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727A - Mutually communicable video-audio real-time educational system and it's business model via internet - Google Patents

Mutually communicable video-audio real-time educational system and it's business model via inter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727A
KR20000054727A KR1020000034039A KR20000034039A KR20000054727A KR 20000054727 A KR20000054727 A KR 20000054727A KR 1020000034039 A KR1020000034039 A KR 1020000034039A KR 20000034039 A KR20000034039 A KR 20000034039A KR 20000054727 A KR20000054727 A KR 20000054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software
server
education
stud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겸
Original Assignee
김일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겸 filed Critical 김일겸
Priority to KR1020000034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727A/en
Publication of KR2000005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72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performing real-time bidirectional remote teaching on the internet is provided to perform the real-time bidirectional remote teaching regardless of place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by making teachers and students transceive writings and drawings as watching shared texts, listening to voices, and seeing faces to each side through the internet. CONSTITUTION: A system for performing real-time bidirectional remote teaching comprises a small-sized classroom, a large-sized lecture, a test education, and a managing program including a database. Functions of a visual screen and a conversation window are added in the small-sized classroom. A bidirectional lesson is performed in real time in the small-sized classroom as seeing faces of teachers and students to each side. The large-sized lecture uses a webcasting technique, and performs the real-time bidirectional teaching. The teachers are presented to many students. The students are selectively presented to the teachers. The text education uses bulletin board programs based on texts. The database of the managing program stores the students, the teachers, subjects, and schedules.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쌍방향 화상 교육 시스템의 구현과 사업 방법 {Mutually communicable video-audio real-time educational system and it's business model via internet}Implementation and business method of real-time interactive video education system using internet {Mutually communicable video-audio real-time educational system and it's business model via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를 이용한 사업 모델을 제시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 real-time remote video education system via the Internet, and to propose a business model using the same.

미래의 교육은 우리가 영화에서 보듯이 커다란 벽걸이 텔레비젼이 있고, 이것을 통해서, 선생님과 학생이 1:1로뿐만이 아니라, 학생들 상호간에도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의사 소통이 가능한 형태가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멀티 미디어 교재를 화면을 통해서 공유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미래의 이러한 교육 형태로의 발전의 선구적 형태라고 할 수 있다.The education of the future, as we see in the movie, has a large wall-mounted TV, through which a teacher and studen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not only in 1: 1, but also between students. In addition, multimedia textbooks will be shared on th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the pioneering form of development into this form of education in the future.

앞서 말한 미래의 교육 형태에 비교해 볼 때, 기존의 원격 교육 방법은 '실시간', '원격', '쌍방향', '멀티 미디어'라는 측면에서 보면 부족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인터넷 교육에 있어서, 자료를 제공하고 이것을 다운로드(download) 받아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오프-라인(off-line) 상태의 책자나 오디오, 비디오물을 인터넷 상의 올린 것에 불과하다. 이 형태는 원격이라는 측면과 멀티미디어라는 측면에서는 합당하나, 실시간으로 교사와의 접촉이 불가하다. 이외에 문제 풀이와 같은 형태가 있는데, 이것은 주어진 자료의 문제를 풀면, 바로 문제에 대한 해답과 풀이를 보여준다. 이러한 형태는 실시간, 원격, 쌍방향, 멀티 미디어라는 형태에 부합된다. 그러나 쌍방향 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여전히 부족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외국어 교육에서의 발음 교정과 같이 선생님이 직접해 주어야 하는 것을 실행할 수 없다. 또한 주어진 문제 이외의 의문점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대답해 줄 수 없다.Compared to the aforementioned form of future education, the existing distance education methods were insufficient in terms of 'real time', 'remote', 'interactive' and 'multimedia'. For example, in current Internet educatio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materials are provided, downloaded, and used. However, this is just an off-line book, audio or video upload on the Internet. This form is reasonable in terms of remote and multimedia, but it is impossible to contact teachers in real time. In addition, there is the same form of problem solving, which solves a given data problem and shows the solution and the solution. This form corresponds to the form of real time, remote, interactive, and multimedia.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in terms of bidirectionality. For example, you can't do things you need to do yourself, like pronunciation correc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Nor can you answer questions other than a given question in real time.

이외에 텔레비젼과 같은 매체에서는 대량의 교육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의 결정적인 단점은 일방적이라는 것이다. 인터넷 상에서는 쌍방향 실시간 화상 교육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에는 대량으로 실행할 수가 없었다. 물론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요구되고, 사업적 목적의 교육을 위해서는 전혀 경제성이 없었다.In addition, media such as television can provide a large amount of education at low cost. But the crucial disadvantage here is that it is unilateral. Interactive real-time video education is possible on the Internet. In the past, however, it could not be run in bulk. Of course, this is not impossible at all, but it requires a huge amount of money to achieve this, and there was no economic feasibility for education for business purposes.

본 발명은 가) 인테넷을 통해서 강사와 학생이 서로 얼굴을 보고, 목소리를 듣고, 공유된 교재를 보면서, 강사나 학생이 쓰는 글이나, 그림이 바로 서로에게 전달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나) 또한 이를 사업적 목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 system that allows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to face each other, listen to the voice, and look at the shared textbooks, the writing or pictures written by the instructor or studen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B) It is also intended to suggest how to use it for business purposes.

가)의 목적을 위해서 두 가지의 시스템이 발명되었다. i) 첫째는 소규모 교실 환경 구현을 위한 원격 화상 교육 시스템이다. ii) 둘째는 대규모 강의를 위한 원격 화상 교육 시스템이다.Two systems were invented for the purpose of a). i) First is a remote video education system for small classroom environment. ii) Second is the remote video education system for large-scale lectures.

i)을 위해서 기존의 화상 회의 시스템 또는 화상 채팅 시스템에 여러가지 교육적 목적을 위한 도구가 부가된다.For i) tools for various educational purposes are added to an existing video conferencing system or video chat system.

