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250A - 회전식 다량우산함 - Google Patents

회전식 다량우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250A
KR20000052250A KR1019990003289A KR19990003289A KR20000052250A KR 20000052250 A KR20000052250 A KR 20000052250A KR 1019990003289 A KR1019990003289 A KR 1019990003289A KR 19990003289 A KR19990003289 A KR 19990003289A KR 20000052250 A KR20000052250 A KR 20000052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view
shaft
ho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원
Original Assignee
김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원 filed Critical 김명원
Priority to KR1019990003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2250A/ko
Publication of KR2000005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25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1) 본원 발명은 회전식 다량우산함으로서 조립되는 기능구조이다.
(2) 기존에 비닐 봉지에 담아 사용하던 경우나 금속으로 긴 우산함 열쇠로 채워 사용할 때 사용자의 불편함과 일반 물통에 담아두어 복잡하고 불편하고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았던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한 것이며
(3) 재질은 프라스틱을 사용하며 색상은 천연색으로 선택되어 지고 접는 우산은 각 칸마다 되어진 구조의 함 속에 삽입과 제거가 될 수 있는 구조며 각 우산함에, 하나씩 개인변로 사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우산함은 각도가 주어져 삽입과 제거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고 내부구조는 윗부분을 넓고 아래부분은 좁게 되어져 출입구쪽에 있어서 세척시나 빗물이 흘러내려 배수가 잘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체구조는 사분의 일씩 조립이 되어 질 수 있는 조립구조이며 메인측에 상.하부로 고정보울트에 의해 고정되고 1단 2단으로 사용수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하부에는 이동식 고정판에 360˚ 회전로라와 중심에 베아링이 있어서 우산함을 회전시켜주는 구조이다.
(4) 우산은 꽂고 빼는데 안전하고 쉽게 질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회전과 이동이 되며 적은 공간이 이용되고 외관이 화려하며 식별 번호에 의해 혼란이 없다.

Description

회전식 다량우산함{ROTARY TYPE OF AN PLENTY UMBRELLA BOX}
본원은 종래의 고정식으로 열쇠를 채워 사용하던 다량우산함과 재질의 금속등 실용성에서 많이 불편하였던 것을 개선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접는 우산은 우산함에 사용하지 못하였고 긴 우산만 우산함에 이용하였으며, 그 외 비닐에 일일이 넣어 사용을 하여 비닐소비가 많았고 우산을 넣고 빼고난 비닐을 버리거나 재사용을 위한 불편을 가져왔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공공장소에서 일반물통에 한꺼번에 넣어 두는 식으로서 혼잡하고 무질서하며, 찾고 기다리는 시간이 많이 지체가 되었으며 특히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았던 문제들을 본 발명을 통해 이러한 모든 것들을 해소시키는 기능의 구조로 된 특장점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누락
도1 다량우산함 메인축의 평면도이다.
도2 다량우산함 메인축의 정면도이다.
도3 베어링의 약도정면도이다.
도4 메어링의 약도 우측면도이다.
도5 육각나트의 정면도와 우측면도이다.
도6 고정대의 정면도이다.
도7 고정대의 저면도이다.
도8 다량우산함의 하부(베어링)축의 평면도이다.
도9 다량우산함의 하부(베어링)축의 정면도이다.
도10 다량우산함의 메인축의 두껑 평면도이다.
도11 다량우산함의 메인축의 두껑 저면도이다.
도12 다량우산함의 고정대 부착 이송바퀴의 평면도이다.
도13 다량우산함의 고정대 부착 이송바퀴의 정면도이다.
도14 다량우산함의 고정대 부착 이송바퀴의 보울트 평면도이다.
도15 다량우산함의 고정대 부착 이송바퀴의 보울트 정면도이다.
도16 다량우산함의 고정대 및 우산함의 체결시 사용되는 와샤의 정면도와 우측면도이다.
도17 다량우산함의 4분의 1의 정면도이다.
도18 다량우산함의 4분의 1의 우측면도이다.
도19 다량우산함의 4분의 1의 저면도이다.
