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967A -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967A
KR20000066967A KR1019990014410A KR19990014410A KR20000066967A KR 20000066967 A KR20000066967 A KR 20000066967A KR 1019990014410 A KR1019990014410 A KR 1019990014410A KR 19990014410 A KR19990014410 A KR 19990014410A KR 20000066967 A KR20000066967 A KR 20000066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or
terminal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4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09098B1 (en
Inventor
한용규
Original Assignee
한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규 filed Critical 한용규
Priority to KR101999001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098B1/en
Publication of KR20000066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9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09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o give priority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o display the user information in the display unit of a terminal by priority orders. CONSTITUTION: A terminal possessor selects necessary functions by using function keys arranged in left/right sides. A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of selector displaying/executing key functions is arranged in a nearest position, to minimize the use number of times for the arranged selector selecting keys. A function having relatively many key operations such as a network connection number is registered as a component of the selector, and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Description

통신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빠르게 사용자 정보에 접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사용자 정보를 원격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efficiently display user information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o allow a user to easily and quickly access user information to facilitate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aging user information that enables the user information to be remotely maintaine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user information.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주로 이동중 음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만들어지므로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형, 경량 추세로 설계되고 만들어진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inly designed to provide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while moving, and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a trend of small size and light weight to increase portability.

그러나,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간단한 문자나 단순한 도형 등을 전송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축 다이얼 기능, 단문메시지 콜백 기능 등이 요구됨으로 인하여, 표시창(즉, 화면표시장치(LCD))의 크기와 입력장치의 크기와 기능을 개선한 형태의 단말기와 단말 보조 장치 등이 만들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크기와 추가 접속장치 등으로 인하여 휴대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표시창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특수한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면, PDA 타입 등)를 제외하고는 그 크기가 제한되며, 그로 인하여 정보 표시에 한계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necessity of transmitting simple text or simple graphic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ed, a display window (that is, a screen display device) is required because a speed dial function and a short message callback function are requi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CD)) and the size and function of the input device, although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assistance device of the type is improved, the portability due to its size and additional connection device, etc., had a problem that significantly reduced. That is, the display window is limited in size except for a speci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PDA type) in order to increase the portabil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information display has a limitation.

또한,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은 내장된 마이크로 제어장치(CPU)의 소프트웨어로 그 기능이 구현되어 있으나, 단말기의 회수 및 관리 배포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기능 개선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폐기 교체되는 경우가 많아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most of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implemented by the software of the built-in microcontroller (CPU), but the functions can be improved by software due to difficulties in collecting, managing, and distributing the terminal. In many cases,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s the waste of resources.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작은 표시창을 갖는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에 보다 많은 사용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records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so as to efficiently display more user information on a terminal of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small display window an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또한, 통신 사용자가 일일이 기억하여야 하는 숫자의 군으로 이루어진 망접속번호 대신 서비스명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정보에 쉽고 빠르게 접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service name instead of the network access number consisting of a group of numbers that the communication user must remember, the user to manage the user to easily and quickly access the user information to obtain the desired user information easily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또한, 통신시스템에서 원격 갱신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원격으로 유지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remotely maintaining user information using a remote update fun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user information.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a 및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중 선택자 표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lector display process in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중 망 접속 정보 관리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3A and 3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network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process among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정보 표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화면표시수단에 표시되는 사용자 정보에 우선순위를 두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우선순위별로 상기 화면표시수단에 표시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display in a terminal applied to a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the user information is given priority by giving priority to use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means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on the screen display means.

