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290A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290A
KR20000052290A KR1019990022806A KR19990022806A KR20000052290A KR 20000052290 A KR20000052290 A KR 20000052290A KR 1019990022806 A KR1019990022806 A KR 1019990022806A KR 19990022806 A KR19990022806 A KR 19990022806A KR 20000052290 A KR20000052290 A KR 20000052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sh
waste
container body
garbag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00440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46246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09737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46497A/ko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101999002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2290A/ko
Publication of KR2000005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29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acilitating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의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쓰레기가 압압된 상태로 투입되어 있다 하여도 그 배출를 극히 용이하게 할 수있는 쓰레기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중공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하단 가까이의 내주에는

Description

쓰레기통{Wastebin}
본 발명은 각종의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쓰레기통은 단순히 바닥판이 구비된 원형의 통 형상으로 된 쓰레기통본체 위에 덮계가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상기 덮계를 연 상태에서 쓰레기통본체 내에 쓰레기를 투입한 후 쓰레기통본체 위에 덮계를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쓰레기통본체에 쓰레기가 가득차면 쓰레기통본체를 쓰레기 전용의 비닐봉투(이하 "쓰레기봉투" 라 한다)에 거꾸로 넣은 상태로 흔들어 쓰레기통본체 내의 쓰레기를 쓰레기봉투로 투입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통에 있어서는 쓰레기통의 바닥판이 고정된 구조이므로 쓰레기통에 쓰레기가 압압된 상태로 가득차 있거나 쓰레기통의 바닥에 쓰레기가 부착된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쓰레기의 배출이 곤란하여 손으로 쓰레기를 배출하여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내부에 쓰레기가 압압된 상태로 투입되어 있다 하여도 그 배출를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쓰레기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쓰레기통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쓰레기통의 배출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쓰레기통의 배출상태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11. 쓰레기통본체
2. 바닥판
3. 덮계
4. 쓰레기봉투
12. 손잡이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중공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하단 가까이의 내주에는형상의 지지판부가 일체로 형성된 쓰레기통본체와, 이 쓰레기통본체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저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부 위에 올려진 바닥판과, 상기 쓰레기통본체 위에 결합된 덮계로 되어, 상기 덮계를 열고 쓰레기통본체를 거꾸로 하여 바닥판을 하측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쓰레기통본체 내의 쓰레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쓰레기통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쓰레기통본체(1)는 중공의 통 형상이고 하단 가까이의 내주에는형상의 지지판부(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부(1a)는 투입된 쓰레기로부터 흐를 수 있는 물을 받기 위한 것임과 함께 뒤에 설명하는 바닥판(2)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쓰레기통본체(1)는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며 바람직 하게는 투입된 쓰레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광하협의 구조를 갖도록 성형한다.
상기 쓰레기통본체(1)의 지지판부(1a)에는 바닥판(2)이 올려진다. 이 바닥판(2)은 상기 쓰레기통본체(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저면의 중앙부에는 손잡이(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쓰레기통본체(1)의 상부에는 덮계(3)가 결합되어 있다. 이 덮계(3)는 상기 쓰레기통본체(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과 크기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그 상면 중앙에는 손잡이(3a)가 구비되어 있다. 이 손잡이(3a)는 덮계(3)의 성형시에 일체로 성형하거나 또는 별도로 성형하여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C)은 종래의 쓰레기통과 같이 덮계(3)를 개방한 상태에서 쓰레기통본체(1)의 내부에 쓰레기를 투입한 후 덮계(3)를 다시 닫는 방법으로 이용한다.
이후 쓰레기통본체(1)의 내부에 쓰레기가 가득찬 상태에서 쓰레기를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덮계(3)를 열고 쓰레기통본체(1)를 쓰레기봉투(4)에 거꾸로 넣은 상태로 상기 바닥판(2)을 하측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쓰레기통본체(1) 내의 쓰레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바닥판(2)을 하측으로 밀어내기 전에 바닥판(2)을 수회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바닥판(2)을 하측으로 밀어내면 바닥판(2)에 부착된 쓰레기까지도 완벽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C)에 쓰레기를 투입하였을 경우에는 쓰레기로부터 물이나 그 외의 액체가 쓰레기통본체(1)의 하측으로 흐를 수도 있으나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물이나 액체는 상기 쓰레기통본체(1)의 하측 내주에 형성된 지지판부(1a)에 수용됨으로 바닥을 오염시킬 우려는 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쓰레기통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쓰레기통(C')은 쓰레기통본체(11)를 상하가 개방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쓰레기통본체(11)의 상부에는 손잡이(12)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것이다. 여기서 쓰레기통본체(11)는 투입된 쓰레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광상협의 구조를 갖도록 성형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쓰레기통(C')은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쓰레기통본체(11)의 내부에 쓰레기를 투입하는 것이다.
이후 쓰레기통본체(11)의 내부에 쓰레기가 가득찬 상태에서 쓰레기를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손잡이(12)를 잡아 쓰레기통본체(11)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쓰레기통본체(11)의 하부를 쓰레기봉투(4)에 넣은 상태로 쓰레기통본체(11)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쓰레기를 밀어내는 것에 의해 쓰레기통본체(11) 내의 쓰레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쓰레기통본체(11)는 하광상협의 구조이므로 쓰레기의 배출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C')은 쓰레기를 비운후 바닥에 약간의 쓰레기가 남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쓰레기통(C')은 가연성쓰레기만을 위한 것이므로 바닥에 남아 있는 약간의 쓰레기를 처리에는 별 어려움이 없는 것이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덮계를 열고 쓰레기통본체를 거꾸로 하여 바닥판을 하측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쓰레기통본체 내의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제 1실시예의 쓰레기통은 그 내부에 쓰레기가 압압된 상태로 투입된 상태가 하더라도 그 배출에는 어떠한 불편도 없는 것이므로 다량의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쓰레기통에 다량의 쓰레기를 압압된 상태로 투입한 후 이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닐재의 쓰레기봉투에 투입하면 두께가 얇은 쓰레기봉투의 손상 없이 많은 량의 쓰레기를 쓰레기봉투에 투입할 수 있는 것이므로 쓰레기봉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쓰레기통을 거꾸로 하지 않고도 쓰레기의 배출이 가능한 것이므로 쓰레기의 배출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중공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하단 가까이의 내주에는형상의 지지판부(1a)가 일체로 형성된 쓰레기통본체(1)와, 이 쓰레기통본체(1)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저면에는 손잡이(2a)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부(1a) 위에 올려진 바닥판(2)과, 상기 쓰레기통본체(1) 위에 결합된 덮계(3)로 되어, 상기 덮계를 열고 쓰레기통본체를 거꾸로 하여 바닥판을 하측으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쓰레기통본체 내의 쓰레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중공의 통 형상이고 하광상협인 쓰레기통본체(11)의 상부에 손잡이(12)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쓰레기통본체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쓰레기통본체(11)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쓰레기를 밀어내는 것에 의해 쓰레기통본체(11) 내의 쓰레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1019990022806A 1999-01-11 1999-06-14 쓰레기통 KR20000052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806A KR20000052290A (ko) 1999-01-11 1999-06-14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440 1999-01-11
KR1019990000440A KR19990046246A (ko) 1999-01-11 1999-01-11 쓰레기통
KR1019990009737A KR19990046497A (ko) 1999-03-22 1999-03-22 쓰레기통
KR1019990009737 1999-03-22
KR1019990022806A KR20000052290A (ko) 1999-01-11 1999-06-14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290A true KR20000052290A (ko) 2000-08-16

