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5451A - 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 - Google Patents

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5451A
KR20000065451A KR1019990011752A KR19990011752A KR20000065451A KR 20000065451 A KR20000065451 A KR 20000065451A KR 1019990011752 A KR1019990011752 A KR 1019990011752A KR 19990011752 A KR19990011752 A KR 19990011752A KR 20000065451 A KR20000065451 A KR 20000065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inger
holder
couple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43384B1 (en
Inventor
김진배
Original Assignee
김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배 filed Critical 김진배
Priority to KR101999001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384B1/en
Publication of KR2000006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4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38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0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4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7/00Handling devices, e.g. for feeding, aligning, discharging, Cutting-off means; Arrange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PURPOSE: A transfer device of a molded material is provided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a product. CONSTITUTION: A holder(13) reaches a position of a die hole(205) of a second die(205). The retreat action of a punch holder is finished. At the same time, a new molded material is supplied in front of the die hole of a first die(204) by a cutting/transferring device. Upon the ascending action of a lift rod(6) and the holder(13), a holding state of a firstly molded material(210) and a newly supplied/molded material(210') is released. The punch holder forwards toward the die holder. First and second punches insert the molded materials(210',210) in the die hole. Further, the punches mold some of a head in the molded material(210') and the entire head in the molded material(210).

Description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Feeding device of object for beading machine {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

본 발명은 나사, 볼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구를 제조함에 있어서 특히 그 머리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해딩머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1차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ing machine for forming the head portion, in particular in the manufacture of fasteners such as screws, bolts, rivets, etc. More specifically, the heading for transferring the first molded object to the secondary molding position A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for a machine.

나사나 볼트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구의 머리부를 성형함에 있어서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분의 일부를 1차 성형공정에 의해 형성하고 다시 남은 부분을 2차 성형공정에 의해 형성하며, 이러한 성형공정은 성형하고자 하는 머리부의 크기에 따라서 그 회수를 가감하여 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여러 회의 성형공정에 의해 머리부를 성형하는 것은 1회의 공정에 의해 머리부를 성형할 경우에는 큰 힘이 요구되어 해딩머신의 대형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성형되는 피성형물의 금속조직이 파괴되어 체결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에 기인한다.In molding the head of a fastener such as a screw, a bolt or a rivet, a part of the head is formed by the primary molding process as shown in FIG. 23, and the remaining part is formed by the secondary molding process. The number of times is reduc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ead to be molded. In this way, shaping the head part by several molding processes requires a large force when shaping the head part by one step,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heading machine, and destruction of the metal structure of the formed molding. This is due to the loss of function as a.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 피성형물에 머리부분을 직접 성형하는 부분과 관련된구성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행정를 수평 이동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펀치홀더(100)의 측부에 1차 성형용의 제1펀치(101)가 펀치홀더(100)쪽으로 약간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펀치(101)의 하부에는 2차 성형용의 제2펀치(1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홀더(100)와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다이(104)를 고정하고 있는 다이홀더(103)가 고정되어 있다.In the conventional heading machine,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art directly forming the head part to be formed is for primary molding on the side of the punch holder 100 which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while moving a predetermined stroke as shown in FIG. The first punch 101 is installed to be slightly elastically compressed toward the punch holder 100. The second punch 102 for secondary molding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unch 101, and the die holder is fixed to the die 104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punch holder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03 is fixed.

상기와 같은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 피성형물에 머리부분을 성형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In the conventional head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molding the head portion to be formed is as follows.

먼저 절단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 길이의 피성형물이 다이구멍(105)의 위치에 이르면 피성형물의 홀딩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펀치홀더(100)가 다이홀더(1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24에서와 같이 제1펀치(101)가 피성형물(110)을 다이구멍(105)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피성형물(110)에 형성하고자 하는 머리형상의 일부를 성형한다. 그리고 이와같은 1차 성형공정이 완료되면 펀치홀더(100)는 원래의 위치로 후퇴한 후 다시 전진하면서 상승하는 것에 의해 제2펀치(102)와 피성형물(110)의 축중심이 일치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펀치(102)가 다시 피성형물(110)을 타격하는 것에 의해 머리부의 성형을 완료하는 것이며 이렇게 머리부의 성형이 완료되면 배출핀(106)에 의해 피성형물은 다이구멍(105)으로 부터 배출된다.First, when the workpiece of a predetermined length reaches the position of the die hole 105 by the cutting transfer means (not shown), the holding state of the molded object is released and the punch holder 100 advances toward the die holder 103. As shown in FIG. 24, the first punch 101 inserts the object 110 into the die hole 105 and simultaneously strikes a part of the head shape to be formed in the object 110. When the primary molding process is completed, the punch holder 100 is retract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n moved forward while being raised agai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punch 102 and the molded object 110 is coincident. As shown in FIG. 25, the second punch 102 completes the molding of the head by hitting the object 110 again. When the molding of the head is completed, the molded object is discharged by the discharge pin 106. Is discharged from the die hole 105.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펀치(101,102)와 함께 펀치홀더(100)가 2회 왕복하는 동작에 의해 원하는 품질의 1개의 제품을 얻는 것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제1펀치(101)에 의한 성형과 제2펀치(102)에 의한 성형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각각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종래의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펀치홀더(100)의 1회 전진(1회 왕복)에 의해 1개의 제품을 얻을 수 없고 2회 왕복하는 동작마다 1개의 제품을 얻는 것이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닌 것이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head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problem in obtaining one product of a desired quality by an operation in which the punch holder 100 reciprocates twice with the punches 101 and 102. However, in the conventional heading machine, the molding operation by the first punch 101 and the molding operation by the second punch 102 are not performed at the same time, respectively. That is, in the conventional heading machine, one product cannot be obtained by one advance (one reciprocation) of the punch holder 100, and one product is obtained every two reciprocating operations. It is no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1차 성형용의 제1다이에서 성형 완료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용의 제2다이로 이송하고 또 이와 동시에 제1다이에는 새로운 피성형물을 공급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 1펀치와 제2펀치에 의한 성형공정을 동시에 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molded object from the first die for primary molding to the second die for secondary molding, and at the same time supplies the new molded object to the first di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lding material transfer device for a heading machine that can double the productivity of a product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a molding process by a first punch and a second punch in a state where it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수단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holding means is raised in a molded object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확대단면도FIG. 2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b-b선 확대단면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b-b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수단에 있어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상태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means is lowered in the molded object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이 설치된 해딩머신에서 제 1다이스로 피성형물이 공급되어 1차 성형되는 상태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molded object is firstly molded and supplied to a first dice in a heading machin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6은 도 5의 c-c선에 있어 제 1다이스에서 피성형물이 1차 성형된 상태의 확대단면도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molded object in a first dice in the c-c line of FIG. 5; FIG.

도 7은 제 1다이쪽으로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means rises toward the first die;

도 8은 제 1다이에서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을 홀딩수단이 홀딩한 상태의 정면도8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means holds the molded object formed in the first die;

도 9는 제 2다이쪽으로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상태의 정면도9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means descends toward the second die;

도 10은 제 1, 2다이로 피성형물이 공급되어 성형된 상태의 정면도10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molded object is supplied and molded to the first and second dies;

도 11은 도 10의 d-d선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0.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12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holding means is raised in the molded object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e-e선 확대단면도FIG. 1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in FIG.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의 f-f선 확대단면도14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in FIG.

