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336A -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 Google Patents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336A
KR20000049336A KR1019990048623A KR19990048623A KR20000049336A KR 20000049336 A KR20000049336 A KR 20000049336A KR 1019990048623 A KR1019990048623 A KR 1019990048623A KR 19990048623 A KR19990048623 A KR 19990048623A KR 20000049336 A KR20000049336 A KR 20000049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transmitter
receiver
transmission lin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6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39688B1 (en
Inventor
우민제
Original Assignee
남상임
주식회사 엠알더블유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임, 주식회사 엠알더블유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남상임
Priority to KR101999004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688B1/en
Publication of KR2000004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3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6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8Strip lin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PURPOSE: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is provid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a flat filter by using a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CONSTITUTION: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comprises a transmitting terminal(110), transmitting resonators(131,133,135), a transmitting bandwidth passing filter(100), a receiving terminal(210), receiving resonators(221,223,225), a receiving bandwidth passing filter(300), and an antenna connecting terminal(300). The transmitting bandwidth passing filter(100) includes a transmitting wire(120). The receiving bandwidth passing filter(300) includes a receiving wire(220). The antenna connecting terminal(300) is connected to an antenna.

Description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본 발명은 듀플렉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uplexers, and more particularly to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s.

도1은 일반적인 듀플렉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duplexer.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플렉서는 안테나 접속단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부 회로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수동소자로서 송신 대역 통과 필터(TxBPF : Tx band pass filter), 수신 대역 통과 필터(RxBPF : Rx band pass filter) 및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Ant)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듀플렉서는 송신시 송신 대역 통과 필터(TxBPF)와 안테나 단자(Ant)를 통하여 송신하고 수신시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Ant)와 수신 대역 통과 필터(RxBPF)를 통하여 수신한다. 따라서, 송신과 수신을 하나의 단자에서 행하는 듀플렉서는 송수신 통과 대역의 손실은 적고 상대 대역 주파수에서 우수한 감쇠특성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As shown in FIG. 1, the duplexer is a passive element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n antenna connection terminal to a transceiver circuit and receives a TxBPF (Tx band pass filter). RxBPF (RxBPF) and an antenna terminal (Ant) connected to the antenna. The duplexer transmits through the transmit band pass filter (TxBPF) and the antenna terminal (Ant)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receives through the antenna terminal (Ant) and the receive band pass filter (RxBPF) connected to the antenna when receiving.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the duplexe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t one terminal has a small loss 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ssband and has excell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at the relative band frequency.

본 발명과 큰 연관을 가지는 듀플렉서는 동축형 공진기로 이루어진 일체형 듀플렉서와 평판형 전송선로로 구성된 필터를 지닌 듀플렉서이다.The duplexer having a great rela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a duplexer having an integrated duplexer composed of a coaxial resonator and a filter composed of a flat transmission line.

종래의 동축형 공진기로 이루어진 일체형 듀플렉서는 공진기의 품질 계수(quality factor)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듀플렉서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그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동축형 공진기로 이루어진 일체형 듀플렉서에 비해 크기가 작은 평판형 공진기로 이루어진 듀플렉서에 있어서는 그 크기가 소형이기 때문에 감쇠 특성을 조절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Since the integrated duplexer made of a conventional coaxial resonator has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uplexer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factor of the resonator,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the size thereof. In addition, in the duplexer composed of a flat plate resonator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integrated duplexer composed of a coaxial resonator,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because of its small siz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형 전송 선로를 이용한 듀플렉서에서 감쇠 특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that can easily adjust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n a duplexer using a flat plate transmission line.

도1은 일반적인 듀플렉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duplexer.

