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307A - 온수배관용 조립식블록 - Google Patents

온수배관용 조립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307A
KR20000074307A KR1019990018126A KR19990018126A KR20000074307A KR 20000074307 A KR20000074307 A KR 20000074307A KR 1019990018126 A KR1019990018126 A KR 1019990018126A KR 19990018126 A KR19990018126 A KR 19990018126A KR 20000074307 A KR20000074307 A KR 20000074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late
lower plate
water pip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김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우 filed Critical 김용우
Priority to KR101999001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4307A/ko
Publication of KR2000007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3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2013/046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foldable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을 구성하는 하판을 하부지층에 깔고 그 위에 온수관을 지그재그로 배관한 뒤 상판을 포개어 덮어주되 1/4씩 포개지도록 하여 결속력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상판과 하판의 체결을 신속하게 할수 있고 또한 상판을 덮으면 별도의 후처리 없이 온돌바닥으로 사용할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온수배관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면에 온수관이 놓이는 온수배관로가 한쌍 형성되고 저면 모서리마다에는 수평을 맞춰주는 수평조절구가 나사체결된 단위 조립체의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의 상부를 덮어 온돌바닥으로 되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온수관을 덮어주는 온수배관로가 한쌍 구비되며, 상기 상판에 형성된 한 온수배관로와 상기 하판에 형성된 한 온수배관로가 절반씩 포개지도록 상판과 하판이 1/4씩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온수배관용 조립식블록{Assemble block for warm water pipe}
본 발명은 온수배관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지층에 깔리는 하판위에 온수관을 배관한 뒤 상판을 1/4씩 포개지도록 하판위에 결합시킴으로써, 상판의 결속력이 강화되도록 하고 또한 상판이 온돌바닥이 되도록하여 온수배관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한 온수배관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배관용 조립식 블록은 온수관이 하부지층에 지그재그로 배관되도록 온수관을 안내해주고 특히 하부지층과 온수관 사이를 단열시켜 난방성이 좋아지도록 해준다. 이러한 조립식 블록은 하부지층의 전후측 및 좌우측으로 깔리며 이들 블록이 깔리면 체결수단에 의해 단일판체로 결합된다. 국내 실용신안 공보 공고번호 제97-1734호에는 이러한 블록이 개시되 있다. 이는 블록의 사방 외주면에 역삼각형의 조립돌기와 조립요구를 대칭형으로 형성하여 끼워맞춤식으로 다수개의 블록을 연결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블록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내려앉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조립요구쪽에 단턱을 형성하고 이 단턱에는 수직구멍을 다수개 형성하여 이 수직구멍에 수평조절구가 나사조립식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하부지층의 꺼진 부분에 수평조절구가 접촉하므로서 블록이 내려앉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블록은 각 블록의 외주면에 형성된 조립요구와 조립돌기를 서로 엇갈리게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여러개의 블록을 한번에 조립할수 없는 단점이 있다. 블록을 조립할 때 두 개의 블록을 조립한 뒤 이 조립된 블록의 각 외주면에 다른 블록들을 조립해야 됨으로 시공성이 저하된다. 또한 블록위에 온수관을 배관한 뒤 온수관을 덮는 단열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켜야 됨으로 시공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을 구성하는 하판을 하부지층에 깔고 그 위에 온수관을 지그재그로 배관한 뒤 상판을 포개어 덮어주되 1/4씩 포개지도록 하여 결속력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상판과 하판의 체결을 신속하게 할수 있고 또한 상판을 덮으면 별도의 후처리 없이 온돌바닥으로 사용할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온수배관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 블록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블록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블록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하판 11 : 온수배관로
12 : 수평조절구 14 : 걸림구멍
20 : 상판 21 : 온수배관로
