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7688A -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7688A
KR20000067688A KR1019990015697A KR19990015697A KR20000067688A KR 20000067688 A KR20000067688 A KR 20000067688A KR 1019990015697 A KR1019990015697 A KR 1019990015697A KR 19990015697 A KR19990015697 A KR 19990015697A KR 20000067688 A KR20000067688 A KR 20000067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motion vector
image
motion esti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진
김관후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박권상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박권상,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1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7688A/ko
Priority to JP2000132486A priority patent/JP2000350218A/ja
Publication of KR20000067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6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쳐 타입이 P-픽쳐일 경우 역방향 움직임 추정치를 이용하므로 P-픽쳐의 움직임 추정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전송할 영상의 부호화 모드(픽쳐 타입)를 결정하고, 픽쳐 타입이 P-픽쳐일 경우 순방향 움직임 추정과 역방향 움직임 추정모듈에서 추정 영역을 나누어 움직임 추정을 수행한 후 두 움직임 벡터를 비교하여 움직임 추정 오차가 작은 쪽으로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고, 픽쳐 타입이 B-픽쳐일 경우에는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추정한 움직임 추정치를 그대로 움직임 벡터로 사용함으로써, P-픽쳐에서의 움직임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영상 부호화의 효율을 높이게 된다.

Description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Motion estimation apparatus for extending motion estimation range in image coder}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기(예를 들어, MPEG-1 시스템, MPEG-2 시스템)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P-픽쳐에서의 움직임 추정시 B픽쳐를 위해 존재하는 역방향 움직임 추정장치를 이용하므로 P-픽쳐의 움직임 추정 범위를 확장하고 영상 부호화의 효율을 높이도록 한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영상 부호화에 관한 국제 표준안인 MPEG-1, MPEG-2는 복합 움직임 보상/이산여현부호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표준안들은 모두 복호화기에 대한 표준안들이며, 이들을 만족시키는 부호화기의 구현은 복호화가 가능한 범위에서 가변이 가능하다. 이들 영상 부호화기의 구현에서 하드웨어(H/W)적으로 가장 부하가 많은 부분이 움직임 추정과 관련된 부분이다. 특히 표준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클수록 더욱 복잡해지게 되고, 시스템의 성능은 움직임 추정의 구현 방법에 따라 많이 좌우된다. 즉, 움직임 추정을 위한 하드웨어의 복잡도는 움직임 추정의 범위에 따라 달라지며 보다 넓은 추정 범위를 확보하는 것은 성능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엠펙(MPEG)의 영상압축 방법은 움직임 보상, 이산여현변환(DCT) 및 가변장 부호화에 근거한다. 여기서 움직임 보상은 엠펙에서의 영상 부호화 모드(픽쳐 타입)에 따라 달라진다.
즉, I-픽쳐에서는 움직임 보상이 필요하지 않으며, P-픽쳐는 이전에 이미 부호화된 I-픽쳐 또는 P-픽쳐로부터의 순방향 예측만이 가능하다. 그리고 B-픽쳐에서는 시간적으로 이전과 이후에 부호화된 I-픽쳐 또는 P-픽쳐로부터의 순방향, 역방향 및 양방향 예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호화기에서는 움직임 추정시에 P-픽쳐에서는 한 개의 탐색 프레임으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얻어야 하고, B-픽쳐에서는 두 프레임으로부터 두 가지 움직임 벡터를 얻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움직임 추정부의 구현은 움직임 추정을 위한 ASIC을 여러 개 사용하여 구현을 하고, B-픽쳐를 위해 순방향과 역방향 벡터를 위한 두 모듈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P-픽쳐에서는 역방향 움직임 추정 모듈이 불필요하게 된다.
첨부한 도면 도1은 복합 움직임 보상/이산여현부호화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엠펙 부호화기의 구성을 보인다.
