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637A -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ent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637A
KR20000058637A KR1020000034109A KR20000034109A KR20000058637A KR 20000058637 A KR20000058637 A KR 20000058637A KR 1020000034109 A KR1020000034109 A KR 1020000034109A KR 20000034109 A KR20000034109 A KR 20000034109A KR 20000058637 A KR20000058637 A KR 2000005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base
contents
target
content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1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66938B1 (en
Inventor
정의섭
권오진
Original Assignee
정의섭
권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의섭, 권오진 filed Critical 정의섭
Priority to KR10-2000-003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938B1/en
Publication of KR2000005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6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93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PURPOSE: A contents manufacturing system is provided to process, edit, revise and manage the contents on an on-line by making a contents manager and a revisor and a contents writer connected to a web server of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the contents through an internet. CONSTITUTION: A contents manufacturing system comprises a web server(50) which manufactures and manages the contents and searches the contents requested from a search client(40). Plural writers(10), plural revisors(20), a contents manager(30) and plural search clients(40) are connected to a web server connecting part(51) through an internet. An input processor(53) digitizes object data inputted through an input part(60) and store the digitized data to a contents manufacturing database(56). An application program part(54) supports so as to be able to process, revise, edit, store, search and manage the object data, and a data searching part(55) searches the contents requested from the search client(40) and the object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 contents writing database(57) stores completed data, and a revise database(58) stores data edited and revised by a revisor(20). A final database(59) stores final data to be searched by the client(40).

Description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ENTS}Content cre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제작에 있어서 작성자, 교열자 및 컨텐츠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가공 및 제작하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 가공, 편집, 교열 및 관리 등을 함으로써 컨텐츠의 신속성을 도모하고, 검색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빠른 컨텐츠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in content production, a creator, a collaborator, and a content manager access a web server that processes and produces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to search, process, ed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apid content, and enabling a search client to perform a quick content search by performing orchestration and management.

도 10은 종래의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ontent production metho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자료, 예를들면 단행본 및 연속 간행물이 항공편이나 배편으로 입수될 때마다 체크-인(check-in) 담당자로 하여금 단행본 및 연간물의 발행년도와 권(호)별로 검색하여 체크-인 하고, 컨텐츠 담당자에 의해 자료를 서가에 배치하는 배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서가는 여러 분야별, 내용별 등의 데이터베이스 대상 저널을 배치시키는 여러 칸의 박스(box)들로 구분지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conventional content production method requires a check-in person to make a book and yearly information required for content production, for example, a book or a series of publications. The search will be checked in by the year and volume of issue, and the contents will be doubled by the person in charge. At this time, the shelf is divided into boxes of various spaces in which journals for database subjects such as fields and contents are arranged.

배가작업이 완료되면, 컨텐츠 담당자는 유선이나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외부 컨텐츠 작성자와 연락을 취하게 되고, 다수의 컨텐츠 작성자는 자료실로 안내되어 서가의 박스에 배치된 데이터베이스 대상 저널을 대출받는다. 다음, 1차로 작성자는 대출받은 연속 간행물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작성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는 한글 파일이나 텍스트 파일로 작성되며, 작성이 완료되면 컨텐츠 교열자에게로 인터넷이나 PSPDN(Packet Switched Public Data Network : 패킷 교환 공중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직접 전달된다.When the multiplication is completed, the content manager contacts the external content creator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a plurality of content creators are guided to the library to borrow a database target journal placed in a box of a shelf. Next, the author first performs content creation work on the loaned serial content. In this case, the content is written in a Korean file or a text file, and when the writing is completed, the content is transmitted or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ntent collaborator using the Internet or a packet switched public data network (PSPDN).

1차로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컨텐츠를 전송받은 교열자는 교정, 교열 및 작성자에 대한 평가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2차로 교열 작업이 완료된 컨텐츠 대상 자료는 최종 컨텐츠 관리자에게 파일로 송부된다.The instructor who receives the content created by the author first performs calibration, teaching and evaluation of the author, and the content target material that is completed in the second work is sent to the final content manager as a file.

최종 컨텐츠 관리자는 교열자에 의해 작성이 완료된 컨텐츠를 송부받아 최종 교열 및 교열자에 대한 평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모든 과정이 완료된 컨텐츠는 데이터베이스로 로딩되고, 검색할 수 있는 최종 컨텐츠 데이타가 된다.The final content manager receives the completed content by the colleague and performs evaluation work on the final collaborator and the colleague. After all this is done, the content is loaded into the database and becomes the final content data that can be retrieved.