도 15는 도 12에 있어서의 g-g선 확대단면도FIG. 15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line g-g in FIG.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16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holding means is raised in the molded object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이 설치된 해딩머신에서 제 1다이스로 피성형물이 공급되어 1차 성형되는 상태의 정면도17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molded object is firstly supplied to a first dice in a heading machin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8은 제 1다이쪽으로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18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means rises toward the first die;

도 19는 제 1다이에서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을 홀딩수단이 홀딩한 상태의 정면도19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means holds the molded object formed in the first die;

도 20은 도 19의 h-h선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2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of FIG. 19.

도 21은 제 2다이쪽으로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상태의 정면도21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means descends toward the second die;

도 22는 제 1, 2다이로 피성형물이 공급되어 성형된 상태의 정면도Fig. 22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molded object is supplied and molded by the first and second dies;

도 23은 피성형물의 머리부분을 성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2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tep of forming a head of a molded object;

도 24는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 피성형물을 1차 성형하는 상태의 요부단면도2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 state in which a molded object is first molded in a conventional heading machine;

도 25는 종래 해딩머신에 있어 피성형물을 2차 성형하는 상태의 요부단면도2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 state of secondary molding of a molded object in a conventional heading machine;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ode explanation for main part of drawing

1. 머신바디 2. 구동축1. Machine body 2. Drive shaft

3,4,5. 제 1,2,3 캠 6. 승강로드3,4,5. 1, 2, 3 cam 6. Lifting rod

7. 승강작동수단 8. 승강작동레버7. Lifting operation means 8. Lifting operation lever

13. 홀딩수단 15. 하부핑거레버13. Holding means 15. Lower finger lever

16. 상부핑거레버 18,18'. 핑거16. Upper finger lever 18,18 '. Finger

17. 중심핀 19. 스프링17. Center pin 19. Spring

20. 홀딩작동수단 21. 푸싱핀작동레버20. Holding operating means 21. Pushing pin operating lever

30. 제 4캠 31. 가이드부싱30. 4 Cam 31. Guide Bushing

32. 회동링크 33. 홀딩수단32. Rotating link 33. Holding means

34. 레버홀더 38. 하부핑거레버34. Lever holder 38. Lower finger lever

39. 상부핑거레버 40. 중심핀39. Upper finger lever 40. Center pin

42. 인장스프링 45. 피성형물스토핑수단42. Tension springs 45. Molded product stoppers

46. 로드작동레버 48. 스토핑암46. Rod operating lever 48. Stopping arm

49.연결로드 MD,MD'. 피성형물 이송장치49. Connecting rod MD, MD '. Form transfer device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수단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 확대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holding means is raised in a molded object transferring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respectively.

지시부호 1은 머신바디이며, 지시부호 2는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이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machine body, and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drive shaft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chine body 1 and driven by a motor (not shown).

상기의 구동축(2)에는 뒤에 설명하는 승강작동수단(7)과 홀딩작동수단(13)을 구동하기 위한 제 1,2,3캠(3,4,5)이 구비되어 있다.The drive shaft 2 is provided with first, second and third cams 3, 4 and 5 for driving the elevating operation means 7 and the holding operating means 13 described later.

지시부호 6은 머신바디(1)에 설치되는 자동조심베어링(6a)에 결합되어 승강 작동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만큼 요동 가능한 승강로드이다.Reference numeral 6 is a lifting rod coupled to the self-aligning bearing 6a installed in the machine body 1 and capable of swinging by a predetermined angle simultaneously with the lifting operation.

상기 승강로드(6)는 승강작동수단(7)의해 소정의 행정 범위 내에서 승강작동하는 것이며 승강작동수단(7)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elevating rod 6 is the elevating operation within the predetermined stroke range by the elevating operation means 7 and the structure of the elevating operation means 7 is as follows.

지시부호 8은 ┤형상으로 된 승강작동레버이다. 이 승강작동레버(8)는 그 중앙부는 중심축(9)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쪽에 결합된 롤러(8a)가 상기 제 1캠(3)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음과 함께 그 측방향 선단부는 상기 승강로드(6)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8 is an elliptical actuating lever. The lifting lever 8 is pivotally coupled to a central axis 9 of which a roller 8a coupled to an upper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m 3 and is laterall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m 3. The distal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rod 6.

지시부호 10은 ┌ 형상으로 된 밸런스레버이다. 이 밸런스레버(10)는 그 중앙부는 상기 중심축(9)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부 측방향측 선단부에 결합된 롤러(10a)가 상기 제 2캠(4)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0 is a balance lever in the shape of a fin. The center of the balance lever 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9, and a roller 10a coupled to the upper lateral side front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m 4.

상기 승강작동레버(8)의 하단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리미트플레이트(11)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이 리미트플레이트(11)의 타단부는 밸런스레버(10)쪽으로 신장되어 있고 리미트플레이트(11)와 밸런스레버(10) 사이에는 밸런스스프링(12)이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리미트플레이트(11)와 밸런스레버(10)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력을 부여 받는 것에 의해 상기 롤러(8a,9a)는 항상 제 1,2캠(3,4)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One end of the limit plate 11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operation lever 8, and the other end of the limit plate 11 extends toward the balance lever 10, and the limit plate ( A balance spring 12 is inserted between 11) and the balance lever 10. In this configuration, the limit plate 11 and the balance lever 10 are provided with rotational force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o that the rollers 8a and 9a are always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ams 3 and 4. Elastic contac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 제 1,2캠(3,4)의 형상은 제 1,2캠(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할 수 있고 또 이러한 작동에 있어 항상 밸런스스프링(11)이 일정한 압착력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결정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cams 3 and 4 is such that the lifting lever 8 and the balance lever 10 have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ms 3 and 4. It can be repeatedly rotated within a range, and in such an operation, it is always determined that the balance spring 11 is given a constant pressing force.

상기와 같은 승강작동수단(7)의 구성에 의해 제 1캠(3)이 제 2캠(4)과 함께 회전하면 승강작동레버(8)가 소정의 각도 내에서 반복 회동하며 이러한 승강작동레버(8)의 작동에 의해 승강로드(6)는 소정의 행정 범위 내에서 승강작동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에 있어서 밸런스스프링(11)이 항상 일정한 압착력을 부여받고 이 밸런스스프링(11)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롤러(8a,9a)가 항상 제 1,2캠(3,4)의 외면에 동일한 압찹력으로 접촉됨으로 상기 제 1,2캠(3,4)이 고속으로 회전한다 하여도 제 1,2캠(3,4)에 의해 작동되는 각 작동부는 진동 없이 원활하게 작동된다.When the first cam 3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cam 4 by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ing operation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ng operating lever 8 rotates repeatedly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elevating operating lever ( By the operation of 8), the lifting rod 6 is configured to repeat the lifting operation within a predetermined stroke range. In this operation, the balance spring 11 is always given a constant pressing force, and the rollers 8a, 9a are always the sam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ams 3, 4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balance spring 11. Even though the first and second cams 3 and 4 rotate at high speed due to the contact force, the respective operation units op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cams 3 and 4 operate smoothly without vibration.

