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4408A - Nasal expander with low peel force - Google Patents
Nasal expander with low peel for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64408A KR20000064408A KR1019980704496A KR19980704496A KR20000064408A KR 20000064408 A KR20000064408 A KR 20000064408A KR 1019980704496 A KR1019980704496 A KR 1019980704496A KR 19980704496 A KR19980704496 A KR 19980704496A KR 20000064408 A KR20000064408 A KR 200000644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band
- dilator
- separating
- edge
- ban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코의 비도(nasal passages)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내부 구조 조직으로부터 외벽 조직을 분리시키기 위한 비강 확장기(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확장기(10)는 한쌍의 이격 단부면(20,22,46)을 구비한 트러스(16)에 의해 형성되고, 트러스는 서로를 향하여 힘을 가하면 복원력을 제공하고, 이 복원력은 단부 각각에 다수개의 홈(43a,43b,43c)을 지니고 트러스(16)의 대향 단부들 사이에 연장하는 탄성 밴드(30a,30b)에 의해 제공된다. 홈(43a,43b,43c)은 밴드(30a, 30b)의 두께의 ⅓ 이상을 초과하고, 탄성 밴드(30a, 30b)의 소정 위치에 분리부(82,82',82",82"',8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리부(82,82',82",82"',82"")는 제1 탄성 밴드의 제1면을 교차하는 해당 분리부 연부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제2 밴드 및 유사한 밴드 또한 상기 트러스(16)에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sal dilator 10 for separating outer wall tissue from internal structural tissue to expand nasal passages of a human nose. The dilator 10 is formed by a truss 16 having a pair of spaced apart end faces 20, 22, 46, the trusses providing restoring force upon exerting a force toward each other, the restoring force being multiple at each end. It is provided by elastic bands 30a, 30b having two grooves 43a, 43b, 43c and extending between opposing ends of the truss 16. The grooves 43a, 43b, 43c exceed the thickness of the bands 30a, 30b or more, and the separation portions 82, 82 ', 82 ", 82"',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elastic bands 30a, 30b, 82 " ", wherein the separators 82,82 ', 82 ", 82 "', 82 " " are surrounded by corresponding separator edges that cross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band. . Second and similar bands may also be provided on the truss 16.
Description
본 발명은 체조직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코의 비도(nasal passages)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내부 구조 조직과 외벽 조직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parating body tiss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separating internal structural tissue and outer wall tissue to expand nasal passages of a human nose.
사람들 중에는 비도 내부 장애 때문에 호흡이 곤란해지는 일을 겪는 경우가 흔히있다. 이러한 장애의 예로는 통상 코 상해에 의해 생긴 중격 이탈,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내부 코 조직의 종창 및 통상 감기에 걸린 환자에게 나타나는 코의 증상을 들 수 있다. 비공의 하부, 즉 비공 입구의 바로 안쪽 부분은 비전정으로 알려져 있다. 비전정은 비관(nasal valve)이라 불리는 좁은 병목형 구역까지 안쪽 방향으로 좁아진다. 비도는 비관의 후부에서 다시 넓어진다. 비도 장애는 통상 비관이 실질적으로 막히는 지점의 비관에서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애가 있는 경우에 흡기(inhalation) 중에는 외벽 조직이 끌어 당겨짐에 따라 비관의 측벽(즉, 비도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외벽 조직)은 늘어져서 비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거의 또는 완전히 막는다.People often experience difficulty breathing due to internal obstructions. Examples of such disorders include septal detachment usually caused by nasal injury, swelling of internal nasal tissues due to allergic reactions, and nasal symptoms in patients with a common cold. The lower part of the nostril, ie just inside the nostril inlet, is known as non-table. The vision tablet narrows inward to a narrow bottleneck area called the nasal valve. The nasal passages widen again at the posterior part of the nasal passages. Nasal passages usually occur in the nasal passages where the nasal passages are substantially blocked. 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disorder, as the outer wall tissue is attracted during inhalation, the side wall of the nasal canal (i.e., partly the outer wall tissue relative to the nasal passage) stretches to almost or completely prevent the flow of air through the nasal passage.
코막힘 현상은 그것을 겪는 사람에게는 매우 짜증나며 귀찮은 일임에 틀림없다. 특히, 장시간에 걸쳐 구강 호흡을 하게 되면, 코로 호흡하는 경우라면 여과되었을 이물질이 유입됨으로 인해 폐 자극이 유발될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잠잘 때, 구강으로 호흡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코(비도)막힘 증세를 가진 사람은 밤에 더욱 불편함을 겪는다. 코막힘에 의해 수면 방해, 수면 불규칙 또는 코골기 또는 이들 모두가 유발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이러한 증세가 있는 사람은 충분한 양의 산소를 흡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잠에서 자주 깨게된다.Nasal congestion must be very annoying and bothersome for the person who suffers it. In particular, if oral breathing over a long period of time, if you breathe through the nose will cause lung irrita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foreign substances that would be filtered. Most people find it difficult to breathe at night because they have difficulty nasal breathing when sleeping. Nasal congestion can cause sleep disturbances, sleep irregularities or snoring, or both. In addition, people with these symptoms often wake up because they do not breathe enough oxygen.
비도 장애의 원인이 이탈된 중격 또는 일반적으로 작은 관 구멍과 같은 구조적 문제에 기인한 경우 및 비도 장애가 호흡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일반적인 해결법은 수술에 의해 비도 기형을 교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외과 수술은 비용이 많이 들고, 궁극적으로 상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수도 있다. 알레르기 또는 통상의 감기가 원인인 장애를 해결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되는 별법은 약물을 분무하여 비도를 따라 조직의 종창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법은 종종 상기 문제점을 완화시키기에는 너무 미비하고, 장기간 사용할 때 조직에 손상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When the cause of nasal obstruction is due to a structural problem such as a distal septum or a generally small tubular opening, and when the nasal obstruction seriously affects breathing, a common solution is to correct the nasopharyngeal malformation by surgery. Surgery, however, is expensive and may not ultimately solve the problem. An alternative commonly used to address allergies or disorders caused by a common cold is to spray the drug to reduce swelling of the tissue along the nasal passages. However, these therapies are often too insignificant to alleviate the above problems and may even damage tissues over long periods of use.
전술한 방법들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단점들 때문에, 비강 확장기(nasal dilator)라는 이름의 기계적 보조물을 사용하여 비도를 개방시키는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이러한 비강 확장기에는 비도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비도의 측면을 밀어내는 효과가 있는 내부형 기구와 비도의 측면 중 일부를 잡아당기는데 효과적인 외부형 기구 두가지가 사용되어 왔다. 내부형 기구는 비도에 삽입해야 하므로 비도를 자극하여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비도는 제각각 그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 개개인에 맞게 비강 확장기를 특별 디자인해야만 한다. 외부형 비강 확장기는 사용자의 코에 견고하게 부착되되 외벽 조직을 잡아당기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코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되 단일체 구조로 한정된 벽 조직을 잡아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비조절형 단일체 아이템이다. 전자는 제거하기 어렵고, 보통 사용중에 비스듬히 노킹되고, 탈착되도록 하는 기계적 배열 없이 벽 조직을 충분히 확장시키는 적당한 힘을 제공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다.Because of the disadvantages arising from using the aforementioned methods, a method has been attempted to open the nasal passages using a mechanical aid named nasal dilator. Two such nasal dilators have been used, internal mechanisms that are effective in pushing the side of the nasal passages to open the nasal passages and external mechanisms that are effective in pulling part of the nasal passages. Internal instruments must be inserted into the nasal passages, which can cause itching to irritate the nasal passages. In addition, since each person's nasal cavity is different in shape, the nasal dilator must be specially designed for a particular user. An external nasal dilator is one that is firmly attached to the user's nose bu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pulling force on the outer wall tissue, or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ser's nose and provides a force to pull the wall tissue defined by the monolithic structure. Adjustable monolithic item. The former is difficult to remove and usually difficult to adjust to provide adequate force to fully expand the wall tissue without mechanical arrangements that allow it to be knocked obliquely during use and detachable.
단일체 외부형 비강 확장기는 조직을 밖으로 잡아당길 때 불편함없이 확장되기에 충분한 힘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고, 이 확장기는 확장기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위치에 비교적 용이하게 놓을 수 있으면서 또한 비교적 쉽게 제거된다. 이러한 후자의 특징은 압감성 접착제를 구비한 스프링 장착의 본체를 사용하는 확장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여 피부에 부착시킨 확장기 밑 또는 이에 인접한 피부가 움직임에 따라 비교적 견고한 스프링의 단부에 의해 발생하며 확장기를 스프링 단부에서 적당한 기하학을 따라 피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박리력(벗겨질려는 힘)이 방지된다. 확장기 본체에 스프링 부재를 사용하는 한 방법은, 스프링 부재의 길이를 이들이 수용되는 본체의 길이보다 더 짧게하여 본체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의 위치가 중심이 되도록 하고, 스프링 부재의 각 단부는 상응하는 본체 단부와 이격되게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예가 미국 특허 제08/183,916호(B.C. 존슨, "Nasal Dilator", 1994년 1월 19일자 출원)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문헌은 본원에서 참고하였다. 사실상, 스프링 부재를 지나 연장되는 본체 단부의 일부분은 본체 연장부로서 작용하여, 이들 스프링 부재의 단부에서 일어나는 박리력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제조 공정 중에 스프링 부재를 개별적으로 배치할 요구 조건을 필요로 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에러가 발생한다.The monolithic external nasal dilator is designed to provide sufficient force to distract without discomfort when pulling the tissue out, which can be placed relatively easily in a suitable location for use as an dilator and is also relatively easy to remove. This latter feature is achieved by an dilator using a spring loaded body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s the skin moves under or near the dilator attached to the skin using the adhesive, it is caused by the end of a relatively rigid spring and the peel force (the force to peel) that separates the dilator from the skin along the proper geometry at the spring end. Is prevented. One method of using a spring member in the dilator body is to make the length of the spring member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ody in which they are receiv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pring member in the body is centered, with each end of the spr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body end. To keep away from it. Such an example is disclosed in US Pat. No. 08 / 183,916 (B.C. Johnson, "Nasal Dilator", filed Jan. 19, 1994),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fact, a portion of the body end extending beyond the spring member acts as a body extension, suppressing the peeling force occurring at the ends of these spring members.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a requirement to individually arrange the spring memb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an error.
