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0136A -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 Google Patents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0136A
KR20000040136A KR1019980055688A KR19980055688A KR20000040136A KR 20000040136 A KR20000040136 A KR 20000040136A KR 1019980055688 A KR1019980055688 A KR 1019980055688A KR 19980055688 A KR19980055688 A KR 19980055688A KR 20000040136 A KR20000040136 A KR 20000040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nnection
information
connection information
frame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1746B1 (ko
Inventor
이병윤
이길행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746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5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using 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e.g.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TMN] or unifi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UN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통신 망 관리를 위한 통합망관리시스템(TMN)에서 현재 운용중인 프레임릴레이 교환기의 망구성 정보와 이들간의 대국간 연결관계를 망수준의 관리시스템에서 총체적으로 관리하여 임의의 노드에 대한 추가/삭제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요구나 시스템의 성능에 의하여 노드의 형상이 변경되어질 경우, 이에 대한 반영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데이터 구조에 근거하여 각 노드별로 설정되어진 연결종단점별로 성능정보 및 트래픽 파라메터를 관리하여 임의의 프레임릴레이 교환기 간의 연결 정보에 대하여 연결 시작점에서부터 종단점까지의 연결 추적이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망 관리 운용자는 문제가 발생한 노드의 특정 연결 종단점에 대하여 해당 연결의 연결 상태를 검색하고 시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망차원에서 관리하기 위한 프레임릴레이 교환기의 망구성 정보 및 링크 연결 상태를 관리하고, 각 프레임릴레이 교환기별로 설정되어진 연결 특성 정보인 프레임링크인식자(frLinkId), 데이터링크연결인식자(DLCI)를 관리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망 관리 운용자는 문제가 발생한 노드의 특정 연결 종단점에 대하여 해당 연결의 연결 상태 및 할당된 대역폭 및 성능에 대한 정보를 망 차원에서 관리 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본 발명은 CORBA나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을 이용한 통합망 관리시스템 환경하에서 프레임릴레이 교환기를 망 수준에서 관리할 때 망 레벨의 망관리시스템에서 망 연결 정보를 관리하고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망차원의 대국간 링크 연결 정보 테이블과 연결 정보 관리 구조 테이블을 프레임릴레이 망관리 환경에서 관리하여서, 관리 영역에 존재하는 임의의 가상 연결에 대하여 임의의 갯수의 교환 노드를 경유한 가상 회선 연결에 대한 연결 정보 출력이 가능토록 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초고속 통신망 관리를 위한 통합망 관리 시스템(TMN)에서는 망차원 의 교환기 형상 정보와 교환기간의 대국링크 정보를 관리하지 않았으므로, 임의의 가상연결에 대한 전체 경로를 추적하기가 어렵고, 단지 노드내의 가상 연결에 대하여만 연결 정보를 추적하고 출력할 수 있었다.
다시말하면, 프레임릴레이 망관리시스템 운용자는 임의의 가상 연결에 대하여 사용자의 요구나 또는 운용상의 이유로 설정된 연결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선로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선로 시험중 루프백 시험(Loop-back test)은 가상 회선 연결에 대해서 실시하며 운용자의 요구에 따른 원하는 연결 종단점에 대한 연결 여부의 감시, 장애 고립, 그리고 서비스에 앞선 연속성 검증 등의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망내에 설정된 가상 연결에 대한 연결 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야만 설정된 연결에 대한 다양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인접한 교환기에 대한 대국 링크 정보만을 해당 교환기가 관리할 뿐, 망 수준의 전체 연결 상태에 대한 연결정보를 추출할 수가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상 회선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임의의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에서 부터의 가상 회선 연결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하고, 이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망관리 운용자가 해당 연결에 대한 시험 구간을 효율적으로 설정하여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레임릴레이 망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여야 하는 대국간 링크 연결 정보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각 프레임릴레이 교환기간에 대국간 링크연결 상태에 대한 링크 연결 정보의 예를 보여주는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이 실제로 적용되어 도 2와 같이 대국간 링크연결이 구성된 각 교환기에 대하여 망관리 시스템에서 운용중의 링크 연결 정보 테이블,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레임릴레이 망관리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는 연결정보관리구조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어질 프레임릴레이 교환기간의 형상과 망 토포로지 정보 출력방법의 동작을 보여주는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어질 때 가상 회선 연결정보 출력을 위한 처리 절차에 대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통합망 환경에서 가상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은 프레임릴레이 망관리시스템 워크스테이션과 프레임릴레이 교환기시스템에서 각각 동작되며 기능 수행과정에서 연계된다.
