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937A - 유아용 약물 투약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약물 투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937A
KR20000058937A KR1020000038439A KR20000038439A KR20000058937A KR 20000058937 A KR20000058937 A KR 20000058937A KR 1020000038439 A KR1020000038439 A KR 1020000038439A KR 20000038439 A KR20000038439 A KR 20000038439A KR 20000058937 A KR20000058937 A KR 2000005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nipple
packing
infant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판곤
Original Assignee
박판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판곤 filed Critical 박판곤
Priority to KR102000003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8937A/ko
Publication of KR2000005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약물 투약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한 면역성으로 질병이 쉽게 발생되는 영ㆍ유아들에게 투약하고자 하는 정량의 약물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유두형상으로 성형한 천연고무 재질의 젖꼭지를 통해 거부감없이 투약할 수 있게 하고, 유아들이 젖꼭지를 물었을 때도 약물을 투약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약물 투약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전부의 외면에 나사를 형성한 약액용기와; 전기 약액용기의 상면에 재치되는 계량통과; 이를 나사결합하는 고정캡과; 약액용기와 계량통의 사이에 끼워져 이를 수밀되게 구획하는 패킹과; 전기 패킹에 관통되어 약액용기의 약액을 계량통으로 이송하는 이송관을 포함하는 유아용 약물 투약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아용 약물 투약기{Drug dispensing equipment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약물 투약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한 면역성으로 질병이 쉽게 발생되는 영ㆍ유아들에게 투약하고자 하는 정량의 약물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유두형상으로 성형한 천연고무 재질의 젖꼭지를 통해 거부감없이 투약할 수 있게 하고, 유아들이 젖꼭지를 물었을 때도 약물을 투약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약물 투약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아에게 약물을 투약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약병의 약을 스푼에 부어 먹이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는 정량의 약물을 투약하기가 어렵고 투약시 유아의 움직임으로 약물을 쏟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따라서 근래에는 병원이나 약국 등에서 눈금을 새긴 연질 합성수지재의 용기에 약물을 담아 주고 있으나 이 용기에 의한 투약은 종래의 스푼으로 투약하는 방법에 비해 보다 투약하기가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투약시 연질의 용기를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투약하게 되므로 눈금대로 원하는 양을 투약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정량을 정확히 투약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액용기의 상부에 눈금이 표시되고 천연고무재의 젖꼭지를 부착한 계량통을 패킹으로 구획되게 재착시키되 이송관으로 소망하는 양을 정확하게 약액용기에서 계량통으로 이송시켜 계량통에 이송된 정량의 약액을 유아에게 투약할 수 있는 투약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액을 유아에게 투약시 유아가 젖꼭지를 깨물어약액의 유출을 방해할 때 보조유로를 통해 투약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투약을 원활하게 하는 투약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로서 약액이 계량통에 이송된 상태의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 는 이송관의 종단면도
도 5 는 약액이 이송관의 외부로 유출되는 상태를 확대한 예시도
도 6 은 약액이 보조유로로 유출되는 상태를 확대한 예시도
도 7 은 약액용기를 기울인 상태의 예시도
도 8은 약액용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약액용기 나 : 계량통 다 : 전기 고정캡
1 : 구전부 2 : 나사 3 : 패킹
4 : 약액 5 : 이송관 6 : 받침턱
7 : 젖꼭지 8 : 뚜껑 9 : 나사관
10 : 이중관 10' : 보조유로
본 발명은 구전부(1)의 외면에 나사(2)를 형성한 약액용기(가)와; 전기 약액용기(가)의 상면에 재치되는 계량통(나)과; 이를 나사결합하는 고정캡(다)과; 약액용기(가)와 계량통(나)의 사이에 끼워져 이를 수밀되게 구획하는 패킹(3)과; 전기 패킹(3)에 관통되어 약액용기(가)의 약액(4)을 계량통(나)으로 이송하는 이송관(5)을 포함한다.
