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875A - Pipe joint - Google Patents

Pipe j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875A
KR20000062875A KR1020000012930A KR20000012930A KR20000062875A KR 20000062875 A KR20000062875 A KR 20000062875A KR 1020000012930 A KR1020000012930 A KR 1020000012930A KR 20000012930 A KR20000012930 A KR 20000012930A KR 20000062875 A KR20000062875 A KR 20000062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joint
ring
tub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17668B1 (en
Inventor
이케우찌마사토
사카토지로
시로가네카쯔히코
카지카와토시카즈
야마모토순지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 준노스께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 준노스께,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까와 준노스께
Publication of KR20000062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8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668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의 끝부분에 가공을 행하는 일없이, 관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간하게 관을 접속할 수 있는 관조인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관을 접속하는 관조인트로서, 통형상의 조인트본체와, 이 조인트본체의 다른쪽의 끝부분내에, 상기 조인트본체밖으로 일부가 돌출하도록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상기 관의 끝면이 맞부딪치는 맞닿는 부분을 가진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상기 조인트본체밖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외주에 확경된 상태에서 유지된, 탄성을 가진 O링과, 한끝쪽이 상기 조인트본체의 다른쪽의 끝부분의 외주에 장착되고, 중간부분에 상기 O링의 수납부를 가지고, 다른끝쪽에 상기 O링의 빠짐방지부분을 가진 단말통체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통체의 개구로부터 관을 삽입하면, 상기 슬리브가 맞닿는부분에 있어서 상기 관에 밀려서 상기 조인트본체내에 밀려들어가고, 이에 의해서 상기 O링은 상기 슬리브로부터 빠지는 동시에, 축경해서, 상기관의 외주에 밀접하도록 구성되는 관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joint which can be easily connected to a pipe by simply inserting the pipe without processing the end of the pipe, and as a solution means, a pipe joint for connecting a pipe. A sleeve having a tubular joint body and a slidably fit within the other end of the joint body so that a part thereof protrudes out of the joint body, and an abutting portion in which the end face of the tube abuts; An elastic O-ring retained in a circumferential stat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ortion protruding out of the joint body of the sleeve, and one end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ther end of the joint body, and the O-ring in the middle portion And a terminal cylinder having a receiving portion of the terminal and having an anti-falling portion of the O-ring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inserting a tube from the opening of the terminal cylinder, the sleeve abuts. The portion is pushed into the tube pushed into the joint body, whereby said O-ring is by one at the same time being characterized in that from the sleeve, the shaft diameter to the tube is configured to clos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gine joint.

Description

관조인트{PIPE JOINT}Pipe joint {PIPE JOINT}

본 발명은, 관의 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관조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joint that can easily connect a pipe.

도 29에 종래의 관조인트의 일예를 표시한다. 이 관조인트는, 나선파형관(螺旋波形管)(도시생략)과 직관(直管)(10)을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참조수자(12)는 조인트본체, (14)는 고무와 강철로 구성된 SR패킹, (16)은 둘레방향의 일부에 노치를 형성해서 축경(縮徑)가능케한 강철제의 커트링, (18)은 단말통체이다.29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ipe joint. This pipe joint is for connecting the spiral wave pipe (not shown) and the straight pipe 10. Reference numeral 12 is a joint body, 14 is SR packing made of rubber and steel, 16 is a cut ring made of steel, which is formed by notching in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18) Is the terminal flow.

조인트본체(12)는, 나선파형관이 비틀어넣어지는 파형통부분(20)과, 외주면에 숫나사를 가진 숫나사통부분(22)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숫나사통부분(22)의 끝면은 선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24)로 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24)에 SR패킹(14)의 끝부분의 테이퍼면이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 단말통체(18)은, 한끝쪽이 상기 숫나사통부분(22)과 나사결합하는 암나사통부분(26)으로 되어있고, 다른쪽끝의 안둘레면이 끝부분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28)으로 되어있는 것이다.The joint body 12 integrally forms a corrugated cylindrical portion 20 into which a spiral wave tube is twisted, and a male cylindrical portion 22 having a male screw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end face of the male barrel portion 22 is a tapered surface 24 whose inn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tip, and the tapered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SR packing 14 abuts on the tapered surface 24. In addition, the terminal body 18 has a female threaded portion 26, one end of which is screwed with the male screw portion 22, and a tapered surface of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other end decreases toward the end. 28).

이 관조인트의 파형통부분(20)에는, 나선파형관을 비틀어넣어 접속된다. 그후, 반대쪽에서 직관(10)을 삽입해서, 단말통체(18)를 나사조임하면, 테이퍼면(28)과 (24)에 의해서 커트링(16)과 SR패킹(14)이 함께 축경되어, 직관(10)을 꽉죈다. 커트링(16)의 꽉죔에 의해 직관(10)은 빼낼 수 없게 되어, SR패킹(14)에 의해 수밀(水密)성이 유지된다.The corrugated tubular portion 20 of this pipe joint is connected by twisting a spiral wave tube. Thereafter, when the straight pipe 10 is inserted from the opposite side and the terminal cylinder 18 is screwed in, the cut ring 16 and the SR packing 14 are reduced together by the tapered surfaces 28 and 24, and the straight pipe Squeezed (10). The straight pipe 10 cannot be pulled out by the tight clamping of the cut ring 16, and the watertightness is maintained by the SR packing 14.

종래의 관조인트는, 직관을 삽입한 후, 단말통체를 나사조임할 필요가 있고, 이 나사조임은 벨트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해서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공성이 나쁘다고하는 난점이 있다.In conventional pipe joints, after inserting a straight pipe, it is necessary to screw a terminal cylinder, and since this screw tightening needs to be performed using a tool such as a belt wrench,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ability is poor.

이 때문에, 관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관을 접속할 수 있는 관조인트도 제안되어 있으나(일본국 실개소 62-194281호 공보), 이런 종류의 관조인트는, 관의 끝부분에 미리 패킹확경용의 테이퍼면과, 빠짐방지링유지용의 홈을 형성해둘 필요가 있어, 관의 끝부분의 가공이 귀찮다.For this reason, pipe joints that can be connected by simply inserting pipes have also been propos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2-194281). However, these types of pipe joints are tapered for packing expansion at the end of the pipe. It is necessary to form a surface and a groove for holding the anti-falling ring, which is cumbersome to process the end of the pipe.

본 발명의 목적은, 관의 끝부분에 가공을 실시하는 일없이, 관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관을 접속할 수 있는 관조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joint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by simply inserting a tube without processing the end of the tub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일실시형태를 표시한 절반절개측면도1 is a half cut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도 1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도 2B는, 도 1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도 3은, 도 1의 관조인트에 의해 관을 접속한 상태를 표시한 절반절개측면도Fig. 3 is a half cu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be is connected by the tube joint of Fig. 1.

도 4A는,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을 삽입하기 시작했을 때의 단면도Fig. 4A is a sectional view when the tube is insert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tub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을 접속했을 때의 단면도4B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pipe is connect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C는,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에 빼내는 힘이 걸렸을 때의 단면도4C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a force to be pulled out to the pip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A는, 도 4A∼4C의 관조인트의 조인트본체를 표시한 측면도Fig. 5A is a side view showing the joint body of the pipe joints of Figs. 4A to 4C.

도 5B는, 도 4A∼4C의 관조인트의 조인트본체를 표시한 정면도Fig. 5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joint body of the pipe joints of Figs. 4A to 4C.

도 6A는, 도 4A∼4C의 관조인트의 단말통체(筒體)를 표시한 배면도Fig. 6A is a rear view showing the terminal cylinder of the tube joint of Figs. 4A to 4C.

도 6B는, 도 6A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A

도 7A∼7D는, 각각 도 6B의 B-B선∼E-E선에 있어서의 단면도7A to 7D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B-B to E-E of FIG. 6B, respectively.

도 7E는, 도 6B의 요부의 확대단면도7E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6B.

도 8A는, 도 4A∼4C의 관조인트의 슬리브를 표시한 측면도Fig. 8A is a side view showing the sleeve of the tube joint of Figs. 4A to 4C.

도 8B는, 도 4A∼4C의 관조인트의 슬리브를 표시한 정면도Fig. 8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leeve of the tube joint of Figs. 4A to 4C.

도 9A 및 9B, 도 4A∼4C의 관조인트를 조립하는 과정을 표시한 단면도9A and 9B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pipe joints of FIGS. 4A to 4C.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한 절반절개측면도Fig. 10 is a half cut sid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관조인트에 의해 관을 접속한 상태를 표시한 절반절개측면도Fig. 11 is a half cutaway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connected by the pipe joint of Fig. 10.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한 절반절대측면도Fig. 12 is a half-absolute sid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의 관조인트에 관을 삽입하기 시작했을때의 절반절대측면도FIG. 13 is a half-absolute side view when the tube is inserted into the tube joint of FIG.