도20 다량우산함의 한 개 우산함의 위에서 본 상세도이다.
도21 다량우산함의 우산함 내부의 배수구 구멍 단면상세도이다.
도22 다량우산함의 각 함 식별용 스티커 정면도이다.
도23 다량우산함의 응용된 원형을 위에서 본 조립도이다.
도24 다량우산함의 스티커 자리 단면상세도이다.
도25 다량우산함의 외형 및 사시도이다.
도26 다량우산함의 고정대 4분의 1의 부품의 정면도이다.
도27 다량우산함의 고정대 4분의 1의 부품의 우측면도이다.
특히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금속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데 가볍고 안전하며 녹이 쓸 지 않는다는 것과 금형을 이용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저렴가로 공급이 가능하고 외관이 수려하여 사용자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가질 수가 있으며 각 우산함마다 식별 번호표가 부착되어 있어 신속하고 안전하게 정확히 삽입과 제거가 용이하다. 구조가 회전식이며 1단, 2단, 3단 중 사용자의 사용수에 맞게끔 선택할 수 있게 실용적이며 윗부분은 넓고 아랫부분은 좁아서 삽입과 제거가 쉽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맨 밑바닥과 안쪽 내부 밑바닥에는 배수구의 관통된 구멍이 나있어 세척시나 빗물이 흘러낼 수 있도록 되어져 있다. 그 배수는 배수구의 위치가 우산에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 공간으로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려 바닥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4분의 1씩 조립이 되게 되어 있는 구조이다. 고정대는 중심에 메인축이 회전과 지지에 잘 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전체의 균형을 잡아주는 기능을 하게끔 되어있고 중심하부에는 베어링 고정자리와 수나사가 관통이 되어 고정대 밑에서 체결을 시켜주는 구조이다. 특히 우산함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회전용 바퀴가 4군데 부착되어 있고 전체 외관과 균형, 조화의 구조로 된 특장점적인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도1의 (1)회전식 다량우산함의 축으로서 평면도이며 속이 비어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다량우산함을 상하속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4방향(90˚씩)에 암나사로 되어진 구멍이 관통되어 있다.
도2의 (2)는 회전식 다량우산함의 축의 정면도로서 상부나 하부에 다량우산함을 4방향에 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로 되어진 관통구멍이 있고 맨 밑부분에 고정판에 고정을 하기 위해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3)은 메인축에 외부에서 사분의 일씩 우산함 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된 암나사와 구조로 된 것이다. (4)는 암나사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5의 (5)는 일반 나트의 모양과 같은 것으로서 다량우산함의 사분의 일씩을 체결하기 위한 보울트의 나트로서 6각 모양으로 되어 있는 정면도로 나타내었다. (6)은 위의 나트의 우측면도를 나타내었다.
도3의 (7)은 베어링으로서 정면도로 나타내었다(간략도) 축과 고정판 홈에 끼워져 고정과 회전기능을 하게 된다.
도4의 (8)은 베어링의 우측면도를 나타내었다.
도7의 (9)는 고정판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의 구조이다.
도6의 (10)은 고정판의 정면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각 네군데 모서리를 둥글게하여 안전을 고려한 구조이다. (11)은 조그마한 폐쇄된 암나사구멍으로 된 것으로 네군데에 4개의 구멍으로 되어져 있는 구조이고 회전식 다량우산함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하여 바퀴의 고정판과 연결하여 바퀴를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12)는 고정판의 정면도의 중심에 아래위로 단이되어 있는 중심부 부분으로서 베어링 자리의 윗부분과 축의 자리에 축의 하단부가 들어가게 되고 좁은 축부분은 관통되어져 고정되어 회전이 되게끔 되어지는 구조이다.
도7의 (13)은 고정판의 바퀴를 보울트로 고정하기 위해 암나사로 되어 있는 모양구조의 단면도로서 나타낸 구조이다.
