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5635A - Apparatus for generating error signal for removing dynamic ghost effect in ntsc same 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dtv equaliz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error signal for removing dynamic ghost effect in ntsc same 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dtv equal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5635A
KR20000045635A KR1019980062202A KR19980062202A KR20000045635A KR 20000045635 A KR20000045635 A KR 20000045635A KR 1019980062202 A KR1019980062202 A KR 1019980062202A KR 19980062202 A KR19980062202 A KR 19980062202A KR 20000045635 A KR20000045635 A KR 20000045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ignal
error signal
equaliz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승권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62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5635A/en
Publication of KR2000004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63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generating error signal for removing dynamic ghost effect in NTSC same 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DTV equalizer is provided to generate an error signal representing the error between equalizer output slicing signal and output of the equalizer. CONSTITUTION: An apparatus for generating error signal for removing dynamic ghost effect in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same 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equalizer includes a mode determiner and a coefficient update determiner(100). The mode determiner determines whether a decision directed mode is to be applied or not by comparing absolute values of error signal. The coefficient update determiner(100) determines whether the coefficient is to be updated by outputting error signal from a rounder(21) and a signal from the multiplexor selectively.

Description

고선명텔레비전용 등화기의 엔티에스시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Error signal generator for eliminating dynamic ghost effects in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igh definition television equalizer

본 발명은 GA(Grand Alliance) VSB(Vestigial SideBand) 방식 고선명 텔레비전(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의 채널 등화기(channel equaliz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HDTV 채널 등화기의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아날로그 텔레비전 표준 방식의 하나)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dynamic ghost)를 처리할 수 있도록 랜덤 데이터 구간에 탭 계수 갱신을 위한 오차 신호를 발생하는 고선명텔레비전용 등화기의 엔티에스시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nnel equalizer of a Grand Alliance (GA) type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B) system, and in particular, a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NTSC) of an HDTV channel equalizer. One of the standard methods) Dynamic in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igh definition television equalizer which generates error signal for tap coefficient update in random data interval to handle dynamic ghost in cochannel interference m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rror signal generator for removing ghost effects.

일반적으로 HDTV를 포함한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은 자유 공간으로서, 실제 전송 신호는 공기, 구름, 대기층 등의 기상 변화 또는 태양의 영향에 의해 전파되는 경로가 굴절되어 여러개의 다중 경로를 거쳐 수신된다. 그리고 산, 절벽, 대지 등의 지형과 숲, 건물 등에 의해 반사, 투과되어 전파되는 고정된 다중 경로와 비행기, 자동차 등에 의해 반사되는 시 변화 다중 경로 등이 발생된다. 이러한 다중 경로 전파는 같은 신호의 전송에 있어서 각기 다른 전파 시간을 갖게 되어 심벌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채널은 이상적인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고 신호 전송시 신호 왜곡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 왜곡은 HDTV와 같은 디지털 전송 방식에 있어서 수신측에서 비트 검출 오류를 일으킴으로써 화면 전체가 복원이 불가능하거나 전혀 다른 화상이 나타나도록 하게 된다.In general, the physical channel of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n HDTV is free space, and the actual transmiss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multiple paths due to a deflection of a path propagated by weather changes or the influence of the sun such as air, clouds, and atmospheric layers. In addition, fixed multi-paths reflected, transmitted and propagated by terrains such as mountains, cliffs, and earth, and forests and buildings, and time-varying multi-paths reflected by planes, cars, etc. are generated. Such multipath propagation has different propagation times in the transmission of the same signal, causing inter-symbol interference (ISI). For this reason, the channel does not satisfy the ideal characteristics and causes signal distortion during signal transmission. This signal distortion causes a bit detection error at the receiving side in a digital transmission method such as HDTV so that the entire screen cannot be restored or a completely different image appears.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이상적인 특성에서 벗어나 왜곡된 채널을 통과한 수신 신호를 처리하여 시간에 따라 변하는 채널의 특성을 보상함으로써 수신측에서의 비트 검출 오류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이 채널 등화기(channel equalizer)이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henomenon, a channel equalizer reduces the bit detection error at the receiving end by processing the received signal passing through the distorted channel away from the ideal characteristic to compensate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channel that changes with time. .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등화기는 여러 가지 기법이 있으나 여기서는 수식이 비교적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한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LMS 알고리즘은 원하는 신호와 필터 출력 신호 간의 평균 제곱 오차(mean square error ; MSE)가 최소가 되도록 필터의 계수를 지속적으로 조절하여 등화하는 알고리즘이다.The channel equalizer in the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has various techniques, but here, the LMS (Least Mean Square) algorithm is used. The LMS algorithm is an algorithm that continuously adjusts and equalizes coefficients of a filter so that a mean square error (MSE) between a desired signal and a filter output signal is minimized.

도1에 LMS 알고리듬을 이용한 VSB HDTV 채널 등화기의 블록 구성이 도시되며, 이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block configuration of a VSB HDTV channel equalizer using the LMS algorithm is shown in FIG. 1, and the operation thereof is as follows.

