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778A - 포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포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778A
KR20000059778A KR1019990007626A KR19990007626A KR20000059778A KR 20000059778 A KR20000059778 A KR 20000059778A KR 1019990007626 A KR1019990007626 A KR 1019990007626A KR 19990007626 A KR19990007626 A KR 19990007626A KR 20000059778 A KR20000059778 A KR 20000059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inlet
legs
fix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8709B1 (ko
Inventor
김현탁
Original Assignee
김현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탁 filed Critical 김현탁
Priority to KR101999000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70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2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spending sacks, e.g. pedal- operated
    • B65B67/1233Clamping or ho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05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ollapsible or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포대 고정장치는 포대 입구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포대 고정수단 (11, 12, 13, 14)이 설치되고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대 입구 고정틀(1), 상기 포대 입구 고정틀의 양쪽에 고정되도록 부착된 한 쌍의 다리(2, 3), 및 상기 포대 입구 고정틀의 한 중앙부에 고정되도록 부착되고 장석(6)에 의하여 절첩식으로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 다리(4)로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포대 고정장치의 포대 입구 고정틀(1)에는 포대(5)를 포대 고정수단(11, 12, 13, 14)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작업 초기에는 포대(5)에 내용물이 적게 담기기 때문에 높낮이 조절 다리(4)를 반으로 접어서 포대 입구의 높이를 낮게 하고, 내용물이 충분히 담기면 높낮이 조절 다리(4)를 펴서 포대 입구의 높이를 높게하여 내용물을 편리하게 담을 수 있다.

Description

포대 고정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a cereal bag}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벼를 비롯한 곡식 등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포대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곡식 등을 포대에 담을때 사람이 포대를 벌리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곡식을 담을 수 있도록 포대를 고정할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농촌에서 벼를 비롯한 기타의 곡식 등을 포대에 담는 경우에는 한 사람 또는두 사람이 포대 입구를 벌리고 다른 한 사람이 곡식을 퍼서 포대에 담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최소한 두 사람 또는 세 사람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는 포대를 사람이 별도로 벌리지 않더라도 포대 입구를 고정시켜서편리하게 곡식을 담을 수 있도록 포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를 개발하기에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이 포대를 벌리지 않더라도 곡식을 편리하게 담을 수있도록 포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포대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낮이 조절 다리에 의하여 포대 입구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자가 곡식을 포대에 편리하게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된 포대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포대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다리가 접힌 상태의 포대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다리가 펼쳐진 상태의 포대 고정장치를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포대 입구 고정틀 2, 3 : 다리
4 : 높낮이 조절 다리 5 : 포대
6 : 장석 11, 12, 13, 14 : 포대 고정수단
본 발명의 포대 고정장치는 포대 입구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포대고정수단 (11, 12, 13, 14)이 설치되고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대 입구 고정틀(1), 상기 포대 입구 고정틀의 양쪽에 고정되도록 부착된 한 쌍의 다리(2, 3), 및 상기 포대 입구 고정틀의 한 중앙부에 고정되도록 부착되고 장석(6)에 의하여 절첩식으로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 다리(4)로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포대 고정장치의 포대 입구 고정틀(1)에는 포대(5)를 포대 고정수단(11, 12, 13, 14)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작업 초기에는 포대(5)에 내용물이 적게 담기기 때문에 높낮이 조절 다리(4)를 반으로 접어서 포대 입구의 높이를 낮게 하고, 내용물이 충분히 담기면 높낮이 조절 다리(4)를 펴서 포대 입구의 높이를 높게하여 내용물을 편리하게 담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대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곡식 등을 포대에 퍼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 다리(4)가 반으로 접혀진 상태로 세우고 다리(2, 3)를 세워 본 발명의 포대 고정장치를 설치한다. 다음에 곡식을 퍼담을 포대(5)를 포대 입구 고정틀(1) 사이에 끼운 뒤 포대 고정수단(11, 12, 13, 14)으로 포대 입구를 포대 입구 고정틀에 고정시킨다. 이 때, 포대 고정장치의 높낮이 조절 다리가 반으로 접혀진 상태이기 때문에 포대는 완전한 길이로펴지지 않은 상태로 된다.
곡식을 포대에 퍼담기 시작하여 내용물이 포대 입구 가까이까지 채워지면 퍼담기를 일시 중지한다. 포대를 전체길이로 펴기 위하여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 다리(4)를 전체길이로 펼쳐 세우면 포대 고정장치의 키가 높아져서포대가 길게 펴지게 된다. 다음에 포대가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곡식을 포대에 채우고 포대 입구를 노끈 등의 통상적 수단으로 봉하면 곡식을 담는 작업이 완결된다.
상기 포대 입구 고정틀(1)의 모양은 원형, 사각형 등의 다른 모양일 수도 있으나 포대 입구의 모양과 전체 지지구조를 고려할 때 타원형인 것이 가장 적당하다. 본 발명의 포대 고정장치를 다양한 크기의 포대에 사용하기 위하여 포대 입구고정틀(1)을 둘레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둘레 조절장치가 부착된 형태로 만들수도 있다.
상기 다리(2, 3)의 길이는 사용되는 포대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비스듬히 세워져서 포대의 바닥이 지면에 닿게 하려면 포대의 길이보다는 길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 다리(4)는 엄격히 적용되지 않으나, 전체길이가 상기 다리(2, 3)과 같거나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다리(2, 3)와 상기 높낮이 조절 다리(4)는 지면과 닿는 끝부분에 마모방지 및 지지상태를 돕기 위한 받침발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한 쌍의 다리는 이동시 편리할 수 있도록 받침발 대신에 바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포대 고정장치는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나무 등의 다양한 재료로써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대 고정장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3다리 구조로 되어 있고 포대 길이보다 길이가 긴 3개의 다리들이 비스듬히 세워지고 포대가 지면에 닿은 상태로 곡식을 포대에 담기 때문에 3개의 다리에 곡식의 무게를 지탱해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특별한 강도를 갖는 재질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써 제작이 가능하다.
포대 입구 고정수단(11, 12, 13, 14)은 보통 집게 형태일 수 있으며 포대 입구 고정틀에 합체된 형태 또는 포대 입구 고정틀과 분리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이 포대 입구 고정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김치통의 뚜껑을 고정시키는데 사용하는 집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대 고정장치는 벼를 비롯한 곡식을 담는데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감자, 양파, 고추 등과 같은 기타 농작물을 담는데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있다.
이상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포대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곡식 등을 포대에 퍼담는 경우, 포대 입구를 벌리고 유지하는데 사람의 손이 필요치 않고 편리하게 곡식 등을 퍼담을 수있으므로 특히 농번기에 노동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4)

