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1122A -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 Google Patents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1122A
KR20000051122A KR1019990001394A KR19990001394A KR20000051122A KR 20000051122 A KR20000051122 A KR 20000051122A KR 1019990001394 A KR1019990001394 A KR 1019990001394A KR 19990001394 A KR19990001394 A KR 19990001394A KR 20000051122 A KR20000051122 A KR 20000051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thermal expansion
holder
electron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1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1122A/ko
Publication of KR2000005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1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4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03Electrodes
    • H01J2229/481Focusing electrod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라인형 전자총에서 초기 화면 구동 시에 제어 전극의 열팽창 특성에 대응되어 중앙빔을 방출하는 음극이 외곽빔을 방출하는 음극보다 크게 열팽창되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에서 음극의 구조는, 내부에 히터가 삽입되는 슬리브의 선단에 기체금속이 형성되며, 이 기체금속의 상면에 전자방사물질이 도포되고, 열팽창 계수가 12.8×10-6Torr[20℃]인 Ni재의 중앙 음극 홀더가 중앙 음극의 슬리브를 지지하며, 열팽창 계수가 6×10-6Torr[20℃]인 KV-2재의 외곽 음극 홀더가 외곽 음극의 슬리브를 각각 지지하고, 중앙 음극과 외곽 음극은 열팽창되면 각 홀더의 열팽창 계수 차이로 인하여 외곽 음극의 선단을 가상 연결한 선보다 중앙 음극의 선단이 소정 시간동안 더 돌출된다.
이에 따라, 초기 화면 구동 시에 제어 전극에서 음극까지의 간격이 균형있게 변화되어, 전자빔들의 음극 전류 차가 최소화되어 화이트 밸런스가 향상되며, 초기 화면 구동 후에 빠른 시간이내로 전자빔들의 음극 전류가 일치되어 휘도 특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Electronic gun of color cathode-ray tube}
본 발명은 컬러 음극선관(cathode-ray tube)의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라인(inline)형 전자총에서 전자빔을 방출하는 음극의 열팽창 특성을 개선하여 화이트 밸런스 및 휘도 특성이 향상되도록 한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전자관의 일종인 컬러 음극선관은, 텔레비전 수상기를 비롯하여 오실로스코프나 레이다의 관측용 등 다방면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시장치로서, 튜브(tube) 내에 봉해 넣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전계 또는 자계의 작용에 의하여 그 방향 등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컬러 음극선관에 이용되는 음극의 종류를 동작 온도에 따라 구분하면 열전자 방출 특성을 갖는 열음극과 전계 방출 특성을 갖는 냉음극으로 나뉘어지는데, 보편적으로는 열음극이 채용된다.
한편, 컬러 음극선관은 3원색 음극선관으로도 불려지는데, 그 이유는 적, 녹, 청의 3원색을 가색 혼합하여 각종 색을 재현하는 원리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즉, 3색 형광체 및 3개의 열음극이 사용되고, 이 열음극에서 방출된 전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자빔을 3색 형광체에 랜딩(Randing)시켜 정보표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컬러 음극선관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제시된 섀도우마스크형 컬러 음극선관을 종래 기술의 한 예로, 설명한다.
도 1은 컬러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총의 구성도이며, 도 3은 상기 전자총에서 삼극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삼극부의 열팽창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음극선관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제 패널(1)과, 이 패널(1)에 결합된 깔때기 형상의 유리제 펀넬(2)과, 이 펀넬(2)의 직경이 작은 단부에 연이어 설치된 원통 형상의 유리제 네크(3)에 의해 형성되며, 네크(3) 내에는 인라인 방식으로 전자총(4)이 설치·봉입된다.
그리고, 패널(1)의 내면에는 적, 녹, 청(R, G, B)으로 발광하는 3색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스크린(5)이 설치되며, 이 스크린(5)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색선별을 위한 섀도우마스크(6)가 설치되고, 펀넬(2)의 네크(3)측 근방의 외측에는 핀쿠션형 수평 편향자계와 베럴형 수직 편향자계를 발생하는 편향요크(7)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자총(4)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8)이 편향요크(7)의 수직 및 수평 편향자계에 의해 화면의 원하는 부분으로 편향되며, 섀도우마스크(6)를 통과하면서 색선별이 이루어진 상태로 스크린(5)에 사돌되어 화상이 구현되는 것이다.
