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266A -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 처리방법 및그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 처리방법 및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266A
KR20000075266A KR1019990019772A KR19990019772A KR20000075266A KR 20000075266 A KR20000075266 A KR 20000075266A KR 1019990019772 A KR1019990019772 A KR 1019990019772A KR 19990019772 A KR19990019772 A KR 19990019772A KR 20000075266 A KR20000075266 A KR 20000075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ect ratio
screen
receiver
differ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7595B1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5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신호와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 화면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방법은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비와 상이한 방송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방송신호가 디스플레이되고 남은 여백의 화면에 전자프로그램가이드를 포함한 데이터방송정보 및 부가정보를 출력하도록 화면을 처리한다.

Description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처리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processing display when aspect rate between broadcasting signal and receiver is different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방송신호와 텔레비전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 방송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텔레비전수신기의 화면을 할당하고, 그 여백의 화면에는 전자프로그램가이드를 포함한 데이터방송정보 및 부가정보를 출력하도록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산업을 시작으로 정보통신산업에까지 확산된 정보의 디지털화는 최근 들어 텔레비전 방송신호에까지 그 범위가 확산되었다.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는 컴퓨터, 통신분야의 기술과 융합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구현되는 양방향 멀티미디어시대를 실현할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유럽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규격과 미국 FCC의 ATV(Advanced TV)규격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국이 차세대 TV 방식으로 결정한 ATSC규격을 준수한 것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TV를 상징하는 NTSC 규격을 대체하는 것이다.
디지털 텔레비전과 기존의 아날로그 텔레비전과의 차이점을 화질, 음질, 화면비 및 기타로 분리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질면에 있어서, 가로 주사선 525개를 사용하는 아날로그 TV는 시청화질을 결정하는 수평해상도가 330선 정도인 반면, 고선명(HD)급 디지털 TV는 수평해상도가 700선 정도에 달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TV의 화질보다 2배 이상 선명하다.
음질면에 있어서, 기존의 아날로그 TV는 2채널의 스테레오 음향 정도를 제공하는데 불과하지만, AC3 기술을 사용하는 디지털 TV는 극장에서 즐길 수 있는 5.1채널의 입체음향을 제공한다.
화면비율에 있어서도 기존의 아날로그 TV의 화면비가 4 대 3인 반면, 디지털 TV는 극장화면과 동일하게 화면비가 16 대 9인 광폭화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디지털 TV를 아날로그 TV와 구분짓는 것은 화질과 음질면에서의 획기적인 변화뿐만이 아니다. 디지털 TV는 PC는 물론 디지털방식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플레이어,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VCR 등과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직렬 인터페이스로 데이터 호환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는 압축기법을 활용한 미디어의 확산으로 통신, 컴퓨터, 방송의 융합화가 가속화될 것이며, 복합기능을 갖는 단일 미디어로서 국제화 및 다채널화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방송신호에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아날로그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는 TV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정보를 다중화해 전송하거나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이나, 컴퓨터보유자를 위한 문자정보, 영상정보, 상품정보,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일명 전자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인 데이터 방송을 구현할 수 있다.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로 탄생된 디지털 텔레비전은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세대교체뿐만 아니라. 가전, 컴퓨터, 방송 통신 등 유관산업 분야에 걸쳐 방대한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기폭제가 될 것이나, 완전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기까지는 아날로그방식과 공존하는 다소 혼란스런 과도기를 겪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 방송방식에서는 화면비가 4 대 3이나, 디지털 방송방식에서는 화면비가 16 대 9 이므로, 방송신호의 화면비와 텔레비전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경우, 화면의 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여러가지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 방송신호의 화면비에 변형없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텔레비전수신기의 화면을 할당하고, 그 여백의 화면에는 전자프로그램가이드를 포함한 데이터방송정보 및 부가정보를 출력하도록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하고, 