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232A -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 Google Patents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232A
KR20000048232A KR1019990058897A KR19990058897A KR20000048232A KR 20000048232 A KR20000048232 A KR 20000048232A KR 1019990058897 A KR1019990058897 A KR 1019990058897A KR 19990058897 A KR19990058897 A KR 19990058897A KR 20000048232 A KR20000048232 A KR 20000048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resonator
cuboid
resonator antenna
symmetry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726B1 (ko
Inventor
하인리히프랑크
포라쓰레베카
마쎄이피터제이.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00048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Non-resonant leaky-waveguide or transmission-lin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4Non-resonant leaky-waveguide or transmission-lin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constituted by a dielectric or ferromagnetic rod or pi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85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 재료의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에 관한 것인데, 상기 직육면체 내에서 고유 모드가 특히 외부 여기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의 고유 모드 전기장 분포는 두 개 이상의 평행하지 않은 대칭면(4, 5)을 구비한다. 부피를 감소시키고 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더 우수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대칭면(4, 5)의 교차 라인과 평행하게 이어 있는 상기 직육면체 에지가 상기 직육면체의 가장 짧은 에지를 구성하게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 에지의 길이는 d 로 참조되고 또한 상기 직육면체의 기타 두 개의 에지 길이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에서는 분명하게 더 작다. 상기 안테나 부피를 더 우수하고 또한 매우 신축성 있게 감소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에지 길이가 감소되어져야 한다. 놀랍게도, 길이(d)를 가지는 에지가 안테나(1) 효율의 상당한 손실이 없이도 뚜렷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 나타난다. 복사 전력과 공명 주파수의 정밀도는 모두 유지된다.

Description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DIELECTRIC RESONATOR ANTENNA}
본 발명은, 유전 재료의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에 관한 것인데, 상기 직육면체 내에서 고유 모드가 특히 외부 여기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의 고유 모드의 전기장 구성이 두 개 이상의 평행하지 않은 대칭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전 재료의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인데, 상기 직육면체 내에서 송신기, 수신기 및 고유 모드가 특히 외부 여기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의 고유 모드의 전기장 구성은 두 개 이상의 평행하지 않은 대칭면을 구비한다.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는 마이크로파 주파수에 대하여 세라믹이나 기타 유전 매체의 소형화된 안테나로 공지되어 있다. εr>> 1인 상대적 유전율을 갖는 유전 매체가 공기에 의하여 둘러 싸인 유전체 공진기는, 유전 매체의 경계면 상에서 전자기적 제한 조건으로 인하여 고유 주파수와 고유 모드의 이산 스펙트럼을 가진다. 이들 조건은 경계면 상의 주어진 제한 조건을 갖는 상기 유전 매체에 대한 전자기 방정식의 특수해에 의하여 한정된다. 복사 손실이 회피될 때 아주 우수한 성능을 구비하는 공진기와는 반대로, 공진기 안테나에서는 전력 복사가 주 항목이 된다. 전도성이 있는 구조물이 복사용 소자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표피 효과(skin effect)가 불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안테나는 높은 주파수에서 낮은 저항 손실을 가진다.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율을 가지는 재료가 사용될 때, εr을 증가시킴으로써 구조물의 크기가 미리 선택된 고유 주파수(송신 및 수신 주파수)에 대하여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치밀하고 소형화된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소정 주파수에서 DRA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εr에 반비례한다. εr을 α인수 만큼 증가시키는 것은, 공진기 주파수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모든 크기를 √α인수만큼 감소시키게 하며, 그 부피를인수 만큼 감소시키게 한다. 더욱이, DRA 에 대한 재료는 높은 주파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작은 유전 손실과 온도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사용될 수 있는 재료를 엄격하게 제한한다. 적절한 재료는 전형적으로 최대값이 120인 εr의 값을 가진다. 소형화 가능성에 대한 이러한 제한 외에, DRA의 복사 특성이 εr이 증가하면서 저하하게 된다.