한편, 전자총(4)에서 전자빔(8)이 방사되는 과정은, 먼저 스템핀(9)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3개의 히터(10)가 가열되며, 이 히터(10)의 열 에너지를 전달받는 3개의 음극(11)에서 열전자가 방출되고, 연속적인 열전자 방출에 의한 전자빔(8)은 제어 전극(12), 가속 전극(13), 집속 전극(14), 양극(15)을 통과하면서 제어·가속·집속되어 화면의 일점에 집속된다. 여기서 히터(10)와 각 전극(11∼15)들은 절연체인 비드글라스(16)에 의해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음극(11)과 제어 전극(12) 및 가속 전극(13)은 삼극부로 통칭된다.
음극(11)의 구조는, 내부에 히터(10)가 삽입되는 슬리브(17)의 선단에 니켈(Ni)을 주성분으로 하고 마그네슘(Mg), 실리콘(Si) 등의 환원성 원소가 미량 함유된 기체금속(18)이 형성되며, 이 기체금속(18)의 상면에 산화바륨(BaO)이 포함된 알카리토류금속복합산화물의 전자방사물질(19)이 도포되고, 슬리브(17)를 지지하는 홀더(20)가 슬리브(17)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3개의 음극(11)은 인라인 방향으로 배치되며, 아일렛(21)에 기체금속(18)이 돌출되게 삽입되면서 각각의 홀더(20)가 아일렛(21)의 내측에 점용접으로 결합되고, 아일렛(21)의 외측에 점용접으로 결합된 비드서포터(22)는 비드글라스(16)에 삽입·고정된다.
여기서, 홀더(20)의 재질은 3개의 음극(11)이 모두 동일하게 열팽창 계수가 12.8×10-6Torr[20℃]인 Ni재(Ni-Fe)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에서, 음극(11)의 동작 특성과 삼극부의 열팽창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극(11)은 스템핀(9)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히터(10)의 열 에너지를 전달받아서 기체금속(18)이 700∼800℃에 도달되면 전자방사물질(19)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된다.
여기서, 전자방사물질(19)로부터 열전자가 원활히 방사되기 위해서는 음극(11)이 소정의 진공도를 갖도록 배기되어야 하며, 이후 전자방사물질(19)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러한 전자방사물질(19)은, 알카리토류금속탄산염 현탁액을 기체금속(18)의 상면에 도포하고 배기 공정 중에 히터(10)로 가열하면, 알카리토류금속탄산염이 알카리토류금속산화물로 변하게 되며, 이후 알카리토류금속산화물의 일부를 고온에서 환원시켜 반도체 성질을 갖도록 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기체금속(18) 중에 포함된 실리콘(Si) 또는 마그네슘(Mg)과 같은 환원성 원소가 확산에 의하여 알카리토류금속산화물과 기체금속(18)간의 계면으로 이동하여 알카리토류금속산화물과 화학반응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자방사물질(19)은 알카리토류금속산화물의 일부가 환원된 산소결핍형의 반도체가 되며, 700∼800℃의 정상 조건하에서 방출 전류를 얻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전자방사물질(19)의 대표물질인 탄산바륨(BaCO3)을 예로 하여 화학 반응식으로 살펴보면 아래의 식 1 내지 식 4와 같다.
식 1. BaCO3→ BaO + CO2
식 2. 4BaO + Si → 2Ba + Ba2SiO4
식 3. BaO + Mg → Ba + MgO
식 4. Ba → Ba2++ 2e(전자생성)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방사물질(19)인 알카리토류금속산화물은 기체금속(18)내의 활성화금속, 예컨대 마그네슘(Mg) 또는 실리콘(Si)과 화학반응하여 자유바륨(Ba)이 주성분인 알카리토류금속 자유원자로 생성되고, 알카리토류금속 자유원자로부터 열전자가 생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삼극부의 열팽창 특성을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히터(10)에서 발생된 열 에너지는 복사에 의해 중앙 음극(11-G)과 외곽 음극(11-R, 11-B)에 전달되며, 다시 복사에 의해 제어 전극(12) 및 가속 전극(13)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열을 전달받은 전자총(4)의 각 부분들은 온도 상승 특성과 유사하게 열팽창이 유발되는데, 열팽창 방향은 도 4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음극(11)은 순간적으로 제어 전극(12)이 위치한 방향으로 팽창되고, 제어 전극(12)과 가속 전극(13)은 상호간의 방향으로 팽창된다. 여기서, 음극(11)과 제어 전극(12)이 급격하게 가까워져 전자방사물질(19)에서 전자가 과다하게 방출되는 현상이 유발되며, 이를 오버슈트(overshoot) 현상이라 한다.