ii)를 위해서 기존의 인터넷 방송 또는 웹케스팅(Webcasting)에 이용되는 스트리밍(streaming) 기술이 이용되며, 여기에 교육적 목적을 위한 도구가 부착된다. 여기서는 사용자들을 연결하는 방식에 따라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서버를 직접 경유하여, 강사가 학생들에게 강의를 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강사의 컴퓨터가 서버 기능을 수행하여, 학생들에게 직접 강의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서버를 직접 경유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고품위의 화질과 소리를 얻을 수 있는 방면에, 하나의 서버에서 열 수 있는 강좌 수가 제한 되는 반면에, 강사의 컴퓨터가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처음 인증 단계에서만 서버를 경유하고, 이후에 직접 강사와 학생들이 연결됨으로 해서, 서버에 부담을 주지 않고, 수백명 단위의 중규모의 저품위의 화질과 음성의 강의가 가능하다. 또한 이 시스템은 기존의 실시간 쌍방향 인터넷 교육 시스템에 비해서 아주 저렴하다.For ii), streaming technology used for existing internet broadcasting or webcasting is used, and a tool for educational purposes is attached thereto. There are two types here, depending on how you connect users. One is the way the instructor lectures the students directly through the server, and the other is the way the instructor's computer performs the server function and delivers the lecture directly to the student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rver. In the case of directly passing through the server, the number of courses that can be opened in one server is limited in order to obtain high quality image quality and sound, whereas the instructor's computer performs the server function only in the initial certification stage. By connecting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directly via the server, there is no burden on the server, and it is possible to lecture in the low-quality, low-quality image and voice of hundreds of units. The system is also very inexpensive compared to the existing real-time interactive Internet education system.

상기의 시스템을 위한 기반 기술은 이미 개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마치 연필에 지우개를 붙여, 지우개 달린 연필을 발명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기존의 화상 회의나 화상 채팅 시스템에 교육적 목적의 도구를 부가하고, 기존의 웹케스팅을 위한 스트리밍 기술에 교육적 도구를 부착한 것이다. 이로써, 소규모 화상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는 학생과 선생은 서로 얼굴을 보고, 목소리를 들으면서 강의가 가능하고, 대규모 강의 시스템에 있어서도 학생들은 선생의 목소리를 듣고, 얼굴을 보면서 강의를 청취하고, 강의에 의문나는 사항을 즉시 질문하고, 답변을 들을 수 있는 쌍방향성이 확보된다.The underlying technology for such a system has already been develop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ke inventing an eraser pencil by attaching an eraser to the pencil. Educational tools are added to existing video conferencing and video chat systems, and educational tools are attached to streaming technology for webcasting. Thus, in a small-scale video education system, students and teachers can look at each other's faces and listen to their voices. Ask questions right away and get an interactive experience.

이러한 발명은 현재는 인터넷 망의 전송 속도의 한계와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한계로 인하여, 화질이 자연스럽지 않고, 목소리의 전송에도 약간의 한계가 있다. 그러나 앞으로 인터넷 TV가 보급되는 등, 가전과 컴퓨터가 통합되어 가고, 기존의 인터넷 망이 개선될 수록 멀지 않은 장래에 앞서 이야기한 미래의 교육과 더욱 닮아 갈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aturally natural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hardware of the computer, and there is a slight limitation in the transmission of voice. However, as Internet TVs become more popular and home appliances and computers become more integrated, and the existing Internet network is improved, it will become more similar to the education of the future, which has been discussed in the near future.

또한 이러한 발명은 사업으로서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서, 텍스트 중심의 도구를 전체 시스템의 하나로 부가한다. 모든 교육이 멀티 미디어적으로 전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텍스트 위주의 교육도 사업적인 견지에서는 필요하다.This invention also adds a text-centric tool to one of the entire systems in order to achieve economic benefits as a business. Not all education needs to be multi-media. Therefore, text-based education is also necessary from a business point of view.

상기한 발명에 기반한 사업은 네 가지 형태로 교육자와 피교육자에 서비스할 할 수 있다. .Projects based on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serve educators and trainees in four forms. .

첫째, 본 교육 시스템을 설치한 사업자가 직접 교육자를 고용하고, 피교육자를 모집하여 강의를 제공하는 형태가 있다.First, there is a form in which a company that installs the education system directly hires an educator and recruits trainees to provide lectures.

둘째, 사업자가 위의 교육 시스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대여하는 것이다. 이것이 이 사업 모델에 있어서, 특유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육 시스템을 갖추었을 경우에 소규모와 중규모의 강의를 위한 공간을 거의 무제한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마치 거대한 학교에 무수한 강의실이 있고, 이 강의실이 다 활용되지 못하는 상황과 유사하다. 이때, 이러한 강의실을 임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시스템은 이러한 임대가 자유롭다. 소규모와 대규모 강의에 필요한 자원을 빌려 줌으로서 교육자와 피교육자에 서비스할 수 있다. 이러한 임대 형식은 좀 더 나누면 두 가지 방식이 가능한데, 하나는 말 그대로 공간을 그대로 임대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공간을 빌려주는 동시에, 교육자에게 피교육자를, 피교육자에게 교육자를 소개해 줌으로써, 그 공간에 대한 임대와 교육자와 피교육자를 서로 소개한 서비스에 대한 댓가를 받는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예를 들어 과외를 하고 싶어하는 대학생이나, 학원에서 또는 학교에서 과외 시간에 학생들의 학습을 지도하는 서비스를 위해 이용할 수 있다.Secondly, the operator rents all or part of the above education system. This is unique to this business model. With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lmost unlimited space for small and medium lectures. This is similar to the situation where there are countless classrooms in a huge school and these classrooms are not fully used. At this time, the lecture room can be rented. The syste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 of such leases. Lending resources for small and large classes can serve educators and trainees. This type of lease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wo ways, one that literally leases the space. The other is to lend a space, and to introduce the educator to the educator and the educator to the educator, thereby paying for the lease of the space and the service of introducing the educator and the educator to each other. Such services may be used, for example, for college students who want to tutor, or for services that guide students' learning in tutoring or at school.

세째, 홈페이지와 강의창에 광고를 보여 줌으로써, 광고 수익을 올리는 것이다. 이러한 공고는 일종의 타켓 광고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유리한 점이 있고, 학생들에게는 저렴한 교육비를 부담할 수 있는 조건이 될 것이다.Third, to increase advertising revenue by showing ads on the homepage and lecture window. This announcement has the meaning of a kind of target advertising,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advertiser, and will be a condition that can afford a low education cost to students.