상기 승강로드(6)의 상부에는 피성형물을 직접 홀딩하거나 홀딩해제하기 위한 홀딩수단(13)이 설치며 이 홀딩수단(13)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rod 6, holding means 13 for directly holding or releasing the object to be formed are installed, and the holding means 13 is configured as follows.

승강로드(6)의 상단부에는 레버홀더(14)가 결합되어 있다. 이 레버홀더(14)에는 상부에 산부(15a)가 형성된 하부핑거레버(15)가 상하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길이방향 중앙부가 중심핀(15b)에 의해 레버홀더(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핑거레버(15)의 하측 선단부에는 롤러(15c)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에 개방형의 장공(16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핑거레버(16)가 상기 하부핑거레버(15)와 대각선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부핑거레버(16)의 상단부는 상기 레버홀더(14)에 중심핀(16b)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lever holder 14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rod 6. In the lever holder 14, a lower finger lever 15 having a peak portion 15a formed on the upper portion is inclined up and down, and its longitudinal center portion is rotatable to the lever holder 14 by a center pin 15b. The roller 15c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finger lever 15. In addition, the upper finger lever 16 having an open long hole 16a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disposed to overlap the lower finger lever 15 in a diagon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finger lever 16 has the lever holder. The center pin 16b is rotatably coupled to 14.

상기와 같은 상.하부핑거레버(16,15)는 중심핀(17)이 하부핑거레버(15)의 산부(15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상부핑거레버(16)의 장공(1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The upper and lower finger levers 16 and 15 as described above have the center pin 17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portion 15a of the lower finger lever 15 and the long hole 16a of the upper finger lever 16. It is mutually coupled by being slidably coupled to.

상기 하부핑거레버(15)의 상단부와 상부핑거레버(16)의 하단부에는 핑거(18,18')의 일측 선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중심핀(17)은 스프링(19)에 의해 핑거(18,18')쪽으로의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다.One end of the finger 18, 18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finger lever 15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nger lever 16, and the center pin 17 is finger 18 by a spring 19. , 18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중심핀(17)이 스프링(19)에 의해 핑거(18,18')쪽으로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으므로 상부핑거레버(16)는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하부핑거레버(15)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부여받는 것에 의해 핑거(18,18') 상호는 고정단쪽과 반대되는쪽의 선단이 항상 근접된 대향상태 즉 홀딩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는 것이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center pin 17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toward the fingers 18 and 18 'by the spring 19, the upper finger lever 16 is clockwise and the lower finger lever 15 is half. By being given the rotational forc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fingers 18 and 18 'are mutually given the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opposite state, that is, the holding state, in which the tip opposite to the fixed end is always close.

상기와 같은 홀딩수단(13)은 홀딩작동수단(20)에 의해 홀딩상태 또는 홀딩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며 홀딩작동수단(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holding means 13 as described above is switched to a holding state or a holding release state by the holding operation means 2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ing operation means 20 is as follows.

지시부호 21은└ 형상으로 된 푸싱핀작동레버이다. 이 푸싱핀작동레버(21)는 그 중앙부는 중심축(2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측에 결합된 롤러(21b)가 상기 제 3캠(5)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또 푸싱핀작동레버(21)의 상단측에는 서부푸싱핀(22)이 고정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21 is a pushing pin actuating lever in a shape. In this pushing pin actuating lever 21,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21a, and a roller 21b coupled to the lower end side thereof is slidabl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cam 5. . The western pushing pin 22 is fix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pushing pin actuating lever 21.

지시부호 23은 머신바디(1)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스프링(24)에 의해 서부푸싱핀(22)쪽으로 탄성력을 부여받아 그 길이방향의 일측 선단부가 항상 상기 서부푸싱핀(22)에 접촉되어 있는 푸싱핀이다. 이 푸싱핀(23)의 길이방향의 타측 선단부는 상기 홀딩수단(13)쪽 가까이로 신장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23 is installed on the machine body 1 so as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western pushing pin 22 by a spring 24 so that one end portion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lways the western pushing pin. It is a pushing pin in contact with (22). The other end of the pushing pin 2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s toward the holding means 13.

지시부호 25는 상측 선단부는 홀딩수단(13) 상측의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하단부 가까이의 일측 면은 상기 푸싱핀(23)의 선단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부여받고 반대쪽 면은 상기 하부핑거레버(15)의 하단부에 결합된 롤러(15c)에 근접되게 대향하고 있는 푸싱레버이다.The reference numeral 25 indicates that the upper end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chine body 1 above the holding means 13, and one side near the lower end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to always contact the tip of the pushing pin 23, and the opposite side thereof. Is a pushing lever facing close to the roller 15c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finger lever 15.

상기와 같은 홀딩작동수단(20)의 구성에 있어 푸싱핀작동레버(2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3캠(5)의 형상은 제 3캠(5)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푸싱핀작동레버(21)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할 수 있고 또 이러한 작동에 있어 승강로드(6)와 함께 홀딩수단(13)이 상승하는 동작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푸싱핀작동레버(21)가 상기 푸싱핀(23)을 밀어 푸싱레버(25)가 하부핑거레버(15)의 하단부에 결합된 롤러(15b)를 미는 것에 의해 핑거(18,18')의 홀딩해제상태가 유지되고 또 승강로드(6)와 함께 홀딩수단(13)이 하강하는 동작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푸싱핀(23)이 후퇴하여 상기 중심핀(17)이 스프링(19)의 탄발력에 의해 핑거(18,18')쪽으로 이동함으로서 핑거(18,18')의 홀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ing operating means 20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third cam 5 for operating the pushing pin operating lever 21 is the pushing pin operating lever 21 by the rotation of the third cam 5. ) Can be repeatedly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the pushing pin operating lever 21 is pushed by the pushing pin operating lever 21 as shown in FIG. 1 in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holding means 13 together with the lifting rod 6 in this operation. By holding the pin 23 and pushing the roller 15b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finger lever 15 by the pushing lever 25, the holding state of the fingers 18 and 18 'is maintained and the lifting rod 6 In the operation in which the holding means 13 descends together, as shown in FIG. 4, the pushing pin 23 is retracted so that the center pin 17 is driven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s 19. By moving toward the side, it is determined that the holding state of the fingers 18, 18 'can be maintain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피성형물 이송장치(MD)를 적용하는 해딩머신은 도 6에서와 같이 펀치홀더(200)의 측부에 1차 성형용의 제1펀치(201)와 2차 성형용의 제2펀치(202)가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펀치홀더(200)는 소정의 행정 범위 내에서 종래와 같이 반복되는 수평운동은 하나 승강운동은 요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heading machine to which the molded object transport device M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a first punch 201 for primary molding and a second molding for side molding of the punch holder 200, as shown in FIG. Two punches 202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p and down. And the punch holder 200 is a horizontal movement repeated as in the conventional within a predetermined stroke range, but does not require a lifting movement.