도 14는, 도 12의 관조인트에 의해 관을 접속했을때의 절반절개측면도Fig. 14 is a half cutaway side view when the pipe is connected by the pipe joint of Fig. 12;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서 관에 빼내는 힘이 걸렸을때의 절반절개측면도Fig. 15 is a half cutaway side view when a force is drawn out from the tube in the state of Fig. 14;

도 16은, 본 발명에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한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한 절반절개측면도Fig. 17 is a half cutaway sid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는,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슬리브의 단면도18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eeve used in yet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B는,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슬리브의 정면도18B is a front view of a sleeve used 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도 18A 및 도 18B의 슬리브를 사용한 본 발명의 관조인트의 실시형태를 표시한 절반절개측면도Fig. 19 is a half cutaway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ub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leeves of Figs. 18A and 18B.

도 20은, 도 19의 관조인트에 의해 관을 접속한 상태를 표시한 절반절개측면도Fig. 20 is a half cutaway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connected by the pipe joint of Fig. 19.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한 단면도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도 21의 관조인트에 의해 관을 접속한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connected by the pipe joint of FIG. 21.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한 단면도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도 23의 관조인트에 의해 관을 접속한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connected by the pipe joint of FIG.

도 25A는,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O링부착슬리브의 절반절개측면도Fig. 25A is a half cutaway side view of an O-ring attachment sleeve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5B는,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O링부착슬리브의 정면도25B is a front view of an O-ring sleeve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6A는,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2분할형 조인트본체의 한쪽편의 절반을 표시한 평면도Fig. 26A is a plan view showing half of one side of a two-split joint body used 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6B는,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의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2분할형 조인트본체의 한쪽편의 절반을 표시한 정면도Fig. 26B is a front view showing half of one side of a two-split joint body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7A∼27C는, 도 25, 도 26A 및 2B의 부품을 사용한 관조인트의 조립과정을 표시한 평면도27A to 27C are plan views show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pipe joint usi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25, 26A and 2B.

도 28A 및 도 28B는, 도 27∼27C에서 조립한 관조인트를 사용해서 관을 접속한 후, 접속을 행제하는 과정을 표시한 평면도28A and 28B are plan views show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connection after connecting a pipe using a pipe joint assembled in FIGS. 27 to 27C.

도 29는, 종래의 관조인트를 표시한 절반절개측면도Fig. 29 is a half 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ube joi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관 10a: 전선관10: tube 10a: conduit

10b: 중계관 12: 조인트본체10b: relay tube 12: joint body

18: 단말통체 20: 파형통부분18: terminal fluid 20: waveform part

28: 테이퍼면 30: 슬리브28: tapered surface 30: sleeve

32: O링 34: 보조O링32: O ring 34: Auxiliary O ring

36: 원통부분 38: 원호형상볼록부분36: cylindrical portion 38: arc-shaped convex portion

40: 돌출테 42: 원통부분40: protrusion frame 42: cylindrical portion

44: 테이퍼통부분 50: 홈44: taper barrel 50: groove

54: 융기부분 56: 고리형상판54: ridge 56: annular plate

64: 돌기(스토퍼부분) 68: 고리형상돌출테64: protrusion (stopper part) 68: annular protrusion frame

69: C자형상링 70: 판부분69: C-shaped ring 70: plate part

72: 볼트구멍 74, 78: 오목부분72: bolt hole 74, 78: recessed portion

76: 돌조 80: 볼트너트76: stone 80: bolt nut

82: 관조인트82: tube joint

본 발명에 의하면, 관을 접속하는 관조인트로서, 통형상의 조인트본체와, 이 조인트본체의 다른쪽의 끝부분내에, 상기 조인트본체밖으로 일부가 돌출하도록 슬리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상기 관의 끝면이 맞부딪치는 맞닿는 부분을 가진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상기 조인트본체밖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외주에 확경된 상태에서 유지된, 탄성을 가진 O링과, 한끝쪽이 상기 조인트본체의 다른쪽의 끝부분의 외주에 장착되고, 중간부분에 상기 O링의 수납부를 가지고, 다른끝쪽에 상기 O링의 빠짐방지부분을 가진 단말통체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통체의 개구로부터 관을 삽입하면, 상기 슬리브가 맞닿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관에 밀려서 상기 조인트본체내에 밀려들어가고, 이에 의해서 상기 O링은 상기 슬리브로부터 빠지는 동시에, 축경해서, 상기 관의 외주에 밀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ube joint for connecting a tube is slidably fitted so that a part of the tubular joint body protrudes out of the joint body in the other end of the joint body. A sleeve having an abutting portion at which the end faces abutment, an elastic O-ring retain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ortion projecting out of the joint body of the sleeve, and one end at the other end of the joint body; It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erminal, and has a receiving body of the O-ring at the middle portion, and a terminal cylinder having an anti-separation portion of the O-ring at the other end, and when the tube is inserted from the opening of the terminal cylinder, the sleeve abuts Part of the tube is pushed by the tube into the joint body, whereby the O-ring is removed from the sleeve and reduced in diameter. A tube joint is provided that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본 발명의 관조인트는, 통형상의 조인트본체의 다른쪽의 끝부분내에, 관의 끝면이 맞부딪치는 당접부분를 가진 슬리브를, 조인트본체밖으로 일부가 돌출하도록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하고, 이 슬리브의 조인트본체밖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외주에, 고무탄성을 가진 O링을 확경된 상태에서 유지하고, 중간부분에 O링의 수납부분을 가지고, 다른끝쪽에 O링의 빠짐방지부분을 가진 단말통체의 한쪽끝을, 조인트본체의 다른쪽의 끝부분의 외주에 장착함으로써 구성된다.The tub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slidably fits a sleeve having a contact portion in which the end face of the tube abuts i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ylindrical joint body so that a part of the tube joint protrudes out of the joint body.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rt protruding out of the main body, one end of the terminal body has a rubber elastic O-ring in the enlarged state, has an O-ring receiving portion in the middle portion, and an O-ring release preventing portion at the other end.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of the joint body.

이와 같은 구성의 관조인트에 있어서, 단말통체의 개구로부터 관을 삽입하면, 슬리브가 맞닿는 부분에 있어서 관에 밀려서 조인트본체내에 밀려들어가고, 이에 의해서 O링은 슬리브로부터 빠지는 동시에, 축경해서, 관의 외주에 밀접하게 된다.In the tube joi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tube is inserted from the opening of the terminal cylinder, the sleeve is pushed into the joint body by being pushed into the joint body at the portion where the sleeve abuts, whereby the O-ring is removed from the sleeve and reduced in diameter so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be is reduced. Will be close to.

상기와 같은 슬리브로 O링을 확경한 상태에서 유지하는 구성으로하면, 일본국 실개소 62-194281호에 기재의 관조인트와는 달리, 아무런 가공도 실시되어 있지 않는 관의 끝부분을 단지 밀어넣는 것만으로, 관을 조인트본체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With the above-mentioned sleeve, the O-ring is held in a diameter-expanded state. Unlike the pipe joint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2-194281, it simply pushes in the end of the pipe that is not subjected to any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connect a pipe to a joint body only.

또, 관을 빼낼려고하면, 단말통체의 한쪽끝에 있는 O링빠짐방지부에 O링이 걸어맞춤하고, 그에 따라서 관의 빼내기에 대한 저항을 나타낸다.If the tube is to be pulled out, the O-ring engages with the O-ring release prevention portion at one end of the terminal cylinder, thereby showing resistance to the tube being pulled out.

본 발명의 관조인트에 사용하는 슬리브는, 관을 삽입가능한 내경을 가지고, 관의 끝면이 맞부딪치는 내향의 볼록부분을 가지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leeve used for the tub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n inner diameter into which the tube can be inserted, and has an inward convex portion where the end face of the tube abuts.

또, 본 발명의 관조인트에 사용하는 슬리브는, 외경이 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크고, 내경이 관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관의 끝면이 슬리브의 끝면에 맞부딪치게 되어 있는 것이라도 된다.The sleeve used for the pip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whose outer diameter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the inner diameter is set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and the end face of the tube is against the end face of the sleeve. .

본 발명의 관조인트는, O링이,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슬리브로부터 빠진 상태에서 관의 외주면과 단말통체의 내주면의 양쪽에 밀접하는 탄성복원력과 사이즈를 가지고, 또한 조인트본체와 단말통체와의 사이에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 O링을 개재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ub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a size close to bo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in a state where the O-ring is removed from the sleeve in order to maintain watertightness, and the joint body and the terminal cylinder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interposed the auxiliary O-ring for maintaining water tightness in between.

