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6154A -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6154A
KR20000056154A KR1019990005228A KR19990005228A KR20000056154A KR 20000056154 A KR20000056154 A KR 20000056154A KR 1019990005228 A KR1019990005228 A KR 1019990005228A KR 19990005228 A KR19990005228 A KR 19990005228A KR 20000056154 A KR20000056154 A KR 20000056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displaying
display data
setting
ic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준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05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6154A/ko
Publication of KR2000005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1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의 설정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며 설정 상태의 구분 표시에 있어 보다 미려하고 사용자의 인지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뉴 표시 입력에 따라 기능 메뉴를 일정 수순으로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 있어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상태의 기능 메뉴 정보를 독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독출된 기능 메뉴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식별 표식을 독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상태의 기능 메뉴 표시에 대응하여 상기 독출된 식별 표식을 표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STATUS OF FUNCTION SETTING CONFIGRATION IN DIGITAL PORTABLE PHONE}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의 설정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며 설정 상태의 구분 표시에 있어 보다 미려하고 사용자의 인지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증가와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여러 모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이루어져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성 하에 개인 스켸쥴 관리 기능, 전화번호부 기능, 알람 기능 등 외 여러 기능들의 구현이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기능들 각각이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설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통상의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별도의 설정 동작을 이루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기능들의 설정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필히 구현되어야 하는 기능이 된다. 실 예로서, 사용자는 알람 기능 및 착신벨 선택 기능에 있어 자신이 요구하는 종류의 알람 및 착신벨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때 자신이 설정한 종류의 알람이나 착신벨이 어떠한 종류인지를 인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동작되는 기능들의 설정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구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혹, 구현된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기능의 설정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던 것이다. 더구나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의 구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 설정할 수 있는 기능들의 종류 또한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는데, 그러한 상황에 있어 사용자가 선택 설정한 기능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의 요구가 많은 사용자들로부터 대두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의 설정 상태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지 않은 기능들과 보다 확연히 구분하여 표시하며, 아울러 설정 상태의 구분 표시에 있어 사용자의 인지를 높일 수 있도록 보다 미려하게 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메뉴 표시 입력에 따라 기능 메뉴를 일정 수순으로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 있어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상태의 기능 메뉴 정보를 독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독출된 기능 메뉴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식별 표식을 독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상태의 기능 메뉴 표시에 대응하여 상기 독출된 식별 표식을 표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상태를 표시화면상에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부가된 참조 부호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된 참조 부호일 지라도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에 있어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필히 구비되는 DTMF처리부, 보코더 등의 구성은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인 연관의 불요성에 의해 생략 하지만, 실제 본 발명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필히 구비되어 사용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설정 및 그 설정 상태의 구분 표식 아이콘 표시 상태의 동작 제어를 이룬다. 상기 제어부(10)는 통상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되어 사용된다. 표시부(20)는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그리고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등을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이는 통상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LCD)로 구현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설정된 기능 상태의 식별 표식을 아이콘 상태로 표시하게 된다. 무선신호처리부(30)는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와 단말기가 가입된 기지국과의 무선신호 송수신에 대한 전반적인 처리를 수행한다. 이의 처리는 무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그리고 변환된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는 동작 수행과 변환된 기저대역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그에 따른 해당 처리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신호의 송신시에는 그러한 동작이 반대로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결국, 상기 무선처리부(30)의 동작을 통해 통화 형성이 무선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키입력부(40)는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며, 이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며 상기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40)의 구비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기능의 설정과 동작의 수행을 이루게 된다. 주메모리(50)는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과 기능 설정 동작 수행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이 램은 통상 버퍼(Buffer)로서 사용된다. 상기 롬은 통상 플래시(Flash)메모리로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능 설정 상태 정보 저장부(52)는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옵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으로 구현되면, 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가 코드 데이터화하여 저장된다. 이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사용자로부터 설정 상태 확인 요구가 있을시 독출되어 소정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이다. 기능 메뉴 아이콘 저장부(54)는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구현된 기능들을 메뉴 상태의 아이콘으로 인덱스화 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표시데이터를 저장한다. 실 예로서, 사용자가 알람 종류 확인 또는 설정 입력을 이루면, 구현된 종류의 알람을 인덱스화된 메뉴 상태로 표시하는 경우의 표시데이터이며, 특히, 표시에 있어 아이콘 상태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데이터가 된다. 이 또한 상기한 플래시메모리로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정 상태 식별 표식 아이콘 저장부(56)는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설정할 경우, 해당 기능이 설정되었음을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데 있어 표시되는 구분 표식 아이콘을 저장한다. 이 또한 상기 플래시메모리에 있어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능 확인 또는 설정 요구 입력에 따라. 상기 기능 설정 상태 정보 저장부(52)로부터 현재의 설정 상태 정보가 독출되어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인식되고, 그리고 상기 기능 메뉴 아이콘 저장부(54)는 설정 가능한 기능들을 메뉴 상태로 표시시에 있어서의 표시 데이터를 독출하며, 상기 설정 상태 식별 표식 아이콘 저장부(56)는 이미 설정된 기능 혹은 선택된 기능에 해당하여 설정 상태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 형태의 식별 표식 아이콘이 독출되는 메모리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로서, 상기한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210단계의 대기상태 수행중, 21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기능 설정 메뉴 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능 설정 메뉴 입력이라 함은 상기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구현된 설정 가능한 기능들의 표시 요구 또는 확인 요구 입력을 말하는 것이다. 일 예로서 착신벨 선택 모드 입력이 그러한 입력이 되며 상기 착신벨 선택 모드 입력이 있으면 해당되는 여러 종류의 착신벨이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212단계에서 기능 설정 메뉴 입력이 있으면, 214단계에서 입력된 기능 설정에 해당하여 미리 저장된 기능 메뉴 아이콘을 상기 기능 메뉴 아이콘 저장부(54)로부터 독출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216단계에서 기능 설정 상태 정보를 상기 기능 설정 상태 정보 저장부(52)로부터 독출하고, 216단계에서 상기 독출된 정보를 통해 이미 설정된 상태의 기능이 있는지를 상기 218단계에서 판단한다. 상기 218단계에서 이미 설정된 상태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220단계에서 설정 상태 식별 표식 아이콘을 상기 설정 상태 식별 표식 아이콘 저장부(56)로부터 독출한다. 그리고 222단계에서 상기 독출된 식별 표식 아이콘을 설정 상태 기능 아이콘에 대응하여 표시한다. 상기 218단계에서 설정 상태의 기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14단계에서 독출된 기능 메뉴 아이콘의 표시를 그대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220단계의 동작 수행에 따라 표시부(20)에 있어 표시되는 기능 설정 상태의 표시 상태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벨 선택 모드에 있어 "기본음", "음악", "경보음"이 설정 가능한 기능으로 a상태에서 표시되고, 그러한 기능에 있어 두 번째인 "음악"이 이미 설정된 기능으로 상기 식별 표식 아이콘이 b상태에서 표시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결국, 상기 222단계의 동작 수행에 있어 식별 표식 아이콘이 "음악" 기능에 있어 대응되어 표시되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음악"이 선택 설정됨에 따른 동작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222단계의 표시 동작은 상기 설정 상태 식별 표식 아이콘 저장부(56)로부터 독출되는 아이콘 표시데이터의 출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표식 아이콘은 별도의 표시창에 있어 출력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의 설정 상태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지 않은 다른 기능과 구분하여 표시하는 이점이 있으면, 아울러, 설정 상태의 구분 표시에 있어 보다 미려하게 표시할 수 있어 기능 설정 상태를 사용자가 보다 신속히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결국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Claims (4)