또한 상기 펀치홀더(200)와 소정의 거리만큼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위치에는 다이홀더(203)가 고정되며 이 다이홀더(203)에는 상기 제1,2펀치(201,202)와 각각 동일한 축중심을 갖는 1차 성형용의 제1다이(204)와 2차 성형용의 제2다이(205)가 고정된다.In addition, the die holder 203 is fixed at a position spaced horizontally from the punch holder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die holder 203 has the same center of gravity as the first and second punches 201 and 202, respectively. The first die 204 for primary molding and the second die 205 for secondary molding are fixed.

그리고 본발명의 피성형물 이송장치(MD)는 핑거(18,18')의 선단부가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각각 상기 제1,2다이(204,205)의 다이구멍(204',205') 앞쪽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ransfer device MD has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fingers 18 and 18 'in front of the die holes 204' and 205 'of the first and second dies 204 and 205, respectively. It is installed to be loca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해딩머신에 의해 피성형물에 머리부를 성형하는 작동은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molding the head part to be formed by a head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절단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 길이의 피성형물이 제1다이(204)의 다이구멍(204') 위치에 이르면 절단이송수단에 의한 피성형물(210)의 홀딩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펀치홀더(200)가 다이홀더(2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5 및 6에서와 같이 제1펀치(201)가 피성형물(210)을 다이구멍(204')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피성형물(210)에 형성하고자 하는 머리부의 일부를 성형한다.First, when the shaped object of the predetermined length reaches the position of the die hole 204 'of the first die 204 by the cutting conveying means (not shown), the holding state of the shaped object 210 by the cutting conveying means is released. As the punch holder 200 advances toward the die holder 203, the first punch 201 inserts the object 210 into the die hole 204 ′ and simultaneously strikes the object as shown in FIGS. 5 and 6. A part of the head to be formed at 210 is mold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1차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 홀딩수단(13)은 도 7에서와 같이 승강로드(6)의 상승동작에 의해 상승하여 제1다이(204)쪽으로 이동하며 1차 성형이 완료된 후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이 시작되면 이와 동시에 배출핀(206)에 의해 피성형물(210)이 다이구멍(204')에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홀딩수단(13)의 핑거(18,18')는 도 8에서와 같이 배출되는 피성형물(210)을 홀딩한다.While the primary molding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holding means 13 is lifted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rod 6 to move toward the first die 204 as shown in FIG. 7, and the punch holder after the primary molding is completed. At the same time as the retraction operation of the 200 starts, the molded object 210 is discharged from the die hole 204 'by the discharge pin 206 and the fingers 18 and 18' of the holding means 13 As shown in 8, the discharged object 210 is held.

상기와 같이 핑거(18,18')가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하는 시점은 홀딩수단(13)의 상승동작 완료 후 하강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이며 이와 같이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한 홀딩수단(13)의 핑거(18,18')는 도 9에서와 같이 제2다이(205)쪽으로 하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int at which the fingers 18 and 18 'hold the first molded object 210 is a point at which the lowering operation is started after the ascending operation of the holding means 13 is completed. Fingers 18 and 18 'of holding means 13 holding 210 are lowered toward second die 205 as shown in FIG.

홀딩수단(13)이 하사점, 즉 제2다이(205)의 다이구멍(205) 위치에 이르면 상기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은 완료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제1다이(204)의 다이구멍(204') 앞에는 앞에서와 같이 절단이송수단에 의해 새로운 피성형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드(6) 및 홀딩수단(13)의 상승동작의 시작과 동시에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과 새로 공급된 피성형물(210')의 홀딩상태가 해제되면 이와동시에 펀치홀더(200)가 다이홀더(2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10및 도 11에서와 같이 제1,2펀치(201,202)가 새로 공급된 피성형물(210')과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다이구멍(204',205')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상기 피성형물 210'에는 머리부의 일부분을 그리고 피성형물 210에는 머리부의 전체를 성형한다.When the holding means 13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i.e., the position of the die hole 205 of the second die 205, the retraction operation of the punch holder 200 is completed and at the same time, the die hole of the first die 204 In front of 204 ', a new molding is supplied by the cutting transfer means as before. At the same time as the start of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rod 6 and the holding means 13, when the holding state of the primary molded object 210 and the newly supplied object 210 'is released, the punch holder ( As the 200 advances toward the die holder 203, the first and second punches 201 and 202 newly supplied the molded object 210 'and the primary molded object 210 are die-holes, as shown in FIGS. 10 and 11. And inserting into 204 'and 205' and striking at the same time to form a part of the head in the object 210 'and a whole of the head in the object 210.

상기와 같이 성형이 완료되면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이 시작되며 이와 동시에 배출핀(206,260')에 의해 피성형물(210',210)이 다이구멍(204',205')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은 앞에서 같은 작동에 의해 제2다이(205)쪽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작동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피성형물의 머리부 성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When the mold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retraction operation of the punch holder 200 is started, and at the same time, the molded objects 210 'and 210 are discharged from the die holes 204' and 205 'by the discharge pins 206 and 260'. In addition, the primary molded object 210 'is moved to the second die 205 by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head molding of the molded object is continuously performed by repeating such an operation.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소형의 피성형물을 성형하기에 적당한 피성형물 이송장치를 제공한다.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suitable for molding a small workpiece.

즉 피성형물이 소형인 경우에는 1차 성형이 완료된 후 배출되는 과정에서 피성형물이 적당한 배출경로(다이구멍과 동일 축선방향의 배출경로를 말함)를 벗어나 홀딩수단에 의한 홀딩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성형이 완료된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함으로서 홀딩수단에 의한 홀딩공정을 정확히 하고자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molded object is small, the molded object is not held by the holding means beyond the proper discharge path (refer to the discharge path in the same axial direction as the die hole) during the discharge after the primary molding is completed. In this embodiment, the holding process by the holding means is intended to be accurate by limiting the discharge distance of the molded object after the primary molding is complet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있어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상태의 정면도를,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e-e선 확대단면도를,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피성형물 이송장치에 있어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상태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FIG. 12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holding means is raised in the molded object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ee line in FIG. 12, and FIG. 16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view of the state in which a holding means descends in the molded object convey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n Example is shown,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있어서,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2)과, 구동축(2)에 고정되는 제 1,2,3 캠(3,4,5)과, 머신바디(1)에 설치되는 승강 작동 가능한 승강로드(6)와,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9)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측은 상기 제 1캠(3)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함과 함께 그 측방향 선단부는 상기 승강로드(6)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작동레버(8)와 ┌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상기 중심축(9)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부 측방향측 선단부는 상기 제 2캠(4)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밸런스레버(10)와 상기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 하단부 사이에 설치된 밸런스스프링(10)으로 된 승강작동수단(7)과, 홀딩작동수단(15')에 있어└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2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측은 상기 제 3캠(5)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푸싱핀작동레버(21)와 상기 푸싱핀작동레버(21)의 상단부쪽으로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싱핀(23)에 관한 것은 제 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In this embodiment, the drive shaft (2)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chine body (1) and driven by a motor, and the first, second, third cams (3, 4, 5) fixed to the drive shaft (2); ,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rod (6) installed on the machine body (1), and the shape of the jaw, its central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9) and the upper end side of the first cam (3) In contact with the slidable, the lateral end portion thereof has a ┌ shape with a lifting lever (8)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rod (6) so that its center portion is rotatable on the central axis (9). Coupled to the upper lateral side tip in a slidabl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m 4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alance lever 10 and the lifting lever 8 and the balance lever 10. Balanced soup installed between the lifting lever 8 and the lower end of the balance lever 10 to apply power. The elevating operation means (7) made of (10) and the holding operation means (15 ') have a shape of └,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21a) and the lower end side of the third cam (5) Regarding the pushing pin operating lever 21 to slidabl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ing pin 23 and the pushing pin 23 slidably installed to receive an elastic force toward the upper end of the pushing pin operating lever 21,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o.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로드(6)를 승강 작동하기 위한 구성과, 승강로드(6)의 상부에 결합되는 홀딩수단(13)과, 홀딩작동수단(20)에 있어 푸싱레버에 관한 구성을 제 1실시예와 달리하고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figuration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rod 6, a holding means 13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rod 6, and a holding lever 20 in the holding operating means 20 are described. I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성형완료 후 배출되는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피성형물스토핑수단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lded object stopper means for limiting the discharge distance of the molded object discharg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imary molding.