일례로 고려되는 기본적인 형태의 그러한 DR 안테나(1)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직육면체(cuboid)의 형태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원통형이나 구형의 기하학적인 모양과 같은 형태도 가능하다.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는 모듈의 공명 주파수(고유 주파수) 중 하나의 주파수 근처에 있는 협대역에서만 동작하는 공명 모듈이다. 안테나를 소형화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은 소정의 안테나 크기와 동작하는 동작 주파수가 낮아지게 된다는 사실에 있다. 그리하여, 가장 낮은 공명() 모드가 사용된다. 이 모드는 이 모드의 전자기장 중에서 전기장의 한 대칭면이 기준 대칭면(2)이 되는 대칭면들을 가진다. 안테나가 대칭면(2)으로 이등분되고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갖는 면(3)이 증착(예를 들어 금속 코팅)될 때, 이 공명 주파수는 원래의 크기를 갖는 안테나의 공명 주파수와 동일하게 지속된다. 이 방식으로, 동일한 모드가 동일한 주파수로 구성되어지는 구조가 얻어진다. 이것은 도 2에 나타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율(εr)을 가지는 유전 매체에 의하여 이 안테나에 대한 소형화가 추가로 달성될 수 있다. 낮은 유전 손실을 구비하는 재료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는 논문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공명 주파수와 대역폭에 대한 개관 및 일반적 설계 관계"(라제시 케이. 몽기아 및 프라카시 바르디아, 마이크로파와 밀리미터파의 컴퓨터 지원 엔지니어링의 인턴 저널, 제 4 권 제 3 호 1994년 pp 230-247)에 개시되어 있다. 이 논문은 원통형, 구형 및 직사각형 DRA 와 같은 여러 가지 모양에 대한 복사 특성과 모드에 대한 개관을 제공하고 있다. 여러 가지 모양에 대하여, 가능한 모드와 대칭면이 도시되어 있다(도 4, 도 5, 도 6, p 240, 좌측 컬럼, 라인 1 내지 21 참조). 특히 직육면체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가 도 9 와 연관 도면에 기술되어 있다. y = 0인 x-z 평면이나 x = 0인 y-z 평면에 있는 금속면에 의하여,모드에 대하여 전계 구조나 기타 공명 특성이 변경되지 않으면서 원래의 구조가 이등분으로 될 수 있다(p.244, 우측 컬럼, 라인 1 내지 7). DRA 는 마이크로파 리드(lead)를 통하여 여기(excited)되는데, 거기서 리드는 마이크로파 라인(예를 들어,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이나 동축 라인의 끝)의 주위에 스트레이 전계(stray field) 내로 삽입되어진다.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능성은 외부 면으로서 서로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대칭면의 사용으로 제한되어진다. 이 방식으로, DRA의 부피는 동일한 주파수에서 4 의 인수만큼만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를 감소시키는 더 우수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반적인 부피를 감소시키고 장치 내에 소자를 설치하는데 더 우수한 가능성을 구비하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동 무선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목적은 대칭면의 교차 라인과 평행하게 이어져 있는 직육면체 에지가 상기 직육면체의 가장 짧은 에지를 구성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고유 모드의 전기장 구성의 대칭면은 서로 직각이고 직육면체의 각 외부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대칭면의 교차 라인은 상기 직육면체의 에지 중 하나의 에지와 평행하게 된다. 이 에지의 길이는 d 로 참조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에서는 상기 직육면체의 두 개의 다른 에지의 길이보다 명확히 더 작다. 길이(d)를 구비하는 에지는 이리하여 안테나의 고유 모드의 전기장에 수직이다. 안테나 부피를 더 우수하고 특히 신축성 있게 감소시키게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에지의 길이가 감소되어야 한다. 놀랍게도, 길이(d)를 구비하는 에지가 안테나의 상당한 효율의 손실이 없이 명확히 단축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공명 주파수의 복사 전력과 정밀도는 모두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직육면체의 기하학적인 중심에서 제 1 외부 면과 평행하게 있는 제 1 대칭면이 있고, 상기 제 1 대칭면에 수직하고 직육면체의 기하학적인 중심에서 제 2 외부면과 평행하게 있는 제 2 대칭면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대칭면은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의 각 외부면을 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또한 전기적으로 전도성 코팅이 상기 대칭면으로 구성된 상기 외부면 상에 증착되게 된다. 가장 낮은 고유 모드가 공명 주파수로서 사용되는 때에, 상기 대칭면은 상기 직육면체의 중심에서 각 에지 길이의 절반 지점에서 발견된다. 안테나의 소형화에 대해서조차, 전기적으로 전도성 코팅을 갖는 대칭면은 외부면을 구성하는 것을 제공된다면, 교차 라인과 평행하게 있는 에지 길이(d)는 안테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유리하게 매우 감소될 수 있다. 직육면체 에지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있으며 코팅되어 있는 외부면의 크기가 감소되는 반면, 전력이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안테나의 외부면의 크기는 유지된다. 