그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처리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처리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처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상기의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처리방법은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남은 여백의 화면에 다른 방송프로그램을 출력하도록 화면을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방송프로그램은 방송프로그램 가이드정보(EPG), 데이터방송정보 및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및 정보원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정보원을 복수로 선택할 수 있는 채널선택부; 정보원이 다른 신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화면이 분할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된 방송신호의 화면비와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비를 비교하여, 입력되는 방송신호의 화면비가 텔레비전수신기의 화면비와 상이하면, 상기 방송신호가 디스플레이되고 남은 여백의 공간에 다른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여백의 화면에 어떤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게 제공하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여백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프로그램의 정보원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백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정보가 전자프로그램가이드인 경우, 채널 선국없이도 프로그램정보가이드 출력모드를 두어 이를 설정하면, 상기 전자프로그램가이드정보를 상기 여백의 화면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처리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방송신호의 화면비가 16 대 9이고, 수신기의 화면비가 4 대 3인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의 (a)는 화면비가 16 대 9인 방송신호를 나타내고, (b) 내지 (d)는 화면비가 4 대 3인 텔레비전수신기에 상기 (a)의 방송신호를 나타내도록 화면을 처리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b)는 16 대 9의 방송신호를 4 대 3의 비율에 맞게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모두 늘린 경우이고, (c)는 16 대 9의 방송신호를 4 대 3의 비율에 가로 비율에 맞추고 그 여백을 어둡게 처리한 경우이고, (d)는 16 대 9의 방송신호를 4 대 3의 비율의 세로 비율에 맞추고 그 여백을 어둡게 처리한 경우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화면처리방법에서 전자프로그램가이드정보를 화면상에 띄우면,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화면과 겹쳐서, 현재 진행중인 방송프로그램의 시청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처리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6 대 9 화면비를 갖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4 대 3 화면비를 갖는 텔레비전수신기의 화면에 입력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영역(20)을 마련하고, 그 여백의 영역(22)에 다른 방송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이 때 영역(20)은 16 대9 화면비가 변형되지 않는 화면이고, 다른 방송프로그램은 전자프로그램 가이드정보, 데이터방송정보 및 부가정보를 포함한다.
전자프로그램 가이드정보(EPG)는 수십개에 달하는 방송사들의 프로그램을 신문이나 잡지에서 한꺼번에 소화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V 화면에 신문처럼 프로그램 방송시간과 내용, 출연자 등의 안내를 띄울 수 있을 뿐 아니라 주문형 서비스기능까지 포함하고 있다. 영화나 스포츠 등 좋아하는 프로그램의 장르, 주 시청시간대 및 채널을 입력해 놓으면 향후 일주일 동안의 관련 프로그램을 안내받을 수도 있다. 또 채널을 돌릴 필요없이 특정 채널을 시청하면서 다른 채널에서 방송되는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고 리모콘의 단추 하나만 누르면 VCR로 간단히 녹화할 수도 있다. 방송의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서비스되고 있는 EPG는 셋톱 박스하나로 공중파, 케이블 및 위성TV 등의 매체를 전부 포괄할 수 있다. 대부분의 EPG 개발사들은 뉴스나 날씨, 스포츠 등의 정보 서비스도 함께 제공해, 화면에서 프로그램 가이드를 보면서 부가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화면으로 사용된 경우이고, (b)는 데이터방송에 대한 프로그램 가이드화면으로 사용된 경우이며, (c)는 (b)화면에서 선택된 하나의 정보에 대한 상세화면으로 사용된 경우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처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선국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40 단계), 수신된 방송신호의 화면비가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비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42 단계). 이 때 수신된 방송신호의 화면비가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비와 동일하면 수신된 방송신호를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46 단계). 그러나, 수신된 방송신호의 화면비가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비와 다르면, 방송신호의 화면비에 맞게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을 할당하고, 그 여백의 영역에 다른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한다(44 단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장치는 입력부(54), 채널선택부(50), 디스플레이부(52), 제어부(56)를 포함한다.
입력부(54)는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및 정보원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하거나, 영상신호의 화면비와 텔레비전수신기의 화면비가 다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이 두개의 화면으로 분할되는데, 이 때, 두개의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될 정보원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이다.