도12의 (14)는 고정판 밑에 4군데 부착되는 바퀴의 고정판으로서 평면도이다. 회전식 우산함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하여 부착된 것으로서 네군데의 모서리에 작게 둥글게 모따기가 되어있다. (15)는 고정판 밑에 네군데 부착되는 바퀴와 고정판을 체결 시켜주기 위한 바퀴의 고정판에 관통되어있는 구멍이다.
도13의 (16)은 고정판 밑의 네군데 부착되는 바퀴를 잡아주는 지지대 사이에 바퀴가 360。회전이 될 수 있도록 되어져 있는 구조이다. 일반시장의 규격품을 이용한다. (17)은 고정판 밑의 네군데 부착되는 바퀴의 구조이다.
도14의 (18)은 다량우산함의 사분의 일씩 4개로 체결하는데 쓰이는 체결용 보울트이며 평면도로 나타낸 6각 모양이다. 또 바퀴를 고정판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보울트이다.
도15의 (19)는 다량우산함의 사분의 일씩 4군데 체결하는데 쓰이는 고정보울트의 정면도이다.
도16의 (20)은 외샤로서 보울트와 나트를 체결하거나 보울트를 사용할 시 와샤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끔 되어진 것이다. (21)은 평와샤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7의 (22)는 다량우산함을 위에서 본 모양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우산함의 테두리 부분인 모양과 두께를 도식하였다.
도20의 (23)은 다량우산함의 내부인 비어있는 부분을 위에서 본 모양을 나타내었다.
도19의 (24)는 다량우산함의 사분의 일씩 체결하기 위해 돌출된 것으로서 관통된 구멍이 나 있으며 구멍으로 보울트 나트를 체결하게끔 된 구조이다. (25)는 다량우산함을 위에서 본 모양으로서 비어있는 모습을 나타내었고 각도가 주어져 위쪽에는 넓고 아래쪽에는 좁게 되어진 구조이다.
도20의 (26)은 다량우산함의 위에서 본 모양으로서 관통된 조그마한 구멍이 나 있는 것의 구조이며 청소시 세척물과 빗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구멍이다.
도18의 (27)은 다량우산함을 우측면에서 본 도식으로서 나타내었고 각도가 주어져 있으며 위쪽에는 넓고 아래쪽에는 좁으며 내부에는 우산을 삽입과 제거에 용이하도록 비어져 있는 공간을 나타낸 것이다.
도20의 (28)은 다량우산함의 출입구 쪽의 바깥테두리표면에 스티커 부착자리와 부착된 스티커를 나타낸 구조이다.
도21의 (29)는 다량우산함의 각 함 부분의 밑바닥에 관통된 구멍으로서 되어 있는 구조이다. 맨 밑바닥의 중심부에 관통된 작은 구멍은 구멍쪽으로 각도가 주어져 비를 맞은 우산의 빗물과 청소시 세척물이 중심부에 있는 구멍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진 구조와 기능이다. 관통된 구멍으로서 상세도로 나타내기 위해 도식된 것이다.
도19의 (30)은 다량우산함의 사분의 일씩 4개를 축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암나사로되어 있는 관통된 암나사이며 외부 표면에 4각으로 되어진 평면상태로서 약간 홈이 되어진다.
도18의 (31)은 다량우산함의 배출구 구멍으로서 우산함 내부이며 위쪽에의 사각방향에서 아래로 각도가 주어져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흘러 배수가 되도록 되어진 구조이며 관통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24의 (32)는 대량우산함의 각 함마다 함의 윗부분에 전체적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중심부에 동그랗게 스티커 자리로서 식별번호가 있으며 스티커 부착자리에 측면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다. 표면에서 약간 흠이 되어진 구조이다.
도22이 (33)은 다량우산함의 각 우산함 앞에 돌출된 표면의 스티커자리에 붙여질 스티커로서 전면(윗쪽)애는 번호가 표시되어 있고 후면(밑면)에는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게끔 액으로 되어있다.
