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3734A -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 Google Patents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3734A
KR20000043734A KR1019980060151A KR19980060151A KR20000043734A KR 20000043734 A KR20000043734 A KR 20000043734A KR 1019980060151 A KR1019980060151 A KR 1019980060151A KR 19980060151 A KR19980060151 A KR 19980060151A KR 20000043734 A KR20000043734 A KR 2000004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subscriber
network
satellite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080B1 (ko
Inventor
임희선
전완종
이준호
이기정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6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080B1/ko
Publication of KR2000004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의 이종망간의 상호 연동을 통하여, 단절 없이 하나의 망처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상호연동장치에 의해 프로토콜 변환 및 번역과, 내부 인식번호의 매핑을 수행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가입자가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망 서비스를 제공받고,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위성 통신망으로 로밍 되도록 하여 위성 통신망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상호 연동에 이용됨.

Description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본 발명은 망 연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프로토콜의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럽 표준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을 따르는 위성 통신망과 북미 표준인 IS-41.C(International Standard-41.C) 방식을 따르는 무선 통신망간의 이중 모드 연동을 위해서는 두 망 사이의 프로토콜의 번역 및 변환,, 두 망에서 사용되는 내부 인식번호의 매핑 등을 이용하여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간 매개체인 상호연동장치(IWF: Interworking Function)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가입자들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가지고 이동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무선 통신망이 전 지역을 모두 서비스할 수 없기 때문에 산간 또는 해양뿐만 아니라 도시 내에서도 일부 통화 불능 지역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해외에서는 각 국가별, 사업자별 무선통신 표준 프로토콜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가입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성 통신은 위성을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써, 기존에는 지구 상공 36,000km에 있는 정지 궤도 위성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음성 지연 등의 이유로 음성 통화는 거의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지구 상공 수백 km 위에 떠있는 저궤도 위성을 이용하는 이동 위성 통신이 등장함에 따라 기존의 음성 지연 등의 단점없이도 전세계적인 서비스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위성 통신의 장점을 누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위성 통신은 가입자 입장에서는 항상 호가 위성을 통해야 하기 때문에 값비싼 위성 이용료를 부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서로 다른 프로토콜의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의 상호 연동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여 하나의 망처럼 단절 없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망 구성도.
도 2는 무선 통신망 가입자의 이중모드 가입자에 대한 호 호출 및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위성 통신망 가입자의 이중모드 가입자에 대한 호 호출 및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이중모드 단말기의 초기 위치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이중모드 단말기의 전원 차단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위성 통신망 20 : 무선 통신망
13 : 이동위성 교환센터(MSSC)
14 :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GMPCS VLR)
15 : 상호연동장치(IWF) 23 : 홈위치 등록기(HLR)
24 : 무선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IS-41 VLR)
25 : 이동 교환센터(MSC)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연동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갖는 무선 통신망과 위성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동장치에 의해 프로토콜 변환 및 번역과, 내부 인식번호의 매칭을 수행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가입자가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망 서비스를 제공받고,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상기 위성 통신망으로 로밍되도록 하여 위성 통신망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갖는 무선 통신망과 위성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망 가입자가 이중모드 가입자에게 호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위성 통신망에 등록되어 있으면 호출된 이중모드 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망 또는 상기 위성 통신망으로 로밍되도록 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단계; 및 위성 통신망 가입자가 이중모드 가입자에게 호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위성 통신망에 등록되어 있으면 호출된 이중모드 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망 또는 상기 위성 통신망으로 로밍되도록 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기 위한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위성 통신망(10)은 이동위성 교환센터(MSSC)(13), 및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등록기(GMPCS VLR)(14)와, 두 이종망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상호연동장치(IWF)(15)를 포함하며, 유럽 표준 방식인 GSM 방식을 따른다. 또한, 무선 통신망(20)은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등록기(HLR)(23), 무선 통신망측 방문위치등록기(IS-41 VLR)(24), 및 이동교환센터(MSC)(25)를 포함하며, IS-41.C 방식을 따른다.
이를 상술하면, 이동위성 교환센터(13)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이를 지상망을 통해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교환기를 말한다. 이 이동위성 교환센터(13)는 무선 통신망의 이동교환센터(25)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지만,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등록기(14)는 위성 통신망(10)이 보유하고 있는 등록기로써, 이동 가입자가 자신의 홈 영역을 떠나서, 위성 또는 무선 통신망에서 이 서비스할 수 있는 다른 영역에 등록되어 있을 때 이 가입자에 대한 라우팅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말한다.