그리고,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정보 접속 관리 방법에 있어서, 통신 사용자가 일일이 기억하여야 하는 숫자의 군으로 이루어진 망접속번호(서비스번호)대신에, 서비스명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정보에 접속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formation access management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user uses a service name instead of a network access number (service number) that a communication user must re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managing so that connection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정보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원격으로 사용자 정보를 갱신, 추가, 삭제하여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mote management method of user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to update, add, delete and maintain the user information remot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 마이크, 스피커, 표시창(화면표시장치(LCD)), 이동하(좌:↓), 중(실행/갱신), 이동상(우:↑), 취소(CLR) 기능을 갖는 특수 기능키, 전송키(SEND), 종료키(END), 숫자키(0,1,2,...9), 특수키(*,#)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antenna, a microphone, a speaker, a display (LCD), a moving down (left: ↓), a middle (executing / update), a mobile phase (right: ↑), and a cancellation. A special function key having a (CLR) function, a transfer key (SEND), an end key (END), numeric keys (0, 1, 2, ... 9) and a special key (*, #) are provided.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 본체, 밧데리 등으로 구성되며, 이중 본체는 마이크, 스피커, 숫자 버튼, 기능 버튼, 통신의 가/불가를 표시하는 전파 신호세기, 사용자 이름, 자기 전화번호,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 등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n antenna, a main body, a battery, and the like, and a dual main body includes a microphone, a speaker, a number button, a function button, and a radio signal strength indicating a communication enable / disable, user name, own phone number, and time. And a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such information.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 사용되는 숫자 버튼 및 특수 문자 버튼(*, #)과 전송키(SEND), 종료키(END)가 필수 버튼으로 구성되며, 그 외에 단말기에 따라서 다수의 특수 기능키(좌, 중, 우, 취소 등)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s of a number button and a special character button (*, #), a transmission key (SEND), an end key (END) used to enter a phone number, and other essential buttons. Therefore, it consists of a number of special function keys (left, middle, right, cancel, etc.).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 환경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개인통신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또는 셀룰러 통신서비스(Cellular 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또는 그림 정보 표시 기능, 사용자 접속 기능, 망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또는 그의 기능을 갱신하는 기능과 그를 활용한 단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절차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owever,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is only a technique well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However, in order to receiv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ch as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or a cellular communication service, a text or picture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 user access function, and a mobile device interwork with a network. The function of updating the data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its function and the procedure for implementing the terminal function utiliz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a 및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중 선택자 표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도 2a는 문자형 표시창을 나타내고, 도 2b는 그림형 표시창을 나타낸다.2A and 2B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selector display process in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shows a text display window and FIG. 2B shows a graphic display window.

본 발명은 휴대성을 해하지 않는 소형 크기의 단말기 표시창에서 가능하면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고, 단말기 사용자 개개인의 사용 특성에 맞추어 가장 작은 횟수의 조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인터넷을 이용해 원격으로 정보의 갱신/갱신 추가 삭제 등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 및 원격 실행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의 기능 데이터 또는 기능 소프트웨어 묘듈을 원격으로 추가 또는 갱신 또는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기의 기능 수명을 연장시켜 이에 따른 자원의 낭비를 막고,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게 가입자 단말의 원격 유지 보수 기능을 제공하여 보다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ly displays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on a small sized display window of a terminal that does not compromise portability, and enables the user to obtain desired information with the smallest number of oper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of the terminal. It can be used to remotely update / update and delete information, which can be convenient for maintenance and remote execu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remotely adding, updating, or deleting a function data or a function software module of a terminal, thereby extending the functional life of the terminal device, thereby preventing waste of resources, and thus providing a subscriber st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t can provide more satisfactory service by providing remote maintenance function of.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정보 접속 기능을 효율화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논리구조(Object)인 표시창에 표시되는 선택자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selector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which is the most basic logical structur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improve the user information access func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선택자(menu_item)는 선택가능한 문자 또는 숫자 또는 그림 객체 또는 그들의 혼합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택자는 선택자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다.The selector (menu_item) consists of selectable letters or numbers or picture objects or mixtures thereof. This selector consists of selector components.

선택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창에 문자열 또는 작은 도형 또는 그림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형택의 선택자를 단말기의 특수 기능키를 이용하여 선택, 실행, 내용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선택자(menu_item)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elector may b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form of a character string or a small figure or a figure, and the user may select, execute, and change the selector of the type by using a special function key of the terminal.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se selectors (menu_item):