22 : 걸림돌기 30 : 온수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온수관이 놓이는 온수배관로가 한쌍 형성되고 저면 모서리마다에는 수평을 맞춰주는 수평조절구가 나사체결된 단위 조립체의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의 상부를 덮어 온돌바닥으로 되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온수관을 덮어주는 온수배관로가 한쌍 구비되며, 상기 상판에 형성된 한 온수배관로와 상기 하판에 형성된 한 온수배관로가 절반씩 포개지도록 상판과 하판이 1/4씩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블록의 분리 사시도 로서, 블록을 구성하는 단위체인 하판(10)이 구비된다. 하판(10)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며 이의 상면에는 온수관(30)이 지나가는 온수배관로(11)가 한쌍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의 각 모서리마다에는 하판(10)과 하부지층 사이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수평조절구(12)가 볼트 체결식으로 구비된다. 수평조절구(12)는 하판(10)의 각 모서리마다 형성된 나사구멍(13)에 체결되어 있으며 이 수평조절구(12)의 정역회전에 따라 하판(10)의 높낮이가 결정된다. 또한 하판(10)의 상면 중앙에는 걸림구멍(14)이 4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하판(10)의 상부를 덮는 상판(20)이 구비된다. 이 상판은 하판의 상부에 1/4의 면적으로 포개지며 상판(20)의 저면에는 하판에 설치되는 온수관(30)의 상부를 덮어주는 온수배관로(21)가 한쌍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20) 저면의 사방 모서리 마다에는 하판(10)의 상면 중앙에 사방으로 형성된 각 걸림구멍(14)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2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판(10)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 내부가 중공상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상판의 내부도 중공상태로 구성할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에서와 같이 조립된다. 먼저 하부지층위에 하판(10)을 다수개 깔아준다. 이때 하판(10) 들의 각 변들이 접하도록 하고 또한 각 하판(10)의 상면에 형성된 온수배관로(11)가 서로 연결되도록 깔아준다. 그리고 하판을 까는 과정에서 하부지층과의 높이편차가 발생되면 하판의 저면에 형성된 수평조절구(12)를 회전시켜 각 하판(10)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해준다.
이처럼 한 뒤 각 하판(10)의 온수배관로(11)에 온수관(3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관시켜 주고 그 뒤 하판(10)의 상부에 상판(20)을 덮어준다. 각 하판(10)의 모서리가 모이는 곳이 상판의 저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상판(20)이 하판의 저면에 포개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하판과 상판은 1/4씩 포개진다. 또한 상판(20)의 저면 모서리마다 형성된 걸림돌기(22)가 하판(1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구멍(14)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게 되며 각 걸림구멍(14)에 걸림돌기(22)가 완전히 체결되면 상판(20)과 하판(10)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체결된다.
또한 상판(20)이 하판(10)의 상부에 포개지면 하판(10)의 상부에 배관된 온수관(30)의 상부가 상판(20) 저면의 온수배관로(21)에 의해 끼워져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온수관(30)으로 온수가 흐르면 그 열기가 상판(20)으로 전열되어 상판(20)이 직접 가열된다. 본 발명은 상판(20)의 상부에 별도의 마감재 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상판이 온돌바닥의 역할을 하게된다. 따라서 온수관(30)의 열기가 상판으로 신속하게 전열됨으로 난방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온수관의 열기를 상판으로 전열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열판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재료비가 절감되고 시공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판(20)에는 미관상 좋게하기 위해 모노륨 종류의 바닥 장식재를 깔아줄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지층위에 하판을 깔고 그 위에 온수관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관한 뒤 하판의 상부에 상판을 덮어준다. 이때 상판과 하판이 1/4씩 포개지도록 덮어줌으로써, 이들의 결속력이 강화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며 하판을 하부지층에 깔아줄 때 수평이 맞지 않으면 하판에 형성된 수평조절구를 회전시켜 이들의 수평을 맞춰줄수 있음으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판을 하판의 상부에 덮어주면 상판이 온돌바닥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 온수관의 열기가 상판으로 직접 전열되어 열효율이 향상되며 특히 상판위에 별도의 마감재 처리를 하지 않음으로 온수관의 시공기간이 단축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면에 온수관이 놓이는 온수배관로가 한쌍 형성되고 저면 모서리마다에는 수평을 맞춰주는 수평조절구가 나사체결된 단위 조립체의 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하판의 상부를 덮어 온돌바닥으로 되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온수관을 덮어주는 온수배관로가 한쌍 구비되며,
    상기 상판에 형성된 한 온수배관로와 상기 하판에 형성된 한 온수배관로가 절반씩 포개지도록 상판과 하판이 1/4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수배관용 조립식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상면 중앙에 걸림구멍이 사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저면 모서리마다에는 상기 각 걸림구멍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수배관용 조립식 블록.