이것은 안테나 부피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높은 안테나 효율을 가져다 준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 코팅이 두 개의 외부면 상에 증착되는데, 하나의 금속 코팅은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되고, 인쇄 회로 기판은 송신이나 수신 신호를 위한 라인을 포함하고, 송신이나 또한 수신 신호를 위한 상기 라인은 상기 금속 코팅을 통하여 상기 안테나와 상기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상에 설치된 접점에 연결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를 구비하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동 무선 전화기에 의하여 달성되는데, 상기 안테나에서 대칭면의 교차 라인과 평행하게 있는 직육면체 에지가 직육면체의 가장 짧은 에지를 구성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측면과 기타 측면은 이하 기술되는 실시예(들)를 참조로 하여 밝혀지고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 은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 는 대칭면에서 전기적으로 전도성 코팅을 구비하는 이등분된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 은 측면 길이(a, b, 및 d)를 구비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의 직육면체의 기본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 는 가장 짧은 측면 길이에 수직한 평면에서 직육면체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의 고유 모드의 전기장의 전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b 는 상기 전계 구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의 대칭면을 따라 크기가 감소된 안테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 는 리드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 는 송신 및 수신 경로와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를 갖는 이동 무선 전화기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8 :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4, 5 : 비평행 대칭면
9 : 인쇄 회로 기판 10 : 리드
도 3 은 직교 좌표계의 방향(x, y, 및 z)에서 직사각형의 측면부와 측면 길이(a, b, 및 d)를 구비하는 기본적인 모양으로 된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DRA :dielectric resonator antenna)(1)를 도시하고 있다. DRA(1)은 기하학적인 모양과 외부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고 또한 사용되는 재료의 상대적 유전율(εr)에 의하여 결정되는, 고유 주파수의 이산 스펙트럼을 가진다. 한정된 주파수에서 마이크로파 전력에 대한 안테나로서 DRA(1)를 사용하기 위해, 이 안테나의 고유 주파수는 이 한정된 주파수의 인접 대역에 있어야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DRA(1)는 주어진 주파수로서 GSM900 표준의 중심 주파수(942.5MHz)에 대하여 설계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εr= 85 의 값을 가지는 온도에 안정한 세라믹이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직육면체 DRA(1)에 대하여 약 ab30 mm 및 d5.5 mm 의 크기를 가지게 한다. 이러한 크기는 이동 통신 장치 내에 통합하기에는 너무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A(1)의 크기는 감소된다.
도 4a 는 가장 짧은 측면 길이(d)에 수직한 평면에서 직사각형 모양의 DRA(1)를 통한 횡단면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측면 길이(a 및 b)는 x 축 및 y 축 방향으로 각각 놓여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DRA(1)의 가장 낮은 주파수를 갖는 고유 모드에 속하는 전기장의 전계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전계 구성은 서로에 수직인 두 개의 대칭면(4 및 5)을 x = a/2 및 y = b/2 에서 선명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횡단면에서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이 두 개의 대칭면(4 및 5)과 교차선은 도면의 면에 대하여 수직하다. 도 3은 상기 교차 라인과 평행하게 있는 직육면체 에지가 기준 길이(d)라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만일 DRA(1)이 이들 평면 중 하나의 평면을 따라 차단되고 또한 차단면이 코팅(6, 7)을 갖게 금속으로 처리되면, 동일한 모드가 동일한 주파수에서 이루어지는 구조가 얻어질 것이다. 만일 이 방법이 두 번 사용되면, 크기가 감소된 DRA(8)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질 수 있다. 공지된 대칭면(4 및 5)에 의하여 DRA(1)의 부피는 인수 4에 의해 일정한 주파수에서 a/2*b/2*d(x*y*z)로 감소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결과는 15*15*5.5mm3의 크기를 가지는 DRA(8)가 된다.
DRA(1)의 부피는 길이(d)에 직접 의존하기 때문에, DRA(1)는 d를 짧게 함으로써 소형화될 수 있다. 특히 부피(a/2*b/2*d)를 갖는 크기가 감소된 DRA(8)를 가지고, 코팅(6, 7)으로 도포된 외부면 만이 짧아짐으로 감소된다. a/2*d 또는 b/2*d를 초과하는 이들 면의 확장은 에지의 길이(d)에 의존하는 반면, 외부면(a/2*b/2)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특히 DRA(8)의 방사하는 외부면의 크기가 효율의 특성이고 금속 처리된 외부면을 통하여 전력이 방사되지 않기 때문에, DRA(8)의 방사 효율은 조금만 감소된다.