이하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구동축(2)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에 설명하는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을 구동하기 위한 제 4캠(30)이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a fourth cam 30 for driving the molded object stop means 45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drive shaft 2.

상기 승강로드(6)는 머신바디(1)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싱(31)에 상하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승강로드(6)의 하측 선단부와 승강작동레버(8)의 측방향 선단에는 회동링크(32)의 양 선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lifting rod 6 is slidably coupled only to the guide bushing 31 installed in the machine body 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rod 6 and the side of the lifting operation lever 8. Both ends of the rotational link 32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승강작동레버(8)가 소정의 각도 내에서 상하로 반복 회동하면 승강작동레버(8)의 작동과 함께 회동링크(32)가 좌우로 반복 회동하면서 승강하는 것이므로 이에 의해 상기 승강로드(6)는 상기 가이드부싱(31)에 안내되어 소정의 행정 범위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것이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elevating operation lever 8 repeatedly rotates up and dow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the elevating operating lever 8 moves up and down while the rotating link 32 rotates repeatedly from side to side. The lifting rod 6 is guided to the guide bushing 31 to enabl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stroke range.

상기 승강로드(6)의 상부에는 피성형물을 직접 홀딩하거나 홀딩해제하기 위한 홀딩수단(33)이 설치며 이 홀딩수단(33)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rod 6, a holding means 33 for directly holding or releasing the object to be formed is installed, and the holding means 33 is configured as follows.

지시부호 34는 레버홀더이며 이 레버홀더(34)의 하부에는 장공(3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34a)를 향하여 상단부에서 하측으로는 핀구멍(34b)이 형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34 denotes a lever holder, and a lower hole 34a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holder 34, and a pin hole 34b is form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side toward the long hole 34a.

상기와 같은 레버홀더(34)는 상기 장공(34a)를 통하는 고정구(35)에 의해 승강로드(6)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핀구멍(34b)에는 높이조절핀(36)이 삽입되어 있으며 레버홀더(34)의 상부로 노출된 높이조절핀(36)의 상부에는 높이조절용너트(37)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The lever holder 34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rod (6) by the fastener 35 through the long hole (34a) and the height adjustment pin (36)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34b) The height adjusting nut 37 is screw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in 36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r holder 34.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구(35)를 풀은 상태에서 높이조절용너트(37)를 회전시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홀더(3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레버홀더(3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레버홀더(34)에 고정되는 핑거(41,41')의 홀딩상태에서의 중심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When the height adjustment nut 37 is rot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astener 35 is released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eight of the lever holder 34 can be adjusted as shown in FIG. 14, and the lever holder 34 is thus. It is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enter in the holding state of the fingers (41, 41 ') fixed to the lever holder (34).

상기 레버홀더(34)에는 상부에 산부(38a)가 형성된 하부핑거레버(38)가 상하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하부핑거레버(38)의 하단부는 중심핀(38b)에 의해 레버홀더(3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하부에 개방형의 장공(39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핑거레버(39)가 상기 하부핑거레버(38)와 대각선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부핑거레버(39)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상기 레버홀더(34)에 중심핀(39b)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부핑거레버(39)의 상측 선단부에는 롤러(39c)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In the lever holder 34, a lower finger lever 38 having an upper portion 38a formed thereon is inclined up and dow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finger lever 38 is rotated to the lever holder 34 by a center pin 38b. Possibly combined. In addition, the upper finger lever 39 having an open long hole 39a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is arranged to overlap the lower finger lever 38 in a diagonal direction, and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inger lever 39 is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ver holder 34 by the center pin 39b, and the roller 39c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finger lever 39.

상기와 같은 상.하부핑거레버(39,38)는 중심핀(40)이 하부핑거레버(38)의 산부(38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상부핑거레버(39)의 장공(39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고, 하부핑거레버(38)의 상단부와 상부핑거레버(39)의 하단부에는 핑거(41,41')의 일측 선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핑거레버(39)의 상단에 연장하여 형성된 스프링스테이(39d)와 레버홀더(34) 사이에는 인장스프링(42)이 설치되어 있다.The upper and lower finger levers 39 and 38 as described above have the center pin 40 rotatably coupled to the peak portion 38a of the lower finger lever 38 and the long hole 39a of the upper finger lever 39. It is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finger lever 38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nger lever 39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ngers (41, 41 '), respectively. In addition, a tension spring 42 is installed between the spring stay 39d and the lever holder 34 which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finger lever 39.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부핑거레버(39)는 인장스프링(42)에 의해 항상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하부핑거레버(38)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으므로 핑거(41,41') 상호는 고정단쪽과 반대되는쪽의 선단이 항상 근접된 대향상태 즉 홀딩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는 것이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pper finger lever 39 is always provided by the tension spring 42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lower finger lever 38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forc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tip of the opposite side of the fixed end is always given the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adjacent opposing state, that is, the holding state.

지시부호 4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홀딩작동수단(20')에 있어서의 푸싱레버이다. 이 푸싱레버(43)는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홀딩수단(33) 상측의 머신바디(1)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압축스프링(44)에 의해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단부 가까이의 일측 면은 푸싱핀(23)의 선단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부여받고 반대쪽 면은 상기 상부핑거레버(39)의 상측 선단부에 결합된 롤러(39c)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43 is a pushing lever in the holding operating mean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is pushing lever 43 The central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bracket 1a coupled to the machine body 1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means 33, and the lower end as in the first embodiment by the compression spring 44. One side near the end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so as to always contact the tip of the pushing pin 23, the opposite side is opposed to the roller (39c)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finger lever (39).