오차 신호 발생기(15)는 채널 등화기의 기준 신호와 등화기 출력 신호 간에 감산 연산을 수행하여 오차신호를 발생한다. 이렇게 계산된 오차 신호는 포워드 필터(forward filter)(10)에서 채널 등화기 입력 신호와 상관(correlation)되고, 백워드 필터(backward filter)(17)에서 채널 등화기 출력 신호와 상관된다. 포워드 필터(10)와 백워드 필터(17)에서 각각 상관된 이 상관치는 스탭 크기(step size)와 각각 곱해진 후, 포워드 필터(10)와 백워드 필터(17)의 각 탭(tap) 계수(coefficient) 갱신(update)에 사용된다. 그리고 포워드 필터(10)의 출력 신호와 백워드 필터(17)의 출력신호를 가산기(18)에서 가산하여 채널 등화기의 최종 등화 출력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The error signal generator 15 generates an error signal by performing a subtraction operation between the reference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and the equalizer output signal. The error signal thus calculated is correlated with the channel equalizer input signal in a forward filter 10 and correlated with the channel equalizer output signal in a backward filter 17. This correlation, correlated in the forward filter 10 and the backward filter 17, respectively, is multiplied by the step size, respectively, and then each tap coefficient of the forward filter 10 and the backward filter 17 (coefficient) Used for update. The output signal of the forward filter 10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backward filter 17 are added by the adder 18 to generate a final equalized output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상기 오차 신호 발생기(15)에서 사용되는 기준 신호는 채널 등화기가 훈련 모드로 동작될 때는 훈련열이 사용되고, 채널 등화기가 판정 의거 모드(Decision Directed mode; DD mode)로 동작될 때는 채널 등화기 출력에서 판정(decision)된 신호가 사용된다.The reference signal used in the error signal generator 15 is a training sequence when the channel equalizer is operated in the training mode, and is output from the channel equalizer output when the channel equalizer is operated in the decision directed mode (DD mode). A decision signal is used.

훈련 모드는 송신 측에서 약속된 기지(known)의 신호를 보내고, 수신측에서는 그 신호를 원신호와 비교하여 채널의 왜곡 정도를 추정하여 등화기의 탭 계수를 조절한다. 판정 의거 모드는 훈련 기간이 끝나고 실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데이터가 입력되면 등화기 출력에서 판정(decision)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등화한다.The training mode sends a known signal promised by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compares the signal with the original signal to estimate the distortion level of the channel to adjust the tap coefficient of the equalizer. The decision based mode equalizes using the data determined at the equalizer output when the training period is over and random data including actual information is input.

도2에 GA에 의한 VSB 규격의 데이터 프레임(frame)이 도시된다.2 shows a data frame of the VSB standard by GA.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은 2개의 필드로 구성되며, 각 필드는 1개의 필드 동기 세그먼트와 그 뒤를 이어 312 개의 랜덤 데이터 세그먼트(segment)로 구성된다. 각 세그먼트는 832 심벌(symbol)로 구성되며, 매 세그먼트의 처음 4심볼은 세그먼트 동기 신호이다.As shown, one frame consists of two fields, each field consisting of one field sync segment followed by 312 random data segments. Each segment consists of 832 symbols, the first four symbols of each segment being a segment sync signal.

이중 필드 동기 세그먼트는 송수신측에서 서로 알고 있는 일정한 패턴(pattern)을 가지게 되므로 훈련 모드의 훈련열로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dual field sync segment has a certain pattern known to each other at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 it can be used as a training sequence in the training mode.

일반적으로 VSB 채널 등화기는 지상파 방송을 위한 8 VSB 모드(Terristrial Mode)와 케이블 TV를 위한 16VSB 모드가 있다. 여기서 16 VSB 모드는 아날로그 전송 방식의 일종인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시스템과 채널을 공유하지 않게 되고 8VSB 모드는 NTSC 시스템과 채널을 공유하게 된다. 그래서 16VSB 모드와 NTSC 동일 채널 간섭(Co-channel Interference)이 없을 경우의 8 VSB 모드는 채널 등화기를 판정 의거 모드(DD mode)로 동작시킬 수 있다.In general, VSB channel equalizers have 8 VSB modes (Terristrial Mode) for terrestrial broadcast and 16VSB modes for cable TV. Here, 16 VSB mode does not share a channel with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system, which is a kind of analog transmission method, and 8VSB mode shares channel with NTSC system. Thus, the 8 VBB mode in the 16 VSB mode and the absence of NTSC co-channel interference can operate the channel equalizer in the DD mode.

지상파 방송의 경우 고정된 다중 경로에 의한 고스트(ghost)를 정적 고스트(static ghost)라 하고, 시 변화 다중 경로와 같은 돌발적인 다중 경로에 의한 고스트를 동적 고스트라 한다. 만약 선형 채널 왜곡이 정적 고스트에 국한된다면 단순히 채널 등화기를 훈련 모드로 동작시켜서 왜곡이 보상되는 수렴 상태를 얻을 수 있지만, 동적 고스트에 의한 돌발 상황이 발생되면 발산 상태가 되어 정상적인 신호를 복원할 수 없게 된다.In the case of terrestrial broadcasting, ghost by fixed multipath is called static ghost, and ghost by multipath such as time-varying multipath is called dynamic ghost. If the linear channel distortion is confined to static ghosts, you can simply run the channel equalizer in training mode to get a converged state where the distortion is compensated, but when a sudden ghosting situation occurs, it becomes divergent and cannot restore a normal signal. do.