상호연동장치(15)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가지는 두 개 이상의 망이 마치 하나의 망인 것처럼 단절 없는 로밍을 할 수 있도록 중간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체로서, 두 망 사이에서 프로토콜의 변환 및 번역 등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는 무선 통신망(20)이 보유하고 있는 홈위치등록기로써, 이동 가입자에 대한 모든 가입자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정보를 영구히 저장하며, 또한 가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말한다. 가입자에 대한 모든 기본 정보가 홈위치 등록기(23)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에서 이 가입자에 대한 어떠한 처리를 하는 경우에도 우선적으로 홈위치 등록기(3)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얻게 된다.
무선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24)는 무선 통신망(20)이 보유하고 있는 등록기로써, 이동 가입자가 자신의 홈 영역을 떠나서, 무선 통신망(20)의 다른 서비스 영역에 등록되어 있을 때, 이 가입자에 대한 라우팅 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말한다.
무선 통신망측 이동교환센터(25)는 위성 통신망측 이동위성 교환센터(1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다만 위성 신호 처리 부분만이 제외되는 교환기를 말한다.
도 2는 무선 통신망(20)을 홈으로 하는 이중 모드 가입자가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 있는 경우의 위성 통신망(10) 연동을 통한 호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IS-41 무선 통신망(20) 가입자가 이동교환센터(25)에 호 설정 요구를 하면 이동교환센터(25)는 착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착신 가입자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먼저 얻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동교환센터(25)는 이중 모드 가입자의 홈 시스템인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에 IS-41 프로토콜인 위치 요구(Location-Request) 메시지(201)를 전송한다.
IS-41 프로토콜인 위치 요구(Location-Request) 메시지(201)를 수신한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는 해당 가입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가입자가 GSM 위성 통신망(11)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가입자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얻기 위하여 상호연동장치(15)로 IS-41 프로토콜인 라우팅 요구(Routing Request) 메시지(203)를 전송한다.
라우팅 요구 메시지(203)를 수신한 상호연동장치(15)는 위성 통신망(10)내의 해당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등록기(14)로 라우팅에 필요한 라우팅 번호를 요구하기 위하여 GSM 프로토콜인 로밍 번호 요구(Provide-Roaming-Number) 메시지(205)를 전송한다.
로밍 번호 요구 메시지(205)를 수신한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등록기(14)는 필요한 라우팅 정보를 GSM 프로토콜인 로밍 번호 응답(Provide-Roaming-Number-Ack) 메시지(207)에 실어서 상호연동장치(15)로 전송한다.
로밍 번호 응답 메시지(207)를 수신한 상호연동장치(15)는 라우팅 번호를 IS-41 프로토콜인 라우팅 요구 응답(Routing-Request-Ack) 메시지(209)에 실어서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로 전송한다.
라우팅 요구 응답 메시지(209)를 수신한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는 라우팅 번호를 IS-41 프로토콜인 위치 요구 응답(Location-Request-Ack) 메시지(211)에 실어서 이동교환센터(25)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IS-41 무선 통신망(20)을 홈으로 하는 이중모드 가입자가 이 무선 통신망(20)의 해당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 있는 경우에도 상호연동장치(15)의 중간 역할로 인해 마치 IS-41 무선 통신망(20)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것과 같이 호를 연결 받을 수 있다.
도 3은 IS-41 무선 통신망(20)을 홈으로 하는 이중모드 가입자가 해당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 GSM 위성 통신망(10) 가입자가 이 이중모드 가입자에게 호를 요구하는 경우의 위성 통신망(10)을 통한 호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위성 통신망(10) 가입자로부터 호 설정 요구를 받은 이동위성 교환센터(13)는 착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착신 가입자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얻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동위성 교환센터(13)는 상호연동장치(15)로 GSM 프로토콜인 라우팅 정보 전송(Send-Louting-Information) 메시지(301)를 전송한다.
라우팅 정보 전송 메시지(301)를 수신한 상호연동장치(15)는 착신 가입자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얻기 위하여 GSM 프로토콜의 라우팅 정보 전송 메시지(301)에 해당하는 IS-41 프로토콜 메시지인 위치 요구(Location-Request) 메시지(303)로 변환하여 이중모드 가입자의 홈 시스템인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로 전송한다.
위치 요구 메시지(303)를 수신한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는 해당 가입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가입자가 GSM 위성 통신망(11)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호연동장치(15)로 IS-41 프로토콜인 라우팅 요구(Routing-Request) 메시지(305)를 전송한다.
라우팅 요구 메시지(305)를 수신한 상호연동장치(15)는 이 메시지를 프로토콜 변환하여 위성 통신망(10)내의 해당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14)로 라우팅에 필요한 라우팅 번호를 요구하기 위하여 GSM 프로토콜인 라우팅 번호 요구(Provide-Roaming-Number) 메시지(307)를 전송한다.