또, 본 발명의 관조인트는, 통상의 경우, 조인트본체와 단말통체는 별도부재이나, 필요에 따라, 단말통체의 한끝쪽을 조인트본체의 끝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해서, 조인트본체와 단말통체를 일체화한 구성으로 할수도 있다.In th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the joint body and the terminal body are separate members, but if necessary, one end of the terminal body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d of the joint body, so that the joint body and the terminal body are integrated.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n integrated configuration.

또, 본 발명의 관조인트에 있어서의, 단말통체의 O링 돌출부분은, 내주면이 끝부분에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으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ring protrusion part of a terminal cylinder in the tubular joint of this invention becomes a taper surface whose inner diameter becomes small, so that an inner peripheral surface becomes a tip part.

이렇게하면, 삽입한 관에 빼내는 힘이 가해졌을때, O링이 관의 외주면과 단말통체의 테이퍼면과의 사이에 끼워져서, 강한 빼내기저항을 발휘한다.In this way, when the pull-out force is applied to the inserted tube, the O-ring is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and the tapered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and exhibits a strong pull-out resistance.

또, 본 발명의 관조인트는, 슬리브의 외주에 확경상태로 유지된 O링이 단말통체의 내주면에도 밀접해있고, 또한 단말통체가 슬리브와의 사이에, 상기 O링이 관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tub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ng held in the diameter-expanded stat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and the O-ring moves in the pipe insertion direction between the terminal cylinder and the sleeve.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has the space which makes it possible.

이와 같이 하면, 관의 삽입에 의해 슬리브가 조인트본체내로 밀려들어갈때에, O링이 상기 스페이스내에서 굴러서 또는 미끄러져서 이동하므로, 관삽입시의 저항이 작아져, 관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sleeve is pushed into the joint body by the insertion of the tube, the O-ring rolls or slides in the space, so that the resistance at the time of tube insertion becomes small and the insertion of the tube becomes easy.

또, 이와 같이 O링의 이동을 가능하게 해두면, 관에 빼내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때에 O링이 단말통체의 O링 빠짐방지부분에 닿을때까지 관의 이동이 허용되므로, 관빼내는 방향으로 가하여진 힘을 완화할 수 있다. 특히, 이 관조인트를 땅속에 매설한 관의 접속에 사용한때는, 지진이나 지반침하시에 발생하는 관의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O-ring can be moved in this way, the pipe is allowed to move until the O-ring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ring release prevention part of the terminal cylinder when a force in the direction of pulling out the pipe is applied. It can alleviate the force applied by In particular, when this pipe joint is used for connection of a pipe buried in the grou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displacement of the pipe generated during an earthquake or ground subsidence.

또, O링이 이동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단말통체의 내주면의, O링의 이동범위의 중간에 융기부분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ring moves, it is preferable to form a raised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movement range of the O-r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이와 같은 융기부분을 형성해두면, 이 관조인트를 조립하기 위하여 단말통체내의 융기부분으로부터 한끝쪽의 위치에 O링을 세트한 후, 단말통체의 한끝쪽으로부터 슬리브를 삽입했을때, 융기부에서 슬리브에 밀린 O링의 회전이 촉진되는 결과, O링의 안쪽에 슬리브를 원활하게 세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f such a ridge is formed, when the sleeve is inserted from one end of the terminal cylinder after the O-ring is set at a position from the ridge in the terminal cylinder to assemble the pipe joint, As a result of the rotation of the O-ring pushed up,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leeve can be smoothly set inside the O-ring.

또, 상기와 같은 융기부분을 형성해두면, 관을 삽입하기 전에 O링의 굴림이동에 의해 슬리브가 이동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관을 삽입해가는 과정에서, O링이 융기부분을 통과할때 밀어넣는 힘이 커지고, 그후 밀어넣는 힘이 작아지기 때문에, 관의 밀어넣기가 적정하게 행해지고 있는지의 가부를 작업자가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above-mentioned ridge is formed, the sleev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oved by the rolling movement of the O-ring before the tube is inserted, and the O-ring can pass through the ridg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ube. Since the pushing force becomes large and the pushing force becomes small after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or can sense whether the pushing of the pipe is properly performed.

또, 본 발명의 관조인트는, 삽입되는 관에 의해 슬리브가 조인트본체내에 들어갔을때 조인트본체의 내면과 걸어맞춤하고, 슬리브가 조인트본체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ub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opper portion which engag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t body when the sleeve enters the joint body by the inserted tube and prevents the sleeve from escaping from the joint body is formed. desirable.

스토퍼부분의 형태로서는, 탄성반발력에 의해 조인트본체의 내면에 강하게 접촉해서 조인트본체의 내면과 마찰력에 의해 걸어맞춤하는 탄성확경부분이나, 조인트본체의 내면의 홈부분에 걸리는 돌기등을 슬리브에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orm of the stopper portion, an elastically expanded portion that is in strong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t body by elastic repulsion and is engaged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t body, or a protrusion formed on the groov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t body is formed in the sleeve. It is preferable.

슬리브외주에 상기와 같은 스토퍼부분을 형성해두면, 관을 접속한 후에, 관이 빼내는 방향으로 약간이동해도, 슬리브가 관과 함께 이동하는 일이 없어지므로, 슬리브가 O링의 안쪽으로 재차 들어가 O링과 관의 밀접상태를 해제하여, 관빠짐의 원인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above stopper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the sleeve does not move together with the tube even after the tube is connected, even if the tube is slightly moved in the direction of pulling out the sleeve. The intimate state of the tube and the tube can be released to prevent the tube from being removed.

또, 본 발명의 관조인트는, 관접속후에 관조인트를 해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예를 들면 관의 일시적인 접속에 사용하는 경우)는, 조인트본체와 단말통체를 일체로 형성해서, 이것을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 분할가능한 구조로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pip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s to be dismantled after pipe connection (for example, used for temporary connection of pipes), the joint body and the terminal cylinder are integrally formed, and this is the central axis. It is preferable to have a dividable structure in terms of including.

또, 본 발명의 관조인트는, 통형상의 조인트본체와, 이 조인트본체의 끝부분의 안쪽에, 일부분을 조인트본체 바깥으로 돌출시키고,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상기 조인트본체바깥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외주에 확경된 상태에서 유지된 고무제의 주O링 및 보조○링과, 이 주O링 및 보조O링 사이에 개재시킨 고리형상판과, 한끝쪽이 상기 조인트본체의 끝부분외주에 장착되고, 다른끝쪽의 내주면이 끝부분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고, 중간부분이 상기 고리형상판을, 상기 보조O링을 조인트본체의 끝면으로 밀어붙여서 압축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되어있는 단말통체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ubular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joint body, a sleeve in which a part of the joint body protrudes out of the joint body and is slidably fitted inside the joint body, and the joint body of the sleeve. Main O-rings and auxiliary O-rings made of rubber hel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rt protruding outwardly, an annular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main O-rings and the auxiliary O-rings, and one end of the joint body It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is a tapered surface whose inn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end, and the middle portion compresses the annular plate by pushing the auxiliary O-ring to the end of the joint body. It can also be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terminal cylinder which is hold | maintained at.

이와 같은 구성의 관조인트에 관을 삽입하면, 관에 밀려서 슬리브가 조인트본체내에 밀려들어가, 슬리브로부터 빠진 주O링 및 보조O링이 관의 외주에 밀접하게되고, 삽입한 관을 빼낼려고하면, 주O링이 관의 외주면과 단말통체의 테이퍼면과의 사이에 끼워져서 빼낼 수 없게 되고, 또 보조O링이 조인트본체의 끝면과 관의 외주면과 고리형상판에 밀접함으로써 수밀성이 유지되게 된다.When the tube is inserted into the tube joi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leeve is pushed into the joint body by the tube joint, and the main O-ring and the auxiliary O-ring removed from the sleeve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e. The main O-ring is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the tapered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so that it cannot be pulled out, and the auxiliary O-ring is held close to the end face of the joint bod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the annular plate to maintain watertightness.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관조인트를 표시하고, 도 2A는 도 1의 A-A단면도, 도 2B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참조숫자(12)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으로 성형된 통형상의 조인트본체, (18)은 ABS수지 등으로 성형된 단말통체, (30)은 ABS수지 등으로 성형된 슬리브, (32)는 고무탄성을 가진 O링, (34)는 고무탄성을 가진 보조O링이다.Fig. 1 shows a tube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and Fig. 2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1. 1, 2A and 2B, reference numeral 12 is a cylindrical joint body formed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etc., 18 is a terminal body formed of ABS resin, etc., 30 is made of ABS resin, or the like. The molded sleeve, 32 is an O ring with rubber elasticity, and 34 is an auxiliary O ring with rubber elasticity.