선택자(menu_item) = {name, priority, priority_type, access_no, price, address, function_name, display_type, version, authentification}Selector (menu_item) = {name, priority, priority_type, access_no, price, address, function_name, display_type, version, authentific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선택자(menu_item)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ach component of the selector (menu_item)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선택자 이름(menu_item.name)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선택자가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거나 또는 일부가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는 선택자 이름을 나타낸다."Selector name (menu_item.name) represents a selector name in which a selector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or par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그림 객체 정보(menu_item.icon)"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나열할 때,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거나 또는 일부가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는 그림 객체 정보를 나타낸다."Picture object information (menu_item.icon)" indicates picture obje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or partially or not displayed when listing the selectors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나열 우선 순위(menu_item.priority)"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나열할 때, 선택자의 나열 순서를 나타낸다."Listing priority (menu_item.priority)" indicates a list order of selectors when listing selectors on a display windo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요금 정보(menu_item.price)"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나열할 때,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거나 또는 일부가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는 사용 요금 정보를 나타낸다."Price information (menu_item.price)" indicates usage fee information that is displayed or par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when the selector is list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망 접속 정보(menu_item.access_no)"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선택하였을 때, 자동으로 망에 접속할 수 있는 망 접속 정보를 나타낸다."Network access information (menu_item.access_no)" indicates network access information that can automatically access a network when a selector is select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실행 기능 이름(menu_item.function)"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선택하였을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단말기 내부 기능 이름 또는 모듈 이름 또는 실행 메모리 어드레스 또는 망내에 있는 실행 기능 이름을 나타낸다."Execution function name (menu_item.function)" indicates a terminal internal function name or module name or execution memory address or execution function name in the network which is automatically executed when the selector is select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인증 코드(menu_item.authentification)"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선택하였을 때 또는 망으로부터 선택자를 전송 받을 때, 선택자의 밸리디티를 확인하거나, 확인 결과를 나타내는 인증값을 나타낸다."Authentication code (menu_item.authentification)" indicates an authentication value indicating the validity of the selector or when the selector is select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when the selector is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표시 방식(menu_item.display_type)"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표시하고자 할 때, 문자 또는 숫자형태의 선택자 표시 또는 그림 객체형 선택자 표시 등을 나타낸다."Display type (menu_item.display_type)" indicates a character or numeric type selector display or a picture object type selector display when a selector is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windo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갱신 번호(menu_item.version)"는 망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자의 정보 또는 기능을 갱신, 추가, 삭제하고자 할 때 단말기 또는 망이 선택자의 신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코드를 나타낸다."Update number (menu_item.version)" indicates a code for checking whether the terminal or the network is new or old when the user of the network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ants to update, add or delete information or functions of the selector.

이상에서와 같은 선택자가 단말기의 표시창에 문자열 또는 그림 형태로 도 2a 및 2b에 표시되었다.The selector as described above is displayed in FIGS. 2A and 2B in the form of a character string or a picture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단말기에서의 선택자 표시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단말기 소지자는 좌, 우에 배치된 기능키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능을 선택한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selector display process in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terminal holder selects a required function using function keys arranged at left and right sides.

일반적으로, 단말기 소지자에게 단말기 조작의 편리성을 재고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자 표시 및 실행 기능키(본 실시예에서는 중앙키)를 조작하였을 때, 가장 빈번히 사용하는 기능을 최초 배치하여 좌, 우에 배치된 선택자 선택키의 횟수를 최소화 하도록 한다(우선순위 관리 기능). 또한, 상대적으로 키 조작 횟수가 많은 망 접속 번호 등은 선택자의 구성요소로 등록하여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한다(선택자 구성요소).In general, when the user operates the selector display and execution function keys (center key in this embodiment) to reconsider the convenience of the terminal operation to the terminal holder,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s are first placed and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Minimize the number of selector selection keys (priority management). In addition, a network access number or the like with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key manipulations is registered as a selector component and automatically transmitted (selector component).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사용자 (가)와 사용자 (나) 단말에서의 선택자 표시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자 (가)는 게임방을 주로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를 나타내고, 사용자 (나)는 시계 기능을 주로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a process of displaying a selector in user (a) and user (b) terminals will be described. Here, user (a) represent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mainly using a game room, and user (b) represent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wner mainly using a clock function.

사용자 단말 (가)와 (나)는 하기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 양태에 따라서 우선 순위가 계산되고, 그 배치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창에 선택자가 표시된다.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user terminals (a) and (b) have a priorit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user's use mode, and selector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riority.