그래서 판정 의거 모드로 채널 등화기를 동작시켜야 하는데, NTSC 동일 채널의 간섭이 있는 8VSB 모드의 경우 판정 의거 모드를 적용할 수 없다.Therefore, the channel equalizer must be operated in the decision mode. However, the 8VSB mode with NTSC co-channel interference cannot apply the decision mode.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의 데이터는 14,12,10,8,6,4,2,0,-2,-4,-6,-8, -10,-12,-14의 15가지 레벨(level) 값으로 이루어져 있다. 만약 채널 등화기의 출력 신호와 채널 등화기의 입력 신호의 오차 값의 절대값이 1보다 크다면 랜덤 데이터 구간에서는 판정 오류(decision Error)가 발생하게 된다. 즉 송신측에서는 8의 값을 전송했는데, 수신측에서는 9.2의 값을 수신하게 되면 이는 10으로 판정하게 되어 판정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판정 오류는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는 판정 의거 모드로 동작하는 채널 등화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는 판정 의거 모드를 사용하기 어렵다.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data has 15 levels of 14,12,10,8,6,4,2,0, -2, -4, -6, -8, -10, -12, -14 ) Value.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error value between the output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and the input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is greater than 1, a decision error occurs in the random data section. That is, the transmitting side transmits a value of 8, but when the receiving side receives a value of 9.2, it determines that it is 10 and a determination error occurs. This decision error adversely affects the channel equalizer operating in the decision based mode in the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For this reason, the decision based mode is difficult to use in the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도3은 NTSC 동일 채널 간섭이 있을 경우 채널 등화기의 계수 갱신에 이용하는 일반적인 오차 신호 발생기의 구성이 도시된다.3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error signal generator used for coefficient update of a channel equalizer in the case of NTSC co-channel interference.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등화기의 기준 신호와 채널 등화기의 출력 신호간의 차를 계산하는 감산기(20)와; 상기 감산기(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비트수로 라운딩(rounding)하는 라운딩부(21)와; 채널 등화기의 프로세서(도1에는 도시하지 않았다.)에서 발생되는 훈련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라운딩부(21)의 출력 신호와 채널 등화기내 필터의 탭계수를 갱신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계수 갱신 금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기(22)로 구성된다.As shown, a subtractor 20 for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A rounding unit 21 for round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ubtractor 20 by a set number of bits; The coefficient update prohibition signal for preven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rounding unit 21 and the tap coefficient of the filter in the channel equalizer from being updated according to the training mod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rocessor of the channel equalizer (not shown in FIG. 1). It consists of a multiplexer 22 for selectively outputting.

이와 같은 종래 채널 등화기의 오차 신호 발생기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rror signal generator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channel equalizer as follows.

먼저 훈련열이 수신되는 구간 동안은 채널 등화기가 훈련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되고, 랜덤 데이터가 수신되는 구간 동안은 채널 등화기가 판정 의거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판정 의거 모드는 탭계수를 갱신하지 않고 훈련 모드에서 갱신된 탭 계수를 그대로 이용하여, 등화기 출력 신호로 판정된 기준신호를 사용하여 랜덤 데이터를 등화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First, the channel equalizer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training mode during a section in which a training sequence is received, and the channel equalizer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determination mode during a section in which random data is received. Here, the determination base mode is operated to equalize random data using the reference signal determined as the equalizer output signal without using the tap coefficient updated in the training mode without updating the tap coefficient.

그래서 훈련열이 수신되는 구간 동안은 채널 등화기의 프로세서가 훈련 모드 제어 신호를 액티브(active) 상태로 출력하고, 랜덤 데이터가 수신되는 구간 동안은 훈련 모드 제어 신호(equal_mode)를 인액티브(inactive) 상태로 출력한다.Therefore, the processor of the channel equalizer outputs the training mode control signal to an active state during a section in which a training sequence is received, and inactives the training mode control signal equal_mode during a section in which random data is received. Output in the state.