네째, 교재나 자료를 본 교육 시스템이 설치된 사이트에서 구매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재나 자료를 구입하기 위해서 여러 곳을 찾아다니는 수고를 덜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Fourth, by providing textbooks and materials to the site where the educational system is installed, it provides a service that saves the trouble of visiting many places to purchase textbooks and materials.

위의 첫번째나 세번째, 네번째의 경우에는 그리 새로운 것이라고 할 수는 없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본 사업 모델의 목적은 위의 교육시스템을 도입하고, 이에 맞는 포털적 성격을 지니는 교육 사이트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위와 같은 네 가지 형태의 서비스 형태가 하나로 통합된다.The first, third, and fourth case above may not be so new. However, the purpose of this business model is to introduce the above education system and construct an educational site with a portal character. For this purpose, the above four types of services are integrated into one.

도 1은 전체 체계도1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도 2는 접속자가 적절한 강의로 연결되는 구조를 묘사2 depicts a structure in which accessors are connected by appropriate lectures

도 3은 소규모 강의 시스템에서의 연결 방식3 is a connection scheme in a small lecture system

도 4는 대규모 강의 시스템에서의 연결 방식4 is a connection scheme in a large lecture system

도 5는 중규모 강의 시스템에서의 연결 방식5 is a connection scheme in a medium steel system;

도 6은 사용자 인증과 적절한 강의실로 인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authenticating a user and leading to the appropriate classroom.

도 7은 소규모 강의 시스템에서의 교육적 부가 기능과 인터페이스 화면7 is an interface screen for educational add-ons in a small lecture system.

도 8은 대규모 강의 시스템에서의 교육적 부가 기능과 인터페이스 화면8 shows educational additional functions and interface screens in a large-scale lecture system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트의 구성을 사용자(접속자, 교육자와 피교육자)의 관점에서 정리한 것이다. 사용자는 본 사이트에 인터넷(HTTP, Hipertext Transfer Protocol)을 통해 접속하여, 초기화면(1)을 본다. 그리고 교재나 자료를 구하기 위해서 쇼핑몰(2)로 가거나, 수강 신청을 하기 위해 회원 등록란(3)으로 간다. 회원은 다단계의 등급으로 구성된다. 각 단계의 회원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한계가 정해져 있다. 그리고 서비스의 이용 정도에 따라 등급이 상향 조정된다. 상급의 회원은 마일리지나 보너스 포인트를 정립 받고, 할인 혜택 등을 누린다. 쇼핑몰(2)이나 회원 등록(수강신청)(3)에서 신용카드나 사이버 머니 등으로 결제하기 위한 페이지로 진행된다.1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 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viewpoint of a user (accessor, educator and trainee). The user accesses this site through the Internet (HTTP, Hipertext Transfer Protocol), and sees the initial screen (1). Then, go to the shopping mall (2) to obtain textbooks or materials, or to the member registration section (3) to register for classes. Members consist of multiple levels. Members at each level have their own limits. The grade is upgra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use of the service. Senior members earn miles, bonus points, and discounts. In the shopping mall (2) or member registration (registration) (3) proceeds to a page for payment by credit card or cyber money.

기등록된 회원 또는 수강 신청자는 회원 인증 과정(4)을 거쳐 적절한 강의로 인도된다(6, 7, 8). 회원 인증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ID와 암호(password)를 이용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쿠키(cookie)를 이용한 방식이다.Pre-registered members or course applicants are directed to the appropriate course through the membership certification process (4) (6, 7, 8). There are two methods of membership authentication, one using ID and password, and the other using cookie.

도 2는 도 1의 회원인증(4)에서 적절한 강의(6, 7, 8)로 이끌어지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201)에서 (203)까지는 접속자를 나타낸다. 접속자는 사운드 카드(sound card)와 PC용 비디오 카메라, 마이크와 스피커(또는 마이크가 달린 헤드셋)를 장착한 멀티 미디어 컴퓨터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비디오 카메라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접속자가 비디오 카메라를 지니고 있지 않을 경우에 접속자 화면에는 대신 다른 그림이 나타날 수 있다. 사운드 카드도 텍스트 위주의 교육을 할 때는 꼭 필요한 것이 아니다.Figure 2 illustrates in more detail the process led to the appropriate lectures (6, 7, 8) in the member authentication (4) of FIG. Reference numerals 201 to 203 indicate a connector. The visitor must have a sound card, a PC video camera, a multimedia computer with a microphone and speakers (or a headset with a microphone). But video cameras are not necessary. If the visitor does not have a video camera, another picture may appear on the visitor screen instead. Sound cards are not necessary for text-based education.

접속자는 학생일 수도 있고, 강사와 같은 개인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시스템을 임대하고 있는 사람 또는 단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접속은 본 시스템이 구축된 웹 사이트로의 직접 접속 일수도 있고, 다른 웹사이트에서의 간접적 접속일 수도 있다. 간접 접속인 경우에 외부 웹사이트에 있는, 예를 들면 아이콘(icon)이나 배너를 누르면, 본 교육 시스템이 구축된 웹사이트의 인증 시스템으로 바로 접속 가능하다.The accessor may be a student, an individual such as an instructor, or may be a person or a group that rents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nnection may be a direct connection to a web site on which the system is built, or an indirect connection from another web site. In the case of indirect connection, for example, by pressing an icon or a banner on an external website, it is possible to directly access the authentication system of the website on which the educational system is constructed.

서버(205)는 학생과 교사의 정보가 담겨 있는 데이타베이스(204)를 참조하여, 접속자가 정당한 사용자인가를 인증한다. 서버(205)는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에 수업 과목과 시간표가 담긴 데이타베이스(204)를 참조하여 적당한 강의실로 인도한다.The server 205 refers to the database 204 containing the student and teacher information, and authenticates whether the accessor is a legitimate user. If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the server 205 refers to the database 204 containing the class subjects and the timetable and leads them to the appropriate classroom.

도 2의 데이타베이스(204)의 수업과목과 시간표가 담겨 있는 데이타베이스는 하나로 만들 수도 두개로 만들 수도 있다. 적당한 강의실은 소규모 교실 환경 화상교육 시스템(206~208)일 수도 있고, 중·대규모의 화상교육 방송 시스템(209~211)일 수도 있다.The database containing the class and timetable of the database 204 of FIG. 2 may be made into one or two. Suitable classrooms may be small classroom environment video education systems 206-208, or medium and large video education broadcast systems 209-211.

