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630A - 공동 계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동 계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630A
KR20000063630A KR1020000043230A KR20000043230A KR20000063630A KR 20000063630 A KR20000063630 A KR 20000063630A KR 1020000043230 A KR1020000043230 A KR 1020000043230A KR 20000043230 A KR20000043230 A KR 20000043230A KR 20000063630 A KR20000063630 A KR 20000063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terminal
providing
host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찬
Original Assignee
구준범
주식회사 이지컴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준범, 주식회사 이지컴손 filed Critical 구준범
Priority to KR102000004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630A/ko
Publication of KR20000063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6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이용자에게 다양한 사이트에 대한 단일한 접근 권한 및 접속 방식을 제공하여 이용자의 편리 및 비용절감을 구현하여 콘도미니엄 회원제와 비슷한 계정 재임대 영업을 그 실시 예로 하는 공동계정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용자는 어떠한 서비스를 이용할 때 그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사용권한을 획득하고 이용에 상응하는 요금을 내는 것으로, 본인이 사용중이 아니더라도 다른 사람이 사용하기에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사이트 또는 서비스의 계정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사이트에 이용자가 한번 가입한 후 이용하고자 하는 하나 혹은 패키지형태의 서비스이용권을 구매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면 개별 사이트에 이용자 본인이 직접 가입 후 이용하는 것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훨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동으로 계정을 관리하며 인터넷 이외의 다른 망에도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공동 계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다.