따라서, 종래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자료가 입수된 후 검색을 통한 체크-인 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에 체크-인 담당자에게 부가적인 검색에 대한 업무 로드를 부과하여 업무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아니라, 원거리에 있는 컨텐츠 작성자를 정보 자료가 있는 곳으로 호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한 시간적 및 공간적 제약을 받는다. 또, 작성이 완료될 때까지의 자료 대출로 인해 컨텐츠 제작이 완료되는 시점(자료의 반납이 이루어지는 시점)까지는 원문 복사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지며, 자료의 활용도 측면에서 컨텐츠 작성자는 컨텐츠의 제작시 기구축된 데이터를 이용하지 못하고 재입력함으로써 자료 입력에 대한 부담과 오류에 대한 부담을 가지는 것이 현실이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ontent production method, since the check-in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data is obtained, the check-in staff imposes a work load for additional search, thereby lowering work efficiency and providing a remote location. It is temporally and spatially constrained by the hassle of having to call the content creator to where the information material is located. In addition, the original text copy service is not provided until the completion of content production (returning of the material) due to the loan of data until the completion of writing. The reality is that the data input and re-entry can not be used to burden the data input and error.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제작에 있어서 컨텐츠 작성자, 교열자 및 컨텐츠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가공 및 제작하는 웹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온라인(on-line)으로 컨텐츠를 가공, 편집, 교열 및 관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on-line access to a web server for content creators, collaborators, and content managers to process and produce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diting, orchestrating and managing cont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수된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단행본 및 연속 간행물 등의 잡지를 일일이 체크-인 하지 않고 잡지에 부착되어 있는 SISAC(Serials Industry System Advisory Committee) 바코드를 스캐닝 함으로써 체크-인 담당자의 업무 부하를 줄이고, 자료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he work load of the check-in person by scanning the Serials Industry System Advisory Committee (SISAC) bar code attached to the magazine without checking in the magazines such as books and serial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obtained content. To provide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reduce the flow, and smooth the flow of dat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작성자, 다수의 교열자, 컨텐츠 관리자 및 다수의 검색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웹서버접속부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를 가공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하여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입력처리부와;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의 가공, 교정, 교열, 저장, 검색 및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부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 및 검색 클라이언트로부터 의뢰받은 컨텐츠를 검색하는 자료검색부와; 상기 입력처리부를 통해 입력 처리된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를 저장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와; 작성자에 의해 컨텐츠 내용 작성이 완료된 자료를 저장하는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와; 교열자에 의해 교정 및 교열된 자료를 저장하는 교열 데이터베이스와; 컨텐츠 관리자에 의해 최종 교열되고, 검색 클라이언트가 검색할 수 있는 최종 자료를 저장하는 최종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웹서버의 모든 구성들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로 구성된 컨텐츠 제작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 구성에 의한 컨텐츠 제작 방법이 제시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b server access unit to which a plurality of authors, a plurality of instructors, a content manager, and a plurality of search clients connect through the Internet; An input processing unit for digitizing and processing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storing it in a content production database; An application program unit for supporting processing, proofreading, orchestration, storage, retrieval, and management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A data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content requested from the retrieval client; A content production database for storing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input and processed through the input processing unit; A content creation database for storing data of which content content creation has been completed by the author; A column database for storing data calibrated and aligned by the columner; A final database, which is finally intersected by the content manager and stores the final data that can be retrieved by the search client; A content production system including a serv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ll configurations of the web server and a cont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ystem configuration ar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bas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QTOC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3 shows the structure of a QTOC fil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4 is an overall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컨텐츠 제작 대상에 대한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ent creation database construction step for a content production target;

도 6은 다수의 작성자에 의한 내용 작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ent creation step by a plurality of authors;

도 7은 다수의 교열자에 의한 교정 및 교열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7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calibration and the step of the calibration by a plurality of aligners.

도 8은 컨텐츠 관리자에 의한 최종 교열 및 최종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inal intersection and final database construction step by the content manager.

도 9는 검색 클라이언트에 의한 컨텐츠 검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ent search step by the search client.

도 10은 종래의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ontent production metho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작성자 20 : 교열자10: author 20: instructor

30 : 컨텐츠 관리자 40 : 검색 클라이언트30: Content Manager 40: Search Client

50 : 웹서버 51 : 서버접속부50: web server 51: server connection

52 : 서버제어부 53 : 입력처리부52: server control unit 53: input processing unit

54 : 응용프로그램부 55 : 자료검색부54: application unit 55: data search unit

56 :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 56a : QTOC 데이터베이스56: content creation database 56a: QTOC database

56b, 56c : 정보자료 데이터베이스 56d : 원문 스캔 데이터베이스56b, 56c: Information database 56d: Original scan database

57 :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 58 : 교열 데이터베이스57: content creation database 58: collocation database

59 : 최종 데이터베이스 60 : 입력부59: final database 60: input un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컨텐츠 제작의 대상이 되는 자료를 검색 및 가공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50)에 접속하는 다수의 작성자(10)와; 작성자(10)에 의해 작성된 가공 데이터를 교열하고, 작성자(10)를 평가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50)에 접속하는 다수의 교열자(20)와; 교열자(20)에 의해 교열된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교정 및 교열하고, 교열자(20)를 평가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50)에 접속하는 컨텐츠 관리자(30)와; 제작이 완료된 컨텐츠의 검색을 의뢰하고,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50)에 접속하는 다수의 검색 클라이언트(40)와; 컨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고, 검색 클라이언트(40)로부터 의뢰받은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웹서버(5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authors (10) connected to the web server 50 via the Internet to search and process the material that is the object of content creation; A plurality of instructors 20 for intersecting the processing data created by the author 10 and connecting to the web server 50 via the Internet for evaluating the author 10; A content manager 30 for finally calibrating and intersecting the data aligned by the aligner 20 and connecting to the web server 50 via the Internet to evaluate the aligner 20; A plurality of search clients 40 requesting the search for the completed contents and accessing the web server 50 through the Internet to receive the contents; It is composed of a web server 50 to produce and manage content, and to search for and provide content requested from the search client (40).