KR1019990018126A 1999-05-19 1999-05-19 온수배관용 조립식블록 KR20000074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126A KR20000074307A (ko) 1999-05-19 1999-05-19 온수배관용 조립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126A KR20000074307A (ko) 1999-05-19 1999-05-19 온수배관용 조립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307A true KR20000074307A (ko) 2000-12-15

Family

ID=1958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126A KR20000074307A (ko) 1999-05-19 1999-05-19 온수배관용 조립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430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162B1 (ko) * 2006-02-24 2006-06-07 한국시스템온돌(주) 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20190088257A (ko) 2018-01-18 2019-07-26 고현익 난방시공용 블록패널
KR20190002948U (ko) 2019-10-31 2019-12-02 고현익 난방시공용 블록패널
KR102074499B1 (ko) * 2019-10-17 2020-02-06 금오특수프라스틱주식회사 조립식 냉난방 시스템
WO2020218789A1 (ko) * 2019-04-22 2020-10-29 송기철 구들 블록 세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162B1 (ko) * 2006-02-24 2006-06-07 한국시스템온돌(주) 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20190088257A (ko) 2018-01-18 2019-07-26 고현익 난방시공용 블록패널
WO2020218789A1 (ko) * 2019-04-22 2020-10-29 송기철 구들 블록 세트
CN113767253A (zh) * 2019-04-22 2021-12-07 宋基喆 地板块套件
KR102074499B1 (ko) * 2019-10-17 2020-02-06 금오특수프라스틱주식회사 조립식 냉난방 시스템
KR20190002948U (ko) 2019-10-31 2019-12-02 고현익 난방시공용 블록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5120A (en) Floor structure for heating
KR20000074307A (ko) 온수배관용 조립식블록
DE3275118D1 (en) Floor with integrated hot water under-floor heating
JP2007163116A (ja) 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の温水マット及び該温水マットを利用した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100237497B1 (ko) 개선된 조립식 온돌난방 시스템
KR20050055671A (ko) 조립식온돌모듈
KR200241008Y1 (ko) 조립식 온돌판의 결합구조
KR200315204Y1 (ko) 조립식 건식 온돌패널구조
KR200362128Y1 (ko)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200384608Y1 (ko) 온수 방열판
KR200178340Y1 (ko) 조립식 난방패널
JP3594459B2 (ja) 巻回可能な上敷式木質床暖房パネル
KR200165359Y1 (ko) 온돌바닥용 판넬
KR20000012295A (ko) 조립식 난방패널
JP3132654U (ja) 1坪前後の浴室の洗い場における、継ぎ目のない可撓性のある連続した一本の温水パイプを使った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のための曲線部の温水マット形状及び該曲線部の温水マットと直線部の温水マットの2種類の温水マットの組み合わせ。
KR20040052549A (ko) 히트파이프를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KR200317943Y1 (ko) 축열식 온수 난방시스템
KR20000019721U (ko)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
KR100703039B1 (ko) 축열식 온수 난방시스템
KR19990036925U (ko) 일체형난방배관지지틀
KR200145539Y1 (ko) 조립식 난방패널의 가장자리 지지구조
KR970007218Y1 (ko) 파이프보호관과 열전도판을 갖는 온수난방 시스템
KR20000012294A (ko) 조립식 난방패널
KR200307050Y1 (ko) 합성수지 소재의 조립식 난방부재
JPH0293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