예시 1Example 1 예시 2Example 2 00:증권뉴스[200_00: Securities News [200_ 00:국제전화[001_00: International call [001_ 01:전화번호부<201: Phone book <2 01:전화번호부<201: Phone book <2 02:게임방{#01802: Game room {# 018 02:세계시계/타코02: world clock / taco 03:세계시계/타코03: world clock / taco 03:증권뉴스[200_03: Securities News [200_ 04:국제전화[001_04: International call [001_ 04:게임방{#018_04: Game room {# 018_ 05:디지털녹음기05: Digital Recorder 05:디지털녹음기05: Digital Recorder ...... ...... 99:특수기능<599: Special function <5 99:특수기능<599: Special function <5

(표 1)을 참조하면,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는 표시창의 크기 제약으로 선택자 "00", "01"만이 초기에 표시된다.Referring to (Table 1), in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selectors "00" and "01" are initially displayed due to the size constraints of the display window.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증권 정보를 주로 청취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예시 1과 같이 증권뉴스가 "00" 선택자로 표시된다. 이때, 예시 1의 사용자가 다시 음성 증권 정보를 추후 청취하고자 할 때에는, 단말기의 선택버튼을 1회 조작하여 재청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음성 증권 정보 서비스의 접속 번호를 기억하거나, 단말기에 기억시키거나 하는 등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향후 접속 번호가 망 사업자에 의하여 변경되어도 동일한 절차인 선택 버튼을 1회 조작하여 재접속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음성 증권 정보 접속 번호가 사업자에 의하여 변경된 경우 등과 같이 필요시에는 선택자 구성 요소 갱신 기능을 통하여 자동 갱신된다.If the user mainly listens to the voice stock informa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tock news is displayed as a selector as "00" as in Example 1. At this time, when the user of Example 1 wants to listen to the voice stock information later, the user may rehearse by operating the selection button of the terminal once. In this case, the user does not need to store an access number of the voice stock information service or store the access number in the terminal. However, even if the access number is changed by the network operator in the future, the user operates the selection button that is the same procedure once. You can reconnect. At this time, if necessary, such as when the voice securities information access number is changed by the operator, it is automatically updated through the selector component update function.

이처럼 증권뉴스를 주로 많이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표시창이 도 3a에 도시되었다.As such, the display window of the own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mainly uses the securities news is illustrated in FIG. 3A.

한편, 국제전화를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예시 2와 같이 국제전화 "00" 선택자로 표시된다. 동일한 방식이 단말기의 특수 기능, 예를 들면 최근 접속 전화번호 기억 또는 시계 기능 등의 기능을 호출하는데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음성, 데이터, 메세지 망 접속 기능 뿐만아니라 단말기의 단위 기능의 실행에도 동일한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통일된 사용자 접속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user mainly using international calls, as shown in Example 2, the international call "00" selector. The same can be applied to calling a special func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a function such as storing a recently accessed telephone number or a clock function. That is, by applying the same method to the execution of the unit function of the terminal as well as the voice, data, and message network access functions, a unified user access method can be provided.

이처럼 국제전화를 자주 거는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표시창이 도 3b에 도시되었다.As such, a display windo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wner frequently making international calls is illustrated in FIG. 3B.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중 망 접속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Now, the network access procedure of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예를 들면, 노래방 서비스(700-7879)로 연결하기 위한 망 접속 예시를 기존의 방식과 본 발명의 방식을 비교한다. 여기서, 본 절차는 음성망 접속 뿐만아니라 메세지(SMS), 데이터(Packet or Circuit) 망 접속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For example, a network connection example for connecting to the karaoke service 700-7879 is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procedure is similarly applied not only to voice network connection but also to message (SMS) and data (Packet or Circuit) network connection.

노래방에 접속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식은 "<END> + <7007879> + <SEND>"로 총 "1+7+1 = 9"회 키를 입력하여 접속함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노래방 서비스를 최근 사용한 경우에는 "<.> + <.>"로 총 2회 키를 입력하여 접속(동일키의 입력에 주의)하거나, 최근 노래방 서비스를 최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 <.> + <V> + ...<V> + <.>"로 총 수회(여기서, 회수는 최근 사용한 빈도수에 관련되며, 어떠한 경우에도 망 접속 번호인 700-7879을 입력할 필요는 없으며, 선택자를 선택하는 키와 실행하는 키의 입력만이 요구됨) 키를 입력하여 접속한다. 따라서, 망 접속 번호가 바뀌는 경우를 사용자는 숙지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노래방 서비스 번호(망 접속 번호)가 바뀔 경우에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망 접속 정보 갱신/추가/삭제 기능을 이용하여 갱신할 수 있다.In order to access the karaoke, the conventional method inputs a total of " 1 + 7 + 1 = 9 " times with " &lt; &lt; END &gt; + &lt; 7007879 &gt; &lt; SEND &gt; In case of recent use, enter the key twice in total with "<.> + <.>" (Note the same key input), or "<.> + <V> when the karaoke service has not been used recently. + ... <V> + <.> ", Where the number of times is related to the frequency of recently used, and in no case need to enter the network access number 700-7879, Only input of the key to execute is required.) Therefore, the user does not need to know when the network access number changes. In addition, when the karaoke service number (network access number) is changed, it can be updated using the network access information update / add / delete function automatically or manually.

