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520A - Automatic Lift for Toilet Seat - Google Patents

Automatic Lift for Toilet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520A
KR20000054520A KR1020000031853A KR20000031853A KR20000054520A KR 20000054520 A KR20000054520 A KR 20000054520A KR 1020000031853 A KR1020000031853 A KR 1020000031853A KR 20000031853 A KR20000031853 A KR 20000031853A KR 20000054520 A KR20000054520 A KR 2000005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wire
sea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경택
Original Assignee
강경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택 filed Critical 강경택
Priority to KR102000003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520A/en
Publication of KR2000005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52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PURPOSE: An automatic closure mechanism for a toilet seat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lower a toilet seat with a single step of a pedal on using the toilet seat and to automatically raise the toilet seat to the raised position while discharging water after using. CONSTITUTION: A user pushes a lever(11) to flush a toilet bowl(1) by water from a toilet water tank(5) after finishing using a toilet seat(6). At the same time, a valve in the toilet water tank(5) is opened to re-supply water. Thereby, hydraulic pressure of a water supply pipe falls and a piston loses pressure following a hydraulic cylinder of a pressure switch(2)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In a moment of displacing a stopper from a groove, the toilet seat(6) rotates up to the raised position by elasticity of a torsion spring.

Description

좌변기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Automatic Lift for Toilet Seat}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Automatic Lift for Toilet Seat}

본 발명은 좌변기 시트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변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변기 시트에 직접 손을 접촉하지 않고도 변기 시트를 직립 혹은, 안착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좌변기를 사용한 후, 변기 세척 수를 방출하고 재 급수가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압의 변화를 이용하여 압력 스위치의 수압 실린더(직선, 혹은 회전)에 튜브 와이어로 연결된 스톱프를 걸림홈에서 이탈시킴으로써, 변기 시트 힌지 회전축에 걸려있는 토션 스프링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서 변기 시트가 자동으로 회전 상승하여 직립상태로 고정되며, 변기시트를 사용 코저 할 때는 변기 부근 바닥에 위치한 이동 안착 페달을 한번 밟아 줌으로써, 변기 시트가 하강 회전하여 변기 보올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is a device that can stand up or seat the toilet seat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toilet seat hinged to the toilet seat body. Specifically, after the toilet is used, the stopper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straight or rotating) of the pressure switch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straight or rotating) by using the change in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during the flushing and rewatering of the toilet bowl. By disengaging, the toilet seat is automatically rotated and fixed upright by the return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hanging on the toilet seat hinge rotation axis.When using the toilet seat, press the movable seat pedal located on the floor near the toilet once. , The toilet seat is rotated down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can be used fixed.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는 변기 본체에 결합된 시트 힌지 회전축에 장착한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변기 보올이 개방된 채, 항상 직립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하여 누구든지 변기 시트를 사용 코저 할 때는 변기 주변에 위치한 이동 안착 페달을 살짝 밟아 줌으로써, 페달이 튜브와이어를 당기어 변기 시트의 힌지 축을 회전시키고 변기 시트가 변기의 보올에 회전 안착되는 각도에서 스톱프가 변기 시트 힌지 회전축에 있는 걸림 홈에 삽입됨으로써, 변기 시트를 안착 고정시킨다. 변기 시트는 직립 상태에서 안착 상태로 하강 회전하면서 토션 스프링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에 복귀 탄성력을 생성시킨 채, 스톱프가 걸림 홈에 삽입됨으로써 그대로 안착 상태로 고정된다. 이 스톱프는 급수 파이프에 부착 되어있는 압력 스위치의 수압 실린더(직선, 혹은 회전)에 연결되어 있어서 압력 스위치의 수압 실린더에 수압이 유지되는 상황에서는 피스톤이 항상 전진함으로 스톱프를 걸림 홈에 밀어 부치게 된다. 그 다음 저수 탱크식 변기, 혹은, 압축 탱크식 변기의 수세 레버를 눌러 저수 탱크, 혹은, 압축 탱크에 이미 저장되어있는 변기 세척 수를 방출하여 변기 보올을 세척하는데, 세척수가 방출됨과 동시에 저수 탱크, 혹은, 압축 탱크속에 있는 급수 제어기의 발브가 열리어 재 급수가 되면서 급수 파이프 내의 수압이 하강한다. 파이프 내의 수압이 하강하면, 수도 메인 파이프와 저수 탱크, 혹은, 압축 탱크를 연결하는 급수 파이프에 부착된 압력 스위치의 수압 실린더에 수압이 빠지면서 전진 해있던 피스톤에도 압력이 떨어진다. 실린더(직선, 혹은 회전) 실에서 압력이 떨어지면, 피스톤 전면에 부착된 텐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피스톤이 원 위치로 후진하고, 이에 튜브 와이어로 연결된 스톱프도 걸림 홈에서 후진하여 빠지게 된다. 스톱프가 걸림 홈에서 이탈하는 순간, 변기 시트는 변기 본체에 결합된 시트의 힌지 회전축에 유지되고 있는 토션 스프링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역회전 상승하여 직립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압력 스위치내의 기능 형식은 직선 실린더 혹은, 회전 실린더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수압의 유무에 따라서 여기에 연결된 스톱프를 밀고 당길 수 있는 모든 기계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정신은 압력 스위치의 적합한 장치로써, 특정한 기능의 기구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수압의 변화에 따라서 압력 스위치에 연결된 스톱프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수용 될 수 있다.The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ways kept in an upright state while the toilet bowl is ope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mounted on the seat hinge rotation shaft coupled to the toilet body. Thus, when anyone uses the toilet seat, gently press down the mobile seating pedal located near the toilet seat, so that the pedal pulls the tube wire to rotate the hinge axis of the toilet seat and the toilet seat rotates and rests on the bowl bowl.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n the toilet seat hinge rotation axis, thereby seating and fixing the toilet seat. The toilet seat is fixed in the seated state as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catching groove while the torsion spring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generating the return elastic force in the spring while rotating downward from the upright state to the seated state. This stop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straight or rotary) of the pressure switch attached to the water supply pipe so that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maintained in the hydraulic cylinder of the pressure switch, the piston always moves forward to push the stopper into the catch groove. Get hit. Then, by pressing the flush lever of the reservoir tank or the compressed tank toilet, the toilet bowl is flushed by releasing the toilet tank or the toilet washing water already stored in the compression tank. Alternatively, as the valve of the water supply controller in the compression tank is opened and re-watered,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drops. When the water pressure in the pipe drops, the pressure drops to the hydraulic cylinder of the pressure switch attached to the water main pipe and the reservoir tank, or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compression tank, and the pressure also drops to the advanced piston. When the pressure drops in the cylinder (straight or rotating) seal, the piston retract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attached to the piston front, and the stop wire connected to the tube wire also retracts from the locking groove. As soon as the stopper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the toilet seat is reversely rais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turn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held on the hinge rotating shaft of the seat coupled to the toilet body, and fixed in an upright state. The functional form in the pressure switch is not limited to linear cylinders or rotating cylinders, but includes all mechanical devices capable of pushing and pulling a stop connected to i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ydraulic pressure. Accordingly, the basic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itable device of a pressure switch, and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a device of a specific function, and any method of advancing or reversing the stop connected to the pressure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water pressure can be accommodated.