또다른 종래의 방법에 따를 것 같으면, 스프링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대향 단부에서 확장기 본체의 중앙 단부 부위는 제조 공정 중에 잘려 나가므로써 그 단부 가장자리가 짧은 스프링 부재의 단부에 닿게 되거나 또는, 짧게 위치하기 보다는 보다 실질적으로는 스프링이 확장기 본체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 길이를 가진 후에 유닛으로 절단되고, 중앙 단부 부위가 유닛으로 절단됨에 따라 잘려나간다. 이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08/070,554호(W.J. 듀벡, D.E. 코헨 및 B.C. 존슨, "Nasal Dilator", 1993년 4월 20일자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스프링 부재 부분도 가지지 않는 본체 측면 연장부를 남기며, 이 측면 연장부는 전술된 절단이 이루어진 후에 스프링 부재의 단부를 지나 연장된다. 그러나, 확장기 단부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사용되는 코부착성 연장부는 피부로부터 확장기가 벗겨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상기 문헌에 개시되었지만, 오히려 사용가능했었을 단부의 형상을 제한하며, 또한 이러한 연장부는 확장기 본체에서 스프링 부재를 지나 연장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 중에 재료가 다소 낭비된다는 피할 수 없는 결과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은 잘려 나가는 어떠한 중앙 단부 부분도 제거하고 대신에 스프링 부재와 측면 연장 부분 사이에 여유있는 안전한 절단을 제공하므로써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은 중앙 단부 부분들이 이전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잘려나가는게 아니라 그 부분들이 다소 벗겨지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렇게 약간 벗겨진 중앙 단부 부분은 착용자의 코와 접하거나, 또는 코 근처와 접촉하는 확장기상에 먼지등을 달라 붙게하여 보기 흉하게 할 뿐 아니라 가려움증을 유발한다.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method, at the opposite end extending beyond the spring end, the central end portion of the dilator body is cut off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that its end edge touches the end of the short spring member or is not positioned shortly. More substantially, the spring is cut into units after having a length that extends the same length as the dilator body and is cut off as the central end portion is cut into units. This method has any spring member portions as disclosed in U.S. Patent No. 08 / 070,554 (WJ Dubec, DE Cohen and BC Johnson, filed "Nasal Dilator", filed April 20, 1993),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Leaving the body lateral extension, which extends past the end of the spring member after the above-mentioned cut is made. However, although the nasal adherent extension used according to the geometry of the dilator end is disclosed in the document as suppressing peeling of the dilator from the skin, it rather limits the shape of the end that would have been available, and this extension also extends to the dilator body. Since it extends beyond the spring member, it results in an inevitable result that the material is somewhat was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removing any central end portion that is cut off and instead providing a relaxed safe cut between the spring member and the lateral extension. However, this arrangement may result in the part being peeled off rather than being cut off because the central end portions are present in their previous form. This slightly peeled off central end portion causes dirt to stick to the dilator in contact with the wearer's nose or in contact with the nose, causing itch and itch.
또한, 피부 위에 연장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증발이 잘되지 않아 연장부 아래의 피부에는 수분이 축적되므로 연장부가 존재하는 위치에서 구조물은 약해진다. 확장기를 제거할 때, 확장기 연장부와 피부간에 존재하는 힘은 주 박리력에서 주 전단력으로 변화되는데, 그 전단력은 연장부에 사용된 압감성 접착제의 성질 때문에 그 크기가 훨씬 더 커지므로, 피부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제거하는 동안에 더 커진 전단력에 의해 약해진 피부는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an extension on the skin, evaporation is not good, and moisture is accumulated in the skin under the extension, and thus the structure is weakened at the location where the extension is present. When removing the dilator, the force present between the dilator extension and the skin changes from the main peel force to the main shear force, which is much larger in size due to the natur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ed in the extension and thus from the skin. Skin weakened by greater shear forces during removal of the extension is likely to be damaged.
한편, 연장부를 생략하거나 또는 스프링 부재와 인접한 확장기의 측면부 사이를 여유있게 절단하면 스프링 부재가 확장기의 최말단 연부(edge)에 이르게된다. 탄성 부재에 의해 제공된 한 단부 연부에서 다른 연부까지 확장기를 따라 스프링력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이들 단부 연부로부터 스프링 이면의 짧은 부분이 비교적 높은 강성을 지님에 따라, 확장기 사용의 상당 횟수만큼의 박리력이 발생되어 확장기 단부가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되게끔 한다. 여기서 박리력은 통상의 사용시에 확장기 아래에 놓인 피부가 움직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힘이다. 따라서, 확장기의 단부에 구애되지 않고,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확장기를 떼어낼 때 피부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제조 중에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단일체 확장기 구조가 요망되어 왔다.On the other hand, the omission of the extension or a loose cut between the spring member and the lateral side of the adjacent dilator leads the spring member to the end edge of the dilator. As the spring force is substantially constant along the dilator from one end edge to the other edge provided by the elastic member and the short portion of the back of the spring from these end edges has a relatively high stiffness, a considerable number of peeling forces of the dilator use So that the dilator end is separated from the user's skin. Peeling force is here a force that occurs because the skin under the dilator moves in normal use.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desire for a monolithic dilator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waste of material during manufacture, while reducing the risk of skin damage when detaching the dilator from the user's skin, regardless of the end of the dilator.
도1은 본 발명의 확장기를 코에 부착시킨 사람의 얼굴 부분도이다.1 is a partial face view of a person with a d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his nose.
도2A는 도1에 도시한 본 발명 확장기의 부품을 나타낸 분해도이다.FIG. 2A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pander shown in FIG.
도2B는 도2A에 도시된 부품 중 하나의 부분 단편도이다.FIG. 2B is a partial fragmentary view of on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A.
도3은 확장기를 사용하지 않은 도1과 동일한 얼굴 부분도이다.FIG. 3 is the same facial part view as FIG. 1 without using an dilator. FIG.
도4는 도3의 코의 단면도로, 비도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거의 없는 코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se of FIG. 3 showing the nose with little air flow through the nasal passages. FIG.
도5는 도4와 유사한 단면도로, 비도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감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4, showing the reduced air flow through the nasal passages.
도6은 상당량의 공기 흐름이 비도를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1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gnificant amount of air flow passes through the nasal passages.
도7은 본 발명 확장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ander.
도8은 도7의 확장기를 코에 부착시킨 얼굴 부분도이다.FIG. 8 is a partial view of the face with the dilator of FIG. 7 attached to the nose; FIG.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도면이다.9 is a view of an expand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도면이다.10 is a view of an expand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도면이다.11 is a view of an expand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도면이다.12 is a view of an expand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도12의 확장기를 코에 부착시킨 얼굴 부분도이다.Fig. 13 is a partial view of the face with the dilator of Fig. 12 attached to the nose;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도면이다.14 is a view of an expand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분해도이다.Figure 15 is an exploded view of an expand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분해도이다.Figure 16 is an exploded view of an dilato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분해도이다.Figure 17 is an exploded view of an expand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분해도이다.18 is an exploded view of an expand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분해도이다.Figure 19 is an exploded view of an dilato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분해도이다.20 is an exploded view of an expand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분해도이다.Figure 21 is an exploded view of an expand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확장기의 분해도이다.Figure 22 is an exploded view of an expande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구체적인 확장기(10)는 도1에 나타내었다. 확장기(10)는 사람의 얼굴부(14)의 일부로 도시한 환자의 코(12)에 결합되는 비강 확장기로서 사용된다.Specific expand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The dilator 10 is used as a nasal dilator that is coupled to the nose 12 of a patient, shown as part of the human face 14.
확장기(10) 구조물에 사용된 부재들은 도2A에 도시한 확장기 분해도에서 볼 수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기(10)는 단일체의 트러스 부재(16)를 포함하고, 트러스 부재(16)는 제1 단부(20)와, 중간부(24)에 의해 제1 단부에 연결된 제2 단부(22)를 갖는 기본재 스트립(18)을 구비한다. 중간부(24)의 너비는 제1 단부(20)와 제2 단부(22)의 너비보다 작아서 사용자의 피부를 덜 커버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준다. 기본재(18)를 폴리에스테르 직물로 형성하면 사용자의 코(12) 피부가 비교적 용이하게 대기와 공기 교환을 하여 확장기를 사용하는 동안에 자극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편안함을 준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기본재(18)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부직 스펀 레이스 100%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E.I. DuPont Nemours & Co.에서 시판하는 SONTARA(등록 상표)이다. SONTARA(등록 상표) 직물은 직물의 횡방향(XD)인 위사 방향에 대한 종방향(MD)인 경사 방향의 파단 강도를 측정했을때 약 2:1인 파단 강도 특성을 가진다. 또한, SONTARA(등록 상표) 직물은 직물의 횡방향 및 종 방향으로 동일한 힘에 대한 신장율을 측정했을때 약 3:1인 신장율을 가진다. 직물의 종방향은 기본재(18)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다.Members used in the dilator 10 structure can be seen in the dilator exploded view shown in FIG. 2A. As shown in FIG. 2, the dilator 10 includes a single truss member 16, the truss member 16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end by a first end 20 and an intermediate portion 24. A base strip 18 having a second end 22 connected thereto. The width of the middle portion 24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end 20 and the second end 22 so that it covers less of the user's skin, thereby giving the user a comfortable feeling. Forming the base 18 with a polyester fabric is desirable in that the user's nose 12 skin exchanges with the atmosphere relatively easily to minimize irritation and provide maximum comfort during use of the dilator. Nonwoven spunlace 100% polyester fabrics suitable for forming the base 18 are described in E.I. It is SONTARA (registered trademark) sold by DuPont Nemours & Co. SONTARA® fabrics have a breaking strength characteristic of about 2: 1 when the breaking strength in the warp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to the weft dir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D) of the fabric is measured. In addition, SONTARA® fabrics have an elongation of about 3: 1 when measured for elongation for the same force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fabric.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bric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material 18.
트러스(16)는 기본재(18)의 제1면(28)에 부착된 탄성 수단(26)을 더 구비한다. 탄성 수단(26)은 제1 탄성 밴드(30a)와 제2 탄성 밴드(30b)를 구비한다. 제1 탄성 밴드(30a)는 제1 단부(41a)와 제2 단부(42a)를 가진다. 제2 탄성 밴드(30b)는 제1 단부(41b)와 제2 단부(42b)를 가진다. 제1 탄성 밴드와 제2 탄성 밴드(30a 및 30b)는 각각 중합체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산업 등급용의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MYLAR(등록 상표) 타입 A(E.I. DuPont Nemours & Co.에서 입수한 것으로, 너비가 약 0.080 인치 내지 0.135 인치이고, 두께는 약 0.010 인치로 절단된 것)가 적당한 것으로 밝혀졌다.The truss 16 further comprises elastic means 26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28 of the base 18. The elastic means 26 has a first elastic band 30a and a second elastic band 30b. The first elastic band 30a has a first end 41a and a second end 42a. The second elastic band 30b has a first end 41b and a second end 42b. The first elastic band and the second elastic band 30a and 30b are each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For example, an industrial grade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such as MYLAR® Type A, obtained from EI DuPont Nemours & Co., having a width of about 0.080 inches to 0.135 inches and a thickness of about 0.010 inches. Cleaved) was found to be suitable.
제1 탄성 밴드(30a) 및 제2 탄성 밴드(30b)로서 각기 비교적 얇은 중합체 재료를 사용하면 실제 사용된 밴드의 너비에 따라 이들 밴드 각각의 축방향의 비틀림 가요성이 각기 길이 방향의 크기에 가깝게 증가된다.Using relatively thin polymer materials as the first elastic band 30a and the second elastic band 30b, the axial torsional flexibility of each of these bands,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band actually used, is close to the magnitude of their respective longitudinal directions. Is increased.