그리고 여기서 그림으로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관리 설정 소프트웨어가 있다. 이것은 회원의 관리나 강의 개설과 소멸 등의 기능을 학생과 교사, 수업과목과 시간표 데이타베이스와 연동하여 수행한다.And although not shown here, there is management configuration software. It performs functions such as managing members, opening and destroying lectures, in conjunction with databases of students, teachers, courses, and timetables.

이러한 인증에서 적절한 강의실로 인도하는 과정은 도 6에서 다시 그 흐름을 정리하였다. 사용자가 접속하면(601), ID와 암호를 물어본다(602). 만약에 ID나 비밀 번호가 틀리다면, 다시 입력하게 한다. 그리고 일정 회수 이상 틀린다면 특정 화면을 보여준다(608). 이러한 과정은 쿠키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만약에 기존에 접속한 적이 있는 사용자라면, 쿠키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만약에 쿠키가 없다면 ID와 암호를 입력하게 한다. 만약에 틀리다면 다시 입력시키거나 특정화면을 보여준다(608). 이러한 사용자 인증은 학생과 강사 데이베이스(606)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The process of leading from the certification to the appropriate classroom is summarized again in FIG. When the user connects (601), the user is asked for an ID and password (602). If the ID or password is incorrect, please enter it again. If a certain number of times is wrong, a specific screen is displayed (608). This can also be done using cookies. If the user has been connected before, the cookie is used to authenticate the user. If you do not have a cookie, enter your ID and password. If wrong, input again or show specific screen (608). This user authentication is made with reference to the student and instructor database 606.

만약에 등록된 사용자라면(603), 현재 수업이 있는가를 확인한다(604). 이것은 수업과목, 시간표를 담은 데이타베이스(607)를 참조해서 이루어진다. 만약에 예정된 수업이 있다면 적절한 수업으로 인도하지만(605), 아니라면 수업 시간표를 보여준다든가, 지난 강의를 복습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특정 화면을 보여준다(610).If the user is registered (60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urrent class (604). This is done by referring to a database 607 containing courses and timetables. If there is a scheduled class, it leads to the appropriate class (605), but if not, it displays a specific screen, such as showing the class timetable or reviewing the last lecture (610).

도 3은 소규모 교실 환경 화상교육 시스템의 접속 방식에 대한 도시로서 도 1의 (6), 도 2의 (206~208)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301)의 '접속자 1'에서 '접속자 N'은 서버(302)에 접속해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나서 이들은 계속 서버(302)에 머물러 서버(302)의 서비스를 받는 것이 아니다. 각 접속자들(301)은 서버(302)에 자신의 인터넷 주소(IP Address)를 알려주고, 서버(302)는 이것들을 받아, 다른 접속자들에게 통보한다. 각 접속자의 컴퓨터 상의 소프트웨어는 다른 접속자들의 인터넷 주소(IP Address)를 통보 받아, 이를 기반으로 다른 접속자들과 서버(302)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신한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 (302)의 접속자들은 (303)에서 도시 되는 바와 같이 접속자들 상호 간에 연결을 유지하고, 서버(304)는 간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만약 접속자 중의 한 명이나 일부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이들이 다시 접속해 오는 경우에 서버는 이 새로운 접속자를 이 접속자 집단(303)에 연결 시켜 준다. 이러한 과정은 서버에 보관되어 있는 이들 접속자들의 인터넷 주소를 새로운 접속자에게 통보하고, 새로운 접속자의 인터넷 주소를 기접속자들에게 통보함으로써 가능하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method of a small classroom environment video education system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6) and FIG. 2 (206 to 208). At 'accessor 1' of '301', 'accessor N' accesses the server 302 and undergoes a user authentication process. They then do not stay on the server 302 to be served by the server 302. Each visitor 301 informs the server 302 of its Internet address, and the server 302 receives them and notifies other visitors. The software on each visitor's computer is notified of the IP address of the other visitor and communicates directly with the other visitor without going through the server 302. As a result of this process, the accessors of 302 maintain their connections with each other, as shown at 303, and the server 304 is not involved. However, there may be times when one or some of the users are disconnected. In this case, when they come back, the server connects this new visitor to this visitor group (303). This process is possible by notifying new users of the Internet addresses of those users stored in the server, and notifying the existing users of the new users.

이러한 소규모 교실 환경 화상교육 시스템의 기능과 인터페이스(interface)는 도 7에 예시되어 있다. 배너 광고가 있고(701, 707), 강의 제목과 강사 이름 내지는 회사 이름이 나타난다(702), 현재 시각과 강의가 끝나는 시간을 표시한다(703). 이것은 강의가 끝나는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강의를 종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학생들과 강사의 모습이 화면에 나타난다(705). 학생들과 강사는 서로의 얼굴을 보고, 목소리를 들으면서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에 접속자가 비디오 카메라를 지니고 있지 않다면 접속자에 해당하는 화면에 인물 캐릭터와 같은 다른 그림이 나타날 것이다.The function and interface of such a small classroom environment video education system is illustrated in FIG. 7. There are banner advertisements (701, 707), the title of the lecture and the name of the instructor or company name appear (702), and the current time and the time the lecture ends (703). It has the ability to automatically end a lecture when it's time to finish it. Students and instructors appear on the screen (705). Students and instructors can conduct lectures by looking at each other's faces and listening to their voices. If the accessor does not have a video camera, another picture, such as the character character, will appear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accessor.

소수의 학생들이 강의를 들을 때는 이와 같은 화상을 표현할 수 있는 8이나 10명의 화상으로 충분할 것이다(이 숫자는 좀 더 늘어날 수도 줄어 들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이상의 학생들이 강의에 참여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화면에 수용되지 못하는 학생들이 (704)에 나타난다. (704)에는 학생들의 이름이나 ID가 표시된다. (704)에 나타나는 학생들도 물론 화면에 나타나는 사람들과 똑같이 강의를 듣는다. 다만, 이들 학생은 선택적으로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즉 학생의 이름 또는 ID를 마우스로 클릭함으로서, 이들의 화상이 다른 기존의 모습이 보이던 사람을 대체하여 보여주게 된다. 여기서 꼭 본인의 화상이 화면에 나타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강사는 자신의 얼굴 대신에 학생들만의 화상을 화면에 띄울 수 있고, 자신은 (704)의 창에 이름이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학생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When a small number of students take a lecture, eight or ten images will be sufficient to represent these images (this number may increase or decrease). However, more than one student may need to participate in the lecture. Students who are not accepted on this screen appear at 704. 704 shows the student's name or ID. The students appearing at (704), of course, take the same lectures as those on the screen. However, these students may optionally appear on the screen. In other words, by clicking on the student's name or ID, the image of the student replaces the person who was previously seen. Your image does not have to appear on the screen. Thus, the instructor can display students' own images on the screen instead of his face, and he or she can have the name appear in the window of 704. The same is true for students.