채널 등화기가 훈련 모드일 때는 기준신호를 훈련열로 제공받고, 판정 의거 모드일 때는 채널등화기의 출력 신호가 양자화된 신호를 기준 신호로 제공받는다. 감산기(20)는 이렇게 제공되는 기준 신호에서 채널 등화기의 출력 신호를 감산하여 오차 신호를 출력한다. 라운딩부(21)는 이 오차신호를 설정된 비트수로 라운딩한다. 여기서는 6비트 오차 신호를 사용하므로 6비트로 라운딩한다. 다중화기(22)는 프로세서에서 훈련 모드 신호가 출력되면 채널 등화기내 필터의 탭계수를 갱신하도록 하기 위해 라운딩부(21)의 출력신호를 오차 신호로 출력한다. 그래서 채널 등화기는 이 오차 신호를 이용하여 탭계수를 갱신하게 된다. 그리고 판정 의거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는 인액티브 훈련 모드 신호가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면 다중화기(22)는 탭계수를 갱신하지 않기 위해 계수 갱신 금지 신호인 "0"을 출력한다. 그래서 채널 등화기는 랜덤 데이터 구간은 탭계수를 갱신하지 않게 된다.When the channel equalizer is in the training mode, the reference signal is provided as the training sequence, and in the determination mode, the output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is provided as the reference signal. The subtractor 20 outputs an error signal by subtrac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from the reference signal provided in this way. The rounding unit 21 rounds this error signal by the set number of bits. In this example, a 6-bit error signal is used, so round to 6 bits. When the training mode signal is output from the processor, the multiplexer 22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rounding unit 21 as an error signal to update the tap coefficient of the filter in the channel equalizer. Therefore, the channel equalizer uses this error signal to update the tap coefficient. When the inactive training mode signal for operating in the judgment based mode is output from the processor, the multiplexer 22 outputs a coefficient update prohibition signal "0" in order not to update the tap coefficient. Therefore, the channel equalizer does not update the tap coefficient in the random data section.

이렇게 종래 채널 등화기는 랜덤 데이터 구간은 탭계수를 갱신하지 않는 방법으로 판정 의거 모드를 적용시켰지만 이 경우 탭계수가 갱신되지 않음으로써, 동적 고스트의 영향을 제거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시스템 성능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channel equalizer, the determination mode is applied in such a manner that the tap coefficient is not updated in the random data section. However, in this case, the tap coefficient is not updated, and thus, the influence of the dynamic ghost cannot be removed.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system performance is lower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HDTV 채널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랜덤 데이터 구간에 탭 계수를 갱신할 수 있도록 오차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동적 고스트(dynamic ghost)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는 HDTV용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n error signal so that tap coefficients can be updated in a random data section in the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an HDTV channel equalizer.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rror signal generator for eliminating the effects of dynamic ghost in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an equalizer for HDTV that can remove the effects of dynamic gho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HDTV용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는, 훈련열 구간 동안 훈련열을 기준신호로 하여 기준 신호와 채널 등화기 출력신호 간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판정 오류를 일으키지 않는 일정 범위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그래서 훈련열 구간동안 모든 입력심벌에 대한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판정 오류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 포함되면, 랜덤 데이터 구간 동안 채널 등화기 탭계수를 갱신하도록 오차 신호를 발생한다. 즉 랜덤 데이터 구간 동안 채널 등화기 출력에서 판정된 신호와 채널 등화기 출력신호간 오차 신호를 발생하여 판정 의거 모드로 동작되도록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rror signal generator for removing the dynamic ghost effect in the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the equalizer for HD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ining signal as a reference signal during the training sequence interval and Detects whether the absolute value of the error signal between the channel equalizer output signals is within a certain range that does not cause a determination error. Thus,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error signal for all input symbols during the training sequence is included 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a determination error, an error signal is generated to update the channel equalizer tap coefficient during the random data interval. That is, an error signal between the signal determined at the channel equalizer output and the channel equalizer output signal is generated during the random data period so as to operate in the determination mode.

도 1은 일반적인 HDTV 채널 등화기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HDTV channel equalizer block,

도 2는 GA VSB 프레임의 구조도,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GA VSB frame,

도 3은 종래 오차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rror signal generator,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오차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도,4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rror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4a의 계수 갱신 여부 결정부를 제어하는 DD 모드 결정부 구성도.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D mode determiner for controlling the coefficient update unit of FIG. 4A.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계수 갱신 여부 결정부 200:DD 모드 결정부100: coefficient update decision unit 200: DD mode determination unit

210:판정오류방지 심벌 검출부 220:훈련열 카운팅부210: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symbol detection unit 220: training heat counting unit