조인트본체(12)는, 나선파형(螺線波形)관을 비틀어넣어 접속하는 파형통부분(20)과, 원통부분(36)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원통부분(36)의 선단부분외주에는 홈이 형성되고, 그홈에는 보조O링(34)이 장착되어 있다. 또, 원통부분(36)의 중간부분외주에는,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거의 90°의 꼭지각의 호의 길이를 가진 원호형상볼록부분(38)이 둘레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을 두고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The joint body 12 integrally forms a corrugated cylinder portion 20 and a cylindrical portion 36 for twisting and connecting a spiral waved tube. A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ip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36, and the auxiliary O-ring 34 is mounted in the groove. In add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36, as shown in Figs. 1 and 2, an arc-shaped convex portion 38 having an arc length of approximately 90 ° vertices is spac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formed at the point.

슬리브(30)는, 상기 원통부분(36)의 안쪽으로 슬라이드끼워맞춤할 수 있는 외경과, 접속해야할 관을 삽입가능한 내경을 가지고 있다. 슬리브(30)는, 한끝쪽의 부분을 원통부분(36)에 끼워 맞춤시키고, 그밖의 부분을 원통부분(36)의 바깥에 돌출시키고 있다. 또, 슬리브(30)의 원통부분(36)에 끼워맞춤하고 있는 쪽의 끝부분(중간부분이라도된다)에는, 관의 끝면이 맞부딪치는 내향의 돌출테(40)가 형성되어 있다.The sleeve 30 has an outer diameter which can slide-fit inwardly of the cylindrical portion 36 and an inner diameter into which a tube to be connected can be inserted. The sleeve 30 fits the one end part to the cylindrical part 36, and protrudes the other part outside the cylindrical part 36.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inwardly protruding frame 40 in which the end surface of a pipe | tube hits is formed in the edge part (it may be an intermediate part) of the side fitted to the cylindrical part 36 of the sleeve 30. As shown in FIG.

이 슬리브(30)의 상기 원통부분(36)의 바깥으로 돌출한 부분의 외주에는, O링(32)이 프리의 상태인때보다 확경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O링(32)은 단말통체(18)의 내주면에도 밀접해있어, 단면이 편평하게 찌브러진 상태로 되어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ortion of the sleeve 3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ylindrical portion 36, the O-ring 32 is kept in a larger diameter than when free. In addition, the O-ring 32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18,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flat and crushed.

단말통체(18)는, 조인트본체(12)의 원통부분(36)의 외주에 끼워맞춤하는 부분과 O링(32) 및 슬리브(30)를 수납하는 부분을 가진 원통부분(42)과, 테이퍼통부분(44)(O링(32)의 빠짐방지부분)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테이퍼통부분(44)의 내주면은 개구끝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28)으로 되어있다. 단말통체(18)의 원통부분(42)의 끝부분쪽의 내면에는, 도 2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본체(12)의 원호형상볼록부분(38)이 축선방향으로 빼고 꽂음가능한 둘레길이를 가진 오목부분(46)과, 걸림부분(48)이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부분(48)의 안깊숙한데에는, 도 1 및 도 2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본체(12)의 원호형상볼록부분(38)이 들어가는 둘레방향의 홈(50)이 형성되어 있다.The terminal cylinder 18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42 having a portion to b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6 of the joint body 12, and a portion for receiving the O-ring 32 and the sleeve 30, and a taper. The cylinder part 44 (the omission part of the o-ring 32) is integrally forme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cylinder portion 44 is a tapered surface 28 whose inn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end of the open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 of the terminal cylinder 18, as shown in Fig. 2A, the circumferential length that the arcuate convex portion 38 of the joint body 12 can be pulled out in the axial direction can be inserted. Concave portion 46 and the engaging portion 48 is formed. Further, in the depth of the locking portion 48, as shown in Figs. 1 and 2B, a circumferential groove 50 into which the arcuate convex portion 38 of the joint body 12 enters is formed.

이 관조인트를 조립하려면, 먼저 O링(32)을 장착한 슬리브(30)의 일부분을 조인트본체(12)에 수납한다. 이어서, 이 슬리브(30)의 일부분을 수납한 조인트본체(12)의 원통부분(36)과, 단말통체(18)의 원통부분(42)을, 원호형상볼록부분(38)이 오목부분(46)을 통과하도록 해서 끼워맞춤시킨 후, 어느 한쪽을 90°회전시키면, 원호형상볼록부분(38)이 홈(50)에 들어가서 걸림부분(48)에 걸려, 양자는 빼낼 수 없게 된다.In order to assemble this pipe joint, a part of the sleeve 30 to which the O-ring 32 is mounted is first stored in the joint body 12. Subsequently, the cylindrical portion 36 of the joint body 12 which accommodates a portion of the sleeve 30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2 of the terminal cylinder 18 are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46 of the arcuate convex portion 38. After the fitting is made to pass through and then rotated by 90 °, the arcuate convex portion 38 enters the groove 50 and is caught by the catching portion 48, so that both cannot be taken out.

즉, 단말통체(18)가 조인트본체(12)에 장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슬리브(30)의 외주에 장착된 O링(32) 및 원통부분(36)의 선단부분외주의 홈에 장착된 보조O링(34)은, 단말통체(18)의 내면에 밀접한다. 또한, 조인트본체(12)에의 단말통체(18)의 장착구조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비틀림에 의한 장착구조라도 된다.In other words, the terminal body 18 is mounted on the joint body 12. In this state, the O-ring 32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30 and the auxiliary O-ring 34 attached to the groov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ip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36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18. do. In additio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terminal cylinder 18 to the joint body 12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tructure, For example, the mounting structure by torsion may be sufficient.

도 3은, 상기 구성의 관조인트에 관(10)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 1의 관조인트에 관(10)을 삽입하면, 관(10)의 선단부분이 먼저 슬리브(30)에 들어가고, 돌출테(40)에 맞부딪친다. 또 관(10)을 삽입하면, 슬리브(30)가 관(10)에 밀려서 조인트본체(12)의 원통부분(36)안에 밀어넣어진다.3 shows a state in which the pipe 10 is connected to the pipe joint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at is, when the tube 10 is inserted into the tube joint of FIG. 1, the tip portion of the tube 10 first enters the sleeve 30 and strikes the protruding frame 40. When the tube 10 is inserted, the sleeve 30 is pushed by the tube 10 and push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36 of the joint body 12.

한편, O링(32)은, 원통형부분(36)의 끝면(O링후퇴저지부분(Z)으로서 기능함)에 닿아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슬리브(30)의 전체길이가 원통부분(36)안으로 밀어넣어지면, 슬리브(30)로부터 빠저서 도 3과 같이, 그 단면적이 확대되도록 탄성복원해서 관(10)의 외주에 밀접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ring 32 cannot move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6 (functioning as the O-ring retraction stop Z), the entire length of the sleeve 30 is cylindrical. When pushed in, it is elastically restored so that its cross-sectional area is enlarged as shown in FIG. 3, except from the sleeve 3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e 10.

O링(32)의 사이즈는, 이 상태에서 관(10)의 외주면과 단말통체(18)의 내주면의 양쪽에 밀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관(10)과 단말통체(18)의 사이로부터 침입하는 물은 O링(32)에 저지되고, 단말통체(18)과 조인트본체(12)의 사이로부터 침입하는 물은 보조O링(34)에 의해 저지되어서, 수밀성이 확보되게 된다.The size of the O-ring 32 is set to be close to bo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18 in this state. Therefore, the water penetrating from between the tube 10 and the terminal cylinder 18 is blocked by the O-ring 32, and the water penetrating from between the terminal cylinder 18 and the joint body 12 is made into the auxiliary O-ring ( 34), the watertightness is ensured.

또한 조인트본체(12)의 내면에는, 슬리브(30)의 끝부분이 맞부딪치는 단(段)부분(52)이 형성되어 있어, 슬리브(30)의 선단이 단부분(52)에 맞부딪치면, 그 이상 관(10)을 삽입할 수 없게 되도록 되어 있다.Moreover, the inner part of the joint body 12 is provided with the end part 52 which the edge part of the sleeve 30 collides with, and when the front end of the sleeve 30 collides with the edge part 52, The abnormal pipe 10 cannot be inserted.

또, 도 3의 상태로부터 관(10)을 빼낼려고 하면, O링(32)이 관(10)과 함께 약간 이동하나, 최종적으로는 관(10)의 외주면과 단말통체(18)의 테이퍼면(28)과의 사이에 끼워져서(먹어들어가서)그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관(10)은 그 이상 뺄수없게 된다.In addition, when trying to pull out the tube 10 from the state of FIG. 3, the O-ring 32 moves slightly with the tube 10, but final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10 and the taper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18 are carried out. The tube 10 can no longer be pulled out because it is interposed between (28) and can no longer move.