도23의 (34)는 다량우산함의 위에서 본 모양의 사각이 아닌 원형으로서 나타내었으며 사분의 일씩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단지 사각을 원형으로 응용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C, D, E, F)
도10의 (35)는 다량우산함의 비어있는 축의 윗부분 덮개로서 비어져 있는 부분의 안전과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덮개를 덮어주기 위한 덮개 기능이며 덮개의 사용을 위한 손잡이의 구조로서 손잡이는 둥글게 되어졌다. 전체구조는 단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는 중심부에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게끔 중심부에 홈이 파져 있고 아래 부분에는 재료를 절감하기 위해 축안으로 폐쇄된 비어져 있는 구조이다.
도11의 (36)은 덮개의 폐쇄된 중심부의 홈으로서 손잡이가 홈 상부에 위치해 있는 구조이다. (37)은 덮개의 상부 외곽 부분과 하부 짧은 축부분으로 되어져 하부는 다량우산함의 큰 축안으로 들어가는 짧은 축 부분이며 상부는 다량우산함의 축 위를 덮어주는 구조의 덮개이다. (42)는 덮개의 하부내부로서 한쪽 폐쇄된 비어져 있는 구조이다.
도10의 (38)은 덮개의 중심부에 있는 손잡이의 원형으로서 단면을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25의 (39),(40)은 다량우산함의 사분의 일씩의 부분으로서 체결된 구조를 위에서 본 모양으로서 체결되어지는 돌출부분이다.
도17의 (41)은 다량우산함의 사분의 일인 부분으로서 체결될 부분과 축에 부착될 부분으로서 우산함 출입구쪽에서 본 모양이며 내부 부분에는 원형의 사분의 일의 원호모양의 구조이다.
도25의 (42)는 사시도로서 전체 조립외형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8의 (42)은 우산함의 메인축과 메인축의 아래부분에서 조립되어질 짧은 베어링축의 평면도이다.
도9의 (44) 우산함의 메인축과 메인축의 아래부분에서 조립되어질 짧은 베어링축의 정면도에서 4개의 관통된 구멍으로 된 구조이며 우산함을 고정시키는 보울트에 의해 관통된 구멍으로 보울트가 끼워져 조립을 시켜주어 메인축 안으로 들어가 구멍의 자리에서 끼워지게끔 하는 구조이다. (45)는 짧은 베어링축의 하단부에 있는 작은 단부분으로서 베어링위에 위치하여 고정판의 표면보다 높게 베어링 축이 닿지 않게 하기 위해 베어링의 위에서 베어링의 회전을 따라 축이 돌 수 있게끔 한 기능구조이다. (46)은 짧은 베어링축의 베어링자리 축이다.
여기에서 베어링이 끼워지고 상대적으로 끼워진 베어링과 축이 고정판의 베어링 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47)은 짧은 베어링축의 맨 하부에 위치한 수나사로 돌출된 부분이다. 이것은 고정판을 관통한 후 와샤가 안에 끼워져 나트에 의해 고정되어 축이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나사의 기능구조이다.
도7의 (48)은 고정판의 중심부에 큰 원형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내부는 큰 홈으로 되어있고 이 안으로 메인축과 짧은 베어링축이 조립이 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것은 기둥역할을 하는 메인축이 자중과 회전에 의해 사방으로 하중을 받을 때에 고정대의 중심을 지지해주는 기능이다.
도27의 (48)은 다량우산항의 조립형일 때 사분의 일인 고정대의 우측면도로서 밑바닥에는 돌출된 체결을 위한 구조이다. 원형 관통된 구멍이 나있고 이곳으로 4방향 4개가 체결조립이 되어진다.(48)은 다량우산함의 조립형일 때 사분의 일인 고정대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된 것으로서 원통형의 90˚ 방향으로 외곽에 돌출된 체결을 위한 구조이다. 원형관통된 구멍이 나있고 이곳으로 4방향 4개가 체결 조립이 되어진다.