움직임 추정부(1)는 입력 영상과 예측을 위해 프레임 메모리(2)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추정을 하여 움직임 벡터를 추출한다. 움직임 보상부(3)는 움직임 추정부(1)에서 얻어지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처리될 입력 영상의 매크로 블록(16*16)의 예측 값을 프레임 메모리(2)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참조 영상으로부터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획득된 예측된 블록과 입력 영상 블록은 감산기(4)에서 감산되어 그 차이 값이 이산여현변환부(5)에 전달되며, 이산여현변환부(5)는 그 차이 값을 DCT하게 되고, 양자화부(6)는 DCT된 데이터를 양자화 하여 그 결과치를 가변장 부호화부(7) 및 역양자화부(8)에 각각 전달해준다. 가변장 부호화부(7)는 양자화된 영상 데이터를 가변장 부호화(VLC)하여 비트열로써 수신단에 전송하게 된다. 역양자화부(8)는 상기 양자화부(6)에서 양자화된 영상 신호를 역 양자화 하게 되고, 역이산여현변환부(9)는 역양자화된 영상신호를 역DCT하게 되고, 이렇게 역DCT된 영상 데이터는 가산기(10)에서 상기 움직임 보상부(3)에서 얻어지는 예측된 블록과 가산되고, 그 결과로 얻어지는 영상 블록은 프레임 메모리(2)에 이전 프레임의 참조 영상으로 저장되어, 다음 영상 블록의 움직임 추정과 움직임 보상에 사용되어진다. 여기서 비트율 제어부(11)는 가변장 부호화부(7)내의 버퍼 상태를 체크하여 양자화부(6)의 출력을 컨트롤하게 된다.
도2는 엠펙 시스템에서의 움직임 추정장치를 보인다. 도3은 엠펙 시스템에서 움직임 추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에서 I-픽쳐는 움직임 추정이 사용되지 않으며, P-픽쳐에서는 이미 부호화된 이전 I-픽쳐 또는 P-픽쳐를 탐색 영상으로 하여 움직임 추정이 이루어지며, 이를 순방향 움직임 벡터라 명하며, 이러한 순방향 움직임 추정은 도2의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1a)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3에서 B-픽쳐는 이전과 이후의 I- 픽쳐 또는 P-픽쳐를 탐색 영상으로 하여 움직임 추정을 하며, 이전 영상으로부터의 벡터를 순방향 움직임 벡터라 하고, 이후 영상에서의 벡터는 역방향 움직임 벡터라 부르며, 이러한 역방향 움직임 추정은 도2에서 역방향 움직임 추정부(1b)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1a) 및 역방향 움직임 추정부(1b)에서 각각 얻어지는 순방향 움직임 벡터 및 역방향 움직임 벡터는 움직임 벡터 처리부(1c)에 전달되며, 움직임 벡터 처리부(1c)는 영상 부호화 모드에 따라 움직임 벡터를 재구성(후단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출력되는 움직임 벡터는 도1에서 움직임 보상부(3) 및 가변장 부호화부(7)에 전달되어, 입력 영상 블록의 움직임 보상에 이용되고 아울러 가변장 부호화시 사용되어 진다.
