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0958A -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의 6가 크롬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의 6가 크롬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0958A
KR20000040958A KR1019980056713A KR19980056713A KR20000040958A KR 20000040958 A KR20000040958 A KR 20000040958A KR 1019980056713 A KR1019980056713 A KR 1019980056713A KR 19980056713 A KR19980056713 A KR 19980056713A KR 20000040958 A KR20000040958 A KR 20000040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hromium
neutralized
hydrate
hexavalent chrom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033B1 (ko
Inventor
이훈하
이재영
김대영
손진군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8-005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033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x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8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an extr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2Chromium or chromium compounds, e.g. chrom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의 6가 크롬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6가크롬함유 폐수에 환원제로서 FeSO4또는 FeCl2를 첨가하여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처리한 다음, 이를 NaOH 또는 Ca(OH)2의 알칼리를 이용하여 중화처리함으로써 중화 슬러지를 형성하고, 여기에 NaOH를 첨가하여 상기 중화 슬러지를 pH 13이상의 강알칼리성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H2O2를 슬러지내에 존재하는 Cr의 몰수 대비 1몰 이상이 되도록 첨가하여 Na2Cr2O7을 형성한 다음 여과하여 형성된 6가 크롬 의 Na2Cr2O7과 슬러지를 분리함으로써 6가 크롬 Na2Cr2O7을 추출해낸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에 pH가 13이상인 강알칼리성 조건하에 H2O2를 적정량 첨가함으로써 6가 크롬 용액을 효과적으로 추출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슬러지의 증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의 6가 크롬 추출 방법
본 발명은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의 6가 크롬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에 존재하는 Cr(OH)3를 강알칼리성 조건하에 용해시켜 6가 크롬 성분만을 추출해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6가 크롬 함유 폐액을 처리하는 기술로서는 여러 가지가 보고되고 있지만, 현재 대부분은 NaHSO3또는 Na2S2O3등의 환원제를 이용하여 6가 크롬 폐액을 환원처리한 다음 생석회를 이용하여 중화처리하고 이때 발생되는 슬러지는 매립하고 있다.
또한 약품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6가 크롬 폐액의 환원처리용 환원제로서 FeSO4,FeCl2등의 폐산을 이용하여 환원시킨 다음, 환원처리된 폐액을 가성소다 또는 생석회등의 알칼리를 이용하여 중화처리하고 이때 발생된 슬러지 역시 시멘트와 고형화시켜 매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중화슬러지의 증량 문제를 초래하며 폐기처리시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발생된 슬러지의 적절한 재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에 강알칼리성 조건하에 H2O2를 첨가함으로써 6가 크롬을 추출해내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를 슬러지 증량 문제가 없이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a)6가크롬함유 폐수에 환원제로서 FeSO4또는 FeCl2를 첨가하여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처리한 다음, 이를 NaOH 또는 Ca(OH)2의 알칼리를 이용하여 중화처리함으로써 중화 슬러지를 형성하는 단계;
(b)NaOH를 첨가하여 상기 중화 슬러지를 pH 13이상의 강알칼리성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중화슬러지에 H2O2를 슬러지내에 존재하는 Cr의 몰수 대비 1몰 이상이 되도록 첨가하여 Na2Cr2O7을 형성하는 단계; 및
(c)그후 여과하여 형성된 6가 크롬의 Na2Cr2O7과 슬러지를 분리함으로써 Na2Cr2O7을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폐산으로 환원 및 중화시켜 얻어진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 6가 크롬을 추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내에 존재하는 Cr(OH)3를 강알칼리성 조건하에 용해시키고, 이와 같이 용해된 Cr(OH)3를 H2O2를 이용하여 6가 크롬 상태로 산화시킴으로써 6가 크롬액만을 추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계(a)에서는 먼저 6가크롬함유 폐수에 6가 크롬 폐액의 환원처리용 환원제로서 FeSO4,FeCl2등의 폐산을 이용하여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처리한다. 이를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2Cr2O7+ 6FeSO4+ 6H2SO4= Cr2(SO4)3+ 3Fe2(SO4)3+ 7H2O
이와 같이 환원처리된 폐액을 가성소다 또는 생석회등의 알칼리를 이용하여 중화처리를 실시하면 슬러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알칼리로서 가성소다를 이용하여 중화처리하는 경우에는 Cr(OH)3와 Fe(OH)3가 혼재된 슬러지가 생성되게 되며, 생석회를 이용하여 중화처리하는 경우에는 Cr(OH)3, Fe(OH)3및 CaSO4등이 혼재된 슬러지가 생성된다.
단계(b)에서는 상기 중화슬러지에 NaOH를 첨가하여 슬러지를 pH13이상의 강알칼리성 조건으로 유지한다.