선택자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select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선택자 표시 과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나열할 때,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기간 동안 선택자를 선택한 횟수, 또는 선택자를 선택한 시기, 또는 선택자의 선택한 경과시간에 가중치를 두어 그 나열 순서를 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방식외에도 사용자가 선택자를 선택한 다양한 이력을 바탕으로 나열 순서를 배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여기서, 선택자 표시 방식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두는 조건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나열할 때, 특정 기간내에 자주 선택된 선택자을 우선 순서에, 또는 최근에 선택될수록 나열 순서를 우선으로 할 수 있다.When selecting a selector on a display windo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lector display process determines the order in which the terminal user selects the selector for a specific time period, or when the selector is selected, or by weighting the selected elapsed time of the selector. have. Of course, in addition to this method, it is obvious that the user can arrange the list order based on various histories of selecting a selector. Here, in the selector display method, as a priority, when selecting selectors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lectors frequently selected within a specific period may be given priority or the order of selection is given more recently. .

또한, 선택자 표시 방식에 있어서, 우선순위 방식과 고정순위 방식을 혼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창에 선택자를 나열할 때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자를 선택한 횟수, 또는 선택자를 선택한 시기, 또는 선택자의 선택 경과 시간 등에 가중치를 두어 그 나열 순서를 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isplay method of the selector, a priority method and a fixed priority method may be used,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a terminal user selects a selector when the selector is listed in an information windo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when the selector is selected, or a selection. The order of listing can be determined by weighting the selected elapsed time of the child.

또한, 선택자 표시 방식에 있어서, 망 접속 유무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창에 선택자를 나열할 때, 선택자가 활성화되면 망 접속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lector display metho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network connection may be displayed. When listing the selectors in the information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lector may display a letter or a symbol indicating the necessity of the network connection.

또한, 선택자 표시 방식에 있어서, 중복 선택자를 삭제할 수 있는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창에 선택자를 나열하거나 선택자를 추가할 때, 선택자 이름, 또는 선택자 망접속 번호, 또는 선택자 갱신 번호, 또는 선택자 인증 코드 등을 이용하여 중복 선택자를 표시하지 아니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lector display method, duplicate selectors may be deleted. When selecting or adding selectors to an information window of a mobile terminal, the selector name, selector network access number, selector update number, or selector authentication code Duplicate selectors can not be displayed or deleted using

또한, 선택자 표시 방식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창에 선택자 또는 선택자의 요소를 표시할 때, 유한한 단말기 표시창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적절히 선택된 일부 또는 전부의 선택자 군을 자동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elector display method, when displaying the selector or the element of the selector in the information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art or all of the appropriately selected group of selectors are automatically flow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finite terminal display window. Can be adjusted.

또한, 선택자 표시 방식에 있어서, 흐름 선택자 원 터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의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의 그룹, 또는 선택자, 또는 선택자의 구성요소를 상기의 흐름 기능으로 표시하고, 단말기상의 특수 버튼, 또는 임의의 버튼, 또는 음성 등의 적당한 방법으로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된 선택자 또는 선택자의 구성요소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lector display method, the flow selector one-touch function may be activated. In order to activate the above function, a group of selectors, a selector, or a component of the selector is displayed as the flow function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The selector or the component of the selector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can be activated by a suitable method such as a special button on the terminal, an arbitrary button, or a voice.

또한, 선택자 표시 방식에 있어서, 흐름시에 원터치 정보의 전송이 가능한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창에 상기의 흐름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망으로부터 상업적 정보(즉, 광고)를 제공/표시할 때, 또는 원터치 활성화될 때, 단말기의 속성 정보, 인지 시작 정보, 표현 내용 정보 등 포함하여 인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lector display method, one-touch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during flow, which is used to provide / display commercial information (ie, advertisement)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or one-touch using the flow method in the information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ctivated, an acknowledgment message may be transmitted includ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cognition start information, expression content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선택자 표시 방식에 있어서, 망 접속 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나열할 때, 선택자에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거나, 또는 일부가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는 망 접속 정보(즉, 전화번호 또는 부호, 메시지 통신 접속 부호, 무선통신 접속 번호 또는 부호 등)를 논리적으로 결합하여 망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lector display method, a network access number may be used. When the selector is list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lecto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or may be partially displayed or not displayed. Information (ie, telephone number or code, message communication access cod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number or code, etc.) can be logically combined to facilitate network access.