먼저, 도 1은 프레임릴레이 망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대국간 링크 연결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망관리 운용자는 프레임릴레이 망에 대한 대국간 링크 연결 정보를 분석하여 새로운 노드에 대한 추가나 삭제시 이에 대한 반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가상 연결에 대해서 임의의 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데, 이때 시험을 실시할 가상 연결에 대한 망 차원의 망 구성 대국간 링크 연결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망관리 시스템에서는 프레임릴레이 교환기(1)간의 대국 연결 링크 번호(2)에 대한 구조를 도 1과 같이 유지한다.
상기 도 1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릴레이 교환기 3 대가 운용중인 경우에 대한 대국간 연결 정보 관리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교환기 1(3)은 대국 연결 링크 1(4)를 통하여 교환기 2(5)의 대국 연결 링크 3(6)과 연결이 되어 있고, 대국 연결링크 2(7)를 통하여 교환기 3(8)의 대국 연결 링크 4(9)와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서와 같은 대국 링크 연결 정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이 테이블은, 교환기 1(3)의 링크 1(4)은 연결정보 포인터 (connectPtr-fromP(10))을 통하여 교환기2(5)의 링크3(6)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은 양방향 연결이므로 교환기2(5)의 링크3(6)은 연결정보 포인터 (connectPtr-toP(11))을 통하여 교환기1(3)의 링크1(4)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교환기1(3)의 링크2(7)는 연결정보 포인터 (connectPtr-fromP(10))을 통하여 교환기3(8)의 링크4(9)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은 양방향 연결이므로 교환기3(8)의 링크4(9)는 연결정보 포인터 (connectPtr-toP(11))을 통하여 교환기1(3)의 링크2(7)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링크 연결 정보 테이블은 프레임릴레이 망내의 전체 노드에 대한 위상 정보를 나타내며, 가상 회선 연결을 검색시 교환기간의 링크 연결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상 회선 연결 출력시 필요하다.
다음으로, 도 4는 각 노드에 대한 연결정보 관리 구조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4에서, 프레임링크인식자(frLinkId)(13)는, 프레임릴레이 교환기의 가입자 링크(UNI) 및 네트워크 링크(NNI)를 나타내는 인덱스 값으로서, 해당 교환기가 제공하는 링크 개수만큼의 인덱스를 가진다. 임의의 링크는 다수의 가상 회선 연결을 가질 수 있으므로 링크와 가상 회선 연결 종단점은 1 대 N 의 관계를 가진다. 그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은 가상 회선(virtual circuit) 연결을 시작, 종단하는 점으로서, DLCI(데이터링크제어 인식자)(14) 값으로 구별되어진다.
임의의 가상 회선 연결은 도 3에 도시된 링크 연결 정보 테이블과 같이 망의 형상이 설계되어지고, 노드들간의 대국 링크 연결이 설정되어진 후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가상 회선 연결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노드 인식자(NodeId)(12), 해당 노드의 프레임링크 인식자(frLinkId)(13), 그리고 데이터링크제어 인식자(DLCI)값(14)으로 명시되어지고 구분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릴레이 망관리 시스템은 각 노드별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을 관리함으로 인하여 임의의 가상 회선 연결에 대한 연결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해당 연결에 대한 트래픽 특성 정보(15)와 성능 정보(16)를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어질 프레임릴레이 교환기간의 형상과 망 토포로지 정보 출력방법의 동작을 보여주는 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어질 때 가상 회선 연결정보 출력을 위한 처리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5와 도 6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망관리 연결 정보 관리 구조를 가지는 통합 망관리 환경의 프레임릴레이 교환기(17)에서 망관리 운용자가 검색을 원하는 가상 회선에 대한 망차원의 연결 정보 출력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는 프레임릴레이 망관리 시스템(18)에서 관리하고 있는 각 노드(프레임릴레이 교환기)의 대국간 링크 연결 정보와 가상 회선 연결 종단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해당 연결의 가상 회선 연결 종단점까지 추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교환기(17)는 망 설계 및 구축시에 망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서로 연결되어지고 이러한 정보는 프레임릴레이 망관리시스템(18)에 의하여 관리되어 진다. 프레임릴레이 망관리시스템 관리자와 교환기간에는 해당 교환기의 특정 데이터링크제어인식자에 대하여 설정된 대역폭 정보와 성능정보, 그리고 현재의 상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관리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하여 관리 명령 인터페이스(19)가 존재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가상 연결정보 출력을 위한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정 가상회선 연결종단점에 대한 연결 정보를 알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가상 회선 연결 종단점을 선택(20)한다. 