이와 같이 화상이 나타나는 사람(705)과 이름이 나타나는 사람(704)을 교체(switch)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고유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이 갖추어짐으로 해서, 화면에 보이는 사람 이상의 많은 사람을 강좌에 수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소규모 화상 교육 시스템은 적은 숫자의 사람으로부터 좀 더 많은 사람의 수용까지가 가능한 유연한 시스템이 된다.It is inher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switch between the person 705 and the person 704 whose name appears. By having such a system, a lot of people can be accommodated in the course. Therefore, this small video education system becomes a flexible system that can accommodate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more people.

기능 버튼(706)에는 발언권을 규정하기 위한 '말하기/듣기' 버튼과 말하는 사람이 누구인가를 표시하는 기능, 화이트보드, 파일 전송, 강의를 끝내거나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기능, 화면의 외관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 버튼이 있다. 화이트보드는 강사나 학생들이 쓰는 내용이 그대로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기능이다. 여기에는 색을 고를 수 있는 팔레트와 직선과 원 등의 도형을 그릴 수 있는 도구들과, 글을 쓸 수 있는 기능, 그리고 쓴 것을 지우는 지우개 기능 등이 포함된다. 화이트보드는 화면 배치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떠다니는(floating) 창으로 만든다. 화일 전송 기능은 강사가 학생들에게 숙제나 시험 문제를 낼 때 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학생들이 과제를 제출할 때도 쓸 수 있을 것이다. (708)의 프레젠테이션 화면은 아래아 한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S Word), 파워포인트 등의 화면을 공유하는 창이다. 이것은 강사가 학생들에게 이미 만들어진 교재를 같이 공유할 때 쓸 수 있다. 문자 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는 채팅 창이 있다(709, 710). 이외에 1:1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귓속말 기능이 포함된다. 이 기능은 간단히 특정 학생에게 질문을 하거나, 대답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다.The function button 706 includes a 'speak / listen' button to define the right to speak, a function of indicating who is speaking, a whiteboard, a file transfer, the ability to end a lecture or extend the time, and an appearance of the screen. There is a function button to adjust. Whiteboard is a function that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 or students are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as it is. This includes palettes to choose colors, tools to draw shapes such as straight lines and circles, the ability to write, and an eraser to erase what is written. Whiteboards are made of floating windows to free screen layout. The file transfer function can be used by the instructor to give students homework or test questions. Conversely, they can also be used to submit assignments. The presentation screen of 708 is a window for sharing screens such as Hangul Hangul, Microsoft Word, and PowerPoint. This can be used when an instructor shares a textbook that has already been made to students. There are chat windows that can share text messages (709, 710). In addition, it includes a whisper function that enables 1: 1 conversation. This feature can be used to simply ask or answer a specific student.

도 1의 (7)과 도 2의 (209~211)에서 제시한 대규모 화상 교육 방송 시스템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되고 있다. 이 교육 시스템은 인터넷 방송 또는 웹케스팅이라고 불리는 기술을 응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방송은 스트리밍(Streaming)이라는 기술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자료의 전체를 다운 받아서 재현(play)하는 것이 아니라, 자료를 조금씩 받으면서, 받는 즉시 재현하는 것이다. 이로써, 마치 전파 방송에서와 같은 방송과 유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녹화된 것의 방송도 가능하지만, 실시간의 방송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트리밍 기술을 구현하고 있는 시스템은 잘 알려진 대로 리얼 시스템(Real System), 윈도우 메디아(Window Media), 스트림 웍스(StreamWorks)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시스템에 여러 교육적 도구를 부가시킴으로써 가능해졌다(도 8).The large-scale video education broadcasting system shown in FIGS. 1 (7) and 2 (209-211) is shown in FIGS. 4 and 5. This educational system is an application of a technology called Internet broadcasting or webcasting. In general, Internet broadcasting uses a technology called streaming, which does not download and play the entire material, but reproduces it as soon as it is received. This is similar to the broadcast as in the radio broadcast. Such a system can broadcast recorded content, but can also broadcast in real time. There are several systems that implement this streaming technology, such as Real System, Window Media, and StreamWork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possible by adding several educational tools to this system (FIG. 8).

도 4에 나타난 시스템은 대규모 강의를 위한 것이다. 여기서 강사(401)는 서버(402)를 경유하여 학생들(403~406)에게 강의를 한다. 비단 여기서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설명한 전체에서 그렇지만, 학생은 모두 비디오 카메라와 사운드 카드, 마이크와 스피커를 지니고 있다고 가정한다. 강사의 강의는 실시간으로 서버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방송된다(webcast),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서버가 동시에 하나의 강좌만을 담당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러 강의를 하나의 서버를 통해서 개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서버에서 방송을 해줌으로 해서(casting) 고품위의 화질과 음질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좀 더 많은 접속자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서버를 경유하는 강의는 대규모의 강의를 위해서 적당하다.The system shown in FIG. 4 is for large scale lectures. Here, the instructor 401 lectures the students 403 to 406 via the server 402. Not only here, but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assumed that all students have video cameras and sound cards, microphones and speakers. The lecturer's lectures are broadcast to the students via a server in real time (webcast), in which one server can handle only one lecture at a time.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open several lectures through one server. However,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 quality and sound quality by broadcasting on the server. It can also accommodate more users. Therefore, lectures via these servers are suitable for large classes.

