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917A - Device keyboard of computer - Google Patents

Device keyboard of compu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917A
KR20000060917A KR1019990009605A KR19990009605A KR20000060917A KR 20000060917 A KR20000060917 A KR 20000060917A KR 1019990009605 A KR1019990009605 A KR 1019990009605A KR 19990009605 A KR19990009605 A KR 19990009605A KR 20000060917 A KR20000060917 A KR 20000060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main
computer
auxiliary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석화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0917A/en
Publication of KR2000006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91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computer keyboard device is provided to make an auxiliary keyboard, for number & special character input keys and cursor movement keys, separable from a main keyboard, for general character keys so that it can enhance a work efficiency regardless of a left handed or right handed user. CONSTITUTION: A computer keyboard device comprises an auxiliary keyboard(2A), a main keyboard(3A), a pair of connectors(10), an assembly projection(11), and an assembly groove(12). The connectors(10),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keyboard(2A) and the main keyboard(3A), electrically connects the auxiliary keyboard(2A) to a left side or a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3A). The assembly projection(11),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ain keyboard(2A), gets assembled with the assembly groove(12), formed on the side of the auxiliary keyboard(2A) to prevent a separation of the assembled keyboard caused by an external impact

Description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DEVICE KEYBOARD OF COMPUTER}Keyboard device for computer {DEVICE KEYBOARD OF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의 각종 문자와 숫자 등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자료의 입력 및 수정과 명령을 수행하는 메인 키보드와 넘버 록키의 온/오프에 의해 문자 및 숫자의 입력과 커서의 상하좌우이동 및 명령을 수행하는 보조 키보드를 착탈 분리 가능하게 하여 오른손 및 왼손잡이에 관계없이 키보드의 중심이 모니터 화면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하여 인체공학측면에서 컴퓨터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용 키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input and correction of commands and commands using the various letters and numbers of the computer, and inputs letters and numbers, and moves up and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nd commands by turning on / off the main keyboard and number lock keys. Computer keyboard structure that allows the computer operator to work in a comfortable position in terms of ergonomics by allowing the keyboard to be detachable and detachable so that the center of the keyboard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monitor screen regardless of right or left handedness. will be.

종래 컴퓨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와 숫자를 이용하여 컴퓨터(1)에 각종 자료의 입력과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 키보드(2)와 숫자 및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숫자의 입력과 커서의 상하좌우이동 등을 하기 위한 보조 키보드(3)가 일체로 형성된 키보드(4)와, 상기 키보드(4)의 후면에 컴퓨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자료의 입력 및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케이블(5)과, 컴퓨터(1)에 입력되어 처리된 각종 자료 및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문자 또는 그래픽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시켜주는 모니터(6)와, 상기 컴퓨터(1)의 후면에 연결되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마우스 패드(8)에 얹혀져 사용되는 별도의 보조수단인 마우스(7)로 구성된 것이다.1 and 2, a conventional computer uses numerals and arrow buttons of the main keyboard 2 for performing various data input and commands to the computer 1 using letters and numbers. A keyboard 4 integrally formed with an auxiliary keyboard 3 for inputting and moving th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uter 1 at the rear of the keyboard 4 to input various data and command signals. A signal cable 5 which transmits a signal, a monitor 6 which receives various data and command signals input and processed by the computer 1 and processes them into text or graphics and displays them on the back of the computer 1; It is composed of a mouse (7) which is a separate auxiliary means used to be mounted on the mouse pad (8) to connect and input a comman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컴퓨터의 키보드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케이블(5)에 의해 컴퓨터(1)에 연결된 키보드(4)를 통해 작업자가 문자 및 숫자 등의 전반적인 자료를 컴퓨터(1)에 입력하거나 전반적인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모니터(6)를 보면서 키보드(4)의 메인 키보드(2)와 보조 키보드(3)통해 원하는 문자 및 숫자 등의 자료를 입력하고 보조 수단인 마우스(7)를 사용하여 작업 명령을 입력하므로서 컴퓨터(1)가 동작하게 되는 바, 일반적으로 컴퓨터(1)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오른손잡이일 경우 컴퓨터(1)에 연결되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보조 수단인 마우스(7)를 오른손으로 잡아 사용하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상기 마우스(7)는 키보드(4)의 오른쪽에 위치하게 된다.The keyboard device of the conventional compu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operator through the keyboard (4) connected to the computer 1 by the signal cable (5), the operator to the computer and the overall data such as letters (1) The operator enters data such as desired letters and numbers through the main keyboard (2) and the sub keyboard (3) of the keyboard (4) while the operator looks at the monitor (6) to enter or perform general commands. The computer 1 is operated by inputting a work command using the mouse 7. In general, when an operator who operates the computer 1 is right-handed, the computer 1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1 to input a command. In general, the mouse 7 is positioned to the right of the keyboard 4 since the mouse 7 is used as a right hand.