이때, 중앙 음극(11-G)과 외곽 음극(11-R, 11-B)을 각각 지지하는 중앙 음극 홀더(20-G) 및 외곽 음극 홀더(20-R, 20-B)의 열팽창 계수는 12.8×10-6Torr[20℃]로서 상호 동일하므로, 중앙 음극(11-G)과 외곽 음극(11-R, 11-B)은 모두 동일하게 팽창되어 외곽 음극(11-R, 11-B)의 선단을 가상 연결한 선(L)에 중앙 음극(11-G)의 선단이 일치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전극(11)의 중앙부(코이닝부)는 자신에게 전달된 열과 외곽부에 전달된 열의 영향을 함께 받게 되므로 외곽부보다 상대적으로 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중앙부가 외곽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열팽창된다.
이러한 전자총(4)의 열팽창은 약 15분이 경과한 후에 열적인 안정화 상태에 도달된다.
또한, 전자총(4)이 열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열전자가 방출되지 않는 음극(11)의 인가 전압을 컷오프(cut-off)전압으로 설정한다. 즉 음극(9)의 컷오프전압은 제어전극(12)과 가속 전극(13)의 전압을 고정하여 놓고 화면이 사라지는 시점의 음극 전압을 의미한다.
이러한, 컷오프전압은 음극선관 동작점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인자로서, 음극(11)의 컷오프전압에서 음극(11)에 전압을 인가해 가속 전극(13)과의 전위차를 조절하면 전자총(4)에서 방출되는 전자빔(8)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초기 화면 동작 시의 열팽창 특성을 살펴보면 제어 전극은 중앙부가 외곽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열팽창되며, 3개의 음극은 모두 동일하게 팽창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전극의 중앙부에서 중앙 음극까지의 간격(A)과 제어 전극의 외곽부에서 외곽 음극까지의 간격(B, C)이 불균형하게 변화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중앙에 위치한 음극의 전압이 낮아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화면 동작 시에 제어 전극의 중앙을 통과하는 녹색(G)빔의 음극 전류 변화율이 제어 전극의 외곽을 통과하는 적색(R)빔 및 청색(B)빔의 음극 전류 변화율보다 매우 크게 나타나므로 화이트 밸런스가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총이 열적으로 안정화되기 이전까지는 계속하여 세 빔(R, G, B)의 음극 전류 변화율이 일치되는 안정적인 전류 특성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휘도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초기 화면 구동 시에 제어 전극의 열팽창 특성을 감안하여 이에 대응되도록 중앙빔을 방출하는 음극이 외곽빔을 방출하는 음극보다 크게 열팽창되도록 개선하여 제어 전극에서 음극까지의 간격이 균형있게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첫째: 초기 화면 구동 시에 전자빔들의 음극 전류 차를 최소화하여 화이트 밸런스가 향상되도록 하며,
둘째: 초기 화면 구동 후에 빠른 시간이내로 전자빔들의 음극 전류가 일치되는 안정적인 전류 특성이 나타나도록 하여 휘도 특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컬러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총의 구성도이며,
도 3은 상기 전자총에서 삼극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삼극부의 열팽창 상태도이며,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총에서 시간에 따른 음극 전류 변화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삼극부의 열팽창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에서 시간에 따른 음극 전류 변화율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G : 중앙 음극, 100-R, 100-B : 외곽 음극, 101-G : 중앙 음극 홀더, 101-R, 101-B : 외곽 음극 홀더, A' : 열팽창 시의 제어 전극 중앙부에서 중앙 음극까지의 간격, B', C' : 열팽창 시의 제어 전극 외곽부에서 외곽 음극까지의 간격, L' : 외곽 음극의 선단을 가상 연결한 선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전자빔을 방출하는 복수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을 제어·가속·집속하는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은 선단에 전자방사물질이 도포된 슬리브를 상기 전극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에 있어서:
(1) 상기 홀더는, 상기 복수의 음극 중에서 중앙에 위치한 음극을 지지하는 홀더의 열팽창 계수가 외곽에 위치한 음극을 지지하는 홀더의 열팽창 계수보다 크며,
(2) 상기 음극은, 열팽창되면 소정 시간동안 상기 중앙 음극이 상기 외곽 음극보다 상기 전극쪽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외곽 음극을 지지하는 홀더의 열팽창 계수는, 상기 중앙 음극을 지지하는 홀더의 열팽창 계수보다 대략 31∼63%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초기 화면 구동 시에 제어 전극의 열팽창 특성에 대응되어 중앙빔을 방출하는 음극이 외곽빔을 방출하는 음극보다 크게 열팽창되므로 제어 전극에서 음극까지의 간격이 균형있게 변화된다.