위의 웹서버(5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수의 작성자(10), 다수의 교열자(20), 컨텐츠 관리자(30) 및 다수의 검색 클라이언트(40)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웹서버접속부(51)와; 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된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를 가공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하여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에 저장하는 입력처리부(53)와;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의 가공, 교정, 교열, 저장, 검색 및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부(54)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 및 검색 클라이언트(40)로부터 의뢰받은 컨텐츠를 검색하는 자료검색부(55)와; 상기 입력처리부(53)를 통해 입력 처리된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를 저장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와; 작성자(10)에 의해 컨텐츠 내용 작성이 완료된 자료를 저장하는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57)와; 교열자(20)에 의해 교정 및 교열된 자료를 저장하는 교열 데이터베이스(58)와; 컨텐츠 관리자(30)에 의해 최종 교열되고, 검색 클라이언트(40)가 검색할 수 있는 최종 자료를 저장하는 최종 데이터베이스(59)와; 상기 웹서버(50)의 모든 구성들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52)로 구성된다.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above web server 50, a web server access unit that a plurality of authors 10, a plurality of arrangers 20, a content manager 30 and a plurality of search clients 40 ar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 51); An input processing unit 53 for digitizing and processing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60 and storing it in 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An application program unit 54 for supporting processing, proofreading, ordering, storing, retrieving, and managing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A data retrieval unit 55 for retrieving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content requested from the retrieval client 40; A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for storing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input and processed by the input processing unit 53; A content creation database 57 for storing data on which content content creation has been completed by the author 10; A column database 58 for storing the data calibrated and aligned by the column arranger 20; A final database 59, which is finally intersected by the content manager 30, and stores the final material that can be searched by the search client 40; It is composed of a server control unit 52 for controlling all components of the web server 5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를 컨텐츠 제작이 수월한 단행본이나 연속 간행물 등의 저널(Journal)을 예로 설명하겠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journal (Journal), such as a book or serial publication that is easy to produce the content to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bas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웹서버(50)에는 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 대상 저널에 대한 각각의 정보자료 중 QTOC(Quick Table Of Contents) 제작 자료를 저장하는 QTOC 데이터베이스(56a)와; 특정 목적에 따라 제작되는 다양한 형식을 갖는 다수의 정보자료 데이터베이스(56b)(56c)와; 컨텐츠 대상 저널의 원문을 스캔(scan)하여 저장하는 원문 스캔 데이터베이스(56d)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와;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의 정보 중에서 컨텐츠 제작에 해당하는 내용을 1차로 작성자(10)가 작성한 후 그 제작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57)와; 작성자(10)에 의해 제작된 컨텐츠를 2차로 교열자(20)가 교정 및 교열한 후 그 변경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교열 데이터베이스(58)와; 교열자(20)에 의해 교정 및 교열된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자(30)가 재교열한 제작이 완료된 최종 컨텐츠를 저장하는 최종 데이터베이스(59)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web serv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QTOC database for storing QTOC (Quick Table Of Contents) production data among respective information materials for the content target jour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60 ( 56a); A plurality of information material databases 56b and 56c having various formats produced for a specific purpose; A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including an original text scanning database 56d for scanning and storing the original text of the content target journal; A content creation database 57 for storing, by the creator 10,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creation among the information in 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and storing the produced content; A teaching database (58) for storing the changed contents after the teachings (20) correct the contents produced by the creator (10) and the second teaching; The content manager 30 is configured as a final database 59 that stores the final content of the completed production of content re-aligned by the content arranger 20.

이때, 위의 컨텐츠 대상 저널에 대한 각각의 정보자료 데이터베이스 중 몇가지를 예로들면, QTOC(Quick Table Of Contents) 데이터베이스(56a)가 있는데 이것은 국내외에서 발간되는 과학기술분야의 핵심 학술지를 대상으로 구축한 학술지의 목차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QTOC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지가 발간된 직후 가장 신속하게 학술지의 목차를 검색할 수 있도록 최신정보를 제공하는 목차 속보 데이터베이스인 것이다.At this time, for example, a few of the information database for each of the above-mentioned content target journals, the QTOC (Quic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6a), which is a journal that is built for the core journal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A database consisting of table of contents data. The QTOC database is a table of contents breaking news database that provides up-to-date information so that you can retrieve the table of contents of a journal most quickly after it is published.

또한, 특정 목적에 따라서 제작되는 다양한 형식을 갖는 다른 정보자료 데이터베이스(56b, 56c)에는 국내외에서 발간되는 산업과학기술분야 정기 간행물에 수록된 기사를 정보가치와 시사성을 기준으로 기사를 엄선하고 이들을 한글로 번역한 다음, 분류와 색인 등의 가공과정을 거쳐 데이터베이스화 한 것이 있을 수 있고, 이것과는 반대로 국내자료를 영문화한 데이터베이스 등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other information materials databases 56b and 56c, which have various formats, produced according to specific purposes, are selected from articles published in periodical publications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at home and abroad based on information values and current affairs, and these are translated into Korean. After translation, there may be a database that is processed through classification and indexing process. On the contrary, there may be a database where Korean data is translated into English.

도 3은 상기 QTOC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QTOC file.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QTOC 파일구조는 문헌번호, 저널명, 저널기사, 저자명, 서지사항, ISSN(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 서가번호, 주제분류, 출판년, 볼륨번호, 총페이지수 등의 데이터가 기록된다.Referring to FIG. 3, the QTOC file structure includes a document number, a journal name, a journal article, an author's name, a bibliographic information, an 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 (ISSN), a book number, a topic classification, a publication year, a volume number, a total number of pages, and the like. The data is recorded.

QTOC 데이터베이스(56a)에 저장된 자료가 아니면 별도로 QTOC 파일을 제작하게 된다. 이때, 별도로 제작된 파일의 구조는 하나의 라인이 하나의 필드를 구성하는 TOF(Tagged Oriented Format) 파일 구조로 한다.If the data is not stored in the QTOC database 56a, a separate QTOC file is produced. At this time, the structure of the separately produced file has a TOF (Tagged Oriented Format) file structure in which one line constitutes one field.