Description

공동 계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Group account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이용자들이 유료 사이트 혹은 서비스에 각각 개인적으로 가입하지 않고 이미 이용계정을 확보한 공동 계정 관리 사이트에 가입하고 이 사이트의 서비스를 이용하면 공동 계정 관리 사이트에서는 이용할 수 있는 계정을 순차적으로 자동 관리 확보하여 회원에게 제공함으로서 이용계정의 효율성을 높여 궁극적으로는 이용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를 기반으로 하는 계정 재임대업 및 유료, 무료사이트를 총괄 패키지화 하는 허브사이트의 구현을 그 실시 예로 하는 공동 계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용자가 유료 사이트 혹은 유료 서비스에 가입하면 사용량과 관계없이 일정기간이 지나면 이용료를 지불해야 했다.
또한 여러 가지 서비스 및 사이트에 한 두 번 만 접속 후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용자는 과도한 요금을 지불 해야 하는 불합리성이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은 필요한 때에만 접속을 하므로 계정을 공유하게 되면 여러사람이 하나의 계정으로 각각 다른 시간대에 사용하여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료사이트 혹은 유료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계정을 가지고 회원들에게 서비스하여 유료 계정의 사용을 극대화하고 회원들에게 요금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계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안출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방법을 이용하여 계정이용을 효율화하여 콘도미니엄 임대와 유사한 계정재임대업 방법을 근간으로 하는 유,무료 허브사이트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계정 사용여부 자동 체크 및 계정 부여 방법 및 해당 사이트 자동접속 서비스 및 이용자의 이용시간, 시간대 통계분석을 통한 계정의 효율적 사용을 관리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료 사이트 혹은 유료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계정을 발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유료 계정의 사용을 극대화하고 회원들에게 이용 요금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계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안출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공동 계정 시스템의 배경도이다.
도2는 공동 계정 시스템의 접속 단계도이다.
도3은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자동 접속하기 위한 스크립트의 예이다.
도4는 공동 계정 이용 흐름도이다.
도5는 스크립트를 이용한 접속 단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이용자 단말 200 : 공동 계정서버
300 : 서비스 호스트 400 : 타망 이용자 단말
500 : 타망 서비스 호스트 S100 : 공동 계정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S110 : 회원확인 단계 S120 : 할당가능 여부 단계
S130 : 계정을 사용하는 단계 S140 : 계정 반납하는 단계
S200 : 로그인 단계 S210 : 호스트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S220 : 접속 호스트를 요구하는 단계
S230 : 로그인 스크립트를 실행해보는 단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공동 계정 시스템의 배경도 이다.
도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회원들에게 공동 계정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들이 인터넷 상에서 공동 계정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이용자 단말(100)과,
인터넷 상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에 일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호스트(300)와,
기타 네트워크 망에서 회원들이 공동 계정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타망 이용자 단말(400)과,
기타 네트워크 망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에 일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망 서비스 호스트(500)와,
상기의 이용자 단말과 서비스 호스트등에 게이트웨이 역할 및 공동 계정관리를 하는 공동 계정서버(200)를 포함하는 공동 계정 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회원은 인터넷에서 다른 망으로 로그인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때에 서비스에 필요한 단말 서비스를 공동계정 서버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용자는 공동계정 사이트에 접속하고 접속 시에 회원의 아이디로 로그인하게 된다.
회원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사이트 혹은 서비스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는 해당 호스트명 혹은 사이트명이 선택 가능상태가 되는데,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을 시도하면 이때 공동 계정 서버는 기 구축된 서비스 이용 테이블에서 선택한 유휴 ID를 가지고 선택된 사이트 또는 호스트에 접속 스크립트 등의 방법을 통하여 선택한 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 만일 더 이상 사용 가능한 계정이 없으면 BUSY 사인을 회원에게 알려주고, 그 사용이 종료되면 이용한 계정을 유휴 계정으로 복원하여 재 사용이 가능토록 한다. 상기 BUSY 사인은 로그로 남아서 계정 관리자가 추후에 계정를 추가할 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한다.
도2는 공동 계정 시스템의 접속 단계도이다.
도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회원들에게 공동 계정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회원이 이용자 단말을 통하여 공동 계정 서버를 이용하기 위하여 공동 계정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S100)와,
공동 계정 서버에서 회원을 확인하는 회원확인 단계(S110)와,
회원이 선택한 서비스를 할당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할당가능 여부 단계(S120)와,
계정이 할당되면 계정을 사용하는 단계(S130)와,
계정을 사용하고 나서 반납하는 단계(S140)로 이루어진 공동 계정 제공 방법이 나타나 있다.
상기의 할당가능 여부 단계는 공동 계정 서버에서 확보한 다수의 계정을 가지고 현재 사용중인 것은 제외하고 접속이 가능한 ID를 스크립트로서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알아본 후에 할당을 해주는 것이다.
도3은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자동 접속하기 위한 스크립트의 예이다.
도3에서와 같이,
서비스 요청신호와 함께 공동 계정 서버에서 할당한 유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하거나, 서비스 제공 호스트와 약정된 접속 방법으로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접속한다. 이 과정에서 실패하면 계속 다음의 유휴 공동 계정으로 접속을 시도한다.
실시예로서 약 3초간을 기다렸다가 캐리지 리턴(CR) 혹은 라인 피드(LF)를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보낸다. 그리고 "Username:"이라는 스트링을 기다린 후 이미 공동 계정 서버에서 할당한 유저 ID를 가지고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접속한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호스트는 "Password:"라는 스트링을 보내는 데, 역시 이미 할당 받은 패스워드를 보내고 해당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접속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실패하면 계속 다음의 공동 계정을 가지고 접속을 시도한다.
상기는 스크립트 중에서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직접 접속을 하는 경우의 예를 든 것이며 이외에도 임의의 ID를 상기 호스트에서 사용중 인지 아닌지를 알아볼 수 있는 스크립트도 가능하다.
도4는 공동 계정 이용 흐름도이다.
도4는 이용자 단말에서 공동계정서버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접속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회원들에게 공동 계정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 단말에서 공동 계정 서버에 접속하는 로그인 단계(S200)와,
공동계정서버에서 이용자 단말에 접속 가능 호스트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S210)와,
이용자 단말에서 공동계정서버에 호스트를 선택하여 접속 호스트를 요구하는 단계(S220)와,
공동계정서버에서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가능한 ID로 로그인 스크립트를 실행해보는 단계(S230)와,
상기 로그인 스크립트를 실행해보는 단계(S230)에서 성공하면 이용자 단말에 호스트 ID를 할당하는 단계(S240)와,
이용자 단말이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접속한 후에 서비스를 요구하는 단계(S250)와,
서비스 제공 호스트가 상기 이용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260)와,
이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접속 종료를 하는 단계(S270)와,
상기 이용자 단말에서 사용한 ID를 반납하는 단계(S280)와,
이용자 단말이 공동계정 서버에서 로그 아웃 하는 단계(S290)와,
공동계정서버에서 이용자 단말에 접속종료신호를 보내는 단계(S300)로 이루어진 공동 계정 제공 방법이 도시 되어 있다.
도5는 스크립트를 이용한 접속 단계도 이다.
도5에 도시 된 것은,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물리적으로 접속하여 ID와 패스워드를 할당 받는 단계(S140)와,
로그인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로그인 스크립트를 실행단계(S420)와,
로그인 가능한 지를 파악하는 단계(S430)와,
상기에서 로그인이 가능하지 아니하면 다른 ID할당여부를 묻는 단계(S440)와,
상기에서 로그인이 가능하면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S450)와,
서비스 이용을 마친 후에 로그 아웃 하는 단계(S460)로 이루어진 공동계정 이용방법이 나타나 있다.
상기에서 스크립트는 직접 접속을 가능하게 해주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그 밖에도 스크립트의 종류에 따라서 할당 가능 여부만을 알려주는 스크립트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에서 로그인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알아보는 여부로만 사용할 수도 있다.
.