발명의 배경Background of the Invention

지금까지의 가정이나 공공 장소 화장실의 좌변기를 사용할 경우, 우선 변기 시트가 불결하고, 불결한 부분에 손을 접촉해야 한다는 불쾌감이 있었다. 대개의 좌변기 시트는 변기 보올에 안착되어서 방치된다. 실시 예로, 남성이 방뇨를 할 때, 변기 시트가 직립 상태로 있으면 그냥 방뇨를 하고 변기 세척 수를 내리면 된다. 하지만 변기 시트가 변기 보올에 수평 안착되어 있을 때는, 대부분의 남성들은 변기 시트를 손으로 접촉하기가 싫어서, 그 상태로 방뇨를 해 버리는 것이 보통이다. 이런 경우, 배설물의 일부는 필연적으로 변기 시트의 상면에 떨어져 변기 시트에 묻어 있게 된다. 그러면 본인이 변기 시트를 세척하는 등, 뒷 처리를 해 놓고 떠나야 하는데 대부분의 사용자는 그 상태로 방치하고 떠나 버리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다음 순서로 남성 혹은 여성이 그 변기 시트에 앉아야 할 경우는 볼일을 보기 전에 먼저 변기 시트를 세척하는 등, 여간 불결하고 불편한 것이 아니다. 또, 변기 시트가 지저분하지 않는 상태로 변기 보올에 수평 안착 되어있다 하더라도 다음 사용자의 보편적인 심리는 변기 시트 위의 어딘가에 전 사용자의 방뇨 방울이 튀거나 오물 자국이 남아 있으리라는 상상에서 화장실 휴지로 변기 시트를 닦고 사용하는 것이 상례이다. 다른 예로는, 화장실 안에서 세면대 혹은 욕실의 물을 사용할 때, 변기 시트가 평면으로 안착되어 있으면 시트 상면에 사용중의 물이 튀므로 나중에 물기를 다시 닦아주어야 한다. 이상의 상황에서 볼 때, 화장실의 변기 시트는 평소, 변기 보올에 수평 안착 상태로 방치하면 남성은 변기 시트에 그대로 방뇨하며, 또 주변의 이물질이 튀어 묻어서 지저분해 질 수도 있다. 그래서 남성 혹은, 여성이 변기 시트를 사용 할 때도 마음이 개운치 않아서 휴지로써 변기 시트를 세척하고 사용하는바, 쓸데없는 수고와 물질 적인 낭비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변기 시트는 항상 직립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이런 경우에도 남성 혹은 여성이 변기 시트를 사용하고 저 할 때, 먼저 변기시트를 손으로 접촉하여 변기 보올에 수평 안착시켜야 한다는 깨름직한 거부감은 그대로 감수해야 한다. 이상의 상황적 배경으로 볼 때, 누구나 한번쯤은 깨끗하고 위생적이며, 쾌적한 마음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좌변기 시트의 출현을 기대 하였을 것이다.When using the toilet in the restrooms of homes and public spaces until now, there was a discomfort that the toilet seat is dirty first, and the hands must be touched with the dirty parts. Most toilet seats rest on toilet bowls. For example, when a man is pissing, if the toilet seat is in an upright position, it may be necessary to just piss and flush the toilet bowl. However, when the toilet seat is horizontally seated on the toilet bowl, most men do not want to touch the toilet seat by hand, so it is common to pee in that state. In this case, part of the excrement inevitably fal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and is buried in the toilet seat. Then, you have to leave the toilet after leaving the toilet, such as cleaning the toilet seat, it is well known that most users leave it as it is. If a man or woman is to sit on the toilet seat in the following order, it is not unpleasant and uncomfortable, such as cleaning the toilet seat first before seeing the work. In addition, even if the toilet seat is settled horizontally on the toilet bowl without any mess, the next user's general sentiment is that toilet seats are toilet toilet seats in the imagination that all of the user's urine drops will splash or dirt marks somewhere on the toilet seat. It is common practice to clean and use. In another example, when using the water in a wash basin or bathroom in a bathroom, if the toilet seat is flat, the water will splash on the top of the seat, so you need to clean it again later. 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toilet seats of toilets normally, when left in the toilet seat horizontally seated in the toilet seats, the man is pissing in the toilet seat as it is, and the surrounding foreign objects may splash and get dirty. Therefore, even when men or women use toilet seats, they do not feel uncomfortable, and the toilet seats are washed and used as toilet paper, which causes unnecessary labor and material waste. Therefore, it is advisable to keep the toilet seat upright at all times, but even in this case, when the male or female uses the toilet seat and lowers it, the unpleasant objection that the toilet seat should be placed horizontally on the toilet bowl by hand contact with the toilet seat is maintained. You have to take it.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everyone would have expected the emergence of a new toilet seat that can be used cleanly, hygienicly and comfortably.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기술한 폐단들을 장치 적으로 보완하여 남녀 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가정이나, 공공 장소의 화장실을 사용할 때, 보다 청결하며, 위생적이고, 간편하며, 모두에게 편리한 경제적인 자동 개폐 변기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mplement the above-mentioned closures by means of device, regardless of gender, young and old, when anyone uses the toilet in the home or public places, it is more economical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ore clean, hygienic, simple and convenient for everyone To provide a toilet seat.

발명의 목적Purpos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 시트는 항상 직립으로 고정되게 하고 변기 시트 사용 시 안착 페달을 한번 밟음으로 변기 시트가 자동으로 회전 하강하여 변기 보올에 안착 고정되며, 사용 후, 변기 세척 수를 방류하면 동시에 자동으로 변기 시트가 회전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에 직립 고정되는 기술적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toilet seat is always fixed upright and the toilet seat is automatically rotated down by pressing the seat pedal once when the toilet seat is used, and the seat is fixed to the toilet bow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cal device in which the toilet seat is rotated up and fixed upright in its original position.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and the prior art in that field

본 발명은 좌변기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의 탄력성, 복귀탄성력, 변기 세척수가 공급되는 급수 파이프의 수압의 변화, 그에 따른 압력 스위치의 작동 원리, 페달 스위치와 튜브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좌변기의 시트를 항상 직립으로 고정하고, 변기시트를 사용코저 할 때는 바닥에 위치한 발 페달을 한번 밟음으로써, 직립 고정되어 있던 변기 시트가 자동으로 회전 하강하여 변기 보올 상면에 수평 안착되게 한다. 사용이 끝나고 변기 세척 수를 방출함으로써, 동시에 변기 시트는 자동으로 회전 상승하여 원래의 직립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he return elastic force, the change i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which the toilet water is supplied,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ssure switch accordingly, the pedal switch and the tube wire, etc. The seat is always fixed upright, and when using the toilet seat, by pressing the foot pedal on the floor once, the toilet seat that was fixed upright is automatically rotated and lowered to be horizontally seated on the toilet bowl top surface. By discharging the toilet wash water after use, the toilet seat is automatically rotated up and held in its original upright position.