도 5에서 도시되고 있는 시스템은 좀 더 작은 중규모의 강의에서 쓸 수 있는 것이다. 강사(501)와 학생들(502~505)은 서버(506)에서 인증을 거친 후에 자기들끼리 직접 연결된다. 이것은 각 접속자들이 자신들의 인터넷 주소를 서버에 알려주고, 서버는 이들 주소를 각 접속자에게 전부 알려 주어서, 이후에는 각자가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서로 통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소규모 화상교육 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소규모 화상교육 시스템에서와는 달리 강사의 컴퓨터가 웹케스팅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학생들 상호간의 관계는 무시되고, 강사와 학생간의 관계가 중요하다. 학생들 관계도 주로 강사를 매개로서만이 가능하다. 학생들 상호간의 관계는 화상이나 음성이 아니라, 문자적 수단에 의해서 보완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개인용 PC의 한계와 인터넷 망의 속도에 제한이 있는 관계로 중규모의 강의에서 이용될 수 있다.The system shown in FIG. 5 can be used in smaller, medium-sized lectures. The instructor 501 and the students 502 ˜ 505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fter authentication at the server 506. This allows each visitor to tell the server their Internet address, and the server tells each visitor all of these addresses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irectly, without going through the server. This process is the same as in small video education systems. However, unlike this small video education system, the instructor's computer functions as a webcasting server.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s ignor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s important. Student relationships are mainly possible only through the instructor. Student relationships are complemented by textual means, not by image or voice. Such systems can be used in medium-sized lectures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personal PCs and the speed of the Internet.

도 4와 도 5의 교육 방송 시스템에서의 기능과 인터페이스는 도 8에 예시되어 있다. 배너 광고가 있고(801, 808), 강사의 강의하는 모습이 보인다(806). 강사의 모습을 비추는 화면 밑에는 강사가 쓰는 글이 자막처럼 흘러간다(806). 그 밑에는 강사가 제시하는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단추가 있다(807). 오른쪽에는 질문을 하거나 대답을 할 수 있는 대화입력창(804)과 대화의 내용이 보이는 창(803)이 있다. 이것이 학생들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유지해 주는 주요한 수단이다. 그리고 그 오른쪽에는 기능 버튼들이 있다(802). 기능 버튼에는 발언권을 신청하거나 남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기능을 갖는 단추가 있고, 발언하는 사람이 누구인가를 보여주는 부분이 있다. 화이트보드를 띄워서 글이나 그림으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 파일을 전송할 수 있고, 강의를 끝내거나 연장할 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의 외관을 바꿀 수 있다.Functions and interfaces in the educational broadcast system of FIGS. 4 and 5 are illustrated in FIG. 8. There are banner advertisements (801, 808), and lecturers can be seen teaching (806). Under the screen reflecting the instructor's appearance, the instructor's writing flows like subtitles (806). Below it is a button to download the materials presented by the instructor (807). On the right side, there is a dialog input window 804 for asking or answering a question and a window 803 for showing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This is a major means of maintaining student communication. On the right are the function buttons (802). The function button has a function of requesting the right to speak or listening to other people, and there is a part showing who is speaking. You can communicate your thoughts by writing or drawing a whiteboard. Transfer files, end lessons, or extend lessons. And you can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software.

본 교육 시스템의 장점은 교육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화상과 소리를 직접 보면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등의 것 외에도, 강좌를 거의 제한 없이 개설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소규모(도 3)나 중규모(도 5) 강의의 경우에 인증 단계를 지난 후에 교육 참여자들은 서버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고,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직접 자기들끼리 연결되어, 서버에는 거의 부담을 주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다.The merit of this educational system is that people can participate in the class while watching the video and sound directly. This means that in the case of small (figure 3) or medium (figure 5) lectures, after the certification phase, participants no longer rely on the server, and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Internet addresses, with little burden on the server. Is possible.

만약 우리가 하나의 수업이 이루어지 환경을 강의실이라고 부른다면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3이나 도 5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인터넷으로 연결된 수업의 참여자들, 그리고 그들이 보는 도 7이나 도 8의 교육 시스템 환경을 강의실이라고 부른다면), 본 교육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강의실을 거의 제한 없이 증설할 수 있다. 이것은 하나의 보통의 서버에서 감당할 수 있는 것이므로, 아주 경제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If we call the classroom the environment in which a class is held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of the Internet-connected class as shown in Figures 3 or 5, and the educational system environment they see in Figures 7 or 8). If the class is called a classroom), this classroom system can be expanded almost without limitation. This is a very economical way because you can afford it on a single normal server.

도 4에서와 같은 대규모 강의 시스템은 하나의 서버에서 동시에 하나의 강좌만을 개설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접속자들이 인터넷 주소를 통해서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 갖는 장점을 지닐 수 없다. 그러나 이 방식에 의하면, 무수한 피교육자가 참여하는 강좌가 개설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large-scale lecture system as shown in Figure 4 can only open one course at the same time in one server, it can not have the advantage that the above-described accessor is 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address. However,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n a class in which a large number of trainees participate.

이 외에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텍스트 교육을 위주로 하는 게시판 류의 프로그램이 있다. 이것은 전체 인터넷 교육 사업을 위해서 갖추어져 있어야 하는 부분이다.Other than this, there is a bulletin board-type program that focuses on text education. This is something that must be in place for the entire Internet education business.

이상의 인터넷 교육 시스템을 기반으로 해서, 인터넷 상의 교육 사업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추진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Internet education system, the education business on the Internet can be promoted in the following manner.

첫째는 본 교육 시스템을 설치한 사업자가 직접 교육자와 피교육자를 모집해서 강좌를 개설하고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업자는 강사를 모집하고, 강좌를 개설하고, 학생들을 모집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first is that the company that installs the education system directly recruits educators and trainees to open courses and provide educational services. Operators recruit instructors, open courses, recruit students and provide educational services.

둘째는 본 교육 시스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대여하는 것이다. 본 시스템에서의 소규모나 중규모의 강의 시스템은 서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무수한 강좌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강의를 위한 공간(강의실, 교실)을 대여하는 것이다. 이것은 비유해 말하자면 마치 거대한 빌딩을 지니고 있어서 이것의 일부나 전체를 학교나 학원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물론 전체를 팔 수도 있을 것이다.The second is to rent all or part of the educational system. Small and medium lecture systems in this system can provide room for countless courses without burdening the server. Therefore, the space for the lecture (classroom, classroom) is rented. This is analogous to having a huge building, providing some or all of it as a space for a school or a school. You could, of course, sell the whole thing.