중화 슬러지내에 존재하는 Cr(OH)3는 pH13이상의 강알칼리 영역에서는 Cr(OH)4 -의 형태로 용해하는 성질이 있으며, 일단 용해시킨 다음 산화시키면 6가 크롬의 형태로 크롬을 추출해낼 수 있다. 만약 상기 pH를 13미만으로 유지시키게 되면, 불순물중 처리하고자 하는 Cr(OH)3가 용해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상승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슬러지내에 Cr(OH)3와 함께 혼재하는 Fe(OH)3및 CaSO4등은 강알칼리 영역에서도 용해되지 않고 염의 형태로 잔존하기 때문에 Cr(OH)3가 일으키는 반응에 참여하지는 못하고 불순물로서 잔류하게 된다.
상기 중화슬러지를 pH13이상의 강알칼리성 조건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H2O2를 슬러지내에 존재하는 Cr의 몰수 대비 1몰 이상이 되도록 첨가한다.
사용하는 H2O2의 첨가량이 폐수 슬러지중 Cr(OH)3의 몰비를 기준으로 H2O2의 몰비가 1미만이 되도록 사용되면, Cr을 산화하는 반응 자체가 줄어들어 Na2Cr2O7생성량이 감소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러지의 pH를 조절하는데 NaOH를 사용함과 동시에 산화제로서 H2O2를 사용하여야만 하기식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6가 크롬 용액인 Na2Cr2O7를 제조할 수 있다:
2Cr(OH)3+ 3H2O2+ 2NaOH = Na2Cr2O7+ 7H2O
본 발명의 단계(c)에서는 여과 공정을 거쳐 Na2Cr2O7과 슬러지를 분리함으로써 Na2Cr2O7만을 추출해낸다.
즉 Cr(OH)3와 함께 폐수 슬러지내에는 Fe(OH)3와 CaSO4등의 성분이 강알칼리 영역에서 반응하지 않고 잔존하므로, 여과 공정을 거치면 이와 같은 성분들은 슬러지로 제거되고 얻고자 하는 6가 크롬 용액인 Na2Cr2O7만이 추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추출된 Na2Cr2O7은 도금용액제조시 출발 원료 혹은 크롬 산화물의 녹색 안료와 같은 크롬 성분 함유 제품을 제조하는데 있어 출발 원료로서 사용된 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크롬 도금 공정에서 발생한 6가 크롬 함유 폐수를 FeSO4로 환원처리하고 생석회로 중화처리하여 생성된 철 및 크롬 혼합 슬러지로부터 Cr 함량을 측정한 결과 10중량%였다.
상기 슬러지에 pH를 NaOH를 이용하여 pH13으로 유지시킨 다음, 여기에 폐수 슬러지중 Cr(OH)3의 몰비를 기준으로 H2O2를 1몰비로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내에 잔류하는 슬러지는 여과하여 제거한 다음, 얻어진 6가 크롬 화합물의 수율로부터 얻어진 크롬 추출율은 중화 슬러지내 존재하는 Cr함량 대비 90중량%였다.
즉 본 실시예에 기재된 조건에 의하면, 슬러지중 크롬을 최대한 용해시킬 수 있으며 일단 용해된 크롬은 6가 크롬 용액으로 전환시켜 추출해낼 수 있었다.
<비교예 1>
H2O2의 첨가량이 크롬 추출율에 미치는 영향
폐수 슬러지중 Cr(OH)3의 몰비를 기준으로 H2O2를 0.5몰비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크롬 추출율은 중화 슬러지내 존재하는 Cr 함량 대비 35중량%였다.
즉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 슬러지를 NaOH를 이용하여 pH가 13이 되도록 유지한 다음 폐수 슬러지중 Cr(OH)3의 몰비를 기준으로 H2O2를 0.5몰비로 첨가한 경우에는 슬러지중 Cr(OH)3는 충분히 용해시킬 수 있으나, 첨가하는 H2O2의 양이 부족하므로 용해된 Cr(OH)3를 산화시키기에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알칼리 용액의 pH가 크롬 추출율에 미치는 영향
pH가 10인 가성소다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크롬 추출율은 중화 슬러지내 존재하는 Cr 함량 대비 80중량%였다.