또한, 선택자 표시 방식에 있어서, 요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나열할 때, 선택자에 사용 요금 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하거나 또는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lector display method, fe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When the selector is list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e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elector or may be partially displaye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된 선택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 process of managing information of the selector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선택자의 정보 관리 방식에 있어서, 온 라인 갱신이 가능한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선택자를 나열할 때, 그 선택자의 구성요소값을 적절한 방식을 통하여 온 라인으로 갱신하거나, 또는 단말기 시도 갱신을 요구하거나, 또는 망 시도 갱신을 요구할 수 있다.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selector, an online update is possible. When the selector is list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mponent value of the selector is updated online through an appropriate method or the terminal attempt update is requested. Or a network attempt update.

또한, 선택자의 정보 관리 방식에 있어서, 온 라인 갱신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는데, 이는 선택자의 구성요소값을 적절한 방식을 통하여 온 라인으로 갱신하거나, 또는 단말기 시도 갱신을 요구하거나, 또는 망 시도 갱신을 할 때, 갱신의 요구 판단을 선택자의 구성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scheme of the select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an online update, which is to update the selector's component values online through an appropriate method, request a terminal attempt update, or perform a network attempt update. In doing so, determination of the request for updating may be performed using all or part of the component of the selector.

또한, 선택자의 정보 관리 방식에 있어서, 온 라인 갱신/추가에 대해 인증할 수 있는데, 이는 선택자의 구성요소값을 적절한 방식을 통하여 갱신하거나 추가하고자 할 때, 선택자의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 단말기의 기기 일련번호 (ESN) 또는 가입자 번호를 이용하여 선택자의 갱신 또는 추가를 허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lector's information management scheme,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for online update / addition, which means that all or part of the selector's components, when attempting to update or add the selector's component values in an appropriate manner, or The device serial number (ESN) or subscriber number of the terminal may be used to allow the update or addition of the selector.

선택자의 정보 관리 방식에 있어서, 온라인 갱신/추가(즉, 선택자의 구성요소값 또는 선택자 그 자체를 갱신 또는 추가)하고자 할 때, 그 정보 매체로서, 이중음다주파(DTMF : 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 또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ivce) 또는 무선데이터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scheme of the selector, when an online update / addition (i.e., update or add a component value of the selector or the selector itself) is performed, a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signal is used as the information medium. Alternatively,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ay be used.

이상에서와 같은 선택자의 구성요소 또는 기능으로서, 단말기는 음성 또는 메시지망 또는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거나, 또는 단말기의 특정 내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자의 기능에 있어서, 선택자 사용 빈도/시점 정보의 전송이 가능한데, 이는 단말기로부터 선택자가 사용되는 빈도 또는 사용 시점 정보 등의 사용 정보를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기능이다. 또한, 선택자의 기능에 있어서, 단말기 원격 고장 진단 및 기능 갱신이 가능한데, 이는 망으로부터의 원격 진단 기능 및 운용 정보 전송 기능이다.As a component or function of the selector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may access a voice or message network or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perform a specific internal func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in the function of the selector, it is possible to transmit selector use frequency / time information, which is a function of transmitting use information such as frequency or us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selector is used from the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in the function of the selector, terminal remote fault diagnosis and function update are possible, which is a remote diagnosis func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from a network.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난해한 망접속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처리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ocess difficult network access information by using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asily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빠르게 사용자 정보에 접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사용자 정보를 원격으로 유지 관리하는 방식을 가정하였으나, 일반 통신시스템의 유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보아야 함은 자명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information is efficiently display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access the user information to easily obtain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and remotely maintain the user information. Although the method is assume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ired terminal of the general communication system may be partially changed to achieve the same effec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in this case, i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same as the present embodim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소형 표시창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을 통하여, 통신 사업자로 하여금 수백만 단말기를 정보 표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아니라, 단말기 소유자가 소형의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인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nables a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o utilize millions of terminals as information display means through an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ing a small display window, but also provides information through a terminal that is a small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망접속 정보 원격 갱신 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통신 사업자로 하여금 통신망과 연동되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의 망 접속 정보를 통신 사용자가 일일이 기억하여야 하는 숫자의 군으로 이루어진 망접속번호 대신에, 서비스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망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 교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erminal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remote update add function, a network connection consisting of a group of numbers that a communication user must memorize the network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at provides the communication service in conjunction with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by the communication provider Instead of the number, the service name can be used to more efficientl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exchange.