채널선택부(50)는 제어부(56)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파 및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원을 복수로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2)는 제어부(56)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스가 다른 신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56)는 입력부(54)를 통해 선택된 방송채널의 방송신호의 화면비와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비를 비교하여, 입력되는 방송신호의 화면비가 텔레비전수신기의 화면비와 상이하면, 상기 방송신호가 디스플레이되고 남은 여백의 공간에 다른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시스템 전반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56)는 상기 여백의 화면에 어떤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게 제공하면, 사용자는 입력부(54)를 통해 상기 여백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프로그램의 정보원, 즉, 전자프로그램가이드, 데이터방송정보, 부가정보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을 선택한다. 다만, 전자프로그램가이드의 경우는 특별한 채널을 선국하지 않더라도 소정의 프로그램정보가이드 출력모드를 설정하여, 이를 선택하면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기와 방송신호의 화면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방송신호를 수신기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여백에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및 다른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원래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면서도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및 다른 정보를 시청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처리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남은 여백의 화면에 다른 방송프로그램을 출력하도록 화면을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방송프로그램은 방송프로그램 가이드정보(EPG), 데이터방송정보 및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처리방법.
  3.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처리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및 정보원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정보원을 복수로 선택할 수 있는 채널선택부;
    정보원이 다른 신호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화면이 분할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된 방송신호의 화면비와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비를 비교하여, 입력되는 방송신호의 화면비가 텔레비전수신기의 화면비와 상이하면, 상기 방송신호가 디스플레이되고 남은 여백의 공간에 다른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여백의 화면에 어떤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게 제공하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여백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프로그램의 정보원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백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정보가 전자프로그램가이드인 경우, 채널 선국없이도 프로그램정보가이드 출력모드를 두어 이를 설정하면, 상기 전자프로그램가이드정보를 상기 여백의 화면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처리장치.
KR1019990019772A 1999-05-31 1999-05-31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 처리방법 및그 장치 KR10030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772A KR100307595B1 (ko) 1999-05-31 1999-05-31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 처리방법 및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772A KR100307595B1 (ko) 1999-05-31 1999-05-31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 처리방법 및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266A true KR20000075266A (ko) 2000-12-15
KR100307595B1 KR100307595B1 (ko) 2001-09-29

Family

ID=1958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772A KR100307595B1 (ko) 1999-05-31 1999-05-31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 처리방법 및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38B1 (ko) 2006-09-18 2013-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장치의 기능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촬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998A (ko) * 1997-07-31 1999-02-25 배순훈 이종 화면비의 영상 수신시 특정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7595B1 (ko) 200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97164A1 (en) Channel selection device used in digital/analog broadcasting receiver
KR100425319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선택 방법
KR100301024B1 (ko) 디지털 텔레비전수상기에서 원화면의 부분별 확대장치
KR100307595B1 (ko)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 처리방법 및그 장치
KR100319869B1 (ko) 방송 신호 선택방법
KR100279119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의채널선국방법및장치
KR101102392B1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튜닝 시스템 및 방법
KR100627895B1 (ko) 텔레비전의 부화면 크기 및 줌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200107810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20040131328A1 (en)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program guide
JPH08140065A (ja) 文字放送受信装置
KR100287163B1 (ko) 전자메일 표시방법 및 그 장치
KR100793777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311030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유료 채널의 시청 제한방법 및 그장치
KR100598948B1 (ko) 텔레비전의 화면 줌 조절방법
KR20010001727A (ko) 프로그램 안내정보의 표시방법 및 그 장치
KR100830430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부화면을 통한 mms 서비스 수신장치
KR100246761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채널 표시방법
KR0169305B1 (ko) 현재시산에 따른 부화면위치 자동 변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97423B1 (ko) 동적인 부화면의 출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KR100870336B1 (ko) 채널을 이용한 영상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66562B1 (ko) 텔레비젼/유선방송의 동시설정에 의한 채널설정장치
KR0151057B1 (ko) 더블 와이드 텔레비젼에서 채널을 커서로 선택하는 방법
KR19980036769A (ko) 케이블텔레비전의 방송채널 로크제어방법
KR20000040895A (ko) 케이블 텔레비전의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