QTOC 파일은 외부기관, 예를들면 생명과학분야의 전자저널 입수처인 'ADONIS'나 해외 연속 간행물 입수처인 'EBSCO' 등의 기관들을 통해 입수된 QTOC파일을 통일된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각 나라마다 서지정보 입력형태(Input Format)인 MARC(MAchine Readable Catalog)파일도 사용한다. MARC 파일은 각 나라마다 다른 표준이 존재하므로 MARC로 입력된 자료에 대해서는 변환 과정을 수행하여 통일된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하게 된다.QTOC files may be converted into a uniform format by using QTOC files obtained through external organizations such as 'ADONIS', an e-journal for life sciences, or 'EBSCO', an international serial. Each country also uses MARC (MAchine Readable Catalog) files, which are bibliographic input formats. Since MARC files have different standards for each country, the data entered in MARC are converted and used in a unified format.

도 3에는 TOF파일 구조와 각 외부기관인 'ADONIS'나 'EBSCO'에서 제공되는 QTOC 파일 및 MARC파일의 구조도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때, ISSN(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이란 연속 간행물을 식별할 수 있는 국제 표준 코드로써, 각 발행국과 언어, 간기(발행빈도), 수록매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하는 저널에 유일한(unique) 코드이다. 그 구성은 숫자 4자리와 '-'와 마지막은 숫자 4자리나 숫자 3자리에 'X'가 붙는 형식으로 구성된다.Figure 3 also shows the structure of the TOF file and the structure of the QTOC file and MARC file provided from each of the external organizations 'ADONIS' or 'EBSCO'. At this time, the ISSN (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code that can identify serial publications. It is a unique code for journals that are not affected by each publishing country, language, frequency, and media. . The composition consists of four digits, '-', and the last four digits or three digits followed by an 'X'.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컨텐츠 제작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content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써,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4 to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ent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content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컨텐츠 제작 대상에 대한 컨텐츠제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100)와, 상기 구축된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다수의 작성자(10)가 접속하여 내용을 작성한 후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200)와,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와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에 다수의 교열자(20)가 접속하여 내용 작성된 컨텐츠 제작 대상을 교정 및 교열한 후 교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300)와, 컨텐츠 관리자(30)에 의한 상기 교열 데이터베이스의 컨텐츠 제작 대상을 최종 교열한 후 최종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렇게 작성이 완료된 컨텐츠 제작 대상의 최종 데이터베이스는 검색 클라이언트(40)에 의해 검색이 이루어진다(S500).Referring to FIG. 4,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tent production database for a content production target (S100) and a plurality of creators 10 connected to the created content production database to create content. Constructing a creation database (S200), and correcting and arranging content creation objects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arrangers 20 to the content creation database and the content creation database (S300); In step S400, the content manager 30 performs a final alignment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of the alignment database and then builds a final database. On the other hand, the final database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thus completed is searched by the search client 40 (S500).

도 5는 상기 컨텐츠 제작 대상에 대한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10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ent creation database building step (S100) for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컨텐츠 제작의 대상 저널, 예를들면 단행본 및 연속 간행물이 항공편이나 배편으로 도착하여 입수되면(S105), 컨텐츠 관리자(30)에 의해 컨텐츠 대상 저널에 SISAC(Serials Industry System Advisory)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10). 컨텐츠 대상 저널에 SISAC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으면, 컨텐츠 대상 자료를 일일이 체크-인(check-in)하지 않고, 부착되어 있는 SISAC 바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S115) 바로 체크-인한다(S125). 이때, SISAC 바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얻는 이점은 자료가 입수될 때 검색을 하지 않고 바코드 스캔을 통해 체크-인이 이루어져 체크인 담당자의 업무 부하를 줄이고, 자료의 흐름을 원할히 하여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는 점이다.Referring to FIG. 5, when a target journal for content production, for example, a book and a continuous publication, arrives by air or by sea (S105), the content manager 30 sends the SISAC (Serials Industry System) to the content target journal. Advisory) Check whether the barcode is attached (S110). If the SISAC barcode is attached to the content target journal, the SISAC barcode is scanned directly (S115) without scanning the content target material one by one (S115). At this time, the advantage of scanning SISAC barcode is that check-in is done through barcode scanning without searching when the data is received, which reduces the work load of the check-in staff and maximizes the work efficiency by smoothing the flow of data.

한편, SISAC 바코드가 부착되지 않은 컨텐츠 대상 저널은 체크-인 담당자에 의해 검색된 후(S120), 일일이 체크-인하게 된다(S125).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target journal is not attached to the SISAC barcode is retrieved by the check-in staff (S120), and then check-in one by one (S125).

다음, 체크-인이 완료된 컨텐츠 대상 저널에 자체적으로 컨텐츠 대상 저널을 분류하기 위한 새로운 체계를 갖는 바코드를 부착한 후(S130), 바코드에 수록된 컨텐츠 대상 저널인 연속 간행물을 식별할 수 있는 국제 표준 코드인 ISSN(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과 볼륨(Volume)번호 등으로 구분 키(key)를 생성한다(S135). 이때, 볼륨(Volume)번호는 컨텐츠 대상 저널의 제 00권 00호에 해당하는 번호로써, 각 제 00권에 해당하는 볼륨(VOLUME)과 각 제 00호에 해당하는 이슈(ISSUE)로 이루어진다.Next, after attaching a bar code having a new scheme for classifying the content target journal by itself to the checked-in content target journal (S130), an international standard code for identifying a serial that is a content target journal included in the barcode A classification key is generated by an ISSN (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 and a Volume number (S135). In this case, the volume number corresponds to volume 00 of the content target journal 00, and is composed of a volume corresponding to volume 00 and issue ISSUE corresponding to each 00.