해당 가상 회선 연결 종단점은 도 4에 도시된 연결관리정보테이블의 노드인식자(NodeId)(12), 프레임링크인식자(frLinkId)(13), 그리고 데이터링크제어인식자(DLCI)값(14)에 의하여 명시되어진다. 도 5에서와 같이 가입자로 부터의 연결종단점은 내부 스위칭되어 특정 연결종단점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해당 링크와 매칭되는 프레임릴레이링크인식자(21)의 타입이 가입자링크(UNI)(27)이면 그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은 연결 종단점이다. 그런데 상기 프레임릴레이링크인식자의 타입이 네트워크 링크(NNI)(22)이면 그 가상 회선연결종단점은 다른 노드의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므로, 대국간 링크 연결 정보 테이블(도 1 참조)로부터 현재 설정된 연결에 대한 다음 노드의 프레임릴레이링크 정보(2)를 검색(23)한 후 검색된 정보로부터 인접한 다음 노드의 프레임릴레이링크 정보를 얻어 해당 링크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링크제어인식자(DLCI)(14)를 검색하여 연관된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을 검색한다.
이렇게 찾은 인접 노드에 대한 프레임릴레이 링크의 가상회선연결 종단점으로 부터 도 4에서 제시한 노드별 연결정보 관리구조 테이블을 검색(24)하여 얻어진 프레임링크 인식자(13)와 데이터링크제어 인식자(DLCI)값(14)을 가지고 연결된 다음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을 찾고(25) 해당 연결 종단점에 대한 프레임릴레이링크인식자의 타입이 가입자 링크(27)이면 현재 검색한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은 연결 종단점이고, 그렇지 않으면(22) 그 가상 회선연결종단점은 다른 노드의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므로 해당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위에서 가상 회선 연결 종단점이 가입자 링크인지를 검색하여 가입자 링크이면(27) 해당 연결의 발신측(origination)이거나 수신측(termination)이 되어 전체 연결의 종단점으로 하며, 가입자 링크가 아닌 경우(22) 이는 해당 교환기의 출력단의 링크를 통하여 대국간 링크 연결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인접한 교환기의 입력단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에서 검색된 정보로 부터 인접한 다음 노드의 링크 정보를 얻어 해당 링크에 속하는 입력단의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을 찾고 출력단의 가상 회선 연결 종단점을 찾기 위하여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연결 정보 관리 구조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연결을 노드내 종단점을 검색한다. 이는 해당 연결에 대한 교환기 입력단의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과 교환기 출력단의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을 가리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가상 연결 종단점에 대해서 위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는데, 만약 연결 정보 검색 도중 해당 노드가 망관리 운용시스템이 관리하는 영역을 벗어날 경우에는 해당 관리자가 관리하는 노드 관리 정보의 영역을 벗어나게 되므로 더 이상의 검색이 불가능하므로 해당 경로 연결 종단점에 대한 검색을 마친다. 이러한 방법의 반복 수행을 통해서 프레임릴레이 망관리시스템의 관리 영역에 존재하는 특정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의 연결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통합망 환경(TMN)에 기반을 둔 프레임릴레이 망관리 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을 이용하면 임의의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에서 부터의 망연결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망관리 운용자는 해당 연결에 대한 시험 구간을 효율적으로 설정하여 시험에 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망 관리 운용자가 문제가 발생한 노드의 특정 연결 종단점에 대하여 해당 연결의 연결 상태, 할당된 대역폭 및 성능에 대한 정보를 망 차원에서 관리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통합망 환경에서 가상 회선 연결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프레임릴레이 망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할 대국간 링크 연결 정보 테이블과 노드별 연결 정보 관리 구조 테이블을 이용하여 링크 연결 정보를 구성하는 제 1 과정;
    가상 회선 연결 추적을 원하는 해당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의 선택시 이 종단점이 가입자 링크인지를 검색하여 가입자 링크이면 해당 연결 종단점의 검색을 종료하고, 가입자 링크가 아니면 상기 시스템에서 유지하는 상기 대국간 링크연결 정보테이블을 검색하는 제 2 과정; 및
    그 검색된 정보로 부터 인접한 다음 노드의 링크 정보를 얻어 해당 링크에 속하는 입력단의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을 찾고 출력단의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을 찾기 위하여 상기 연결정보 관리 구조 테이블을 검색하는 제 3 과정을 반복하여서 프레임 릴레이 망관리 시스템의 관리영역에 존재하는 특정 가상 회선 연결종단점의 연결정보를 알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국간 링크연결정보 테이블은,