전기 약액용기(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연질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이를 누르면 굴신되고 다시 복원되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된다. 그리고 계량통 (나)은 투명 또는 내부가 보이는 반투명으로서 약액(4)을 계량하는 눈금(100)이 표시되고 약액용기(가)의 구전부(1) 상면에 재치되는 받침턱(6)과 천연고무 재질의 젖꼭지(7)를 보유한다. 전기 고정캡(다)은 약액용기(가)의 나사(2)와 결합되는 나사원통체로서 상면에 뚜껑(8)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관(9)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 (3)은 약액용기(가)와 계량통(나)을 완전히 수밀상태로 분리하도록 구전부(1)와 받침턱(6)의 사이에 간삽되어 전기 고정캡(다)에 의해 압착 고정되며, 전기 패킹(3)에 관통된 이송관(5)은 상하단이 각각 계량통(나)의 젖꼭지(7)와 약액용기(가)의 내저면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설치되고 젖꼭지(7)의 내부에 위치한 이송관(5)의 상단은 보조유로(10')가 형성되는 이중관(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는 젖꼭지(7)의 상단에 뚫린 유출공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약액을 담는 약액용기(가)의 계량통(나)이 고정캡(다)으로 나사결합되고 계량통(나)을 덮는 뚜껑(8)도 고정캡(다)의 나사(9)와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를 뚜껑(8)부터 순서대로 분해하게 되면 본 발명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품이 모두 분해되므로 분해시킨 약액용기(가)의 내부에 약액을 적적량 담아 패킹(3)과 계량통(나)을 고정캡(다)로서 고정하고 뚜껑(8)을 체결하게 되면 약액(4)은 약액용기(가)의 내부에 누설되지 않고 안전한 상태로 저장되어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 약액을 유아에게 투약할 때에는 신축성 연질 합성수지재질로 된 약액용기(가)를 도 3과 같이 손가락으로 가볍게 가압하게 되면 내부 압력의 상승으로 약액용기(가)의 내저부에 위치한 이송관(5)의 저부를 통해 약액(4)이 이송되어 계량통(나)의 젖꼭지(7)의 내측에에 위치한 이송관(5)의 상단을 통해 계량통(나)의 내부에 일부 저장되는 데, 계량통(나)은 내부가 보이는 투명 또는 반투명이 재질로서 성형되어 있고 외면에 눈금(100)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눈금(100)을 통해 투약할 정량의 약액을 약액용기(가)로 부터 정확하게 이송시키게 되면 계량통(나)은 패킹 (3)에 의해 약액용기(가)와 수밀되게 분리되어 있어 계량통(나)으로 이송된 정량의 약액(4)은 약액용기(가)로 역류되지 않고 그대로 저장되어 있게 되므로 유아에게 정량의 약액(4)을 투약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정량의 약액(4)을 계량통(나)에 계량한 상태에서 유아에게 약액 (4)을 투여할 때에는 뚜껑(8)을 풀어 열고 약액용기(가)를 각도있게 기울여 계량통 (나)의 선단에 연설된 천연고무 재질의 젖꼭지(7)를 유아의 입에 넣어 먹이게 되면 계량통(나)의 내부에 계량된 약물이 도 5와 같이 이송관(5)과 젖꼭지(7)의 내부 사이로 흘러 젖꼭지(7)의 유출공(7')을 통해 유아의 입안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므로 계량통(나)의 내부에 계량된 정량의 약액만을 유아에게 정확히 투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약액용기(가)를 기울여 계량통(나)의 젖꼭지(7)가 밑으로 위치하게 되면 도 7과 같이 약액용기(가)의 내부에 저장된 약액(4)은 이송관(5)의 하방에 위치되어 이송관(5)의 하단이 약액(4)속에 잠기지 않게 되므로 약액용기(가)의 계량되지 않은 약액이 이송관(5)을 통해 계량통(나)으로 이송되는 문제점은 없으며 도 8과 같이 약액용기(가)를 완전히 거꾸로 세웠을 때에도 전술 한 바와 같이 이송관(5)의 끝단이 약액(4)의 내부에 잠기지 않게 됨에 따라 계량되지 않은 약액(4)이 계량통(나)의 내부로 이송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아에게 약액(4)을 투약할 때 유아가 천연고무재지로 된 젖꼭지(7)를 치아로 물게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 데 이와같이 젖꼭지(7)를 물게 되면 젖꼭지(7)가 이송관(5)의 상단 외면에 당접되어 약액(4)이 흘러나가는 통로가 일부 또는 완전 폐쇄되므로서 약액의 원활한 투약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젖꼭지(7)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송관(5)의 상단을 이중관 (10)으로 형성하고 이의 내부에 보조유로(10')를 형성하였으므로 유아가 약액(4)을 먹을 때 젖꼭지(7)를 물어 젖꼭지(7)와 이송관(5)의 당접으로 유로가 차단되었을 때에도 약액(4)은 도 6과 같이 이송관(5)의 외주에 형성된 보조유로(10')를 통해 흘러나갈 수 있게 됨에 따라 약액(4)의 투여를 원활히 할 수 있게 하는 특출한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영ㆍ유아들에게 필요한 정량의 약액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투약할 수 있으므로 과다 또는 미달 복용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하여 신속하게 건강을 회복할 수 있고, 천연고무 재질의 젖꼭지(4)로 인해 유아들이 거부감이 없이 약을 먹을 수 있으며, 젖꼭지(7)를 깨물었을 때에도 보조유로(10')를 통해 약액 (4)을 투여할 수 있어 투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지대하다.