좌변기 시트 사용을 손을 접촉하지 않고, 좀 더 위생적이고 깨끗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장기간 연구되었고, 여러 장치도 개발되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장치에는 한결 같이 일장일단이 있어서 실용화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 민국 특허청 "공개 특허 공보"를 분석 해 보면 일 건은 변기 시트의 힌지 부분에 단순히 회전 스프링만 장착하여, 항상 직립 상태로 있음으로, 변기 시트를 사용코저 할 때는 사용자가 손으로 변기 시트를 누르고 둔부를 착석해야 되는 상황이라 사실상 사용이 불편하고, 다른 일 건은 변기 시트를 내리고 올리는 수단을 변기 사이즈 만한 페달을 만들어 변기 몸체에 고정 시켰는데, 페달이 크므로 해서 페달이 운동하는 거리가 길어서 발목이 아니라 다리를 사용해야만 가능하며, 남성이 방뇨를 할 때도 일부러 페달을 밟아서 변기 시트를 직립 고정 시켜야 함으로 이런 번거러움은 곧 잘 생략되어서 변기 시트가 수평 안착된 상태에서 방뇨 할 가능성이 있다. 또 다른 일 건은 수압이나 유압을 이용하여 발로 페달을 밟아서 호수내의 압력을 팽창 시켜 레버를 움직이거나 벨로오즈 호수 같은 종류를 팽창시키거나 하여 변기 시트를 들어올리는데, 이것 또한 평소 시트가 변기 보올에 수평 안착 된 상황에서 실행되는 것이므로 남성이 방뇨 할 때에는 변기 시트를 변기 보올에 그냥 방치한 채로 방뇨할 가능성이 있을뿐더러 설상, 페달을 밟아서 변기 시트를 들어올린다 하더라도 발로 페달을 계속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방뇨를 해야 함으로써, 자세가 불편하여 이 또한 편리한 방법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개폐장치의 단점들을 분석 연구하여 남녀 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깨끗하고 위생적이며, 단순한 방법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최신 공법의 변기 시트 자동 개폐 장치를 개발하고저 하는 것이다.A more hygienic, clean, and convenient way to use the toilet seat without touching the hand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both East and West, and several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presented. However, all the devices are uniformly unified so that they have not been brought to practical use. For example, if you analyze the "Public Patent Publi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one thing is that the hinge part of the toilet seat is simply mounted with a rotating spring, so that it is always uprigh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toilet seat and seat the buttocks, and in other cases, the toilet seat size and the means of raising the toilet size is made of a pedal that is fixed to the toilet body. It is possible to use the legs, not the ankles, because the distance is long, and even when men are urinating, they have to press the pedals to fix the toilet seat upright. . Another thing is to press the pedal with your foot by using hydraulic or hydraulic pressure to inflate the pressure in the lake and move the lever or inflate the bellows, or the other, to lift the toilet seat. As it is executed in a seated situation, when men are pissing, there is a possibility of pissing the toilet seat without leaving it in the toilet bowl.In addition, even if the pedal seat is lifted and the toilet seat is lifted, the pedal is kept pressed with the foot even if the toilet seat is pushed. By doing this, the posture is inconvenient, this is also not a convenient wa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analyze and analyze the disadvantag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o develop a toilet sea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latest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easily used by everyone, regardless of gender, young and old, clean and hygienic.

본 발명이 완성되기 위한 기술적 과제로써는 변기 본체에 결합된 변기 시트의 힌지 부분에 토션 스프링을 장착하여 직립 상태에서 적당한 탄성을 걸어 둠으로써, 변기 시트가 항시 직립 고정되어야 한다. 변기 시트가 직립 상태에서 회전 하강하여 변기 보올에 수평 안착되었을 때는, 변기시트의 힌지 부분에 장착된 회전 스프링이 생성한 복귀 탄성 수치가 변기 시트 스스로 직립 고정될 위치까지 충격이나 소음 없이 부드럽게 역회전 상승할 수 있는 복귀 탄성력의 값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변기 시트 힌지에는 스프링의 복귀 탄성력을 적절히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절 노브가 부착 되어 있어야 한다. 직립 고정된 변기 시트를 변기 보올에 수평 안착시키기 위하여 페달을 사용하는데, 페달의 압착부에 튜브 와이어의 전단을 접합하고, 그 후단을 변기 시트의 힌지 회전축의 휠 부분에 접합하여 페달을 압착함으로써 튜브 와이어가 당겨지고, 와이어의 반대쪽 끝부분이 변기 시트의 힌지 회전축의 휠을 한 바퀴 이상 감고 있음으로 변기 시트는 힌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페달은 튜브와이어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장착하여 적당한 팽창력을 유지한다. 그리고 변기 시트가 직립 상태에서 하강 회전하여 변기 보올의 상면에 수평 안착되는 각도의 힌지 회전축의 한 부분에 걸림홈을 만들어 이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는 스톱프을 장치하고, 또, 이 걸림홈에 삽입되는 스톱프를 지지하는 스톱프 지지구를 설치 고정시킨다. 그리하여 변기 시트가 직립 상태에서 회전 하강하여 변기 보올의 상면에 수평 안착되는 위치에서, 급수 파이프의 압력 스위치의 수압 실린더(직선, 혹은 회전)가 스톱프를 계속 전진시킴으로 스토프는 이 걸림홈에 삽입되고 변기 시트는 안착 상태로 고정된다. 변기 시트가 자동으로 역회전 상승되는 시점은 사용자가 변기 사용이 끝나고 변기 세척 수를 방류하는 시점이 가장 적당하므로 저수 탱크, 혹은 압축 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에 압력 스위치를 설치한다. 압력 스위치 내부에는 수압 실린더(직선, 혹은 회전)가 내장되어서 물이 흐르지 않는 상황에서는 항상 수압이 발생하므로 피스톤을 전진시키면서 계속 가압하고 있다. 또, 피스톤의 이면에는 적당한 탄성의 텐션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서 수압이 하강되면 이 스프링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서 피스톤은 후진하게 된다. 이때의 텐션 스프링의 탄성력은 수 압력보다 약해야 한다. 압력 스위치내의 기능 형식은 직선 실린더, 혹은 회전 실린더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수압의 유무에 따라서 여기에 연결된 스톱프를 밀고 당길 수 있는 모든 기계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정신은 압력 스위치의 적합한 장치로써, 특정한 기능의 기구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수압의 변화에 따라서, 압력 스위치에 연결된 스톱프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수용 될 수 있다. 이 압력 스위치의 후두에는 튜브 와이어의 한 면이 연결 되어있고, 이 와이어의 다른 한면은 스톱프에 연결되어 있어서 압력 스위치의 수압 실린더(직선, 혹은 회전)의 작동 여부에 따라 변기 시트 힌지 회전축의 걸림홈에 삽입된 스톱프는 전진 또는, 후진을 반복하면서 변기 시트의 회전 상승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극복함으로 해서 본 변기 시트 자동 개페 장치는 훌륭한 성능을 발휘하는 발명품이 될 것이다.As a technical problem for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a torsion spring on the hinge portion of the toilet seat coupled to the toilet body by appropriately elastic in an upright state, the toilet seat should be always upright fixed. When the toilet seat is rotated down in the upright position and is horizontally seated on the toilet bowl, the return elasticity generated by the rotating spring mounted on the hinge portion of the toilet seat is smoothly reversed without impact or noise until the toilet seat itself is fixed upright. It must have a value of return elastic force that can be achieved.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the toilet seat hinge should be equipped with an adjustment knob to appropriately adjust the retur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 pedal is used to horizontally seat the toilet seat fixed to the toilet bowl. The front end of the tube wire is joined to the crimping part of the pedal, and the rear end is joined to the wheel part of the hinge rotation shaft of the toilet seat to press the tube. The wire is pulled and the toilet seat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of rotation as the opposite end of the wire winds one or more turns around the wheel of the hinge axis of the toilet seat. The pedals are spring loaded to prevent loosening of the tube wires to maintain proper inflation force. And the toilet seat is rotated in an upright position to make a locking groove in a portion of the hinge rotation axis of the angle that is horizontal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is equipped with a stop that can be inserted into this locking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nstall and fix the stopper supporting the stopper. Thus, in the position where the toilet seat rotates down in an upright position and is horizontally seated on the top of the toilet bowl, the hydraulic cylinder (straight or rotary) of the pressure switch of the water supply pipe continues to advance the stop so that the stop is inserted into this locking groove. And the toilet seat is fixed in a seated state. When the toilet seat is automatically turned upside down, it is most suitable for the user to discharge the toilet water after the toilet is used. Therefore, install a pressure switch in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reservoir tank or the compression tank. The hydraulic pressure cylinder (straight or rotating) is built into the pressure switch, so that water pressure is always generated in a situation where water does not flow, so the piston is continuously pressurized while advancing. In addition, a tension spring of a suitable elasticity is built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piston, and when the hydraulic pressure decreases, the piston moves backward by the retur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t this time,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should be weaker than the water pressure. Function types within the pressure switch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linear or rotary cylinders and all mechanical devices capable of pushing and pulling the stop connected to i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pressure. Accordingly, the basic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itable device of a pressure switch, and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a device of a specific function, and any method of advancing or reversing a stop connected to the pressure switch may be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hydraulic pressure. . One side of the tube wire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pressure switch, and the other side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top so that the toilet seat hinge pivot can be caught depending on whether the pressure switch's hydraulic cylinder (straight or rotary) is operating. The stopper inserted into the groove controls the increase in rotation of the toilet seat while repeating forward or backward. By overcom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toilet seat automatic opening device will be an invention exhibiting excellent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 유니트가 설치된 저수 탱크식 변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torage tank type toilet in which the sea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S는 본 발명의 시트 유니트가 설치된 저수 탱크식 변기의 측면 사시도1-S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tank-type toilet in which the sea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2는 본 발명의 시트 유니트가 설치된 압축 탱크식 변기의 전면 사시도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ompression tank toilet in which the sea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2-S는 본 발명의 시트 유니트가 설치된 압축 탱크식 변기의 측면 사시도2-S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compression tank toilet in which the sea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3 u는 본 발명의 요소인 압력 스위치의 구조 사시도3 u is a structural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witch as an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ua는 본 발명의 요소인 압력 스위치의 분해 및 조립 사시도Figure 3 ua is an exploded and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witch that is an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u는 본 발명의 요소인 시트 힌지방의 상승 작동부, 하강 작동부 사시도Figure 4 u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sing operating portion, the lower operating portion of the seat hinge f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ua는 본 발명의 요소인 상승 작동부의 스프링, 스톱프 및 드럼 부품 구성도Figure 4 ua is a spring, stop and drum component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actuation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uap는 본 발명의 요소인 스톱프 작동부의 구조 사시도Figure 4 uap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stopper operation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u는 본 발명의 요소인 시트 힌지방 및, 페달 배치도Figure 5 is a seat hinge fat and pedal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u-S는 본 발명의 요소인 시트 힌지방의 드럼, 페달의 측면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of the drum, the pedal of the seat hinge fat is an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ua는 본 발명의 요소인 하강 작동부의 드럼, 페달의 부품 구성도Figure 5 ua is a component configuration of the drum, the pedal of the lowering operation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the symbols in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 : 변기 보올 2 : 수압 스위치부1: toilet bowl 2: hydraulic pressure switch