이러한 영상 압축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의 압축은 움직임 추정 및 보상, 이산여현부호화, 그리고 가변장 부호화 등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들 중에 특히 움직임 추정부는 비교적 단순한 작업인데 반해 방대한 하드웨어를 요구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시스템에서는 이를 위해 제작된 전용 ASIC 칩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움직임 추정 ASIC은 벡터의 최대 탐색범위가 제한된 칩이다. 따라서 큰 탐색 범위를 요하는 응용(MPEG-1, MPEG-2 등등)에서는 이들을 여러 개를 사용하여 구현하므로 하드웨어의 부담이 가중되고, 특히 고화질 텔레비전과 같이 영상의 해상도가 매우 큰 경우에는 움직임 추정 범위를 제한할 수밖에 없는 단점을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영상 부호화기내에 구비된 움직임 추정부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픽쳐에서의 움직임 추정시 역방향 움직임 추정 모듈을 이용하므로 P-픽쳐의 움직임 추정 범위를 확장토록 하고, 이로써 영상 부호화의 효율을 높이도록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수단은,
전송할 영상의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수단과;
상기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수단에서 얻어지는 부호화 모드신호를 입력받고 그 부호화 모드에 따라 원 영상과 복호화된 영상으로부터 순방향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여 순방향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순방향 움직임 추정수단과;
상기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수단에서 얻어지는 부호화 모드신호를 입력받고 그 부호화 모드에 따라 원 영상과 복호화된 영상으로부터 역방향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여 역방향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역방향 움직임 추정수단과;
상기 순방향/역방향 움직임 추정수단에서 각각 얻어지는 순방향 움직임 벡터와 역방향 움직임 벡터를 픽쳐 타입에 따라 처리하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 벡터 결정수단과;
상기 움직임 벡터 결정수단에서 결정된 움직임 벡터를 재구성하여 최종 움직임 벡터로 출력하는 움직임 벡터 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순방향 움직임 추정수단은, 탐색을 위해 국부적으로 부호화기에서 복호화된 순방향 복호화 영상과 부호화하고자 하는 원래의 영상의 주사 형식을 각각 변환하는 제1 및 제2 주사형식 변환부와, 상기 제1 및 제2 주사형식변환부에서 각각 변환된 복호화 영상 및 원 영상을 실시간 처리가 가능토록 적당한 화소수로 디멀티플렉싱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제1 데이터 디멀티플렉서에서 얻어지는 복호화 영상 데이터를 제1 탐색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고, 움직임 추정시 제2 탐색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탐색 데이터를 인출하여 출력하는 제1 메모리 조절부와, 상기 제2 데이터 디멀티플렉서에서 얻어지는 원 영상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고, 움직임 추정시 기준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여 기준 데이터로 출력하는 제2 메모리 조절부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조절부에서 각각 얻어지는 기준 데이터를 탐색 데이터와 비교하여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고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움직임 추정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역방향 움직임 추정수단은 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움직임 추정수단과 동일하며, 다만 그 입력 데이터에 있어서 기준 데이터는 동일하고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로써 순방향 탐색 데이터가 아니고 역방향 탐색 데이터가 입력된다는 것에서만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 벡터 결정 수단은, 픽쳐 타입이 P-픽쳐일 경우 순방향/역방향 움직임 추정부에서 각각 얻어지는 움직임 벡터치를 비교하여 움직임 벡터의 오차가 작은쪽을 움직임 벡터로 설정하고, 상기 픽쳐 타입이 B-픽쳐일 경우 순방향/역방향 움직임 추정부에서 각각 얻어지는 움직임 벡터치를 그대로 후단의 움직임 벡터 처리수단에 전달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엠펙(MPEG) 부호화기의 블록도,
도2는 도1의 움직임 추정부의 상세구성도,
도3은 도2의 움직임 추정부의 움직임 추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a)는 P-픽쳐의 움직임 추정 모드를 보인 도면이고,
(b)는 B-픽쳐의 움직임 추정 모드를 보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블록도,
도5는 도4의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 상세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부120 :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
140 : 역방향 움직임 추정부150 : 움직임 벡터 결정부