라우팅 번호 요구 메시지(307)를 수신한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14)는 라우팅 정보를 GSM 프로토콜인 라우팅 번호 응답(Provide-Roaming-Number-Ack) 메시지(309)에 실어서 상호연동장치(15)로 전송한다.
라우팅 번호 응답 메시지(309)를 수신한 상호연동장치(15)는 라우팅 번호를 IS-41 프로토콜인 라우팅 요구 응답(Routing-Request-Ack) 메시지(311)에 실어서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로 전송한다.
라우팅 요구 응답 메시지(311)를 수신한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는 라우팅 번호를 위치 요구 응답(Location-Request-Ack) 메시지(313)에 실어서 상호연동장치(15)로 전송한다.
위치 요구 응답 메시지(313)를 수신한 상호연동장치(15)는 라우팅 번호를 GSM 프로토콜인 라우팅 정보 전송 응답(Send-Routing-Information-Ack) 메시지(315)에 실어서 이동위성 교환센터(13)로 전송한다.
도 4는 이중모드 단말기가 위성 통신망(10)에서 동작할 때의 초기 위치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중모드 단말기가 IS-41 무선 통신망(20)으로부터 위성 통신망(10)에 처음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같은 시스템 내에서 다른 위치영역(Location Area)에 진입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위치를 새로운 영역에 등록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현재 위성 통신망(10)의 영역에 등록되어 있다는 것을 시스템에 알리게 된다.
먼저, 이중모드 단말기가 IS-41 무선 통신망(20)으로부터 GSM 위성 통신망(10)에 처음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같은 시스템 내에서 다른 위치 영역에 진입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위치를 새로운 영역에 등록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는 지신이 새로 진입하여 위치한 이동위성 교환센터(13)에 위치등록을 요구하며 이를 수신한 이동위성 교환센터(13)는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14)로 위치 등록을 요구하기 위하여 GSM 프로토콜인 위치 영역 갱신 (Update-Location-Area) 메시지(401)를 전송한다.
위치 영역 갱신 메시지(401)를 수신한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14)는 위치 등록을 요구한 단말이 이중모드 단말기인 경우 이를 판단하여 위치 등록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로 전송해야 되며, 이를 위해 일단 상호연동장치(15)로 위치 등록을 요구하는 GSM 프로토콜인 업데이트 위치(Update-Location) 메시지(403)를 전송하게 된다.
위치 갱신 메시지(403)를 수신한 상호연동장치(15)는 위치 등록을 요구한 단말의 이동가입자 인식번호(IMSI)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의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 주소를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원하는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로 위치 등록을 요구하는 IS-41 프로토콜인 등록 확인(Registration-Notification) 메시지(405)를 전송한다.
등록 확인 메시지(405)를 수신한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는 위치 등록 요구를 허용하는 경우에 가입자 서비스 프로파일 등 필요한 정보를 IS-41 프로토콜인 등록 확인 응답(Registration-Notification-Ack) 메시지(407)에 실어서 상호연동장치(15)에 전송한다.
등록 확인 응답 메시지(407)를 수신한 상호연동장치(15)에서는 위치 등록 확인에 대한 정보를 IS-41 프로토콜의 메시지 형태에서 GSM 프로토콜의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위치 갱신 응답(Update-Location-Ack) 메시지(409)를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14)로 전송한다.
위치 갱신 응답 메시지(409)를 수신한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14)는 위치 등록에 대한 응답으로 GSM 프로토콜인 위치 영역 갱신 응답(Update-Location-Area-Ack) 메시지(411)를 이동위성 교환센터(13)로 전송하게 된다.
도 5는 위성 통신망(10)에 등록된 이중 모드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 전원을 끈 경우의 동작 흐름도로, 이중모드 가입자가 현재 위성 통신망(10)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의 전원을 끄게 되면 단말기가 비활성화 되었다는 사실을 자신의 홈 시스템인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로 이를 알려야 한다.
먼저, 위성 통신망(10)에 등록되어 있는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 이 단말기는 이동위성 교환센터(13)로 자신이 비활성화 된다는 사실을 통보해야 한다. 단말기로부터 전원 차단 사실을 전달받은 이동위성 교환센터(13)는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14)로 GSM 프로토콜인 가입자 차단(Detach_IMSI) 메시지(501)를 전달한다.
가입자 차단 메시지(501)를 수신한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14)는 이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에 전달되어야 하므로 상호연동장치(15)에 전송하고, 상호연동장치(15)는 수신된 가입자 차단 메시지(503)를 IS-41 프로토콜인 단말 비활성(MSInactive) 메시지(505)로 변환하여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에 전달하게 된다.