3 : 하강 제어 작동부 4 : 상승 제어 작동부3: lowering control operating part 4: rising control operating part

5 : 변기 저수 탱크 6 : 변기 시트5: toilet seat storage tank 6: toilet seat

7 : 변기 덮개 8 : 수세 압축 탱크7: toilet seat cover 8: flush water tank

9 : 수세 레버 (압축 탱크식) 10 : 페달9: flush lever (compression tank type) 10: pedal

11 : 수세 레버 (저수 탱크식) 20 : 페달 와이어 및 지지부11: flush lever (storage tank type) 20: pedal wire and support

21 : 스톱프 연결 와이어 22 : 수압 실린더 하우징21: stop connection wire 22: hydraulic cylinder housing

23 : 실린더 텐션 스프링 24 : 피스톤23: cylinder tension spring 24: piston

25 : 고무 주름막 식 수압 실린더 26 : 실린더 하우징 고정 캡25: rubber crimp type hydraulic cylinder 26: cylinder housing fixing cap

27 : 수압 스위치 하우징 28 : 튜브 호수 고정 캡27: hydraulic pressure switch housing 28: tube lake fixed cap

29 : 튜브 호수 31 : 시트 힌지 고정 축29: tube lake 31: seat hinge fixed axis

32 : 스톱프 지지부 33 : 스톱프32: stop support 33: stop

34 : 스톱프 커버 35 : 와셔34: stop cover 35: washer

36 : 걸림홈 드럼 37 : 고정 너트36: locking groove drum 37: fixing nut

38 : 와이어 고정 드럼 39 : 페달 와이어 드럼 지지부38: wire fixing drum 39: pedal wire drum support

41 : 고정 너트 42 : 스프링 탄성 조절 노브41: fixing nut 42: spring elastic adjustment knob

43 : 스프링 고정부 44 : 토션 스프링 (회전 복귀용)43: spring fixing part 44: torsion spring (for rotation return)

..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도 1-S는 저수 탱크식 변기에, 도 2 내지 도 2-S는 압축 탱크식 변기에 본 발명품인 좌변기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를 설치 한 것이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변기 본체는, 저수 탱크식 변기(도 1)에서는 변기 보올(1)과 저수 탱크(5)와 결합되었고, 저수 탱크에는 수세 레버(11)가 장치 되어있으며, 압축 탱크식 변기(도 2)에서는 변기 보올(1)과 압축 탱크(8)가 결합되고, 압축 탱크(8)에는 수세 레버(9)가 부착 되어있다. 그 외의 변기 장치물에 대해서는 저수 탱크식 변기(도 1)나 압축 탱크식 변기(2)나 동일하다.1 and 1-S is install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ype toilet, Figures 2 to 2-S are installed in the compression tank type toilet sea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The toilet body is coupled to the toilet bowl 1 and the reservoir tank 5 in the reservoir tank toilet (FIG. 1), and the water storage tank is equipped with a flush lever 11, and in the compression tank toilet (FIG. 2). The toilet bowl 1 and the compression tank 8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water tank lever 9 is attached to the compression tank 8. The rest of the toilet device is the same as the water storage tank type toilet (FIG. 1) or the compression tank type toilet 2.