그 결과, 초기 화면 구동 시에 전자빔들의 음극 전류 차를 최소화하여 화이트 밸런스가 향상되며, 초기 화면 구동 후에 빠른 시간이내로 전자빔들의 음극 전류가 일치되어 휘도 특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은 텔레비젼 수상기를 비롯하여 오실로스코우프나 레이다의 관측용 등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은 특정한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이 아니고 섀도우마스크형 컬러 음극선관과 트리니트론 컬러 음극선관 등과 같이 전자총을 사용하는 여러가지의 컬러 음극선관에서 착안한 도면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섀도우마스크형 컬러 음극선관에 적용한 예를 고려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전자총에서 삼극부의 열팽창 상태도로서, 음극(100)의 구조는, 내부에 히터(10)가 삽입되는 슬리브(17)의 선단에 니켈(Ni)을 주성분으로 하고 마그네슘(Mg), 실리콘(Si) 등의 환원성 원소가 미량 함유된 기체금속(18)이 형성되며, 이 기체금속(18)의 상면에 산화바륨(BaO)이 포함된 알카리토류금속복합산화물의 전자방사물질(19)이 도포되고, 열팽창 계수가 12.8×10-6Torr[20℃]인 Ni재(Ni-Fe)의 중앙 음극 홀더(101-R)가 중앙 음극(100-G)의 슬리브(11)를 지지하며, 열팽창 계수가 6×10-6Torr[20℃]인 KV-2재(Fe-Ni-Co)의 외곽 음극 홀더(101-R, 101-B)가 외곽 음극(100-R, 100-B)의 슬리브(11)를 각각 지지하고, 중앙 음극(100-G)과 외곽 음극(100-R, 100-B)은 열팽창되면 각 홀더(101)의 열팽창 계수 차이로 인하여 외곽 음극(100-R, 100-B)의 선단을 가상 연결한 선(L')보다 중앙 음극(100-G)의 선단이 소정 시간동안 더 돌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극이 채용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음극(100)을 포함하는 삼극부의 열팽창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히터(10)에서 발생된 열 에너지는 복사에 의해 중앙 음극(100-G)과 외곽 음극(100-R, 100-B)에 전달되며, 다시 복사에 의해 제어 전극(12) 및 가속 전극(13)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열을 전달받은 전자총(4)의 각 부분들은 온도 상승 특성과 유사하게 열팽창이 유발되는데, 열팽창 방향은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음극(100)은 순간적으로 제어 전극(12)이 위치한 방향으로 팽창되고, 제어 전극(12)과 가속 전극(13)은 상호간의 방향으로 팽창된다.
이때, 중앙 음극 홀더(101-G)의 열팽창 계수는 12.8×10-6Torr[20℃]이며, 외곽 음극 홀더(101-R, 101-B)의 열팽창 계수는 6×10-6Torr[20℃]로서 외곽 음극 홀더(101-R, 101-B)의 열팽창 계수는 중앙 음극 홀더(101-G)의 열팽창 계수의 약 46.9%이므로, 중앙 음극 홀더(101-G)가 외곽 음극 홀더(101-R, 101-B)보다 더 크게 팽창된다.
따라서, 중앙 음극(100-G)과 외곽 음극(100-R, 100-B)은 각각 중앙 음극 홀더(101-G)와 외곽 음극 홀더(101-R, 101-B)에 의해 지지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중앙 음극(100-G)이 외곽 음극(100-R, 11-B)보다 더 크게 팽창되어 외곽 음극(100-R, 100-B)의 선단을 가상 연결한 선(L')에서 중앙 음극(100-G)의 선단이 더 돌출된다.
그리고, 제어 전극(11)의 중앙부(코이닝부)는 자신에게 전달된 열과 외곽부에 전달된 열의 영향을 함께 받게 되므로 외곽부보다 상대적으로 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 전극(11)은 중앙부가 외곽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열팽창된다.
이때, 제어 전극(12)의 열팽창 특성을 감안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중앙 음극 홀더(101-G)와 외곽 음극 홀더(101-R, 101-B)의 열팽창 계수가 설정된 상태이면, 제어 전극(12)의 중앙부에서 중앙 음극(100-G)까지의 간격(A')과 제어 전극(12)의 외곽부에서 외곽 음극(100-R, 100-B)까지의 간격(B', C')이 거의 동일한 간격(A'≒ B'≒ C')을 유지하면서 열팽창된다.
그러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화면 동작 시에 제어 전극(12)의 중앙을 통과하는 녹색(G)빔의 음극 전류와 제어 전극(12)의 외곽을 통과하는 적색(R)빔 및 청색(B)빔의 음극 전류는 그 변화량이 거의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음극 전류 변화량의 차가 8% 이내로 양호하여 화이트 밸런스가 향상된다.