제1 탄성 밴드(30a)와 제2 탄성 밴드(30b)는 각각 세 개의 연속 홈(43a, 43b 및 43c)을 가진다. 제1 탄성 밴드(30a)와 제2 탄성 밴드(30b) 각각의 최말단에 가장 가까운 홈(43a)이 가장 깊은 홈이다. 예를 들면, 길이가 2.60 인치이고, 너비가 0.135 인치인 탄성 밴드에 있어서, 홈은 통상 탄성 밴드의 최말단에서 안쪽으로 0.15 인치의 위치에 있고, 탄성 밴드 두께의 80% 내지 100%, 통상 90% 내지 100%의 깊이를 가진다. 홈(43a)의 안쪽에 있는 다음 홈(43b)은 중앙에 0.10 내지 0.20 인치 더 가깝게 위치하고, 탄성 밴드 두께의 60% 내지 90%의 깊이, 통상 70%의 깊이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탄성 밴드 중앙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마지막 홈(43c)은 중간부에 0.10 내지 0.20 인치 더 가깝게 위치하지만, 깊이는 탄성 밴드 두께의 40% 내지 70%, 통상은 약 40% 정도이다.The first elastic band 30a and the second elastic band 30b have three continuous grooves 43a, 43b and 43c, respectively. The groove 43a closest to the end of each of the first elastic band 30a and the second elastic band 30b is the deepest groove. For example, for an elastic band that is 2.60 inches long and 0.135 inches wide, the groove is typically at a position of 0.15 inches at the end of the elastic band inward, and is 80% to 100% of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band, typically 90 It has a depth of% to 100%. The next groove 43b inside the groove 43a is located 0.10 to 0.20 inches closer to the center and has a depth of 60% to 90%, typically 70%, of the elastic band thickness. Finally, the last groove 43c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elastic band is located 0.10 to 0.20 inches closer to the middle, but the depth is 40% to 70% of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band, typically about 40%.
해당 탄성 밴드의 중간부에 더 가깝도록 연장하는 홈들을 연속해서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 홈 각각의 깊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중간부를 향하여 깊이가 더 얕아지는 연속 홈들을 도입함으로서 얻어지는 효과는 탄성 밴드의 중간부에서 시작하여 밴드들 각각의 두 개의 ½ 길이를 따라 유효 스프링 상수가 단계적으로 감소된다는데 있다. 가장 깊은 홈은 유효 스프링 상수를 최대로 감소시킴므로 밴드 단부에 이들을 위치시키는 것은 밴드 스프링 힘과 그 아래 있는 피부의 움직임에서 오는 탄성 밴드 말단에서의 박리력을 감소시키는데 특히 효과적이다. 덜 깊은 다른 나머지 홈들은 밴드의 중앙부를 향해 존재하므로 이들 홈의 각 위치에서 스프링 상수는 덜 감소되어 탄성 밴드 단부의 방향을 따라 중앙부를 향해 유효 스프링 상수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사용자 코의 외벽 조직의 소정 당겨짐은 재료의 유형, 길이, 두께 및 너비에 의해 조절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밴드 단부 아래에 있는 압감성 접착제와 이 접착제에 부착되는 피부 사이에 발생하는 부적당한 박리력을 회피할 정도로 충분히 감소된다.Grooves may be further provided in series to extend closer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elastic band, and the depths of the groov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effect obtained by introducing continuous grooves that are shallower toward the middle is that the effective spring constant decreases stepwise along the two half lengths of each of the bands starting at the middle of the elastic band. The deepest grooves reduce the effective spring constant to the maximum, so placing them at the band end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reducing the band spring force and the peel force at the ends of the elastic band resulting from the movement of the skin beneath it. Since the other remaining deeper grooves are towards the center of the band, the spring constant at each position of these grooves is lessened, increasing the effective spring constant towards the center along the direction of the elastic band end. As a result, the desired pull of the outer wall tissue of the user's nose is controlled by the type, length, thickness and width of th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betwee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elow these band ends and the skin attached to the adhesive. Reduced enough to avoid inadequate peeling force.
제1 탄성 밴드(30a)와 제2 탄성 밴드(30b)는 기본재 스트립(18)의 제1면(28)에 계면 접착제의 제1 가용성 스트립(31a) 및 제2 가요성 스트립(31b)에 의해 결합된다. 제1 계면 접착제 스트립(31a)은 제1 단부(33a)와 제2 단부(34a)를 가진다. 제2 계면 접착제 스트립(31b)은 제1 단부(33b)와 제2 단부(34b)를 가진다. 계면 접착제의 제1 가요성 스트립(31a)과 제2 가요성 스트립(31b)은 도면에서 보듯이 제1 탄성 밴드(30a) 및 제2 탄성 밴드(30b)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지닌다.The first elastic band 30a and the second elastic band 30b are connected to the first soluble strip 31a and the second flexible strip 31b of the interfacial adhesive on the first side 28 of the base strip 18. Are combined by. The first interfacial adhesive strip 31a has a first end 33a and a second end 34a. The second interfacial adhesive strip 31b has a first end 33b and a second end 34b. The first flexible strip 31a and the second flexible strip 31b of the interfacial adhesive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first elastic band 30a and the second elastic band 30b as shown in the drawing.
제1 탄성 밴드(30a)는 접착제 스트립(31a)에 의해 중간부(24)의 제1 연부(32)에 인접한 기본재 스트립(18)에 부착된다. 제2 탄성 밴드(30b)는 제1 탄성 밴드(30a)와 평행하게 이격되고, 접착제 스트립(31b)에 의해 중간부(24)의 제2 가장자리(34)에 인접한 기본재 스트립(18)에 부착된다. 제1 탄성 밴드(30a)와 제2 탄성 밴드(3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향되고,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나란하며, 기본재 스트립(18)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계면 접착제 스트립(31a)(31b) 각각은 아크릴, 압감성 생체 적합성 트랜스퍼 테이프 접착제 재료(예,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인코오포레이티드에서 시판하는 3M 1509) 또는 아크릴, 압감성 생체 적합성 트랜스퍼 접착제 재료(예, 비탐 코오포레이숀에서 시판하는 1368B 및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인코오포레이티드에서 시판하는 1524)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elastic band 30a is attached to the base strip 18 adjacent the first edge 32 of the middle portion 24 by an adhesive strip 31a. The second elastic band 30b is spac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elastic band 30a and attached to the base strip 18 adjacent to the second edge 34 of the intermediate portion 24 by an adhesive strip 31b. do. The first elastic band 30a and the second elastic band 30b are oriented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strip 18. Each of the interfacial adhesive strips 31a and 31b is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biocompatible transfer tape adhesive material (e.g., 3M 1509 available from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c.) or acrylic, pressure sensitive biocompatible It is preferred that it is a transfer adhesive material (e.g., 1368B available from Vitam Co., Ltd. and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1524 available from Incorporated).
트러스(16)는 도면에 나타난 기본재 스트립(18)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지닌 제1 단부 영역(39), 제2 단부 영역(40) 및 중간부(47)를 갖는 가요성 스트립의 상면재(38)를 더 구비한다. 상면재 스트립(38)의 하부면(35)은 접착제 물질층(48)을 포함하고, 이 접착제 물질층은 제1 단부 영역(39) 및 제2 단부 영역(40)과 중간부(47)에 걸쳐서 연장한다. 접착제 물질(48)은 다공성의 아크릴 압감성 생체 적합성 접착제이다. 상면재 스트립(38)은 제1 탄성 밴드(30a) 및 제2 탄성 밴드(30b)와 기본재 스트립(18)의 제1면(28)을 커버하고, 접착층(48)에 의해 그위에 부착된다.Truss 16 is a top surface of a flexible strip having a first end region 39, a second end region 40, and an intermediate portion 47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base strip 18 shown in the figures. (38) is further provided. The lower surface 35 of the upper strip 38 includes an adhesive material layer 48, which is attached to the first end region 39 and the second end region 40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47. Extend over. The adhesive material 48 is a porous acrylic pressure sensitive biocompatible adhesive. The top strip 38 covers the first elastic band 30a and the second elastic band 30b and the first surface 28 of the base strip 18 and is attached thereon by an adhesive layer 48. .
트러스(16) 아래에 있는 피부 움직임에 의해 트러스가 구부러지는 경우에, 상면재 스트립(38)은 기본재 스트립(18)과 계면 접착제 스트립(31a 및 31b)으로부터 제1 탄성 밴드(30a) 및 제2 탄성 밴드(30b)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면재 스트립(38)은 확장기(10)의 설치 및 제거가 더 용이해지도록 기하학적으로 더 안정한 조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들의 주 평면에 더 견고한 재료를 제공함으로써 기본재 스트립(18)을 어느정도 제한한다. 상면재 스트립(38)은 그위에 제공된 접착제(48)(예,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인코오포레이티드에서 시판하는 3M 1533)를 지닌 다공성의 부직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truss are bent by skin movement under the truss 16, the top strip 38 is formed from the first elastic band 30a and the first strip from the base strip 18 and the interfacial adhesive strips 31a and 31b. 2 prevents the elastic band 30b from being separated. In addition, the top strip 38 provides some degree of the base strip 18 by providing a more rigid material in their main plane to provide a more geometrically stable combination to facilitat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dilator 10. Restrict. The top strip 38 is preferably a porous nonwoven material having an adhesive 48 provided thereon (eg,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3M 1533 available from Incorporated).
도2의 기본재 스트립(18)과 관련하여 더 살펴보면, 제2면(44)은 그위에 접착제 층(46)을 가지며, 접착제 층은 제1 단부 영역 및 제2 단부 영역(20 및 22)과 중간부(24)에 걸쳐서 연장된다. 접착제(46)는 다공성의 아크릴 압감성 생체 적합성 접착제이다. 도1에서 확장기가 사용되는 코(12)의 외벽 조직의 피부에 확장기(10)를 부착시키는데 접착제(46)가 사용된다. 기본재 스트립(18)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직물은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인코오포레이티드에서 시판하는 3M 1776과 같이 그위에 제공된 접착제(46)와 함께 입수할 수 있다.Looking further with respect to the base strip 18 of FIG. 2, the second face 44 has an adhesive layer 46 thereon, the adhesive layer having a first end region and a second end region 20 and 22. It extends over the middle part 24. Adhesive 46 is a porous acrylic pressure sensitive biocompatible adhesive. Adhesive 46 is used to attach the dilator 10 to the skin of the outer wall tissue of the nose 12 in which the dilator is used. Fabrics suitable for forming the base strip 18 are available with adhesive 46 provided thereon, such as 3M 1776, available from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c., Incorporated.
