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550A - 골프 스윙 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550A
KR20000059550A KR1019990007236A KR19990007236A KR20000059550A KR 20000059550 A KR20000059550 A KR 20000059550A KR 1019990007236 A KR1019990007236 A KR 1019990007236A KR 19990007236 A KR19990007236 A KR 19990007236A KR 20000059550 A KR20000059550 A KR 2000005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guide rail
groove
swing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3644B1 (ko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김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태 filed Critical 김정태
Priority to KR101999000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64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에 입문하는 초보자나 자세가 올바르지 않은 골퍼에게 표준의 자세를 정착시키기 위한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진원형상의 안내레일에 내측의 베어링에 의해 좌,우로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포켓을 외삽하고 상기 포켓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구에 글러브를 삽입하여 스윙시 글러브가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동일한 스윙동작을 반복해서 행하므로서 빠른 시간내에 올바른 자세가 몸에 베도록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전측의 상면 중앙에 공(1a)을 올려놓기 위한 티(1)가 구비되고 후측에는 단부에 체결클립(3a)이 일체로 구성된 고정지주(3)가 입설되어 있는 기판(5)과 ; 외주연에 반원형상의 베어링 안착홈(6)이 형성되고 스윙이 종료되는 지점에 돌기(7)를 형성하고 양단부를 체결구(8)로 결합한 진원형상의 안내레일(10)과 ; 중공부(11)의 내주연에 상기 베어링 안착홈(6)에 대응되는 요홈(13)이 형성되고 일측면의 상부에는 걸림요홈(14)과 하부에는 절개부(15)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비틀림 스프링(17)에 의해 가동편(16a)이 일체로 결합된 후크부재(16)가 형성된 포켓(20)을 상기 안내레일(10)의 외주연에 외삽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기{Golf swing training structure}
본 발명은 골프에 입문하는 초보자나 자세가 올바르지 않은 골퍼에게 골프에서 요구하는 표준자세로 교정하기 위한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진원형상의 안내레일에 내측의 베어링에 의해 좌,우로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포켓을 외삽하고, 상기 포켓의 상단부의 후크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구에 글러브를 삽입하여 스윙시 글러브가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동일한 스윙동작을 반복해서 행하므로서 빠른 시간내에 올바른 자세가 몸에 베도록 제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에 입문하는 초보자들의 대부분은 실내,외에 마련된 골프연습장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가에게 스윙자세를 지도받거나 교정받게 되는 바, 이러한 연습은 반듯이 연습장을 직접 방문하여야 만이 가능하고, 또 연습장을 방문하더라도 지도교사가 어느 일개인에게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없어 대부분의 골퍼는 기초적인 자세만을 교육받은 후 스스로 연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의 사정으로 인하여 연습장에 가지 못할 경우에는 연습할 공간과 자신을 지도할 사람이 없어 연습을 등안시하게 되고 결국은 어렵게 시작한 운동을 조기에 포기하는 경우까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간이나 공간적인 이유로 인하여 직접 연습장에 방문하지 않더라고 가정에서 연습하기 위한 연습기는 여러 가지 제안되어 실생활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자세를 교정하기보다는 골프에 대한 감각을 유지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것이 퍼팅 연습기라 할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골퍼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인 스윙자세를 독자적으로 반복 연습하여 이상적인 자세를 습득할 수 있는 장치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으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최소의 면적에 설치 가능하고 혼자서 반복 연습하므로서 스윙에 가장 이상적인 자세를 익힐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프에 입문하는 초보자에게 어느 특정인에게 지도를 받지 않고도 스스로 골프에서 요구하는 올바른 자세를 몸에 베게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전측의 상면 중앙에 공을 올려놓기 위한 티(TEE)가 구비되고 후측에는 단부에 체결클립이 일체로 구성된 고정지주가 입설되어 있는 기판과 ; 외주연에 반원형상의 베어링 안착홈이 구성되고 스윙이 종료되는 지점에 돌기를 형성하고 양단부를 체결구로 결합한 진원형상의 레일과 ; 중공부의 내주연에 상기 베어링 안착홈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의 상부에는 걸림요홈과 하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가동편이 일체로 결합된 후크부재가 형성된 포켓을 상기 안내레일의 외주연에 외삽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로부터 얻게 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성요소인 포켓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포켓을 안내레일에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티(TEE) (3)…고정지주 (5)…기판 (6)…베어링 안착홈
(7)…돌기 (10)…안내레일 (11)…중공부 (12)…베어링
(13)…요홈 (16)…후크부재 (16a)…가동편 (20)…포켓
(G)…글러브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티(1)와 고정지주(3)를 설치하기 위한 기판(5)과, 골퍼의 글러브(G)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레일(10)과, 상기 안내레일(10)에 외삽되어 글러브와 일체로 회전되는 포켓(2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기판(5)은 대략적으로 정방형상이나 직방형상을 취하는 것으로서, 상면의 전측 중앙에는 공(1a)을 올려놓기 위한 티(1)가 고정되고 후측의 내측에는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고정지주(3)가 전측에 1개 후측에 2개가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고정지주(3)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안내레일(10)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3a)이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서, 골퍼의 신체에 알맞게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클립(3a)에 고정되는 안내레일(1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반원형상의 베어링 안착홈(6)이 "+" 형상으로 4개 형성되어 있고, 일측의 상면에는 돌기(7)가 형성된 프레임을 진원형상으로 밴딩하여 양단부에 형성된 나선부를 체결구(8)로서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면에서는 안내레일(10)이 일체로 구비된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부피를 작게 하고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안내레일의 중간부위를 힌지 결합하여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에는 하등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안내레일(10)의 외주연에는 도 1 및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포켓(20)을 외삽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 포켓(20)은 중공부(11)를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는 베어링(12)을 정합하기 위한 반원형상의 요홈(13)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 요홈(13)의 위치는 상기 안내레일(2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안착홈(6)과 일치하는 부위에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내주면의 상부에는 안내레일(10)상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7)가 내삽시키기 위한 걸림요홈(14)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측의 고정지주(3)의 단부에 형성된 클립(1a)에 걸리지 않도록 절개부(15)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면에는 후크부재(16)가 고정되어 일측에는 비틀림스위치(17)의 탄성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면서 개폐되는 가동편(16a)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판(5)의 상면 일정개소에 표시되어 있는 위치부(P)에 발을 올려놓은 후 글러브(G)를 안내레일(10)상에 외삽된 포켓(20)의 상부에 형성된 후크부재(16)에 끼우고 글러브(G)를 전,후로 이동하게 되면, 안내레일(10)의 외주연과 포켓(2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상의 베어링 안착홈(6)과 요홈(13)에 의해 정합되어 있는 베어링(12)에 의해 자유자재로 슬라이딩되게 되는 것이다.