160 : 움직임 벡터 처리부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할 영상의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부(110)와, 상기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부(110)에서 얻어지는 부호화 모드신호를 입력받고 그 부호화 모드에 따라 원 영상과 복호화된 영상으로부터 순방향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여 순방향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120)와, 상기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부(110)에서 얻어지는 부호화 모드신호를 입력받고 그 부호화 모드에 따라 원 영상과 복호화된 영상으로부터 역방향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여 역방향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역방향 움직임 추정부(140)와, 상기 순방향/역방향 움직임 추정부(120)(140)에서 각각 얻어지는 순방향 움직임 벡터와 역방향 움직임 벡터를 픽쳐 타입에 따라 처리하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 벡터 결정부(150)와, 상기 움직임 벡터 결정부(150)에서 결정된 움직임 벡터를 재구성하여 최종 움직임 벡터로 출력하는 움직임 벡터 처리부(1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1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을 위해 국부적으로 부호화기에서 복호화된 복호화 영상과 부호화하고자 하는 원래의 영상의 주사 형식을 각각 변환하는 제1 및 제2 주사형식 변환부(121)(122)와, 상기 제1 및 제2 주사형식 변환부(121)(122)에서 각각 변환된 복호화 영상 및 원 영상을 실시간 처리가 가능토록 적당한 화소수로 디멀티플렉싱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디멀티플렉서(123)(124)와, 상기 제1 데이터 디멀티플렉서(123)에서 얻어지는 복호화 영상 데이터를 제1 탐색 데이터 메모리(125)에 저장하고, 움직임 추정시 제2 탐색 데이터 메모리(126)에 저장된 탐색 데이터를 인출하여 출력하는 제1 메모리 조절부(127)와, 상기 제2 데이터 디멀티플렉서(124)에서 얻어지는 원 영상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 메모리(128)에 저장하고, 움직임 추정시 기준 데이터 메모리(128)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여 기준 데이터로 출력하는 제2 메모리 조절부(129)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조절부(127)(129)에서 각각 얻어지는 기준 데이터를 탐색 데이터와 비교하여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고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움직임 추정부(1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역방향 움직임 추정부(140)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120)와 동일하며, 다만 그 입력 데이터에 있어서 기준 데이터는 동일하고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로써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부(110)에서 전달받은 부호화 모드에 따라 순방향 탐색 데이터 또는 역방향 탐색 데이터가 입력된다는 것에서만 차이가 있다. 즉, B픽쳐일때는 역방향 탐색 데이터가 입력되지만, P픽쳐일때는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에서 고려되지 않는 영역의 순방향 탐색 데이터가 입력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는, 먼저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부(110)에서 영상 부호화 모드를 결정한다. 즉,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부(110)는 입력 영상의 픽쳐-타입(I-픽쳐, P-픽쳐, B-픽쳐)을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고, 그 결정한 부호화 모드 결정 신호를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120), 역방향 움직임 추정부(140), 움직임 벡터 결정부(150)에 전달해준다.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120)는 전달되는 영상 부호화 모드에 따라 부호화하고자 하는 원래의 영상 데이터인 기준 데이터와 탐색을 위한 국부적으로 부호화기에서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순방향 움직임 추정을 하고, 움직임 벡터를 추출한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사형식 변환부(121)는 부호화기에서 국부적으로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이전 프레임)의 주사 형식을 수직 방향으로 주사된 형식으로 변환하게 되고, 제2 주사형식 변환부(122)도 부호화하고자 하는 원 영상 데이터(현재 프레임)의 주사 형식을 수직 방향으로 주사된 형식으로 변환하게 된다.
제1 데이터 디멀티플렉서(123)는 제1 주사형식 변환부(121)에서 변환된 복호화 영상 데이터를 시간 처리가 가능토록 적당한 화소수로 디멀티플렉싱하여 제1 메모리 조절부(127)에 전달한다.
제1 메모리 조절부(127)는 입력되는 탐색 데이터를 제1 탐색 데이터 메모리(125)에 저장하여 다음 프레임의 움직임 추정시 탐색 데이터로 사용토록 하고, 제2 탐색 데이터 메모리(126)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탐색 데이터를 인출하여 현재 프레임의 움직임 추정에 사용토록 움직임 추정부(13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탐색 데이터 메모리(125)(126)의 데이터 읽기 및 쓰기 동작은 상기 영상 부호화 모드 처리부(110)에서 얻어지는 부호화 모드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픽쳐 타입이 P-픽쳐일 경우에는 제1 및 제2 탐색 데이터 메모리(125)(126)의 읽기와 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픽쳐 타입이 B-픽쳐일 경우에는 2개의 메모리중 1개의 메모리에서 읽기 동작만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2 메모리 조절부(129)는 상기 제2 데이터 디멀티플렉서(124)에서 얻어지는 현재 영상의 기준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 메모리(128)에 저장하고, 이를 처리 블록(움직임 추정이 블록단위로 이루어지므로 해당 블록의 기준 데이터만 인출)만큼 인출하여 움직임 추정부(130)에 전달한다.