접착제(46)는 사용하기 전에 제1 릴리이즈 라이너(49)와 제2 릴리이즈 라이너(50)를 구비한 한쌍의 릴리이즈 라이너로 커버된다. 이들 릴리이즈 라이너는 기본재 스트립(18)의 제1 단부 영역부(20)와 제2 단부 영역부(22)에 있는 접착제(46)를 커버하고, 제1 릴리이즈 라이너(49)의 연장부(51)와 제2 릴리이즈 라이너(50)의 연장부(52)는 기본재 스트립(18)의 중간부(24)에 있는 접착제(46)를 커버한다. 제1 릴리이즈 라이너(49) 및 제2 릴리이즈 라이너(50)는 접착제(46)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된다.The adhesive 46 is covered with a pair of release liners with a first release liner 49 and a second release liner 50 before use. These release liners cover the adhesive 46 in the first end region 20 and the second end region 22 of the base strip 18 and the extensions 51 of the first release liner 49. ) And the extension 52 of the second release liner 50 cover the adhesive 46 at the intermediate portion 24 of the base strip 18. The first release liner 49 and the second release liner 50 are easily removed from the adhesive 46.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의 코(12)는 제1 비도(54), 제2 비도(56), 및 제1 비도(54)와 제2 비도(56) 사이에 연장되되 바깥쪽에 위치한 콧마루(58)로 지칭되는 코(12)의 일부분을 포함한다. 도4는 비도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거의 없을 때의 호흡 주기에서 비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비도와 관련된 질병과 비도 손상이 없는 사람의 비도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비도(54 및 56)는 비교적 개방되어 있으며, 공기가 통과하기 용이하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human nose 12 extends between the first nasal passage 54, the second nasal passage 56, and the first nasal passage 54 and the second nasal passage 56. And a portion of the nose 12 referred to as a snorkel 58 located outward. Figure 4 shows the state of the nasal passages in the respiratory cycle when there is little air flow through the nasal passages, and shows the nasal passages of a person without diseases related to the nasal passage and the nasal passage. Thus, nasal passages 54 and 56 are relatively open and air is easy to pass through.
호흡 과정시 흡기의 정점에서, 코의 내부 압력은 약간 감소되어 코의 외벽이 약간 끌어당겨진다. 그러나, 비도 장애를 유발하는 비도 손상이 있거나, 또는 알레르기 반응 또는 병 때문에 기도 내층 조직의 종창이 있는 경우에는, 제1 기공(54) 및 제2 비공(56) 각각의 외측면에 있는 외벽 형성 조직(60 및 62)은 흡기시 호흡자가 더 큰 호흡을 시도하기 때문에 좁아진 기도를 통과하는 공기 속도가 증가하는 것 보다는 크게 공기압이 저하된다. 이후 외벽 조직(60 및 62)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도를 더 강하게 끌어 당기는 경향이 있고, 심지어 기도가 거의 막힐 정도로 붕괴되는 경우도 있다. 흡기 중 끌어 당겨진 외벽 조직(60 및 62)의 일부는 도1 및 도3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비도뼈 및 비골의 단부와 비도(54 및 56) 입구 사이에 위치한다. 그 결과, 외벽 조직(60 및 62)이 끌어당겨지면 코막힘이 일어난다. 이러한 코막힘 증세의 정도는 개개인의 비관이 얼마나 좁은지의 여부에 달려있다. 비강 확장기(10)는 이러한 코막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치료기로 제공된다.At the apex of inspiration during the breathing proces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nose is slightly reduced so that the outer wall of the nose is slightly attracted. However, if there is a nasal injury that causes nasal obstruction, or if there is a swelling of the airway lining tissue because of an allergic reaction or illness, the outer wall forming tissue on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first pore 54 and the second nostril 56 60 and 62 lower the air pressure significantly than increase the air velocity through the narrowed airway because the respirator attempts to breathe more during inspiration. The outer wall tissues 60 and 62 then tend to pull the nasal passages more strongly, as shown in Figure 5, and sometimes even collapse to an extent that the airway is almost obstructed. A portion of the outer wall tissue 60 and 62 drawn during inspiration is located between the end of the nasal bone and fibula and the inlet of the nasal passage 54 and 56 as shown by the dashed lines in FIGS. 1 and 3. As a result, nasal congestion occurs when the outer wall tissues 60 and 62 are attracted. The extent of this stuffy nose depends on how narrow your pessimism is. Nasal dilator 10 is provided as a treatment to solve this nasal congestion problem.
비강 확장기(10)를 사용할 때, 확장기는 제1 릴리이즈 라이너(49) 및 제2 릴리이즈 라이너(50)를 제거하여 접착제(46)를 노출시킨 다음, 이를 사용하여 코(12)의 외벽 조직(60 및 62) 위의 피부에 확장기를 부착시킨다. 도1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강 확장기(10)는 중간부(24)가 코(12)의 콧마루(58)를 가로지르고 제1 단부 영역(20) 및 제2 단부 영역(22)이 제1 비도(54) 및 제2 비도(56)의 외벽 조직(60 및 62)에 각각 접촉하도록 접착제(46)를 사용하여 코(12)의 외피에 부착시켰다. 확장기(10)의 제1 단부 영역(20) 및 제2 단부 영역(22)과, 중간부(24)에 위치한 접착제(46)에 의해, 단일체의 트러스 부재(16)는 코(12)의 외벽 조직(60 및 62)과 콧마루(58)에 부착된다.When using the nasal dilator 10, the dilator removes the first release liner 49 and the second release liner 50 to expose the adhesive 46 and then uses it to form the outer wall tissue 60 of the nose 12. And 62) attach the dilator to the skin of the stomach. As shown in FIGS. 1 and 6, the nasal dilator 10 includes a first end region 20 and a second end region 22 with an intermediate portion 24 crossing the nose 58 of the nose 12. The adhesive 46 was attached to the outer shell of the nose 12 so as to contact the outer wall tissue 60 and 62 of the first nasal passage 54 and the second nasal passage 56, respectively. By means of the first end region 20 and the second end region 22 of the dilator 10 and the adhesive 46 locat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24, the monolithic truss member 16 is the outer wall of the nose 12. Adheres to tissues 60 and 62 and groin 58.
코(12)의 적당한 위치에 비강 확장기(10)를 부착시키면, 제1 탄성 밴드(30a)와 제2 탄성 밴드(30b)의 양 단부는 서로를 향하여 평면 상태로 되돌아 가려는 경향이 있는 반발 탄성에 의해 외벽 조직(60 및 62)을 밖으로 당긴다. 이 밖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숨을 들이쉴 때 외벽 조직(60 및 62)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대항하므로써 이들 외벽 조직(60 및 62)의 위치를 안정하게 한다. 기본재(18), 계면 접착제(31a 및 31b) 및 상면재(38)의 가요성과, 제1 탄성 밴드와 제2 탄성 밴드(30a 및 30b)의 반발 탄성(이들은 비교적 두께가 얇은 것이 나타내는 정도의 가요성을 나타냄)은 모두 비강 확장기(10)를 착용자 개개인의 코 굴곡에 꼭 맞게 해주어서 사용하는 동안에 편안감을 제공한다. 또한, 비교적 두께가 얇은 탄성 밴드(30a 및 30b)는 트러스 부재(16)의 종방향 신장에 대한 축 비틀림 가요성을 향상시켜서, 착용자의 편안감을 증가시키고, 착용자의 코에 대한 접착제(46)의 접착력을 보존하는데 조력한다.Attaching the nasal dilator 10 in the proper position of the nose 12 causes both ends of the first elastic band 30a and the second elastic band 30b to be resilient to tend to return to a flat state toward each other. The outer wall tissues 60 and 62 are pulled out. The position of these outer wall tissues 60 and 62 is stabilized by countering the suction forces acting on the outer wall tissues 60 and 62 when inhaling this pulling force. Flexibility of the base material 18, the interfacial adhesives 31a and 31b, and the upper surface material 38, and the resilience of the first elastic band and the second elastic band 30a and 30b (these indicate that the thickness is relatively thin). Flexibility) all fit the nasal dilator 10 to the nose curves of the individual wearer to provide comfort during use. In addition, the relatively thin elastic bands 30a and 30b improve the axial torsional flexibilit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elongation of the truss member 16, thereby increasing the wearer's comfort and the adhesion of the adhesive 46 to the wearer's nose. Help to preserve adhesion.
또, 기본재 스트립(18)으로 제공된 스펀 레이스 직물 구조의 직물 스트립은 주로 플라스틱이지만, 어느정도 탄성을 지닌 것으로 제한되며, 기본재(18)의 두께 범위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 특성은, 스트립 탈적층력을 통해 퍼져나간다. 이 탈적층력은 (1) 탄성 밴드(30a 및 30b)의 정상 평면 상태로 되돌아 가려는 고유의 경향, (2) 탄성 밴드와 착용자의 코(12) 사이의 표면 구조의 차이, (3) 착용자의 피부 움직임(예, 코 동작) 또는 베개와 같은 외부 사물과의 접촉에 기인하여 코의 외벽 조직 및 트러스 부재(16)에 가해진 전단력, 인장력, 분리력 또는 박리력에 의해 외벽 조직(60 및 62)에 대한 단일체의 트러스 부재(16)의 변위때문에 발생된다. 이러한 탈적층력은 비강 확장기(10)가 착용자의 코(12)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게 하는 경향이 있다. 탈적층력을 분산시키면, 기본재 스트립(18)은 집중된 힘이 접착제(46)에 전달되어 착용자의 코(12) 피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계적 완충제로서 작용한다. 상기 탈적층력이 코(12)의 피부에 집중되는 경우에 확장기(10) 아래의 피부 부분에서 접착제(46)는 분리되어 착용자(14)는 가려움을 느끼게 되지만, 집중된 탈적층력을 전달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은 실질적으로 제거된다.In addition, the fabric strip of the spunlace fabric structure provided as the base strip 18 is mainly plastic, but is limited to have a certain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deform within the thickness range of the base 18. This deformation property spreads through strip delamination force. This delamination force is (1) the inherent tendency to return to the normal planar state of the elastic bands 30a and 30b, (2) the difference in surface structure between the elastic band and the wearer's nose 12, and (3) the wearer's The outer wall tissues 60 and 62 are applied to the outer wall tissues of the nose and the shear, tension, separation or peeling forces applied to the truss member 16 due to skin movement (e.g., nose movement) or contact with external objects such as pillows. This occurs because of the displacement of the single truss member 16 relative to the unitary body. This delamination force tends to inadvertently separate the nasal dilator 10 from the wearer's nose 12. Dispersing the delamination force, the base strip 18 acts as a mechanical buffer that prevents concentrated force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adhesive 46 and to the wearer's nose 12 skin. When the delamination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skin of the nose 12, the adhesive 46 is detached from the skin portion below the dilator 10 so that the wearer 14 feels itchy, but by transferring the concentrated delamination force. The phenomenon is substantially eliminated.