한편, 작업자가 왼손잡이일 경우 마우스(7)를 키보드(4)의 왼쪽에 위치시켜 왼손으로 마우스(7)를 잡아 사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orker is left-handed, the mouse 7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4 to hold the mouse 7 with the left hand.

그러나 종래에는 키보드(4)를 통해 컴퓨터(1)에 각종 자료 및 명령을 입력중 보조 수단인 마우스(7)를 통해 별도의 명령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상기 마우스(7)는 작업자가 오른손 또는 왼손잡이에 따라 키보드(4)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위치하게 되는 바, 작업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모니터(6)의 화면 중심과 키보드(4)의 중심 축이 맞지 않아 자세가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a user wants to input a separate command through the mouse 7, which is an auxiliary means, while inputting various materials and commands to the computer 1 through the keyboard 4, the mouse 7 may be operated by the operator with his right or left hand. Accordingly, the bar 4 may be located at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keyboard 4, and thus, when the operator uses a computer, the screen center of the monitor 6 and the center axis of the keyboard 4 do not coincide.

즉, 모니터(6)의 화면 중심축에 키보드(4)의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인 키보드(2)를 기준(A축 중심)으로 맞추게 될 경우 마우스(8)가 얹혀지는 마우스 패드(8)의 위치는 키보드(4)의 우측편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되므로 작업자의 오른쪽 팔의 위치가 더 멀어지게 되어 작업거리가 커져 작업시 쉽게 피로해 지게 된다.That is, the position of the mouse pad 8 on which the mouse 8 is placed when the main keyboard 2 of the keyboard 4 is used as the reference (center of the A axis) is aligned with the screen center axis of the monitor 6. Since the further away from the right side of the keyboard 4 is the position of the right arm of the operator is further away, the working distance is increased, and easily tired during work.

따라서 키보드(4)의 중심(B축)으로 기준축을 맞출 경우 작업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인 키보드(2)가 모니터(6)의 화면 중심축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작업자의 몸과 손이 왼쪽방향으로 돌아가게 되고, 얼굴은 모니터(6)의 화면을 향해 오른쪽으로 돌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인체공학적으로 불편을 초래하게 되고 쉽게 피로해져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reference axis is aligned with the center (B axis) of the keyboard 4, the main keyboard 2 used by the operator is moved to the left from the center axis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6 so that the body and hands of the operator are leftward. Returning to, the face has to be turned to the right toward the screen of the monitor 6, the operator is ergonomically uncomfortable and easily t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키보드의 좌측에 위치한 보조 키보드를 착탈 가능하게 하여 오른손잡이일 경우 보조 키보드를 메인 키보드의 왼쪽에 체결시키고 마우스를 메인 키보드의 오른쪽에 위치되도록 하고, 왼손잡이일 경우 보조 키보드를 메인 키보드의 오른쪽에 위치시키면서 마우스를 메인키보드의 왼쪽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모니터의 화면 중심축과 키보드의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메인 키보드 중심 축이 일치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컴퓨터를 조작시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uxiliary keyboard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to be detachable so that in the case of the right handed, the auxiliary keyboard is fasten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keyboard and the mouse is position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 In this case, the secondary keyboard should b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 while the mouse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keyboard so that the main axis of the monitor's screen and the main axis of the main keyboard of the keyboard coincid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performing the work in a comfortable posture in terms of engineering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컴퓨터의 체결구조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mputer.

