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3049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3049A
KR20000073049A KR1019990016070A KR19990016070A KR20000073049A KR 20000073049 A KR20000073049 A KR 20000073049A KR 1019990016070 A KR1019990016070 A KR 1019990016070A KR 19990016070 A KR19990016070 A KR 19990016070A KR 20000073049 A KR20000073049 A KR 2000007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temperature
air
dehumidifier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1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3049A/ko
Publication of KR2000007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04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로 분할된 열 교환기를 차례로 번갈아 가면 배열하여 평균온도차를 증가시킴으로써 열 교환 능력이 상승되어 제습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전체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가 증발됨으로써 통과되는 공기의 온도가 하강하는 동시에 그 수분이 제거되는 증발기와, 냉매가 응축됨으로써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는 응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분할되어 교번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습기 {Dehumidifier}
본 발명은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로 분할된 열 교환기를 차례로 번갈아 가면 배열하여 평균온도차를 증가시킴으로써 열 교환 능력이 상승되어 제습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전체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증발기에서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도 하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주위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는 그 온도가 하강되는 동시에 포함하고 있던 수분이 제거되는데, 이것이 제습기의 원리이다. 따라서, 제습기의 능력은 열 교환기의 능력에 비례하고, 또한, 제습기의 열 교환 능력은 아래의 식에 의해 결정되므로 평균온도차가 증가함에 따라 열 교환 능력이 향상되게 된다.
Q = U × S × Tm
상기에서, Q는 열 교환 능력을, U는 총합 열전달 계수를, A는 열전달 면적을, ΔTm은 냉매와 공기의 평균온도차를 각각 나타낸다.
참조된 도면, 도 1은 종래기술에 제습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제습기에서의 공기의 이동에 따른 냉매의 증발온도와 공기온도의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종래의 제습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흡입되는 측에 설치된 증발기(1)와, 상기 증발기(1)의 후방에 설치된 응축기(2)와, 상기 증발기(1) 및 상기 응축기(2)를 공기가 통과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키는 팬(fan)(6)과, 상기 증발기(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의 표면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모이는 수조(5)와, 상기 증발기(1)로부터 저온저압의 냉매를 흡입하여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킨 다음 상기 응축기(2)로 토출하는 압축기(3)와, 상기 응축기(2)와 상기 증발기(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2)로부터 상기 증발기(1)로 이동되는 냉매가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냉매가 증발되는 모세관(4)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냉매는 상기 증발기(1)에서 증발되어 저온저압으로 바뀌고, 상기 압축기(2)로 흡입되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상기 응축기(2)로 이송되어 응축되고, 상기 모세관(4)을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상기 증발기(1)에서 다시 증발하게 되는 사이클을 겪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팬(6)의 회전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1)와 상기 응축기(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는데, 실내공기는 우선 상기 증발기(1)를 통과하면서 그 온도가 하강되는 동시에 온도하강에 따라 포함하고 있던 수분이 상기 증발기(1)에 이슬로 맺히게 되고, 그 이슬은 상기 수조(5)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를 통과하여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2)를 통과하면서 그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증발기(1)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살펴보면, 상기 증발기(1)를 통과한 공기는 그 온도가 점차 하강하는 것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냉매의 증발온도와 공기의 온도차인 평균온도차(ΔTm)가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습기는 제습기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제습기를 더욱 큰 용량으로 설계해야 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비용과 에너지 소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발기와 응축기를 분할하여 교번적으로 설치함으로써 평균온도차가 상승되어 제습능력이 향상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제습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제습기에서의 공기의 이동에 따른 냉매의 증발온도와 공기온도의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에서의 공기의 이동에 따른 냉매의 증발온도와 공기온도의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a, 51b : 증발기 52a, 52b : 응축기 53 : 압축기
54 : 모세관 55 : 수조 56 : 팬
본 발명은 냉매가 증발됨으로써 통과되는 공기의 온도가 하강하는 동시에 그 수분이 제거되는 증발기와, 냉매가 응축됨으로써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는 응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분할되어 교번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에서의 공기의 이동에 따른 냉매의 증발온도와 공기온도의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되어 서로 연결된 증발기(51a, 51b)와, 상기 증발기(51a, 51b)의 사이마다 교번적으로 설치된 응축기(52a, 52b)와, 상기 증발기(51a, 51b)로부터 저온저압의 냉매를 흡입하여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상기 응축기(51a, 51b)로 토출하는 압축기(53)와, 상기 응축기(52a, 52b)와 상기 증발기(51a, 51b)에 연결되어 상기 증발기(51a, 51b)에서 냉매가 용이하게 증발되도록 팽창시키는 모세관(54)과, 상기 증발기(51a, 51b) 및 상기 응축기(52a, 52b)를 실내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동을 생성시키는 팬(56)과, 상기 증발기(51a, 51b)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51a, 51b)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모이게 되는 수조(55)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냉매는 상기 압축기(53)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상기 응축기(52a, 52b)로 토출되고, 상기 응축기(52a, 52b)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모세관(54)을 통과하면서 증발된 다음, 상기 증발기(51a, 51b)에서 완전히 증발되어 저온저압으로 바뀐 후, 상기 압축기(53)로 다시 흡입되는 사이클을 