230:카운터 제어부 240:DD 모드 신호 발생부230: counter control unit 240: DD mode signal generator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HDTV용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rror signal gen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the dynamic ghost effect in the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HDTV equaliz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에 의한 오차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을 보인다.4A and 4B show the configuration of an error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오차 신호 발생 장치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등화기의 기준 신호와 채널 등화기의 출력 신호 간의 차를 계산하는 감산기(20)와; 상기 감산기(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비트수로 라운딩(rounding)하는 라운딩부(21)와; 채널 등화기의 프로세서에서 발생되는 훈련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라운딩부(21)의 출력 신호와 탭계수를 갱신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계수 갱신 금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기(22)와; 랜덤 데이터 구간 동안 탭계수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판정 의거 모드 결정부(200)의 결정에 따라 상기 라운딩부(21)로부터의 오차 신호와 상기 다중화기(22)로부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계수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계수 갱신 여부 결정부(100)로 구성된다.The error signal generator includes a subtractor 20 that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a reference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and an output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as shown in FIG. 4A; A rounding unit 21 for round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ubtractor 20 by a set number of bits; A multiplexer (22)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coefficient update prohibition signal for not upda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rounding unit (21) and the tap coefficient according to a training mod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processor of a channel equalizer; Coefficient update by selectively outputting an error signal from the rounding unit 21 and a signal from the multiplexer 22 according to the decis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mode determiner 200 determining whether the tap coefficient is updated during a random data interval. It is composed of a coefficient update unit 10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상기 판정 의거 모드 결정부(200)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딩부(21)에서 출력되는 오차 신호를 검사하여 판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심벌을 검출하는 판정오류 방지 심벌 검출부(210)와; 훈련열 구간 동안 카운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카운터 제어부(230)와; 상기 카운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판정 오류 방지 심벌 검출부(210)의 출력 신호를 카운팅하는 훈련열 카운팅부(220)와; 상기 훈련열 카운팅부(220)에서 카운팅된 값과 판정 의거 모드(Decision Directed mode; DD mode) 동작을 위한 설정값을 비교하여 판정 의거 모드를 결정하는 DD 모드 결정부(2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B, the determination based mode determiner 200 detects a symbol capable of preventing a determination error by checking an error signal output from the rounding unit 21 and detects a symbol capable of preventing a determination error. )Wow; A counter controller 230 for controlling counting during a training sequence; A training sequence counting unit 220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unter control unit 230 to count an output signal of the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symbol detection unit 210; The training sequence counting unit 220 includes a DD mode determination unit 240 for determining a determination determination mode by comparing a value counted in the decision directed mode (DD mode) operation.

상기 DD 모드 결정부(240)의 판정 의거 모드 동작을 위한 설정값은 688로 설정된다.The set value for the determination mode operation of the DD mode determiner 240 is set to 688.

상기 판정오류 방지 심벌 검출부(210)는, 입력심벌에 대한 오차 신호 중 상위 2비트를 비교하여 상기 오차 신호가 채널 등화기 출력 판정 오류 방지 범위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비교기(211)와, 채널 등화기의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훈련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비교기(211)의 출력 신호와 특정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기(212)와, 상기 다중화기(212)의 출력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지연기(213)로 구성된다.The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symbol detection unit 210 includes a comparator 211 for comparing whether the error signal falls within the channel equalizer output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range by comparing the upper two bits of the error signal for the input symbol; The multiplexer 212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211 and a specific signal according to the training mod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processor of the channel equaliz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multiplexer 212 for a predetermined time. It consists of a delay unit 213 for delaying.

상기 특정 신호는 카운팅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서 "0"으로 설정된다.The specific signal is set to " 0 " as a value set so as not to count.

상기 카운터 제어부(230)는 필드 동기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지연기(231)와, 상기 필드 동기 신호를 인버팅(inverting)시킨 신호와 상기 지연기(231)를 통한 신호를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여, 훈련열 구간이 시작되면 상기 훈련열 카운팅부(220)를 클리어(clear)시키는 노아게이트(nor gate)(232)로 구성된다.The counter control unit 230 performs an OR operation on a delay unit 231 for delaying a field synchronizing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 signal inverting the field synchronizing signal, and a signal through the delay unit 231. Thus, when the training train section is started, the training train counting unit 220 is configured to clear the (nor gate) (nor gate) (232).

상기 훈련열 카운팅부(220)는, 상기 판정오류 방지 심벌 검출부(21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카운터(222)의 출력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221)와, 상기 카운터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가산기(221)의 출력신호를 카운팅하는 카운터(222)로 구성된다.The training sequence counting unit 220 is an adder 221 for add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symbol detection unit 210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counter 222,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unter control unit 230. A counter 222 is driven to count the output signal of the adder 22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HDTV용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error signal generator for removing the dynamic ghost effect in the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the HDTV equa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훈련열 구간 동안은 10,0,-10의 3가지 레벨값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훈련열(traing sequence) 구간 동안의 오차 신호를 e(n)으로 설정한다면First, it consists of three level values of 10,0, -10 during the training sequence, and if the error signal during the training sequence is set to e (n)

e(n) = t(n)-y(n)e (n) = t (n) -y (n)

이 된다. 여기서 t(n)은 훈련열이고, y(n)은 채널등화기의 출력 신호이다. 만약 e(n)이 6비트로 이루어져 있고, 포맷(format)이 sx.xxxx이며, 상위 2비트의 값이 다르지 않다면 즉, 00.xxxx 혹은 11.xxxx라면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1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1보다 작은 경우에는 판정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판정 오류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즉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1보다 작을 경우밖에 없다면 랜덤 데이터 구간에도 판정 의거 모드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수렴 상태인 steady state에서 동적 고스트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Becomes Where t (n) is the training sequence and y (n) is the output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If e (n) consists of 6 bits, the format is sx.xxxx, and the values of the upper two bits are not different, that is, 00.xxxx or 11.xxxx, the absolute value of the error signal is less than one. it means. In this way,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error signal is smaller than 1, a determination error does not occur. When such a determination error does not occur, that is, when only the absolute value of the error signal is smaller than 1, the determination mode can be applied to the random data section. This allows us to adapt to dynamic ghosts in the steady state, which is a convergent state.