Family

ID=2734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806A KR20000052290A (ko) 1999-01-11 1999-06-14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22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710A (ko) * 2001-10-19 2003-04-26 김진희 쓰레기 봉투 거치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710A (ko) * 2001-10-19 2003-04-26 김진희 쓰레기 봉투 거치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434A (en) Receptacle for holding trash liner
US5285824A (en) Vehicle oil drainage apparatus and method
US20090120930A1 (en) Expandable receptacle
WO1994006707A3 (en) Device for collecting refuse, as well as removal and transport means therefor
WO2006078448A3 (en) Receptacle for trash
US5123562A (en) Side discharge trash container
KR20000052290A (ko) 쓰레기통
KR20170002872U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 형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 거치형 쓰레기통
KR200252552Y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 거치 압착 쓰레기통
CN211919736U (zh) 一种垃圾箱
CN210259756U (zh) 一种具有排水功能的不锈钢垃圾桶
GB2471914A (en) Chewing gum dispenser and disposal container
KR20210016743A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221430Y1 (ko) 종량제 봉투 수납용 쓰레기통
KR200267115Y1 (ko) 휴지통의 보조뚜껑 축 구조
KR20140101555A (ko) 음식물 쓰레기통
CN218143604U (zh) 一种多功能垃圾桶
KR200304768Y1 (ko) 밑면 개방형 휴지통
CN214191066U (zh) 一种湿垃圾分类用一次性塑料袋
KR200355061Y1 (ko) 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
KR20110002191A (ko) 기능성 쓰레기통
CN206766861U (zh) 一种垃圾桶
KR200233066Y1 (ko) 가정용 음식물 찌꺼기 수분 제거 용기
KR20080003533A (ko) 쓰레기통
KR200357257Y1 (ko) 압축식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