또한, 본 발명은 원격 기능 갱신 및 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망 접속 기능 수명을 통신망을 이용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연장시켜, 이에 따른 자원 낭비를 막고, 통신서비스 사업자에게 가입자 단말의 원격 유지 보수 기능을 제공하여 보다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emote function update and additional functions, by extending the life of the network connec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in the software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avoiding the waste of resources, and provides the service provider with a remote maintenance function of the subscriber terminal By providing a more satisfactory service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통신서비스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망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자 할 때, 망 접속 정보 관리 및 사용자 접속을 용이하게 할 뿐만아니라, 이에 따라 사용자 상호간 또는 사용자와 망과 연동된 정보 서버와의 정보 교류를 원활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통신망을 통한 정보 교류를 극대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경쟁력 재고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facilitates network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and user access when a communication service user wants to acquire information from a network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fore, an information server interworking with each other or with a user and the network. By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ultimately maximizing the information exchang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and achieving competitive inventories.

Claims (3)

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정보 표시 관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management method in a terminal applied to a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단말기의 화면표시수단에 표시되는 사용자 정보에 우선순위를 두어 상기 사용자 정보를 우선순위별로 상기 화면표시수단에 표시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표시 관리 방법.And giving priority to use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means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means by priority. 통신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정보 접속 관리 방법에 있어서,A user information access management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통신 사용자가 일일이 기억하여야 하는 숫자의 군으로 이루어진 망접속번호(서비스번호)대신에, 서비스명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정보에 접속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접속 관리 방법.A user information access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communication user manages a user to access desired user information by using a service name instead of a network access number (service number) consisting of a group of numbers to be memorized. 통신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정보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remote management method of user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원격으로 사용자 정보를 갱신, 추가, 삭제하여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원격 관리 방법.A method of remotely managing user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managing to update, add, and delete user information remotely.
KR1019990014410A 1999-04-22 1999-04-22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1007090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410A KR100709098B1 (en) 1999-04-22 1999-04-22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410A KR100709098B1 (en) 1999-04-22 1999-04-22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967A true KR20000066967A (en) 2000-11-15
KR100709098B1 KR100709098B1 (en) 2007-04-19

Family

ID=1958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410A KR100709098B1 (en) 1999-04-22 1999-04-22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0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169B1 (en) 2016-03-14 2016-09-06 주식회사 세진에너지 A EMI Hot Wi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490B1 (en) * 1996-07-03 1999-06-15 양승택 Object medel for cellular paging short message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098B1 (en)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8523B2 (en) Bookmark list display method and mobile phone
EP1581016A2 (en) A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for accessing internet
US8620274B2 (en) Serv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updating method in the same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0174894A (en) Portable telephone set
CN1319403C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KR20000066967A (en) Method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100644333B1 (en) Implementation method for the shortest access way to value added service in mobile device
JP2004023414A (en) Telephone directory management system, telephone directory management service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telephone directory managing method
KR100860227B1 (en) the method of wireless schedule management
JPH10190843A (en) Call originating display system, exchange for the system, telephone line management center and storage medium.
TW451574B (en) Method of accessing the menu of the base station of a wireless telephone from a handset of said telephone, with selection of the access language
JP2003188946A (en) Cellular phone terminal and its function setting method
JP2002252695A (en) Portable phone system, portable phone set and program
KR100530650B1 (en) Method for the four arithmetical operations used navigation key in mobile telephone
KR20030040948A (en) Bookmark system and method thereof in a mobile phone
JP3686864B2 (en) Mobile radio terminal
JP3913566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H11191816A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JP4372456B2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10011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of mobile phone using internet
JP4864989B2 (en) Communication device
JP2002027121A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by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3073406U (en) Registered phone number storage system
JP4134483B2 (en)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