이러한 사업 방식을 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busines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시스템의 전체를 대여하는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심지어 팔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시스템의 일부를 대여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a)단순히 강의를 위한 공간(강의실, 교실)만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예를 들어 학교나 학원, 회사의 직원 연수용 프로그램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자체 강사와 학생을 모집하여 본 교육 시스템의 공간만을 이용한다. b)본 교육시스템을 구축한 사업자가 공간을 제공하고, 교육자에게는 피교육자를, 피교육자에게는 교육자의 일방을 모집하여 소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서비를 이용하는 자는 공간을 제공 받고, 피교육자 또는 교육자를 소개 받는다. 이러한 서비스는 과외를 하려는 학생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학원에서도 학생들의 충원을 위해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꽃꽃이를 배우려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모여서 반을 개설하고, 강사를 모실 수도 있다. 이러한 임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시스템을 직접 구축 하는 것보다 저렴하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re is no question about renting the entire system. You can even sell it. However, there are many ways to rent part of the system. For example, a) you can simply provide space for lectures (classrooms, classrooms). These services can be used, for example, in schools, institutes, or in company employee training programs. They recruit their own instructors and students to use only the space of this educational system. b) The establishment of this education system provides space, recruits educators, and introduces one of the educators to the educators. Therefore, the person using this service is provided with space, and the trainee or the educator is introduced. These services are available to students who wish to tutor. It may also be used for recruiting students at the school. For example, students who want to learn flower arrangements may voluntarily gather to open classes and have instructors. In the case of using such a rental ser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ecessary service at a lower cost than building a system.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접속 방식도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직접 본 교육 시스템이 설치된 사이트로 접속해 들어와 강좌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홈페이지에 해당 강좌로 연결시켜주는 아이콘, 텍스트, 그림 등의 하이퍼링크(hyperlink)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사용자는 해당 임대 사업자의 홈페이지에서 직접 연결되므로, 임대사업자는 자신의 홈을 떠나는 부담에서 벗어 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are many ways to access these services. You can go directly to the site where the educational system is installed and link to the course. You can also use hyperlinks such as icons, text, and pictures that link to your course on your homepage. In this case, since the us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omepage of the rental company, the rental company can be freed from the burden of leaving their home.

대규모 강의 시스템(도 4)의 경우에도 임대나 대여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런 경우, 예를 들어 임대자는 시간을 단위로 임대할 수 있을 것이다.Even in the case of a large lecture system (Fig. 4), it is not impossible to rent or rent.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landlord may lease on an hourly basis.

세째는 홈페이지나 강의창에서 광고를 보여주는 것이다. 교육 사이트라는 특성상,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타켓 광고가 가능하고, 이용자의 입장에서도 교육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는 의미도 있다. 광고 수익료는 수강료를 저렴하게 유지하는데 기여할 것이다.The third is to show ads on the homepage or lecture window. Due to the nature of the educational site, advertisers can target ads, and it also means that users can obtain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education. The advertising fee will contribute to keeping the tuition fee low.

네째는 강의 교재나 자료를 판매하는 쇼핑몰이다.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강의 교재나 자료를 여러 곳에 돌아다니지 않아도 편리하게 구할 수 있게 한다.Fourth is a shopping mall that sells textbooks and materials. Make it easy for students to find the textbooks and materials they need without having to go around.

이러한 사업 모델은 본 교육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소규모, 중규모, 대규모의 강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과 사업 방식은 인터넷이 발달하고, 인터넷 TV, 인터넷과 연결 가능한 화상전화와 같은 가전과 컴퓨터, 인터넷이 통합되어 갈수록 위력을 발휘할 것이다.This business model is based on the small, medium and large lecture systems implemented in this educational system. These systems and business methods will be more powerful as the Internet develops and home appliances such as Internet TV, video telephon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computers and the Internet will be integrated.

본 발명으로 인해서 인터넷이 연결되는 곳이면 공간의 제한이 없이 실시간 쌍방향 화상 교육이 가능해진다. 학생과 선생이 서로 얼굴은 마주 보는 오프-라인(off-line) 수업과 유사한 수업이 인터넷 상에서 가능해지고, 대규모의 실시간 쌍방향 교육이 저렴하게 구축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ver the Internet is connected, real-time interactive video education is possible without any limitation of space. Classes similar to off-line classes, in which students and teachers face each other, are available on the Internet, and large-scale, real-time interactive education can be inexpensively constructed.

또한 이러한 발명으로 해서, 자신의 사이트를 구축하지 않더라도 필요한 만큼의 공간과 시간을 임대해서 이용할 가능성이 생겼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has made it possible to rent and use as much space and time as needed even without constructing its own site.

Claims (4)