본 실시예에서의 홀딩작동수단(20')에 있어서도 승강로드(6)와 함께 홀딩수단(33)이 상승하는 동작에서는 도 12에서와 같이 푸싱핀작동레버(21)가 푸싱핀(23)을 밀어 푸싱레버(25)가 상부핑거레버(39)의 상단부에 결합된 롤러(39c)를 미는 것에 의해 핑거(41,41')의 홀딩 해제상태가 유지되고 또 승강로드(6)와 함께 홀딩수단(33)이 하강하는 동작에서는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푸싱핀(23)이 후퇴하여 상기 중심핀(17)이 스프링(19)의 탄발력에 의해 핑거(41,41')쪽으로 이동함으로서 핑거(41,41')의 홀딩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Also in the holding operation means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operation in which the holding means 33 is raised together with the lifting rod 6, the pushing pin operating lever 21 moves the pushing pin 23 as shown in FIG. By pushing the pushing lever 25 to push the roller 39c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finger lever 39, the holding state of the fingers 41 and 41 'is maintained and the holding means together with the lifting rod 6 In the lowering operation of 33, as shown in FIG. 16, the pushing pin 23 retreats so that the center pin 17 moves toward the fingers 41 and 41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19. 41, 41 ') is hel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성형완료 후 배출되는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be provided with a molded object stop means 45 for limiting the discharge distance of the object to be discharged after completion of the primary molding, th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지시부호 46은└ 형상으로 된 로드작동레버이다. 이 로드작동레버(46)는 그 중앙부가 중심축(2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로드작동레버(46)와 머신바디(1)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47)에 의해 로드작동레버(46)의 하단측에 결합된 결합된 롤러(46a)가 상기 제 4캠(30)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46 is a rod actuating lever in a shape. The rod actuating lever 46 is rotatably coupled to a central axis 21a of the central actuating portion 46 and loaded by a spring 47 provided between the rod actuating lever 46 and the machine body 1. The combined roller 46a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cam 30.

지시부호 48은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가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1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핑암이며, 이 스토핑암(48)의 하단부에는 배출되는 피성형물을 직접 스토핑하기 위한 스토핑핀(48a)이 고정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48 is The stopper arm is formed in the shape and pivot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bracket 1a as shown in FIG. 15, and a stopper pin for directly stopping the discharged object from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arm 48. 48a is fixed.

상기 로드작동레버(46)와 스토핑암(48)의 상단부는 연결로드(49)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에 의해 연결로드(49)가 스토핑암(48)을 밀면 스토핑암(48)의 하단에 결합된 스토핑핀(48a)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rod operating lever 46 and the stopping arm 48 ar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49 so that the connecting rod 49 pushes the stopping arm 48. The stopping pin 48a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opping arm 48 is configured to move downward.

상기와 같은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에 있어 로드작동레버(46)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4캠(30)의 형상은 제 4캠(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작동레버(46)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할 수 있고 또 이러한 작동에 있어 1차 성형완료된 피성형물이 배출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작동레버(46)가 상기 연결로드(49)를 밀어 스토핑암(48)이 하측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스토핑암(48)의 하단에 결합된 스토핑핀(48a)이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의 배출방향쪽 앞쪽으로 이동하여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The shape of the fourth cam 30 for operating the rod operating lever 46 in the molded object stopping means 45 is such that the rod operating lever 46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ourth cam 30. The rod operation lever 46 may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the rod operation lever 46 may be connected to the rod as shown in FIGS. 19 and 20 when the primary molded object is discharged in this operation. 49, the stopping arm 48 is rotated downward to push the stopping pin 48a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topping arm 48 to move forward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irst molded object. It is determined to limit the discharge distance of the molding.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피성형물 이송장치(MD')는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은 해딩머싱에 설치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의 피성형물 이송장치(MD')가 설치된 해딩머신에 의해 피성형물에 머리부를 성형하는 작동은 다음과 같다.The molded object conveying apparatus M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heading machin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haped object conveying apparatus MD'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shaped object by the heading machine installed. The operation of shaping the head is as follows.

먼저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절단이송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 길이의 피성형물이 제1다이(204)의 다이구멍(204') 위치에 이르면 절단이송수단에 의한 피성형물(210)의 홀딩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펀치홀더(200)가 다이홀더(2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17 및 제 1실시예의 도 6에서와 같이 제1펀치(201)가 피성형물(210)을 다이구멍(204')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피성형물(210)에 형성하고자 하는 머리부의 일부를 성형한다.First,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shaped object of a predetermined length reaches the position of the die hole 204 'of the first die 204 by the cutting conveying means (not shown), the shaped object 210 by the cutting conveying means. And the punch holder 200 advances toward the die holder 203 and the first punch 201 causes the molding 210 to die-form the object 210 as shown in FIG. 17 and FIG. 6 of the first embodiment. 204 ') and at the same time hitting to form a part of the head to be formed on the object to be formed (210).

상기와 같은 1차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 홀딩수단(33)은 도 18에서와 같이 승강로드(6)의 상승동작에 의해 상승하여 제1다이(204)쪽으로 이동하며 1차 성형이 완료된 후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이 시작되면 이와 동시에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출핀(206)에 의해 피성형물(210)이 다이구멍(204')에서 배출된다.While the primary molding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holding means 33 is lifted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rod 6 as shown in FIG. 18 to move toward the first die 204, and after the primary molding is completed, the punch holder ( At the same time as the retraction operation of the 200 starts, the molded object 210 is discharged from the die hole 204 'by the discharge pin 206 as in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피성형물(210)의 배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이르면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의 스토핑암(48)이 하강하는 동작에 의해 스토핑핀(48a)이 피성형물의 배출방향 앞쪽으로 이동함으로서 피성형물의 배출은 저지되고 이와 동시에 제1다이(204)쪽으로 이동한 상기 홀딩수단(33)의 핑거(41,41')는 배출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한다.When the discharge of the object 210 is completed, as shown in FIGS. 19 and 20, the stopping arm 48 of the object stopper 45 is lowered by the stopping pin 48a. By moving forward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molded object, the discharge of the molded object is prevent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ngers 41 and 41 'of the holding means 33 moved toward the first die 204 are discharged from the molded object 210. Hold.

상기와 같이 핑거(41,41')가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하는 시점은 홀딩수단(13)의 상승동작 완료 후 하강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이며 이와 같이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홀딩한 홀딩수단(13)의 핑거(41,41')는 도 21에서와 같이 제2다이(205)쪽으로 하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int at which the fingers 41 and 41 'hold the first molded object 210 is a point at which the lowering operation is started after the ascending operation of the holding means 13 is completed. Fingers 41 and 41 'of the holding means 13 holding 210 are lowered toward the second die 205 as shown in FIG.