도2(a)는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정면도이다.Fig. 2A is a front view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도2(b)는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모양에 따른 제1 주파수 감쇠 특성이다.2B is a first frequency attenu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도2(c)는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모양에 따른 제2 주파수 감쇠 특성이다.FIG. 2 (c) shows the second frequency attenu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패턴도이다.3 is a pattern diagram of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송수신 단자의 형태이다.4 is a form of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 of the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등가회로이다.5 is an equivalent circuit of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송신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감쇠 특성이다.6 is a frequency attenuation characteristic of a transmission band pass filter of the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감쇠 특성이다.7 is a frequency attenuation characteristic of the receive bandpass filter of the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공진기 사이의 결합 계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진기 구조를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를 이용한다. 이 때, 송신부 대역 통과 필터의 경우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인덕턴스 결합을 이용하고, 수신부 대역 통과 필터의 경우는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캐패시턴스 결합을 이용하여 각각의 공진기 사이의 LC 결합을 원하는 구조로 형성한다. 또한 임의의 공진기 사이의 감쇠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 윗부분에 도전체 전송 선로를 구현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in the resonator structure to adjust the coupling coefficient between each resonator.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transmitter band pass filter, the inductance coupling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is used, and in the case of the receiver band pass filter, the LC coupling between the resonators is formed by using the capacitance coupling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In addition, a conductor transmission line is implemented on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to adjust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arbitrary resonators.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는 송신단자, 송신부 공진기, 송신부 전송 선로, 수신단자, 수신부 공진기, 수신부 전송 선로 및 안테나 접속부를 포함한다.The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er terminal, a transmitter resonator, a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a receiver terminal, a receiver resonator, a receiver transmission line, and an antenna connection unit.

송신단자는 안테나를 통하여 출력되는 송신 대역 주파수가 입력된다.The transmission terminal receives a transmission band frequency output through the antenna.

송신부 공진기는 다수 개의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로 구성되며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상단부의 폭이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하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하단부가 접지된다.The transmitter resonato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s,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and the lower end is grounded.

송신부 전송 선로는 송신부 공진기의 상단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송신부 공진기와 수직으로 형성된다.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transmitter resonato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upper end of the transmitter resonator.

수신단자는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되는 수신 대역 주파수가 출력된다.The receiving terminal outputs a reception band frequency input through the antenna.

수신부 공진기는 다수 개의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로 구성되며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상단부의 폭이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하단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하단부가 접지된다.The receiver resonato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s,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and the lower end is grounded.

수신부 전송 선로는 수신부 공진기의 상단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수신부 공진기와 수직으로 형성된다.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receiver resonato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upper end of the receiver resonator.

안테나 접속부는 송신 단자, 송신수 공진기 및 수신부 전송 선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송신 대역 주파수를 외부로 송신하고, 수신부 전송 선로, 수신부 공진기 및 수신 단자를 통하여 외부의 수신 대역 주파수를 수신하며 안테나와 연결된다.The antenna connection unit transmits a transmission band frequency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terminal, the transmission resonator, and the reception transmission line to the outside, receives an external reception band frequency through the reception transmission line, the reception resonator, and the reception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the antenna.

이 때, 송신부 전송 선로와 수신부 전송 선로는 각각의 전송 선로의 길이 및 송신부 공진기와 수신부 공진기와의 거리에 의하여 감쇠극의 위치를 조절한다.At this time, 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and 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adjust the positions of the attenuation poles by the length of each transmission lin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resonator and the receiver resonator.

또한, 송신부 전송 선로와 수신부 전송 선로는 전체가 하나 혹은 소정 개의 조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and 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are entirely formed in one piece or a predetermined piece.

그리고, 송신단자와 수신단자는 기판의 윗면에서 기판의 측면을 지나 기판의 아랫면까지 형성된다.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마지막으로, 안테나 접속부는 송신부 공진기와 수신부 공진기 사이에 세로로 길게 도전체로 형성되며, 도전체는 2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상단의 도전체는 인접한 송신부 공진기 및 수신부 공진기와 캐패시턴스 결합을 하고, 하단의 도전체는 접지된다.Lastly, the antenna connection part is formed as a long vertical conductor between the transmitter resonator and the receiver resonator, and the conductor is composed of two pieces, and the upper conductor consists of capacitance coupling with the adjacent transmitter resonator and receiver resonator, and the lower conductor. Is ground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2(a)은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정면도이다.Fig. 2A is a front view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는 모양에 따라 공진기의 임피던스가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폭 w1에서 w2로 변하는 지점에서 임피던스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 때, 빗금친 부분은 도전체를 나타낸다.As shown in FIG. 2A, the impedance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changes dis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impedance changes discontinuously at the point where the width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changes from w1 to w2. At this time, the hatched portions represent conductors.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폭 w1부분을 접지하였을 경우에는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결합은 캐패시턴스 결합 성분이 우세하게 형성되어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 대역폭보다 낮은 위치에 감쇠극이 형성된다.When the width w1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is grounded, the coupling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is predominantly formed with a capacitance coupling component, so that the attenuation pole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pass bandwidth as shown in FIG.