도 5 는 리드(10)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9) 상에 장착된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8)를 나타내고 있다. 이 리드(10)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0)으로 구성되어 있다. DRA(8)는 εr= 81 이고 크기가 a = 9.7 mm, b = 9.7 mm 및 d = 3.55 mm를 갖는 유전 재질의 직육면체에 의하여 구성된다. 인쇄 회로 기판(9)에 수직인 좁은 외부면 상에 금속 코팅으로 DRA가 도포된다. 인쇄 회로 기판(9)은 유전 코팅 상에 전도성 면으로 구성된다. 리세스된 부분이 DRA(8)의 금속 코팅이 없는 좁은 외부면과 접하고 있는, 전도성 면으로부터 이 리세스된 부분 내에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0)이 증착된다.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0)은 송신이나 수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전기적 접점(11)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0)과 접하는 DRA(8)의 좁은 외부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데, 이 접점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0)과 연결되어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라인(10)의 타단에는, 동축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다른 접점이 있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DRA(8)는 1906.5MHz 의 중심 주파수와 2.4%의 3㏈ 대역폭을 가진다.
도 6 은 예를 들어 GSM 표준을 만족시키는 이동 무선 전화기와 같은 DRA(8)를 포함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의 송신 및 수신 경로의 기능 블록도를 블록도로 도시하고 있다. DRA(8)는 안테나 스위치 또는 주파수 듀플렉서(12)에 연결되는데, 주파수 듀플렉서(12)는 수신이나 송신 모드에서 수신이나 송신 경로를 DRA(8)에 연결한다. 수신 모드에서, 아날로그 무선 신호는 수신 회로(13)를 통하여 A/D 변환기(14)에 도달한다. 생성된 디지털 신호는 복조기(15)에서 복조되고 후속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16)에 가해진다. DSP(16)에서, 개별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등화 기능, 해독 기능, 채널 디코딩 기능 및 음성 디코딩 기능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스피커(18)를 통하여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는 D/A 변환기(17)에 의하여 생성된다.
송신 모드에 있어서, 마이크로폰(19)에 의하여 포착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A/D 변환기(20)에서 변환되고 DSP(21)에 인가된다. DSP(21)은 수신 모드에 대하여 보완하여 음성 코딩 기능, 채널 코딩 기능 및 암호화 기능을 실행하는데, 이들 기능들은 단일 DSP 에 의하여 모두 실행된다. 이진 코드 데이터 워드는 변조기(22)에서 GMSK 변조되고 그후 D/A 변환기(23)에서 아날로그 무선 신호로 변환된다.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송신기 엔드 스테이지(24)는 DRA(8)을 통하여 전송될 무선 신호를 발생시킨다.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8, 13, 14, 15, 16, 17, 18 또는 8, 19, 20, 21, 22, 23, 24)의 기술은 단일 송신기 또는 수신기의 경로에 해당한다. 주파수 듀플렉서(12)는 제공될 필요가 없지만, 송신 경로와 수신 경로는 안테나로서 그 경로 자신의 DRA(8)를 사용한다. 이동 무선 분야에 사용하는 것에 더하여, 무선 전송의 임의의 기타 분야에서의 사용도 생각해 볼 수 있다[예를 들어, DECT 또는 CT 표준에 따른 무선 전화기, 무선 계전기 장비 또는 트렁킹(trunking) 세트 또는 페이저에 대하여]. DRA(8)는 전송 주파수에 항상 적용 가능할 수 있다.