또한, 초기 화면 구동 후에 빠른 시간이내로 세 전자빔의 음극 전류 변화율이 일치되는 안정적인 전류 특성이 나타나므로 결과적으로 휘도 특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예로, 중앙 음극 홀더(101-R)의 열팽창 계수는 12.8×10-6Torr[20℃]로 고정된 상태에서 외곽 음극 홀더(101-R, 101-B)를 열팽창 계수가 8×10-6Torr[20℃]인 Ni-Cr 재질로 변경시키면 외곽 음극 홀더(101-R, 101-B)의 열팽창 계수는 중앙 음극 홀더(101-G)의 62.5%가 되며, 음극 전류 변화량의 차가 15% 이내로 다소 높으나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을 나타낸다.
그리고, 외곽 음극 홀더(101-R, 101-B)의 열팽창 계수를 중앙 음극 홀더(101-G)의 약 31%인 4×10-6Torr[20℃]로 변경할 경우에도 음극 전류 변화량의 차는 15% 이내로 나타나므로 다소 높으나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외곽 음극 홀더(101-R, 101-B)의 열팽창 계수는 중앙 음극 홀더(101-G)의 열팽창 계수보다 대략 31∼63%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기 화면 구동 시에 제어 전극의 열팽창 특성에 대응되어 중앙빔을 방출하는 음극이 외곽빔을 방출하는 음극보다 크게 열팽창되므로 제어 전극에서 음극까지의 간격이 균형있게 변화된다.
따라서, 초기 화면 구동 시에 전자빔들의 음극 전류 차가 최소화되어 화이트 밸런스가 향상되며, 초기 화면 구동 후에 빠른 시간이내로 전자빔들의 음극 전류가 일치되어 휘도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자빔을 방출하는 복수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을 제어·가속·집속하는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은 선단에 전자방사물질이 도포된 슬리브를 상기 전극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에 있어서:
    (1) 상기 홀더는, 상기 복수의 음극 중에서 중앙에 위치한 음극을 지지하는 홀더의 열팽창 계수가 외곽에 위치한 음극을 지지하는 홀더의 열팽창 계수보다 크며,
    (2) 상기 음극은, 열팽창되면 소정 시간동안 상기 중앙 음극이 상기 외곽 음극보다 상기 전극쪽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음극을 지지하는 홀더의 열팽창 계수는, 상기 중앙 음극을 지지하는 홀더의 열팽창 계수보다 대략 31∼63%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KR1019990001394A 1999-01-19 1999-01-19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KR20000051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394A KR20000051122A (ko) 1999-01-19 1999-01-19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394A KR20000051122A (ko) 1999-01-19 1999-01-19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122A true KR20000051122A (ko) 2000-08-16

Family

ID=1957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394A KR20000051122A (ko) 1999-01-19 1999-01-19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112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128A (en) * 1976-07-02 1977-12-13 Rca Corporation Cathode support structure for color picture tube guns to equalize cutoff relation during warm-up
JPH0574366A (ja) * 1991-09-11 1993-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用陰極部
JPH10112268A (ja) * 1996-10-03 1998-04-28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128A (en) * 1976-07-02 1977-12-13 Rca Corporation Cathode support structure for color picture tube guns to equalize cutoff relation during warm-up
JPH0574366A (ja) * 1991-09-11 1993-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用陰極部
JPH10112268A (ja) * 1996-10-03 1998-04-28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4620A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s virtually instantaneously
US6124667A (en) Electron gun for a cathode-ray tube for image display having an electrode with a reduced electron beam limiting hole and a cathode with an electron emissive layer mainly made of an oxide of an alkaline metal and containing an oxide of a rare earth metal
US5552661A (en) Electron gun for cathode tube
KR20000051122A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JPH09306389A (ja)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KR100253059B1 (ko) 개선된 제 1그리드전극을 지닌 컬러음극선관
US4782263A (en) Inline electron gun having at least one modified cathode assembly
KR100456488B1 (ko) 컬러 음극선관
KR200363913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KR20000038623A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KR100249213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과 그 제조방법
US6724139B2 (en)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indirectly heated cathode
US7042146B2 (en) Electron gun structure for a cathode-ray tube
KR940006969Y1 (ko) 음극선관 전자총의 히이터 탭
KR20000011745U (ko) 음극선관용 음극
KR20010077373A (ko) 음극선관용 음극 구조체
KR20010001331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0063327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구조체
JPH11204052A (ja) 陰極及びこれを用いた陰極線管
JP2002093337A (ja) 陰極線管
JP2000149808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00046692A (ko) 음극선관용 음극
JPH05275024A (ja) 陰極線管
JP2000260340A (ja) 画像表示装置
KR20000038620A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