움직임 추정부(130)는 상기 영상 부호화 모드가 P-픽쳐일 경우에는 상기 제2 메모리 조절부(129)에서 얻어지는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인 기준 데이터와 상기 제1 메모리 조절부(127)에서 얻어지는 이전 프레임의 탐색 데이터를 비교하여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고, 순방향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여 움직임 벡터 결정부(150)에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역방향 움직임 추정부(140)도 전술한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120)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순방향에서 처리하지 않는 영역의 영상 데이터의 움직임 추정을 하게 되며, 여기서 입력되는 원 영상 데이터는 역방향 영상 데이터이다.
한편, 움직임 벡터 결정부(150)는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부(110)에서 얻어지는 부호화 모드(픽쳐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120)와 역방향 움직임 추정부(140)에서 각각 얻어지는 순방향 움직임 벡터와 역방향 움직임 벡터를 처리하여 최종적임 움직임 벡터를 결정한다.
즉, 역방향 움직임 벡터 결정부(150)는, 상기 부호화 모드 정보가 P-픽쳐일 경우에는 상기 순방향 움직임 추정부(120)에서 얻어지는 순방향 움직임 벡터와 역방향 움직임 추정부(140)에서 얻어지는 움직임 벡터를 비교하여 움직임 추정오차가 작은 쪽으로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고, 부호화 모드 정보가 B-픽쳐일 경우에는 움직임 벡터 결정부(150)는 입력되는 움직임 벡터를 그대로 움직임 벡터 처리부(160)에 전달해준다.
움직임 벡터 처리부(160)는 입력되는 움직임 벡터를 후단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재구성하여 도1의 움직임 보상부(3) 및 가변장 부호화부(7)에 전달해주어, 움직임 보상 및 부호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호화 모드(픽쳐 타입)가 P-픽쳐일 경우 순방향과 역방향 움직임 추정 모듈에서 탐색영역을 나누어 움직임을 추정한 후 움직임 추정 오차가 작은??으로 움직임 벡터를 결정 함으로써, P픽쳐에서의 움직임 추정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움직임 벡터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영상 부호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영상 부호화를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에 있어서,
    전송할 영상의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수단과;
    상기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수단에서 얻어지는 부호화 모드신호를 입력받고 그 부호화 모드에 따라 원 영상과 복호화된 영상으로부터 순방향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여 순방향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순방향 움직임 추정수단과;
    상기 영상 부호화 모드 결정수단에서 얻어지는 부호화 모드신호를 입력받고 그 부호화 모드에 따라 원 영상과 복호화된 영상으로부터 역방향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여 역방향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역방향 움직임 추정수단과;
    상기 순방향/역방향 움직임 추정수단에서 각각 얻어지는 순방향 움직임 벡터와 역방향 움직임 벡터를 픽쳐 타입에 따라 처리하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 벡터 결정수단과;
    상기 움직임 벡터 결정수단에서 결정된 움직임 벡터를 재구성하여 최종 움직임 벡터로 출력하는 움직임 벡터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움직임 추정수단은, 탐색을 위해 국부적으로 부호화기에서 복호화된 순방향 복호화 영상과 부호화하고자 하는 원래 영상의 주사 형식을 각각 변환하는 제1 및 제2 주사형식 변환부와, 상기 제1 및 제2 주사형식변환부에서 각각 변환된 복호화 영상 및 원 영상을 실시간 처리가 가능토록 적당한 화소수로 디멀티플렉싱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제1 데이터 디멀티플렉서에서 얻어지는 복호화 영상 데이터를 제1 탐색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고, 움직임 추정시 제2 탐색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탐색 데이터를 인출하여 출력하는 제1 메모리 조절부와, 상기 제2 데이터 디멀티플렉서에서 얻어지는 원 영상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고, 움직임 추정시 기준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여 기준 데이터로 출력하는 제2 메모리 조절부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조절부에서 각각 얻어지는 기준 데이터를 탐색데이터와 비교하여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고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움직임 추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움직임 추정수단은, 탐색을 위해 국부적으로 부호화기에서 