이 단말 비활성 메시지(505)를 수신한 무선 통신망측 홈위치 등록기(23)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단말기의 비활성화 사실을 저장한 뒤 상호연동장치(15)에 단말 비활성 응답(MSInactive-Ack) 메시지(507)를 전송한다.
단말 비활성 응답 메시지(507)를 수신한 상호연동장치(15)는 이를 해당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14)로 GSM 프로토콜인 비활성 응답 메시지(507)를 IS-41 프로토콜 메시지인 가입자 차단 응답(Detach_IMSI_Ack) 메시지(509)로 변환하여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 등록기(14)로 전달하게 된다. GSM 위성 통신망(10)에서는 전원 차단시에 단말기로의 확인 과정이 없기 때문에 위성 통신망측 방문위치등록기(14)는 이동위성 교환센터(13)로 응답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다.
이때, 단말기의 전원을 새로이 인가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GSM 표준을 기본으로 하는 위성 통신망과 IS-41 표준을 기본으로 하는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작용하는 상호연동장치(IWF)를 이용하여, 두 망간의 프로토콜을 상호 번역하고, 두 망에서 사용되는 인식번호 등을 매핑함으로써 두 망이 한 망처럼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종망간의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가입자가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고, 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타의 조작 없이도 자동적으로 위성 통신망을 이용하여 자신의 번호, 자신의 단말기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호연동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갖는 무선 통신망과 위성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동장치에 의해 프로토콜 변환 및 번역과, 내부 인식번호의 매핑을 수행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가입자가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망 서비스를 제공받고, 상기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상기 위성 통신망으로 로밍되도록 하여 위성 통신망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2.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갖는 무선 통신망과 위성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망 가입자가 이중모드 가입자에게 호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위성 통신망에 등록되어 있으면 호출된 이중모드 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망 또는 상기 위성 통신망으로 로밍되도록 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단계; 및
    위성 통신망 가입자가 이중모드 가입자에게 호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위성 통신망에 등록되어 있으면 호출된 이중모드 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망 또는 상기 위성 통신망으로 로밍되도록 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통신망에서 동작하는 이중모드 단말기가 초기 위치 등록을 요구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이중 모드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위성 통신망의 홈위치등록기에 각각 가입자의 위치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통신망에 등록되어 있는 이중 모드 가입자의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의 홈위치 등록기에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KR1019980060151A 1998-12-29 1998-12-29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KR10028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151A KR100283080B1 (ko) 1998-12-29 1998-12-29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151A KR100283080B1 (ko) 1998-12-29 1998-12-29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734A true KR20000043734A (ko) 2000-07-15
KR100283080B1 KR100283080B1 (ko) 2001-03-02

Family

ID=1956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151A KR100283080B1 (ko) 1998-12-29 1998-12-29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226B1 (ko) * 1999-12-24 2001-10-12 오길록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 교환노드에서 중계 신호 프로토콜결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226B1 (ko) * 1999-12-24 2001-10-12 오길록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 교환노드에서 중계 신호 프로토콜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3080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50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route request messages for wireless gateway applications
US6556831B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US5400390A (en) Method for establishing an inbound call to the mobile telephone in a GSM cellular mobile telephone network
US5943619A (en) Shared interworking of subscriber features within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s
FI104608B (fi) Tilaajatietojen käsittely verkkokohtaisten lisäpalveluiden yhteydessä
US5930701A (en) Providing caller ID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058415B2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to a dual mode handset
US6044263A (en)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 independent dialing procedure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80160997A1 (en) International Automatic Roaming Service Method
EP1041844A2 (en) Conversion of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IMSI) number
CA22198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call completion in telecommunications mobility applications
US6236853B1 (en) Called mobile subscriber present status
EP0520049B1 (en) A method for setting up an incoming call to a mobile radio in a cellular mobile radio network
EP0966853A2 (en) Ussd-positioning
US6064882A (en) System and method for satellite call optimization
EP1135954A1 (en) Optimized routing of mobile call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283080B1 (ko)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US7599379B2 (en) Registering stations between protocols
US62496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optimiz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in a satellite network
US6625453B1 (en) Efficient wireless call delivery across regional and political boundaries
KR100333739B1 (ko) 위성통신망과무선통신망간의부가서비스연동방법
US20040228303A1 (en) Canceling stations between protocols
KR10027037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절환 차단방법
CN116418887A (zh) 通信方法、装置、通信系统、存储介质及电子装置
EP1152629A1 (en)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