이상과 같이, 도 1에 표시한,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관한 관조인트에 의하면, 링(32)을 확경상태로 유지하는 슬리브(30)를 설치했으므로, 관(10)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관(10)을 접속할 수 있다. 또, 슬리브(30)에 의해서 O링(32)을 확경하여 두므로, 관의 외경변화에 대한 허용범위가 넓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ube join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since the sleeve 30 for holding the ring 32 in a diameter-expanded state is provided, only the tube 10 is inserted. The pipe 10 can be connected simply. In addition, since the O-ring 32 is enlarged by the sleeve 3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llowable range for the outer diameter change of the pipe is wide.

또한, 이 실시형태의 관조인트는, 파형원통부분(20)에 나선파형관을 비틀어넣어 접속하도록 되어있으나, 이 부분의 구조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In the pipe joint of this embodiment, the spiral cylindrical tube is twisted into the corrugated cylindrical portion 20 to be connected.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tubular join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purpose.

[실시형태 2]Embodiment 2

도 4A∼4C, 도 5A, 도 5B, 도 6A, 도 6B, 도 7A∼7E, 도 8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조인트를 표시한다.4A-4C, 5A, 5B, 6A, 6B, 7A-7E, 8 and 8B show a jo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4C는 이 실시형태의 관조인트에 의해 관(10)을 접속하는 수순을 표시하고, 도 5A 및 도 5B는 이 관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본체(12)를, 도 6A, 도 6B 및 도 7A∼7E는 마찬가지로 단말통체(18)를, 도 8A 및 도 8B는 슬리브(30)를 표시하고 있다. 도 4A∼도 8B에 있어서, 도 1∼도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4A to 4C show the procedure for connecting the tube 10 by the tube joint of this embodiment, and FIGS. 5A and 5B show the joint body 12 constituting this tube joint, FIGS. 6A, 6B and 7A to 7E likewise show the terminal cylinder 18 and FIGS. 8A and 8B show the sleeve 30. In Figs. 4A to 8B,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portions substantially the same as Figs.

이 실시형태의 관조인트가, 실시형태 1의 것과 다른점은, 단말통체(18)가 슬리브(30)와의 사이에 O링(32)의 굴림이동 또는 미끄럼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페이스S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O링(32)은, 관을 삽입하기 전은 도 4A에 표시한 위치, 즉 단말통체(18)의 원통부(42)의 테이퍼면(28)쪽으로 접근한 위치(조인트본체(12)의 끝면Z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이 위치에 있어서 O링(32)은 슬리브(30)에 의해 확경되고, 또한 원통부(42)의 내면에 밀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The conduit joint of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terminal cylinder 18 has a space S that allows the O-ring 32 to roll or slide between the sleeve 30. will be. The O-ring 32 is the position shown in FIG. 4A before the tube is inserted, that is, the position approaching toward the tapered surface 28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 of the terminal cylinder 18 (end surface of the joint body 12). Position away from Z). In this position, the O-ring 32 is enlarged in diameter by the sleeve 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

이와 같은 관조인트에 관(10)을 삽입하면, O링(32)은 도 4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30)의 이동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굴림이동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1의 것보다 작은힘으로 관(10)을 삽입할 수 있어, 접속작업이 용이하게 된다.When the tube 10 is inserted into such a tube joint, the O-ring 32 is rolled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y the movement of the sleeve 30 as shown in Fig. 4A. The tube 10 can be inserted, thereby facilitating the connection work.

관(10)이 마지막까지 삽입되면, 도 4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되어,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한 접속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 관(10)에 빼내는 힘이 가해지면, 도 4C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관(10)의 이동에 의해 O링(32)이 반대방향으로 굴림이동해서, 도 4A와 동일한 위치에 복귀하나, 그 이상관(10)을 빼낼려고하면, O링(32)이 관(10)의 외주면과 단말원통체(18)의 테이퍼면(28)과의 사이에 끼워지므로, 빼내지 못하게 된다.When the tube 10 is inserted to the end, as shown in Fig. 4B, the same connection state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When a force to be pulled out of the tube 10 is applied, as shown in Fig. 4C, the O-ring 32 rolls in the opposite direc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tube 10, and returns to the same position as in Fig. 4A. When the abnormal pipe 10 is to be pulled out, the O-ring 32 is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10 and the tapered surface 28 of the terminal cylindrical body 18 and thus cannot be pulled out.

이와 같이, 관(10)에 빼내는 힘이 가해졌을때, O링(32)이 테이퍼면(28)에 닿을때까지 관(10)의 이동을 허용하면, 관(10)에 가해진 빼내는 힘을 완화할 수 있어, 관조인트의 손상을 방지할 할 수 있다. 특히, 땅속에 묻혀진 관의 접속에 상기 관조인트를 사용했을 때는, 지진이나 지반침하에 따르는 관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when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pipe 10,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pipe 10 is alleviated by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pipe 10 until the O-ring 32 reaches the tapered surface 28. This can prevent damage to the pipe joint. In particular, when the pipe joint is used to connect a pipe buried in the grou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ipe displacement due to an earthquake or ground subsidence can be absorbed.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단말통체(18)의 내주면의, O링(32)이 굴림이동하는 범위W의 중간에 융기부분(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융기부분(54)을 단면원호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융기부분(54)을 형성해두면, O링(32)의 굴림이 규제되기 때문에, ①관을 삽입하기 전에 ○링(32)의 굴림이동에 의해 슬리브(30)가 이동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②관(10)을 삽입해가는 과정에서, ○링(32)이 융기부분(54)을 통과할 때에 밀어넣는힘이 커지고, 그후 밀어넣는 힘이 작아지기기 때문에, 관(10)의 밀어넣기가 적정하게 행하여지고 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감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aised portion 54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range W in which the O-ring 32 rol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18. In this example, the ridge 54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If the raised portion 54 is formed, the rolling of the O-ring 32 is restricted, so that the sleeve 3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by the rolling movement of the ring 32 before the pipe is insert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ube 10, the pushing force increases when the ring 32 passes through the raised portion 54, and the pushing force decreases thereafter, so that the pressure of the tube 10 decreases. There is an advantage such that the operator can detect whether the push is being performed properly.

이에 더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융기부분(54)을 형성하므로, 이 관조인트를 조립할때에, ○링(32)의 안쪽에 슬리브(30)를 원활하게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도 9A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단말통체(18)내의 융기부분(54)으로부터 한끝쪽(조인트본체(12)쪽)의 위치에 ○링(32)을 세트한 후, 단말통체(18)의 한끝쪽(조인트본체(12)쪽)으로부터 슬리브(30)를 삽입할 경우, ○링(32)이 슬리브(30)에 밀려서 융기부분(54)쪽으로 이동하는 일이 있으나, ○링(32)은 융기부분(54)에 닿으면 회전해서, 융기부분(54)을 타고넘는 동시에, 슬리브(30)를 ○링(32)내로 인도한다. 이 결과, 도 9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30)의 외부면에 ○링(32)이 장착된 적정한 조립상태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ridge part 54 is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leeve 30 can be smoothly put inside the ring 32 when assembling the pipe joint. That is, as shown in FIG. 9A, after setting the ring 32 at the position of one end (joint main body 12 side) from the raised part 54 in the terminal cylinder 18, the terminal body 18 When the sleeve 30 is inserted from one end of the joint body (the joint body 12 side), the ring 32 may be pushed by the sleeve 30 to move toward the ridge 54, but the ring 32 The silver rotates when it reaches the raised portion 54, passes over the raised portion 54, and guides the sleeve 30 into the ring 32. As a result, as shown in Fig. 9B,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ppropriate assembled state in which the ring 32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30.

상기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of that excepting the abov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Embodiment 1,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예 3]Example 3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관조인트를 표시한다. 도 10은, 관(10)을 삽입하기전의 상태를, 도 11은, 관(10)을 삽입한 상태를 각각 푯기한다.10 and 11 show a tube join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the state before inserting the tube 10, and FIG. 11 shows the state which inserted the tube 10, respectively.

상기 관조인트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조인트본체(12)의 원통부분(36)의 단말통체(18)쪽의 끝부분과, 단말통체(18)의 원통부분(42)의 조인트본체(12)쪽의 끝부분을 일체로 형성해서, 조인트본체(12)와 단말통체(18)를 일체화한 것이다. 그이외의 구성은 도 1∼도 3에 표시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The pipe joint is an end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36 of the joint body 12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joint body 12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 of the terminal cylinder 18. The end part of the 1) side is formed integrally, and the joint body 12 and the terminal cylinder 18 are integrated.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1 shown in FIGS. 1-3, and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이와 같은 구성의 관조인트는, 부품점수가 적어도 된다는 이점은 있으나, 한번 접속한 관(10)을 떼낼수 없다고 하는 난점이 있다.Although the tube joint of such a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the number of parts is minimized, there is a difficulty in that the tube 10 once connected cannot be removed.