변기 시트는 덮개(7)와 시트(6)가 힌지 결합하여 다시 제어 작동부(3)(4)가 장착된 메인 힌지 반(도 4u)이 변기 본체(1)에 결합되어 있다. 메인 힌지 반(도 4u)속의 좌측단에는 상승 제어부(4)(도 4ua)를 장치 하며, 상승 제어부(도 4ua)는 스프링 작동부(도 4ua의 좌측 부분)와 스톱프 작동부(도 4ua의 우측 부분)로 구성된다. 스프링 작동부는 스프링 고정 치구(43)에 토션 스프링(44)을 장착하고 그 중앙 홀에 힌지 고정축(31)을 관통시킨다. 토션 스프링(44)의 전단을 스프링 고정 치구(43)에 부착된 스프링 탄성 조절 노브(42)에 접합하고 후단은 변기 시트 본체(6)에 접합한 다음, 너트(41)를 사용하여 시트 힌지 고정축(31)을 고정시킨다. 스톱프 작동부(도 4ua의 우측 부분) 는 스톱프 고정 치구(32)에 와셔(35)와 걸림홀 드럼(36)을 장착하고 그중앙 홀에 힌지 고정축(31)을 관통시키고 너트(37)로써 힌지 고정축(31)을 고정시킨 다음, 스톱프(33)를 힌지 고정축(31)이 아닌 별개의 지지 구(32)에 장착하고 커버(34)로 스톱프(33)를 밀봉한다. 그리고 스톱프(33) 후면에 튜브 와이어(21)의 전단을 접합시키고(도 4 uap) 후단은 수압 스위치(도 3u)의 피스톤(24)에 접합한다. 이상과 같이 스톱프 작동부(도 4ua의 우측 부분)를 조립하면 그림(도 4uap)처럼 된다. 메인 힌지 반(도 4u)의 우측단에는 하강 제어부(3)(도 5ua)가 장치 되어있다. 하강 제어부(도 5ua)는 드럼 지지부(39)에 와셔(35)와 와이어 고정 드럼(38)을 장착하고 그 중앙 홀에 시트 힌지 고정축(31)을 관통시키고 너트(37)로 힌지 고정축(31)을 고정시킨다. 다음에는 와이어 지지부(20)를 힌지 고정축(31)이 아닌 별개의 드럼 지지부(39) 후면에 고정하고 와이어 지지부(20)를 통과한 튜브 와이어의 전단을 드럼(38)에 한 바퀴 회전시켜 접합하고, 그 후단은 안착 페달(10)에 접합시킨다. 수압 스위치(2)를 설치 할 때는, 수류 관통구(도 3u) 전단을, 저수 탱크식 변기(도 1)에서는 탱크(5) 속에 고정 되어있는 급수 제어기(에어 볼)의 하단 돌출 부분, 탱크 밑바닥의 구멍을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된 하단 끝 부분에 가스캣트를 끼우고 너트로 고정시키고, 후단은 물이 공급되는 튜브 호수에 너트로써 접합시킨다. 압축 탱크식 변기(도 2)에 있어서는 압축 탱크(8)에 수류 관통구(도 3u)전단을 접합하고, 그 후단을 물 공급 파이프에 접합한다. 수압 스위치(도 3u)의 구성은 조립 도면(도 3 ua)의 보기처럼 수압 스위치 하우징(27)의 수류 관통구의 직각 방향인 삼방구의 내부에 고무 주름막 식 실린더(25)을 삽입하고 고무 실린더의 평막 부분에 피스톤(24)을 접합시키고, 이 피스톤(24)에 후진 복귀 탄성력을 생성시키기 위해서 텐션 스프링(23)을 내장한 다음, 실린더 하우징(22)으로 부품들을 씌우고 하우징 고정 캡(26)를 사용하여 수압 스위치 하우징(27)의 삼방구에 압축 고정시킨다. 그 다음 튜브 와이어(21)의 전단을 수압 스위치 하우징(22)의 중앙 부분을 관통시켜 피스톤(24)에 접합하고 그 후단을 스톱프 작동부(도 4 uap)의 스톱프(33)에 접합한다. 도면 5u 는 변기 시트 힌지 반의 하강 제어부(3)의 회전 드럼(38)에 튜브 와이어의 전단을 접합하고, 그 후단은 안착 페달(10)에 접합된 상태를 보이고 있고, 페달(10)을 밟음으로써 페달의 상판이 회전하면, 페달(10)속의 와이어가 편각을 이루면서 튜브 와이어(20)를 당기므로, 여기에 연결된 하강 제어부(3)의 드럼(38)이 회전한다(도 5 u-S).In the toilet seat, the lid 7 and the seat 6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the main hinge half (FIG. 4U) to which the control operation part 3 and 4 is mounted is coupled to the toilet body 1. On the left end of the main hinge half (Fig. 4u) is equipped with a lifting control part 4 (Fig. 4ua), the lifting control part (Fig. 4ua) is a spring operating part (left part of Fig. 4ua) and a stopper operation part (Fig. 4ua) Right part). The spring operating part mounts the torsion spring 44 on the spring fixing jig 43 and passes through the hinge fixing shaft 31 in the central hole thereof. The front end of the torsion spring 44 is joined to the spring elastic adjustment knob 42 attached to the spring fixing jig 43, and the rear end is joined to the toilet seat main body 6, and then the seat hinge is fixed using the nut 41. The shaft 31 is fixed. The stopper operation part (the right part of FIG. 4ua) mounts the washer 35 and the locking hole drum 36 in the stopper fixing jig 32, and penetrates the hinge fixing shaft 31 through the central hole thereof, and the nut 37 Fix the hinge fixing shaft 31, and then attach the stopper 33 to a separate support hole 32, not the hinge fixing shaft 31, and seal the stopper 33 with the cover 34. . Then, the front end of the tube wire 21 is join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top 33 (FIG. 4 uap), and the rear end is joined to the piston 24 of the hydraulic pressure switch (FIG. 3U).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opper operation part (the right part of FIG. 4ua) is assembled, it becomes like the figure (Fig. 4uap). The lower end control part 3 (FIG. 5ua) is provided in the right end of the main hinge board (FIG. 4U). The lowering control unit (FIG. 5ua) mounts the washer 35 and the wire fixing drum 38 on the drum support 39, passes through the seat hinge fixing shaft 31 in the center hole thereof, and hinge fixing shafts with the nut 37 ( 31). Next, the wire support 20 is fixed to the rear of a separate drum support 39 instead of the hinge fixing shaft 31, and the front end of the tube wire passing through the wire support 20 is rotated by one revolution to the drum 38. The rear end is joined to the seating pedal 10. When installing the water pressure switch (2), the front end of the water flow through hole (Fig. 3u), the bottom projection of the water supply controller (air ball) fixed in the tank (5) in the reservoir tank type toilet (Fig. 1), the bottom of the tank Insert the gasket into the bottom end fixed with a nut through the hole of the nut, and fix it with a nut. The rear end is joined with a nut to a tube lake where water is supplied. In the compression tank type toilet (FIG. 2), the front end of a water flow through hole (FIG. 3u) is joined to the compression tank 8, and the rear end is joined to a water supply pipe. The configura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switch (FIG. 3U) is such that the rubber pleated membrane cylinder 25 is inserted into the three-way opening at right angles to the water flow through hole of the hydraulic pressure switch housing 27 as shown in the assembly drawing (FIG. 3 ua). The piston 24 to the flattened portion of the membrane and incorporate a tension spring 23 to create a reverse return elastic force on the piston 24, and then cover the parts with the cylinder housing 22 and the housing fixing cap 26. Fixing is fixed to the three-way of the hydraulic switch housing 27 using. The front end of the tube wire 21 is then pass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hydraulic switch housing 22 to the piston 24 and the rear end to the stop 33 of the stop operating part (Fig. 4 uap). . FIG. 5U shows the front end of the tube wire bonded to the rotary drum 38 of the lowering control section 3 of the toilet seat hinge half, and the rear end thereof is joined to the seating pedal 10, and by stepping on the pedal 10, FIG. When the upper plate of the pedal rotates, the wire 38 in the pedal 10 pulls the tube wire 20 while making a declination, so that the drum 38 of the lowering control unit 3 connected thereto rotates (Fig. 5 uS).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기능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좌변기 시트 유니트는 변기시트(6)와 덮개(7)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나, 두 부분 사이에는 아무런 역학 관계가 없으며, 단지 좌변기의 하수로가 막혀서 오물이 세척되지 않고 변기 보올(1)에 그냥 남아 있을 때, 그 불결한 모양이 노출되지 않도록 변기 보올(1)을 덮어두는 수단이다. 하기 때문에 평시에는 덮개(7)를 항상 보올(1)에서 둔각 정도의 직립 상태로 유지한다. 변기 시트(6)의 회전 힌지 반(도 4u)에는 좌측단에 상승 작동부(4)가 장치되어있다. 상승 작동부(4) 속에는 토션 스프링(44)이 장착 되어있고, 그 전단은 스프링 탄성조절 노브(42)에 접합 되어있고, 후단은 변기 시트(6)와 일체인 힌지 부분에 접합 되어있다. 스프링 탄성조절 노브(42)는 변기 시트(6)가 변기 보올(1)에 안착 상태로 있다가, 수세 레버(11, 9) 사용 후, 변기 시트(6) 스스로가 직립 고정되는 위치까지 충격이나 소음없이 부드럽게 회전 상승할 수 있도록, 토션 스프링(44)의 복귀 탄성력을 가변 조절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조절 고정된 변기 시트(6)의 토션 스프링(44)은 외부에서 어떤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변기 시트(6)가 항상 직립 상태로 고정되도록 적합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평상시, 변기 시트(6)가 직립 고정인 열린 상태로 유지되면, 실시 1 예로써, 남성들이 방뇨하고저 할 때, 변기 시트(6)를 접촉할 필요 없이 그냥 방뇨하고 세척수를 내리면 된다. 