송수신측에서 이미 알고 있는 훈련열은 필드 동기 세그먼트에 700심벌이 송신측으로부터 송신된다. 그러나 이중 12심벌은 이전 필드의 12심벌의 영향을 받아 신호를 잃어버리게 되어, 688개의 심벌만이 훈련열로서 수신측에서 수신할 수 있게 된다.In the training sequence already known o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 700 symbols ar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side in the field sync segment. However, the 12 symbols are lost due to the 12 symbols of the previous field, so that only 688 symbols can be received by the receiver as a training sequence.

카운터 제어부(230)는 훈련열 구간 동안 카운터(222)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그래서 필드 동기를 위한 필드 동기 신호(field_sync)가 액티브로 입력되면 노아게이트(232)를 통해 카운팅값을 클리어(clear)시키도록 하는 클리어 신호를 카운터(222)로 출력한다. 이에 카운터(222)는 카운팅을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The counter controller 230 controls the counter 222 to operate during the training sequence. Thus, when the field sync signal (field_sync) for the field sync is active, the clear signal for clearing the counting value through the noah gate 232 is output to the counter 222. The counter 222 prepares for counting.

훈련 모드일 때 오차 신호 발생기의 기준 신호는 훈련열이 사용되어 이 훈련열과 채널 등화기의 출력신호간 차를 오차 신호로 하여 라운딩부(21)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면 DD 모드 결정부(200)의 판정오류 방지 심벌 검출부(210)는 이 오차 신호(e(5:0)) 중 상위 2비트 신호 e(5)와 e(4)를 비교한다. 그래서 e(5)와 e(4)가 서로 동일하면, 판정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 심벌 검출을 알리는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다중화기(212)는 훈련 모드 제어신호(equal_mode)가 훈련 모드임을 나타내는 하이 액티브 상태이면 비교기(2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훈련 모드 제어신호(equal_mode)가 판정 의거 모드 임을 나타내는 로우 인액티브 상태이면 "0"을 선택하여 출력한다.In the training mode, the reference signal of the error signal generator uses a training sequence and outpu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ining sequence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as an error signal through the rounding unit 21. Then, the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symbol detection unit 210 of the DD mode determination unit 200 compares the upper two bit signals e (5) and e (4) among the error signals e (5: 0). Thus, if e (5) and e (4) are equal to each other, a high signal informing of symbol detection that no determination error occurs is output. The multiplexer 212 selects and outputs a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211 when the training mode control signal equal_mode is a training mode and low in indicating that the training mode control signal equal_mode is a determination mode. If it is active, select "0" to output.

훈련열 카운팅부(230)는 훈련열 구간 동안만 카운팅되도록 클리어된 상태에서, 판정오류 방지 심벌 검출부(210)에서 판정 오류 방지 심벌 검출을 알리는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이 하이 신호를 카운팅한다. 그래서 훈련열 카운팅부(230)는 훈련열 구간 동안에 카운팅을 할 수 있으며, 판정 오류 방지 심벌이 검출되면 카운팅 값이 1 증가된다.When the training sequence counting unit 230 is cleared to count only during the training sequence, if the high signal indicating the detection of the error prevention symbol detection is output from the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symbol detection unit 210, the training sequence counting unit 230 counts this high signal. Thus, the training sequence counting unit 230 may count during the training sequence, and if the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symbol is detected, the counting value is increased by one.

DD모드 신호 발생부(240)는 훈련열 카운팅부(220)에서 출력되는 카운팅값을 688과 비교한다. 그래서 카운팅값이 688이면 채널등화기가 DD 모드로 동작되도록 DD 모드 신호(DD_flag)를 액티브 상태로 출력한다.The DD mode signal generator 240 compares the counting value output from the training string counting unit 220 with 688. Therefore, when the counting value is 688, the channel equalizer outputs the DD mode signal DD_flag in an active state so that the channel equalizer operates in the DD mode.

688심볼의 훈련열 구간 동안 훈련 모드 제어 신호(equal_mode)가 하이 액티브로 프로세서로부터 발생되며, 기준 신호는 훈련열이 사용된다. 그래서 오차 신호발생기는 훈련 모드일 때 훈련열과 등화기 출력신호간 차를 오차 신호로 발생한다. 그래서 이 오차 신호로 채널 등화기의 탭계수를 갱신하여 등화를 수행한다.During a training sequence of 688 symbols, a training mode control signal (equal_mode) is generated from the processor in a high active state, and a reference sequence is used for the training sequence. Thus, in the training mode, the error signal generator gener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ining string and the equalizer output signal as an error signal. The equalization is performed by updating the tap coefficient of the channel equalizer with this error signal.

한편 상기 DD 모드 결정부(200)의 동작을 설명한 바와 같이 훈련 모드일 때 688심볼에 대한 모든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판정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 1보다 작은 값으로 검출되는 경우, DD 모드 결정부(200)가 DD_flag신호를 액티브 상태로 발생한다. 이때 훈련열 구간이 끝나고 랜덤 데이터 구간이 되면서 감산기(20)는 기준 신호로 채널 등화기의 출력신호를 슬라이싱(slicing)한 값을 사용하여, 이 슬라이싱 값과 등화기 출력신호간 차를 계산하여 오차 신호를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in the operation of the DD mode determiner 200, when the absolute value of all error signals for the 688 symbols in the training mode is detected as a value less than 1 that does not cause a determination error, the DD mode determiner ( 200 generates the DD_flag signal in an active state. At this time, after the training sequence ends and becomes a random data section, the subtractor 20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licing value and the equalizer output signal using a value obtained by slicing the output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as a reference signal. Output the signal.