도 2는 종래 컴퓨터용 키보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mputer keyboard.

도 3은 본 발명 컴퓨터의 체결구조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compu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컴퓨터용 키보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mputer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컴퓨터용 키보드의 착탈상태를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ched state of the computer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 컴퓨터는 도 3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와 숫자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각종 자료의 입력과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 키보드와 숫자 및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숫자의 입력과 커서의 상하좌우이동 등을 하기 위한 보조 키보드가 일체로 형성된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의 후면에 컴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자료의 입력 및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케이블과, 컴퓨터에 입력되어 처리된 각종 자료 및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문자 또는 그래픽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시켜주는 모니터와, 상기 컴퓨터의 후면에 연결되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마우스 패드에 얹혀져 사용되는 별도의 보조 입력수단인 마우스로 이루어진 컴퓨터에 있어서,First, as shown in FIGS. 3 to 5, the computer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ain keyboard and a number and arrow buttons to perform various data input and commands to the computer using letters and numbers. A keyboard integrally formed with an auxiliary keyboard for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a signal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puter at the rear of the keyboard, for transmitting input and command signals of various data, and various data input and processed by the computer And a monitor that receives a command signal and processes and displays the text or graphics and a mouse,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omputer and is a separate auxiliary input means used on a mouse pad to input a command.

상기 키보드는 작업자가 오른손 또는 왼손잡이일 경우 보조 키보드(3A)를 메인 키보드(2A)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착탈 가능하게 하고, 상기 보조 키보드(3A)와 메인 키보드(2A)가 일체로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측면에 한 쌍의 콘넥터(10)가 형성되고, 상기 콘넥터(10)를 상호 연결하여 메인 키보드(2A)와 보조 키보드(3A)를 평탄하게 일체화할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메인 키보드(2A)와 보조 키보드(3A)가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키보드(2A)의 일측면 위치에 체결돌기(11)를 돌출시키고 상기 체결 돌기(11)가 체결되도록 보조 키보드(3A)의 일측면 위치에 체결 홈(1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keyboard is detachable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 2A when the operator is right or left handed, and the auxiliary keyboard 3A and the main keyboard 2A are integrally fasten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pair of connectors 10 are formed on one side so as to be connected, and when the connectors 10 are interconnected and the main keyboard 2A and the auxiliary keyboard 3A are flatly integrated, the main body is impacted by an external shock. In order to prevent the keyboard 2A and the auxiliary keyboard 3A from rocking, the fastening protrusion 11 protrudes at one side of the main keyboard 2A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1 is fastened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11 is fastened. The fastening groove 12 is formed in one side posi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도 3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케이블(5)에 의해 컴퓨터(1)에 연결된 키보드(4)를 통해 작업자가 문자 및 숫자 등의 전반적인 자료를 컴퓨터(1)에 입력하거나 전반적인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모니터(6)를 보면서 키보드(4)의 메인 키보드(2A)와 보조 키보드(3A)통해 원하는 문자 및 숫자 등의 자료를 입력하고 보조 입력수단인 마우스(7)를 사용하여 작업 명령을 입력하게 되므로서 컴퓨터(1)가 동작하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S. 3 to 5, the operatio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based on the keyboard 4 connected to the computer 1 by the signal cable 5. (1) The operator inputs data such as desired letters and numbers through the main keyboard (2A) and the sub keyboard (3A) of the keyboard (4) while the operator looks at the monitor (6) to enter or perform general commands. The computer 1 operates by inputting a work command using the mouse 7.

이때, 컴퓨터(1)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오른손잡이일 경우 키보드(4)의 메인 키보드(2A)와 보조 키보드(3A)를 서로 분리 가능하므로 상기 보조 키보드(3A)를 메인 키보드(2A)의 왼쪽에 체결시키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operator who operates the computer 1 is right-handed, the main keyboard 2A and the auxiliary keyboard 3A of the keyboard 4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uxiliary keyboard 3A is left of the main keyboard 2A. To be tightened.