변기 시트(6)가 직립 상태에서는 아무리 방뇨 방울이 튀어도, 변기 시트(6)에 묻을 이유가 없음으로, 변기 시트(6)를 청소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변기 시트(6)가 직립 상태에서는 수세 레버(11)(9)를 내려 세척수가 방출되어 수압 스위치(2, 도 3u)가 동작을 하여도, 변기 시트(6)의 상태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시 2 예로써 남성 혹은, 여성이 변기 시트(6)를 사용코저 할 때는 변기(1) 주변 바닥에 놓여 있는 안착 페달(10)을 밟으면 직립 해 있던 변기 시트(6)는 하강 회전하여 변기 보올(1)에 안착 고정된다. 페달(10)에는 인장용 튜브 와이어(20)의 전단이 접합 되어있고 그 후단은 일정한 길이를 두고 변기 시트(6) 힌지 반(도 5u)의 우측단인 하강 작동부(도 5ua)의 와이어 고정 드럼(38)에 회전 접합되어 있다(도 5u-S). 그래서, 페달(10)을 밟으면 페달 상판이 회전되고 페달(10)속에서 각도를 유지하고 있든 와이어가 편각을 이루면서 튜브 와이어(20)을 당기므로 여기에 연결된 하강 제어부(도 5ua)의 드럼(38)이 회전하고, 이 드럼(38)과 힌지 고정 축(31)으로 일체가 되어있는 변기 시트(6)가 하강 회전하여 변기 보올(1)에 안착되는데, 안착되는 위치까지 변기 시트(6)가 하강 회전하면서 변기 시트 힌지 반(도 4u)의 상승 작동부(4 ua)내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44)을 역 방향으로 운동시킴으로써, 토션 스프링(44)은 운동한 만큼의 복귀 탄성력을 스스로 생성하게 된다. 변기 시트(6)의 회전 힌지 반(도 4u)의 상승 작동부의 토션 스프링이 원래 만큼의 복귀 탄성력을 가졌다고 하는 것은 이 회전 힌지 반(도 4u)과 일체인 변기 시트(6)가 원래의 위치인 직립 상태까지 스스로 되돌아 갈 수 있는 복원력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또, 변기 시트(6)가 변기 보올(1)에 안착 되는 위치에서 변기 시트(6) 힌지 반(도 4u) 속에 장치되어 있는 상승 제어 작동부(도 4ua)에 구성 되어있는 힌지 고정 축(31)에 일체한 드럼의 걸림홈(36)에 본 작동부(도 4uap)의 스톱프(33)가 삽입된다. 스톱프(33)가 삽입되는 드럼의 걸림홈(36)각도는 이것과 일체한 변기 시트(6)의 안착 각도 이므로, 스톱프(33)와 드럼의 걸림홀(36)위치는 직선이 되어야 한다. 변기 시트 힌지 반(도 4u)속의 상승 제어 작동부(도 4ua)의 스톱프(33)는 튜브 와이어(도 4uap)의 전단과 접합되어 있고, 그 후단은 적당한 길이를 두고 수압 스위치(도 3u)의 피스톤(24)과 접합 되어 있는바, 저수 탱크(5)나 압축 탱크(8)의 급수 파이프와 연결 되어있는 수압 스위치(2, 도 3u)의 수류 관통구(27)에는 저수 탱크(5)나 압축 탱크(8)쪽으로 물이 새지 않음으로 해서, 수압이 팽창하여 실린더(25)를 밀어붙이고, 그 고무 주름막 식 실린더(25)의 평막 부분에 접합된 피스톤(24)은 계속 전진하는 힘을 가지므로, 여기에 접합된 튜브 와이어(21)의 와이어는 튜브 속에서 튜브 관을 지지 구로 하여, 와이어로 후단 연결된(도 4uap) 스톱프(33)를 계속 밀어 부치는 가압력을 가지고 있음으로, 변기 시트(6)가 변기 보올(1)에 안착되는 순간, 스톱프(33)가 드럼의 걸림홈(36)에 삽입되어 변기 시트(6)는 변기 보올(1)의 상면에 안착 고정된다.In the toilet sea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seat 6 and the lid 7 are hingedly coupled, but there is no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s, and the sewage of the toilet is clogged so that the soil is not washed and the toilet bowl 1 is not flushed. When left, it is a means of covering the toilet bowl 1 so that the dirty shape is not exposed. Therefore, the cover 7 is always kept in the upright state of the obtuse angle from the bowl 1 at ordinary times. On the left side of the rotary hinge half (Fig. 4u) of the toilet seat 6, the lift operation part 4 is provided. The torsion spring 44 is mounted in the lift operation part 4, the front end is joined to the spring elastic adjustment knob 42, and the rear end is joined to the hinge portion integral with the toilet seat 6. The spring resilient adjustment knob 42 rests on the toilet seat 6 while the toilet seat 6 is seated on the toilet bowl 1, and after use of the flushing levers 11 and 9, the spring seat 6 adjusts to a position where the toilet seat 6 itself is fixed upright. The return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44 is variably adjusted and fixed so that the rotation can rise smoothly without noise. The torsion spring 44 of the toilet seat 6 which is thus fixed and fixed provides a suitable elastic force so that the toilet seat 6 is always fixed in an upright position, without applying any physical force from the outside. Normally, when the toilet seat 6 is kept open in an upright position, as an example, when men are urinating, they may simply urinate and flush the water without having to contact the toilet seat 6. Since the toilet seat 6 is in an upright state, no matter how the urine drops, the toilet seat 6 will not need to be cleaned, since there will be no reason for it to stick to the toilet seat 6. In addition, even when the toilet seat 6 is in an upright position, even when the water pressure switch 2 (FIG. 3u) operates by lowering the flush levers 11 and 9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the toilet seat 6 has no effect. Do not. As a second example, when a man or a woman uses the toilet seat 6, the toilet seat 6 standing upright is rotated downward by pressing down on the seating pedal 10 placed on the floor around the toilet 1. It is seated in 1) and is fixed. The front end of the tension tube wire 20 is joined to the pedal 10, and the rea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wire of the lowering operation part (Fig. 5ua), which is the right end of the toilet seat 6 hinge half (Fig. 5u),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rotationally joined to the drum 38 (FIG. 5U-S). Thus, when the pedal 10 is stepped on, the pedal upper plate rotates and the tube 38 of the lowering control unit (FIG. 5ua) connected to it pulls the tube wire 20 while maintaining the angle in the pedal 10 while making the wire declination. ) Rotates, and the toilet seat (6),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drum (38) and the hinge fixing shaft (31), is rotated downward and seated on the toilet bowl (1). By moving the torsion spring 44 mounted in the lift actuator 4 ua of the toilet seat hinge half (Fig. 4u)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rotating downward, the torsion spring 44 causes itself to generate the return elastic force as much as it has been moved. do. The fact that the torsion spring of the upward actuating portion of the rotary hinge half (Fig. 4u) of the toilet seat (6) had a return elastic force as much as it was originally suggests that the toilet seat (6) integral with this rotary hinge half (Fig. 4u) is in its original position. It can be said that it has the resilience to return itself to the upright state. Moreover, the hinge fixing shaft 31 comprised in the lift control operation part (FIG. 4ua) installed in the toilet seat 6 hinge half (FIG. 4U) in the position where the toilet seat 6 is seated in the toilet bowl 1 is shown. The stopper 33 of this operating part (FIG. 4 uap)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36 of the drum integrated in the (). Since the angle of the catching groove 36 of the drum into which the stopper 33 is inserted is the seating angle of the toilet seat 6 integrated with this, the position of the stopper 33 and the catching hole 36 of the drum should be straight. . The stop 33 of the lift control actuating part (Fig. 4ua) in the toilet seat hinge half (Fig. 4u) is joined with the front end of the tube wire (Fig. 4uap), and the rear end thereof has a suitable length and a hydraulic pressure switch (Fig. 3u). The water tank 5 is connected to the piston 24 of the water supply port through the water pressure switch 2 (FIG. 3U)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 of the water storage tank 5 or the compression tank 8. B. Water does not leak toward the compression tank 8, the water pressure expands and pushes the cylinder 25, and the piston 24 joined to the flat membrane portion of the rubber corrugated cylinder 25 continues to move forward. Since the wire of the tube wire 21 joined thereto has a pressing force to continuously push the stop 33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ube (Fig. 4 uap) with the wire as a support for the tube tube in the tube, so that the toilet bowl As soon as the seat 6 is seated in the toilet bowl 1, the stop 33 is inserted into the catch groove 36 of the drum. The toilet seat 6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1.