[실시형태 4]Embodiment 4

도 12∼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관조인트를 표시한다.12-15 show the tube joint which concerns on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2∼도 15에 있어서, 도 1∼도 3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12-15,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as FIG.

이 실시형태의 관조인트가, 실시형태 1의 것과 다른점은,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30)의 외주에, 빠저나감방지용의 주○링(32)과, 수밀성유지용의 보조○링(34)이 확경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 주○링(32)과 보조○링(34)의 사이에 고리형상판(56)을 개재시켜, 이 고리형상판(56)에 의해서 보조○링(34)을 조인트본체(12)의 끝면에 밀어붙이고 있는 것이다.The pipe joint of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Embodiment 1, as shown in FIG. 12,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30, the main ring 32 for preventing the chipping out and the auxiliary for watertightness maintenance. The ring 34 is maintained in a diameter-expanded state, and is supported by the annular plate 56 via an annular plate 56 between the main ring 32 and the auxiliary ring 34. The ring 34 is pushed against the end face of the joint body 12.

즉, 보조○링(34)은 슬리브(30)에 의해서 확경된 위에, 고리형상판(56)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로 되어있다. 고리형사안(56)은, 단말통체(18)의 내면중간부분에 형성된 단부분에 의해서 보조○링(34)을 압축하는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고리형상판(56)이, ○링후퇴저지부Z로 되어있다.That is, the auxiliary o-ring 34 is compressed by the annular plate 56 on the diameter expanded by the sleeve 30. The annular case 56 is held in the position which compresses the auxiliary | ring ring 34 by the edge part formed in the middle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18.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nnular plate 56 is a ring receding stop portion Z. As shown in FIG.

도 13은, 도 12의 관조인트에 관(10)을 삽입하여, 관(10)의 선단이 슬리브(30)의 돌툴테(40)에 맞부딪친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후관(10)을 마지막까지 밀어넣으면 도 14와 같이된다. 즉, 슬리브(30)가 조인트본체(12)의 단말통체(36)내에 밀어넣어지고, 슬리브(30)로부터 빠진 주○링(32)및 보조○링(34)이 관(10)을 꽉죄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보조○링(34)은 조인트본체(12)의 끝면과 관(10)의 외주면에 밀접하기 때문에, 수밀성이 유지된다.FIG.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tube 10 is inserted into the tube joint of FIG. 12 and the tip of the tube 10 hits the doltoolte 40 of the sleeve 30. After the tube 10 is pushed to the end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leeve 30 is pushed into the terminal cylinder 36 of the joint body 12, and the main ring 32 and the auxiliary ring 34, which are removed from the sleeve 30, tighten the tube 10. do. In this state, the auxiliary ring 34 is close to the end face of the joint body 1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10, so that watertightness is maintained.

또, 삽입한 관(10)을 뺄려고하면, 도 1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링(32)이 관(10)의 외주면과 단말통체(18)의 테이퍼면(28)과의 사이에 끼워져서 빼내지 못하게 된다.When the inserted tube 10 is to be removed, as shown in FIG. 15, the main ring 32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10 and the tapered surface 28 of the terminal cylinder 18. It will be stuck and won't be pulled out

상기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of that excepting the abov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Embodiment 1,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형태 5}Embodiment 5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관조인트를 표시한다. 상기 실시형태 1∼4에서는, 조인트본체(12)의 한끝쪽에 나선파형관을, 다른끝쪽에 직관을접속하는 관조인트를 표시하였으나, 이 실시형태의 관조인트는, 조인트본체(12)의 양끝쪽을 대칭구조로해서, 직관(10)끼리를 접속하도록 한것이다. 그 이외의 구성은 도 4A∼도 8B에 표시한 실시형태(2)의 관조인트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Fig. 16 shows a conduit join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embodiments 1 to 4, the tube joint connecting the spiral wave tube to one end of the joint body 12 and the straight tube to the other end is shown, but the tube joint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joint body 12. The straight pipe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ymmetrical structure. Since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joint joint of embodiment (2) shown to FIG. 4A-FIG. 8B,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형태 6]Embodiment 6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관조인트를 표시한다. 상기 실시형태 1∼6에서는, 슬리브(30)로서, 안쪽에 관의 끝부분이 맞부딪치는 돌출테(40)를 형성한 것을 표시했으나, 이 실시형태의 관조인트는, 외경이 관(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고, 내경이 관(10)의 외경보다 작은 직관형상의 슬리브(30)를 사용한 것이다.Fig. 17 shows a conduit join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the sleeve 30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frame 40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tube abuts on the inside, but the tube joint of this embodiment has an outer diameter of the tube 10. The straight sleeve 30 is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an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10.

이 관조인트의 경우는, 관(10)을 삽입하면, 관(10)의 끝면이 슬리브(30)의 끝면에 맞부딪쳐서 슬리브(30)를 밀어넣어가게 된다.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도 3에 표시한 실시형태 1의 관조인트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case of the tube joint, when the tube 10 is inserted, the end face of the tube 10 abuts against the end face of the sleeve 30 to push in the sleeve 30. Since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joint joint of Embodiment 1 shown in FIGS. 1-3,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실시예 7]Example 7

도 18은, 본 발명의 관조인트에 사용하는 슬리브의 다른예를 표시한 것이다. 이 슬리브(30)가 도 8A 및 도 8B에 표시한 것과 다른점은, 돌출테(40)와 반대쪽의 끝부분에 바깥끝쪽만큼 내외경이 크게되는 테이퍼형상확경부분(60)(스토퍼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Fig. 18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leeve used for the pip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the sleeve 30 differs from the protruding frame 40 by forming a tapered shaped enlarged portion 60 (stopper portion) whose inner and outer diameters are larger by the outer edge. It is.

이 확경부분(60)에는, 바깥끝에서부터 축선방향으로 다수의 슬릿(6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확경부분(60)는 다수의 소편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슬리브(30)는, 스프링탄성을 가진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확경부분(60)의 바깥끝의 외경은 조인트본체(12)의 원통부분(36)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이에 의해 확경부분(60)의 바깥끝이 원통부분(36)의 내면에 강하게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또, 이 확경부분(60)의 폭(축선방향치수)은 약 5㎜, 기울기는 슬리브(30)의 중심축선에 대해서 약 5°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nlarged diameter portion 60, a plurality of slits 61 are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outer end, whereby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6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pieces. The sleeve 3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having spring elasticity,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end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60 is set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36 of the joint body 12, thereby expanding the diameter. The outer end of the portion 60 is in strong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6.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axial dimension)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60 is set to about 5 mm and the inclination is about 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leeve 30.

이 슬리브(30)를 사용한 관조인트에서는, 도 19에 표시한 관삽입전의 상태에서는, 슬리브(30)가 안깊숙히 이동할려고하면, 확경부분(60)이 ○링(32)에 닿아서, 그이상 안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관조인트가 준비없이 사용할 수 없게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tube joint using the sleeve 30, when the sleeve 30 tries to move deeply in the state before the tube insertion shown in Fig. 19,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60 touches the ○ ring 32, It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deeply, thereby preventing inconvenience that the pipe joint cannot be used without preparation.

관(10)을 삽입하면, 관(10)에 밀려서 슬리브(30)가 안깊숙히 이동한다. 이때, 슬리브(30)의 확경부분(60)의 다수의 소편으로 분할된 선단부분이 안쪽으로 탄성변형해서 ○링(32)의 안쪽을 통과한다.When the tube 10 is inserted, the sleeve 30 is moved inward by being pushed by the tube 10. At this time, the tip port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pieces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60 of the sleeve 30 elastically deforms inward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ring 32.

또, 관접속후는, 도 2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30)의 확경부분(60)이 조인트본체(12)의 내면에 강하게 접촉하므로, 관(10)에 빼내는 힘이 가해져서 관(10)이 이동해도, 슬리브(30)가 관(10)과 함께 빼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슬리브(30)가 ○링(32)속으로 들어가, 관(10)에의 ○링(32)의 밀접상태가 손상되어, 관빠짐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관조인트는, 관(10)을 보다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것이 된다.In addition, after the pipe connection, as shown in FIG. 20, since the enlarged diameter part 60 of the sleeve 30 is in strong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t body 12, the force pulled out to the pipe 10 is applied, and the pipe ( Even if 10 moves, the sleeve 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tube 10.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eeve 30 from entering the ○ ring 32 and damaging the close state of the ○ ring 32 to the tube 10, causing the tube to fall out. Therefore, this pipe joint can connect the pipe 10 more reliably.