Claims (6)

  1. 유전 재질의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로서, 상기 직육면체 내에서 고유 모드가 특히 외부 여기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의 상기 고유 모드의 전기장 구성은 두 개 이상의 평행하지 않은 대칭면(4, 5)을 가지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4, 5)의 교차 라인과 평행하게 있는 상기 직육면체 에지는 상기 직육면체의 가장 짧은 에지를 구성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대칭면(4)은 상기 직육면체의 기하학적인 중심에서 제 1 외부면과 평행하게 이어 있고,
    제 2 대칭면(5)은 상기 제 1 대칭면에 수직하고 또한 상기 직육면체의 상기 기하학적인 중심에서 제 2 외부면과 평행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대칭면(4, 5)은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8)의 각 외부면을 구성하도록 제공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전도성 코팅(6, 7)은 상기 대칭면(4, 5)에 의하여 구성된 상기 외부면 상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외부면은 각각이 금속 코팅(6, 7)으로 도포되고,
    하나의 금속 코팅(7)은 인쇄 회로 기판(9)에 연결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9)은 송신이나 수신 신호를 위한 라인(10)을 포함하고,
    송신이나 수신 신호를 위한 상기 라인(10)은 상기 금속 코팅(7)과 상기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8) 상에 증착된 접점(11)을 통하여 상기 안테나(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
  4. 유전 재질의 직육면체에 의하여 구성된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를 포함하는 송신기(8, 13, 14, 15, 16, 17, 18)로서, 상기 직육면체 내에서 고유 모드가 특히 외부 여기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의 상기 고유 모드의 전기장 구성은 두 개 이상의 평행하지 않은 대칭면(4, 5)을 가지는, 송신기(8, 13, 14, 15, 16, 17, 18)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4, 5)의 교차 라인과 평행하게 이어 있는 상기 직육면체 에지는 상기 직육면체의 가장 짧은 에지를 구성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8, 13, 14, 15, 16, 17, 18).
  5. 유전 재질의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를 포함하는 수신기(8, 19, 20, 21, 22, 23, 24)로서, 상기 직육면체 내에서 고유 모드가 특히 외부 여기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의 상기 고유 모드의 전기장 구성이 두 개 이상의 평행하지 않은 대칭면(4, 5)을 가지는, 수신기(8, 19, 20, 21, 22, 23, 24)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4, 5)의 교차 라인과 평행하게 이어 있는 상기 직육면체 에지는 상기 직육면체의 가장 짧은 에지를 구성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8, 19, 20, 21, 22, 23, 24).
  6. 유전 재질의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를 포함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8,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로서, 상기 직육면체 내에서 고유 모드가 특히 외부 여기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1)의 상기 고유 모드의 전기장 구성이 두 개 이상의 평행하지 않은 대칭면(4, 5)을 가지는, 이동 무선 전화기(8,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에 있어서,
    상기 대칭면(4, 5)의 교차 라인과 평행하게 이어 있는 상기 직육면체 에지는 상기 직육면체의 가장 짧은 에지를 구성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8,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KR1019990058897A 1998-12-18 1999-12-18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KR100710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8790A DE19858790A1 (de) 1998-12-18 1998-12-18 Dielektrische Resonatorantenne
DE19858790.2 1998-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232A true KR20000048232A (ko) 2000-07-25
KR100710726B1 KR100710726B1 (ko) 2007-04-24

Family

ID=789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897A KR100710726B1 (ko) 1998-12-18 1999-12-18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23808B1 (ko)
EP (1) EP1018780B1 (ko)
JP (1) JP2000209020A (ko)
KR (1) KR100710726B1 (ko)
CN (1) CN1197199C (ko)
DE (2) DE19858790A1 (ko)
TW (1) TW43932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84B1 (ko) * 2001-04-25 2003-11-14 현우마이크로 주식회사 벌크(Bulk) 형태의 유전체를 이용한아이엠티-2000(IMT-2000) 단말기용 소형 안테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5817B2 (ja) * 2000-08-28 2003-06-09 アーベ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太陽電池
US6801164B2 (en) * 2001-08-27 2004-10-05 Motorola, Inc. Broad band and multi-band antennas
GB0218820D0 (en) * 2002-08-14 2002-09-18 Antenova Ltd An electrically small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with wide bandwith
FR2844399A1 (fr) * 2002-09-09 2004-03-12 Thomson Licensing Sa Antennes de type resonateur dielectrique
JP4217709B2 (ja) 2003-02-18 2009-02-04 財団法人国際科学振興財団 携帯端末用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US7391372B2 (en) * 2003-06-26 2008-06-24 Hrl Laboratories, Llc Integrated phased array antenna
US8144059B2 (en) * 2003-06-26 2012-03-27 Hrl Laboratories, Llc Active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KR100857284B1 (ko) * 2005-12-29 2008-09-08 정상은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rf 안테나