구분 키(key)가 생성되면, 부착한 바코드에 의해 생성된 키(key)를 이용하여 QTOC(Quick Table Of Contents) 데이터베이스(56a)의 QTOC 파일을 검색한다(S140). 이때, QTOC 데이터베이스는 국내외에서 발간되는 과학기술분야의 핵심 학술지를 대상으로 구축한 학술지의 목차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When the classification key is generated, the QTOC file of the Quick Table Of Contents (QTOC) database 56a is searched using the key generated by the attached barcode (S140). At this time, the QTOC database refers to a database composed of table of contents data of core journals publish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새로운 바코드를 부착한 QTOC 파일이 QTOC 데이터베이스(56a)에 저장되어 있는지 매치(match) 과정을 통해 매칭(matching)시킨 후(S145), 저장된 자료이면, 도서정보 이용 연속 간행물로 자동 분류한다(S160).After matching the QTOC file with the new bar code stored in the QTOC database 56a through a matching process (S145), if the stored data is automatically classified as a book information continuous publication (S160). .

한편, QTOC 데이터베이스(56a)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가 아니면, QTOC 제작자에게 컨텐츠 대상 저널을 위탁시켜(S150) QTOC 파일을 제작하게 한다(S155). 이때, QTOC 파일은 외부기관, 예를들면 'ADONIS'나 'EBSCO' 등의 기관들을 통해 이미 가공된 QTOC파일 형식으로 제공받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ata is not stored in the QTOC database 56a, the content target journal is entrusted to the QTOC producer (S150) to produce a QTOC file (S155). In this case, the QTOC fil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eviously processed QTOC file through an external institution such as 'ADONIS' or 'EBSCO'.

다음, 도서정보 이용 연속 간행물로 자동 분류된 컨텐츠 제작 저널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고(S165), 해당되는 컨텐츠 제작 대상 저널의 원문을 스캔한 후(S170),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의 원문 스캔 데이터베이스(56d)에 저장한다(S175). 이때,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의 모든 정보 자료는 원거리에 있는 컨텐츠 제작자를 정보 자료가 있는 곳으로 호출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컨텐츠 제작자가 웹(WEB)을 통해 온라인(ON-LINE)으로 컨텐츠에 접근하여 바로 작성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된 자료로 저장하게 된다.Next, after scanning the bar code attached to the content production journal automatically classified as a continuous use of book information (S165), after scanning the original tex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duction target journal (S170), the original text scan of 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The data is stored in the database 56d (S175). At this time, all of the information material of 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the content creator to the content online (ON-LINE) via the web (WEB) in order to avoid the hassle of calling the remote content creator to the place where the information material is located. It is stored as digitized data that can be accessed and created immediately.

도 6은 상기 다수의 작성자(10)에 의한 내용작성 단계(S20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content creation step S200 by the plurality of authors 10.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수의 작성자(10)는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50)의 서버접속부(51)에 접속한 후(S205), 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한다(S210). 이때, 다수의 작성자(10)는 컨텐츠 관리자로부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에 저장된 컨텐츠 제작 대상의 원문을 액세스(Access)하고, 서지정보를 다운로드(Download)받을 수 있는 권한을 사전에 부여받게 된다. 작성자(10)로부터 ID와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웹서버제어부(52)는 등록되어 있는 작성자인지를 확인하고,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의 접근을 허락한다(S215).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의 접근을 허락받은 작성자(10)는 컨텐츠 제작 대상 저널의 원문정보와 서지정보를 다운로드 받은 후(S220), 그것에 대한 내용을 작성한다(S225). 이렇게 작성자(10)에 의해 가공된 컨텐츠 제작 대상 저널의 제작 정보는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57)에 저장된다(S230).Referring to FIG. 6, the plurality of creators 10 access the server connection unit 51 of the web server 50 through the Internet (S205), and input an ID and a password (SASSWOR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authors 10 may be previously authorized to access the original text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stored in 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from the content manager and to download bibliographic information. When the ID and password are input from the author 10, the web server control unit 52 checks whether the author is a registered author, and allows access to 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S215). The author 10 who has been granted access to 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downloads the original text information and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journal (S220), and writes the content thereof (S225).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journal processed by the creator 10 is stored in the content creation database 57 (S230).

도 7은 상기 다수의 교열자(20)에 의한 교정 및 교열 단계(S30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calibration and the step of the alignment (S300) by the plurality of aligner (20).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수의 교열자(20)는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50)의 서버접속부(51)에 접속한 후(S305), 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한다(S310). 이때, 다수의 교열자(20)도 작성자(10)와 마찬가지로 컨텐츠 관리자로부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와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56)에 저장된 컨텐츠 제작 대상의 정보 및 작성자(10)에 의해 작성된 컨텐츠를 다운로드(Download)받을 수 있는 권한을 사전에 부여받게 된다. 교열자(20)로부터 ID와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웹서버제어부(52)는 등록되어 있는 교열자인지를 확인하고,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 및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57)의 접근을 허락한다(S315). 데이터베이스(56, 57)의 접근을 허락받은 교열자(20)는 컨텐츠 제작 대상 저널의 작성 정보를 다운로드 받은 후(S320), 그것에 대한 내용을 교정 및 교열하고, 작성자를 평가한다(S325). 이렇게 교열자(20)에 의해 교정 및 교열된 컨텐츠 제작 대상 저널의 교열정보는 교열 데이터베이스(58)에 저장된다(S330).Referring to FIG. 7, the plurality of arrangers 20 access the server connection unit 51 of the web server 50 through the Internet (S305), and input an ID and a password (SASSWOR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arrangers 20, like the creator 10, also downloads the contents produced by the creator 10 and information on the contents produced in the contents production database 56 and the contents creation database 56 from the content manager ( You will be granted the right to download. When the ID and password are input from the arranger 20, the web server control unit 52 confirms whether it is a registered arranger, and allows access to 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and the content creation database 57 (S315). The arranger 20, which has been granted access to the databases 56 and 57, downloads the prepa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journal (S320), corrects and aligns the contents thereof, and evaluates the creator (S325). The alignment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journal corrected and aligned by the alignment unit 20 is stored in the alignment database 58 (S330).