복호화된 역방향 복호화 영상과 부호화하고자 하는 원래 영상의 주사 형식을 각각 변환하는 제1 및 제2 주사형식 변환부와, 상기 제1 및 제2 주사형식변환부에서 각각 변환된 복호화 영상 및 원 영상을 실시간 처리가 가능토록 적당한 화소수로 디멀티플렉싱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제1 데이터 디멀티플렉서에서 얻어지는 복호화 영상 데이터를 제1 탐색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고, 움직임 추정시 제2 탐색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탐색 데이터를 인출하여 출력하는 제1 메모리 조절부와, 상기 제2 데이터 디멀티플렉서에서 얻어지는 원 영상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고, 움직임 추정시 기준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여 기준 데이터로 출력하는 제2 메모리 조절부와,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조절부에서 각각 얻어지는 기준 데이터를 탐색데이터와 비교하여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고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움직임 추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벡터 결정 수단은, 픽쳐 타입이 P-픽쳐일 경우 순방향/역방향 움직임 추정부에서 각각 얻어지는 움직임 추정 오차를 비교하여 움직임 벡터의 오차가 작은 쪽을 움직임 벡터로 설정하고, 상기 픽쳐 타입이 B-픽쳐일 경우 순방향/역방향 움직임 추정부에서 각각 얻어지는 움직임 벡터치를 그대로 후단의 움직임 벡터 처리수단에 전달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KR1019990015697A 1999-04-30 1999-04-30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KR20000067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697A KR20000067688A (ko) 1999-04-30 1999-04-30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JP2000132486A JP2000350218A (ja) 1999-04-30 2000-05-01 画像符号化システムにおける動き推定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697A KR20000067688A (ko) 1999-04-30 1999-04-30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88A true KR20000067688A (ko) 2000-11-25

Family

ID=1958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697A KR20000067688A (ko) 1999-04-30 1999-04-30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350218A (ko)
KR (1) KR2000006768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50218A (ja)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6262B2 (ja) 動き補償符号化装置、動き補償符号化方法、及び動き補償符号記録媒体
JP2897763B2 (ja) 動き補償符号化装置、復号化装置、符号化方法及び復号化方法
US82598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ded picture data and for decoding coded picture data
JP3888597B2 (ja) 動き補償符号化装置、及び動き補償符号化復号化方法
EP1379000A1 (en)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EP0585051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H11275592A (ja) 動画像符号列変換装置及びその方法
US6061397A (en) Motion vector detecting device
JPH11168731A (ja)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100202538B1 (ko) 엠펙 비디오 코덱 장치
JP2898413B2 (ja) 所要メモリ容量の低減化を伴う圧縮ビデオデータ流の復号化及び符号化のための方法
KR100364748B1 (ko) 영상 변환 부호화 장치
KR20000067688A (ko) 영상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범위 확장을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KR970019631A (ko) 엠펙(mpeg) ii 부호기
JPH07298270A (ja) 動き補償フレーム間予測符号化装置
JPH09261661A (ja) 2つの基準ピクチャから双方向コード化ピクチャ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KR0169657B1 (ko) 동영상 부호화기
KR100295837B1 (ko) 동영상 부호화를 위한 움직임 추정장치
EP1790166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estimation
US20100098170A1 (en) Transcoding device and transcoding method
JP3948442B2 (ja) 動き補償復号化装置
KR100249086B1 (ko) 비디오 인코더의 움직임 검출과 보상 장치
JP2004007778A (ja) 動き補償復号化方法
KR100657714B1 (ko) 3차원 스캐닝을 이용한 영상데이터 부호화 방법
KR0123092B1 (ko) 픽쳐 시작 위치 코드 코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