재질이 프라스틱으로서 가볍고 안전하며 녹이 쓸지 않으며 금형을 이용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저렴가로 공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외관이 수려하여 사용자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가질 수가 있으며 구조가 실용적으로 되어져 있어 식별 번호에 의해 각 개인이 사용할 시 혼란이 없고 회전이 되어 사용자가 회전을 하여 자기의 우산을 신속하게 찾을 수가 있다. 또한 바퀴가 고정대의 밑에 부착되어 이동이 쉬워 필요한 곳으로 밀어 이동이 쉽게 가능하며 둘레로 함의 구조가 되어져 좁은 공간을 이용할 수가 있다. 우산함의 내부에는 배수구 구멍이 있어 세척시나 빗물의 배수가 빠르게 되어지고 사용자의 필요수에 따라 1단, 2단, 3단까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수출이 가능하며 경제적 국익도 크다고할 수 있는 발명이라고 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원형과 사각형의 둘레로 각이진 구조와 모양의 조립식과 회전, 이동구조와 모양
  2. 제1항에 있어서 사각형의 둘레로 되어 윗쪽은 넓고 아래쪽은 좁은 구조로 사분의 일씩 조립이 되고 천연색을 사용할 수 있으며 회전을 위한 메인축과 보조축으로 된 구조 및 베어링 자리 구조와 이동을 위한 고정대와 이동용 바퀴로 구성된 구조와 모양
  3. 제2항에 있어서 원형과 사각형으로 된 다량우산함에 부착된 식별번호 자리 및 번호표의 구조와 모양, 메인축과 보조축의 보올트 자리의 모양과 구조, 이동을 위한 고정대의 구조와 모양에 관한 사항
    [사시도]
KR1019990003289A 1999-01-28 1999-01-28 회전식 다량우산함 KR20000052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289A KR20000052250A (ko) 1999-01-28 1999-01-28 회전식 다량우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289A KR20000052250A (ko) 1999-01-28 1999-01-28 회전식 다량우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250A true KR20000052250A (ko) 2000-08-16

Family

ID=1957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289A KR20000052250A (ko) 1999-01-28 1999-01-28 회전식 다량우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22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169Y1 (ko) * 2013-05-21 2014-11-10 전유삼 우산 보관용 턴테이블
KR101460247B1 (ko) * 2013-05-16 2014-11-10 전유삼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
KR200475168Y1 (ko) * 2013-05-21 2014-11-10 전유삼 우산 보관용 우산캡슐
CN109907627A (zh) * 2019-03-21 2019-06-21 安徽天堂唯高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雨伞存放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247B1 (ko) * 2013-05-16 2014-11-10 전유삼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
KR200475169Y1 (ko) * 2013-05-21 2014-11-10 전유삼 우산 보관용 턴테이블
KR200475168Y1 (ko) * 2013-05-21 2014-11-10 전유삼 우산 보관용 우산캡슐
CN109907627A (zh) * 2019-03-21 2019-06-21 安徽天堂唯高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雨伞存放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8586A (en) Device for collection, storage, and use of shower waste water
US4832163A (en) Portable table system
US20060180559A1 (en) Apparatus for holding and organizing artist supplies
DE69729309T2 (de) Lagervorrichtung mit einer drehbaren platte
US4211750A (en) Brush and deodorant holder
US20180264876A1 (en) Art Travel Kit
US4925140A (en) Detachable leg assembly
US20080185393A1 (en) Portable sanitary dispenser assembly
KR20000052250A (ko) 회전식 다량우산함
US20160242537A1 (en) Adjustable pedestal table for pools and tubs
US6572064B1 (en) Revolving tree stand
US3051423A (en) Christmas tree stand
US20080073243A1 (en) Toilet paper and toilet plunger utility stand
US3720963A (en) Portable washing stand
US5410838A (en) Tree stand container
US20180153350A1 (en) Portable Campground Sink
US4991711A (en) Artist storage container having scalloped handles
CN2268479Y (zh) 卫生间浴室的固定座
KR200287200Y1 (ko) 우산 꽂이대
JPH0593231U (ja) パラソル固定用ベース
CN210211871U (zh) 一种国画写生用多功能色盘
CN209315705U (zh) 可移动方便器
JP2979587B2 (ja) 化粧台
US20220361680A1 (en) Plumber's platform
AU2001228701B2 (en) Water fe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