본 교육 시스템의 접속자가,Visitor of this education system, 쇼핑몰로 가서 구입을 하고 결제를 하거나, 수강신청(또는 회원등록)을 하고 나서 결제를 하는 과정을 인도하는 데이타베이스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서버와 메모리(RAM)와 이 데이타베이스와 소프트웨어를 보관하는 저장장치(하드디스크와 컴팩트 디스크);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적절한 강의실로 이끌거나 인증이 되지 않을 때, 다른 화면을 보여준는 과정을 인도하는 데이타베이스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서버와 메모리(RAM)와 그 저장장치(하드디스코, 컴팩트 디스크).A server and memory (RAM) running a database and software to guide you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a purchase, making a payment, signing up for a course (or registering for a membership), and then making a payment, and storing the database and software. Devices (hard disks and compact disks); Servers and memory (RAM) and storage devices (hard disks, compact discs) running databases and software that lead to the process of authenticating users and leading to the process of displaying different screens when they are not properly authenticated. 본 교육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접속자(client)의 컴퓨터에서,On the computer of the client equipped with the software of this education system, 인터넷 접속장치(modem, LAN, cable modem, ISDN, 위성 인터넷 등과 그 인터넷 망)와 비디오 카메라, 사운드 카드, 마이크, 스피커, 헤드셋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 컴퓨터와 본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저장한 저장장치(하드 디스크와 컴팩트 디스크). 또한 수업에 동시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인터넷 주소를 기억하고 중재, 연결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메모리(RAM)와 저장장치.Computers, including internet access devices (modem, LAN, cable modem, ISDN, satellite Internet, and the Internet), video cameras, sound cards, microphones, speakers, headsets, some or all, and storage devices for storing the educational software (hardware) Discs and compact discs). It also has memory (RAM) and storage with software that remembers, mediates, and connects to the Internet addresses of people who are in class at the same time. 본 교육 시스템에서 있어서,In this educational system, 소규모, 중규모 강의 시스템에서, 접속자들을 직접 연결해주는 인터넷 주소를 기억하고, 접속자의 컴퓨터의 교육용 소프트웨어에 통보하는 기능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장착한 기억장치(RAM, 하드디스코, 콤팩트 디스크)와 이를 실행하는 서버.In small and medium lecture systems, a storage device (RAM, hard disc, compact disc) with software that remembers the Internet address that connects directly to the visitor and informs the educational software of the visitor's computer and the server that runs it. . 화상회의 시스템과 교육적 도구가 합쳐진 소규모 교육 시스템의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메모리와 콤팩트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장치와 이를 실행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client, 접속자) 컴퓨터, 인터넷 접속 장치.Memory and compact disks, hard disks, and other storage devices equipped with software for small education systems that combine video conferencing systems and educational tools, servers, client computers, and Internet access devices that run them. 인터넷 방송 기술과 교육적 도구가 합쳐진 중·대규모의 교육 시스템의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메모리와 콤팩드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장치와 이를 실행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client, 접속자) 컴퓨터, 인터넷 접속 장치.Memory and compact disks, hard disks, and other storage devices equipped with software for medium and large education systems that combine Internet broadcasting technology and educational tools, servers, client computers, and Internet access devices. 학생, 강사, 수업과목과 시간표 데이타베이스와 이를 참조하여 강의를 개설하거나, 소멸시키고, 예정된 시간에 강의실을 열고, 닫는 기능과 회원의 등급을 설정하는 등의 작업을 하는 관리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장치와 메모리, 실행하는 서버.Devices, storage devices, and management software for creating, dropping classes, opening and closing classrooms at scheduled times, and setting members' grades; Memory, running server. 본 인터넷 화상 교육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업 모델에 있어서,In the business model using this Internet image education system, 접속자를 쇼핑몰 인도하는 과정과 회원 등록을 받는 과정, 그리고 결제로 이끄는 과정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타베이스를 저장한 장치와 서버 컴퓨터; 회원을 적절한 강의실로 인도하는 과정을 담은 소프트웨어와 데이타베이스를 저장한 장치와 서버 컴퓨터; 교육자와 피교육자를 직접 모집해서 강좌할 수 있는 본 교육용 시스템이 탑재된 저장장치와 메모리, 서버와 클라이언트 컴퓨터, 인터넷 접속 장치; 시스템의 일부나 전체를 임대할 수 있는 본 교육용 시스템이 탑재된 메모리와 저장장치, 서버 컴퓨터, 인터넷 접속장치; 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본 교육용 시스템을 탑재한 메모리와 저장장치, 서버와 클라이언트 컴퓨터, 인터넷 접속장치.A device and a server computer storing software and a database for executing an accessor's shopping mall, receiving a member registration, and leading to a payment; Devices and server computers that store software and databases that direct members to appropriate classrooms; Storage and memory equipped with the educational system for directly recruiting and teaching educators and trainees, servers, client computers, and Internet access devices; Memory and storage devices, server computers, and Internet access devices incorporating the educational system that can be used to lease part or all of the system; Memory and storage, servers, client computers, Internet access devices equipped with this educational syste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KR1020000034039A 2000-06-21 2000-06-21 Mutually communicable video-audio real-time educational system and it's business model via internet KR200000547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039A KR20000054727A (en) 2000-06-21 2000-06-21 Mutually communicable video-audio real-time educational system and it's business model via int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039A KR20000054727A (en) 2000-06-21 2000-06-21 Mutually communicable video-audio real-time educational system and it's business model via inter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727A true KR20000054727A (en) 2000-09-05

Family

ID=1967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039A KR20000054727A (en) 2000-06-21 2000-06-21 Mutually communicable video-audio real-time educational system and it's business model via inter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72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080A (en) * 2000-11-22 2001-11-29 강상현 Apparatus and method for materializing interactived cyber seminar
KR20020028675A (en) * 2000-10-11 2002-04-17 김현일 Real-time educating apparatus
KR20020039793A (en) * 2000-11-22 2002-05-30 유길종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 via networ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675A (en) * 2000-10-11 2002-04-17 김현일 Real-time educating apparatus
KR20010106080A (en) * 2000-11-22 2001-11-29 강상현 Apparatus and method for materializing interactived cyber seminar
KR20020039793A (en) * 2000-11-22 2002-05-30 유길종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 via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lden et al. An instructional media selection guide for distance learning
KR102382385B1 (en) Integrated online education platform system and integrated online education method
KR20010096407A (en) Bidirectional Real-time Studying-Paper Guiding System between Remote Distances Using LAN or Internet and Method thereof
Ehrmann Reaching Students, Reaching Resources: Using Technologies To Open the College.
Uong et al. Teachers’ Feedback on Using Discord as an Online Learning Platform
Natarajan Use of online technology for multimedia education
JP2013156870A (en)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real time learning school opening system on internet
Dhanarajan Objectives and strategies for effective use of ICTs
Wilson et al. Interactive Multimedia Distance Learning (IMDL): The Prototype of the Virtual Classroom.
Kostopoulos Global delivery of education via the Internet
KR20000054727A (en) Mutually communicable video-audio real-time educational system and it's business model via internet
Chen et al. Distance education in China: the current state of e‐learning
Underwood Language learning and interactive TV
Doulai Smart and flexible campus: technology enabled university education
Hudson et al. Distance Learning: A Review for Educators.
Bodendorf et al. Virtual universities in engineering education
Nkechinye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veritable instrument for distance education
Norkulov et al. BASICS OF ONLINE TEACHING, USAGE ANDIMPLEMENTATIONPROCESS.
KR20080106150A (en) Processing method of open market type on-line educational institute system
Agba Media technology and the enlarging world of distance education in Nigeria
Ponmeni Learning through Mass media is a flawless process in Distance Education system
Ogar Current Curriculum Trends in Language Classrooms
Machumu The e-learning and computer based instruc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The case study in Tanzania
Ussipashim E-learning: some directions and features of application
Orinbekovna DIDACTIC BASIS FOR THE ORGANIZATION OF PEDAGOGICAL WEBIN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