계수 갱신 여부 결정부(100)는 DD 모드 결정부(200)에서 액티브된 DD_flag 신호에 의히 라운딩부(21)로부터의 오차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래서 688 훈련열 구간 동안 688개의 심볼에 대한 오차 신호의 절대값이 모두 1보다 작으면, 훈련열 뒤를 이어 수신되는 랜덤 데이터 구간에서도 탭계수를 갱신하도록 오차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만약 688 훈련열 구간 동안 입력 심벌에 대한 오차 신호의 절대값 중 1보다 큰 심볼이 검출되면 판정 오류를 일으켜서 등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DD 모드 결정부(200)에서 DD_flag 신호를 액티브시키지 않기 때문에, 랜덤 데이터 구간 동안 계수 갱신 여부 결정부(100)는 탭계수를 갱신하지 않도록 오차 신호를 "0"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HDTV 채널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훈련열 구간동안 탭계수를 갱신하여 판정 의거 모드를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이 검사 결과에 따라 랜덤 데이터 구간에 탭계수 갱신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그래서 판정 의거 모드를 동적으로 적용하여 동적 고스트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coefficient update determiner 100 selects and outputs an error signal from the rounding unit 21 according to the DD_flag signal activated by the DD mode determiner 200. Thus, if the absolute values of the error signals for 688 symbols during the 688 training sequence are all less than 1, the error signal is generated to update the tap coefficient in the random data section received after the training sequence. If a symbol larger than 1 of the absolute values of the error signal for the input symbol is detected during the 688 training sequence, it may cause a decision error and adversely affect the equalization. Therefore, the DD mode determiner 200 does not activate the DD_flag signal. During the random data interval, the coefficient update determiner 100 outputs an error signal as “0” so as not to update the tap coefficient. In this operation, the tap coefficient is updated in the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the HDTV channel equalizer during the training sequenc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mode can be applied. Will be determined. Thus, it is possible to dynamically apply the decision base mode to remove the influence of the dynamic ghos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HDTV용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는, HDTV 채널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훈련열 구간동안 각 입력심벌의 오차 신호 절대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각 심벌의 오차 신호 절대값이 판정 오류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 속하면, 랜덤 데이터 구간에 탭계수를 갱신하도록, 등화기 출력 슬라이싱 신호와 등화기 출력신호 간 오차 신호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동적 고스트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rror signal gen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the dynamic ghost effect in the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the HDTV equa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during the training sequence in the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the HDTV channel equalizer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error signal of the input symbol is compared and equalized with the equalizer output slicing signal to update the tap coefficient in a random data section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error signal of each symbol fall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a determination error. By generating an error signal between the output signal, there is an effect to eliminate the effect of the dynamic ghost.

Claims (5)