따라서, 메인 키보드(2A)와 보조 키보드(3A)의 일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콘넥터(10)가 상호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동시에 메인 키보드(2A)의 일측면 위치에 형성된 체결 돌기(11)와 보조 키보드(3A)의 일측면 위치에 형성된 체결 홈(12)이 상호 연결되므로서 메인 키보드(2A)와 보조 키보드(3A)가 일체화 되어 요동이 방지된다.Therefore, a pair of connectors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keyboard 2A and the auxiliary keyboard 3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fastening protrusion 11 formed at one side position of the main keyboard 2A. And the coupling groove 12 formed at one side position of the auxiliary keyboard 3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ain keyboard 2A and the auxiliary keyboard 3A are integrated to prevent shaking.

이후, 메인 키보드(2A)의 왼쪽에 보조 키보드(3A)가 체결 완료 되었으면 상기 메인 키보드(2A)의 오른쪽에 마우스 패드(8)를 위치시켜 마우스 패드(8)에 각종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보조 입력수단인 마우스(7)를 얹혀 사용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auxiliary keyboard 3A is fasten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keyboard 2A, the mouse pad 8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 2A to input various commands to the mouse pad 8. The mouse 7 which is a means is put on and used.

이와 같이, 메인 키보드(2A)를 중심으로 왼쪽에 보조 키보드(3A)를 체결시키고 오른쪽에 마우스(7)를 위치시켜 사용하므로서 작업자가 컴퓨터를 조작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키보드(4)의 메인 키보드(2A) 중심 축이 모니터(6)의 화면 중심 축과 일치(C축)되므로서 작업자는 모니터(6)의 화면 중심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바, 상기 메인 키보드(2A)의 중심 축과 모니터(6)의 화면 중심 축이 일치되게 하므로서 보조 키보드(3A)를 사용하는 왼손과 마우스(7)를 사용하는 오른손의 이동거리가 짧기 때문에 작업자가 컴퓨터를 조작시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main keyboard (2) of the keyboard (4) that the operator uses the most when operating the computer by fastening the auxiliary keyboard (3A) on the left side and the mouse (7)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 (2A) 2A) Since the center axis coincides with the screen center axis of the monitor 6 (C axis), the operator can work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6, and the center axis of the main keyboard 2A and the monitor The movement distance between the left hand using the auxiliary keyboard (3A) and the right hand using the mouse (7) is short because the screen center axes of (6)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It can be carried out to reduce fatigue,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한편, 작업자가 왼손잡이 일 경우 보조 키보드(3A)를 메인 키보드(2A)의 오른쪽에 위치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마우스(7)를 메인 키보드(2A)의 왼쪽에 위치시켜 오른손잡이의 경우와 같이 모니터(6)의 화면 중심축과 메인 키보드(2A)의 중심 축을 일치시켜 사용하므로서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피로감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or is left-handed, the auxiliary keyboard 3A is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 2A and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n the mouse 7 is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keyboard 2A. By using the center axis of the screen in (6) and the center axis of the main keyboard (2A), it is possible to perform work in a comfortable posture in terms of ergonomics, thereby reducing fatigue and improving work efficienc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터 작업자가 오른손잡이일 경우 보조 키보드를 메인 키보드의 왼쪽에 체결시키고 마우스를 메인 키보드의 오른쪽에 위치되도록 하고, 왼손잡이일 경우 보조 키보드를 메인 키보드의 오른쪽에 위치시키면서 마우스를 메인 키보드의 왼쪽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모니터의 화면 중심 축과 키보드의 메인 키보드 중심 축이 일치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컴퓨터를 조작시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computer operator is right-handed, the secondary keyboard should be lock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keyboard and the mouse should be position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 Since i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the center axis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and the main axis of the keyboard of the keyboard coincide, so that the operator can work in a comfortable posture in terms of ergonomics when operating the computer.