확장기(10)에 의해 제공된 확장력, 즉 트러스 부재(16)의 탄성 밴드(30a 및 30b)의 반발 탄성에 의해 외벽 조직(60 및 62)에 제공된 밖을 향하여 잡아당기는 힘의 범위는 5 g 내지 50 g 또는 그 이상이 적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확장력이 10 g 이하인 경우에, 통상 호흡시 코막힘 증세가 심한 대부분의 착용자에게는 부족하였다. 그러나, 코막힘 증세가 그다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확장기(10)에 의해 제공되는 확장력이 5 g 정도로 작아도 착용자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확장기의 확장력이 40 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전부는 아닐지라도 대부분이 어느정도 불편함을 느낀다.The range of forces pulled outwardly provided to the outer wall tissues 60 and 62 by the expansion force provided by the dilator 10, i.e. the resilience of the elastic bands 30a and 30b of the truss member 16, ranges from 5 g to 50 g or more was found to be suitable. If the dilatation force was 10 g or less, it was usually insufficient for most wearers with severe nasal congestion. However, if the symptoms of nasal congestion are not so severe, the wearer may obtain a positive effect even if the dilation force provided by the dilator 10 is as small as 5 g. If the dilator's expanding force exceeds 40 g, most, if not all, of the wearer feels somewhat uncomfortable.
따라서, 비강 확장기(10)는 적어도 탄성 밴드(30a 및 30b)의 홈(43a, 43b 및 43c)의 안쪽 위치에 있는 비도(54 및 56)의 외벽(60 및 62) 상에 통상 20 내지 30 g의 스프링 확장력을 제공하도록 제작된다. 이들 탄성 밴드 각각은 상기 전체값의 일부를 제공한다. 확장기(10)의 단부에 있는 홈들에서 스프링 확장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차로 감소되어 확장기(10)의 단부에서 생기는 박리력을 감소시킨다. 단일체의 트러스 부재(16)에 사용된 두 개의 탄성 밴드(30a 및 30b)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지니며, 유사하게 위치하고, 일정 크기의 홈(43a, 43b 및 43c)들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밴드(30a 및 30b) 각각은 확장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 위치에서 발생하는 총 스프링 확장력의 약 ½을 제공하지만, 너비와 길이를 달리하여 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확장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Thus, the nasal dilator 10 is typically 20-30 g on the outer walls 60 and 62 of the nasal passages 54 and 56 at least in the inner positions of the grooves 43a, 43b and 43c of the elastic bands 30a and 30b. It is manufactured to provide spring expansion force. Each of these elastic bands provides a portion of the overall value. The spring expanding force in the grooves at the end of the dilator 10 is gradually reduced as described above to reduce the peeling force occurring at the end of the dilator 10. The two elastic bands 30a and 30b used in the monolithic truss member 16 are generally the same size, are similarly located and have grooves 43a, 43b and 43c of constant size, so that the band ( 30a and 30b) each provide about ½ of the total spring expansion force occurring at each location along the length of the dilator 10, but may vary in width and length to vary the expansion force along the length of the nose.
도1 및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트러스 부재(16)는 기본재 스트립(18), 계면 접착제 스트립(31a 및 31b), 상면재(38)와 제1 탄성 밴드(30a) 및 제2 탄성 밴드(30b)로 구성되고, 트러스 부재의 한 단부는 제1 부채꼴 연부(70a)를 지니며, 반대쪽 단부는 제2 부채꼴 연부(70b)를 지닌다. 제1 부채꼴 연부(70a)는 기본재 스트립(18)의 제1 단부 영역(20)과 상면재(38)의 제1 단부 영역(39) 및 탄성 밴드(30a 및 30b)의 제1 단부(41a 및 41b)와 접착제 스트립(31a 및 31b)의 제1 단부(33a 및 33b)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부채꼴 연부(70b)는 기본재 스트립(18)의 제2 단부 영역(22)과 상면재(38)의 제2 단부 영역(40) 및 탄성 밴드(30a 및 30b)의 제2 단부(42a 및 42b)와 접착제 스트립(31a 및 31b)의 제2 단부(34a 및 34b)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부채꼴 연부와 제2 부채꼴 연부(70a 및 70b)는 유사하기 때문에, 이들 중 하나만 설명하여도 둘다를 이해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부채꼴 연부(70a)만을 설명하고자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6, the single truss member 16 includes a base strip 18, interfacial adhesive strips 31a and 31b, a top surface 38 and a first elastic band 30a and a second one. An elastic band 30b, one end of the truss member having a first sectoral edge 70a and the other end having a second sectoral edge 70b. The first fan-shaped edge 70a has a first end region 20 of the base strip 18 and a first end region 39 of the upper face 38 and a first end 41a of the elastic bands 30a and 30b. And 41b) and the first ends 33a and 33b of the adhesive strips 31a and 31b. The second scalloped edge 70b is the second end region 22 of the base strip 18 and the second end region 40 of the upper face 38 and the second end 42a of the elastic bands 30a and 30b. And 42b) and second ends 34a and 34b of adhesive strips 31a and 31b. Since the first fan-shaped edge and the second fan-shaped edge 70a and 70b are similar, only one of them can be understood to explain both, and only the first fan-shaped edge 70a will be described herein.
제1 부채꼴 연부(70a)는 후퇴(setback) 지점(76a)에 의해 분활되는 두 개의 돌출부(72a 및 74a)를 가진다. 돌출부(72a 및 74a)의 돌출 정도는, 트러스 부재(16)에 재료들을 일치시켜 합한 재료들의 연속 스트립으로부터 확장기(10)를 성형하기 위해 사용된 절단 다이에 의해 결정되며, 성형되는 확장기(10)에서 돌출부는 접착제 스트립(31a 및 31b)의 제1 단부들(33a 및 33b)에 각각 상응하는 탄성 밴드(30a 및 30b)의 제1 단부들(41a 및 41b)로 선택된다. 탄성 밴드의 돌출부는 최외곽선이므로, 연속 스트립에서 트러스 부재(16)를 다이 절단하는데 있어 탄성 밴드 재료는 조금도 낭비되지 않는다. 하나의 트러스 부재(16)에서 탄성 밴드의 돌출부는 다음 트러스 부재(16)의 돌출부와 꼭 들어 맞게 되므로, 이들 사이에서 재료를 잘라버릴 필요가 실질적으로 없어서, 제작 공정에서의 손실이 없다. 각 측면중 하나의 측면상에 있으며, 탄성 밴드에 포함된 돌출부로부터 후퇴부(76a) 및 탄성 밴드의 바깥선에 있는 재료에 기인하여, 인접한 트러스 부재 부분 사이를 각각 절단할 때 상기 재료는 조금 손실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 손실은 크게 감소되고, 또 탄성 밴드 재료의 손실이 거의 게거되었다. 따라서, 확장기의 말단까지 연장되는 연속 탄성 밴드를 사용하는 제작 공정에서 경제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The first sectoral edge 70a has two projections 72a and 74a that are divided by a setback point 76a.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protrusions 72a and 74a is determined by the cutting die used to form the dilator 10 from a continuous strip of materials that matched the materials to the truss member 16 and formed into the dilator 10. The protrusion at is selected as the first ends 41a and 41b of the elastic bands 30a and 30b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ds 33a and 33b of the adhesive strips 31a and 31b. Since the protrusion of the elastic band is the outermost line, no elastic band material is wasted in die cutting the truss member 16 in the continuous strip. Since the protrusion of the elastic band in one truss member 16 fits snugly with the protrusion of the next truss member 16, there is substantially no need to cut the material between them, so there is no lo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the material on the side of one of each side and the reinforcement 76a from the protrusion included in the elastic band and the outer line of the elastic band, the material is slightly lost when cutting between adjacent truss member portions, respectively. Will be. However, this material loss was greatly reduced, and the loss of elastic band material was almost eliminated. Therefore, economic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continuous elastic band extending to the end of the expander.
따라서, 확장기는 연속 제작 작업에서 불필요한 낭비없이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디자인의 확장기는 사용 중에 이들의 단부에서 부주의하게 벗겨지지는 않는다. 즉, 얼굴 움직임, 취침 중에 베개 같은 외적 요인에서 작용하는 힘 등에 의해 확장기는 착용자의 코 피부로부터 단부 영역이 탈적층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스프링 상수가 확장기의 대향하는 단부 각각에 대하여 크게 감소되기 때문이며, 이러한 현상은 확장기에 제공된 탄성 밴드(30a 및 30b)의 말단부를 향하여 홈(43a, 43b 및 43c)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러므로, 확장기의 길이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스프링 상수를 소정 수치로 조절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제작 공정에 의해 확장기가 제공된다.Therefore, the expander can be manufactured without unnecessary waste in the continuous production work. However, the dilators of the illustrated design are not inadvertently peeled off at their ends during use. That is, due to facial movements, forces acting on external factors such as pillows during bedtime, the dilator does not delaminate the end region from the wearer's nose skin. This is because the spring constant is greatly reduced for each of the opposing ends of the dilator, which occurs because there are grooves 43a, 43b and 43c towards the distal ends of the elastic bands 30a and 30b provided in the dilator. Therefore, the expander is provided by an efficient manufacturing process that can adjust the spring constant to a predetermined value at various positions along the length of the expander.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홈(43a, 43b 및 43c)이 탄성 스트립으로 절단되기 전에 접착제 스트립(31a 및 31b)을 사용하여 탄성 밴드(30a 및 30b)를 기본재 스트립(18)에 부착시키는 경우에, 기본재 스트립(18)은 상기 부착에 의해 탄성 밴드(30a 및 30b)의 어떠한 부분도 비교적 동일한 위치로 유지하고, 홈의 절개는 이들 탄성 밴드의 분리 지점이 다른 하나를 형성하는 한 계속해야 한다. 또한, 스트립 재료가 탄성 스트립의 한쪽 면으로부터 밖을 향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절개 작용이 홈 아래의 기본재 스트립(18) 부분을 절단시켜야만 하는 경우에도 그러하다. 홈을 절개하기 전에 탄성 밴드(30a 및 30b)를 부착시키는 경우에 이러한 보유 작용은 표면제 스트립(38)에 의해 보충되어, 홈 절개는 상기 상면재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이들 탄성 밴드 중 한쪽 면을 지나 상기 스트립이 연장되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2, the elastic bands 30a and 30b are attached to the base strip 18 using adhesive strips 31a and 31b before the grooves 43a, 43b and 43c are cut into elastic strips. In this case, the base strip 18 retains any part of the elastic bands 30a and 30b by the attachment in a relatively identical position, and the incision of the grooves continues as long as the separation points of these elastic bands form another one. Should be. This is also the case when the cutting action must cut the portion of the base strip 18 below the groove because the strip material extends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elastic strip. In the case of attaching the elastic bands 30a and 30b before cutting the groove, this retention action is supplemented by the surface strip 38 so that the groove incision is made through the top face, which is one of these elastic bands. This is because the strip extends beyond.