Claims (4)

  1. 회원들에게 공동 계정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들이 인터넷 상에서 공동 계정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이용자 단말(100)과,
    인터넷 상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에 일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호스트(300)와,
    기타 네트워크 망에서 회원들이 공동 계정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타망 이용자 단말(400)과,
    기타 네트워크 망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에 일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망 서비스 호스트(500)와,
    상기의 이용자 단말과 서비스 호스트등에 게이트웨이 역할 및 공동 계정관리를 하는 공동 계정서버(200)를 포함하는 공동 계정 시스템.
  2. 회원들에게 공동 계정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회원이 이용자 단말을 통하여 공동 계정 서버를 이용하기 위하여 공동 계정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S100)와,
    공동 계정 서버에서 회원을 확인하는 회원확인 단계(S110)와,
    회원이 선택한 서비스를 할당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할당가능 여부 단계(S120)와,
    계정이 할당되면 계정을 사용하는 단계(S130)와,
    계정을 사용하고 나서 반납하는 단계(S140)로 이루어진 공동 계정 제공 방법.
  3. 회원들에게 공동 계정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 단말에서 공동 계정 서버에 접속하는 로그인 단계(S200)와,
    공동계정서버에서 이용자 단말에 접속 가능 호스트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S210)와,
    이용자 단말에서 공동계정서버에 호스트를 선택하여 접속 호스트를 요구하는 단계(S220)와,
    공동계정서버에서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가능 한 ID로 로그인 스크립트를 실행해보는 단계(S230)와,
    상기 로그인 스크립트를 실행해보는 단계(S230)에서 성공하면 이용자 단말에 호스트 ID를 할당하는 단계(S240)와,
    이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접속한 후에 서비스를 요구하는 단계(S250)와,
    서비스 제공 호스트가 상기 이용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260)와,
    이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접속 종료를 하는 단계(S270)와,
    상기 이용자 단말에서 사용한 ID를 반납하는 단계(S280)와,
    이용자 단말이 공동계정 서버에서 로그 아웃하는 단계(S290)와,
    공동계정서버에서 이용자 단말에 접속종료신호를 보내는 단계(S300)로 이루어진 공동 계정 제공 방법.
  4. 회원들에게 공동 계정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호스트에 물리적으로 접속하여 ID와 패스워드를 할당 받는 단계(S140)와,
    로그인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로그인 스크립트를 실행단계(S420)와,
    로그인이 가능한 지를 파악하는 단계(S430)와,
    상기에서 로그인이 가능하지 아니하면 다른 ID할당여부를 묻는 단계(S440)와,
    상기에서 로그인이 가능하면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S450)와,
    서비스 이용을 마친 후에 로그 아웃 하는 단계(S460)로 이루어진 공동계정 제공 방법.
KR1020000043230A 2000-07-26 2000-07-26 공동 계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63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230A KR20000063630A (ko) 2000-07-26 2000-07-26 공동 계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230A KR20000063630A (ko) 2000-07-26 2000-07-26 공동 계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630A true KR20000063630A (ko) 2000-11-06

Family

ID=1968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230A KR20000063630A (ko) 2000-07-26 2000-07-26 공동 계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6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800A (ko) * 2019-08-26 2021-03-08 장효준 아이디 공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57886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피치그로브 개인 간 온라인 거래의 중개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800A (ko) * 2019-08-26 2021-03-08 장효준 아이디 공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57886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피치그로브 개인 간 온라인 거래의 중개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9562B2 (en) Service level agreements and management thereof
US11792115B2 (en) Interfaces to manage inter-region connectivity for direct network peerings
CN1649324B (zh) 操作带有代理的开放api网络的方法和装置
US8738741B2 (en) Brokering network resources
KR100246608B1 (ko) 웹 인포샵 서비스 시스템의 대체 인증 및 대체 과금 방법
CN109194760A (zh) 业务处理方法、网络系统及服务器
EP1331788A2 (en) Contents delivery network service method and system
JP2003533077A (ja) 遠隔通信またはインターネットシステムにアクセス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612045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6375442B (zh) 一种跨平台管理设备信息的方法和装置
AU8195098A (en) Communications network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20090079198A (ko) 제한된 리소스 분배 시스템 및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2002141936A (ja) 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れを構成する装置
CN102868770A (zh) 一种分配接口的方法、设备及系统
CN111901440A (zh) 一种多通道消息推送方法及装置
US200200622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ing a transaction about an access providing and fee-charging
WO2000068862A1 (en) A communications network access method and system
KR20000063630A (ko) 공동 계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09355B1 (ko) 단일계정을 이용한 다수 정보제공자로의 접속 방법
JP2002278927A (ja) 分散型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分散型アクセス制御方法、並びに携帯電子機器端末、ロードバランサ装置
KR100798951B1 (ko) 모바일 접속 브로커
US20020154643A1 (en) Network communication service control apparatus
KR20120043864A (ko) 접속시설정보를 이용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7668A (ko) 대기데이터 기반의 비과금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25329A (ko) 회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