Claims (2)

  1. 구전부(1)의 외면에 나사(2)를 형성한 신축성 연질 합성수지로 된 약액용기(가)와; 투명 또는 내부가 보이는 반투명으로서 눈금(100)이 표시되고 약액용기(가)의 구전부(1) 상면에 재치되는 받침턱(6) 및 천연고무 재질의 젖꼭지(7)를 보유하는 계량통(나)과; 전기 약액용기(가)와 계량통(나)의 사이에 끼워져 이를 수밀되게 구획하는 패킹(3)과; 전기 계량통(나)과 패킹(3)을 약액용기(가)의 구전부(1)상면에 나사결합하는 고정캡(다)과; 패킹(3)에 관통된 상하단이 약액용기(가)의 내저면과 계량통(나)의 젖꼭지(7)의 내측에 각각 위치되는 이송관(5)을 포함하여서 되는 유아용 약물 투약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젖꼭지(7)의 내측에 위치되는 이송관(5)의 상단이 보조유로(10')가 형성되는 이중관(10)으로 구성된 유아용 약물 투약기.
KR1020000038439A 2000-07-06 2000-07-06 유아용 약물 투약기 KR20000058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439A KR20000058937A (ko) 2000-07-06 2000-07-06 유아용 약물 투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439A KR20000058937A (ko) 2000-07-06 2000-07-06 유아용 약물 투약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086U Division KR200197947Y1 (ko) 2000-04-19 2000-04-19 영ㆍ유아용 투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937A true KR20000058937A (ko) 2000-10-05

Family

ID=1967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439A KR20000058937A (ko) 2000-07-06 2000-07-06 유아용 약물 투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89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580A (ko) * 2004-06-22 2005-12-27 박인술 투약용 소분 계량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580A (ko) * 2004-06-22 2005-12-27 박인술 투약용 소분 계량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2047A (en) Medicine dispensing pacifier
US5078734A (en) Medication dispensing pacifier
AP39A (en) Improvements ralating to baby feeding bottles.
US5542922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to infants
US5244122A (en) Medicine dispensing baby bottle
US5728137A (en) Liquid dispensing system
US7753886B2 (en) Medicine dispensing system
US11766547B2 (en) Delivery systems and method thereof
US20070194060A1 (en) Dosing Dummy
JP2005526547A (ja) 留置投与に用いる投薬容器
US20080223807A1 (en) Collar for liquid and medicine dispensing bottle
MX2008016350A (es) Taza farmaceutica medidora y surtidora.
KR101373476B1 (ko) 유아용 투약주사기
KR100421502B1 (ko) 액체 정량 투입용기
KR200386903Y1 (ko) 투약용 소분 계량용기
KR20000058937A (ko) 유아용 약물 투약기
US3670730A (en) Liquid medicine applicator
KR200244825Y1 (ko) 의료용 용기
KR200397289Y1 (ko) 뚜껑이 구비된 스푼형 투약기
KR200378019Y1 (ko) 투약용기
KR200339579Y1 (ko) 소분용계량용기
CN215652695U (zh) 一种儿童用定量喂药装置
KR200401848Y1 (ko) 정량투약식 실린더가 달린 투약병
KR100684881B1 (ko) 투약용기
US20050040054A1 (en) Dispensing aid for administering medications to inf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