  1. 포대 입구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포대 고정수단(11, 12, 13, 14)이 설치되고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대 입구 고정틀(1), 상기 포대 입구 고정틀의 양쪽에 고정되도록 부착된 한 쌍의 다리(2, 3), 및 상기 포대 입구 고정틀의 한 중앙부에 고정되도록 부착되고 장석(6)에 의하여 절첩식으로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다리 (4)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2, 3)의 길이와 상기 높낮이 조절다리 (4)의 펼쳐진 상태의 길이가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2, 3)의 길이는 퍼담을 포대 (5)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입구 고정틀(1)은 둘레 조절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둘레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 고정장치.
KR1019990007626A 1999-03-08 1999-03-08 포대 고정장치 KR100308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626A KR100308709B1 (ko) 1999-03-08 1999-03-08 포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626A KR100308709B1 (ko) 1999-03-08 1999-03-08 포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778A true KR20000059778A (ko) 2000-10-05
KR100308709B1 KR100308709B1 (ko) 2001-09-26

Family

ID=1957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626A KR100308709B1 (ko) 1999-03-08 1999-03-08 포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6085A (zh) * 2019-08-20 2019-11-12 徐州工程学院 沙滩用便捷垃圾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6085A (zh) * 2019-08-20 2019-11-12 徐州工程学院 沙滩用便捷垃圾桶
CN110436085B (zh) * 2019-08-20 2021-08-31 徐州工程学院 沙滩用便捷垃圾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8709B1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3104A (en) Demountable collapsible trash bag support
US5967342A (en) Multipurpose laundry cart
US4312489A (en) Bag holder for collapsible bags
US20010002690A1 (en) Support frame for plastic bag with handles having reservoir bag attachment
EP1120135A3 (en) Golf bag assemblage
US20060175475A1 (en) Portable trash receptacle
US7490798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ntainer
US20120001035A1 (en) Bag Filling And Support Stand
ATE328812T1 (de) Aufgussbeutel
US5829079A (en) Portable sand filled pillow
KR100308709B1 (ko) 포대 고정장치
JPS62217960A (ja) 腰部牽引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41765A (en) weyer
GB2430185A (en) Refuse receptacle comprising sack-supporting device
ES1023879U (es) Bolsa para el transporte manual de articulos adquiridos en establecimientos comerciales.
US20050103952A1 (en) Flexible bag supporting frame
KR200483296Y1 (ko) 농산물 수확용 포대 걸이대
US5473996A (en) Portable tripod riser
KR200265557Y1 (ko) 농산물의 선별 및 포장이 용이한 작업대
JP2010202257A (ja) 米袋扱い補助具
KR20100081384A (ko) 농산물포장망 포장대
WO2003033380A3 (en) Collapsible container apparatus for use in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fluid material
ES1029761U (es) Pie de gotero para paseo
CA2487685A1 (en) Flexible bag supporting frame
CA259445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