겪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팬(56)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상기 증발기(51a, 51b) 및 상기 응축기(52a, 52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는데, 먼저, 첫 번째 상기 증발기(51a)를 통과한 공기는 그 온도가 하강되는 동시에 포함하고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증발기(51a)의 표면에 맺히게 되고, 첫 번째 상기 응축기(52a)를 통과하면서 다시 그 온도가 상승된 다음, 두 번째 상기 증발기(51b)를 통과하면서 다시 그 온도가 하강하는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증발기(51b)의 표면에 맺히게 되며, 두 번째 상기 응축기(52b)를 통과하면서 다시 그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공기의 온도는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게 되는데, 상기 증발기(51a, 51b)와 상기 응축기(52a, 52b)를 분할하여 교번적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공기온도의 상승과 하강이 작은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평균온도차(ΔTm)가 종래에 비하여 상승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평균온도차(ΔTm)가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한 열 교환 능력에 관한 식에 의해 열 교환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제습능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복수개의 상기 증발기(51a, 51b)와 상기 응축기(52a, 52b)가 교번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평균온도차(ΔTm)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효율 및 제습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냉매가 증발됨으로써 통과되는 공기의 온도가 하강하는 동시에 그 수분이 제거되는 증발기와, 냉매가 응축됨으로써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는 응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는 분할되어 교번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KR1019990016070A 1999-05-04 1999-05-04 제습기 KR20000073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070A KR20000073049A (ko) 1999-05-04 1999-05-04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070A KR20000073049A (ko) 1999-05-04 1999-05-04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049A true KR20000073049A (ko) 2000-12-05

Family

ID=1958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070A KR20000073049A (ko) 1999-05-04 1999-05-04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304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225A1 (en) * 2013-12-10 2015-06-18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WO2018169638A1 (en) * 2017-03-16 2018-09-20 Therma Stor Llc Dehumidifier
US10845069B2 (en) 2017-03-16 2020-11-24 Therma-Stor LLC Dehumidifier with multi-circuited evaporator and secondary condenser coils
US10921002B2 (en) 2017-03-16 2021-02-16 Therma-Stor LLC Dehumidifier with secondary evaporator and condenser coils in a single coil pack
US10955148B2 (en) 2017-03-16 2021-03-23 Therma-Stor, Llc Split dehumidification system with secondary evaporator and condenser coils
US11573015B2 (en) 2017-03-16 2023-02-07 Therma-Stor LLC Split dehumidification system with secondary evaporator and condenser coils
US11573016B2 (en) 2017-03-16 2023-02-07 Therma-Stor LLC Water cooled dehumidification system
US11668476B2 (en) 2017-03-16 2023-06-06 Therma-Stor LLC Heat modulation dehumidification system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225A1 (en) * 2013-12-10 2015-06-18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WO2018169638A1 (en) * 2017-03-16 2018-09-20 Therma Stor Llc Dehumidifier
US10168058B2 (en) 2017-03-16 2019-01-01 Therma-Stor LLC Dehumidifier with secondary evaporator and condenser coils
US10845069B2 (en) 2017-03-16 2020-11-24 Therma-Stor LLC Dehumidifier with multi-circuited evaporator and secondary condenser coils
US10921002B2 (en) 2017-03-16 2021-02-16 Therma-Stor LLC Dehumidifier with secondary evaporator and condenser coils in a single coil pack
US10955148B2 (en) 2017-03-16 2021-03-23 Therma-Stor, Llc Split dehumidification system with secondary evaporator and condenser coils
US11371725B2 (en) 2017-03-16 2022-06-28 Therma-Stor LLC Dehumidifier with multi-circuited evaporator and secondary condenser coils
US11530823B2 (en) 2017-03-16 2022-12-20 Therma-Stor LLC Split dehumidification system with secondary evaporator and condenser coils
US11573015B2 (en) 2017-03-16 2023-02-07 Therma-Stor LLC Split dehumidification system with secondary evaporator and condenser coils
US11573016B2 (en) 2017-03-16 2023-02-07 Therma-Stor LLC Water cooled dehumidification system
US11668476B2 (en) 2017-03-16 2023-06-06 Therma-Stor LLC Heat modulation dehumidif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621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228726B (zh) 除湿装置
KR20180017536A (ko) 멀티 히트 펌프형 항온항습 시스템
CN2454735Y (zh) 热泵式除湿干燥机
KR20000073049A (ko) 제습기
WO2005079957A1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6336874A (ja)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KR20190138911A (ko) 기화열과 증발열을 이용한 2중 냉각 방식 공조기
CN1325006A (zh) 热泵系统
JP2010007939A (ja) 凝縮器およびこれを備える圧縮空気除湿装置
CN108826508B (zh) 一种风路并联进风预冷立式除湿机
CN1144982C (zh) 从小体积空调器中去除冷凝水的装置
KR20130119655A (ko) 제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작동방법
CN1959238B (zh) 空气调节器
JPS6157536B2 (ko)
KR200238250Y1 (ko) 제습기
KR100539812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비산 장치
KR200216901Y1 (ko) 증발기, 응축기 일체형 버스 에어컨의 응결수 배출 구조
CN214891578U (zh) 一种高效防腐除湿机
CN211451197U (zh) 一种节能除湿机
CN1246600A (zh) 窗式空调器
KR100436930B1 (ko) 응축수를 이용한 성능향상 에어컨
KR0161216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JPH10176839A (ja) 電気除湿機
KR100386578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