그러나, 확장기(10)에 기본재 스트립(18)과 상면재 스트립(38)을 제공함으로써 확장기를 제작하는데는 부가의 비용이 추가된다. 이들 비용은, 다공성(수분 증발를 돕기 위해 밴드에 작은 구멍을 뚫은 경우에 필요함,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불필요함)의 아크릴 압감성 생체 적합성 접착제가 한면에 부착된 단일체 구조를 형성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확장기(10)를 탄성 밴드 재료만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회피할 수 있는 비용이다. 상기 접착제는 착용자의 코에 얻은 확장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제공하고, 확장기를 착용자의 코(12)에서 부주의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탈적층력을 분산시키는 데 조력한다. 그러나, 접착제에 의한 탈적층력의 분산은 상기 확장기를 형성하는 탄성 재료에 형성된 홈이 제공되지 않는 한 불충분하다.However, additional costs are added to fabricating the dilator by providing the base strip 18 and the top strip 38 to the dilator 10. These costs can be achieved by using a material that forms a monolithic structure with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biocompatible adhesive attached to one side of a porous (required if a small hole is drilled in the band to aid evaporation of moisture, otherwise unnecessary). 10) is a cost that can be avoided when fabricating only with elastic band material. The adhesive provides an attachment means for attaching the dilator obtained to the wearer's nose and assists in dispersing a delamination force that may inadvertently detach the dilator from the wearer's nose 12. However, the dispersion of the delamination force by the adhesive is insufficient unless a groove formed in the elastic material forming the dilator is provided.
홈이 확장기 전체에 걸쳐 연장되더라도 확장기의 나머지 부분 또는 탄성 밴드의 단부를 보존하는 하나의 가능한 홈 배열은, 확장기의 본체를 형성하는 탄성 재료 밴드의 면들 중 하나에 도달하지 않도록 밴드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은 단부들 사이에 있는 홈의 측면에 밴드의 상응한 면 사이에 일부를 남긴다. 물론, 홈과 밴드의 각면 사이에 잔존하는 밴드 재료는 상당히 감소된 스프링 상수를 나타내므로, 확장기의 상응하는 단부에 존재하는 외향력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확장기의 단부가 착용자의 피부에서 박리되는 경향이 저하된다. 그러나, 남은 밴드 재료는 여전히 확장기와 확장기 단부 부분 홈들 각각과 상응하는 대향 단부 연부 사이의 밴드 부분에 보유되므로 홈이 밴드를 통해 완전히 절단된다하여도 기본재 스트립 또는 상면재 스트립에 대한 필요성은 없다.One possible groove arrangement that preserves the rest of the dilator or the end of the elastic band even though the groove extends throughout the dilator forms a groove in the band such that it does not reach one of the faces of the elastic material band forming the body of the dilator. will be. Thus, this arrangement leaves a part between the corresponding sides of the band on the side of the groove between the ends. Of course, the band material remaining between the groove and each side of the band exhibits a significantly reduced spring constant, reducing the outward force present at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dilator, resulting in the end of the dilator peeling off the wearer's skin. Is lowered. However, the remaining band material is still retained in the band portion between each of the dilator and the dilator end portion grooves and the corresponding opposite end edge, so there is no need for a base strip or a face strip, even if the groove is cut completely through the band.
환언하면, 홈과 밴드 또는 확장기의 측면 사이에 남아 있는 밴드 재료는 홈을 넘어 밴드의 단부에 보유되고, 매우 잘 구부러져서 끝 가장자리에서 박리력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구부림을 통해 박리력을 전단력으로 전환시키고, 전단력은 착용자의 코의 피부에 확장기를 부착시키는 접착제에 의해 더욱 잘 억제된다. 확장기의 탄성 밴드에 있는 홈은 밴드 그 자체에서 통상 동시에 절개되고, 탄성 재료의 다이 절단은 각각의 홈과 밴드의 측면 사이에 잔존하는 물질의 양을 소량으로 만든다. 밴드와 홈들은 밴드면을 덮고 있는 접착제로부터 대향면까지 잘라서 홈 측벽과 밴드의 표면을 덮고 있는 접착제가 임의의 둔각으로 만나 착용자의 피부 위에 배치되는 날카로운 모서리가 생기지 않게 하여, 다른 면 절단하더라도 상기 결과를 얻는다.In other words, the band material remaining between the groove and the side of the band or dilator is retained at the end of the band beyond the groove and bends very well to reduce the peel force at the end edge, which converts the peel force into shear force through this bending. And the shear force is better suppressed by an adhesive that attaches the dilator to the skin of the wearer's nose. The grooves in the elastic band of the dilator are normally cut simultaneously in the band itself, and die cutting of the elastic material makes a small amount of material remaining between each groove and the side of the band. The bands and grooves are cut from the adhesive covering the band face to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groove sidewalls and the adhesive covering the surface of the band meet at an obtuse angle and do not produce sharp edges placed on the wearer's skin, even if the other cut is made. Get
홈은 밴드에 슬릿 절개하기 전 또는 직전에 단순히 "V" 형태로 밴드에 절개될 수 있으나, 밴드에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대신 매우 넓은 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너비는 밴드의 너비보다는 좁다. 즉, 도7에 도시한 확장기의 하부면과 같이 밴드에 신장된 홀 형태의 홈을 가질 수 있다. 확장기(10)는(도7에서 점으로 나타냄) 다공성의 아크릴 압감성 생체 접합성 접착제(81)를 갖는 단일의 탄성 밴드 스트립(8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는 착용자 코에 사용하는 동안에 하부면이 되는 곳에 코팅된다. 탄성 밴드(80)는 밴드(30a 및 30b)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탄성 중합체 재료(전술한 바와 같은 산업용 등급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MYLAR(등록 상표) Type A)로 형성되고, 밴드의 너비는 밴드의 가장 좁은 부분인 중간부에서 약 0.375 인치이고, 중간부를 지나 단부에서 약간 넓어지고, 아마도 너비가 증가되었으므로 동일한 유효 스프링 상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소 얇아진다.The groove may be simply cut into the band in the form of a "V" just before or just before the slit incision in the band, but instead of extending entirely throughout the band, a very wide groove may be used, the width of which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band. That is, as shown in the lower surface of the dilator shown in Figure 7 may have a groove-shaped groove extending in the band. The dilator 10 (indicated by the dots in FIG. 7) is formed of a single elastic band strip 80 having a porous acrylic pressure sensitive biobonding adhesive 81, which adhesive is formed on its underside during use on the wearer's nose. Where it is coated. Elastic band 80 is formed of the same elastomeric material (industrial grade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as described above, such as MYLAR® Type A) as used in bands 30a and 30b, and the width of the band Is about 0.375 inches in the middle of the narrowest part of the band, slightly wider at the end past the middle, and perhaps slightly increased in order to maintain the same effective spring constant as the width is increased.
한쌍의 신장형 개구(82), 또는 홀은 접착제(81)와 탄성 밴드(80)를 통해 밴드(80)의 동일 부분 사이에 효과적인 분리부를 형성하는 넓은 홈으로 제공되고, 신장형 개구는 밴드의 측면에 닿을 정도로 신장되지는 않으며, 밴드의 대향 단부 연부에 위치한다. 개구가 밴드를 완전히 통과하여 밴드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밴드의 둘러싸여진 안쪽 부분을 완전히 분리시키는 것으로 보여도, 개구(82)는 밴드(80)의 전체 방향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다. 밴드(80) 전체에 연장되는 것이 대부분일지라도, 예비 충전 홀(82)은 이들을 제거할 필요 없이 적소에 놓일 수 있다. 이들이 어떤 형태건, 개구(82)는 밴드(80)의 남아있는 중앙부와 개구(82)의 대향면에 있는 이의 단부 부분을 실질적으로 분리시킨다. 또한, 탄성 밴드(80)는 상당한 면적, 또는 밴드 전체(도시하지 않음)에 걸쳐 다수개의 작은 개구로 천공되어 밴드 아래에 있는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The pair of elongated openings 82, or holes, are provided with a wide groove that forms an effective separation between the adhesive 81 and the same portion of the band 80 through the elastic band 80, the elongated openings It is not elongated to reach the side and is located at the opposite end edge of the band. Although the opening appears to completely pass through the band and completely separate the enclosed inner portion of the band from the rest of the band, the opening 82 need not extend in the entire direction of the band 80. Although predominantly extending throughout the band 80, the preliminary filling holes 82 can be placed in place without having to remove them. Whatever they are, the opening 82 substantially separates the remaining central portion of the band 80 and its end portion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pening 82. In addition, the elastic band 80 may be drilled into a number of small openings over a significant area, or throughout the band (not shown) to help evaporate moisture under the band.
개구(82)의 단부와 밴드(80)의 측면 사이에 남아있는 재료부(83)는 단부 부분(84)을 보유하며, 각각은 상응하는 개구(82)와 밴드(80)의 대향 단부 연주 근처에 위치한다. 재료부(83)에 의해 단부 부분(84)은 개구(82)가 밴드(80)를 완전히 관통하더라도 보존될 것이다. 잔여 재료부(83)는 단부 부분(84)을 밴드(80)의 중앙부에 비해 비교적 쉽게 구부려질 수 있게 하여, 단부에서 외향력이 크게 발생하지 않고도 사용자 코의 측면의 윤곽선을 따라 이들 단부 부분이 부착되게 한다. 이러한 배열은 이들 단부 부분(84)의 바깥쪽 단부의 큰 박리력을 접착제(81)에 의해 크게 억제되는 전단력으로 효과적으로 변환시킨다.The material portion 83 remaining between the end of the opening 82 and the side of the band 80 has an end portion 84, each near the opposite end playing of the corresponding opening 82 and the band 80. Located in The end portion 84 by the material portion 83 will be preserved even if the opening 82 completely passes through the band 80. Residual material portion 83 allows the end portion 84 to bend relatively easily compar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band 80, so that these end portions are along the contour of the side of the user's nose without significant outward forces occurring at the ends. To be attached. This arrangement effectively converts the large peel force at the outer ends of these end portions 84 into shear forces that are greatly suppressed by the adhesive 81.
도8은 도7의 확장기(10)를 사람의 얼굴(14) 중 코 부분(12)에 배치한 것으로, 확장기는 통상 전술한 확장기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7 및 도8에 도시한 균질한 단일체 확장기는 단지 하나의 개구(82)만을 가지며, 이 개구는 스트립(80)의 대향 단부 근처에 각각 위치하여 그 위치에서 유효 스프링 상수를 감소시켜 스트립의 대향 단부에서 감소된 외향력을 제공한다. 별법으로, 일련의 개구, 또는 넓은 홈이 스트립(80)의 대향 단부 근처에 각각 제공되어 그 위치에서 유효 스프링 상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개구는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 보다 길게 신장되어 변화를 덜 갑작스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상수의 분산 감소는 개구의 단부와 밴드의 측면 사이에 어느정도 재료를 남기는 길이를 다르게 하기 위해 일련의 개구를 선택함으로서 소정 분산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일련의 개구 중에서 밴드(80)의 중앙에 가장 가까운 개구(82)는 가장 짧고, 밴드(80)의 단부를 향하는 개구들은 더 길어져서 스프링 상수의 효과적인 감소는 밴드의 중앙을 향하여 최대 수치에서 아래를 향하여 작아진다.FIG. 8 shows the dilator 10 of FIG. 7 disposed in the nose portion 12 of the face 14 of the person, and the dilator is usually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dilator described above. The homogeneous monolithic dilators shown in Figures 7 and 8 have only one opening 82, each of which is located near the opposite end of the strip 80 to reduce the effective spring constant at that location to oppose the strip. Provides reduced outward force at the end. Alternatively, a series of openings, or wide grooves, may each be provided near the opposite end of the strip 80 to reduce the effective spring constant at that location, with the opening extending longer along the length of the strip to lessen the change. Can be done. This reduction in spring constant dispersion can be achieved by selecting a series of openings to vary the length of material leaving some material between the end of the opening and the side of the band. Thus, of the series of openings, the opening 82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band 80 is the shortest and the openings toward the end of the band 80 are longer so that an effective reduction of the spring constant is at the maximum value towards the center of the band. It becomes smaller toward the bottom.