[실시형태 8]Embodiment 8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관조인트를 표시한다. 도 21은, 관삽입전의 상태, 도 22는, 관삽입후의 상태이다. 도 21 및 도 22에 있어서, 도 1 및 도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21 and 22 show a conduit join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state before insertion and FIG. 22 is a state after insertion. In FIG. 21 and FIG. 22,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ubstantially same part as FIG.

이 실시형태의 관조인트가 실시형태 1의 것과 다른점은, 슬리브(30)의 외주의 축선방향중간부분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예를 들면 90°간격, 120°간격, 또는 180°간격으로)복수의 돌기(64)(스토퍼부)를 형성한 것과, 조인트본체(12)의 내면에, 상기 돌기(64)가 들어가는 둘레방향의 홈(66)을 형성한 것이다.The pipe joint of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axial middle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30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example, 90 ° intervals, 120 ° intervals, or 180 °). A plurality of projections 64 (stoppers) are formed at the intervals, and a groove 6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which the projections 64 ent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t body 12.

돌기(64)는, 관삽입전은 도 21과 같이 조인트본체(12)의 원통부분(36)의 외부에 있으며, 도 22와 같이 관(10)을 마지막까지 삽입하면, 원통부분(36)속을 통과해서 조인트본체 12개의 홈(66)에 들어가, 그 가장자리에 걸려서, 슬리브(30)가 조인트본체(12)로부터 빠저나가는 것을 저지한다.The projection 64 is located outside the cylindrical portion 36 of the joint body 12 before insertion of the tube, as shown in FIG. 21. When the tube 10 is inserted to the end as shown in FIG. It passes through the grooves 12 of the joint body 12 and is caught by the edges thereof to prevent the sleeve 30 from escaping from the joint body 12.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로도 실시형태 7과 마찬가지로, 슬리브(30)의 이동에 의한 관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경우, 돌기(64)가 원통부분(36)내를 통과할때는, 원통부분(30)과 관(10)사이의 틈새에서 슬리브(30)가 탄성변형한다.Therefore, with such a structure as well, in the same way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ipes from being removed by the movement of the sleeve 30.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projection 64 passes through the cylindrical portion 36, the sleeve 30 elastically deforms in the gap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30 and the tube 10.

[실시형태 9]Embodiment 9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관조인트를 표시한다. 도 23은 관삽입전의 상태, 도 24는 관삽입후의 상태이다.23 and 24 show a conduit join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state before insertion and FIG. 24 is a state after insertion.

이 실시형태의 관조인트가, 실시형태 1(도 1∼도 3)의 것과 다른점은, 단말통체(18)의 ○링(32)의 빠저나감을 방지하는 부분이, 테이퍼통부분이 아니고, 내향고리형상돌출테(68)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conduit joint of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at of Embodiment 1 (FIGS. 1 to 3) in that the portion preventing the omission of the ring 32 of the terminal cylinder 18 is not a taper cylinder portion. It is comprised by the inward annular projection frame 68.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형태로 하면, 관조인트의 길이를 실시형태 1의 것보다 짧게할 수 있으나, 관(10)을 접속한 후에, 관(10)에 빼내는 힘이 가해졌을 경우, ○링(32)이 내향고리형상돌출테(60)에 맞부딪칠뿐이므로, 관(10)의 빼내기저항은 실시형태 1의 것보다 작아진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링(32)의 앞에 금속박판제의 C자형상링(69)등을 배치해두고, 이것이 삽입된 관에 먹어들어가도록 구성해둠으로써, 상기 빼내기저항을 보충했다. 그이외의 구성은, 도 1 및 도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pipe joint can be made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when the pipe 10 is pulled out after the pipe 10 is connected, the ring 32 inwards. Since it only hits the annular protruding frame 60, the withdrawal resistance of the tube 10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C-shaped ring 69 made of a metal sheet is placed in front of the ring 32, and configured to be fed into the inserted tube, so that the extraction resistance is obtained. Supplemented.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in Figs. 1 and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substantially the same parts.

[실시형태 10]Embodiment 10

도 25A∼도 27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관조인트를 표시한다. 도 25A 및 도 25B는,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슬리브(30)와, 그 외주에는 확경된 상태에서 유지된 ○링(32)을 표시한다. 슬리브(30)는 실시형태8(도 21)과 마찬가지로, 외주에 복수의 돌기(64)(스토퍼부분)를 형성한 것이다.25A to 27C show a tube join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A and 25B show a sleeve 30 used in this embodiment and a ring 32 held in the expanded state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Similarly to Embodiment 8 (FIG. 21), the sleeve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64 (stopper portions) on the outer circumference.

도 26A 및 도 26B는,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2분할형의 조인트본체(12)의 한쪽편의 절반을 표시한다. 또한쪽의 절반도 도시생략했으나 동일한 모양이다. 이 실시형태는, 조인트본체(12)의 양끝에 단말통체(18)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조인트본체(12) 및 단말통체(18)는, 반원통형의 연속체로서, 양쪽가장자리에 상대편 절반과 결합하기 위한 판(板)부분(70)이 일체로 형성되고, 거기에 볼트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26A and 26B show half of one side of the two-part joint body 12 used in this embodiment. The other half is also omitted, but the same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cylinder 18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joint body 12. The joint body 12 and the terminal cylinder 18 are semi-cylindrical continuous bodies, and plate portions 70 for coupling with the opposite half at both edges are integrally formed, and bolt holes 72 are formed therein. Formed.

조인트본체(12)의 내면에는 슬리브(30)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까워맞춤하는 반원형의 오목부분(74)이 형성되고, 이 오목부분(74)의 축선방향중앙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조(突條)(7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조(76)는, 관의 삽입에 의해 밀어넣어진 슬리브(30)가 맞부딪치는 부분이다.The inner surface of the joint body 12 is formed with a semicircular recess 74 in which the sleeve 30 is slidably fitted,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cess 74 in the axial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76) is formed. This protrusion 76 is a part which the sleeve 30 pushed in by the insertion of a pipe | tube hits.

또, 단말통체(18)의 내면에는, ○링(32)을 수납하는 반원형의 오목부분(7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분(78)의 바깥끝쪽은, 바깥끝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28)으로 되어 있다.Moreover, the semicircular recessed part 78 which accommodates the ring 32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18. As shown in FIG. The outer end of the recess 78 is a tapered surface 28 whose inn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outer end.

도 27A∼도 27C는, 도 25A∼도 26B의 부품을 사용한 관조인트의 조립방법을 표시하고 있다.27A to 27C show a method of assembling a pipe joint using the parts of FIGS. 25A to 26B.

먼저, 도 27A에 표시한 바와 같이, 2분할형의 조인트본체(12)의 한쪽편의 절반에 ○링(32)부착슬리브(30)를 조립한다. 그러자, 도 27B와 같이 된다. 다음에, 이 위에 조인트본체(12)의 또한쪽의 절반을 도 27과 같이 씌우고, 판부분(70)을 볼트너트(80)로 꽉죄면, 관조인트(82)가 완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27A, the sleeve 32 with the ring 32 attached to one half of one side of the two-part joint body 12 is assembled. Then, as in Fig. 27B. Next, the other half of the joint main body 12 is covered with this as shown in FIG. 27, and the plate part 70 is tightened with the bolt nut 80, and the pipe joint 82 is completed.

이 관조인트(82)도, 양끝으로부터 관(10)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관(10)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This pipe joint 82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pipe 10 by simply inserting the pipe 10 from both ends.

이 관조인트(82)는, 양끝에 단말통체(18)를 가진 조인트본체(12)가,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분할가능하기 때문에, 관접속후에 해체하는 일이 용이하다. 따라서, 관을 일시적으로 접속해서 소요의 작업을 행한 후, 접속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있는 용도에 적합하다.Since the joint body 12 which has the terminal cylinder 18 at both ends can be divided in the plane containing a center axis | shaft, this pipe joint 82 is easy to disassemble after pipe connection. Therefore, it is suitable for the use which needs to release connection state after carrying out necessary work by temporarily connecting a pipe | tube.

이와 같은 용도의 일예를 도 28A 및 도 28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An example of such a u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8A and 28B.

전선관의 지하부설루트의 도중에 핸드홀(또는 맨홀)이 있는 경우, 핸드홀내에서는, 상류쪽의 전선관과 하류쪽의 전선관이 불연속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불연속의 전선관에 연속해서 장척(長尺)케이블을 통선(通線)하는 경우에는, 상류쪽의 전선관과 하류쪽의 전선관을 중계관에 의해 연결한 상태에서 케이블통선을 행하고, 그후, 중계관을 배어양쪽으로 갈라서 제거하는 작업이 행하여 진다(케이블을 절단할 수 없기 때문에).If there is a handhole (or manhole) in the middle of the underground installation route of the conduit, in the handhole, the upstream conduit and the downstream conduit are discontinuous. In the case of carrying out long cable runs continuously to such a discontinuous conduit, the cable run is performed while the upstream conduit and the downstream conduit are connected by a relay tube, and then the relay is carried out. The tube is cut off on both sides to remove it (because the cable cannot be cut).