또한,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폭 w2부분을 접지하였을 경우에는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결합은 인덕턴스 결합 성분이 우세하게 형성되어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 대역폭보다 높은 위치에 감쇠극이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width w2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is grounded, the inductance coupling component is predominantly formed in the coupling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to form attenuation pol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ass bandwidth as shown in FIG.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패턴도이다.3 is a pattern diagram of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는 송신단자(110), 송신부 공진기(131,133,135), 송신부 전송 선로(120)를 포함하는 송신부 대역 통과 필터(100), 수신단자(210), 수신부 공진기(221,223,225) 및 수신부 전송 선로(220)를 포함하는 수신부 대역 통과 필터(300) 및 안테나와 접속되는 안테나 접속단(300)을 포함한다. 이 때, 빗금 친 부분은 기판 위에 형성된 도전체를 나타낸다.As shown in FIG. 3, the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er band pass filter 100 including a transmitter terminal 110, a transmitter resonator 131, 133, 135, and a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120. The receiver 210 includes a receiver band pass filter 300 including a receiver terminal 210, receiver resonators 221, 223, and 225, and a receiver transmission line 220, and an antenna connection terminal 300 connected to an antenna. At this time, the hatched portion represents the conductor formed on the substrate.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송수신단자의 형태이다.4 is a form of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 of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송신단자(110)는 PCB 기판의 윗면에서 접지되는 PCB 기판의 아랫면까지 도전체가 형성됨으로써 솔더링시 땜납이 지정된 영역이외의 곳으로 흘러 건전 부품과 단락되는 것을 막는다.As shown in Fig. 4, the transmission terminal 110 of the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ductor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to be grounded so that the solder flows out of the designated region when soldering. Prevent short circuits with healthy parts.

송신부 공진기(131,133,135)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로 구성되며 하단부가 접지되고,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보다 좁으므로 그 송신부 공진기 상호간의 결합은 인덕턴스 성분이 우세하게 된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등가회로에서는 송신부 공진기(131,133,135)사이에 인덕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된다. 이 때, 상단부와 하단부의 폭이 변하는 지점을 조절하여 공진기 결합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resonators 131, 133, and 135 are configured as discrete impedance resonators as shown in FIG. 3, and the lower end is grounded, and the width of the upper end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end,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transmitter resonators is superior to the inductance component. Therefore, in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an inductor is shown between the transmitter resonators 131, 133, and 135.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may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resonator coupling degree by adjusting a point where the width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changes.

송신부 전송 선로(1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 공진기(131,133,135)의 윗부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송신부 공진기(131,133,135)와 수직으로 형성되며, 전체가 하나로 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120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transmitter resonators 131, 133, and 135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transmitter resonators 131, 133, and 135 as shown in FIG. 3, and may be formed in one piece or in pieces. have.

이와 같이 형성된 송신부 전송 선로(120)와 송신부 공진기(131,133,135) 사이에는 캐패시턴스 성분이 생긴다. 이렇게 형성된 송신부 전송 선로(120)와 송신부 공진기(131,133,135) 사이의 캐패시턴스 성분은 송신부 공진기(131,133,135) 사이에 존재하는 인덕턱스 성분과 함께 송신 대역 주파수보다 높은 위치에 감쇠극을 2개 형성한다.The capacitance component is generated between 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120 and the transmitter resonators 131, 133, and 135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apacitance component between 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120 and the transmitter resonators 131, 133, and 135 formed as described above forms two attenuation poles at positions higher than the transmission band frequency together with the inductance component existing between the transmitter resonators 131, 133, and 135.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송신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감쇠 특성이다.6 is a frequency attenuation characteristic of a transmission band pass filter of the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 전송 선로(120)로 인하여 송신 대역 주파수보다 높은 위치에 감쇠극이 2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만 있었을 때에는 송신 대역 주파수보다 높은 위치에 감쇠극이 1개 형성되는 반면에 송신부 전송 선로(120)를 송신부 공진기(131,133,135) 상단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하면 송신 대역 주파수 보다 높은 위치에 감쇠극을 2개 형성할 수 있음으로 송신 대역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에 대한 감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6, it can be seen that two attenuation poles ar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transmission band frequency due to 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120. That is, as shown in Fig. 2 (c), when there is only a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one attenuation pole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transmission band frequency, whereas 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120 is fixed on the transmitter resonators 131, 133, and 135 on top. When provided at a distance, two attenuation poles can be formed at positions higher than the transmission band frequency, thereby improving attenuation performance for frequencies other than the transmission band frequency.