마지막으로 변기 시트(6) 사용을 끝내고, 일어나서, 수세 레버(11)(9)를 눌러, 저수 탱크(5)나 압축 탱크(8)에 이미 저장되어 있든 변기 세척수를 방출하여 변기 보올(1)을 세척하게 되는데, 세척수가 방출됨과 동시에 저수 탱크(5) 혹은, 압축 탱크(8)속에 있는 급수 제어기의 발브가 열리어 재 급수가 되면서 급수 파이프 내의 수압이 하강한다. 파이프 내의 수압이 하강하면, 저수 탱크(5) 혹은, 압축 탱크(8)의 급수 파이프에 연결되어 있던 압력 스위치(2)의 수압 실린더(도 3u)에도 수압이 빠지면서 전진해 있던 피스톤(24)에도 압력이 떨어진다. 수압 실린더(도 3u)실에서 압력이 떨어지면, 피스톤(24) 전면에 부착되어 있으면서, 수압 때문에 피스톤(24)에 밀리어 압착되어 있던 텐션 스프링(23)은 스스로의 복원력에 의해서 피스톤(24)을 원 위치로 밀어낸다. 피스톤(24)의 전면부에는 튜브 와이어 전단(21, 도 3u)이 접합되어있고, 후단은 스톱프(33, 도 4uap)에 접합되어 있음으로 피스톤(24)이 후진하면, 이에 튜브 와이어로 연결된 스톱프(33)도 드럼 걸림 홈(36)에서 후진하여 완전히 빠지게 된다. 여기에 적합한 텐션 스프링(23)의 용량은 수압보다는 약하면서, 스톱프(33)를 끌어당길 수 있는 탄성력을 보유하여야 한다. 스톱프(33)가 걸림 홈(36)에서 이탈되는 순간, 변기 시트(6)는 변기 본체(1)에 결합된 상승 제어부(도 4ua)의 스프링 작동부(도 4ua의 좌측 부분)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44)이 보유하고 있는 원 위치 만큼의 복귀 탄성력으로 회전 상승하여 원 위치에 직립 고정된다. 그리고 압력 스위치(2)의 기능 형식은 직선 실린더(도 3u) 혹은, 회전 실린더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수압의 유무에 따라 여기에 연결된 스톱프(33)를 밀고 당길 수 있는 모든 기계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정신은 압력 스위치(2)의 적합한 장치로써, 특정한 기능의 기구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수압의 변화에 따라서 압력 스위치(2)에 연결된 스톱프(33)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수용 될 수 있다.Finally, when the toilet seat 6 is finished using, it rises up and presses the flush levers 11 and 9 to discharge the toilet washing water, which is already stored in the reservoir tank 5 or the compression tank 8, to flush the toilet bowl 1 At the same time,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nd at the same time the valve of the water supply controller in the water storage tank 5 or the compression tank 8 is opened again to supply water, and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upply pipe drops. When the water pressure in the pipe drops, the piston 24, which has advanced while the water pressure drops to the hydraulic cylinder (Fig. 3u) of the pressure switch 2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water storage tank 5 or the compression tank 8, Pressure drops. When the pressure drops in the hydraulic cylinder (Fig. 3u) chamber, the tension spring 23, which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piston 24 and squeezed against the piston 24 due to the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piston 24 by its restoring force. Push it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ront end of the piston 24 is joined to the front end of the tube wire 21 (Fig. 3u), and the rear end is joined to the stop 33 (Fig. 4uap). The stopper 33 also retracts from the drum catching groove 36 to be completely removed. The tension spring 23 suitable here is weaker than hydraulic pressure and must have an elastic force capable of attracting the stop 33. As soon as the stop 33 is disengaged from the catch groove 36, the toilet seat 6 is mounted on the spring actuating part (left part of Fig. 4ua) of the lift control part (Fig. 4ua) coupled to the toilet body 1. The torsion spring 44 is rotated up by the return elastic force retained by the original position and held upright at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functional form of the pressure switch 2 is not limited to a linear cylinder (FIG. 3u) or a rotating cylinder, and includes all the mechanical devices which can push and pull the stop 33 connected to it with or without water pressure. Therefore, the basic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itable device of the pressure switch 2, and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a mechanism of a specific function, and it is possible to advance or reverse the stop 33 connected to the pressure switch 2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water pressure. Any method that can be accepted is acceptable.