엔티에스시(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아날로그 텔레비전 표준 방식의 하나) 동일 채널의 간섭이 있는 고선명 텔레비전(HDTV) 용 채널 등화기에서 채널 등화기의 기준 신호와 채널 등화기의 출력 신호 간의 차를 계산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비트수로 라운딩(rounding)하는 라운딩부와; 채널 등화기의 프로세서에서 발생되는 훈련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라운딩부의 출력 신호와 탭계수를 갱신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계수 갱신 금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기로 구성된 오차 신호 발생 장치에 있어서,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NTSC) One of the channel equalizers for high-definition television (HDTV) with co-channel interferenc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channel equalizer. A subtractor for calculating; A rounding unit for round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ubtractor by a set number of bits; In the error signal generator comprising a multiplex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rounding unit and the coefficient update prohibition signal for not updating the tap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training mod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rocessor of the channel equalizer, 훈련열(train sequence) 구간 동안 각 심벌(symbol)에 대한 오차 신호의 절대값을 비교하여 판정 의거 모드(Decision Directed mode; DD mode)를 적용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판정 의거 모드 결정부와;A decision based mode determining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o apply a decision directed mode (DD mode) by comparing an absolute value of an error signal for each symbol during a training sequence section; 상기 판정 의거 모드 결정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라운딩부로부터의 오차 신호와 상기 다중화기로부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랜덤 데이터 구간 동안 계수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계수 갱신 여부 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용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dynamic ghost)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And a coefficient update determining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error signal from the rounding unit and a signal from the multiplexer according to the decis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mode determin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o update the coefficient during a random data period. Error signal generator for eliminating dynamic ghost effects in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DTV equaliz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의거 모드 결정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ation based mode determination unit, 상기 라운딩부에서 출력되는 오차 신호를 검사하여 판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심벌을 검출하는 판정오류 방지 심벌 검출부와; 훈련열 구간 동안 카운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카운터 제어부와; 상기 카운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판정 오류 방지 심벌 검출부의 출력 신호를 카운팅하는 훈련열 카운팅부와; 상기 훈련열 카운팅부에서 카운팅된 값과 판정 의거 모드(Decision Directed mode; DD mode) 동작을 위한 설정값을 비교하여 판정 의거 모드를 결정하는 DD 모드 결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용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A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symbol detection unit which detects a symbol capable of preventing a determination error by inspecting an error signal output from the rounding unit; A count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counting during a training sequence; A training sequence counting unit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unter control unit to count an output signal of the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symbol detection unit; NTSC of the equalizer for HDTV comprising a DD mode decision unit for determining the determination mode by comparing the value counted in the training sequence counting unit with a setting value for the operation of the decision direct mode (DD mode) Error signal generator for removing the effects of dynamic ghost in co-channel interference mo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D 모드 결정부의 판정 의거 모드 동작을 위한 설정값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tting value for the determination mode operation of the DD mode determination unit, HDTV 수신측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훈련열의 심벌 개수로서, 688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용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An error signal generator for removing dynamic ghosting effects in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an equalizer for an HDTV, which is set to 688 as the number of symbols of a training sequence that can be normally received by an HDTV receiv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오류 방지 심벌 검출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symbol detection unit, 입력심벌에 대한 오차 신호 중 상위 2비트를 비교하여 상기 오차 신호가 채널 등화기 출력 판정 오류 방지 범위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비교기와, 채널 등화기의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훈련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훈련열 카운팅부에서 카운팅을 하지 않도록 설정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용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A comparator for comparing whether the error signal falls within the channel equalizer output determination error prevention range by comparing the upper two bits of the error signal for the input symbol, and according to the training mod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processor of the channel equalizer. Error signal for removing the dynamic ghost effect in the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the equalizer for HDTV,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and a multiplex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signal set not to count in the training sequence counting unit Generating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unter control unit, 필드 동기를 위한 필드 동기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지연기와, 상기 필드 동기 신호를 인버팅(inverting)시킨 신호와 상기 지연기에서 지연된 신호를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여, 훈련열 구간이 시작되면 상기 훈련열 카운팅부를 클리어(clear)시키는 노아게이트(nor gat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용 등화기의 NTSC 동일 채널 간섭 모드에서 동적 고스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오차신호 발생 장치.A delay that delays the field sync signal for the field sync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signal that inverts the field sync signal and the signal delayed by the delay to perform an OR operation, and when the training sequence is started, the training An error signal generator for removing dynamic ghost effects in the NTSC co-channel interference mode of the equalizer for HDTV,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o gate (nor gate) for clearing the thermal counting unit (clear).
KR1019980062202A 1998-12-30 1998-12-30 Apparatus for generating error signal for removing dynamic ghost effect in ntsc same 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dtv equalizer KR200000456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202A KR20000045635A (en) 1998-12-30 1998-12-30 Apparatus for generating error signal for removing dynamic ghost effect in ntsc same 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dtv equa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202A KR20000045635A (en) 1998-12-30 1998-12-30 Apparatus for generating error signal for removing dynamic ghost effect in ntsc same 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dtv equaliz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635A true KR20000045635A (en) 2000-07-25

Family

ID=1956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202A KR20000045635A (en) 1998-12-30 1998-12-30 Apparatus for generating error signal for removing dynamic ghost effect in ntsc same 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dtv equaliz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563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507B1 (en) Equalizing method and equalizer using standard signal
JP4666920B2 (en) Decision feedback equalizer
CN1647425B (en) Equalizer/forward error correction automatic mode selector
KR1006986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reporting a result of self-test
US5692010A (en) Adaptive equalizer with impulse noise protection
KR101086175B1 (en) Dual-mode equalizer in an atsc-dtv receiver
US7038731B2 (en) Adaptive equalizer method and apparatus for American ATSC system
KR100916378B1 (en) Equalizer mode switch
KR100451750B1 (en) Equalizer for digital television receiver
KR1008876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qualizing a vsb high definition television signal in the presence of co-channel interference
KR100446304B1 (en) Equalizer in high definition television and method thereof
KR20000045635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rror signal for removing dynamic ghost effect in ntsc same channel interference mode of hdtv equalizer
KR101100342B1 (en) Recei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hannel center from a demodulated signal
KR100281390B1 (en) 8-VSB Adaptive Channel Equalizer and Coefficient Update Method
KR100640368B1 (en) Channel equalizer and channel equalization method
KR1007621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qualizing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system
KR100241769B1 (en) Method for updating tap coefficient of channel equalizer in hdtv
KR1005656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domain equalizer
KR100556385B1 (en) Apparatus of digital broadcast receiving set and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ing
KR20020064420A (en) Method for auto exchanging of equalizing mode in channel equalizer
KR20070075492A (en) A equalizer
MXPA99003975A (en) Device and method for eliminating channel interference signs from contiguo in modulation / demodulation receivers having a reference sign
KR20020084719A (en) Apparatus of the channel equalizer for high definition television receiver by vestigial sideband and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