또한, 송신부 전송 선로(120)와 송신부 공진기(131,133,135)의 거리를 가깝게 하고 송신부 전송 선로(120)의 길이를 길게 하면, 송신부 전송 선로(120)와 송신부 공진기(131,133,135) 사이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 성분이 증가하여 도6에 도시된 주파수 감쇠 특성이 점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평판형 전송선로로 구성된 필터를 지닌 듀플렉서에 있어서는 그 크기의 소형화에 따른 감쇠특성의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lso,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120 and the transmitter resonator 131, 133, 135 is made close and the length of 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120 is increased, the capacitance component existing between 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120 and the transmitter resonator 131, 133, 135 is present. Increasingly, the frequency attenuation characteristic shown in FIG. 6 is moved to the dotted line. Therefore, in the duplexer having a filter composed of a flat plate transmission lin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size reduction.

수신단자(210)는 앞서 설명했던 송신단자와 같은 내용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receiving terminal 210 is the same as the transmitting terminal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수신부 공진기(231,233,235)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로 구성되며 하단부가 접지되고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보다 넓으므로 수신부 공진기 상호간의 결합은 캐패시턴스 성분이 우세하게 된다. 이 때, 수신부 공진기(231,233,235) 또한 송신부 공진기(131,133,135)와 마찬가지로 상단부와 하단부의 폭이 변하는 지점을 조절하여 공진기 결합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ince the receiver resonators 231, 233, and 235 are configured as discrete impedance resonators as shown in FIG. 3, and the lower end is grounded and the upper end is wider than the lower end, the coupling between the receiver resonators has a predominant capacitance component. In this case, like the transmitter resonators 131, 133, and 135, the receiver resonators 231, 233, and 235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by changing the resonator coupling degree by adjusting the point where the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changes.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등가회로에서는 수신부 공진기(231,233,235)사이에 캐패시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된다. 이렇게 송신부 대역 통과 필터(100)와 수신부 대역 통과 필터(200)에 각각 쓰이는 송신부 공진기(131,133,135)와 수신부 공진기(221,223,225)를 서로 반대 모양의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를 사용하고 그 하단을 공히 접지시킴으로써 송수신 주파수를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듀플렉서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a capacitor is present between the receiver resonators 231, 233 and 235. In this way, the transmitter resonators 131, 133, 135 and the receiver resonators 221, 223, 225 used in the transmitter band pass filter 100 and the receiver band pass filter 200 are respectively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s having opposite shapes and grounded at the lower end thereof, there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equencies. Can be lowere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entire duplexer.

수신부 전송 선로(2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 공진기(231,233,235)의 윗부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수신부 공진기(231,233,235)와 수직으로 형성되며, 송신부 전송 선로(120)와 마찬가지로 전체가 하나 혹은 소정 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220 is vertically formed with the receiver resonators 231, 233, 235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receiver resonators 231, 233, and 235. It can be made of two pieces.

이와 같이 형성된 수신부 전송 선로(220)와 수신부 공진기(231,233,235) 사이에는 캐패시턴스 성분이 생긴다. 이렇게 형성된 수신부 전송 선로(220)와 수신부 공진기(231,233,235) 사이의 캐패시턴스 성분은 수신부 공진기(231,233,235) 사이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 성분과 함께 수신 대역 주파수보다 낮은 위치에 감쇠극을 2개 형성한다.The capacitance component is generated between 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220 and the receiver resonators 231, 233, and 235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apacitance component between 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220 and the receiver resonators 231, 233 and 235 formed as described above forms two attenuation poles at positions lower than the reception band frequency together with the capacitance components existing between the receiver resonators 231, 233 and 235.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의 수신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감쇠 특성이다.7 is a frequency attenuation characteristic of the receive bandpass filter of the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 전송 선로(220)로 인하여 수신 대역 주파수보다 낮은 위치에 감쇠극이 2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만 있을 때에는 수신 대역 주파수보다 낮은 위치에 감쇠극이 1개 형성되는 반면에 수신부 전송 선로(220)를 수신부 공진기(231,233,235) 상단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하면 수신 대역 주파수 보다 낮은 위치에 감쇠극을 2개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수신 대역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에 대한 감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7, it can be seen that two attenuation poles are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reception band frequency due to 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220. That is, as shown in FIG. 2 (b), when there is only a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one attenuation pole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reception band frequency while 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220 is fixed on the receiver resonators 231, 233, and 235. When provided at a distance, two attenuation poles can be formed at positions lower than the reception band frequency, thereby improving attenuation performance for frequencies other than the reception band frequency.