US7710325B2 (en) * 2006-08-15 2010-05-04 Intel Corporation Multi-ban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US10476164B2 (en) 2015-10-28 2019-11-12 Rogers Corporation Broadband multiple layer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374315B2 (en) * 2015-10-28 2019-08-06 Rogers Corporation Broadband multiple layer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355361B2 (en) 2015-10-28 2019-07-16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367959B2 (en) 2015-10-28 2022-06-21 Rogers Corporation Broadband multiple layer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601137B2 (en) 2015-10-28 2020-03-24 Rogers Corporation Broadband multiple layer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876295B2 (en) 2017-05-02 2024-01-16 Roge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flector for use in a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system
US11283189B2 (en) * 2017-05-02 2022-03-22 Rogers Corporation Connecte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rra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0754017B (zh) 2017-06-07 2023-04-04 罗杰斯公司 介质谐振器天线系统
US10965032B2 (en) 2018-01-08 2021-03-30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US10910722B2 (en) 2018-01-15 2021-02-02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having first and second dielectric portions
US11616302B2 (en) 2018-01-15 2023-03-28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having first and second dielectric portions
US10892544B2 (en) 2018-01-15 2021-01-12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having first and second dielectric portions
KR102104483B1 (ko) 2018-01-30 2020-04-24 한국과학기술원 패턴 구성 제어가 가능한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US11552390B2 (en) 2018-09-11 2023-01-10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system
CN109193147B (zh) * 2018-09-14 2020-09-08 南通大学 一种采用带槽介质贴片的低剖面滤波天线
US11031697B2 (en) 2018-11-29 2021-06-08 Roge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device
GB2594171A (en) 2018-12-04 2021-10-20 Rogers Corp Dielectric electromagnetic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482790B2 (en) 2020-04-08 2022-10-25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lens and electromagnetic device with same
US20220336965A1 (en) * 2021-04-20 2022-10-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Bi-Directional 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76656C (en) * 1995-07-13 2003-10-28 Matthew Bjorn Oliver Broadband circularly polarize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CA2173679A1 (en) * 1996-04-09 1997-10-10 Apisak Ittipiboon Broadband nonhomogeneous multi-segmente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DE19837266A1 (de) * 1998-08-17 2000-02-24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Dielektrische Resonatoranten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84B1 (ko) * 2001-04-25 2003-11-14 현우마이크로 주식회사 벌크(Bulk) 형태의 유전체를 이용한아이엠티-2000(IMT-2000) 단말기용 소형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7199C (zh) 2005-04-13
DE59902831D1 (de) 2002-10-31
CN1261730A (zh) 2000-08-02
EP1018780B1 (de) 2002-09-25
KR100710726B1 (ko) 2007-04-24
TW439326B (en) 2001-06-07
DE19858790A1 (de) 2000-06-21
EP1018780A1 (de) 2000-07-12
US6323808B1 (en) 2001-11-27
JP2000209020A (ja) 200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726B1 (ko)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KR100710729B1 (ko)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그러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송신기, 수신기 및 이동 무선 전화기
US6124831A (en) Folded dual frequency band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ors
KR100612798B1 (ko) 이동 단말기용 소형 인쇄된 나선형 안테나
US6664931B1 (en) Multi-frequency slot antenna apparatus
EP1095422B1 (en) Printed twin spiral dual band antenna
US6204826B1 (en) Flat dual frequency band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ors
JP3275632B2 (ja) 無線通信装置
US7081854B2 (en) Printed built-in antenna for use in a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apparatus
US7330155B2 (en) Antenna system
EP1860732A1 (en) Antenna assembly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employing same
KR20020013977A (ko) 이중 대역 패치 안테나
US7102575B2 (en) PIFA antenna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JP2012513731A (ja) マルチポートアンテナ構造
US20050128162A1 (en) Antenna
WO2013175903A1 (ja) アンテナ装置及びmimo無線装置
JP2000077924A (ja) 送受信器
WO2005099030A1 (en) An antenna radiator assembly and radio communications device
JP2005535239A (ja) デュアルバンドアンテナシステム
US6961022B1 (en) Antenna radiator assembly and radio communications device
KR20000017083A (ko) 안테나 장치
US11996638B2 (en) Antenna system
US7034764B2 (en) Antenna device
CN113659334A (zh) 可重构圆极化介质谐振器天线及终端
CN113517565A (zh) 一种应用于5g移动终端的三频mimo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