삽입구(16b)에 끼워진 글러브(G)의 패드부분을 티(1)의 상부에 안치되어 있는 볼(1a)에 맞춘 후 백스윙한 후 전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글러브(G)는 포켓(2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윙동작을 진행하여 스윙이 끝나는 지점의 안내레일(10)의 상부에는 돌기(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이 돌기(7)는 포켓(20)의 측면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요홈(14)과 정합되게 된다.
이때 걸림요홈(14)과 돌기(7)는 당접되어 포켓(20)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게 되고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가동편(16a)이 후크부재(16)에서 자동적으로 이탈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의 동작을 반복 연습하므로서 자신도 모르게 골프의 스윙에 가장 이상적인 자세가 몸에 베게되는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진원형상의 안내레일의 외주연에 외삽된 포켓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후크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에 글러브를 삽입하여 동일한 동작의 연습을 반복하므로서 단시간내에 이상적인 스윙자세를 익힐 수 있으며, 또한 연습장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가정의 정원이나 실내에 설치하여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수시로 연습할 수 있어 시간이나 경제적인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측의 상면 중앙에 공(1a)을 올려놓기 위한 티(1)가 구비되고 후측에는 단부에 체결클립(3a)이 일체로 구성된 고정지주(3)가 입설되어 있는 기판(5)과 ; 외주연에 반원형상의 베어링 안착홈(6)이 형성되고 스윙이 종료되는 지점에 돌기(7)를 형성하고 양단부를 체결구(8)로 결합한 진원형상의 안내레일(10)과 ; 중공부(11)의 내주연에 상기 베어링 안착홈(6)에 대응되는 요홈(13)이 형성되고 일측면의 상부에는 걸림요홈(14)과 하부에는 절개부(15)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비틀림 스프링(17)에 의해 가동편(16a)이 일체로 결합된 후크부재(16)가 형성된 포켓(20)을 상기 안내레일(10)의 외주연에 외삽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9990007236A 1999-03-05 1999-03-05 골프 스윙 연습기 KR10029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236A KR100293644B1 (ko) 1999-03-05 1999-03-05 골프 스윙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236A KR100293644B1 (ko) 1999-03-05 1999-03-05 골프 스윙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550A true KR20000059550A (ko) 2000-10-05
KR100293644B1 KR100293644B1 (ko) 2001-06-15

Family

ID=1957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236A KR100293644B1 (ko) 1999-03-05 1999-03-05 골프 스윙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956B1 (ko) * 2001-07-03 2004-02-25 조진형 골프의 스윙 연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956B1 (ko) * 2001-07-03 2004-02-25 조진형 골프의 스윙 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3644B1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8478A (en) Ball hitting practice device
KR100694855B1 (ko) 실내 퍼팅 연습기
KR19980033167A (ko) 골프 티 고정장치
US20060135278A1 (en) 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putting
US5531446A (en) Golfer's putting aid
US4353556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aid
US6206787B1 (en) Golf training device
US5397121A (en) Visual swing aid for golfers
WO1985002780A1 (en) Golf swing muscle training device
KR100293644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US5603665A (en) Golf putter training device
US6416419B1 (en) Golf swing trainer and exerciser
US9814960B1 (en) Golf training aid
US6159105A (en) Golf ball teeing apparatus
US6780122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050176519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thletic swing training
KR200414543Y1 (ko) 골프퍼팅연습장치
US20060258474A1 (en) Golf club trainer
KR200442667Y1 (ko) 퍼팅 연습 보조구
US6846244B1 (en) Method of playing a game with a telescopic putter mounted to headband
KR100419956B1 (ko) 골프의 스윙 연습장치
JP3226715U (ja) パッティング矯正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ッティング矯正セット
KR100938808B1 (ko) 골프스윙 교정장치
CN201006261Y (zh) 推杆练习装置
KR200257036Y1 (ko) 골프 타격 자세의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