도 8은 상기 컨텐츠 관리자(30)에 의한 최종 교열 및 최종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40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final intersection and final database building step (S400) by the content manager 30.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컨텐츠 관리자(30)는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50)의 서버접속부(51)에 접속한 후(S405), 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한다(S410). 컨텐츠 관리자(30)는 웹서버(50)의 서버제어부(52)에 의해 ID와 패스워드에 대한 인증을 받은 후(S415), 교열자(20)에 의해 교정 및 교열된 정보가 저장된 교열 데이터베이스(58)에 접근하여 교열된 내용 및 작성자의 평가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다(S420). 컨텐츠 관리자(30)는 다운로드 받은 교열된 컨텐츠 내용을 다시한번 교열하고, 다수의 교열자(20)를 평가한다(S425).Referring to FIG. 8, the content manager 30 accesses the server connection unit 51 of the web server 50 through the Internet (S405), and inputs an ID and a password (SASSWORD). The content manager 30 is authenticated by the server control unit 52 of the web server 50 for the ID and password (S415), the database database 58 stores the information calibrated and aligned by the communicator 20 Access to download the content and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author (S420). The content manager 30 intersects the downloaded content contents again, and evaluates the plurality of instructors 20 (S425).

이렇게 컨텐츠 관리자(30)에 의해 재교열된 컨텐츠 제작 대상 저널의 교열정보는 최종 데이터베이스(59)에 저장되고, 다수의 검색 클라이언트(40)들의 다양한 검색 의뢰에 따라 제공된다(S430).The content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journal re-ordered by the content manager 30 is stored in the final database 59 and provided according to various search requests of the plurality of search clients 40 (S430).

도 9는 상기 검색 클라이언트(40)에 의한 컨텐츠 검색 단계(S50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content search step S500 by the search client 40.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수의 검색 클라이언트(40)는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50)의 서버접속부(51)에 접속한 후(S510), ID와 패스워드를 등록하여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자격을 인증받게 된다(S510)(S515). 검색 클라이언트(40)가 자격을 부여받은 후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검색을 의뢰하면(S520), 웹서버(50)의 서버제어부(52)는 자료검색부(55)를 제어하여 최종 데이터베이스(59)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검색한다. 자료검색부(55)는 이렇게 검색된 결과를 클라인언트(40)에게 제공하고, 클라이언트(40)는 검색된 자료를 다운로드 받게 된다(S525).Referring to FIG. 9, the plurality of search clients 40 may access the server connection unit 51 of the web server 50 through the Internet (S510), register an ID and a password, and receive content information. The qualification is authenticated (S510) (S515). When the search client 40 requests the search for the content information to be provided after being qualified (S520), the server controller 52 of the web server 50 controls the data search unit 55 to control the final database ( 59) Retrieve the content information stored in 59). The data search unit 55 provides the search results to the client 40, and the client 40 downloads the searched data (S525).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컨텐츠 제작에 있어서 작성자, 교열자 및 컨텐츠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가공 및 제작하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가공, 편집, 교열 및 관리 등을 함으로써 컨텐츠 제작에 따른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해결하고, 컨텐츠의 신속성을 도모하며 빠른 컨텐츠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자료의 대출로 인한 원문 서비스의 지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 edit, align, and manage content by accessing a web server that authors, arrangers, and content managers process and produce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By resolving the time and space constraints caused by the content production, the rapidity of the content, enabling fast content search, and preventing the delay of the original text service due to the loan of the material.

또,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잡지를 일일이 체크-인 하지 않고 잡지에 부착되어 있는 SISAC(Serials Industry System Advisory Committee) 바코드를 스캐닝 함으로써 체크-인 담당자의 부하를 줄이고, 자료의 흐름을 원활히 할 뿐만 아니라, 기구축된 정보 자료 파일과 QTOC 파일을 활용하여 자료 입력에 대한 부담과 오류를 줄이고 자료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scanning the Serials Industry System Advisory Committee (SISAC) bar code attached to the magazine without checking-in the magazine required for content creation, it not only reduces the load of the check-in staff and facilitates the flow of data. The information and QTOC files can be used to reduce the burden and error of data input and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data.