이때에 전선관과 중계관을 접속하는 관조인트는, 전선관과 중계관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케이블통선후에 전선관과 중계관의 접속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At this time, it is desired that the tube joint connecting the conduit and the relay tube can easily connect the conduit and the relay tube, and can easily release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duit and the relay tube after the cable connection.

도 28A는, 도 27C와 같이 조립한 관조인트에 의해 전선관(10a)과 중계관(10b)을 접속하고, 그 상태에서 케이블(84)를 통선한 후, 전선관(10a)과 중계관(10b)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해, 조인트본체(12)의 한쪽편의 절반을 분리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조인트본체(12)는 2분할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FIG. 28A shows the conduit 10a and the relay 10b after connecting the conduit 10a and the relay 10b by a tube joint assembled as shown in FIG. 27C, and routing the cable 84 in that state. In order to release the connection, half of one side of the joint main body 12 is shown. Since the joint body 12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it can be easily separated as mentioned above.

1쌍의 조인트본체(12)를 분리한 후, 슬리브(30) 및 ○링(32)을 잘라제거하면, 도 28B와 같이, 전선관(10a)과 중계관(10b)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후 중계관(10b)을 잘라제거하면, 목적으로 하는 케이블부설상태(핸드홀내에서 케이블이 노출한 부설상태)를 얻을 수 있다.If the pair of joint bodies 12 are separated and the sleeve 30 and the ring 32 are cut off and remov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duit 10a and the relay 10b can be released as shown in Fig. 28B. . Subsequently, if the relay pipe 10b is cut off and removed, a target cable laying state (a laying state where the cable is exposed in the hand hole) can be obtain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관조인트는, 슬리브에 의해서 ○링을 확경하고 있기 때문에, 관의 끝부분에 가공을 실시하는 일없이, 관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관을 접속할 수 있다. 또, ○링의 관직경방향의 치수변화를 크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외경이 다른 많은 종류의 관에 대응할 수 있다.As explained above, since the pipe joi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enlarges a ring by a sleeve, a pipe can be connected simply by inserting a pipe, without processing to the end of a pipe. In addition, since the dimensional chang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ing can be largely caught, it can cope with many kinds of pipes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Claims (13)

관을 접속하는 관조인트로서,As a pipe joint connecting the pipe, 통형상의 조인트본체와,The cylindrical joint body, 이 조인트본체의 다른쪽의 끝부분내에, 상기 조인트본체밖으로 일부가 돌출하도록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상기 관의 끝면이 맞부딪치는 당접부분을 가진 슬리브와,A sleeve having a contact portion slidably fitted so that a part of the joint body protrudes out of the joint body, and abutting the end face of the tube; 이 슬리브의 상기 조인트본체밖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외주에 확경된 상태에서 유지된, 탄성을 가진 ○링과,A ring having elasticity, which is held in an enlarged stat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rtion protruding out of the joint body of the sleeve, 한끝쪽이 상기 조인트본체의 다른쪽의 끝부분의 외주에 장착되고, 중간부분에 상기 ○링의 수납부를 가지고, 다른끝쪽에 상기 ○링의 빠짐방지부분을 가진 단말통체를 구비하고,One end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of the joint body, and has a terminal body hav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circle) ring at the middle portion, and a preventing portion of the o ring falling at the other end portion, 상기 단말통체의 개구로부터 관을 삽입하면, 상기 슬리브가 맞닿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관에 밀려서 상기 조인트본체내에 밀려들어가고, 이에 의해서 상기 ○링은 상기 슬리브로부터 빠지는 동시에, 축경해서, 상기 관의 외주에 밀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When the tube is inserted from the opening of the terminal cylinder, the sleeve is pushed into the joint body at the portion where the sleeve abuts, and is pushed into the joint body, whereby the ○ ring is pulled out of the sleeve and reduced in diameter, so as to be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e. A tube joi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통체의 한끝쪽이 상기 조인트본체의 다른쪽의 끝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The pipe joi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terminal body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end of the joint body.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통체의 ○링 빠짐방지부분은, 내주면이 끝부분에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The pipe joi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ing release preventing portion of the terminal cylinder is a tapered surface whose inn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end portion thereof. 제 1항∼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에 화경상태로 유지된 ○링은, 상기 단말통체의 내주면에도 밀착해있고, 상기 단말통체는,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상기 ○링이 상기 관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The r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ing held in the mirrored stat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and the terminal cylinder is between the sleeve and the sleeve. A conduit j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pace that allows the ring to move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ndui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통체의 내주면의, 상기 ○링의 이동범위의 중간에는 융기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The pipe join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raised portion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moving range of the O-r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cylinder. 제 1항∼제 5항의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관의 삽입에 의해 상기 슬리브가 상기 조인트본체내에 밀려넣어졌을때, 상기 조인트본체의 내면과 걸어맞춤하고, 상기 슬리브가 상기 조인트본체로부터 빠저나가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6. The sleev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leeve engages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joint body when the sleeve is pushed into the joint body by insertion of the tube, and the sleeve engages the joint. A pipe joint, comprising: a stopper portion for preventing it from escaping from the main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본체와, 그 다른쪽의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단말통체가,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 분할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The pipe join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joint body and the terminal cylind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thereof are split in a plane including a central axis. 제 1항∼제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본체의 다른쪽의 끝부분근방의 외주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보조○링이 장착되고, 이 보조○링은 상기 단말통체의 내면과 밀착해서 수밀성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The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part of the said joint main body, The auxiliary ring is attached to this groove, The said auxiliary ring is the said terminal body of any one of Claims 1-7. Pipe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tightness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제 1항∼제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에 보조○링의 확경상태로 유지되고, 이 보조○링과 상기 ○링과의 사이에 고리형상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8. The ring-shaped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an auxiliary ring is maintained in an enlarged diameter state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and an annular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ring and the ring. Pipe joints. 제 1항∼제 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맞닿는 부분은, 당접부는, 상기 슬립의, 상기 조인트본체에 끼워맞춤되는 쪽의 끝부분에 형성된 축경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10. The pipe joi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abutting portion of the sleeve is a shaft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lip that is fitted to the joint body. 제 1항∼제 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맞닿는 부분은, 상기 슬리브의, 상기 조인트본체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쪽의 끝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The pipe joi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an abutting portion of the sleeve is an end surface of the sleeve protruding out from the joint body. 제 1항∼제 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맞닿는 부분은,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이고, 상기 조인트본체의 내면에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오목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The said contact part of the said sleeve is a processus | protrusion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sleeve, The recessed part which receives the said processus | protrusion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joint main bod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9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Pipe joints. 제 1항∼제 10항 및 제 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기 조인트본체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쪽의 끝부분에,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조인트.The pi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12, wherein an enlarged diamet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lits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leeve that protrudes out from the joint body. Joint.
KR1020000012930A 1999-03-15 2000-03-14 Pipe joint KR1006176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68399 1999-03-15
JP6839999 1999-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875A true KR20000062875A (en) 2000-10-25
KR100617668B1 KR100617668B1 (en) 2006-08-28

Family

ID=6027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930A KR100617668B1 (en) 1999-03-15 2000-03-14 Pipe j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6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523B1 (en) 2017-11-10 2020-04-06 송원영 Auto adapter for leaking insp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668B1 (en)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5669C (en) Quick connect tube coupling
EP0680580B1 (en) Coupling for outer surface engagement of polymeric pipe
EP0532242B1 (en) Quick connect tubing connector
EP1322885B1 (en) A device for gripping a pipe or bar
US5350203A (en) Quick connect tubing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JPH07269749A (en) Pipe joint device
WO1997042442A1 (en) Coupling for corrugated tubing
KR20130119930A (en) Push to connect conduit fitting with ferrule
US6851726B2 (en) Radial conduit coupling system and method
US4564221A (en) Hose coupling
JP2002512669A (en) Groove pipe connector that prevents rotation and allows quick connection
CN110869659A (en) Pipe, in particular plastic pipe for waste water lines
HUE027202T2 (en) Push-fit pipe fitting system with support sleeve
WO2007045033A1 (en) A slip type pipe joint
US6641178B2 (en) Jointing system for pipes
JP2009103169A (en) Joint
KR100617668B1 (en) Pipe joint
EP1079163A2 (en) Flexible expansion joint for tubes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210018108A1 (en) Excess flow valve assemblies
US5004274A (en) Snap ring joint assembly
JP3665529B2 (en) Pipe fitting
JP2561694B2 (en) Pipe fitting
WO2004046603A1 (en) Improved pipe connector
KR920002819B1 (en) Pipe coupling
JP2002130560A (en) Pipe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