즉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 슬러지를 NaOH를 이용하여 pH가 10이 되도록 유지한 다음 폐수 슬러지중 Cr(OH)3의 몰비를 기준으로 H2O2를 1몰비로 첨가한 경우에는 Cr(OH)3가 일단 용해되면 H2O2를 사용하여 모두 6가 크롬 용액으로 산화시킬 수 있으나, 여기서는 슬러지로 부터 Cr(OH)3를 충분히 용해시킬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에 pH가 13이상인 강알칼리 조건하에 H2O2를 적정량 첨가함으로써 6가 크롬 용액을 효과적으로 추출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슬러지의 증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1)

  1. (a)6가크롬함유 폐수에 환원제로서 FeSO4또는 FeCl2를 첨가하여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처리한 다음, 이를 NaOH 또는 Ca(OH)2의 알칼리를 이용하여 중화처리함으로써 중화 슬러지를 형성하는 단계;
    (b)NaOH를 첨가하여 상기 중화 슬러지를 pH 13이상의 강알칼리성 조건으로 유지하면서, 중화슬러지에 H2O2를 슬러지내에 존재하는 Cr의 몰수 대비 1몰 이상이 되도록 첨가하여 Na2Cr2O7을 형성하는 단계; 및
    (c)그후 여과하여 형성된 6가 크롬의 Na2Cr2O7과 슬러지를 분리함으로써 Na2Cr2O7을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폐산으로 환원 및 중화시켜 얻어진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의 6가 크롬 추출 방법
KR10-1998-0056713A 1998-12-21 1998-12-21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의 6가 크롬 추출방법 KR100388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713A KR100388033B1 (ko) 1998-12-21 1998-12-21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의 6가 크롬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713A KR100388033B1 (ko) 1998-12-21 1998-12-21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의 6가 크롬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958A true KR20000040958A (ko) 2000-07-15
KR100388033B1 KR100388033B1 (ko) 2003-08-19

Family

ID=1956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713A KR100388033B1 (ko) 1998-12-21 1998-12-21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의 6가 크롬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040A (ko) * 2014-07-11 2016-01-21 주식회사 포스코 폐연료전지의 재활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700A (ja) * 1984-08-18 1986-03-12 Kawasaki Steel Corp 排液の処理方法
JPS61234998A (ja) * 1985-04-09 1986-10-20 Kurita Water Ind Ltd クロム含有廃水の処理方法
JP3171912B2 (ja) * 1992-02-17 2001-06-04 日新製鋼株式会社 6価クロム含有廃液の無害化処理方法
KR100308827B1 (ko) * 1996-05-16 2001-12-17 이구택 중금속폐수처리장치
KR100401987B1 (ko) * 1998-12-16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6가 크롬함유 폐액을 이용한 크롬산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040A (ko) * 2014-07-11 2016-01-21 주식회사 포스코 폐연료전지의 재활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8033B1 (ko) 200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6181B2 (en)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apparatus for waste water containing sulfuric acid, fluorine and heavy metal ions
KR100216012B1 (ko) 수처리 슬러지의 처리방법
US5211853A (en) Method for the removal of chromium compounds from aqueous solutions
CN102191378B (zh) 一种电解锰的制液工艺
CN106311719A (zh) 一种电石渣的回收利用方法
RU2557608C1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отработанных электролитов хромирования
CN104060093B (zh) 一种废水中和石膏渣的处理方法
CN108315572A (zh) 一种从含钒铬固体物料中浸出钒铬的方法
EP0246871B1 (en) Removal of chromium from cell liquor
KR100388033B1 (ko) 3가 크롬 함유 폐수 슬러지로부터의 6가 크롬 추출방법
JPS5834195B2 (ja) 産業廃水中に含有される砒素及び珪酸の除去方法
US4108596A (en) Recovery of chromium values from waste streams by the use of alkaline magnesium compounds
JP2008143763A (ja) 二酸化チタンの製造の過程で生成する廃棄酸からの二酸化チタン、硫酸カルシウム及び酸化鉄の製造方法
JP3549560B2 (ja) 酸洗工程の廃液から有価金属とフッ化カルシウムを回収する方法
US3843769A (en) Process for removing hexavalent chromium from chlorate containing liquors
US3728273A (en) Method of recovering chromium and barium values from waste barium chromate
JP2007038196A (ja) 金属エッチング排水の処理方法
KR0149599B1 (ko) 산폐수 중화물질을 이용한 산업폐수 처리방법
KR19980033561A (ko) 6가 크롬과 시안이 공존하는 도금폐수의 전해처리 방법
JP4407236B2 (ja) アンチモン含有排水の処理方法
JPS5817260B2 (ja) エツチング剤廃液の処理方法
KR100275347B1 (ko) 황산염-및 수산화물-기초한 제2철 화합물의 제조방법(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sulfate-and hydroxide-based ferric compound)
WO1982003722A1 (en) Process for treating liquid radioactive waste
KR100401990B1 (ko) 6가 크롬함유 폐액을 이용한 크롬산화물 제조방법
KR100401987B1 (ko) 6가 크롬함유 폐액을 이용한 크롬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