본 발명품은 우리들의 화장실 습관을 면밀히 분석하여,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이고 편하게 변기 사용을 할 수 있도록 연구되었고, 특히, 변기 시트가 사용자의 의식과는 상관없이, 필요한 순간에 자동으로 회전 상승하여 직립 고정됨으로써, 남자들의 무단 방뇨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였으며, 또, 사용자가 직접 손을 접촉하지 않고도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보다 더 쾌적한 기분으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tudied to thoroughly analyze the toilet habits, to use the toilet more clean, hygienic and comfortable, and in particular, the toilet seat is automatically rotated up and down at the moment necessary, regardless of the user's consciousness, fixed upright By doing so, the problem that occurs during unauthorized pissing of men was fundamentally solved, and the user was allowed to use the toilet without touching his hand, so that he could use the toilet with a more comfortable mood.

이상의 설명에서 인식 할 수 있듯이, 본 발명품은 우리들의 청결한 화장실 문화에 다소나마 기여 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으며, 나아가, 해외에 수출할 수 있는 훌륭한 아이템으로도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As can be appreciated from the above description, it is not doub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will contribute to our clean toilet culture to some extent, and furthermore,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develop into an excellent item that can be exported abroad.

Claims (5)

수세 레버(11)(9)를 눌러 물을 방출하였을 때, 발생하는 급수 파이프의 수압의 변화에 따라 동작하는 수압 스위치부(도 3u)와 그 실린더(25)에 튜브 와이어(21)로 연결되어 동작하며, 변기 시트(6)가 보올(1)에 수평 안착되는 즉시, 스톱프(33)가 걸림 홈(36)에 삽입되는 스톱프 작동부(도 4ua 우측부)의 시스템, 변기 시트(6)가 원 위치까지 자동으로 회전 상승하여 직립 고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작동부(도 4ua 좌측부)와 변기 시트(6)를 안착할 때, 밟는 페달(10)과 이에 튜브 와이어(20)의 전단이 접합되고, 후단이 힌지 회전 축 드럼(38)에 접합되는 하강 작동부(도 5ua)의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When the water is released by pressing the flush levers 11 and 9, the tubular wire 21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switch unit (FIG. 3u) and the cylinder 25 that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pipe. In operation, as soon as the toilet seat 6 is horizontally seated in the bowl 1, the system of the stopper operation part (right side of FIG. 4ua right) in which the stopper 33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6, the toilet seat 6 ), When the spring actuating part (left side of FIG. 4ua) and the toilet seat 6, which provide elastic force to automatically rotate and rise up to the original position, are seated, the pedal 10 and the front end of the tube wire 20 are presse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system of the lowering operation part (FIG. 5ua) is joined and the rear end is joined to the hinge rotating shaft drum 38. 청구항 1 에 있어서 수압 스위치부(도 3u)는 수압 스위치 하우징(27)의 수류 관통구의 직각 방향인 삼방구(27)의 내부에 고무 주름막 식 실린더(25)를 삽입하고 고무 실린더 평막 부분에 피스톤(24)을 접합시키고, 전면에, 수압을 받으면 압축되는 복귀용 텐션 스프링(23)을 고정한 다음, 실린더 하우징(22)으로 부품들을 씌우고 고정 캡(26)을 사용하여 수압 스위치 하우징(27) 삼방구에 압축 고정시키고, 튜브 와이어(21)의 튜브는 실린더 하우징에, 와이어는 피스톤에 접합(도 3u)(도 3ua)시키는 좌변기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3. The hydraulic pressure switch part (FIG. 3U) inserts a rubber pleated membrane cylinder 25 into the three-way opening 27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ter flow through hole of the hydraulic pressure switch housing 27, and the piston in the flat portion of the rubber cylinder. (24) are bonded and fixed on the front side, the return tension spring (23), which is compressed when subjected to hydraulic pressure, and then the parts are covered with the cylinder housing (22) and the hydraulic switch housing (27) is fastened using the fixing cap (26).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which is fixed to the outlet and the tube of the tube wire 21 is bonded to the cylinder housing and the wire is attached to the piston (Fig. 3u) (Fig. 3ua). 청구항 1 에 있어서 스톱프 작동부(도 4ua 우측부)는 스톱프 고정 치구(32)에 걸림홈 드럼(36)을 장착하고 그 중앙에 변기 시트(6) 힌지 고정 축(31)을 관통시켜서 고정한 다음, 스톱프(33)를 별개의 지지 구(32)에 설치하여, 걸림홈(36)과 스톱프(33)는 수평 일 직선이 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여기에 튜브 와이어(21)로 연결된 수압 스위치(2)에서 밀어 부치는 전진력으로 해서 스톱프(33)가 항상 탄력성을 가지므로, 변기 시트(6)가 수평 안착이 되면 즉시 걸림홈(36)에 삽입되어, 변기 시트(6)가 안착 고정이 되는 좌변기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The stopper operation part (right part of FIG. 4ua) attaches the locking groove drum 36 to the stopper fixture 32, and fixed it by penetrating the toilet seat 6 hinge fixing shaft 31 in the center thereof. Next, by installing the stopper 33 in a separate support hole 32, the locking groove 36 and the stopper 33 should be installed so that the horizontal one straight line, the hydraulic pressure connected to the tube wire 21 here Since the stopper 33 is always elastic due to the forward force pushed by the switch 2, when the toilet seat 6 is horizontally seated, it is immediate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6, and the toilet seat 6 is seated.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oilet seat to be fixed. 청구항 1 에 있어서 스프링 작동부(도 4ua 좌측부)는 스프링 고정 치구(43)에 토션 스프링(44)을 장착하고 그 중앙으로 변기 시트(6) 힌지 고정 축(31)을 관통시키며, 토션 스프링의 전단은 변기 시트 본체(6)의 힌지 고정 축(31)에 접합하고, 후단은 스프링 고정치구(43)에 부착된 스프링 탄성 조절 노브(42)에 접합하여, 토션 스프링이 적당한 복귀 탄성력을 갖도록 조절해 주는 좌변기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The spring actuating part (left side of FIG. 4ua) mounts the torsion spring 44 to the spring fixing jig 43 and penetrates the toilet seat 6 hinge fixing shaft 31 to the center thereof, and the front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joined to the hinge fixing shaft 31 of the toilet seat main body 6, and the rear end is joined to the spring elastic adjustment knob 42 attached to the spring fixing jig 43 to adjust the torsion spring to have a proper return elastic force. Automatic switchgear of toilet seat 청구항 1 에 있어서 하강 작동부(도 5ua)는 드럼 지지부(39)에 와이어 고정 드럼(38)을 장착하고 그 중앙에 변기 시트(6) 힌지 고정 축(31)을 관통시켜 너트(37)로 고정시킨다. 와이어 지지부(20)를 드럼 지지부(39) 후면에 고정하여, 와이어 지지부를 관통한 튜브 와이어(20)의 전단 부분의 튜브는 드럼 지지부(39)에, 와이어는 드럼(38)을 한바퀴 회전시켜 접합하고, 그 후단은 폐달(10)에 접합하는데, 튜브는 하판에, 와이어는 상판에 접합한다. 그리하여 페달(10)을 밟았을 때, 생기는 편각 현상이 와이어를 당기고, 그러므로, 힌지 회전 축(31)의 드럼(38)이 회전하여 변기 시트(6)가 회전 하강되게 하는 좌변기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The lower actuating part (FIG. 5ua) according to claim 1 mounts a wire fixing drum 38 on the drum support 39 and penetrates the toilet seat 6 hinge fixing shaft 31 in the center thereof to be fixed with a nut 37. Let's do it. The wire support 20 is fixed to the rear of the drum support 39 so that the tub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ube wire 20 passing through the wire support is joined to the drum support 39, and the wire is rotated once by the drum 38. And, the rear end is joined to the pedestal 10, the tube is bonded to the lower plate, the wire to the upper plate. Thus, the declination which occurs when the pedal 10 is pressed down pulls the wire, and therefore the automatic seat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in which the drum 38 of the hinge rotating shaft 31 rotates to cause the toilet seat 6 to rotate down. .
KR1020000031853A 2000-06-09 2000-06-09 Automatic Lift for Toilet Seat KR200000545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853A KR20000054520A (en) 2000-06-09 2000-06-09 Automatic Lift for Toilet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853A KR20000054520A (en) 2000-06-09 2000-06-09 Automatic Lift for Toilet S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520A true KR20000054520A (en) 2000-09-05

Family

ID=1967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853A KR20000054520A (en) 2000-06-09 2000-06-09 Automatic Lift for Toilet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52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22705A (en) * 2024-03-06 2024-04-05 厦门迪芬奇厨卫有限公司 Intelligent closestool capable of being switched adaptively
CN117822705B (en) * 2024-03-06 2024-05-28 厦门迪芬奇厨卫有限公司 Intelligent closestool capable of being switched adaptive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22705A (en) * 2024-03-06 2024-04-05 厦门迪芬奇厨卫有限公司 Intelligent closestool capable of being switched adaptively
CN117822705B (en) * 2024-03-06 2024-05-28 厦门迪芬奇厨卫有限公司 Intelligent closestool capable of being switched adaptive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229B1 (en) Automated flap and cup cleaner water-saving toilet
KR100297158B1 (en) Flush toilet bowl assembly for users
JP4064994B2 (en) Vacuum toilet equipment
KR100869762B1 (en) Chamber pot for both feces and urine
KR102195120B1 (en) Toilet cleaning device that presses foot to drain water
KR100944385B1 (en) Water saving type toilet stool with urinal
KR101970460B1 (en) Water saving closet
KR101492182B1 (en) Water saving closet with urinal
KR20000054520A (en) Automatic Lift for Toilet Seat
WO2013190547A1 (en) Ecological system and method for toilet flushing
KR20110005712U (en) Sitting toilet that automatic control is available
CN117822705B (en) Intelligent closestool capable of being switched adaptively
US5603130A (en) Sanitary seat
KR20100051606A (en) Urinal of the self-supporting
KR102424052B1 (en) Toilet seat with an elbow switch
CN211774317U (en) Telescopic dual-purpose closestool of changeable man's urinal and toilet seat device
JP3238123U (en) Foot stepper for Western toilet
KR200267760Y1 (en) Valve switching device for washing water of water closet
KR100403013B1 (en) The apparatu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oilet seat
CN117822705A (en) Intelligent closestool capable of being switched adaptively
KR20010087871A (en) A toilet stool
KR200208295Y1 (en) Seat rotating device for toilet bowl
KR200419441Y1 (en) A seat of commode opening/closing apparatus
KR20040064576A (en) Multi-functional bed for patients
CN2436567Y (en) Leakage-resisting controller for se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