  1.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표시 방법에 있어서,
    메뉴 표시 입력에 따라 기능 메뉴를 일정 수순으로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 있어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상태의 기능 메뉴 정보를 독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독출된 기능 메뉴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식별 표식을 독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상태의 기능 메뉴 표시에 대응하여 상기 독출된 식별 표식을 표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
  2.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표시 방법에 있어서,
    기능 설정 요구 입력이 있으면, 설정 가능한 기능 메뉴 정보가 표시되는 메뉴 표시창과, 상기 표시되는 기능 메뉴 정보 각각의 순서를 나타내고 사용자로부터의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기능 설정이 이루어지는 인덱스 표시창과, 상기 인덱스 표시창에 있어 선택 입력된 해당 기능의 설정 상태가 식별 표식을 통해 구분되어 표시되는 식별 표식 표시창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
  3.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능 설정 상태 확인 및 설정 요구 입력에 따라, 미리 저장된 설정 가능한 기능들의 아이콘 표시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출력된 기능들의 아이콘 표시데이터에 있어 선택 입력이 발생하면, 선택된 기능 아이콘 표시데이터에 해당하여 미리 저장된 기능 설정 상태 식별 표식 아이콘 표시데이터를 독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독출된 기능 설정 상태 식별표식 아이콘 표시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기능들의 아이콘 표시데이터에 있어 기 설정된 기능에 해당하는 기능 아이콘 표시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기능 아이콘 표시데이터에 해당하여 미리 저장된 기능 설정 상태 식별 표식 아이콘 표시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 상태 구분 표시 제어 방법.
KR1019990005228A 1999-02-13 1999-02-13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 KR20000056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228A KR20000056154A (ko) 1999-02-13 1999-02-13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228A KR20000056154A (ko) 1999-02-13 1999-02-13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154A true KR20000056154A (ko) 2000-09-15

Family

ID=1957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228A KR20000056154A (ko) 1999-02-13 1999-02-13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61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527A (ko) * 2001-06-14 2002-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 키의 속성 표시방법
KR100420280B1 (ko) * 2001-07-09 2004-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506199B1 (ko) * 2002-11-11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 표시 제어 방법
CN105788480A (zh) * 2016-04-22 2016-07-20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电子墨水屏面板及其按键修改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527A (ko) * 2001-06-14 2002-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 키의 속성 표시방법
KR100420280B1 (ko) * 2001-07-09 2004-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506199B1 (ko) * 2002-11-11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 표시 제어 방법
CN105788480A (zh) * 2016-04-22 2016-07-20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电子墨水屏面板及其按键修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855B1 (ko) 다이얼 셔틀을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
KR10036964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KR10045096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 작성 방법
KR100646143B1 (ko) 무선통신장치용의 오디오 피드백을 갖는 직관적 키패드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WO2000039984A1 (fr) Terminal de communication
US67788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sy input identification
KR20000060726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되는사용자 입력 정보 입력 및 처리 방법
KR2006010646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번호를 이용한 콜 발신 방법
KR1003086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00056154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
KR20010046956A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발신측 사용자 알림 방법
KR20010009990A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사용자 메뉴 구현 방법
KR20010017386A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통화 대기 상태 제어 방법
KR100450946B1 (ko) 휴대형무선통신단말기에서지역번호단축방법
KR10070334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폰 번호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KR100341989B1 (ko) 표시장치에서 알람아이콘의 알람시간 표시방법
KR1004948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KR20000062085A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특정기능 설정에 따른 화면 선택 표시방법
KR100703298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지역별 시간정보 표시 방법
KR100462752B1 (ko) 휴대용무선단말기에서우편번호서치방법
KR100762631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정보 저장 방법
KR20010036885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메뉴항목 선택적 표시 방법
KR100566248B1 (ko) 긴급 벨소리를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2001111658A (ja) 通信端末
KR2004000915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도움말 기능 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