Claims (8)

다수의 작성자와 다수의 교열자가 컨텐츠 제작 대상에 접근하여 컨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authors and a plurality of instructors approach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to produce content, 다수의 작성자(10), 다수의 교열자(20), 컨텐츠 관리자(30) 및 다수의 검색 클라이언트(40)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웹서버접속부(51)와;A web server connection unit 51 to which a plurality of authors 10, a plurality of arrangers 20, a content manager 30, and a plurality of search clients 40 access through the Internet; 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된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를 가공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하여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에 저장하는 입력처리부(53)와;An input processing unit 53 for digitizing and processing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60 and storing it in 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의 가공, 교정, 교열, 저장, 검색 및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부(54)와;An application program unit 54 for supporting processing, proofreading, ordering, storing, retrieving, and managing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 및 검색 클라이언트(40)로부터 의뢰받은 컨텐츠를 검색하는 자료검색부(55)와;A data retrieval unit 55 for retrieving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content requested from the retrieval client 40; 상기 입력처리부(53)를 통해 입력 처리된 컨텐츠 제작 대상 자료를 저장하는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와;A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for storing content production target material input and processed by the input processing unit 53; 작성자(10)에 의해 컨텐츠 내용 작성이 완료된 자료를 저장하는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57)와;A content creation database 57 for storing data on which content content creation has been completed by the author 10; 교열자(20)에 의해 교정 및 교열된 자료를 저장하는 교열 데이터베이스(58)와;A column database 58 for storing the data calibrated and aligned by the column arranger 20; 컨텐츠 관리자(30)에 의해 최종 교열되고, 검색 클라이언트(40)가 검색할 수 있는 최종 자료를 저장하는 최종 데이터베이스(59)와;A final database 59, which is finally intersected by the content manager 30, and stores the final material that can be searched by the search client 40; 상기 웹서버(50)의 모든 구성들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시스템.Content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rver control unit 52 for controlling all components of the web server (5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입력처리부(53)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 대상 저널에 대한 각각의 정보자료 중 QTOC(Quick Table Of Contents) 제작 자료를 저장하는 QTOC 데이터베이스(56a)와;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QTOC database (56a) for storing QTOC (Quick Table Of Contents) production data among respective information materials for the content target jour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processing unit (53); 특정 목적에 따라 제작되는 다양한 형식을 갖는 다수의 정보자료 데이터베이스(56b)(56c)와;A plurality of information material databases 56b and 56c having various formats produced for a specific purpose; 컨텐츠 대상 저널의 원문을 스캔(scan)하여 저장하는 원문 스캔 데이터베이스(56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시스템.And a text scanning database (56d) for scanning and storing the original text of the content target jour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QTOC 데이터베이스(56a)에 저장되는 QTOC 파일은 자체 제작되거나 외부기관으로부터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시스템.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QTOC file stored in the QTOC database (56a) is self-produced or provided from an external organization. 다수의 작성자와 다수의 교열자가 컨텐츠 제작 대상에 접근하여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of producing content by a plurality of authors and a plurality of instructors approaching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컨텐츠 제작 대상에 대한 컨텐츠제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100)와;Constructing a content production database for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S100); 상기 구축된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에 다수의 작성자(10)가 접속하여 내용을 작성한 후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200)와;A step (S200) of establishing a content creation database after a plurality of creators 10 are connected to the constructed content production database to create contents;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와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에 다수의 교열자(20)가 접속하여 내용 작성된 컨텐츠 제작 대상을 교정 및 교열한 후 교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300)와;A step (S300) of constructing an orthodontic database after a plurality of arrangers 20 are connected to 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and the content creation database to correct and orchestrate content created objects; 컨텐츠 관리자(30)에 의한 상기 교열 데이터베이스의 컨텐츠 제작 대상을 최종 교열한 후 최종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방법.And a step (S400) of constructing a final database after the final produc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of the alignment database by a content manager (3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 대상에 대한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100)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establishing a content production database for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S100), 상기 컨텐츠 제작 대상을 입수하는 단계(S105);Acquiring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S105); 상기 컨텐츠 제작 대상에 SISAC(Serials Industry System Advisory)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10);Confirming whether a serials industry system advisory (SISAC) bar code is attached to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S110); SISAC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으면, SISAC 바코드를 스캐닝한 후 체크-인하는 단계(S115)(S125);If the SISAC barcode is attached, scanning the SISAC barcode and then checking in (S115) (S125); 상기 컨텐츠 제작 대상에 SISAC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컨텐츠 제작 대상을 검색한 후 체크-인하는 단계(S120)(S125);If the SISAC barcode is not attached to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searching for and checking in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S120) (S125); 상기 체크-인된 컨텐츠 제작 대상에 새로운 체계의 바코드를 부착하는 단계(S130);Attaching a barcode of a new system to the checked-in content creation target (S130); 상기 컨텐츠 제작 대상에 대한 구분 키(key)를 생성하는 단계(S135);Generating a distinguishing key for the content creation target (S135); 상기 생성된 구분 키(Key)로 기구축된 QTOC(Quick Table Of Contents) 데이터베이스(56a)의 QTOC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S140);Retrieving a QTOC file of a Quick Table Of Contents (QTOC) database (56a) which has been constructed with the generated Separation Key (S140); QTOC 파일이 QTOC 데이터베이스(56a)에 저장되어 있는지 매칭(matching)하는 단계(S145);Matching (S145) whether the QTOC file is stored in the QTOC database 56a; 매칭되지 않으면, 컨텐츠 제작 대상에 대한 QTOC 파일을 제작하는 단계(S155);If it does not match, producing a QTOC file for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S155); 매칭되면 컨텐츠 제작 대상을 도서정보 이용 연속 간행물로 자동 분류하는 단계(S160);Automatically matching to classify the subject of content creation into book information continuous publications (S160); 상기 연속 간행물로 자동 분류된 컨텐츠 제작 대상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S165);Scanning a bar code attached to a content production target automatically classified as the series (S165); 상기 바코드를 스캔한 컨텐츠 제작 대상의 원문을 스캔한 후 원문 스캔 데이터베이스(56d)에 저장하는 단계(S170)(S17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방법.And scanning (S170) (S175) the original text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after scanning the barcode and storing the original text in the original scanning database (56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작성자(10)에 의한 내용 작성 및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200)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ent creation and content creation database by the plurality of authors 10 are established (S200). 다수의 작성자(10)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접속부(51)에 접속하는 단계(S205);A plurality of writers 10 accessing the server connection unit 51 through the Internet (S205); 상기 작성자(10)가 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인증받는 단계(S210)(S215);Author (10) authenticating an ID and password (PASSWORD) (S210) (S215); 상기 컨텐츠 제작 데이터베이스(56)의 원문정보와 서지정보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S220);Downloading original text information and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database 56 (S220); 상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제작 대상의 내용을 작성하는 단계(S225);Creating contents of the downloaded content production target (S225); 내용이 작성된 컨텐츠 제작 대상을 내용작성 데이터베이스(57)에 저장하는 단계(S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방법.And a step (S230) of storing the content creation target in which the content is created in the content creation database (5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교열자(20)에 의한 내용 작성된 컨텐츠 제작 대상을 교정 및 교열한 후 교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300)는,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database of the content after correcting and arranging the content creation targets by the plurality of contenters 20 is performed (S300). 다수의 교열자(20)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접속부(51)에 접속하는 단계(S305);Step (S305) the plurality of arrangers 20 to connect to the server connection unit 51 through the Internet; 상기 교열자(20)가 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인증받는 단계(S310)(S315);Receiving the ID and password (PASSWORD) by the orderer (S310) (S315); 상기 작성자(10)에 의해 작성된 내용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S320);Downloading content information created by the creator 10 (S320); 상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제작 대상을 교정 및 교열하고, 작성자를 평가하는 단계(S325);Correcting and arranging the downloaded content production target, and evaluating an author (S325); 상기 교정 및 교열한 컨텐츠 제작 대상을 교열 데이터베이스(58)에 저장하는 단계(S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방법.And storing (S330) the corrected and ordered contents production targets in a sequence database (58). 제 4항에 있어서, 컨텐츠 관리자(30)에 의한 컨텐츠 제작 대상을 최종 교열한 후 최종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400)는,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final database after the final production of the content production target by the content manager 30 is performed (S400). 컨텐츠 관리자(30)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접속부(51)에 접속하는 단계(S405);The content manager 30 accessing the server connection unit 51 through the Internet (S405); 상기 컨텐츠 관리자(30)가 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인증받는 단계(S410)(S415);The content manager 30 authenticating an ID and a password PASSWORD (S410) (S415); 상기 교열자(20)에 의해 교열된 내용 및 작성자의 평가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S420);Downloading the content aligned by the arranger 20 and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or (S420); 상기 교열자(20)에 의해 교열된 내용을 재교열하고, 교열자(20)를 평가하는 단계(S425);Re-sorting the content aligned by the orderer (20) and evaluating the orderer (20) (S425); 상기 재교열한 컨텐츠 제작 대상을 최종 데이터베이스(59)에 저장하는 단계(S4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방법.And storing the re-arranged contents production target in a final database (S430).
KR10-2000-0034109A 2000-06-21 2000-06-21 contents making system KR1003669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109A KR100366938B1 (en) 2000-06-21 2000-06-21 contents ma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109A KR100366938B1 (en) 2000-06-21 2000-06-21 contents making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339A Division KR100398768B1 (en) 2002-05-27 2002-05-27 the method for making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637A true KR20000058637A (en) 2000-10-05
KR100366938B1 KR100366938B1 (en) 2003-01-09