도9,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개구(82) 또는 홈은 스프링 상수를 감소시키는 다양한 변형 형태로 제조된 것으로, 이들은 도7 및 도8의 개구(82)를 신장형 개구로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9에서 확장기(10)는 도7 및 도8에서 도시한 것과 다른 형태의 개구 또는 절개를 통한 홈을 제공하는 바, 개구는 신장형 개구, 또는 단부가 둥근 직사각형이라기 보다는 대칭적으로 둥근 홀(82')이다.The openings 82 or grooves shown in Figs. 9, 10 and 11 are manufactured in various modifications to reduce the spring constant, which do not limit the openings 82 of Figs. . Thus, in FIG. 9, the dilator 10 provides a groove through an opening or incision that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S. 7 and 8, wherein the opening is symmetrically round rather than an elongated opening, or a rectangular rounded end. Hole 82 '.
도10 및 도11은 확장기(10)의 중앙부와 단부 부분 사이에 홈을 형성하는 실질적인 분리부로서 넓은 개구라기 보다는 홈으로 각각 한쌍의 커트 슬릿(cut slit)을 도시한다. 도10은 한쌍의 슬릿 개구(82")을 도시하고 있고, 이 슬릿 개구는 밴드의 중앙에 가장 근접한 면을 따라 밴드(80)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된 원형 부분의 내부를 남기기 위하여 도9의 개구(82')의 원형 단부 부분의 ½을 넘는 원형 부분(그러나, 타원형 또는 기타 폐쇄 곡선은 아님)을 지닌다. 슬릿 개구(82")는 이의 단부가 밴드(8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밴드의 측면에서 슬릿의 단부로부터 균열 전달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형부의 반을 지나 연속된다.10 and 11 show a pair of cut slit into the grooves rather than a wide opening as a substantial separation forming grooves between the central and end portions of the dilator 10. FIG. 10 shows a pair of slit openings 82 ", which slit openings leave the interior of the circular portion attached to the rest of the band 80 along the side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band. It has a circular portion (but not an elliptical or other closed curve) of more than one half of the circular end portion of 82 '. The slit opening 82 "has its end spaced from the side of the band 80 so that the side of the band In order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crack transfer from the end of the slit is continued past half of the circular part.
별법으로, 도11에서 직선을 지닌 슬릿은 밴드(80)를 절개한 실질적인 분리부이지만, 이의 각 단부에 작은 원형 개구를 구비하여 한쌍의 개구(82'")가 제공되고, 이 원형 개구부는 슬릿의 단부로부터 밴드(80)의 측면까지 균열의 성장을 방지한다. 이러한 균열 성장은, 사용 중에 일어나기 보다는 대개 이들 개구를 확장기(10)에 다이 절단하는 동안 발생하는 데, 그 이유는 확장기 각각은 단지 한 번만 사용하므로, 남은 재료부(83)를 구부리는 것은 비교적 적게 반복되기 때문이다.Alternatively, the straight slit in FIG. 11 is a substantial separation that cuts the band 80, but each end thereof has a small circular opening to provide a pair of openings 82 '", which circular slit Prevents the growth of cracks from the end of the band 80 to the side of the band 80. Such crack growth usually occurs during die cutting of these openings into the dilator 10 rather than occurs during use, because each of the dilators is merely This is because the bending of the remaining material portion 83 is repeated relatively little since it is used only once.
또한, 홈 또는 광폭(broader) 개구를 사용하여 탄성 밴드(80)의 길이 방향 및 횡 방향의 가요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 도 7, 9, 10 및 11의 확장기(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밴드(80)의 대향 단부 각각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가요성도 제공한다. 따라서, 도12는 도7의 확장기(10)와 같이 탄성 밴드(80)의 중앙 잔여부로부터 단부 영역(84)을 실질적으로 분리시키는 한쌍의 신장형 개구(82)뿐만아니라, 길이 방향 개구(85)도 나타내고 있는 바, 상기 길이 방향 개구는 개구(82)와 교차하여 개구(82)를 넘어 그 뒤까지 연장되어 확장기(10)의 길이에 거의 닿을 정도이며, 따라서, 밴드(80)의 측면부를 실질적으로 분리시킨다.In addition, grooves or broader openings can be used to increase the flexibility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of the elastic band 80, as shown in the dilator 10 of FIGS. 7, 9, 10 and 11. Likewise, flexibi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each of the opposite ends of the elastic band 80 is also provided. Thus, FIG. 12 shows a longitudinal opening 85 as well as a pair of elongated openings 82 that substantially separate the end region 84 from the central remainder of the elastic band 80, such as the dilator 10 of FIG. ), The longitudinal opening intersects with the opening 82 and extends beyond the opening 82 to almost reach the length of the dilator 10 and thus the side portion of the band 80. Substantially separate.
그 결과, 잔여 재료부(86)은 길이 방향 개구부(85)의 단부들과 이에 대응하는 확장기(10)의 대향 단부 연부 사이에 제공된다. 확장기(10)의 대향 단부 연부까지 거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 개구(85)의 존재에 의해 두 개의 측면부, 즉 길이 방향 서브밴드(87)가 생기고, 이 서브밴드(87)는 잔여 재료부(86)에서 서로에 대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구부러지게 되어 탄성 밴드(80)의 폭 방향 가요성을 증가시킨다. 사실상, 서브밴드(87)는 도2의 확장기(10)에서 탄성 밴드(30a 및 30b)의 기능과 거의 유사하다. 또, 확장기(10)의 저면도를 도12에 도시하여, 단부 영역(84)과 서브밴드(87)에서 탄성 밴드(80) 위에 존재하는 점으로 표시된 접착제(81)를 노출시켰다.As a result, the residual material portion 86 is provided between the ends of the longitudinal opening 85 and the opposite end edge of the corresponding dilator 10. The presence of a longitudinal opening 85 that extends almost to the opposite end edge of the dilator 10 results in two side portions, that is, the longitudinal subbands 87, in which the remaining material portions 86 are formed. Bends relatively easily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widthwise flexibility of the elastic band 80. In fact, the subband 87 is almost similar to the function of the elastic bands 30a and 30b in the dilator 10 of FIG. Further, the bottom view of the dilator 10 is shown in FIG. 12 to expose the adhesive 81 indicated by the points present on the elastic band 80 in the end region 84 and the subband 87.
도13은 도12의 확장기(10)를 사람의 얼굴(14)의 코(12)에 부착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2에서 확장기(10)는 전술한 확장기가 사용되는 코(12) 위치에 배치한다.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lator 10 of FIG. 12 is attached to the nose 12 of the face 14 of a person. In FIG. 12, the dilator 10 is placed in the nose 12 position where the dilator described above is used.
확장기(10)의 폭을 교차하는 가요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12의 확장기(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밴드(80)에 평행하는 길이 방향 개구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도14에 도시하였는 바, 도14의 확장기는 한쌍의 평행한 길이 방향 개구(85')를 지니고, 그 결과 탄성 밴드(80)에 세 개의 서브밴드(87')가 생기며, 길이 방향 개구(85') 각각은 대응하는 한쌍의 횡방향 개구(82'")의 부재 모두를 교차한다. 그 결과, 확장기(10)의 측면과 개구(82'") 사이에 두 개의 작은 잔여 재료부(83)가 제공되고, 확장기(10)의 각 말단에서 두 개의 개구(82'") 사이에는 더 작은 재료부(83')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 개구(85') 각각의 단부와 확장기(10)의 대향 단부 연부 사이에 두 개의 잔여 재료부(86')가 존재한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flexibility of crossing the width of the dilator 10, a longitudinal opening parallel to the elastic band 80 can be further used as shown in the dilator 10 of FIG. This case is shown in FIG. 14, where the dilator of FIG. 14 has a pair of parallel longitudinal openings 85 'resulting in three subbands 87' in the elastic band 80,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the openings 85 'intersects all of the corresponding pairs of lateral openings 82' ". As a result, two small residual material portions between the sides of the dilator 10 and the openings 82 '". 83 is provided, and a smaller material portion 83 'is formed between the two openings 82' "at each end of the dilator 10. Similarly, at each end of the longitudinal opening 85 ', There are two residual material portions 86 ′ between the opposite end edges of the dilator 10.
도12와 도13의 확장기(10)는 기본재 스트립을 아래에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확장기와 매우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고, 도12에 도시한 밴드(80) 형태와 같은 탄성 밴드(80)에 부착시키고, 상기 스트립은 탄성 밴드(80)에 부착되기 보다는 사용자의 코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상면재 스트립을 탄성 밴드(80) 위에 공급될 수 있고, 기본재 스트립 의 존재 유무에 무관하게 그위에 부착될 수 있다.The dilator 10 of FIGS. 12 and 13 can be manufactured very similarly to the dilator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base strip below, and is attached to an elastic band 80, such as the band 80 form shown in FIG. And the strip has adhesive for attaching to the user's nose rather than to the elastic band 80. Likewise, the top strip may be supplied over the elastic band 80 and attached thereon with or without the base strip.
이러한 배열의 분해도를 도15에 도시하였고, 도12에 도시한 탄성 밴드(80)의 형태를 사용하되, 그위에 위치한 접착제(81)를 제거하고 대신 착용자의 코(12)에 확장기를 부착하기 위하여 기본재 스트립(18')의 하부면을 사용하였다. 탄성 밴드(80)는 기본재 스트립(18')에 부착되고, 이 구조물은 상면재 스트립(38')을 지녀서 이들이 부착되어 균질하다기 보다는 이제 불균질한 단일체 확장기를 형성한다. 기본재 스트립(18')은 도2의 확장기(10)의 기본재 스트립(1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상면재 스트립(38')은 도2의 확장기(10)의 상면재 스트립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부품들을 단일체로 만들기 위하여 도2의 확장기(10)에 사용된 동일 유형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기본재 스트립(18')과 상면재 스트립(38')에 탄성 밴드(80)를 부착시킬 수 있다. 통상, 다공성의 아크릴 압감성 생체 적합성 접착제를 코팅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아크릴 압감성 생체 적합성 트랜스퍼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An exploded view of this arrangement is shown in FIG. 15, using the form of elastic band 80 shown in FIG. 12, to remove the adhesive 81 located thereon and instead attach the dilator to the wearer's nose 12. The bottom face of the base strip 18 'was used. An elastic band 80 is attached to the base strip 18 'and the structure has a top strip 38' so that they are now attached to form a homogeneous monolithic dilator rather than homogeneous. Base strip 18 ′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described in base strip 18 of dilator 10 of FIG. 2, and top strip 38 ′ is top surface of dilator 10 of FIG. 2. It can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sh strip. The same type of adhesive used in the dilator 10 of FIG. 2 may be used to attach the elastic band 80 to the base strip 18 ′ and the top strip 38 ′ to unite the parts. Usually, a porous acrylic pressure sensitive biocompatible adhesive can be used as a coating method, or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biocompatible transfer adhesive can be used.