Claims (5)

문자와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각종 자료의 입력과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 키보드와, 숫자 및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숫자의 입력과 커서의 상하좌우 이동 등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 키보드로 이루어져 컴퓨터에 각종 자료의 입력과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키보드에 있어서,It is composed of main keyboard for inputting various data and commands using letters and number buttons, and auxiliary keyboard for inputting numbers and moving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using numbers and arrow buttons. In the keyboard for inputting various commands and commands, 메인 키보드를 중심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에 보조 키보드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A keyboard device for a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keyboard is fastened to the left or the right of the main keyboard. 제 1항에 있어서, 메인 키보드의 우측에 보조 키보드를 체결시킬 경우에는 마우스가 메인 키보드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메인 키보드의 좌측에 보조 키보드를 체결시킬 경우에는 마우스를 메인 키보드의 우측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use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keyboard when the auxiliary keyboard is fasten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 and the mouse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 when the auxiliary keyboard is fasten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keyboard. Keyboard device for a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보조 키보드는 전기적 연결 수단인 콘넥터에 의해 메인 키보드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The keyboard apparatus for a comput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uxiliary keyboard is connected to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 by a connector which is an electrical connection means.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메인 키보드와 보조 키보드를 체결시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기구적인 체결 수단인 체결 돌기와 체결 홈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The keyboard device for a comput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in keyboard and the auxiliary keyboard are fastened by fastening protrusions and fastening grooves which are mechanical fastening means to prevent shaking.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메인 키보드를 중심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한 편에 체결되어 지는 보조 키보드는 작업자의 오른 손 또는 왼손 잡이에 따라 그 체결 위치가 결정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The auxiliary keyboard to be fastened to either the left or the right side of the main keyboard, wherein the fastening posi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or's right hand or left hand grip. Keyboard device for computer.
KR1019990009605A 1999-03-22 1999-03-22 Device keyboard of computer KR200000609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605A KR20000060917A (en) 1999-03-22 1999-03-22 Device keyboard of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605A KR20000060917A (en) 1999-03-22 1999-03-22 Device keyboard of compu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917A true KR20000060917A (en) 2000-10-16

Family

ID=1957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605A KR20000060917A (en) 1999-03-22 1999-03-22 Device keyboard of compu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091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191B1 (en) * 2006-05-12 2008-01-1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Keyboard having the function of a mouse
KR101111285B1 (en) * 2011-02-17 2012-02-22 이성일 Mouse having body of partition type for the handicapped people
WO2020130393A1 (en) * 2018-12-19 2020-06-25 김용주 Keyboard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191B1 (en) * 2006-05-12 2008-01-1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Keyboard having the function of a mouse
KR101111285B1 (en) * 2011-02-17 2012-02-22 이성일 Mouse having body of partition type for the handicapped people
WO2020130393A1 (en) * 2018-12-19 2020-06-25 김용주 Keyboard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5664B1 (en) Head operated computer pointer
KR20020097024A (en) Hand grippable combined keyboard and game controller system
JPH07302148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US6188390B1 (en) Keyboard having third button for multimode operation
KR20000060917A (en) Device keyboard of computer
EP0749062B1 (en) Keyboard for the inputting of data having a tracking device
KR200266840Y1 (en) left right assembling-dismantling keyboard
CN218082689U (en) Robot demonstrator based on double-screen control
JPH09198189A (en) Data input device
GB2347895A (en) Keyboard with an integral mouse/pointer incorporated into a space bar thereof
KR100364327B1 (en) Swivel apparatus for computer keyboard
JP3056112U (en) Mouse with numeric keypad
KR200291228Y1 (en) multipurpose input device
JPH05313801A (en) Cordless ten-key pad containing mouse
KR200228186Y1 (en) Portable Keyboard
KR200201945Y1 (en) Keyboard for computer
JP2000284888A (en) Right and left divided type keyboard device
KR19990040906U (en) Detachable keyboard unit
KR19990012280U (en) Keyboard structure
JPS6211923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JPH0594250A (en) Keyboard
JPH08241169A (en) Lcd display with pointing device
JPS616723A (en) Keyboard
JPH0916300A (en) Key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with keyboard part
JP2000214981A (en) Keyboar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