또한, 수신부 전송 선로(220)와 수신부 공진기(231,233,235)의 거리를 가깝게 하면, 수신부 전송 선로(220)와 수신부 공진기(231,233,235) 사이에 존재하는 캐패시턴스 성분이 증가하여 도7에 도시된 주파수 감쇠 특성이 점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평판형 전송선로로 구성된 필터를 지닌 듀플렉서에 있어서는 그 크기의 소형화에 따른 감쇠특성의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220 and the receiver resonators 231, 233, 235 is close, the capacitance component existing between 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220 and the receiver resonators 231, 233, 235 increases to increase the frequency attenuation characteristics shown in FIG. 7. It will move to the dotted line. Therefore, in the duplexer having a filter composed of a flat plate transmission lin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size reduction.

안테나 접속부(3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 대역 통과 필터(100)와 수신부 대역 통과 필터(200) 사이에 두 개의 막대 모양의 도전체가 일렬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antenna connection unit 300 has two rod-shaped conductors formed in a row between the transmitter band pass filter 100 and the receiver band pass filter 200.

안테나 접속부(300)는 송신 단자(110), 송신수 공진기(131,133,135) 및 송신부 전송 선로(120)를 통하여 전송되는 송신 대역 주파수를 외부로 송신하고, 수신부 전송 선로(320), 수신부 공진기(321,323,325) 및 수신 단자(310)를 통하여 외부의 수신 대역 주파수를 수신하며 안테나와 연결된다.The antenna connection unit 300 transmits a transmission band frequency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terminal 110, the transmission resonators 131, 133, and 135 and the transmission unit transmission line 120 to the outside, and receives the transmission unit transmission line 320 and the reception unit resonators 321, 323, and 325. And receives an external reception band frequency through the reception terminal 310 and is connected to the antenna.

이 때, 위쪽의 도전체는 송신부 공진기(135) 및 수신부 공진기(235)와 캐패시터 성분으로 연결됨으로써 매칭 임피던스가 가능하게 하고, 아래쪽의 도전체는 접지되어 송신부 대역통과 필터(100)와 수신부 대역 통과 필터(200)를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시킨다.At this time, the upper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resonator 135 and the receiver resonator 235 by the capacitor component to enable matching impedance, and the lower conductor is grounded to transmit the transmitter bandpass filter 100 and the receiver band pass. The filter 200 is electrically and completely separa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실시예 외에 많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of course,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에 따르면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를 이용하여 기존의 평판형 필터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송 선로를 이용하여 감쇠극의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듀플렉서의 크기를 줄이면서 고성능의 듀플렉서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duplexer can be overcome by using a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flat filter, and the attenuation pole can be adjusted using the transmission line. A high performance duplexer can be obtained while reducing the

Claims (5)