별법으로, 확장기의 하부면에 접착제(81)를 구비한 도12의 확장기(10)는 도16의 분해도로 나타낸 배열로 상면재 스트립(38')을 탄성 밴드(80)에 부착시킬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탄성 밴드(80)는 상면재 스트립(38')을 사용하지 않고 하부재 스트립(18')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 도2의 확장기(10)에 사용된 접착제와 동일한 종류를 사용하여 부품들을 단일체로 만들 수 있다. 도15 및 도16의 확장기 구조물은 탄성 밴드(80)의 외곽 연부의 치수에 맞게 연장된 상면재 스트립(38') 또는 탄성 밴드(80)의 치수를 초과하여 밴드의 단부 연부를 넘어 연장되는 스트립 또는 밴드의 측부를 넘는 스트립 혹은 이들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도15의 확장기 구조물은 마찬가지로 탄성 밴드(80)의 외곽 연부의 치수에 맞게 연장된 하부재 스트립(18') 또는 탄성 밴드(80)의 치수를 초과하여 밴드의 단부 연부를 넘어 연장되는 스트립 또는 밴드의 측부를 넘는 스트립 혹은 이들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lator 10 of FIG. 12 having an adhesive 8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lator may be described above when the top strip 38 'is attached to the elastic band 80 in the arrangement shown in exploded view of FIG. Can be used as is. Likewise, the elastic band 80 can be attached to the lower strip 18 'without using the upper strip 38'. In addition, the same kind of adhesive used in the dilator 10 of FIG. 2 can be used to make the parts unitary. The dilator structures of FIGS. 15 and 16 extend beyond the end edge of the band beyond the dimensions of the top strip 38 'or elastic band 80 extending to the dimensions of the outer edge of the elastic band 80. FIG. Or strips beyond the sides of the band, or both. The dilator structure of FIG. 15 is likewise a strip or band extending beyond the end edge of the band beyond the dimensions of the lower strip 18 'or elastic band 80 extending to the dimensions of the outer edge of the elastic band 80. FIG. Strips over the sides of or both may be used.
탈적층력을 분산시키고 상면재 스트립의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하부재 스트립을 사용하는 장점이 탄성 밴드(80)의 사용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경우에 도7,9,10 및 11의 확장기(10)를 유사한 배열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17 및 도18은 도7의 탄성 밴드(80)를 사용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접착제(81)를 탄성 밴드(80)로부터 하부재 스트립(18')의 바닥에 이동시켜 착용자의 코에 부착시킨다. 이들 도면의 분해도에서, 탄성재 스트립(80)의 대향 단부에 개구(82)를 갖는 스트립은 하부재 스트립(18')과 상면재 스트립(38') 사이에 제공되고 부착된다. 도17에서 하부재 스트립(18')과 상면재 스트립(38')은 탄성 밴드(80)와 치수가 맞지만, 이들 스트립은 도18에서 도시한 구조물에서는 탄성 밴드(80)의 치수보다 크다.The arrangement of the expanders 10 of FIGS. 7, 9, 10 and 11 in a similar arrangement where the advantage of using the lower strip to disperse the delamination force and to stabilize the top strip is desirable with respect to the use of the elastic band 80. Can be provided as 17 and 18 illustrate the use of the elastic band 80 of FIG. 7, wherein the adhesive 81 is moved from the elastic band 80 to the bottom of the lower strip 18 'to the wearer's nose. Attach to In the exploded view of these figures, a strip having an opening 82 at the opposite end of the elastic strip 80 is provided and attached between the lower strip 18 'and the upper strip 38'. In FIG. 17, the lower strip 18 'and the top strip 38' are dimensioned with the elastic band 80, but these strips are larg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elastic band 80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또한, 도7,9,10 및 11에 도시한 확장기(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구조물에 사용된 임의의 형태의 탄성 밴드(80)에 대하여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구조물로부터 기본재 스트립(18')의 사용을 생략함으로써 착용자의 코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제(81)를 하부면에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단지 탄성 밴드(80)에 부착된 상면재 스트립(38')만을 남기고, 이러한 배열의 예를 도7의 탄성 밴드(80)를 사용하여 도19 및 도20에 나타내었다. 또, 도19는 탄성 밴드(80)의 외곽선 연부와 같은 치수를 갖는 상면재 스트립(38')을 도시하고 있고, 도20은 탄성 밴드(80)의 외곽선 치수보다 길이 및 폭이 모두 큰 상면재 스트립(38')을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dilator 10 shown in FIGS. 7, 9, 10 and 11 may be formed from the base material from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17 and 18 for any form of elastic band 80 used in these structures as described above. By omitting the use of the strip 18 ′, an adhesive 81 can be used on the bottom surface to adhere to the wearer's nose. This leaves only the top strip 38 'attached to the elastic band 80, an example of this arrangement is shown in FIGS. 19 and 20 using the elastic band 80 of FIG. 19 shows a top strip 38 'having the same dimensions as the outline edges of the elastic band 80, and FIG. 20 shows a top piece having both a length and a width larger than the outline dimension of the elastic band 80. FIG. The strip 38 'is shown.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구조물에서 상면재 스트립(38')을 생략할 수도 있으나, 하부재 스트립(18')을 사용하고, 이들 구조물에 사용된 도7,9,10 및 11의 탄성 밴드(80)에서 접착제(81)를 기본재 스트립(18')의 하부로 옮겨서 착용자의 코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의 분해도가 도21 및 도22이다. 도21 및 도22에는 도7의 탄성 밴드(80)를 사용하였고, 이 탄성 밴드(80)는 하부재 스트립(18')에 부착되며, 상기 하부재 스트립의 대향면에는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제가 존재한다. 도21에 도시한 하부 스트립(18')은 탄성 밴드(80)와 같은 치수를 가지지만, 도22에 도시한 하부재 스트립(18')은 탄성 밴드(80)의 길이 및 폭 치수 모두를 초과한다. 도2의 확장기(10)에 사용된 동일한 종류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17 내지 도22의 구조물에 사용된 부품들을 단일체로 만들 수 있다.Although the top strip 38 'may be omitted in the structures shown in Figures 17 and 18, the elastic bands of Figures 7, 9, 10 and 11 used in these structures, using the lower strip 18'. At 80, the adhesive 81 can be moved to the bottom of the base strip 18 ′ and attached to the wearer's nose. 21 and 22 are exploded views of this arrangement. 21 and 22, the elastic band 80 of FIG. 7 is used, and the elastic band 80 is attached to the lower strip 18 ', and the adhesive on the skin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lower strip is attached. exist. The lower strip 18 'shown in Figure 21 has the same dimensions as the elastic band 80, while the lower strip 18' shown in Figure 22 exceeds both the length and width dimensions of the elastic band 80. do. The same type of adhesive used in the dilator 10 of FIG. 2 may be used to unite the components used in the structures of FIGS. 17-22.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고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발명의 개요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시에 인체의 벽 조직들에 힘을 가했을때 그 조직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체결되어 있는 확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확장기는 한쌍의 이격된 단부면을 가지는 트러스(truss)를 포함하며, 이 트러스는 단부면들이 서로를 향하여 힘을 받으면 그것들을 분리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단부면에는 외벽 조직들의 노출면들을 충분히 결합시켜 복원력에 대항하여 결합된 채로 남아있게 하는 결합 수단이 부착되어 있다. 이 복원력은 트러스의 대향 단부들의 연부 사이 즉, 단부면에 인접하도록 연장된 소정 두께를 갖는 적어도 제1 탄성 밴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탄성 밴드는 내부에 그 두께의 적어도 ⅓을 초과하여 배치된 다수개의 홈(notch)들이 밴드 전체에 배치되도록 하므로써 홈이 위치한 곳에서 복원력이 감소되도록 한다. 홈은 상기 제1 탄성 밴드의 선택된 부분들 사이의 위치에서 분리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 분리부는 제1 탄성 밴드의 제1면과 교차하는 주변의 상응하는 분리부 연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들 홈은 트러스내의 탄성 밴드의 대향한 단부 연부 근처에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가장 깊고 큰 홈은 단부에 인접하고, 다른 홈은 트러스 중앙쪽을 향해 가면서 순차적으로 덜 깊고 작아진다. 제2 탄성 밴드는 제1 탄성 밴드로부터 완전히 이격되거나 또는 대부분 이격되도록 트러스 내부에 구비되어 그것의 단부 연부들 사이를 연장하면서, 내부에 홈을 함유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pander in which the tissues are fastened so that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wall tissues of the human body in use. The d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uss having a pair of spaced end faces that provide restoring force that separates the end faces as they are forced toward each other. The end face is fitted with a joining means which sufficiently engages the exposed surfaces of the outer wall tissues and remains engaged against restoring forces. This restoring force is provided in part by at least a first elastic b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extending between the edges of opposing ends of the truss, ie adjacent the end face. Here, the elastic band allows a plurality of notches disposed therein to be disposed over the band so as to have a restoring force at a location where the groove is located. The groove may have a separator at a position between selected portions of the first elastic band, which is surrounded by corresponding separator edges around the intersection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band. These groove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near the opposite end edges of the elastic bands in the truss, with the deepest and largest grooves adjoining the ends and the other grooves progressively less and deeper towards the center of the truss. The second elastic band is provided inside the truss so as to be completely or most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astic band and extends between its end edges, while containing a groove therein.
Claims (1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57445094A | 1994-12-15 | 1994-12-15 | |
US8/574,450 | 1994-12-15 | ||
US08/574,450 | 1995-12-15 | ||
PCT/US1996/019279 WO1997022314A1 (en) | 1995-12-15 | 1996-12-05 | Dilator peel force redu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4408A true KR20000064408A (en) | 2000-11-06 |
KR100493942B1 KR100493942B1 (en) | 2006-06-20 |
Family
ID=5981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4496A KR100493942B1 (en) | 1994-12-15 | 1996-12-05 | Nasal expander with low peel for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93942B1 (en) |
-
1996
- 1996-12-05 KR KR1019980704496A patent/KR10049394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93942B1 (en) | 2006-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19937B2 (en) | Peeling force reduction dilator | |
JP3616101B2 (en) | Dilator for outer structure of human anatomy | |
US5533503A (en) | Nasal dilator | |
US7114495B2 (en) | Nasal strip with variable spring rate | |
EP0912210B1 (en) | Nasal dilator with areas of adhesive engagement of varying strength | |
KR100258780B1 (en) | Nasal dilator | |
US6196228B1 (en) | Nasal dilator | |
US5931854A (en) | Nasal dilator | |
US8342173B2 (en) | Nasal dilator with cushion layer and variable spring rate | |
KR100493942B1 (en) | Nasal expander with low peel for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