Family

ID=1967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109A KR100366938B1 (en) 2000-06-21 2000-06-21 contents mak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93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791A (en) * 2000-11-22 2002-05-30 유길종 Method for generating image contents
KR20030079020A (en) * 2002-04-01 2003-10-10 (주)텔리젠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remote lecture using intern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741A (en) * 2002-02-01 2002-03-27 박홍순 The method and automatic system, forming integration contents, by linking with statistic database related to information cont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791A (en) * 2000-11-22 2002-05-30 유길종 Method for generating image contents
KR20030079020A (en) * 2002-04-01 2003-10-10 (주)텔리젠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remote lecture using int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6938B1 (en)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6982B2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platform independent presentation design
CN109977110A (en) Data clean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EP1300777A1 (en) Agent system supporting building of electronic mail service system
US69380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CN110263317B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document template
Di Cosmo Archiving and referencing source code with Software Heritage
Singh Digitization of library resources and the formation of digital libraries: Special reference in green stone digital library software
KR1004431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of a building includ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it with computer network
Veve Supporting name authority control in XML metadata: a practical approach at the University of Tennessee
KR100366938B1 (en) contents making system
JP2003288348A (en) Library book stock retrieval system
El‐Sherbini Metadata and the future of cataloging
KR100398768B1 (en) the method for making contents
JP2007102487A (en) Book stock retrieval method, book stock retrieval system and book stock retrieval program
Delsey The Library Catalogue in a Networked Environment.
Kozlova et al. The methodological foundations of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upport of science
JPH03147181A (en) Object reference processing system
US20030126157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organizing template files in a web-based file retrieval sytstem
Chen et al. Nearest access: rapid location for interlibrary loan resources using OpenURL
Sanders et al. level analytics for journal aggregators
Omekwu et al. Shared catalogues and cataloguing tool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s catalyst
Tam Resource sharing for Chinese language materials and what technologies can offer in the digital age: a Hong Kong experience of worldwide issues
Ottosson EAC and the Development of National and European Gateways to Archives
KR20240018131A (en) Method and system on image-based technology map processing
JPH0237466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