넷 전송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중계권 이양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접속된 네티즌에게 전송하는 프로그램 전송브라우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
KR1020000058018A 2000-10-02 2000-10-02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 KR20010000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018A KR20010000482A (ko) 2000-10-02 2000-10-02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018A KR20010000482A (ko) 2000-10-02 2000-10-02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482A true KR20010000482A (ko) 2001-01-05

Family

ID=1969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018A KR20010000482A (ko) 2000-10-02 2000-10-02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48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2400S1 (en) 2014-10-20 2016-08-02 Cabeau, Inc. Travel pillow
US9526360B2 (en) 2012-04-12 2016-12-27 Cabeau, Inc. Travel pillow
USD790880S1 (en) 2015-09-29 2017-07-04 Cabeau, Inc. Neck pillow
US10702082B2 (en) 2015-09-29 2020-07-07 Cabeau, Inc. Neck pillow with chin supports, multiple anchor points, and magnetic clip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6360B2 (en) 2012-04-12 2016-12-27 Cabeau, Inc. Travel pillow
US11129478B2 (en) 2012-04-12 2021-09-28 Cabeau, Inc. Travel pillow
USD762400S1 (en) 2014-10-20 2016-08-02 Cabeau, Inc. Travel pillow
USD790881S1 (en) 2014-10-20 2017-07-04 Cabeau, Inc. Travel pillow
USD790880S1 (en) 2015-09-29 2017-07-04 Cabeau, Inc. Neck pillow
US10702082B2 (en) 2015-09-29 2020-07-07 Cabeau, Inc. Neck pillow with chin supports, multiple anchor points, and magnetic cl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45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multimedia content in a unicast, multicast, simulcast or broadcast environment
US7340249B2 (en) Use of radio data service (RDS) information to automatically access a service provider
US6317584B1 (en) Controll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and satellite networks
CN101473629B (zh) 管理多媒体内容的方法和装置
US7028071B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for generating content streams to suit different users and facilitating e-commerce transactions using broadcast content metadata
CN101505317B (zh) 流式媒体中断与恢复系统
KR100409101B1 (ko) 휴대통신 단말기용 인터넷 방송 중계 시스템 및 방송 중계 방법
US9331904B2 (en) Formation and rearrangement of lender devices that perform multiplexing functions
US20030156543A1 (en) Dynamic optimal path selection in multiple communications networks
JPH1098706A (ja) マルチメディア受信のためのマルチメディア端末装置及び方法
CN107357855A (zh) 支持场景关联的智能问答方法及装置
CN101499995B (zh) 一种业务调度的方法及用于业务调度的系统、装置
US200300839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bulk buying
CN101415148A (zh) 实现增值业务的方法、系统及用户终端
US7248598B2 (en) Method of and a system for lightening the signaling load of a multicast protocol applied to a network of terminals using a transmission medium that does not support mutual listening between terminals
Küng et al. Impact of the digital revolution on the media and communications industries
EP1940169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advertising data into content
KR20010000482A (ko) 디스트리뷰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
US20040083494A1 (en) System for delivering contents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CA2446900A1 (fr) Procede et systeme pour diffuser vers un utilisateur nomade des sequences videos courtes
KR20010000483A (ko)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서의 디스트리뷰터 설정 방법
US20180198544A1 (en) Content provider network interface
KR20010000484A (ko) 네트워크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서의 디스트리뷰터 설정 방법
KR20220118143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EP1407374B1 (en) Targeted delivery of media-promoted content to selected network service providers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