    해당 노드(교환기) 인식자(NodeIndex), 대국 링크번호(frLinkId) 및 이들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연결 포인터(connectPt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별 연결 정보 관리 구조 테이블은,
    해당 노드 인식자(NodeId), 노드의 프레임링크 인식자(frLinkId), 데이터링크제어인식자(DLCI), 트래픽 특성 정보 및 성능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에서 가상 회선 연결 종단점이 가입자 링크인지를 검색하여 가입자 링크이면 해당 연결의 발신측이거나 수신측이 되어 전체 연결의 종단점으로 하며, 가입자 링크가 아닌 경우 해당 교환기의 출력단의 링크를 통하여 상기 대국간 링크 연결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인접한 교환기의 입력단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에서 연결정보 검색 도중 해당 노드가 망관리 운용시스템이 관리하는 영역을 벗어나면 해당 경로 연결 종단점에 대한 검색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KR1019980055688A 1998-12-17 1998-12-17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KR100281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688A KR100281746B1 (ko) 1998-12-17 1998-12-17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688A KR100281746B1 (ko) 1998-12-17 1998-12-17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136A true KR20000040136A (ko) 2000-07-05
KR100281746B1 KR100281746B1 (ko) 2001-02-15

Family

ID=1956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688A KR100281746B1 (ko) 1998-12-17 1998-12-17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156B1 (ko) * 1999-12-30 2005-07-27 주식회사 케이티 교환기 회선 자동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156B1 (ko) * 1999-12-30 2005-07-27 주식회사 케이티 교환기 회선 자동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1746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33550A1 (en) Physical layer auto-discovery for management of network elements
EP1650986B1 (en) A method of transformation between permanent connection and switched connection in optical network
US20020029298A1 (en) Arrangement, a system and a method relating to management communication
CA2206165C (en) Rout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8900350B (zh) 一种网管系统中光层业务分层模型配置方法及系统
CA2363746C (en) Establishment of designated s-pvc connection in pnni operation atm switching apparatus network
US73917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logical performance data for a circuit in a data network
CN113489616B (zh) 一种固网的评估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halen et al. Finding maximal link disjoint paths in a multigraph
JPH0951347A (ja) 階層型ネットワーク管理方式
KR100281746B1 (ko) 통합망 환경에서 프레임릴레이 망 연결 정보 관리 및 출력방법
Wilson et al. Multiwavelength optical networking management and control
JP2980031B2 (ja) 再構成可能なネットワーク
KR100243674B1 (ko) 통신관리망 환경에서 가상경로 연결 정보 출력 방법
KR100674343B1 (ko) Atm 영구가상연결 경로 정보의 운용자 정합 방법
CN101309492B (zh) 一种获取网管系统中端对端电路信息的方法及装置
KR100234131B1 (ko) 연결 경로에 대한 라우팅 패스 탐색 방법
KR100553798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초고속 정보 통신망에서 루프백을이용한 물리 링크 토폴로지 확인 방법
Kubera et al. Usage of OPNET simulation tool for validation of routing in ATM backbone networks of tactical communication systems
CN112737892B (zh) 一种交换机性能测试方法和系统
KR20010080170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종단 관리
KR100337142B1 (ko) 비동기 전송모드 서비스품질/트래픽 파라메터 기반의계층적 경로설정기법
KR100775691B1 (ko) 통신 네트웍에서의 메쉬 그룹 설정 방법
KR100288755B1 (ko) 프라이비트 네트워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연결 설정이 진행중인 호들을 고려한 라우팅 방법
KR100243671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시스템의 전용선 가상 연결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