홀딩수단(13)이 하사점, 즉 제2다이(205)의 다이구멍(205)의 위치에 이르면 상기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은 완료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제1다이(204)의 다이구멍(204') 앞에는 앞에서와 같이 절단이송수단에 의해 새로운 피성형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드(6) 및 홀딩수단(33)의 상승동작의 시작과 동시에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과 새로 공급된 피성형물(210')의 홀딩상태가 해제되면 이와동시에 펀치홀더(200)가 다이홀더(203)쪽으로 전진함으로서 도 22 및 제 1실시예의 도 11에서와 같이 제1,2펀치(201,202)가 새로 공급된 피성형물(210')과 1차 성형된 피성형물(210)을 다이구멍(204',205')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타격하여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피성형물 210'에는 머리부의 일부분을 그리고 피성형물 210에는 머리부의 전체를 성형한다.When the holding means 13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that is, the position of the die hole 205 of the second die 205, the retraction operation of the punch holder 200 is completed and at the same time, the die hole of the first die 204 In front of 204 ', a new molding is supplied by the cutting transfer means as before. When the holding state of the primary molded object 210 and the newly supplied object 210 'is released simultaneously with the start of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rod 6 and the holding means 33, the punch holder ( As the 200 is advanced toward the die holder 203, the first and second punches 201 and 202 newly supplied with the first and second punches 201 and 202 as shown in FIGS. 22 and 11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irst molded article 210 are formed. ) Is inserted into the die holes 204 ′ and 205 ′ and hit at the same time to form a part of the head in the object 210 ′ and a whole of the head in the object 210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와 같이 성형이 완료되면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펀치홀더(200)의 후퇴동작이 시작되며 이와 동시에 배출핀(206,260')에 의해 피성형물(210',210)이 다이구멍(204',205')에서 배출되고, 이후 앞에서와 같은 작동을 반복함으로서 피성형물의 머리부 성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When the mold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retracting operation of the punch holder 200 is star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moldings 210 'and 210 are formed by the discharge pins 206 and 260'. 205 '), and the head molding of the mold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by repeating the same operation as before.

제 1실시예에 따른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제1다이에서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을 2차 성형용의 제2다이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딩머신에 설치되면 제1다이로의 피성형물 공급과 제1다이에서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을 제2다이로 공급하는 공정을 동시에 할 수 있고 또 제 1,2 다이에 공급된 피성형물의 성형을 제1,2펀치에 의해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펀치의 1회 왕복에 의해 1개의 제품을 연속하여 생산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생상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해딩머신에 있어서는 펀치홀더가 반복된 수평동작만 계속하는 것이므로 펀치홀더가 수평동작과 승강동작을 동시에 하는 종래의 해딩머신에 비하여 장치의 진동을 현져하게 줄일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이로 인해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펀치홀더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을 생략함으로서 장치의 생상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 molded object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ransfers the first molded object from the first die to the second die for secondary molding. 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heading machine,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molding to the first die and the first molded molding from the first die to the second die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punches can be molded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and second punches, the product can be continuously produced by one reciprocation of the punches, and the productivity can be doubl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addition, in the heading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punch holder continues only the repeated horizontal motion,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device can be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eading machine in which the punch holder simultaneously performs the horizontal motion and the lifting motion. Due to this, the dur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and the cost of rais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by omitting the configuration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punch holder.

제 2실시예에 따른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1차 성형 완료된 피성형물의 배출공정에 있어 피성형물이 적정 배출위치에 이르면 피성형물스토핑수단에 의해 피성형물의 배출이 저지되고 이 상태에서 홀딩수단에 의한 피성형물의 홀딩이 정확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 2실시예의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제 1실시예의 피성형물 이송장치가 갖는 효과 외에 특히 배출경로를 벗어나기 쉬운 소형의 피성형물을 성형하기에 적당한 해딩머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charging process of the first molded object, when the object reaches the proper discharging position, discharge of the molded object is prevented by the object stopper and the holding means is held in this state. The holding of the object is made correctly. Accordingly, the molded object convey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heading machine suitable for molding a small shaped object which is particularly easy to escape the discharge path,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shaped object convey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의 피성형물 이송장치는 피성형물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송하도록 한 것이므로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molded object conve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transpo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device.

Claims (4)