안테나를 통하여 출력되는 송신 대역 주파수가 입력되는 송신단자;A transmission terminal to which a transmission band frequency output through the antenna is input; 다수 개의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로 구성되며 상기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상단부의 폭이 상기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하단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가 접지되는 송신부 공진기;A transmitter reson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s,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being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and the lower end being grounded; 상기 송신부 공진기의 상단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송신부 공진기와 수직으로 형성되는 송신부 전송 선로;A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transmitter resonato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t an upper end of the transmitter resonator;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되는 수신 대역 주파수가 출력되는 수신단자;A reception terminal for outputting a reception band frequency input through an antenna; 다수 개의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로 구성되며 상기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상단부의 폭이 상기 불연속 임피던스 공진기의 하단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가 접지되는 수신부 공진기;A receiver resonator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s,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being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discontinuous impedance resonator, and the lower end being grounded; 상기 수신부 공진기의 상단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수신부 공진기와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신부 전송 선로; 및A receiver transmission lin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receiver resonato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t an upper end of the receiver resonator; And 상기 송신 단자, 상기 송신수 공진기 및 상기 송신부 전송 선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송신 대역 주파수를 외부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 전송 선로, 상기 수신부 공진기 및 상기 수신 단자를 통하여 외부의 수신 대역 주파수를 수신하며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 접속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Transmits an external transmission band frequency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terminal, the transmission number resonator and the transmission unit transmission line, and receives an external reception band frequency through the reception unit transmission line, the reception unit resonator, and the reception terminal;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comprising an antenna connection to it.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송신부 전송 선로와 상기 수신부 전송 선로는 상기 각각의 전송 선로의 길이 및 상기 송신부 공진기와 상기 수신부 공진기와의 거리에 의하여 각각 송수신 대역에서 감쇠극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And 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and 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adjust the positions of the attenuation poles 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ands by the length of each transmission lin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resonator and the receiver resona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송신부 전송 선로와 상기 수신부 전송 선로는 하나 혹은 소정 개의 조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And the transmitter transmission line and the receiver transmission line are formed in one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pieces.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송신단자와 수신단자는 기판의 윗면에서 기판의 측면을 지나 기판의 아랫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And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re form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fter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 접속부는 상기 송신부 공진기와 상기 수신부 공진기 사이에 세로로 길게 도전체로 형성되며, 상기 도전체는 2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상단의 도전체는 인접한 송신부 공진기 및 수신부 공진기와 캐패시턴스 결합을 하고, 하단의 도전체는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The antenna connection part is formed of a conductor that is vertically long between the transmitter resonator and the receiver resonator, and the conductor consists of two pieces, and the upper conductor is coupled to the capacitance of an adjacent transmitter resonator and the receiver resonator, and the lower conductive part. The sieve is grounded.
KR1019990048623A 1999-11-04 1999-11-04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KR100339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623A KR100339688B1 (en) 1999-11-04 1999-11-04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623A KR100339688B1 (en) 1999-11-04 1999-11-04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336A true KR20000049336A (en) 2000-08-05
KR100339688B1 KR100339688B1 (en) 2002-06-05

Family

ID=1961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623A KR100339688B1 (en) 1999-11-04 1999-11-04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6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75B1 (en) * 2004-12-27 2006-08-01 전자부품연구원 Duplexer using T-junction patter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383Y1 (en) 2009-03-05 2011-10-27 주식회사 티큐브텍 Frequency Combiner and Combin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75B1 (en) * 2004-12-27 2006-08-01 전자부품연구원 Duplexer using T-junction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9688B1 (en) 200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8153B1 (en) Bandpass filter, duplexer, high-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s device
US4879533A (en) Surface mount filter with integral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US6166612A (en) Coplanar line filter and duplexer
JP2764903B2 (en) Multiple resonator elements-mountable filters
EP0872024A1 (en) Amplifier for antennas
KR100249836B1 (en) Duplexer with step-impedence resonator
KR100339688B1 (en) A microstrip dielectric duplexer
KR100456004B1 (en) Transmission band pass filter of duplexer
KR20210025947A (en) Wide band filter of PCB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phase balance of the signal
KR100419237B1 (en) Frequency isolating circuit of a duplexer
KR100367718B1 (en) Microwave filter with serial U-type resonators
KR200263615Y1 (en) Dielectric Filters with Attenuation Poles
KR100314086B1 (en) A ceramic filter
KR100431939B1 (en) A monoblock dual-band duplexer
KR100328249B1 (en) monoblock type antenna-duplexer
KR10030557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electric duplexer
KR100431938B1 (en) A monoblock dual-band duplexer
KR100504813B1 (en) Front end transceiver for dual mode terminal
KR20020029521A (en) Duplexer for mobile communication
KR101322286B1 (en) Receive band stop filter waveguide integrated transmitter
JP2004297369A (en) Filter circuit,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230864Y1 (en) Dielectric Filters which have good attenuation characteristics
KR20020042091A (en) Frequency isolating circuit of a duplexer
CN113725574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filter
KR20010038222A (en) A ceramic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