머신바디(1);Machine body 1;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구동축(2);A drive shaft (2)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chine body (1) and driven by a motor; 구동축(2)에 고정되는 제 1,2,3 캠(3,4,5);First, second and third cams 3, 4 and 5 fixed to the drive shaft 2; 머신바디(1)에 설치되는 자동조심베어링(6a)에 결합되어 승강 작동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만큼 요동 가능한 승강로드(6);A lifting rod 6 coupled to the self-aligning bearing 6a installed in the machine body 1 and capable of oscill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same time as the lifting operation;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9)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단측은 상기 제 1캠(3)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함과 함께 그 측방향 선단부는 상기 승강로드(6)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작동레버(8)와, ┌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상기 중심축(9)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부 측방향측 선단부는 상기 제 2캠(4)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밸런스레버(10)와, 상기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승강작동레버(8)와 밸런스레버(10) 하단부 사이에 설치된 밸런스스프링(10)으로 된 승강작동수단(7);The center portion is pivotal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9 and its upper end side is slidabl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m 3, while the lateral tip thereof is An elevating operation lever 8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portion, and having a ┌ shape, a central portion thereof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9, and an upper lateral side end portion thereof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am 4; The balance lever 10 and the lift lever 8 and the balance lever 10 which are slidably in contact with the lift lever 8 and the balance lever 10 in order to impart rotational force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Elevating operation means (7) comprising a balance spring (10)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s; 상기 승강로드(6)의 상단부에 결합된 레버홀더(14)와, 상부에 산부(15a)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홀더(14)에 상하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레버홀더(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핑거레버(15)와, 하부에 개방형 장공(16a)이 형성되어 하부핑거레버(15)와 대각선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레버홀더(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핑거레버(16)와, 상기 하부핑거레버(15)의 산부(15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상부핑거레버(16)의 장공(1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중심핀(17))과, 하부핑거레버(15)의 상단부와 상부핑거레버(16)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1쌍의 핑거(18,18')와, 상기 중심핀(17)에 핑거(18,18')쪽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19)으로 된 홀딩수단(13);A lever holder 14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elevating rod 6 and a hill 15a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re disposed to be inclined up and down in the lever holder 14,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provided with a lever holder ( 14 and a lower finger lever 15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finger, and an open long hole 16a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as to overlap the lower finger lever 15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n upper end thereof is disposed at the lever holder 14.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finger lever 16 rotatably coupled to the peak portion 15a of the lower finger lever 15 and slidably coupled to the long hole 16a of the upper finger lever 16. A center pin 17, a pair of fingers 18 and 18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finger lever 15 and a lower end of the upper finger lever 16, and a finger to the center pin 17; Holding means (13) made of a spring (19)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ward 18,18 '; └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2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측은 상기 제 3캠(5)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푸싱핀작동레버(21)와, 상기 푸싱핀작동레버(21)의 상단부쪽으로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선단부는 상기 홀딩수단(13)쪽 가까이로 신장되어 있는 푸싱핀(23)과, 상측 선단부가 상기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하단부 가까이의 일측 면은 상기 푸싱핀(23)의 선단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부여받고 반대쪽 면은 상기 하부핑거레버(15)의 하측 선단부에 대향하는 푸싱레버(25)로 된 홀딩작동수단(20);└ shape and the center portion is pivotal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21a), the lower end side of the pushing pin operating lever 21 and the sliding pin operating lever slidabl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cam (5), the pushing pin operating lever Sliding is installed so as to receive an elastic force toward the upper end of the 21 and one end is extended to the holding means 13 toward the pushing pin 23 and the upper end to be pivotable to the machine body (1) While being installed, one side near the lower end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so as to always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pushing pin 23, and the opposite side is a holding operation made of the pushing lever 25 facing the lower end of the lower finger lever 15. Means 20; 으로 되어, 상기 제 1,2캠의 회전에 의해 승각작동레버가 소정의 각도 내에서 반복 회동함으로서 승강로드와 함께 홀딩수단이 반복하여 승강 작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홀딩수단이 상승하는 동작에서는 제 3캠에 의해 작동하는 푸싱핀작동레버가 상기 푸싱핀을 밀어 푸싱레버가 하부핑거레버의 하단부를 미는 것에 의해 핑거 상호의 홀딩해제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홀딩수단이 하강하는 동작에서는 상기 푸싱핀이 후퇴하고 상기 중심핀에 핑거쪽으로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핑거의 홀딩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When the elevating operation lever rotates repeatedly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ms, the holding means is repeatedly lifted and operated together with the lifting rod, and at the same time, the third cam is lifted. The pushing pin actuating lever actuated by the pushing pin pushes the pushing pin and the pushing lever pushes the lower end of the lower finger lever, thereby maintaining the holding state of the fingers mutually.In the operation of the holding means descending, the pushing pin retreats and the An object transporting device for a hea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state of the finger is maintained by the action of the elastic force toward the finger on the center pin. 제 1항에 있어서, 자동조심베어링(6a)은 승강로드(6)를 상하방향으로만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싱(31)으로 대체하고 승강로드(6)의 하측 선단부와 승강작동레버(8)의 측방향 선단에는 회동링크(32)의 양 선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2. The self-aligning bearing (6a) according to claim 1 is replaced by a guide bushing (31) for guiding the lifting rod (6) on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rod (6) and the lifting lever (8). The lateral end of the molding material transport apparatus for a hea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ends of the rotary link 32 is rotatably installed. 제 1항에 있어서, 홀딩수단은(33), 상기 승강로드(6)의 상단부에 결합된 레버홀더(34)와, 상부에 산부(38a)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홀더(34)에 상하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하단부가 레버홀더(3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핑거레버(38)와, 하부에 개방형 장공(39a)이 형성되어 하부핑거레버(38)와 대각선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레버홀더(3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부핑거레버(39)와, 상기 하부핑거레버(38)의 산부(38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상부핑거레버(39)의 장공(39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중심핀(40)과, 하부핑거레버(38)의 상단부와 상부핑거레버(39)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1쌍의 핑거(41,41')와, 상부핑거레버(39)에 시계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부핑거레버(39)의 상단부와 레버홀더(34)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42)으로 되고, 홀딩작동수단(20')에 있어 푸싱레버(43)는 ┌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하단부 가까이의 일측 면은 푸싱핀(23)의 선단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부여받고 반대쪽 면은 상기 상부핑거레버(39)의 상측 선단부에 대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The holding means (33), the lever holder 34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rod (6), and the upper portion (38a) is formed on the upper and inclined up and down on the lever holder 34 In addition, the lower finger lever 3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ver holder 34 and an open long hole 39a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so as to overlap the lower finger lever 38 diagonally. The upper finger lever 39 is pivotally coupled to the lever holder 34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finger lever 39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eak portion 38a of the lower finger lever 38. A pair of fingers 41 and 41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finger lever 38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nger lever 39 and the center pin 40 slidably coupled to the long hole 39a. And an upper end and a lever of the upper finger lever 39 to impart an elastic forc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the upper finger lever 39. The tension spring 42 is provided between the holder 34, the pushing lever 43 in the holding operation means (20 ') has a ┌ shape, the center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chine body (1) and the lower end portion One side near the end is given an elastic force so as to always be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pushing pin (23) and the opposite side is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for a hea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o face the upper end of the upper finger lever (39). 제 1항에서 제 4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축(2)에는 제 4캠(30)을 설치하고 이 제 4캠(30)에 의해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를 구동시킴으로서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하되, 상기 피성형물스토핑수단(45)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drive shaft (2) is provided with a fourth cam (30) and driven by the fourth cam (30) to drive the workpiece stopping means (45). To limit the discharge distance of the molded object, the molding stopper means 45, └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는 중심축(21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측은 상기 제 4캠(30)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로드작동레버(46)와, ┘형상으로 되어 그 중앙부가 홀딩수단(33) 상측의 머신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핑암(48)과,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상기 로드작동레버(46)의 상단부에 그리고 타단부는 상기 스토핑암(48)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로드(49)로 되어,└ shape and the center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21a) and the lower end side of the rod actuating lever (46) for elastically slidabl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cam (30), A stopper arm 48 pivotally provided at a center thereof on the machine body 1 above the holding means 33,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rod actuating lever 46, and the other end at the It is made of a connecting rod 49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opping arm 48, 1차 성형된 피성형물의 배출완료 시점에서 상기 제 4캠에 의해 작동하는 로드작동레버가 연결로드를 밀어 스토핑암의 하단부를 하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피성형물의 배출거리를 제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딩머신을 위한 피성형물 이송장치.The rod operating lever actuated by the fourth cam at the completion of discharge of the primary molded object is configured to limit the discharge distance of the molded object by pushing the connecting rod to rotate the lower end of the stopping arm downward. Molded material transfer device for the heading machine.
KR1019990011752A 1999-04-03 1999-04-03 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 KR100343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752A KR100343384B1 (en) 1999-04-03 1999-04-03 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752A KR100343384B1 (en) 1999-04-03 1999-04-03 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451A true KR20000065451A (en) 2000-11-15
KR100343384B1 KR100343384B1 (en) 2002-07-15

Family

ID=1957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752A KR100343384B1 (en) 1999-04-03 1999-04-03 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38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3384B1 (en) 200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524B2 (en) Negative-angle press-working die
JP4860456B2 (en) Forging equipment
KR100343384B1 (en) 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
US4023393A (en) Eccentric press
JP6593947B1 (en) Press machine and press molding method
JPS59125224A (en) Cam operated ejector for shell press
JPH0787232B2 (en) Press machine
US3605479A (en) Forming press
KR101127134B1 (en) Press
KR100366555B1 (en) Feeding device of object to be formed for heading machine
JP2002102992A (en) Lower knock out device
US5127252A (en) Apparatus for the working of wire pieces and the use of such apparatus
US4627264A (en) Cam actuated ejector for a shell press
JPH0910862A (en) Caulking device
JP2815843B2 (en) Washer forming machine and washer manufacturing method
CN220406895U (en) Lower part liftout device of punch press
CN2654256Y (en) Briquette loading product unloading device of powder metallurgy shaping press
JPH09122817A (en) Upsetting device with using press motion
JPS6056428A (en) Automatic feeding device of material to be worked
CN109047547B (en) Material part rapid demoulding structure of anchor chain crosspiece punch press
JP3043576B2 (en) Playboard nailing machine and automatic playboard transporter
JP5219681B2 (en) Transfer press apparatus and press method
JP3995344B2 (en) Play board nailing machine
JP3771757B2 (en) Transfer device
JPS5858947A (en) Trans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